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미치는 현호색의 효과

        서인옥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한방에서 여러 통증에 사용되어온 현호색이 CCl_4로 유발된 흰 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현호색의 m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CCl_4에 의한 간 손상 보호 효과를 확인한 후 이를 hexane, chloroform(CHCL_3), butanol(BuOH) 및 물로 계통분획하여 CCl_4에 의한 간 손상 보호 효과를 검색하였다. 이 결과 현호색 물 분획물이 유의성 있는 간 보호 효과를 보임으로써 간손상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현호색 이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혈액 생화학적 분석으로 ALT활성, total bilirubin량, albumin량, TP량, cholesterol량 및 TG량을 측정하고, 간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cholesterol량, TG량 및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측정하고 또한 현호색의 간손상 보호효과의 기전을 밝히기 위해 phase I 대사에 관여하는 CYP량과 NADPH-CYP reductase활성, calcium함량, phase II 대사에 관여하는 GSH량과 GST활성, 항산화효소인 SOD활성, GPX활성 및 CAT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액 생화학적 분석에서 ALT 활성도, total bilirubin 함량 및 cholesterol 함량은 CCl_4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TP 함량은 CCl_4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간 조직의 TG와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CCl_4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여 CCl_4로 인한 지방의 축적이나 세포막의 손상은 억제된 것으로 보인다. 기전 연구를 위하여 측정한 CYP 함량과 calcium 함량은 CCl_4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GST 활성도는 CCl_4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항산화 효소의 유도로 인하여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 SOD, GPX 및 CAT 활성도는 CCl_4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모든 처�봇【�감소 하는 경향을 보여 간손상 보호 효과는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보다는 CYP 함량의 감소와 COB로서의 작용 및 GST 활성도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Corydalis ternata against the carbon tetrachloride was investigated. Carbon tetrachloride(CC₄) induces the hepatotoxicity due to the reactive free radical (CC₃) generated by cytochrome P-450 enzyme. We examined the effects of Corydalis ternata methanol extract and hexane, chloroform, butanol and water fractions prepared from the methanol extract. Rats were treated with those for 3 days, and liver microsomes and cytosols were prepared at 24hour after the last dose.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the water fraction was higher than any other fraction. To examine mechanism of the effect of Corydalis ternata, we measured the contents of MDA, CYP, GSH and calcium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NADPH-CYP reductase, GST, SOD, GPX and CAT. The fraction inhibited the production of MDA, the content of CYP and the level of calcium in liver as compared with those of CCl₄-treated rats. The GST activity was increased. We speculate that the oxyge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raction might play a key role in the mechanism opposing the progression of CCl₄-induced hepatitis, but the activities of SOD, GPX and CAT were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 might be mainly due to the decrease of CYP contents, act as CCB and increase of GST activity rather than oxyge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 Flavone 5-O-demethylnobiletin의 간 섬유화에 미치는 간 보호 효과

