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가구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정자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가구시장의 흐름의 흐름에 기초하여 모든 시스템을 국내에서 생산하기보다는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은 국내에서 디자인하고 제작은 재료와 인건비가 싼 나라에 하도급을 주는 방향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국내 가구산업시장을 부엌가구, 주거인테리어, 사무용 가구로 나누어 각각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고, 이 분석을 기초로 내, 외부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내수시장의 변화와 세계시장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패턴변화와 세계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전통가구와 현대적인 디자인과 수납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가구산업의 커다란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원자재 수급의 불안 요소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의 수종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 국내 수종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국내 디자인의 모방 방식에서 벗어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현장개발 증심의 디자인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는 학문적, 실무적 측면에서 국내 가구의 현황을 파악하여 국내 가구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현재 침체기에 있는 국내 시장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국외적으로는 우리 고유의 가구를 생산하여 세계시장에서 다른 가구 선진국들과 겨룰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studicd the situations of Korean furniture market and presented a few suggestions to enlarge this market and make it more profitable. The details of this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more deslrable that furniture design is carried out within this country, and furniture manufacturing is done in other countries where material prices and wages are cheap. Second, the furniture market in this country is made up with kitchen furniture, living interior furniture and office furni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these furniture markets respectively, and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should be modified in design and shelf space in order to penetrate the furniture market overseas. Third, one of the serious problems in Korean furniture market is to equalize the supply and demand of raw materlal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industry should matte more effort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tilifing Korean wood. Additionally, the industry should develop more original design and not imitate the style of other brands.

      • 한국 맞춤가구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김상돈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Swedish furniture company IKEA (IKEA) is December 18, 2014, was advanced to the Korean market. It established the largest store of its stores in Gyeonggi Gwangmyeong. Korean furniture industry has repulsion foreign enterprises is saying to undermine the furniture market.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elcomed the expansion of IKEA's expectations would be able to purchase furniture at an affordable price. The biggest reason that consumers excited about IKEA is that low prices. IKEA side exceeded the cumulative visitor numbers 2.2 million people in the open 3 months open only on weekdays day basis revenue is 400 million won, weekends and public holidays based on days sales reaches 10 billion, annual revenues had predicted that 200 billion level. The biggest reason for that is because consumers are enthusiastic about Ikea prices. IKEA has lowered the price by mere design, DIY how a function center. IKEA low prices of household consumption has changed the culture of domestic consumers. This trend is consistent in one-person households Period. In addition to IKEA, Korea custom furniture industry has become competitive with imported furniture market inevitably open, Competitive products that meet the advanced countries also in overseas markets is required. But the reality of Korea custom furniture industry is insufficient as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small independent design and development capability industry, The lack designers with expertise in each field. And many companies must compet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new products and improve product quality. However, due to the price of product development by relying only on one low-cost competition and imitation of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consumer products have lost competitiveness away. This externally to discredit the image of Korea custom furniture industry and has also appeared as a factor in the decrease in sales revenue. But low-cost competition among peers has been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across the industry, including companies in bankruptcy and changes in the industr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xpertise of academic study and long practice. By analyzing the status of custom furniture industry derives the problem was trying to derive improve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variety of business and government, and academia. Accompanying support measures were also presented. Please custom furniture industry and academia through research is done actively. At the same time we expect and hope further development of custom furniture industry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가구산업의 전략적 속성평가에 관한 연구

        안철용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가구산업은 국민소득 증가와 꾸준한 경제성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으며 2015년 가구산업의 총 매출이 19조원을 넘어서고 있다. 가구산업의 성장은 국내기업의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과 글로벌 기업의 국내시장 진출을 통해 시장을 확장하려는 국내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의 경쟁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 이케아의 가구시장 진출은 가구에 대한 고객의 개념을 바꾸는데 기여하였다. 가구산업의 성장을 통해 자금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구시장에 경쟁하고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차별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이것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 가구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속성평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영세 중소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획득하기 위한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전략을 찾고 가구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가구시장의 전략우위요건의 식별은 매우 중요하다. Hill은 마케팅과 제조전략을 연결하는 모형과 전략우위요건(order winner)과 최소요건(order qualifier)을 개발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발절차에서 Hill은 상품에 대한 세분시장과 일정 기간 동안 전략우위요건과 최소요건을 식별한다고 하였으나 식별 방법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평가 성격이 강해 실증분석과 적용에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속성평가 방법들과 달리 가구산업의 전략적 평가속성에 대하여 ISM, AHP분석을 통해 평가속성의 우선순위와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가구산업의 실무적 활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국내 가구산업의 전략적 평가속성을 도출하고, 고객을 대상으로 