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사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최승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d by Korean social worker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Second, by what factors are professional identities formed or hindered in the social context? Third, what factors contribute to the self-reinforcement of the social workers in-group? In the literature review,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dentity, social identity, collective ident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collective identity (Ashmore, et al., 2004) was considered a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the process of accepting oneself as a common member of a social worker group. And it focuses on exploring significant interactions that influence this proc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researcher adopted a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27 social workers actively involved in 8 fields of social work. The 8 fields includes a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self-support center, shelter for the homeless,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public medical institution,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corporation for the disabled, and a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Prior to the main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one month in December 2019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Participants were informed of the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s in advance.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participan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voluntarily and submitted written consents. When the study was being conducted, a leading project was already in progress from the Community care plan, and the COVID-19 pandemic was affecting the practice field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tud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mmunity care plan and the epidemic of COVID-19 as social contexts that affect practi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ractice fields during the process of the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collective case study by selecting multiple cases with an interest in one issue. For data collection, FGI consisting of 2 to 5 people for each practice field was conducted. Each interview took about 50 minutes to an hour.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data during the entire period of social worker’s identity formation in eight fields,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if necessary. These additional interviews took about 30 minutes to an hour.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The researcher meticulously recorded the observation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interview in a field notebook.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atmosphere of the institution, the dynam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lient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other external resources. The case analysis of Creswell(2015) was applied to data analysis. Frist the raw data was coded by grouping it into meaningful pieces. The coded groups were then grouped under categories and organized in figures and graphs for analysis. The procedure for raw data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o conduct within-case analysis, the FGI recorded file was transcribed and composed from the original data. The audio materials were converted to texts, including non-verbal contents such as laughter and silence. Second, after analyzing the raw data,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as social workers were examined for social workers in each cases. In analyzing professional identities,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how social workers became social workers; what they do in the field of practice; how their practices chang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how social workers’ practices change the social system to what level. Creswell(2015:216)'s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with the issue of professional identity at the cen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over time, time-series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were attempted by partially applying the case analysis technique of Yin(2005:191). Through case analysis, it was attempted to reveal how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ormed over time, and to discover the basis for the differentiation and typology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From each of the eight practical fields, one social worker was selected to share their experiences. These were analysed to derive the following themes in relation to their professional identity: “Self-sufficient type who are satisfied with communication and care with the clients”; “Compromising type with dreams in the heart and feet in reality”; “Challenging type that keeps resources far away from institutions”; “Satisfaction type that matches welfare and self”; “A lonely growth type trapped in an institution, calling for social values”; “volunteer type who is self-sufficient even when being called as a national maid”; “Explorative type with strong bones in practice”; “Challenging philanthropy type familiar with micro, mezzo, and macro practice”. Social workers were experiencing different interactions in each individual's growth process and practice fields. Social workers were uniquely form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o the extent that they showed their abilities to the maximum as social welfare experts. Between-case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cover patterns penetrating the cases with professional identity as a central issue. 