        김세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liver is a main organ where drugs and chemicals are metabolized and processed. Liver damage poses serious and fatal risks. Liver cirrhosis i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in the medical community due to its high mortality rate worldwide. Fibrosis, cirrhosis, cancer, and liver failure eventually lead to death. The main causes of liver fibrosis include chronic ethanol intake, viral infections such as hepatitis B and C,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parasitic infections, iron and copper excess in the body, bile duct obstruction, and drug-induced liver damage. Liver damage can be confirmed by excessive deposition of extracellular matrix (ECM) proteins, glycoproteins, proteoglycans and collagen. The most commonly studied marker in fibrosis is the accumulation of collagen, especially the fibrous type of collagen. As a result of changes in collagen synthesis from mRNA to protein levels, there is an excessive increase in other types of collagen an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basal levels of type III collagen. During fibrosis or liver injury, hepatic stellate cells (HSCs) are involved in the excessive collagen synthesis and other damage commonly found in liver fibrosis through transformation and activation of complexes. Studies have shown that HSCs migrate from vitamin A storage cells to activated myofibroblast-like cells. Molecular changes occurring within cells can be confirmed by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the appearance of smooth muscle α-actin (α-SMA), a cytoskeletal protein, a sharp decrease in vitamin A, and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The use of CCl4, a well-known and well-established chemical hepatoxin, to induce liver injury and hepatic fibrosis in BALB/c mice has been widely studied for many years. CCl4 damages the liver through various mechanisms such as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CCl4 is converted to Tri-chloromethyl (CCl3) free radical or trichloroperoxyl radical(CCl3O2) produced by the cytochrome P450 oxygenase system derived from the endoplasmic reticulum. The newly formed CCl3 free radicals interact with nucleic acids, lipids and proteins to damage important cellular processes, cause adipogenesis damage, cause fatty acid degeneration and steatosis, and transcribe small amounts of protein. Moreover, the compound formed by the addition of CCl3 causes a mutation in DNA synthesis, which eventually leads to liver cancer. CCl3O2 free radicals formed by oxygenation of CCl3 cause lipid peroxidation and damage to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As a result, the cell membrane increases permeability and exposes fragile organelles, leading to liver damage through inflammation, fibrosis, cirrhosis, and progression to hepatocellular carcinoma. Flavonoids are a type of polyphenol metabolite with a benzo-𝛾-pyrone structure and are abundantly contained in plants. The word flavonoid is derived from the Latin flavus. It is estimated that about 9000 flavonoids are found for various types of plants. Flavonoids have been shown to have several health-promoting effects due to their high,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capacity, antiviral, hepatoprotective properties and anticancer. Various flavonoids extracted from citrus fruits showed potent hepatoprotective effects against various liver disease models. 5-O-demethylnobiletin(5-DN) is one of such flavonoids commonly extracted from citrus fruits, and has been sh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However,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the flavonoid, 5-DN, has not been studied so far.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flavonoid, 5-DN on CCl4 induced hepatotoxicity. It was observed that 5-DN significantly reduced collagen accumulation and neutralized oxidative stress arising from the CCl4 intermediate observed by downregulation of ROS and promotion of antioxidant responses. 5-DN could also activate autophagy after preventing CCl4 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5-DN may ameliorate acute liver injury. 간은 화학물질과 약물이 처리되고 대사되는 주요 기관이다[1]. 간 손상은 심각하고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한다. 간경변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갖고 있어 의학계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이다. 간 섬유증의 주요 원인은 만성 에탄올 섭취, 비 알코올성 지방성 간염, B 형 간염 및 C형 간염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기생충 감염, 신체의 철과 구리 과다, 담관 폐색, 약물 유발성 간손상 등이 있다[2,3]. 간손상은 extracellular matrix(ECM) 단백질, 즉 당단백질, proteoglycans및 콜라겐의 과도한 침착으로 확인 할 수 있다[4,5]. 섬유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연구되는 마커는 콜라겐의 축적이며 특히 섬유성 유형의 콜라겐이다. mRNA로부터 단백질 수준에 이르는 콜라겐 합성의 변화의 결과로, 다른 유형의 콜라겐의 과도한 증가와 III형 콜라겐의 기저 수준으로부터 유의한 증가가 있다[6,7]. 섬유 형성 또는 간 손상이 일어나는 동안, hepatic stellate cells(HSCs)는 복합체의 형질전환 및 활성화를 통해 간 섬유증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과도한 콜라겐 합성 및 기타 손상에 관여한다. 연구에 따르면, HSC는 비타민 A 저장 세포로부터 활성화된 근섬유아세포 유사 세포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분자 변화는 세포골격 단백질인 smooth muscle α-actin (α-SMA)의 출현과 비타민 A의 급격한 감소, 조면 소포체의 발현 증가 등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9,10]. BALB/c 마우스에 간손상 및 간섬유화를 유발하기 위해 잘 알려진 확립된 화학적 헤파톡신인 CCl4를 사용하여 수년간 널리 연구되어 왔다[11]. CCl4는 산화 스트레스, 염증, 세포 사멸과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간을 손상시킨다 [12, 13]. CCl4는 소포체로부터 유래된 cytochrome P450 oxygenase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tri-chloromethyl(CCl3) free radical 또는 trichloroperoxyl radical (CCl3O2)로 전환된다[14]. 새로 형성된 CCl3 free radical은 핵산, 지질 및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여 중요한 세포 과정에 손상을 입히고, 지방 생성 손상을 일으키고, 지방산 변성과 지방증을 유발하며, 소량의 단백질을 전사한다. 게다가, CCl3의 첨가에 의해 형성된 화합물은 DNA 합성의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결국 간암을 일으킨다. CCl3의 산소화에 의해 형성된 CCl3O2 free radical은 지질 과산화를 일으키고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s)의 손상을 일으킨다. 그 결과, 세포막은 투과성이 증가 하여 손상되기 쉬운 세포소기관을 노출시켜 염증반응, 섬유증, 간경변 및 간세포암으로의 진행을 통해 간 손상을 일으킨다[15]. 플라보노이드는 Benzo-𝛾-pyrone 구조를 가진 폴리페놀 대사산물의 일종이며 식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플라보노이드라는 단어는 라틴어 flavus에서 유래되었다. 다양한 유형의 식물에 대해 약 9000개의 플라보노이드가 발견되었다[16]. 플라보노이드는 높은 항산화 능력, 항균성, 항염증성, 항바이러스성, 항암성 및 간보호 특성으로 인해 여러 가지 건강 촉진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17]. 감귤류의 과일에서 추출한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는 다양한 간질환 모델에 대해 강력한 간보호 효과를 보였다[18-20]. 5-O-demethylnobiletin(5-DN)은 감귤류의 과일에서 일반적으로 추출되는 그러한 플라보노이드 중 하나이며, 항염증 효과와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 그러나, 플라보노이드 5-DN의 간 보호 효과는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플라보노이드, 5-O-demethylnobiletin(5-DN)이 CCl4유발 간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5-DN은 콜라겐 축적을 크게 감소시키고 ROS의 하향 조절과 항산화 반응의 촉진에 의해 관찰된 CCl4 중간체로부터 발생하는 산화 스트레스를 중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5-DN은 또한 CCl4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을 방지한 후, autophagy 활성화시킬 수 있었다. 종합하면, 5-DN은 급성 간손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 CCl₄로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사청환의 보호효과