전략적 평가속성에 대하여 고객들이 가구를 구매하는 속성의 우선순위를 식별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방법으로 ISM분석기법과 AHP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가구산업의 전략적 속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맞춤화 생산방식의 대표적 기업인 한샘은 전반적인 품질, 합리적인 가격, 낮은 가격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디자인, A/S, 브랜드 이미지를 고객들에게 차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한 중간적 역할로 제품의 다양성과 배송 신뢰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 생산방식의 대표적인 기업인 이케아는 합리적인 가격, 제품의 다양성, 낮은 가격의 전략적 속성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전반적인 품질, 브랜드 이미지를 고객들에게 차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한 중간적 역할로 디자인, A/S, 배송 신뢰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시장을 세분화하고 특정하여 고객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학계와 가구산업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해 가구산업특성을 반영하는 평가요인을 개발하여 분석을 하면 산업발전과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고객, 전문가, 기업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상호 평가한다면 보다 풍성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growth of national income and the economy has propelled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Korean furniture industry, and its market size surpassed 19 trillion won as of 2015. This has led to increasing competition between Korean firms strengthening their presence in global markets and global companies operating in Korea. Ikea, a global giant, has been altering the concept of furniture since it expanded into the furniture industry. Furthermore, a rapidly widening gap between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 and conglomerates with capital and technical skills accumulated through the constant growth of the industry, underscores the need to study the practical and strategic attribute assessment of the industry. It is vital for SMEs to seek strategies to sustain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Meanwhile, the furniture industry must identify the “order winner” for long-term growth. Hill proposed a model linking marketing and manufacturing strategies and a process for devising order winners and order qualifiers, which pinpoints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product categories, order winners, and order qualifiers. However, as identification tools often serve the purpose of evaluation, there are clear limitations in empirical analysis and further application. This study conducts ISM and AHP analysis rather than utilizing traditional tools to examine the prioritization of evaluation attributes and the transition process for the practical use of an assessment. This study identifies strategic assessment attributes of the Korean furniture industr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group interviews, and ranks purchasing patterns of customers for each attribute. The analysis tools include ISM and AHP for industrial assessment. The findings reveal that Hanssem, a leading custom furniture manufacturer in Korea, differentiates design, after-sales service, and brand image, guaranteeing overall quality and reasonable and low prices, with product diversity and delivery reliability acting as intermediaries. On the other hand, IKEA, which is well known for its standardization approach in the market, boasts strategic attributes of reasonable and low prices and product diversity, while differentiating quality and brand image. Design, after-sales service, and delivery reliability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Focusing on the customers of specific segmented markets, a further study will contribute to industrial and research development through analyzing assessment factors that reflect the unique nature of the furniture industry with the participation of academia and industry experts. In addition, mutual evaluation among customers, experts, and company officials is expected to result in better research outcomes.

      • 가구산업의 e-비지니스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이운성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들어 가장 커다란 환경의 변화 중 하나인 인터넷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서부터 내부 업무 처리 절차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 걸쳐 모든 것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터넷에 의하여 세계가 하나의 시장이 되고 있으며, 각 기업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 행하여지는 비즈니스 형태를 e-비지니스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으며, 빠른 환경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e-비지니스 모델이 계속 새로 등장하고 있다. 시장의 성숙에 따라 일부 사업 모델은 수명을 다하고 새로운 모델에 의해 대체되거나, 조금씩 변형된 형태로 발전하거나 여러 유형의 모델이 합해져 다양한 새로운 모델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것이다. 어떤 새로운 인터넷 사업모델이 등장할 지는 관심의 대상이지만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다양성과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하여 논란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세계적인 변화의 시점에서, 가구 산업은 1960년대 우리나라 공업 발전의 축으로 국가 경제에 기여하여 왔었다. 그러나 90년대 초반부터 경제적 구조 조정의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현재는 타 산업에 비하여 여러 가지로 열악한 여건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시점에서 e-비지니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산업구조의 개편은 전환기에 처해 있는 가구 산업에 새로운 위기이자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구 산업 전반에 걸쳐 e-비지니스에 대한 본격적인 대응 체계를 갖추고 있는 곳은 아직 없으며 부분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인프라를 준비하고 있는 곳도 자사 환경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곳은 없으며, 이는 우리나라 기업의 5.2%만이 자사의 e-비지니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 실정에 비교하여도 부족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산업 구조 조정 과정에서 도전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는 가구 산업의 e-비지니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전환기의 가구 산업이 e-비지니스를 통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내실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e-비지니스 모델은 개별 기업이 처해 있는 환경과 특성, 경쟁력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조 기업의 경우 고객에게 제품 판매를 다루는 SELL SIDE와 주로 원자재 구매의 측면을 다루는 BUY SIDE, 그리고 이 양 SIDE를 통합하면서 내부 체계를 인터넷 상에서 이행하도록 하는 IN SIDE로 구분하여 모델을 연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가구 산업의 경우에는 SELL SIDE는 소비자의 제품 구매 형태가 브랜드 이미지보다는 품질과 가격을 중요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상당수의 가구는 건설 업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점을 간과하여서는 안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한 회사의 독자적인 고객 접점의 구축보다는 고객 접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e-비지니스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에는 가구 역시 고객 취향에 따라 다양한 계층의 고객을 대상으로 차별화 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한다. BUY SIDE에서는 해외로부터 원목의 수입 비중이 높으며 전반적으로 부품의 표준화가 미흡한 상태이다. 