160 semantic units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ere derived from the original data. By structuring them, 74 concepts, 29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composed. The seven categories derived in relation to the topic of identity formation of social workers are as follows: <Entering the door to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 <Growing up as a prospective social worker>, <Being built as a professional>, <Shaking identity>, <New challenge for the profession 1: COVID-19 pandemic>, <New challenge for the profession 2: Community Care Plan>, <Reestablish Professional Identity>. Over time, social workers were going through five stage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is process, meaningful interactions that influence identity formation were revealed.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over time is as follows: ‘Entering the door of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 ‘Growing up as a prospective social worker’, ‘Being established as a professional’, ‘Shaking identity’, ‘Rebuilding a professional identity’. Factors that establish or shake the formation of identity as social workers are pressure from public institutions, dynamism within institutions, attitudes of clients,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public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Community care was a long-term challenge to the professions, and COVID-19 was a temporary crisis factor, affecting identity formation. The professional identity was typified by the case cross-case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s constituted by the following two axes: one is the level of the social system involved in practice, and the other is the professionalism-oriented will. Analysis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type resulted in four types: ‘passive warmth type’, ‘status maintenance type’, ‘practical seeking type’, and ‘radical challenge type’.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recognized by social workers’ in the social context of ‘COVID-19 and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car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ordinary social workers who face clients in the field of practice’. Based on the ‘experience from before becoming a social worker to the field’,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a social worker’ was consider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hows the process of how an ordinary social worker forms their identity thus overcoming the problem of insufficient number of subjects and duration of research. Secondly, the study revealed a dynamic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and society interact during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Thirdly, the study specifically reveal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lation to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community care and the process of re-adjusting. Fourthly, collective identity is set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Interactions specifically involved in holding or hindering identities in identity formation were revealed. The professional identity explored from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practice is a collective constituted by interactions with others, self-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the socialization process continuously influenced by the times. Professional identity was not limited to defining professionalism and defining boundaries. It was also being formed around the roles social workers required to play in response to the demands from the changing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social workers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So far, the process of nurturing our social workers was mainly focused on their roles in an organization, and less on their vocation and personal work valu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dentity confusion and ethical conflict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 the crisis situation of COVID-19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 identity. It also emphasizes that social workers who have played a role in blurring the lines drawn by wealth and poverty, health and disease need contemplation and courage to become aware of the inner boundaries that exist within the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무엇인가? 둘째, 사회적 맥락에서 전문직 정체성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형성 혹은 방해되는가? 셋째, 사회복지사 내집단의 자기 강화에 기여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문헌 검토에서는 정체성, 사회정체성, 집단정체성,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사회복지사라는 공동의 일원으로 자신을 수용하는 과정으로 집합정체성(Ashmore, et al., 2004) 개념으로 받아들였다.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데에 연구는 관심을 기울였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노인전문요양원, 자활센터, 노숙인 쉼터, 종합사회복지관, 공공의료기관, 재가노인복지센터, 장애인법인, 노인복지관를 포함한 8개 분야 실천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27명이다. 본 조사에 앞서 2019년 12월 한 달 동안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연구 방법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조사는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약 두 달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사전에 연구 목적과 연구 질문을 공유하여 자발적인 참여 의사가 있어서 연구동의서를 작성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시기는 커뮤니티케어 계획이 발표된 후 선도사업이 진행 중이었고, 코로나19 유행이 실천 현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실천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맥락으로 커뮤니티케어와 코로나19의 유행을 고려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사회복지실천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연구자는 하나의 이슈에 관심을 두고 복수의 사례들을 선택하는 집합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실천 현장별로 2~5명으로 구성된 FGI를 각각 진행하였다. 1회 인터뷰에 소요된 시간은 50분에서 1시간 정도였다. 8개 분야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전 시기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추가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추가 인터뷰는 30분~1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모든 인터뷰는 녹취하여 전사 작업을 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인터뷰 전, 과정, 후에 관찰한 상황을 꼼꼼하게 필드 노트에 기록하였다. 연구자는 기관의 분위기, 연구 참여자의 역동성, 클라이언트와 연구 참여자의 상호작용, 연구 참여자와 다른 외부 자원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며 기록하였다. 