        구자영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청환은 일명 瀉淸圓, 凉肝丸, 凉肝元 및 瀉肝丸으로 다양하게 명명되었으며 1078년에 저술된 전의 錢乙의 小兒藥證直訣에서 간열, 맥홍실을 치하는 처방으로 최초 기재되어 있는데, 약물구성을 보면 當歸, 草龍膽, 川芎, 梔子, 大黃, 羌活 및 防風의 7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肝熱性 痙攣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소개되어 있다. 瀉淸丸은 痙攣 뿐 아니라 간의 實熱로 인한 제증을 치료하므로 간경울화로 인한 목적중통, 번조역노, 요적변비, 소아급경 및 열성경련 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본 연구에서는 CCl₄로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사청환의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및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청환(4.3g/kg/day)을 일주일간 흰쥐에 경구투여한 후 CCl₄(0.45mL/kg/day)를 복강투여 하고 silymarin(30mg/kg/10mL/day)과 대조하였다. 각 군에 대하여 간조직 및 혈액 생화학적 분석과 조직검경을 실시하여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고 항산화 효소계에 의한 방어기전을 확인하였다. 사청환군은 CCl₄로 유발된 간손상에 대해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액 생화학적 분석과 간지질 대사 이상으로 야기된 cholesterol과 triglyceride의 양적 증가를 억제시켰고 간조직의 대사 능력 손상에 대해 cytochrome P450 함량과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항산화 효소계 손상에 대해 과산화지질인 malondialdehyde 함량을 감소시켰고 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glutathione과 항산화 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 glutathione reduct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조직 병리학적 검경에서는 염증세포 침윤 및 괴사가 완화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malondialdehyde가 감소하고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의 활성증가 및 glutathione 대사 효소계의 활성증가로 볼 때 이러한 간보호 작용의 기전은 free radical scavenging 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Effect of polydeoxyribonucleotide on alcoholic liver injury-induced apoptosis in mice

        조영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알코올성 간 손상 (Alcoholic liver injury; ALI)은 과도한 알코올 섭취로 발생하며, 염증이나 세포사멸, 섬유화 등을 유발하여, 결국 간 경변증이나 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간세포사멸은 간기능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알코올성 간손상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주요한 표적이다. Polydeoxyribonucleotide (PDRN)는 연어의 정자에서 추출된 조직재생 활성화 물질로서 피부재생 신호전달체인 이데노신 A2A 수용체를 자극하여 혈관내피세포증식인자의 분비를 유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시켜 상처의 회복을 돕는다. 뿐만 아니라 항 세포사멸에 대한 효과도 나타남에 따라 다양한 질병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 알코올성 간손상을 유발한 생쥐에서 PDRN의 항 세포사멸 변화에 따른 치료적 효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은 9주령 된 수컷 ICR 생쥐 4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집단은 대조군, 알코올성 간 손상 유발군, 알코올성 간 손상 유발 후 PDRN 투여군, 알코올성 간 손상 유발 후 PDRN과 3,7-dimethyl-1-propargylxanthine (DMPX) 투여군 등 총 4집단으로 분류하였다. DMPX는 아데노신 A2A 수용체 길항제로써 PDRN 효능의 아데노신 A2A 수용체 관여를 평가하기 위해 같이 투여하였다. 알코올성 간손상의 유발은 주당 5일씩 일일 일회 50%의 알코올을 경구투여 하였으며, 총 8주간 투여하여 유발하였다. 약물투여는 알코올 투여 4주후부터 주당 3회씩 총 4주간 복강투여 하였다. 약물투여 종료 후 심장천자 방법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 후 혈청에서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농도를 확인하였고, 이후 간 조직에서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통해 조직학적 변화와 점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효소면역분석법을 통해 cyclic adenosine-3′,5′-monophosphate (cAMP)수준을 측정하였고, 웨스턴 블롯팅 방법으로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rotein kinase B (PI3K/Akt)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TUNEL분석과 cleaved caspase-3 면역조직화학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8주간의 알코올 투여는 간 활성효소인 AST와 ALT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학적 평가결과, 간 실질에 손상을 일으켜 문맥주위의 괴사 및 간부종과 더불어 간세포 변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조직학적 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산화된 PI3K/Akt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세포사멸 표지자인 TUNEL 양성세포와 cleaved caspase-3 양성세포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PDRN의 처치는 cAMP의 과발현 (over-expression)을 유도하여 장기간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PI3K/Akt의 인산화를 억제시키고, 더불어 TUNEL과 cleaved caspase-3양성세포를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손상된 간조직의 회복과 더불어 간 활성효소의 감소도 유도하였다. 반면 아데노신 A2A 수용체 관여를 평가하기 위해 병용 투여한 DMPX 처치 집단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PDRN의 치료적 효과는 아데노신 A2A 수용체가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PDRN치료는 장기간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세포사멸을 억제하여 손상된 간 조직의 회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알코올성 간손상에 적용 가능한 치료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한약이 간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가: 한약 관련 간손상에 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고찰