여기에 내부 업무처리 역시 담당자의 경험에 의존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상당히 취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BUY SIDE는 구매 협상력을 강화하고, 내부 업무 절차를 합리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모델을 설계하도록 한다. IN SIDE는 내부의 업무 절차를 인터넷 상에서 통합 이행하도록 하여야 하고 SELL SIDE와 BUY SIDE를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IN SIDE는 직접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e-비지니스 모델보다는 기업 내부의 업무 체계를 합리화하여 BUY SIDE와 SELL SIDE를 통한 외부 접점과의 원활한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의 업무 프로세스를 인터넷 기반의 환경 하에서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영업/생산/조달 업무를 통합함으로써, 판매계획의 변동에 따른 제반 관리 행위를 체계적으로 처리하여, 최적 효율을 가진 관리 절차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게된다. 제시된 각 SIDE의 모델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전반적으로 업무 절차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로 하게된다. 이는 e-비지니스 모델의 결정 만큼이나 어려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적합한 정보시스템의 지원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전략적인 비즈니스 방향에 따라 각 영역에 적합한 솔루션을 선택하여 실행에 옮겨야한다. 이 과정에서는 내부적으로 커다란 반발에 부딪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변화관리 방안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성공의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e-비지니스 모델은 가구 산업의 일반적인 특성에 의하여 상위 수준의 e-비지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실재 적용을 위하여는 보다 세밀한 단위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 모델의 정의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개별 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과 특성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향후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필요로 할 것이다. The biggest change in the 21st century, internet has brought changed in all business environments including the enterprise business model and the internal business processing. Internet allowed the world to become one market, and companies require the business model with which they can exactly predict and promptly cope with management environment. Type of business transacted in internet is referred to as e-business and various types of e-business models have emerged in line with rapid changes in environment. Some business models have disappeared and replaced by new model depending on the maturity of market, or reborn as new model as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model. It attracts the attentions what kind of internet business model will emerge, but the diversity and changes of internet business model will continue to be the target of argument in the future too. At this time when the whole world faces the changes, it is true that furniture industry has gone through the economic restructuring since the early 1980's, and now suffers from unfavorable conditions compared with other industries, even though it contributed much to the national economy as one axis of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in 1960's. As such, the reorganiz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focusing on e-business poses a threat to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the chances of challenge to furniture industry at this turning point. But there has been no furniture company that has been equipped with systems to actively cope with the e-business throughout the furniture industry, and some companies confined themselves to constructing partial infrastructure. Those companies that are preparing the infrastructure have no business model suitable to their environment. This is fairly unfavorable even in comparison with companies in overall industries among which only 5.2% possesses their own e-business model.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of reinforcing the competitive edge and substance of company through e-business in furniture industry by presenting the e-business model of furniture industry which faces the opportunity of challenge in the course of industrial restructuring. e-business model can take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feature and competitive edge that each company faces. For example, it is general in the fields of manufacturing company to study the model by dividing into SELL SIDE for sales to the customers, and BUY SIDE for purchase of raw materials, integrating both sides, and dividing the internal system into IN SIDE for implementation in the internet. In furniture industry, SELL SIDE has the feature of giving a priority in the quality and price rather than brand image in the purchase type of consumer. Especially, it shall not be overlooked that majority of furniture is delivered to the consumer indirectly through the construction company. As such, e-business should be promoted in a way to expand the point of contact for consumers, rather than to construct its own point of contact for consumers. In addition, inside infrastructure should be constructed to carry out differentiated marketing, targeting on the customers in various classes depending on their tastes in the future. The percentage of importation of raw lumber is high and the standardization was insufficient in BUY SIDE. To make matters worse, the internal business processing depends much on the experience of the person in charge. Therefore, a model in BUY SIDE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o reinforce the purchase negotiation power and to rationalize the in-house business processing. The internal business processing should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in internet and should effectively integrate SELL SIDE and BUY SIDE for IN SIDE. That is, IN SIDE aims to support smooth communication with external point of contacts through BUY SIDE and SELL SIDES, by rationalizing the internal business system, rather than an e-business model for creation of direct profit. In addition, internal business process should be implemented in an internet-based environment. By integrating the business/production/procurement business, all management actions depending on the change in selling plan should be systematized to have the optimum efficiency. It requires efforts to substantially improve the overall business process in order to implement model for each SIDE proposed here. This can be regarded as difficult as the decision of e-business model. This requires the support of appropriate information system, and should be implemented by selecting solutions suitable for each sector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strategic business. Since there will be often considerable amount of internal resistance in this cours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success is to prepare the appropriate plan of managing these changes. This thesis presented an e-business model of high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feature of furniture industr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fine the business model up to the detailed units for actual application. As mentioned earlier, different result can be introduced depending on the feature and competitive edge of each company and this should be further explored in the future.

