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미술 감상 수업 지도안(指導案) 연구

        이진효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다. 정보화에 따른 급속한 문화 발전은 우리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경쟁력은 다양한 사고와 창의력, 풍부한 지식과 기술이 뒷받침 되어야 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창의적 능력을 신장하기위해 미술과 에서는 ‘미술 감상’ 이라는 활동을 통하여 표현 및 감상 능력을 기르고, 창의력을 계발함과 동시에 심미적 태도를 함양하는 것에 그 목표를 두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창의력 확대와 유연한 사고로 혁신적인 교육과정을 추구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개념을 도입하여 ‘Arts Propel의 Domain Project’를 통해 중학생 미술 감상 교육에 있어서 창의적 사고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Arts Propel의 Domain Project’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고찰하여 이론과 이에 따른 적용 사례 등을 살펴보고 중학교 미술 감상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추출하여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미술 감상수업에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rts Propel의 Domain Project’를 활용한 새로운 ‘미술 감상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기존 수업에서 볼 수 없는 학생 스스로의 참여 방법과 평가를 다양한 관점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감상 일지’를 제작, 시행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Arts Propel의 Domain Project’를 활용한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흥미도’와 ‘만족도’, ‘참여도’, ‘선호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아울러 ‘미술 감상 일지’를 통해 ‘창작:지각:반성’의 ‘만족도’ 역시 높은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점은 미술 작품에 대한 학생의 이해와 감상 일지를 통한 유연한 사고 및 창의력을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미술에 대한 인식의 폭을 확장 시켰다. 셋째, 미술은 타고난 재능에 의한 것이 아니라 노력에 의해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여 미술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게 한다. 따라서 ‘Arts Propel의 Domain Project’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을 통해 교사, 학생의 학습활동을 변화시키므로 앞으로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연구와 개발이 수행될 때 비로소 성공적인 교육과정이 이루어 질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미술 감상 교육은 문화 창조시대의 주역으로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상을 구현하는 것에 교육의 진정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본다. The 21st century is the herald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information society is fueling the development of culture, which is having an enormous impact on our lives. In order to make our information society -- our knowledge and technologies -- available to the most people in the most effective way, those in government, business, and institutions must be creative thinkers. In education, art departments must use our new culture of information to encourage students to appreciate and create art and to cultivate a new aesthetic attitude. The goal of my research is to discover if the creative thinking of programs implementing the domain project of Arts PROPEL can teach art appreciation to middle-school students To gauge this I have borrowed from the innovative educational thinking of H.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which analyzes the effects of openness and creativity in middle-school art appreciation classe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I suggest that the domain project of Arts PROPEL be used to teach art appreciation. This program has students create a journal that allows them to appreciate and evaluate their own work from a variety of innovative viewpoints. Second, the domain project of Arts PROPEL has the effect of inspiring students to become more interested in art, which translates into greater participation and more satisfaction with the artwork they create. Thanks to their journals, students see themselves as more creative and perceptive. They succeeded in being more open to and appreciative of different art. Third, the program reassures students that art is not a question of innate talent but of hard work. I conclude that since the domain project of Arts PROPEL can change the way that students and teachers learn to create and appreciate art, art educators can create a successful curriculum if there is a desire to be progressive, positive, and energetic. Teaching art appreciation through programs such as the domain project of Arts PROPEL can then accomplish its real educational role, which is to realize everyone's capacity to be independently creative a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unique period of cultural creativity.