        윤영주 경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2

        서론 한약의 안전성은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쟁점 중의 하나이다. 한방과 양방으로 이원화된 의료체계로 인해, 상용양약과 한약, 민간요법, 건강기능식품 등을 동시에 복용하게 되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에 한약 안전성을 평가하는 일은 더욱 복잡해진다. 그동안 현대의학계와 한의학계에서는 각각 한약 안전성에 관해 연구를 수행해 왔으나, 그 결과는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약인성 간손상과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물질 중의 상용 양약, 한약, 민간요법, 건강기능식품 등의 비율을 추정해 보고, 한약 복용이 간기능검사에 미치는 영향과, 간손상 발생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의 주요한 3개의 데이터베이스(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 의학학술지 종합정보시스템, 국회도서관)와 한국전통지식포탈 등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였다. 종설논문과 개별 증례보고는 제외하고, 분석 내용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 임상연구들을 선택하였다. 문헌을 빠짐없이 포함하기 위해서 초록, 연구보고서, 석박사 논문, 미발표자료도 모두 포함시켰다. 관찰연구에 대한 질 평가 도구를 참조하여 선택된 논문의 질 평가를 시도하였다. 결과 약인성 간손상에 관해서는 21편의 논문이 선택되었다. 21편 중 7편의 연구만이 전향적 연구였고, 학회지에 공식적으로 출판된 것은 7편 뿐이었다. 약인성 간손상 증례 전체에서 상용 양약으로 인한 것은 연구에 따라 15.8%-83.3% 의 비율로 연구 간의 차이가 매우 컸다. 한약을 따로 구분하여 표시한 경우, 한약이 간손상의 원인이 된 비율은 28.9%-44.7%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한약의 정의가 불분명했고, 동시 복용한 약물들이 충분히 조사되지 못한 한계점들이 있었다.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관해서는 40편의 논문이 포함되었다. 40편 중 전향적 연구는 16편이었으며,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5편이었고, 입원한 뇌졸중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한약 관련 간손상을 보고한 것은 8편이었고, 보고된 19 증례는 모두 간기능검사 수치의 상승이 높지 않고, 가벼운 증상을 보였다. 모든 증례에서 양약을 동시 복용하고 있었고, 간손상의 원인 산정이 적절하게 수행되지는 못했다.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들로부터 한약 복용 후의 간손상 발생률이 대략 0.59% - 0.76%로 추정되었다. 한약 복용 후에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와 total bilirubin (TB) 수치의 증가 혹은 감소에 대해서는 논문들의 결과가 상반되어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고찰 및 결론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 물질 중에서 한약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는 연구들이 있었으나, 대부분 원인산정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못했고, 원인물질의 분류가 부정확했다. 반면에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간손상의 발생률이 낮았으나, 연구의 제한점들로 인해 결론을 내리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현대의학계와 한의학계에서 별개로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의 객관성이 높지 못한 한계들 때문에 한약의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약인성 간손상을 예방하고, 한약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한의학계와 현대의학계의 공동연구를 통해 보다 질 높은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Introduction The safety of Korean herbal medicine (KHM : herbal medicine prescribed and made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doctor) i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It is more complicated because of the dualistic medical system, the concomitant use of conventional western drug and KHM, folk medicine and food supplements. Although both the western medical doctors and traditional Korean medical doctors have been studied on the safety of herbs, their results were not concordance with each other.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rug induced liver injury (DILI) and the influence of KHM on liver function in Korea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he proportion of causative materials - conventional western drug, KHM, herbal products, folk medicine and food supplements - and the change of liver function test (LFT) data and the incidence of liver injury after use of KHM. Method Systematic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on 3 main databases in Korea. Screening and selection of the articles and the extraction of data were performed. There were no restrictions on the types of publication including grey literatures. Results Twenty-one articles were included from the studies on the DILI. Only 7 studies were performed prospectively and 6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peer reviewed journals. The proportion of conventional drug associated hepatotoxic injuries in all DILI ranged from 15.8% to 83.3%. The proportion of herbal medicine associated hepatotoxic injuries was from 28.9% to 44.7%. However, the criteria for herbal medicine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concomitant medications were not fully investigated in most studies. Forty articles were included from the studies of the influence of KHM on LFT. Sixteen studies were performed prospectively and 15 studies collected data from outpatients. Only 8 studies reported the occurrence of liver injury after use of KHM. Nineteen cases of liver injury showed mild or no symptom and elevation of LFT was not high. All liver injury patients took conventional western drug concomitantly and causality was not assessed properly. The incidence of liver injury after use of KHM was estimated as 0.59% - 0.76% from all articles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conflicting on the change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total bilirubin (TB) after use of KHM.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re were some studies reporting high proportion of herbal medicine as cause of DILI, but the causality assessments were not performed properly and causative materials were misclassified in the most of included studies. Otherwise KHM resulted in a low rate of liver injury, analyzing the studies of the influence of KHM on LFT. But the results are not powerful enough to make the safety issue clear. These limitations and lacks of objectivity of the studies make the safety issue still ambiguous. More rigorous studies are required for answering accurately this conflicting issues with the cooperative investigation between traditional Korean and western medicine.