      • 국내 가구산업의 공급채널 특성과 공동물류 추진방안에 대한 연구

        원종훈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Concer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the 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status of the domestic furniture industry and the status quo of the logistics, and also discussed the concepts of joint logistics, status, success factors and obstacle factors. The analysis of the supply channel of the Korean furniture industry is divided into raw material procurement, import finished product, and customers.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e joint logistics strategies and major examples of success on raw material procurement, finished product import logistics, domestic cargo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work, respectively. As of 2014, it is estimated that the domestic furniture industry will be about 13.7 trillion won, and that logistics costs will amount to about 1 trillion won. The study want logistics industry to refrain from selling the price of intensive competition, and to explore innovative joint logistics options to create a new logistics market.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furniture industry will be better equipped for robust joint logistics and structural improvements to be cost competitive, job creative and export industrialized.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국내 가구산업의 개념과 현황, 가구산업 물류시장 현황 등에 대해 살펴보았고, 공동물류 개념 및 현황, 성공요인과 장애요인 등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았다. 한국 가구산업의 공급채널 특성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을 원자재 조달, 완제품의 외주 생산 조달, 수요/판매처로 나누어 도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가구산업의 주요 물류영역별 공동물류 추진방안 및 주요 성공 사례에 대해서 원자재 조달물류, 완제품 수입물류, 국내 일반운송(판매물류), 설치시공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2014년 기준으로 국내 가구산업은 약 13.7조원 규모이며, 이 중 물류비는 약 1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물류 업계는 단가 위주의 소모적 경쟁을 자제하고, 혁신적인 공동물류 방안을 모색하여 새로운 물류시장을 만들어 가는 기회로 삼기를 바라며, 가구 업계는 산업 내에서 활발한 공동 물류와 구조 개선이 이루어져 원가 경쟁력 제고 및 고용창출, 수출 산업화 육성 등 산업의 큰 발전을 기원한다.

      • 우리나라 가구산업의 현황과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이승민 숙명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가구시장은 이질적이고 광범위한 소비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비자의 선호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더욱 다양화 세분화되고 있다. 따라서 제품 및 마케팅 활동의 개선을 통해 소비자의 용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기업은 시장을 몇 개의 동질적인 시장으로 나눈 뒤 특정계층을 표적 집단으로 설정하고 표적집단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세분화 전략이 필요하다. 시장세분화의 중요한 초점은 3C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은 기업의 자원, 고객의 변화 그리고 경쟁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은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수익을 극대화시키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기업의 자원에는 공장과 설비, 그 기업이 이미 개발해 놓은 유통 경로, 공급업자들과의 우호적인 관계, 그리고 그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지고 있는 고객 등이 포함된다. 기존 자원의 사용을 개선시켜서 매출이 증가하는 것은 시장 거래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동서양에서 가구의 발생은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서양의 가구는 고대 이집트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로 문화, 종교, 정치의 변천 과정에 따라 각기 다른 시대 장소에서 형성되고 발달하였다. 한편 동양의 가구는 주로 동북아시아 지역의 중국문화권을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서양가구 발달과는 대조적으로 거의 고정된 문화 및 지리적 장소에서 전통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가구제품은 일상생활의 필수성 뿐 아니라 장식성 사치성을 가지므로 그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품질과 가격면에서도 크게 다르다. 이런 이유로 가구수요는 극히 세분화 되어 있으며 다품종 소량생산적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기 위해서는 몇가지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가구 소비자는 구매결정을 함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품질에 우선을 두고있으며, 가격과 디자인도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디자인이 구매의사 결정기준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은 가구소비자의 구매결정기준에는 제품의 내적 속성뿐만 아니라 외형적인 요소도 중요한 고려요인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가구업체들이 재료의 전량을 수입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때 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 업계로서는 세계적인 보호무역의 경향에 대처해야 하는 과제를 두고 있다. 원목을 대체할 신소재의 출현이 없다면 업계는 원자재 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향후 우리나라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한 토대로 제조업부문의 성장이 요구된다. 내수시장 제한성을 고려할 때 수출증가가 경제성장의 관건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현재 수출은 소품종 대량생산 품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품목의 수출감소를 국내수요로 대체하는데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가구수출에 있어 다품종소량생산이 수출에 유리한 전략적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판매가격은 일정한 수준이하의 제품생산에 치중하게 되므로 품질고급화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가구류에 대해서 특별소비세를 폐지하여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품질고급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내수를 진작시켜야 할 것으로 본다. 그 동안 가구업체는 특별소비세의 과세대상에서 제외시킬 것을 정부에 수차 건의하여 왔다. 본 연구는 가구제품의 특성과 시장특성에 기반하여 가구산업의 시장세분화 문제를 중점 고찰하면서 가구사업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문헌과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가구소비특성과 세분된 가구시장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가구산업의 현황과 마케팅 활동의 실태 및 시장세분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가구제조업계가 당면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세분화된 소비자집단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효율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개발능력을 제고하고 생산을 전문화하여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둘째, 업계간 과당 출혈 경쟁을 지양하며 장기적 안목에서 협력 및 분업화를 조성한다. 셋째,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체제를 마련하고, 연구개발에 대한 업계 및 정부의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추구이점, 선호, 만족도 등을 파악하여 마케팅 활동에 반영한다. 