자료 분석에 크레스웰(Creswell, 2015)의 일반적인 사례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사례 분석의 절차는 원자료를 의미 있는 조각들로 묶어 코딩하고, 코딩된 것을 더 큰 범주나 주제로 묶은 후 그림이나 표의 형태로 자료를 조직화하여 주제를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원자료 분석을 위해 수행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내 분석을 시행하기 위하여 FGI를 녹음한 파일을 전사하여 원자료로 구성하였다. 음성 자료는 문자로 전환하고, 웃음이나 침묵과 같은 비언어적인 내용도 원자료에 추가하였다. 둘째, 원자료를 분석하여 사례 내에서 사회복지사에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사회복지사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각 사례에서 사회복지사는 어떤 과정으로 사회복지사가 되었고, 실천 현장에서 어떠한 일을 하고, 코로나19 대유행이 실천에 어떤 변화를 가져 왔는지, 사회복지사의 실천이 사회체계에서 어느 수준까지 닿는지 등에 관심을 두고 전문직 정체성을 분석하였다. 전문직 정체성이라는 이슈를 중심에 놓고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탐색하는 데에 크레스웰(Creswell, 2015:216)의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시간에 따른 정체성 형성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인(Yin, 2005:191)의 사례분석 기법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시계열 분석과 사례 통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전문직 정체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형성되는지 이해하고, 사례 통합 기법으로 전문직 정체성이 분화되고 유형화되는 근거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여덟 개의 실천 분야에서 각 한 명씩 선정하여 경험에 대한 진술을 사례 내 분석한 결과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가 도출되었다. “대상과의 소통과 돌봄에 만족하는 자족형”, “꿈은 가슴에 품고 발은 현실에 두는 타협형”, “기관에 갇히지 않고 멀리 있는 자원을 손에 두는 도전형”, “내가 복지가 되고 복지가 내가 되는 만족형”, “끼인 틈에서 조직을 향해 가치를 외치는 외로운 성장형”, “국민무수리 소리를 들어도 자족하는 봉사형”, “실무에서 잔뼈가 굵은 모색형”, “미시, 중간, 거시 실천 모두에 익숙한 도전적 박애형” 등이다. 사회복지사는 개인마다의 성장 과정과 실천현장에서의 각기 다른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있었다. 현장의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드러내는 범위에서 전문직 정체성을 고유하게 형성하고 있었다. 전문직 정체성을 중심 이슈로 두고 사례들을 관통하는 패턴을 발견하기 위해 사례 간 분석을 시행하였다. 원자료로부터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관련한 160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이들을 구조화하여 74개의 개념, 29개의 하위범주와 7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형성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도출된 7개의 범주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문으로 들어서기>,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성장해 가기>, <전문가로서 세워져 가기>, <흔들리는 정체성>, <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도전 1: 코로나19>, <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도전 2: 커뮤니티케어>, <전문직 정체성 다시 세우기>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복지사는 5단계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드러났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복지 전문직의 문으로 들어서기’,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성장하기’, ‘전문가로서 세워져 가기’, ‘흔들리는 정체성’, ‘전문직 정체성 다시 세우기’의 단계를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정체성을 형성을 붙들거나 흔드는 요인은 공공기관의 압박, 기관 내 역동성, 클라이언트의 태도, 전문직 공동체, 사회적 인식임이 드러났다. 커뮤니티케어는 전문직에 대한 장기적 도전 요인으로, 코로나19는 일시적 위기 요인으로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사례 통합 기법으로 전문직 정체성을 유형화하였다. 연구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다음의 두 가지 축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하나는 실천에서 관여하는 사회체계의 수준이고 다른 하나는 전문성 지향 의지이다. 전문직 정체성의 유형 분석을 한 결과 ‘소극적 온정형’, ‘현상 유지형’, ‘실천적 모색형’, ‘급진적 도전형’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커뮤니티케어의 도입’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사회복지사가 ‘스스로 인식하는 전문직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실증 연구이다. 연구는 ‘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를 대면하는 평범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사회복지사가 되기 전부터 현장에까지 이르는 경험’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와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였다. 연구가 밝힌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범한 사회복지사가 어떻게 정체성을 형성하는지 과정을 밝혀서 지금까지 정체성 연구에서 있었던 대상과 시기의 편협성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였다. 둘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의 형성에서 개인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드러냈다. 셋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과 커뮤니티케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과 재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에 집합정체성을 이론적 틀로 놓았다. 정체성 형성에 정체성을 형성하거나 방해하는 데에 구체적으로 관여하는 상호작용을 밝혔다. 실천 현장의 사회복지사의 경험으로부터 탐색한 전문직 정체성은 타자와의 상호작용과 전문성에 대한 자기 인식, 시대적 상황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과정에 의해 구성되는 집합체이다.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성을 규정하고 경계를 정하는 데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답하며 형성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 사회복지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과정은 조직에서 맡은 임무를 의미하는 職에 관심을 기울이고, 반면 평생을 두고 실현하고 싶은 가치나 소명을 뜻하는 業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 왔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코로나19라는 시대적 위기 상황에서 경험한 정체성 혼란과 윤리적 갈등이 전문직 정체성을 확립하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한 부와 빈, 건강과 질병이 그어 온 선을 흐리는 역할을 해온 사회복지사에게 내부 집단에 존재하는 내적 境界를 자각할 수 있도록 고민과 용기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SSO(Stress-Strain-Outcome) 모형을 중심으로

        김준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job stressors from job demand variables in an organization and investigate how such variables affect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analyze effects of job demand on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addition, the study tries to verify regul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o achieve these goals,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are prepared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and Koeske and Koeske's Stress-Strain-Outcome(SSO) model. The total 431 people participate in the study; 145 social welfare public officers, 110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living facilities and 176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us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indings,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have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hypothesis are partly adopted after verification of regulating effects of peer and supervisor's suppor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study explores more suitable structural models, comparing a research model built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to an alternative model.