      • Protective effect of polydeoxyribonucleotide against CCl4-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mice

        이승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2

        Polydeoxyribonucleotide (PDRN; Placentex®)는 연어의 정자에서 추출 된 조직재생 활성화 물질로서 피부재생 신호전달체인 이데노신 A2A 수용체를 자극하여 혈관내피세포증식인자의 분비를 유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inflammatory cytokine)의 생성을 억제시켜 상처의 회복을 돕는다. 간은 생화학적 활성과 관련하여 체내에 가장 중요한 기관으로, 내인성 및 외인성 물질의 대사 및 해독, 독소의 여과, 담즙생산 및 분비, 단백질합성, 영양분의 항상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기이다. 그러나 간은 해독효소들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유입된 다양한 물질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독성물질이나 대사적 활성화를 통해 독성을 발현하는 물질에 표적이 되기 때문에 기능장애에 원인이 된다. 급성 간 손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갑자기 짧은 시간 내 간세포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임상적 질환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CCl4)로 유발시킨 급성 간 손상 생쥐에서 PDRN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간 활성효소 변화에 따른 치료적 효과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은 6주령 된 수컷 ICR 생쥐 4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집단은 대조군, 급성 간 손상 유발 군, 급성 간 손상 유발 후 2Polydeoxyribonucleotide (PDRN; Placentex®)는 연어의 정자에서 추출 된 조직재생 활성화 물질로서 피부재생 신호전달체인 이데노신 A2A 수용체를 자극하여 혈관내피세포증식인자의 분비를 유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inflammatory cytokine)의 생성을 억제시켜 상처의 회복을 돕는다. 간은 생화학적 활성과 관련하여 체내에 가장 중요한 기관으로, 내인성 및 외인성 물질의 대사 및 해독, 독소의 여과, 담즙생산 및 분비, 단백질합성, 영양분의 항상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기이다. 그러나 간은 해독효소들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유입된 다양한 물질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독성물질이나 대사적 활성화를 통해 독성을 발현하는 물질에 표적이 되기 때문에 기능장애에 원인이 된다. 급성 간 손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갑자기 짧은 시간 내 간세포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임상적 질환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CCl4)로 유발시킨 급성 간 손상 생쥐에서 PDRN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간 활성효소 변화에 따른 치료적 효과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은 6주령 된 수컷 ICR 생쥐 4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집단은 대조군, 급성 간 손상 유발 군, 급성 간 손상 유발 후 2mg/kg PDRN 투여군, 급성 간 손상 유발 후 4 mg/kg PDRN 투여군, 급성 간 손상 유발 후 8 mg/kg PDRN 투여군 등 총 5군으로 분류하였다. 급성 간 손상의 유발은 10 mg/kg 농도의 사염화탄소를 200 μl씩 복강에 2일에 1번씩 총 4회 투여하여 유발시켰으며, PDRN 약물투여는 첫 번째 사염화탄소 투여 후 다음날부터 총 7일간 각각의 농도로 200 μl씩 복강투여 하였다. 7일간의 약물투여 종료 후 심장천자방법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 후 혈청의 AST와 ALT 농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간 조직에서는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였고, 웨스턴 블롯 방법을 통해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eukin-1beta (IL-1β), interferon gamma (IFN-γ)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아데노신 A2A 수용체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사염화탄소의 투여는 간 활성효소인 AST와 ALT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학적 평가결과, 간세포의 체적 증가 및 간 세포질 내 염증세포의 침윤이 나타나 사염화탄소의 투여에 의하여 간 조직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사염화탄소 투여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의 발현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PDRN의 투여는 아데노신 A2A 수용체의 과발현 (overexpression)을 유도하였고, 이러한 변화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성 간 손상 유발에 따른 AST와 ALT의 증가를 억제시켰으며, 조직학적 관찰 결과 간 조직의 퇴화가 억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PDRN의 투여는 급성 간 손상으로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고 AST와 ALT의 증가를 억제하여, 손상된 간 조직의 회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급성 간 손상 시 PDRN의 효과와 세포사멸과의 관련에 대한 연구와 허혈성 간 손상에 대한 PDRN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CCI₄로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온청음과 Curcumin의 보호효과