다섯째, 성숙기에 들어선 가구시장을 고객, 지역, 제품별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그 소비특성 및 시장성을 파악하여 그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의 모색이 필요하다. Nowdays, furniture market is composed of consumers who are distinctive and for-reaching, and the change of preference and life style is becoming more various and segmented. So it is needed to satisfy consumer's needs through improvement at the side of product and marketing activities. Therefore a corporate should devide market into a few homogeneous market, so that set up some levels target group, and have 'segmentation strategy' to satisfy that group's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ket segmentation problem of furniture industry on the ground of properties of product as furniture and market, to analyse documents and data about the present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furniture industry, and investigate property of furniture consumption and fractionated furniture market in our country. Through the consideration concerning the real condition of furniture industry, actual state of marketing activity, and market segmentation analysed in this study, the effective progra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at furniture manufacturers have and to satisfy segmented consumer group is as follows. First, the effectiveness of resources allocation should be raised by encouraging R&D capacity and specializing production. Second, excessive, cutthroat competition within the industry should be sublated, cooperation and specialization be established in long-term perspectives. Third, the system cultivating expert manpower should be arranged and it is required for the industry and government to support research and development. Forth, changing consumer's purchase behavior, pursuit advantages, degree of satisfaction should be caught of, which be reflected in marketing activities. Fifth, furniture market that have already made its way into Maturity Period is needed to segment market by customer, by region, and by product,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and market should be understood, and marketing stategy facing them property is necessary. Accordingly, not only internal market but also export market is prospected to be vital if the industry recovers public trust and makes effort to establish sound furniture culture, overcoming difficulties and matters that the industry is confrontating and to give impetus to R&D.

      • 우리나라 家具産業의 現況과 國際競爭力 强化方案에 관한 硏究 : 木製家具를 中心으로

        이경재 慶星大學校 貿易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Furniture Industry of our country have matured as an domestic industry which occupies more than 90% in its demand protage owing to the exports inactivity followed by the low level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This domestic demands increased sluggishly by the increment of population and economic incomes, so the temporary uprise of productive faculty has caused to the surplus of supply. As the industry concerned wooden materials including plywood inclined to be inactive since the middle of 1970's, many enterprises, even ones concerned construction, have taken their share competitively in furniture industry and so surplus phenomena of supply has continued for years. Viewing the supply structure of wooden furniture industry, large interprises concerned which occupy only 1.2% in the whole enterprises concerned in Korea supply 57% in the whole production of its industry and small and medium ones which occupy 93.4% in its industry and employ less than 50 employees on the average supply only 19.9% of the whole production amount of the industry. And so the relative importance on the production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relatively low. On the contrary, the operation protage of the large enterprises concerned is only 50% and so they have kept unused equipments excessively. In consequence of this, there occours superannuations of the facilities owing to the inactivity of new investment. When viewing on the managment situation, great part of the furniture manufacturing enterprises except several large ones are being induced to inclined to deficit management, and so they are obliged to practise bargain sale as a possible measure of sale improvement. When observed from the expenses of the enterprises concerned on the side of financial structure, average expenses is definite regardless of prductive scale. That is, technical efficiency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ises is not inferior to the level of large ones, and viewed from the reaction to the price changes of each productive elements, reductive use of raw materials can't be operated even in the stage of price-rise. So it will be a main measure of raising the efficiency of all the enterprises concerned to foste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oncerned which are relatively tragile in their active area in the productive structure of furniture industry. And also it will become a pending theme to stabilize the cost of raw materials which influence directly to the rise of productive cost In this circumstances, it is urgent problem to develop changeover materials such as P.B(Particle Board) or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for which main lumber producing countries of the world are strengthening their export restriction year by year. The nations which are in competitive relation with our country are Formosa, Japan and Hongkong etc. Now Fomosa exports $ 1.2billion amount of furnitures per year, ahead of our country. So we must focus our efforts to the development of the Junior middle class furnitures by the export diversification policy and by fostering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ystem, prepared by the incessant security of raw materials concerned and the improvement of modern techniques. In the promotion of exports of furniture goods, the exports which are processed on temporary symtomatic measure do not last in their durability. So they must be strenghtened in its competitive power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onstitution of its industry. That is, in its short-term measures, we can comment on the reduction of special consumption tax and the lowering of customs duty, and in its medium and long-term measures, we must grope positively for the training of skilled man-power, practice of self-research study, and resolute induction to occupational transference of the fragile enterprises which reached at the uppermost limit, and at the same must endeavour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ductive complexes and for the advancement to overseas on the statle supply of raw materials concerned.