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a complete meditation model is suitable because job stress(an independent variable) has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a dependent variable) while job burnout(a meditator variable) affects turnover intention directly and indirectly. In other words, a partial meditation model assuming that job stressors have 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s denied and a complete meditation model hypnotizing that they have indirect effects via job burnout is accepted. Second, job stress has direct positive effects on burnout. Third, it is confirmed that job burnout of social workers has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Fourth, it is analyzed that burnout of social workers affects turnover intention positively. Fifth, it is revealed that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have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Sixth, according to verification of medit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t is found that social workers who think that they have strong support from their colleague or supervisors show decreased burnout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compared to social workers who have lower social support. Futhermore, it is proved that such acknowledgement has meditating effects as it increases job satisfac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nd decreases turnover inten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is finding implicates that support from their supervisor or colleagu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decreas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study findings. First, this study widens the theoretical prospect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t is confirmed that job stress is the point where turnover intention starts from. To remove or decrease turnover intention, it is necessary for an organization to intervene to reduce job stress. Considering the practical situation that job stress could not be completely controlled, intervention of an organization to prevent or handle job burnout(the meditator variable) is required. Second, this study tries to differentiate from other studies by adding burnout of a social worker to existing turnover model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ersonal social service. While existing studies perform research according to a research model assuming that job stress,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ha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independently, this study conducts integrated research ident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hich is the main achievement of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solid research and interpretation, expanding a theoretical model of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and conducting integrated and multi-dimensional study Third, this study makes academical contribution at the point of the first Korean study that practically proves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based on SSO theoretical models. According to the SSO theory, burnout is an antecedent and job satisfaction is a consequence. This study confirms this causal relationship, which is another theoretical achievement of this study. Especially, this study supplements and confirms existing knowledge system in a theoretical side because the job burnout variable is confirmed in this study as the most important and influential variable that plays a role of complete meditating variable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rather than a partial meditating variable.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he SSO model is an effective theoretical framework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job burnout. The study adopting configuration of the SSO model increases academic usefulness for a future study related to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ourth, this study widens the theoretical prospect by practically analyzing medit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finding demonstrates that advocacy and support originating from personal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s can significantly prevent and reduce job stress, job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 that it is necessary for an organization to manage human resources effectively to reduce burnout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that social workers feel and, as a result, decrease turnover intention. Fifth, this study divides the factors that ca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into three type institutions; Social Welfare Public Officers, Using Facilities and Living Facilities. As this study sets and analyzes common variables for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the three types of institutions, it clearly identifies the degree of burnout and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the three types of institutions. Nonetheless, as this study depends on horizontal data collection methods using survey paper, it is possible not to capture changes in attitude of members appropriately. Deeper understanding of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is possible if a longitudinal study design and qualitative study are performed together and a study inclu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is carried out. Especiall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 an organization and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a factor that can not be controlled by an individual person, a more extensive model including a study that focuse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verified.