      • 체육감상수업이 중학생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도전활동 중심으로

        김광호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시행되는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의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 가운데 도전활동을 중심으로 감상수업을 실시할 때, 학생들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감상수업의 기틀을 마련하여 현장에서 체육교사들의 감상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감상수업의 교수-학습 과정과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이천시 향교로에 위치한 S중학교 1학년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직접 체육감상수업을 실시한 70명이며, 비교집단은 동학년 70명이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활용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PC+10.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증, t-test, 평균, 표준편차,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체육감상수업의 참여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정서발달의 차이를 정서발달의 하위변인인 순수반응 정서발달, 공포반응 정서발달, 회피반응 정서발달, 애정반응 정서발달, 사회반응 정서발달, 공격반응 정서발달, 비행반응 정서발달과 같은 7개의 하위변인으로 구체화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체육감상수업의 참여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정서발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이는 체육감상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 보다 정서가 더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체육감상수업에 참여한 중학생은 순수반응, 공포반응, 공격반응 모두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회피반응(.001), 애정반응(.007), 비행반응(.004)로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순수반응, 공포반응, 공격반응의 정서발달이 회피반응, 애정반응, 비행반응 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감상수업이 중학생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현재 7학년부터 시작되고 있는 개정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감상수업이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초등학교 5학년을 위한 온택트 음악 감상 지도방안

        김지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et of instructional plans for non-contact music appreciation for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an appreciation lesson model based on the basic tools of real-time video lessons in situation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are forced to teach and learn online. As part of its effort to develop lesson plans, this study examined models for music appreciation lessons, researched online-based music appreciation lessons, and selected an appreciation lesson model to be applied to real-time video lessons. The changing process of music appreciation media was reviewed along with the current record market to select a medium for online music appreciation. After selecting YouTube, the investigator chose Zoom and Padlet as tools for real-time video lessons. A real-time video lesson plan for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as devised according to the four stages of an appreciation lesson model from Jeong Jae-eun and Choi Mi-yeong (2017). The stage of attention encourages students to recall and talk about related experiences and take interest in pieces of music. The stage of sensory appreciation has students share their feelings about pieces of music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ir moods. At the stage of analytical appreciation, they were asked to analyze pieces of music objectively by connecting their feelings about the music from sensory appreciation to musical elements in the appreciation process. The final stage of aesthetic appreciation allows students to figure out and conceptualize values in pieces of music to assess, apply, and share the values of the music they listen to in life.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process of designing online video lessons with an appreciation lesson model: First, music appreciation lessons via real-time video learning is manageable. Second, students can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music through an appreciation lesson model applied to non-contact lessons. Third,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express and share their feelings and ideas about music online, even in non-contact situations. Finally, a wide range of materials for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can be produced and utilize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advancement of music media drive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n appreciation lesson model can be applied to non-contact music appreciation lessons and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music to bring positive effects to students' active appreciation and enjoyment of music in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 수업의 기본 도구를 활용하여 감상수업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5학년 온택트 음악 감상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에 있다. 수업안 개발을 위하여 음악 감상 수업 모형과 온라인 기반의 음악 감상 수업 연구들을 고찰하여 실시간 화상 수업에 적용할 감상수업모형을 선정하였다. 온라인 음악 감상을 위한 매체 선정을 위해 음악 감상 매체의 변화과정과 현재의 음반 시장을 점검하여 유튜브를 감상학습 매체로 정하고, 실시간 화상 수업을 위한 도구로는 줌(ZOOM)과 패들렛을 선정하여 활용하도록 하였다. 정재은, 최미영(2017) 감상수업모형의 4단계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대상의 실시간 화상 수업안을 구안하였다. 주의 집중 단계에서는 관련된 경험을 떠올리고 이야기하면서 악곡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감각적 감상 단계에서는 악곡을 듣고 느낌을 공유하면서 곡의 분위기를 파악하고 공감하도록 하였다. 분석적 감상 단계에서는 감각적 감상을 통해 인지한 악곡의 느낌들을 음악 요소와 연관시켜 감상하게 함으로써 악곡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도록 하였다. 심미적 감상 단계에서는 악곡이 음악으로서 갖는 가치를 파악, 개념화하고, 생활 속에서 듣는 음악의 가치를 음악의 가치를 판단하는데 적용하고 공유하도록 하였다. 감상수업모형을 적용한 온라인 화상 수업 설계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시간 화상 수업을 통한 음악 감상 수업의 운영이 가능하다. 둘째, 감상수업모형을 적용한 온택트 수업을 통해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언택트 상황에서도 온라인을 활용해 음악 감상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고 공유할 수 있다. 