      • 한국 근대 가구에 관한 연구 : 1880~1960년 의류수납가구를 중심으로

        강혜영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87

        가능성과 상징성이라는 원초적인 개념을 넘어 지역의 고유한 풍토와 정신, 생활 의식 등의 문화적 정체성과 심미성을 함께 내포하고 있는 가구는 단순한 가물이기에 앞서 각 지역의 문화와 한 시대의 특징을 나타내는 총체적인 문화적 산물로서 존재한다. 우리나라 역시 그러한 한민족 고유의 유구한 가구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통으로서 현대에 계승, 발전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가구사(史)연구를 보면 대체로 조선시대와 현대에 집중되어 있으며 개항 이후부터 일제 강점기를 지나 근대에 이르는 부분의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과 남아 있는 자료의 미흡, 그리고 조악한 기법과 재료들로 인하여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근대 가구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서 오늘날의 주거공간과 가구의 활용으로 이행하게 된 방향성을 연구하고 전통가구와 현대 가구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현대 가구 문화의 저변에 확산 될 수 있는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 근대 가구의 시기적 범위를 개항과 함께 1880년대부터 1960년까지로 설정하고 이 시기의 가구 중에서도 비교적 현존하는 자료가 많고 활발한 제작 및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는 의류수납가구를 중심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의류수납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의 근대 가구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제2장에서는 시대적 배경과 주거 생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조선 말기에 이르러 일본에 의해 강제적으로 개항을 하게 되었으나 이를 통하여 서양의 문물이 활발하게 유입됨으로서 상류층을 중심으로 주거 생활에 있어서도 서구식 주거문화가 유입되었으며 전통적인 주거형태는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로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한일 절충식의 주거형태도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산업의 발달로 인한 경제력 있는 중인계층의 등장과 국민 의식의 성장으로 의식주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광복과 더불어 더욱 발전할 조짐을 보였으나 전쟁으로 인하여 단절되고 만다. 그러나 그러한 상황에서도 주한 미군의 영향으로 미국식 입식 생활환경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제3장에서는 근대 가구 산업의 전개에 관하여 고찰함으로서 근대 가구의 실제적인 수요와 활용에 의한 거시적인 지표를 제공하였다. 개항이후 서구 문물의 유입과 함께 외래가구의 수입이 이루어져 왕실과 상류층을 중심으로 서양가구들이 사용되었으며 일제시대에 들어와서는 일본으로부터 가구제작자가 들어와 국내에서도 외래가구의 제작 및 생산이 이루어졌다. 전통적인 가구 산업 역시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는데 특히 장인이 생산과 판매의 역할을 모두 담당하는 형태가 되었다. 또한 1930년대에 들어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가구공장들의 일부가 외래가구의 생산을 병행해 생산함으로서 품목의 다변화와 규모확대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다. 광복 후에는 비교적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합판가구와 금속가구 공업이 등장함으로서 현대 산업가구의 태동이 보여지기 시작하였다. 제4장에서는 의류수납가구의 변천과정을 개화기, 일제 강점기, 해방기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서 근대 의류수납가구의 변화 추이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개화기에는 전통적인 장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조선시대에 비해 단순해지고 투박해진 장식이 과다하게 부착되어 화려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나전칠기의 대중화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화려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와서는 유리 및 거울의 사용이 증가됨으로서 가구의 형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양복의 확산으로 인하여 양복장이 등장하였다. 이 외에도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의류수납을 강조한 여러 기능들의 복합이 이루어졌고 일본 가구의 영향에 의한 서랍의 도입 및 비대칭적 비례가 자주 보여진다. 해방기에는 합판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가구의 규모가 커지고 점차 서구식 형태의 양복장들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금속가구의 사용이 증가하였는데 함석판을 이용한 트렁크형 수납장들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제5장에서는 근대 의류수납가구의 조형적인 특징을 기능 및 형태, 구조 및 재료, 그리고 장식적인 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가구와 근대 의류수납가구의 상관성 및 현대적 의의를 재조명하였다. 