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소진과 직무에 대한 불만족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제공되는데 저해요소가 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켜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에 앞서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요인들을 탐색적으로 살피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사회복지사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이직의도를 갖게 되는지, 그리고 그러한 이직의도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분석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요구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조직 내의 직무요구 변수 중 직무스트레스요인들을 도출하고, 이러한 변수들이 소진,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Koeske와 Koeske(2000)의 Stress-Strain-Outcome(SSO) 모형을 근거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충청북도 소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45명, 생활시설 사회복지사 110명, 이용시설 사회복지사 176명 총 43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선정된 431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타당성,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여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등은 유의한 영향관계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동료와 상사의 지지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근거에 따라 설정한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의 적합성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적합한 구조모형을 탐색하였는데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대해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간접적으로, 매개변수인 직무소진은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모형보다는 완전매개모형이 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직무소진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이 모형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직무만족, 이직의도 사이에서 직무소진이 완전매개변수의 역할을 확인한 것으로 SSO모형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체사회복지사는 역할모호(β=.337, p<0.001)와 역할과다(β=.188, p<0.5)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도 역할모호(β=.335, p<0.01)와 역할과다(β=.283, p<0.5)가, 이용시설 사회복지사는 역할갈등(β=.458, p<0.01)과 역할모호(β=.336, 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활시설 사회복지사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이르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소진은 직무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사회복지사(β=-.379, p<0.001), 사회복지전담공무원(β=-.504, p<.01)과 생활시설 사회복지사(β=-.487, p<.001), 이용시설 사회복지사(β=-.255, p<.01) 모두 직무소진이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소진은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사회복지사(β=.310, p<0.001), 사회복지공무원(β=.350, p<.05)과 생활시설 사회복지사(β=.352, p<.01), 이용시설 사회복지사(β=.195, p<.05) 집단 모두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이르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회복지사(β=-.335, p=<.001), 사회복지전담공무원(β=-.364, p<.01), 이용시설 사회복지사(β=.-375, p<.001) 집단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활시설 사회복지사 집단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높은 동료 및 상사의 지지를 받는 사회복지사들은 낮은 지지를 받는다고 인지한 사회복지사들에 비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소진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소진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진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도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상사 및 동료의 지지는 소진과 이직의도를 줄이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함의를 제공해 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직무만족, 이직의도 사이의 연쇄적 인과관계에 관한 이론적 지평을 넓혔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사의 출발점이 역할스트레스라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므로, 이직의사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역할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조직 차원이 개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역할스트레스를 완전히 제어할 수 없는 현실적인 상황 조건을 감안할 때, 매개변수인 직무소진의 사전 예방이나 사후 대응을 위한 조직 차원이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대인서비스사업의 특징을 반영하여 기존 이직모형에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추가하여 이직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기존 연구들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직무만족이 독립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에 입각해 연구를 한 반면,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사의의 인관관계를 규명하는 통합적인 연구를 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성과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이론모형을 확장해 보다 종합적이고 다차원적으로 연구를 함으로써 입체적 연구와 해석에 기여했다. 셋째, 본 연구는 SSO 이론모형에 기반하여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실증적으로 입증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기여가 있다. SSO이론에 의하면 소진은 선행변수이고 직무만족은 결과변수인데,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인과관계를 분명히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성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직무소진 변수가 본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에 부분매개변수가 아닌 완전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가장 핵심적이고 영향력 있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지식체계를 보완하고 재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그러므로 SSO 모델이 직무소진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효과적인 이론적 틀임을 본 연구에서 입증하였다. 이러한 SSO 연구모형의 설정을 통한 연구는 향후 사회복지사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와 관련된 연구에서 학술적 활용도를 높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지평을 넓혔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사들이 동료와 상사와의 인간관계 속에서의 지지와 지원을 통해 직무로 한 스트레스와 소진, 직무불만족을 상당부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가 체감하는 소진을 줄이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며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운영주체들의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해 주었다. 다섯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이직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각 유형별(사회복지공무원, 이용시설, 생활시설)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세 가지 기관유형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공통의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각 유형별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영향 요인뿐만 아니라 소진정도,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명하게 구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횡단적 자료수집 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구성원의 태도 변화를 제대로 포착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종단적 연구설계 및 질적 연구가 병행되고, 개인적 성향과 동기를 포함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특히 조직에 대한 태도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는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에 개인적 요인에 초점을 둔 연구를 포함한 보다 확장된 모형이 검증될 필요가 있다.