        승금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2

        온청음(溫淸飮)은 『萬病回春』 에 최초 수록된 처방으로 사물탕과 황련해독탕으로 구성되며, 사물탕으로 血虛를 보하고 血液循環을 촉진시켜 血熱에 의한 瘀血을 제거하며 황련해독탕으로 淸熱 瀉火解毒하여 면역을 증강 시키고 각종 충혈성 질환의 치료와 충혈성 질환으로 인해 체내에 응집된 독소를 제거 시키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Curcumin은 생강과에 속하는 Curcuma longa Linné의 근경에서 얻은 주성분으로 다양한 감염에 효과가 있는 식품 및 의약품 성분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항암효과, 항염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보고되어있다. 특히 free radical을 제거하여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Curcumin의 항산화 능력은 glutathion S-transferase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CCl_(4)로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온청음과 Curcumin의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및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온청음(2.4g/kg/day) 또는 온청음(2.4g/kg/day)과 Curcumin(50mg/kg/day)혼합물(온청음+Curcumin)을 일주일간 흰쥐에 경구투여한 후 CCl_(4)(0.45mL/kg/day)를 복강투여 하였다. 각 군에 대하여 간조직 및 혈액 생화학적 분석과 조직검경을 실시하여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고 항산화 효소계에 의한 방어기전을 확인하였다. 온청음군과 온청음+Curcumin군에서 간독성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었고 특히 온청음+Curcumin군은 온청음군에 비하여 간보호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온청음군과 온청음+Curcumin군은 CCl_(4)로 유발된 간손상에 대해 간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액 생화학적 분석과 간지질대사 이상으로 야기된 cholesterol과 triglyceride의 양적 증가를 억제시켰고 간조직의 대사 능력 손상에 대해 cytochrome P45O 함량과 NADPH-cytochrome P45O reductase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항산화 효소계 손상에 대해 과산화지질인 malondialdehyde 함량을 감소시켰고 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glutathione과 항산화 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 glutathione reduct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조직 병리학적 검경에서는 염증세포 침윤 및 괴사가 완화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malondialdehyde가 감소하고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의 활성증가 및 glutathione 대사 효소계의 활성증가로 볼 때 이러한 간 보호 작용의 기전은 free radical scavenging 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An aqueous extract of oriental herbal composition named Onchengyeum and Curcumin, an antioxidant isolated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reduced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CC1_(4)). Improved liver function was observed by measuring the activitie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lkaline phosphatase(ALP),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ine(CRE), total cholesterol(TCHO), triglyceride(TG),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HO),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HO), total protein(TP), albumin(ALB) and total bilirubin(BIL) in serum. Hepatic parameters monitored were levels of cholesterol(CHO), triglyceride(TG), malondialdehyde(MDA) and content of cytochrome P450(CYP), level of glutathione(GSH), activities of NADPH-CYP reductase,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CAT), glutathione S-transferase(GST), glutathione reductase(GR), glutathione peroxidase(GPx).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Onchengyeum and Curcumin relieved the ballooning degeneration of hepatocytes which had been generated by CC1_(4). The results suggested that hepatoprotective effects of Onchengyeum and Curcumin possibly are due to their promising antioxidative activity.

