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明末 江南地域의 戲曲 揷畫 硏究

        박민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9535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led to the rise of drama illustration in the Jiangnan area during the late Ming period from the late 17th to the mid-18th century. It also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the illustrations in the history of printmaking and painting by analyzing the characters of drama illustrations by region and period. There were approximately 442 types of illustrated plays published from the reign of Wanli Emperor (1573-1620) to Chongzhen Emperor (1628-1644) of Ming, an unprecedented number of woodcuts in the history of Chinese print making. During this period, engravings of play illustrations in the Jiangnan area of late Ming diversified and matured in terms of expression. In addition, a new genre called "illustration printmaking" was developed by professional engravers and underdrawing artists. This paper explores the humanistic and social backgrounds that drove the development of drama illustration, and the nature of the illustration in its heyday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tyles focusing the regions of Jianyang, Jinling, and Murin · Suzhou · · Wuxing.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is comprised of five parts. First, Chapter II examines the performance culture in the Jiangnan region in late Ming from three perspectives. For this, I examined the urban landscape centering the Jiangnan region and reviewed the trends in performance culture which fulfilled the needs of the people’s leisure culture followed by investigating the prevalence of commercial writing for the performance of drama by scholars and professional writers. This will allow us to understand the social-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rama illustrations that were woodblock printed particularly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The newly emerged class in the Ming civil society yielded the proliferation of leisure culture in their process of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theater performances that emerged and grew out of this background produced differentiated performances for different venues such as theater, tavern, plaza, and garden. Scholars and professional writers wrote scripts to meet the demands of performances and they have captured the hearts of audiences with themes such as heroism, public peace, martial arts, and love. Also, there were schools of theater scripts by region, including Yuezhong School, Yumingtang School, Wujiang School, and Suzhou School. This paper identifies the causal factors underlying this general trend and the subsequent rise of the publication of drama illustration in Jianyang, Jinling, Murin, Suzhou, and Wuxing. In Chapter III, I explored the increase of bookstores that sold banggak (privately printed and published books for profit) bookstore, which was a direct result of the vogue of theatrical illustrations, and also the rise of various illustrated book publishing. The success of banggak bookstores led to the publication of popular literature, starting with dramas or plays. Drama illustrations served as the basis for the production of unique and original prints for each region. This is evinced by the fact that Wudji in Jinling, Yuedi in Murin, and Minzhong in Jianyang, which were most prominent centers for publishing banggak books, coincide with the production centers for drama illustrations. The banggak books printed here were published by major families of Yue (余) family, the Liu (劉) family, and the Tang (唐) family. By examining the publication of religious books of Buddhism and Taoism, encyclopedias, books of local geography, and farming books, I proposed how the engraving of illustrations for famous plays was made possible by the sophisticated engraving techniques that had been accumulated throughout the publishing and printing culture. In chapter IV, the characteristics of drama illustration styles in the Jiangnan region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Jianyang, Jinling, and Murin · Suzhou · Wuxing— and the distinctive print styles of each region were examined. The first illustration that represents Jianyang is the "圖文型" (text and illustration type), which refers to the early drama illustrations of the 上圖下文式 (illustration on top and text on bottom style). I noted that Jianyang's illustrations, which take the form of early drama illustrations, are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圖書" (illustrated book), which was employed in the publications of ancient China. In other words, the study of illustrated books (圖譛學) was established in the Song Dynasty to encompass the concept of illustration, and this traditional concept was adopted in producing the illustrations for the early drama illustrations in Jianyang during the Ming era, which l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stylized format of “illustration on top and text on bottom.” Second, I examined the "舞臺型" (stage type) and "園林型" (garden type) drama illustrations of the Jinling region. In the case of Jinling, the illustrations are engraved in a single-side style and a double-side style.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yle by dividing them into 'stage-type' that represented the actual performance with realistic depiction of figures and backgrounds and 'garden-type' based on the gardening and private theater classes of the literati both of which were popular in Jinling during the late Ming period. This is a new printmaking feature of drama illustration, and it can be considered a clear indication of how the production of illustrations has evolved and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factors. Third, I examined the different styles of drama illustrations from the three regions of Murin, Suzhou, Wuxing. The styles can be summarized in four characteristics: the "山水-人物畫型" (landscape · figure painting type) which reflects the human activities and the landscapes of the Jiangnan area; the "戲曲型 人物 綉像型”(transforming a figure into a drama character) that reproduces the figures of the heroine of a popular play into the figures from paintings of the beauty; and the "多色版畫" (polychrome print) that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accumulated printmaking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landscape and figure painting type,” which reflects the natural landscape of the Jiangnan region, began emerged during the reign of Wanli Emperor and continued to enjoy popularity until the reign of Chongzhen Emperor in Suzhou and Wuxing. In order to increase the sales of books of drama at that time, it is understood that the book titles were specified that they were special edition with the reviews from famous writers and literati such as Li Ji (1527-1602), Chen Kaiyou (1558-1639), Tang Hyunjo (1550-1616), and Xu Yue (1521-1593), and also had the printed illustrations of landscape and figure drawings in the taste of literati. This high-quality engravings of drama illustrations seem to have formed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ized style of professional painters and engravers. In Chapters V and VI, I examined the illustration style of professional underdrawing artists, activities of the engravers who assisted the former, and the new year paintings of the Qing Dynasty that appeared as a variation on the drama illustrations of famous plays from the late Ming period. The drama illustrations that were intensively engraved from the Wanli era to Chongzhen era were mainly created by special illustrators, namely Wang Keng, Zhao Bi, and Wang Wenheng, as well as the famous Huang clan illustrators, including Huang Yingguang, Huang Yibin, and Huang Yikai. The illustrations of these illustrators passed on their painting styles and engraving styles to local bookstores. The illustrations thus produced appear to have been reprinted repeatedly with a high level of printmaking artistry. Later in the Qing Dynasty, the engraving for drama illustrations entered a declining phase and local folk drama flourished prompting the production of new year paintings, another form of printing art. The New Year painting expresses the expectations and hopes of people who wish for good fortune during the Lunar New Year, and it has the meaning of warding off ill in the house and wishing for prosperity throughout the new year. Therefore, the fact that it was used as a folk religious element to pray for good luck by drawing a specific scene from a drama is an interesting point that shows the process of drama illustrations transforming into another genre and being reinterpreted. This also demonstrates how the drama illustrations developed over periods and were enjoyed by larger audiences. 