      •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 개발

        이재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663

        Addiction is an issue that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ir family and environment; thus, it is essential for social workers to intervene. Social workers must hav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bout addiction to be able to prevent or mitigate the harm caused by addic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First,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ere explored. In addition, a total of 121 final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er's review and the content validity review of addiction problem experts and social workers practicing in the field. Following this, details of 506 cases collected from a survey of social worke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sisting of 3 factors and 27 questions was developed. The three factors we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reliability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970, and that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941 to .970, which was found to be very high, exceeding the conservative recommendation standard of .70. Second, the valid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evaluated for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convergence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The discriminant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and age, which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cted to be theoretically unrelated or have a low correlation to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ge was weak, almost non-existent, or negligibl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identified. First, examining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ased on the type of license held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differed based on the social workers’ license type,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license,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or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e average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was higher for those with a social workers’ first-class license than for those with a second-level license, for those with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or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a license, and for those with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ext,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ducation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the group that completed addiction-related education at undergraduate or graduate school level had a higher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ddiction-related education over the preceding year demonstrated that the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training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also investigated. Analysing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y dividing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demonstrate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urvey subjects working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classifying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hospitals and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score of social workers at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was higher than those working at hospitals or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otal experience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level of social work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total experience and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10 years. In addition,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rect service for addiction problems revealed that survey subjects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addiction problems of 50% or more had a higher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ose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less than 50%;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standard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as presented. This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ho have a professional license related to addiction and carry out direct service work at a certain level, meets the standard score. Applying these standard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tandard score was determined as follows. A score of less than 72 is a level that requires education or training to have a minimum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 score of 72 or more to less than 90 is a very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90 or more to less than 105 points is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5 to 106 is adequat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7 or more to less than 120 is a high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nd a score of 120 or higher were presented as a very high lev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that ens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which has previously not been developed in Korea.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enabled the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cluding in substance addiction and behavioral addiction, over three factors: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Activation of research on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on of theories can be expected. First, by using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verall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based on this, a plan to increas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prepared. Second, us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provided to social workers. Third, the levels of the three factors constitut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f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other factors. To increase the us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tinuous evaluation of this scale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nalyze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engaged in variou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llow-up studies should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the effects and ripple effects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measure the standard score for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presented in this study and supplement the standard score through it. Follow-up studies must provide more specific and valid reference scores by repeatedly measur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ng various data. 