      • 한약 및 건강식품에 의한 약인성 간손상의 평가에 있어서 두 가지 원인산정 척도의 유용성

        이승환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0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약인성 간손상은 진단을 위한 특이 표지자가 없어 임상의의 주관적 해석에 의해 진단이 내려지고 그 발생의 인과관계도 규명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산정 척도가 개발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 흔한 한약 및 민간요법에 바탕을 둔 건강식품에 의한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 산정에 대한 유용성에 관한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한약 및 건강식품에 의한 약인성 간손상으로 전남대학교병원에 1998년 5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입원한 9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저 간질환이나 다른 간손상의 원인 없이 한약 및 건강식품에 의한 간손상 환자들을 약인성 간손상군(60명), 기저 간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간손상의 다른 원인이 존재하는 환자들을 다른 간질환군(35명)으로 구분하여, 원인산정 척도인 Roussel Uclaf Causality Assessment Method (RUCAM) 척도와 Maria and Victorino (M&V) 척도를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1. 대상환자 95명 중 남자는 38명, 여자는 57명으로 남녀비는 1:1.5로 여자에서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49.3±12.8세였다. 간손상 유형은 간세포형이 78예(82.1%), 담즙정체형 4예(4.2%), 혼합형 간손상 13예(13.7%)이었다. 2. RUCAM 척도를 이용한 점수는 약인성 간손상군에서 7.5±1.3점, 다른 간질환군에서 5.0±1.9점이었으며, M&V 척도를 이용한 경우에는 각각 10.3±3.6점, 5.1±3.4점으로 두 척도 모두 약인성 간손상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약인성 간손상군에서 RUCAM 척도의 등급은 전체가 '가능성 있음' 이상인 반면, M&V 척도의 경우 68.3%만이 '가능성 있음' 이상이었다. 다른 간질환군에서는 '가능성 있음' 이상이 RUCAM 척도 77.1%, M&V 척도 8.6%이었다. 두 군에서 모두 RUCAM 척도의 등급이 M&V 척도 등급보다 의의있게 높았다(p<0.05). 4. RUCAM 척도와 M&V 척도의 일치도는 약인성 간손상군 및 다른 간질환군 모두에서 kappa계수 0.4미만으로 나와 매우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산정에 사용되는 RUCAM 척도와 M&V 척도는 한약 및 건강식품에 의한 간손상의 평가에 있어서는 RUCAM 척도가 보다 더 예민하게 간손상을 반영하였으나 두 척도간의 일치도가 매우 낮았으며, 다른 간질환이 있는 경우에 인과관계 산정에는 한계가 있어 한약 및 건강식품 등을 포함하는 약인성 간손상 평가에 유용한 새로운 척도개발이 필요하다. There are no specific diagnostic markers for drug-induced acute liver injury. It is frequently diagnosed by subjective judgement of clinicians and the causal-relationship is difficult to demonstrate. While causality assessment methods (RUCAM scale and M&V scale) were developed, the availability of these scales in acute liver injury caused by herbal medicines or health tonics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the availability of RUCAM scale and M&V scale was evaluated in 95 patients of acute liver injury who visite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xty patients had acute liver injury by herbal medicines or health tonics without other liver disease. Of these 39(65%) Patients was female. Forty nine of 60 patients had hepatocellular injury The score of RUCAM and M&V scale was 7.5±1.3 and 10.4±3.6, repectively. All the patients were included in 'definte', 'probable', and 'possible' grade by RUCAM scale, while only 68.3% of patient were in 'probable' and 'possible' grade by M&V scale. The concordance rate of two scales was 6.8%. Among 95 patients of acute liver injury, 35 patients had another possible cause of hepatic injury. Of these 18(51.4%) patients was female. Twenty nine of 35 patients had hepatocellular liver injury. The score of RUCAM and M&V scale was 5.0±1.9 and 5.1 ±3.4, repectively. With RUCAM scale, 77.1% of patients were 'probable', and 'possible' grade, while only 8.6% were 'possible' grade by M&V scale. The concordance rate of two scales was 2.9% and kappa concordance index in both group was so low. The RUCAM and M&V scale, most commonly used methods in causality assessment in drug-induced liver injury, showed low concordance rate in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drug-induced liver injury by herbal medicines or health tonics. RUCAM scale showed higher sensitivity in causality assessment than M&V scale, but the discriminating power between drug-induced liver injury by herbal medicines or health tonics and another possible causes of livery injury was po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general method that can be used in patients with acute hepatic injury by herbal medicines or health tonics.