넷째, 4차 산업혁명을 통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음악 매체의 발달로 음악 감상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가 생산되고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택트 음악 감상 수업에 감상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여 삶에서 음악을 능동적으로 감상하고 즐기게 하는 데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효율적인 미술감상 수업을 위한 방법론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고명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협의로서의 교육과정, 즉 교육 내용에 있어 미술과의 그것은 1차부터 7차례의 개정을 거치며 반세기 동안 주로 표현과 감상의 틀을 유지하며 변화하여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 나라의 미술 교육은 사실상 감상적 내용 보다 표현적 내용에 더 치중되었으며 이로 인해 미술을 특정인만의 재능으로 여기는 풍토가 여전히 득세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미술이란, 다같이 향유하고 생활 일선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다는 사고에 앞서 고급 취향적 난해함이 적재되어 있는 문화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짙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미술 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은 무엇보다도 그렇게 생각하는 이들에게 보통 교육으로서의 미술에 대한 이해도롤 높히는 것이다. 교육을 성립시키는 요소는 학생 교사 그리고 교육 내용이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현장에서 미술을 접하는 고등학교 청소년들이 '생활 저변에서 향유하는 미술'을 만들어 가는 데에 필요한 미술과의 교육과정 중 '감상 영역'의 내용을 살펴보고 교사가 효율적으로 그들의 인식의 틀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감상 교육 방법론에 대한 소고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감상 지도의 의의와 목적을 살며보고,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감상 영역은 이러한 취지에 잘 부합되었는지를 고찰한 후 아직 미정인 제 7차 미술과 교육 과정의 내용 체계가 나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한다. 현행 미술과 교육 과정의 감상 영역 지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전라남도 여수시의 3개 학교와 경기도 지역 3개 학교 및 서울 지역 3개 학교의 학생들과 교사를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21세기의 우리 교육 현장은 컴퓨터의 보급등으로 안과 밖으로의 개혁을 꾀하고 있으나 수업 시간에의 활용 빈도는 낮으며 기본적인 제반 여건의 열악함으로 인하여 그 내용에 있어서의 첨단화는 실질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수도권 지역과 지방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미술과의 교육이 각 지역적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데 있어 미흡한 점이 많았다. 이는 지역 특색에 대한 이해도와 더불어 미술 감상이나 체험이 미술 작품과 미술사에 편중되어 지역 문화와의 연관성 및 표현과의 관련이 적음을 나타낸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현 상황을 부축이는 근원적 요인은 고등학교 미술과의 수업 단위가 적어 오랜 기간 축적되어야 하는 미적 감수성을 마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여러 모로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체 7차 미술교과 교육과정의 맹점은 바로 이점에 있다고 해야겠다. 밖으로부터의 개혁적 요구는 내부적 현실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여 개혁을 위한 개정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들의 특성 및 교육 현장의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미술 교과의 교육과정에서 감상영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유중의 하나는 세계의 중심 기류로부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는 종래의 창의성 중심의 미술 교육에서 Discipline에 기초한 미술 교육(DBAE) 및 미적 교육 흐름이 우리 교육속으로 파고 들었다는 것이 표면상으로 드러난 결과이다. 1990년대 이후에는 여러 문화가 갖는 고유적 의미파악에 중점을 두며 미술 감상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우리가 여기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외국 선행 연구에서의 장점은 취하되 과열된 대학 교육열, 감성적 교육이 위축된 교육 현장의 여건 등의 '교육의 실제'와 외국 사례가 적용되어 우리 교육 현장에서 보편화되기 위해 걸리는 '시간적 거리를 고려한 이론적 연구 및 검토'가 충분히 뒤따라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흔히 '영상 세대'라고 일컬어지는 현재 고등학생들의 충분한 관심을 유도하는 수업으로 멀티미디어를 사용한 감상 수업 모형을 제시한다. 이 수업 모형에서는 외국 문화와 우리 문화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확대시켜 표현 영역이나 타교과의 내용과 접목시킨다. 이는 모두 제 7차 교육과정의 전체 목표에 부합하는 내용들로서 실질적으로 상용화되어 활용되는 데에는 다음의 조건들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첫째,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설 확충과 양질의 교육용 소프트 웨어의 개발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로 TV, VTR과 인쇄물에 의지하는 수업 방법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공공 시설에 컴퓨터의 향상된 기종을 보급하고 주변기기도 알맞게 갖추어져야 한다. 컴퓨터의 보급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하루가 다르게 증보되고 있는 컴퓨터 시설에 필요한 소프트 웨어의 구비와 관리는 실질적인 활용에 있어 더욱 중시 되어야 할 사항이다. 그리고 미술 교육 내용을 담은 양질의 소프트 웨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각 관공서 및 교육청에서의 홍보 활동이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의 실현을 위해 미술 관련 교육용 자료 목록이나 인터넷 주소의 배포 및 각 영상 단체와의 교섭도 필요하다. 둘째, 미술교사의 전공에 따른 미술과 감상 교육 내용의 편협화를 해결하기 위해 미술 교사 양성 교육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각 사범대학교의 미술교육과 교육과정과 비사범 계열의 미술과 교육과정 이수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커리큘럼 및 복수 전공의 기회폭을 넓혀 감상 수업에 필요한 제반 지식을 갖추는데 어려움을 갖지 않도록 해야한다. 셋째, 통합 교육을 위한 교사간의 협력에 필요한 시간의 확충이다. 설문조사에 응할 시간조차 여의치 않은 교육 현실에서 교사의 잡무를 덜어주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만 통합 교육의 효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에 덧붙여 수행 평가의 실시가 학생 개개인의 과정 평가라는 장점을 높이기 위해서도 이 점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안책 마련이 시급하다. 넷째, 교사의 각종 연수 및 재교육의 기회를 통해 타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 및 미술 교사의 자질 향상에 필요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져야한다. 전문적이지만 세분화되어 있어 미술 교과는 다른 교사의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능동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 가기 위해 미술 교사는 각 영역별로 심화된 미술과 교육과정의 연수와 더불어 타교과 교육 과정의 활동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다섯째,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이 효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미술만이 지니고 있는 특수 여건에 대한 사회 저변의 이해가 요구된다. 여기에는 미술과 설비 시설 및 시간 배당률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미술의 사회·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는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영향을 받아야 한다. 효율적인 미술 감상 수업을 위해서는 환경과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사의 끊임없는 자기 개발이 우선되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더불어 가정의 관심과 학교 및 국가적 배려 위에서 그들이 체험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을 위한 기초적 작업에는 체계적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미술 교과 각 영역의 알맞은 배당 비율, 초·중·고등학교의 연계성 있는 내용 구성, 내용에 알맞은 교파서의 외적 구성 - 교과서의 크기나 레이아웃등의 편집에 대한 자율성 확보, 우리 실정과 학생 수준에 맞는 언론 및 영상 단체의 교육 프로그램 편성, 학교 및 가정의 벽면을 활용한 감상 공간의 확충, 지역 특성을 찾는 데 필요한 교사 및 지역 교육청의 홍보, 평생 교육의 기회를 통한 가족 구성원의 미술 재교육 둥이다.