중독은 중독 당사자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 환경까지 영향을 주는 문제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사회복지사는 중독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중독문제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하게 개입하여 중독으로 인한 폐해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검토, 중독문제 전문가와 실천현장 사회복지사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통해서 총 121개의 최종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후 사회복지사 대상 설문조사에서 수집한 506개의 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3요인 27문항으로 구성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개발하였다. 3요인은 지식, 기술, 태도로 명명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70, 요인별 신뢰도는 .941∼.970으로 보수적 권고기준인 .70을 초과하여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타당도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수렴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은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이론적으로 관계가 없거나 낮을 것으로 예상한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성별 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연령 간 상관관계는 상관계수 기준으로 볼 때 약하거나 거의 없는 수준, 무시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먼저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사회복지사 자격증 급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또는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 중독 관련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가 2급 자격증 소지자보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나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그리고 중독 관련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학부나 대학원에서 중독문제 교육을 이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지난 1년 동안 중독문제 관련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교육을 참여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도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비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근무 기관을 중독전문기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그리고 그 외 사회복지기관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중독전문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근무자와 그 외 사회복지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총 경력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차이를 알아본 결과 총 경력 2년 미만 종사자와 10년 이상 종사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이 50% 이상인 조사대상자가 업무비율 50% 미만인 조사대상자보다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 관련 전문 자격증을 갖추고 일정 수준 이상의 직접서비스 업무를 진행하는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기준 점수 제시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135점 만점)으로 72점 미만은 ‘최소 수준의 중독개입역량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한 수준’, 72점 이상∼9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매우 낮은 수준’, 90점 이상∼105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낮은 수준’, 105점∼106점은 ‘중독개입역량이 적절한 수준’, 107점 이상∼12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높은 수준’, 120점 이상은 ‘아주 높은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통해서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을 포괄하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 등 3요인에 걸쳐서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관련 연구의 활성화와 이론의 축적을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 도구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에게 제공되는 중독문제 관련 교육훈련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구성하는 3개 요인의 수준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과 다른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척도에 관한 지속적인 평가를 실행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중독개입역량 수준 파악과 분석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이 미치는 영향과 파급 효과를 구체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에 관한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기준 점수 보완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의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다양한 자료의 축적으로 기준 점수를 보다 구체적이고 타당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지각(perception)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혜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6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and the cognition on frequency, form''s type, content''s type of supervision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lso, this paper which demonstrates the positive impact of frequency, form''s type and content''s type of supervison to enhance social worker''s self-efficac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 to manag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83 social workers from 47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have been selected and surveyed by mail. The total of 182 questionnaires from 29 agencies were collected and 174 questionnaires (of 182)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are that existence of supervision''s regularity was ''Yes'', frequency of supervision was ''more than once a week'', and form''s type was ''individual supervision'' were perceived highly each of supervision. Also, administrative supervision was 3.63(of 5.00) in average, which can be regarded as fairly high and after administrative supervision, educational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was following among content''s type of supervision. Second, the level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was 3.66(of 5.00) in average, which is fairly high. To look at the sub-dimensions, ''perception of support'' was the highest, and ''treatment planningevaluation'', ''case management'' and ''therapeutic techniques'' were following in regular sequence.Finally,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the influence of supervision on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self-efficacy revealed that propriety of ''frequency of supervision'', ''educational supervision'' among ''content''s supervision'' were significant factors to have positive effec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al supervision''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is. Frequency