본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에 명말 강남지역에서 희곡 삽화가 성행하게 된 요인과 지역별·시기별 희곡 삽화의 특징과 성격 분석을 통하여 판화사적·회회사적 의의를 고찰해보고자 한 것이다. 萬曆年間(1573-1620)부터 崇禎年間(1628-1644)에 출간된 삽화본 희곡은 대략 442종으로 중국 판화사상 유래 없는 판각 수량을 기록하였다는데 이 시기에 명말 강남지역의 희곡 삽화 판각의 다양한 판화적 표현과 성숙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로써 전문 밑그림 화가와 각공에 의해 ‘삽화 판화’라는 새로운 회화사 장르가 시작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희곡 삽화 판각의 원동력이 된 인문·사회적 배경과 建陽과 金陵, 武林·蘇州·吳興을 중심으로 삽화풍의 특징을 탐구하여 전성기 희곡 삽화의 성격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논문을 총 다섯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명말 강남지역의 공연 문화의 성행에 관하여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에 도시와 시진의 모습과 시민계층의 여가문화 수요를 충족시켜 준 공연문화의 경향을 검토한 뒤 士人·職業作家의 희곡 공연을 위한 상업적 글쓰기의 성행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명말 집중적으로 판각된 희곡 삽화의 사회문화사적인 배경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명말 새롭게 급부상한 시민사회 계층의 급변한 사회변화에 대한 적응 과정은 여가문화의 확산을 낳았다. 이로 인하여 생겨나고 성장한 희곡 공연은 句欄, 酒樓, 廣場, 園林 등 다양한 장소에서 차별화된 공연을 양산하였다. 특히 공연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본 창작은 사인과 직업 작가의 상업적 글쓰기를 추동하였으며 의협, 공안, 무협, 사랑이라는 키워드를 녹여내 관중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또한 희곡 창작은 지역 유파를 형성하여 이른바 越中派, 玉茗堂派, 吳江派, 蘇州派를 중심으로 창작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반적인 경향과 이후 건안과 금릉, 무림, 소주, 오흥에서 판각된 삽화본 희곡의 출판물의 성업에 기저로 작용하게 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Ⅲ章에서는 희곡 삽화의 성행을 이끈 직접적인 요인에 해당하는 坊刻 서점의 성황과 다양한 삽화본 도서 출판의 성행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방각 서점의 성황은 희곡을 필두로 성행한 통속문학 출판을 이끌며 이후 ‘희곡 삽화’가 지역별로 개성 있고 독창적인 판화를 생산하는 기저로 작용하였다. 이는 방각본 서적 출판이 두드러졌던 금릉의 吳地, 무림의 越地, 건양의 閩中은 희곡 삽화의 대표적인 생산지역과 일치하는 점으로 증명된다. 이곳에서 판각된 방각본 서책은 余氏, 劉氏, 唐氏 등 주요 성씨들이 일가를 이루어 출판하였는데 불교·도교 등의 종교서적과 백과전서, 지방지리지, 농서 등의 일용서적의 출간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명말 희곡 삽화 판각이 그간 출판·인쇄 문화 전반에 축적된 고도화된 판각 기법으로 인하여 가능하였던 점을 규명하였다. Ⅳ장에서는 강남지역의 희곡 삽화풍의 성격을 건양, 금릉, 무림·소주·오흥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색 있는 판각풍을 고찰하였다. 먼저 건양을 대표하는 삽화는 ‘圖文型’으로 上圖下文式의 초기 희곡 삽화를 대표한다. 이에 주목한 점은 초기 희곡 삽화의 형태를 보여주는 건양의 삽화가 중국 고대로부터 서적 간행 시 착용된 ‘圖書’의 개념이 적용된 예로 파악하였다. 즉, 송대 圖譜學이 성립되어 삽화의 개념을 포괄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통적 개념이 명대 건양의 초기 희곡 삽화로 제작에 차용되어 상도하문의 정형화된 형식이 상용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두 번째로 금릉 희곡 삽화의 ‘舞臺型’과 ‘園林型’ 삽화를 살펴보았다. 금릉의 경우 單面式과 雙面連式으로 판각되는데 인물과 배경의 사실적인 화풍이 가미되면서 실제 공연무대를 재현한 기록적 성격의 ‘무대형’ 삽화와 명말 금릉에서 유행한 문인들의 원림 조성과 家班 활동을 기반으로 ‘원림형’ 삽화로 나누어 각각의 삽화 특색을 분석하였다. 이 같은 점은 희곡 삽화가 새롭게 선보인 판화적 특징으로 삽화 제작에 사회문화적 요소가 영향을 미치며 발전·변모해간 점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점으로 꼽을 수 있다. 세 번째로 무림·소주·오흥 세 곳의 희곡 삽화에 나타나는 異色 삽화풍을 고찰하였다. 이 경우 세 가지 특색으로 요약되는데 강남지역의 산수와 인물 간의 인간적 활동이 반영된 ‘山水·人物畫型’과 인기 있던 희곡의 여자 주인공을 사녀화의 인물상을 재현한 ‘戲曲型 人物 綉像型’, 축적된 판화 기술력을 바탕으로 판각된 ‘多色版畫’가 이에 해당한다. 특히 산수·인물화형은 강남지역의 자연경관을 반영한 삽화풍으로서 만력년간 무림에서 시작되어 숭정년간까지 소주와 오흥의 희곡 삽화에 꾸준히 나타나는 삽화이다. 이에 당시 희곡 서적 출간의 판매율을 높이기 위하여 李贄(1527-1602), 陳繼儒(1558-1639), 湯顯祖(1550-1616), 徐渭(1521-1593)와 같은 유명 작가와 문인들의 批評本임을 책의 제목에 명시하고 문인 취향의 산수·인물형 삽화를 판각하여 일시에 성행하게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희곡 삽화의 수준 높은 판각의 흐름은 전문화된 화가와 각공의 독창적 예술로 이어지게 되는 기반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Ⅴ-Ⅵ장에서는 전문 밑그림 화가의 삽화풍과 이에 조력자로서 활약한 각공들의 판각 활동, 그리고 명말 희곡 삽화의 변용으로 나타나는 청대 희출 연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만력년간부터 숭정년간에 집중적으로 판각된 희곡 삽화는 汪耕, 趙璧, 王文衡이라는 전문 삽화가와 黃應光, 黃一彬, 黃一楷에 이르는 유명 황씨 일가의 판각풍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이들이 참여한 삽화는 지역 서점에 그들의 화풍과 각풍을 전수시켜 명말 삽화풍을 양산하였으며 이렇게 제작된 삽화는 판화적 예술성을 겸비한 수준 높은 삽화로 거듭 판각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희곡 삽화 판각이 쇠퇴 국면에 접어들게 되자 청대에 地方戲가 성행하게 되면서 戲出 年畵로 제작 되어 또 다른 판화 예술로 그 형태를 존속되는 과정을 규명하였다. 연화는 춘절에 복을 기원하는 사람들의 기대와 희망을 담아 표현한 것으로 한 해 동안 집안의 액운을 쫓고 새로운 한 해의 다복함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에 희곡을 주제로 특정 장면을 그려 복을 비는 민간 신앙적 요소로 쓰인 점은 희곡 삽화가 또 다른 장르로 유입되어 재해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점으로 희곡 삽화의 저변화와 변모 양상 읽을 수 있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