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에 대한 교육적 효율성을 높여 주변 환경속에서 미를 향유하며, 미술 문화를 이해, 계승, 발전 시키는 주체로서의 학습자를 위한 교육은 앞으로 더 구체화 되고 객관화 되어야 할 것이다. Curriculum in a narrow sense, that is, that of art in contents has been changing reforms from the 1st to seventh for the past half century, maintaining the frame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However, oue art education so far has been more focused on expression then appreciation, and it is still more prevalent that art is considered only some special talents. In other words, art is thought as high level culture rather than something all can enjoy together and approach easily. In this reality,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should elevate understanding of art as normal education. The elements of education axe students, teacher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appreciation area in the part of art education curriculum needed in making art more popular and familiar in real life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suggest methods for teachers to make students frame of thought chang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appreciation teaching in a theoretical way, and reviews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not fixed yet after examining appreciation area in our art curriculum fits for this purpose. To find how appreciation teaching in art curriculum is being done, I took a survey with students and teachers in 3 schools in Yeosoo city, 3 in Kyuonggi, and 3 in Seoul. As the result of the survey, our education attempts for reform in and out, including the supply of computers, but it is barely applied in class, and the advancement of the contents is actually difficult for the poorness of overall conditions. Comparing capital areas and local areas, there is not much opportunity for art education to have localized art education. This shows that art appreciation or experience has little relationship with local culture and expression, limited to art work and art history. Ultimately, the basic reason of boosting this situation is that there are not many art units in high schoo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ke aesthetic senses. The blind spot of the 7th art curriculum lies in this. A need of reform from outside should sufficiently reflect needs of students, teachers and education field, not limited to grasping the inner reality. One of the reasons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area in art education is that it is influenced by the world main trends. This implies that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DBAE) and the flow of aesthetic education is penetrated into our education. Since the 1990s, understanding the original meaning of various cultures has been emphasized and studies on art appreciation is being studied. The thing we should not overlook here is that applying the advantages of the precedent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should be followed by sufficient theoretical studies and reviews considering time distance. Accordingly, I suggest an appreciation model using multi media for inducing high school students named image generation) interest. In this class model, extended contents of art education is applied to the contents of other subject or area. This, as the contents fitting in the general goals of the 7th curriculum, should be followed by these questions. First, the facilities for using media should be extended and software fo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we should supply updated computer equipment in public facilities to help escape from TV it VTR-based class. Providing and maintaining software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actual use as well as computer itself. Also, publicity activities for easy access to quality software should be activated by government offices and education offic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distribute lists of art education-related data or internet address and contact image groups to achieve this goal. Second, to solve the narrowed class of art appreciation for teacher's major, systematic supplementation of art education teacher raising is needed. By expanding the opportunity of plural majoring at college and meeting with various curriculum for both art education majors and non-art majors, we should give future art teachers more chance to be equipped with overall knowledge required for art appreciation class. Third, time for teacher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In the reality they don't even have time for answering to surveys, there should be systematic device that can ease teachers from odd jobs to satisfy the efficiency of integrated education. Fourth, relation to other subjects and information delivery should be done through the opportunity of various trainings andre-education. Specialized but specified, art education has other subject hardly access. Accordingly, to actively solve this problem, art education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other subjects activities as well as deepened art curriculum. Fifth, to have 'appreciation area' in art curriculum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of special conditions of art is needed in the whole society. Here the improvement of art facilities and time allotment should go ahead.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rt should be naturally affected in life. For effective art appreciation class, teachers should continuously work for self-development. In addition, we should give students chance for- appreciation based on interest at hom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school and government. Basic work for this kind of learning includes appropriate time unit of art class, correlated contents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composition if textbook proper to the contents, autonomy in editing textbook-such as size or layout, education program arrangement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expanding the space of appreciation using the walls of school and home, publicity of teachers and local education office to find local characteristics and re-education of family members through life time education. By elevating education efficiency of art appreciation, we can let students enjoy art in the surroundings, and education for learners as the subject who understand, succeed and develop art culture should be more specific and objective.