      • 肝損傷에 대한 荊防地黃湯 및 獨活地黃湯의 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한수진 우석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요약 肝損傷에 대한 荊防地黃湯 및 獨活地黃湯의 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한수진 우석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지도교수 : 송정모 荊防地黃湯 및 獨活地黃湯의 간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CCl4 및 d-galactosamine에 의한 급성 간독성시 AST 및 ALT치의 변화, α-naphthylisothiocyanate에 의한 담즙울체시 혈중 bilirubin양의 변화, ethyl alcohol 유발성 혈중 triglyceride 및 요소질소양 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JT 및 DJT는 CCl4에 의해 증가된 AST 및 ALT치를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D-GalN에 의해 증가된 AST 및 ALT치를 감소시켰으며 ANIT에 의해 유발된 담즙울체시 증가된 혈중 total bilirubin양을 감소시켰다. 또한 HJT 및 DJT는 ethyl alcohol에 의해 증가된 혈중 triglyceride를 감소시켰고 ethyl alcohol에 의해 증가된 혈중 urea nitrogen을 감소시켰다. 2.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荊防地黃湯 및 獨活地黃湯은 D-GalN에 의한 급성 간손상 및 담즙울체시 간손상, alcohol성 간 손상을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荊防地黃湯 작용이 獨活地黃湯의 작용 보다 약간 강력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Hyungbangjihwang-tang and Dokhwaljihwang-tang on the Liver Injury in Rats and Mice Han, su-jin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Song, Jeong-Mo O.M.D., Ph.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ungbangjihwang-tang(HJT) and Dokhwaljihwang-tang(DJT) on the liver injury in rats and mice. Methods The Effect of HJT and DJT on the liver injury in rats and mice induced by CCl4 were measured by AST and ALT value. The Effect of HJT and DJT on the liver injury in rats induced by D-galactosamine were measured by AST and ALT value. The Effect of HJT and DJT on the liver injury in rats induced α-naphthylisothiocyanate were measured by total bilirubin. The Effect of HJT and DJT on the liver injury in mice induced ethyl alcohol were measured by serum triglyceride level. The Effect of HJT and DJT on the liver injury in mice induced ethyl alcohol were measured by serum urea nitrogen level. Results AST and ALT value in CCl4-induced liver injury in rats were not significantly reduced in single administration of HJT and DJT group compared to that of CCl4-treated group. AST and ALT value in CCl4-induced liver injury in mice were not significantly reduced in repeated-administration of HJT and DJT group compared to that of CCl4-treated group. AST and ALT value in d-galactosamine-induced liver injury in rats were reduced in HJT and DJT group compared to that of d-galactosamine-treated group. Total bilirubin in ANIT-induced cholestasis in rat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HJT and DJT group compared to that of ANIT-treated group. Serum triglyceride level in ethyl alcohol-administered mic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HJT and DJT group compared to that of EtOH-treated group. Serum urea nitrogen level in ethyl alcohol-administered mic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HJT and DJT group compared to that of EtOH-treated group. Conclusions Hyungbangjihwang-tang and Dokhwaljihwang-tang has the recovering effects on the d-galactosamine-induced liver injury and ANIT-induced cholestasis, ethyl alcohol-induced liver injury. So it is required to study about the mechanism of these herbs by experiment. Key Word : Hyungbangjihwang-tang, Dokhwaljihwang-tang, Liver Injury, CCl4, D-galactosamine, α-naphthylisothiocyanate, Ethyl alcohol

      • 간경화 환자에서 표준단기 항결핵치료에 의한 간독성의 고찰

        이호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문초록) 배경: 만성 간질환은 약제 유발성 간손상의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지만, 간경화가 있는 환자에서 결핵약제 투약 중 발생하는 약제 유발성 간손상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간경화 환자에서 isoniazid, rifampin, ethambutol의 3제 또는 pyrazinamide를 포함하는 4제 표준 단기 요법을 통한 결핵 치료가 약제 유발성 간손상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새로이 활동성 결핵으로 진단되어 isoniazid, rifampin, ethambutol의 3제 또는 pyrazinamide를 포함하는 4제 표준 단기 요법으로 치료받은 50명의 간경화 환자들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기저 간질환이 없는 147명의 활동성 결핵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정 하였다. 일시적 아미노전달효소 증가는 간 아미노전달효소가 정상 상한치의 세배 이하로 증가되고(120 IU/L) 계속되는 항결핵제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저절로 정상화 되는 경우로 정의되며 약제 유발성 간손상은 간 아미노전달효소 ≥ 120 IU/L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간경화의 원인은 알코올성 간경화가 37명(74%), B형 간염이 10명(20%), 그리고 C형 간염이 3명(6%)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간경화 환자의 Child-Pugh 점수 평균은 7.0 ± 1.2였고 Child’s A와 B의 분류는 각각 19명(38%)과 31명(62%)이었다. Pyrazinamide를 포함하는 요법은 대조군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50% vs. 93%, P < 0.001). 아미노전달효소의 일시적 상승을 포함한 간 효소의 상승은 간경화 환자에서 더 자주 관찰되었다(72% vs. 46%, P = 0.002). 약제 유발성 간손상 또한 간경화 환자에서 더 자주 관찰되었다(12% vs. 3%, P = 0.033). 약제 유발성 간손상이 발생한 6명의 간경화 환자 중 5명에서 isoniazid와 rifampin이 성공적으로 재도입되었고 치료가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 따르면 간경화가 있는 결핵 환자는 표준단기요법의 항결핵치료 기간 동안 더 많은 간독성이 발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