근대의류수납가구는 조선말기에 서양문물이 흘러 들어와 어느 정도의 서양식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이 일부 가구양식에 영향을 미쳤다 하더라도 대다수의 우리나라 사람들은 전통적인 사고와 인습에 깊숙이 뿌리박혀 젖어있었기 때문에 가구양식 역시 별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전통의류수납가구가 가장 선호되었다. 일제시대에도 역시 어느 정도 일본의 영향을 받긴 하였지만 전체적인 가구양식은 전통양식을 답습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말경부터는 양복장의 출현과 함께 의류수납가구에 눈에 띄는 변화가 일기 시작하였다. 이는 보다 의복수장의 기능을 합리적이고 기능적으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는데 역시 그 변화의 바탕에는 전통적인 의류수납가구의 양식이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근대 의류수납용 가구는 개항에서 해방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의 전통가구에 시초를 두고 역사적 역경과 함께 그 맥을 근근히 이어왔다. 또한 형식적이고 외형적 측면에서 근대화를 이루었다해도 그 내용상에 있어서는 전근대와 근대가 공존하거나 식민지 시기의 영향을 받아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며 전개되었다. 즉, 부분적으로는 근대적 삶의 변화에 대응해 나가며 기능에 있어서 합리성을 추구한 근대성을 발견할 수 있으나 일제 식민지 치하라는 배경과 국민 생활의 빈곤으로 인하여 전통 가구의 미를 되살려 더욱 근대화시키지 못하였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근대에 이루지 못한 전통가구의 미와 현대적 합리성을 결합한 독창적인 가구 개발은 현대와 미래의 참된 우리 가구 문화의 새로운 모색을 위하여 앞으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Furniture which has the function and symbol is not simple thing but whole culture-production in particular times. History of Korea furniture is focused on Lee-Dynasty and modern times since Korea opened its culture for the Western World through colonial period to modern ages in which still wants of materials, coarse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papers is studying present residence space and applying furniture with Korean modern furniture also analysing mutual relation between traditional furniture and modern furniture.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set up cultural identification within modern furniture concepts. From 1880 to 1960, centering clothing furniture which remains residence environments. The end of Lee Dynasty Japan's compulsory opens led Korea traditional residence lifestyle to Western cultures specially high society. In 1910, industrial developments, rich-middle class, transition of people's awareness, These caused Korea-Japan mixed residence style, but Korea civil war broke these into American living style. Chapter three, since opening Western culture poured into Royal Family and high class in 1930, some traditional furniture factory products foreign furniture in many different items, size itself and marketing is divided between product and sales. Metal furniture, plywood furniture entered Korea in 1945. In chapter four, clothing furniture experienced open step, Japan-colony step, release step. In open step, traditional furniture is mainly used which is decorative and colorful comparing Lee Dynastys'. Najun lacquer ware popularized and increased the using of mirror and glass and Western style clothing make changes the furniture frame in second step. Besides functional and reasonable clothing drawers gradually used also galvanized iron sheet drawers were popular. In conclusion, modern clothing furnitures in molding characters analyse function and frame, shape and material, decorative parts. It demands unique harmony of traditional furniture and modern rationality.