      •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현대음악 감상수업 지도 연구 :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은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중학교 통합 교과서에 나타난 현대음악 감상영역을 연구하고 유의미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현대음악 감상 수업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현대음악에는 다양한 음악 어법이 존재한다. 사조도 다양하고 작곡가들의 특성도 다양하다. 현대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적 배경이 없이 활동위주의 학습을 하는 것은 학생들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유의미 학습이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학습내용을 포섭 혹은 정착 시키는 일로서 학습자는 제시되는 학습 자료를 내면화하고 통합하여 학습자가 기존에 인지하고 있는 것과 관련시켜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습이론이다.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학습은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학습자의 선행지식을 토대로 현대음악의 핵심내용을 간결하게 전달하여 현대음악 감상활동에 기초를 다짐으로서 더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학생들이 핵심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서 현대음악의 창의적인 활동과 적극적 태도를 기르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는 우선 중학교 통합교과서 17종의 현대음악 감상곡을 분석하고, 분석된 감상곡 들을 토대로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설명 및 제안을 내놓았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제재곡 3곡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곡은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쇤베르크의 ?바르샤바의 생존자?, 슈톡하우젠의 ?소년의 노래?이다. 유의미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감상활동으로는 기존의 선행조직자 모형을 현대음악 감상수업에 적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모형의 주요 단계로 선행조직자 제시, 개념도의 제시, 자신의 느낌을 문장으로 표현해보기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에 의한 수업은 현대음악 감상지도의 주요 이론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게 하는 수업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영역에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전개 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방안들에 대해 생각하고 관심을 갖게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현재와 더불어 미래의 음악문화를 수용하는 개방적 사고방식을 갖기를 기대한다.본 논문은 중학교 통합 교과서에 나타난 현대음악 감상영역을 연구하고 유의미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현대음악 감상 수업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현대음악에는 다양한 음악 어법이 존재한다. 사조도 다양하고 작곡가들의 특성도 다양하다. 현대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적 배경이 없이 활동위주의 학습을 하는 것은 학생들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유의미 학습이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학습내용을 포섭 혹은 정착 시키는 일로서 학습자는 제시되는 학습 자료를 내면화하고 통합하여 학습자가 기존에 인지하고 있는 것과 관련시켜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습이론이다.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학습은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학습자의 선행지식을 토대로 현대음악의 핵심내용을 간결하게 전달하여 현대음악 감상활동에 기초를 다짐으로서 더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학생들이 핵심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서 현대음악의 창의적인 활동과 적극적 태도를 기르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는 우선 중학교 통합교과서 17종의 현대음악 감상곡을 분석하고, 분석된 감상곡 들을 토대로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설명 및 제안을 내놓았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제재곡 3곡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곡은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쇤베르크의 ?바르샤바의 생존자?, 슈톡하우젠의 ?소년의 노래?이다. 유의미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감상활동으로는 기존의 선행조직자 모형을 현대음악 감상수업에 적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모형의 주요 단계로 선행조직자 제시, 개념도의 제시, 자신의 느낌을 문장으로 표현해보기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에 의한 수업은 현대음악 감상지도의 주요 이론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게 하는 수업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영역에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전개 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방안들에 대해 생각하고 관심을 갖게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현재와 더불어 미래의 음악문화를 수용하는 개방적 사고방식을 갖기를 기대한다.본 논문은 중학교 통합 교과서에 나타난 현대음악 감상영역을 연구하고 유의미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현대음악 감상 수업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현대음악에는 다양한 음악 어법이 존재한다. 사조도 다양하고 작곡가들의 특성도 다양하다. 현대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적 배경이 없이 활동위주의 학습을 하는 것은 학생들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유의미 학습이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학습내용을 포섭 혹은 정착 시키는 일로서 학습자는 제시되는 학습 자료를 내면화하고 통합하여 학습자가 기존에 인지하고 있는 것과 관련시켜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습이론이다.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학습은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학습자의 선행지식을 토대로 현대음악의 핵심내용을 간결하게 전달하여 현대음악 감상활동에 기초를 다짐으로서 더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학생들이 핵심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서 현대음악의 창의적인 활동과 적극적 태도를 기르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는 우선 중학교 통합교과서 17종의 현대음악 감상곡을 분석하고, 분석된 감상곡 들을 토대로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설명 및 제안을 내놓았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제재곡 3곡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곡은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쇤베르크의 ?바르샤바의 생존자?, 슈톡하우젠의 ?소년의 노래?이다. 유의미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감상활동으로는 기존의 선행조직자 모형을 현대음악 감상수업에 적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모형의 주요 단계로 선행조직자 제시, 개념도의 제시, 자신의 느낌을 문장으로 표현해보기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에 의한 수업은 현대음악 감상지도의 주요 이론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게 하는 수업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영역에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전개 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방안들에 대해 생각하고 관심을 갖게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현재와 더불어 미래의 음악문화를 수용하는 개방적 사고방식을 갖기를 기대한다.

      •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한 ICT 활용 미술 감상수업 연구

        장혜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접근으로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인 수업 형태로 그리고 지식정보화 시대인 현대에 ICT를 매개체로 활용하여 미술작품을 감상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미술활동은 크게 표현과 감상 활동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표현 활동이 자신을 표현하는 적극적인 활동이기는 하지만 누구나에게 신나는 활동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 생활 주변의 곳곳에서의 미적 체험은 누구나에게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생활에서의 미적인 발견은 미적 안목을 높이고 정서를 풍부하게 해주며 삶을 윤택하게 해준다. 이러한 미적 안목을 높이기 위한 활동이 바로 감상 활동으로 미술교육에서 표현활동만큼이나 중요하다. 구성주의적 감상 지도는 교사가 안내하고 보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스스로 문제를 찾고 정보를 찾아 해결하도록 하는 탐구 형, 문제 해결 형이며, 또한 상호작용의 인지적 갈등을 통해 미술 작품에 대한 안목의 성장과 협동학습의 태도를 기르며 토론문화를 성숙하게 하는 데 있다. 구성주의에서 진리나 지식은 개인의 인지적 작용의 결과인 만큼 주관적인 흥미와 관심에 초점을 맞추고, 일괄적으로 수업 전에 학생이 아닌 교사나 수업 설계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학습목표대로 수업하는 것이 아니다. 교사는 수업의 전체적인 목표만을 제시하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학습목표는 학생들 스스로 수업을 진행해 나가면서 자신의 흥미와 관심, 그리고 수준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구성주의의 인식론은 지식기반 사회, 포스트모더니즘 사회로 명명되는 요즘의 시대적 요구와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지식기반 사회 발전과 형성의 가장 큰 원동력이 되는 것은 정보통신기술이다. ICT의 발달은 ‘문명사적 전환과 변화’를 갖고 올 만큼의 대단한 영향력을 지니고서 우리 사회체제에 여러 지각 변동을 가져왔다. 이때의 ICT는 컴퓨터, 곧 인터넷, 통신, 소프트웨어 등을 일컫는데 요사이는 흔히 네트워크 화된 컴퓨터, 곧 인터넷이나 웹(Web)을 의미한다. 인터넷의 특징은 멀티미디어 형태의 정보의 바다, 하이퍼텍스트 체제, 네트워크 체제라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학생들에게 엄청난 정보를 가져다주며, 자신이 원하는 정보, 지식을 스스로 판단하여 선택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네트워크 화된 컴퓨터를 통해 지식, 정보의 공유와 고립적 환경 대신 공유된 학습 환경, 널리 분산된 학습 환경을 말한다. 요즘 교육에서 강조하는 협동학습, 팀 학습 등의 개념과도 연결 할 수 있다. 결국 ICT는 구성주의와의 연결을 해주는 매 소그룹체로 수업에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접근의 ICT 활용의 미술 감상 수업으로 첫째, 교사의 감상 지도 능력의 부족과 감상 자료의 부족으로 효과적으로 할 수 없었던 감상 수업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으며 둘째는 이러한 활동으로 기대되어지는 효과는 학생들의 흥미를 증진시키고 학생들이 스스로 정보를 찾아 학습하면서 많은 양의 내용을 스스로 소화해 내고, 또한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면서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며. 셋째는 인터넷을 이용해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상호 작용학습을 할 수 있으며 만들어진 내용을 홈페이지에 등록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시하였다. 미술 감상이란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객관적인 지식만을 전수하는 감상 교육이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가 자발적이고 열린 사고의 자세로 대화와 협동을 통하여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고, 결과에 대해서도 다양성과 포괄성을 인정하는 구성주의적 태도와,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과 교수법에 의한 미술 감상 지도가 요구된다.