      • 한국 가구제조기업의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이승덕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21세기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각광을 받고 발전하는 시기이다. 특히 중국은 개혁․개방 후 20여 년간 전통 산업의 양적 팽창에 힘입어 눈부신 경제발전을 지속해 왔고 아시아 지역 경제발전의 새 중심이 되고 있다. OECD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1997년 이래 해마다 중국의 외국직접투자는 400억 달러 이상에 달하고 2006년의 년도보고에서는 627억 달러로 세계 외국기업 직접 투자 1위를 기록했다. 중국 가구 시장도 현재 전 세계의 가구에 관련 제조업체들이 가장 탐을 내는 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다. 게다가 중국은 1999년 11월에 정식적으로 WTO에 가입함에 따라 경제 발전의 새로운 시기를 맞았다. 다른 한편으로 한국은 경제발전 분야는 물론이고 가구의 유통 판매 서비스시장 발전단계에서도 중국보다 분명히 앞서 있다. 그러나 이미 포화 상태가 된 한국의 가구시장으로 인하여 기업들은 점차 해외로 진출하고 새로운 이익을 창조하고자 한다. 발전 잠재력이 큰 만큼 경쟁도 치열한 중국 유통시장에서의 점유율과 수익률을 향상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한국 가구 제조기업이 중국의 거대한 가구 유통시장을 점유하려고 한다면, 오래 전부터 중국에 진출한 다른 외국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활동과 중국에 맞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중국 가구산업의 발전과 현황을 분석하여 외국 및 한국 가구제조기업의 진출 성공 사례를 고찰하고 중국 가구 유통시장의 발전 방향과 미흡점 등을 도출할 것이다. 특히 IKEA과 한국 에넥스, 한샘, ACE 등 가구제조기업의 진출 사례를 통하여 한국 가구제조기업이 더 효율적으로 중국 가구 유통시장에 진출하는 글로벌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현대가구산업에 대한 연구 : 藏을 中心으로

        최현주 淑明女子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8687

        家具는 일상생활에서 作業, 休息, 收納의 역활을 지니며 그 特性 또한 각기 다른 모습으로 그 시대에 알맞게 나타나고 있다. 가구에 대한 意味와 使用範圍 또한 現代社會가 발전함에 따라 광범위 해지고 있으며 새로운 형태,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어 가구제작에 있어서도 보다 생산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대가구산업은 1950년대 까지만 해도 전래의 기술을 바탕으로한 영세한 가내수공업의 형태이였으나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中小企業의 소규모 주문생산체제를 갖추면서 기계설비를 갖추고 現代式 가구를 생산, 1970년대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가구산업으로써 자리를 잡게 되었다. 현재의 多樣한 모델의 가구시장은 급격한 신장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使用者의 기호도에 따라 쉽게 구입할 수 있게된 家具는 예전에는 일부 특수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면서 製作에 있어서도 많은 제약과 어려움이 따랐고 제작방법 역시 수공 연장에 의한 주문제작이였다. 이러한 가구 제작방법이 西洋文物의 유입과 시대적인 變化에 영향을 받으면서 가구 형태가 변화하게 되었으며 우리의 生活에 대표적인 수납기능을 지닌 장을 살펴보더라도 예전에는 기능과 형태가 분리된 장과 농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의복의 변화로 의걸이장이 생겨나게 되었고 가구제조업이 가구산업으로 바뀌면서 서양식 형태의 지금의 장이 생산되게 되었다. 지금의 장은 장과 농의 기능이 합쳐졌으며 정확한 어원이 없이 일반적으로 장농이라 불리우고 있고 우리의 생활에서 의복과 침구등의 수납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가구제조업의 발달을 시대적으로 살펴보며 현대가구산업의 현황을 알아봄으로서 우리 현대가구의 디자인 변화를 장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논문의 전개방법은 서론으로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및 범위를 서술하고 둘째장에서는 가구의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셋째장의 시대적인 장의 변천과정과 특징을 이해하고 넷째장에서 재료와 가공기술을 조사함으로서 다섯째장인 결론에서 우리나라의 가구디자인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새로운 가구개발과 앞으로의 방향을 서술하여 우리나라 가구산업의 발전방향과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 The furnitures have role of work, rest, and receipt in every day life and the character also reveal in different shape adequately in its era. The meaning and usage range of furniture are else Widened according to the modern Society development, needed new form, and various function, including productive and efficient method in furniture manufacturing until 1950s even our modern furniture industry was petty domestic handicraft form based on traditional technique but from 1960. They form small scale ordered manufacturing system of medium industry furnishing mechanic installation producing modern furniture and positioned as furniture industry with the 1970s economic development. Various modern models in furniture market shows rapid extension, but previously the furniture were regarded as exclusive materials only for special level of people, also in manufacturing. Various limitation and difficulty were followed and the method was ordered manufacturing by manual tools. By this furniture making method influenced by inflow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era charge, the furniture form were changed and when we watch the cabinet which has been representative receipt function in our life, previously the drawer and cabinet were used separatedly, but because of clothes change, the clothes hanger were attached and the furniture manufacturing were charged into furniture industry than the western-style modern cabinet have been made. The modern cabinet was joined by cabinet and drawers since it has no etymology generally it is called cabinet and take charge of receipt function of clothes and bedding of our life. In this thesis, the Korean furniture manufacturing works are observed by periodically and by watching the present condition of furniture industry, and consider the design change of modern furniture through cabinet. As the developing method of thesis study purpose, method, and range were described in Summary, through general Consideration in Second Chapter Understanding of Periodic Change Course and Character in third Chapter the materials and the processing technique were observed in 4rd Chapter as a conclusion in Chapter 5 the present condition of furniture design and the problem of our country were learned and the new furniture development and direction were described to look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improvement point of our furnitur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