      • 통합예술교육을 통한 능동적 음악 감상 수업지도안 :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를 중심으로

        박찬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감상은 때론 기악 연주나 창작보다도 더 많은 음악적 노력과 집중이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수동적인 자세나 즐기면 되는 행위로 간주되기도 하며 다른 영역의 활동보다 소홀히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이 감상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활동이 적고 듣는 행위로 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능동적인 음악 감상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며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의 악곡 중심으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개념과 정의를 정리하고 고찰하였으며 미국과 우리나라의 실제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둘째, 능동적 음악 감상의 수업 유형, 목적, 필요성을 통해 능동적 음악 감상 수업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통합예술교육을 위해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문화·예술적 배경을 연구하고 이에 따라 음악, 미술, 건축 각 분야의 대표성을 띤 작품 및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통합예술교육을 통한 능동적 음악감상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으며, 음악 외의 다른 예술 분야와의 통합수업을 통해 감상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과 음악을 통해 음악감상을 청각적 요소뿐만 아니라 시각적 요소로 접근할 수 있게 시도하고 각 분야의 시대 적 배경과 예술적 특징의 공통점을 통해 음악이 사회와 연관되어 발전해오고 있음을 이해하도록 설명하여 더욱 능동적인 음악 감상 수업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ppreciation is sometimes regarded as a passive attitude or an act of enjoying, even though it requires more musical effort and concentration than instrumental performance or creation, and tends to be neglected than activities in other areas. One of the reasons why students prefer appreciation classes is that they are less active and only list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llow students to reach active music appreciation through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a class guidance plan was presented centering on the Renaissance and Baroque eras.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were organized and reviewed, and actual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were examined. Second, active music appreciation classes were considered through the type, purpose, and necessity of active music appreciation. Third,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background of the Renaissance and Baroque era was studied, and accordingly, works and styles that represented each field of music, art, and architecture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contents, a plan for active music appreciation classes through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presented, and various approaches to appreciation were constructed through integrated classes with other art fields other than music. This study attempted to access music appreciation as well as auditory elements through art and music and to understand that music has been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society through the common feature.

      • 시각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감상수업 실행 연구

        김한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시각 환경은 복잡하고 다양하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시각 환경에서 수용자는 시각 미디어를 수동적이고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며, 무의식적으로 획일적인 사고를 형성하고, 무개성적인 인간으로 살아간다. 따라서 오늘날 인간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매체를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올바르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오늘날 미술교육이 지향하는 새로운 목적 중 하나는 ‘비주얼 리터러시’의 육성이다. 시시각각 변화하고 제공되는 시각매체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가 올바르게 수용하고 판단하도록 도움으로서 주체적인 인간을 기르는 것이다. 이는 미술과의 감상교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이전까지 미술 감상에 목적이 순수미술 작품과 자연미에 대한 것이었다면 이제는 시각 정보를 분석하고 이해하며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도 목적을 두어야 한다. 더 이상 우리들의 생활환경은 자연이 아니며, 다양한 시각정보가 범람하는 환경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즉, 감상자가 주체적으로 시각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대상을 인식하고 판단하며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오늘날 감상교육의 중요한 핵심 요소이다. 이는 21세기 미디어사회를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 감상교육의 책무 가운데 긴급한 목표의 한 가지인 것이다. 류지영 외, Op.cit. p.249. 마스터먼(L.Masrerman)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최종적인 목표는 단지 비판적인 분석에 있는 것이 아니고 미디어 사회를 사는 인간의 주체성의 확립에 있다.”고 하였다. 이성도 외, Op.cit. p.30. 메사리즈(P.messaris)는 시각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면 보다 깊은 감상을 할 수 있고, 작품이 지닌 예술적인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도 불가결한 것이라고 하였다. lbid. 따라서 시각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문해력’ 육성을 감상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학습방법으로는 문학교육의 반응중심 학습법을 활용할 수 있다. 반응중심 학습이론은 예술 작품의 의미와 가치가 감상자가 작품과 상호작용함으로서 형성된다고 본다. 작가의 의도나 텍스트 자체 보다는 그것을 읽고 반응하며 가치를 형성하는 독자를 주체로 여기는 것이다. 이는 대단한 예술작품도 감상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따라 의미와 가치가 다양하게 변화한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감상자와 작품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체험, 반응, 해석이 중요하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과 같이 미술 감상과 반응중심 학습법은 감상자의 반응을 존중하며 다의적 해석을 통해 의미를 재생산하고 작가, 작품, 수용자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미적 경험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같은 맥락을 공유한다. 이러한 반응중심 학습법을 미술 감상 수업에 적용했을 때 감상은 일반적인 미적 대상과 모든 시각적 경험을 통해 노출되는 시각 이미지에 대한 비평능력 발전에 효과적인 미적 인식능력, ‘시각적 문해력’ 형성의 장이 된다. 그 효과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교과에 감상수업은 학습자 스스로가 작품에 대한 흥미와 의문을 가지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시각적 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미술 감상수업에서는 다양한 미술 감상 학습법과 감상 지도 전략을 활용하고 있지만, 현성된 반응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있다. 박소영. 『초등학교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p.126. 따라서 형성된 반응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과 체계적인 접근방식으로 반응중심 학습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둘째, 반응중심 미술 감상 수업은 주변의 익숙한 사물이나 현상을 낯설게 보거나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도록 하면서 학습자의 개인적인 반응을 중심으로 개인과 자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하는 김정희, 「미술과 반응 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미술 교과의 반응 중심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14(1), 2003, p.38.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다. 이는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수요 되고 있는 이미지를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반응중심 미술 감상수업은 기존에 강의식 수업을 통한 주입식 감상이 아닌, 내면을 통한 자연스러운 감상에 경험을 바탕으로 잠재된 미적 세계관을 넓혀 나가며 삶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 예술을 삶 속에서 향유할 수 있도록 이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반응중심 미술 감상수업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자는 감상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반응중심 학습법을 활용하였으며, 시각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일반적인 양적 연구와 달리 연구가 끝날 때까지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중 실행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11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였던 고등학교1, 2학년학생들은 반응중심 미술 감상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작품을 감상하는 태도와 시각적 문해력을 향상시켜나갔다. 이들은 반응중심 학습법을 기반으로 작품을 감상함으로서 작품을 내용, 형식적인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하였으며,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은 감상 수업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소통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형성되었으며, 자신의 관점을 확장해 나가고 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졌다. 또한 학습자들은 미적 가치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의 확장과 자신의 경험을 작품과 연결지어 생각해보고 반응을 내면화하며 이에 대한 성찰을 통해 변화를 이루는 긍정적인 양상을 보여주었다.

      •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 지도안 연구 : 슈베르트 「마왕」을 중심으로

        이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이콥 비숍(Jacob Bishop)과 매튜 베레거(Mattew Verleger)의 거꾸로 수업 모형을 기반으로 음악 감상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1차시 지도안은 예술가곡을 이해하고 프란츠 패터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의 「마왕」의 특징을 학습하면서 제재곡을 감상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선행학습 동영상을 통해 학생들은 ‘가곡의 왕’이라고 불리는 슈베르트의 생애와 예술가곡의 특징에 대해 이해하면서 제재곡을 감상하였다. 기존의 감상 수업은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작품의 음악적인 구조와 요소들을 설명하는 주입식 강의로 진행되었다. 이런 수업 방식은 음악 자체의 특성 및 관련된 배경 지식을 학생들 스스로 이해하고 습득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 음악 감상 수업에서는 선행학습 동영상 강의를 통해 작곡가의 전반적인 생애와 그 시대적 맥락을 먼저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다. 교실 안의 본 수업에서는 「마왕」의 각 등장인물의 특징을 이해하고 모둠별로 배역을 정해 연기해보는 시간으로 진행하였다. 이때 학생들은 선행학습 동영상 강의에서 예술가곡의 탄생배경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에 따라 바뀌는 선율을 구분하여 연기하는 활동을 통해 ‘심미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2차시 지도안은 이전 차시의 예술가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리듬인 셋잇단음표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피아노가 더 이상 반주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곡의 분위기나 특징을 표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1차시와 2차시에 걸쳐 음악의 외적, 내적인 구조를 학습하고 제재곡을 감상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심미적 체험’을 경험하였다. 즉 그림이나 글로 써서 표현하는 행위를 통해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음악 감상의 가치를 느끼고 그 가치를 스스로 주도하여 내면화할 수 있다. 거꾸로 수업이 음악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음악 교사들에게 교사 양성 프로그램과 같은 실질적인 연수를 통해 ‘온라인 선행수업’ 활용능력 배양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향후 교실에서 능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도의 문제, 선행학습과 본 수업에서의 괴리감 등의 이유로 선행학습 강의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고 본 수업에 오는 학생들을 교실 안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도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