of supervision appeared that ''rare'' supervision and ''very often'' supervision make social work''s self-efficacy low after infering the reverse-U curvillinear by ANOVA distribution between the social worker''s self-efficacy and frequency of supervision. However, propriety of supervision''s frequency can affect high self-efficacy of a social worker. Also. the results of analysis that were the influence of supervision on self-efficacy''s sub-dimensions of a social worker showed that frequency of supervision was infered from reverse-U curvillinear in dimensions of professional knowledge which had been learned by school of social work, therapeutic techniques, case management, and evaluation like self-efficacy of total social workers. Educational supervision affected positive influence to professional knowledge which had been learned by school of social work, therapeutic techniques, case management, and treatment planningevaluation.Based on findings, to improve social worker''s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ctivate supervision after evaluating supervision''s levels as a evaluation item in social welfare center policy. Especially, to activate educational supervisio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need and supervisor train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produce many professional supervisors. In addition to, supervision''s design and operation need to be considered individual social worker''s level.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기관에서 나타나는 수퍼비전 빈도, 형태, 유형 및 사회복지사들의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여 수퍼비전 빈도별, 형태별, 유형별에 대한 인식수준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퍼비전 빈도, 형태, 유형을 밝힘으로써 사회복지조직의 관리에 있어서의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47개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하여 총 283명의 사회복지사에게 설문지를 우편을 통해 배포하였다. 조사결과 29개의 사회복지관으로부터 182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174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수퍼비전 정규성여부에서는 ‘있다’, 횟수에서는 ‘1주일에 1회 이상‘, 형태에서는 개별수퍼비전에 대해 각각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퍼비전 유형은 행정적 수퍼비전이 평균 3.63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교육적 수퍼비전, 지지적 수퍼비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은 평균 3.66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 하위차원별로 살펴보면, 지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개입계획 및 평가, 사례관리, 전문지식 그리고 치료기술 순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수퍼비전 횟수에 있어 적정수준의 수퍼비전과, 수퍼비전 유형중 교육적 수퍼비전만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즉, 교육적 수퍼비전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 지각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 횟수는 분산분포에 따라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과 역 U자형의 곡선관계임을 추정한 결과, 수퍼비전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거나, 매우 잦은 수퍼비전이 이루어질 경우,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은 낮아지며, 적정 수준의 수퍼비전이 이루어질때,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 하위차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수퍼비전 횟수는 전문적 지식, 지지, 개입계획 및 평가 차원에서 전체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과 마찬가지로 역 U자형 곡선관계로 추정하였다. 교육적 수퍼비전은 전문적 지식, 치료기술, 개입계획 및 평가 차원에서만이 정적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책적 차원에서 수퍼비전을 기관평가항목으로 구성하여 실질적으로 수퍼비전의 수행정도를 평가함으로써 복지관내 수퍼비전을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교육적 수퍼비전 활성화를 위한 기관내 제도적 지원체계가 필요하며, 교육적 수퍼비전을 제공할 전문적인 수퍼바이저를 배출할 수 있는 인력양성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개별 사회복지사 수준을 고려한 수퍼비전 설계와 운영이 필요하다.

      • 社會福祉士의 職務滿足度에 影響을 미치는 職務環境에 關한 硏究 : 障碍人職業再活施設을 中心으로

        서연채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1662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복지사 개인특성변인과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과 직무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첫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수준을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 개인환경별·기관환경별·근무환경별에 따라 직무만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 직무만족과 직무환경과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그리고 각각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하위차원 변수들은 무엇인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넷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 개인환경·기관환경 근무 환경이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의 답을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전국에 운영되고 있는 234개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450부의 설문을 발송하고, 설문지 회수를 마감한 결과 23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그중 불성실하게 답한 21부를 분석에서 제외시킨 214를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수행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 개인환경·기관환경·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개인환경특성별에 따른 사회복지사 직무 만족 성별에 따른 결과에서는 직무, 승진, 동료, 기관의 만족도가 여자보다 남자의 경우가 유의한 수준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결과에서는 감독의 만족도가 유의한 수준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결과에서는 승진의 만족도가 유의한 수준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환경 특성별 따른 사회복지사 직무 만족 시설 유형에 따른 결과에서는 직무와 감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설위치에 따른 결과에서는 감독, 보수, 승진, 동료에서 집단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운영주체에 따른 결과에서는 보수, 승진, 기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시설직원 수에 따른 결과에서는 감독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시설 소재지에 따른 결과에서는 감독, 승진, 동료의 경우에서 지역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했으며, 시설운영형태에 따른 결과에서는 승진의 경우가 시설 운영형태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근무환경에 따른 사회복지사 직무 만족 입사경로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무, 감독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재활시설 선택이유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보수와 승진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직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보수, 동료에서 집단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전문자격증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보수, 승진, 동료에서 전문자격증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근무경력에 따른 사회복지사 직무만족도는 감독, 동료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직위와 보수에 따른 직무만족도 결과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고용계약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무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주업무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감독 승진, 동료, 기관의 경우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월차 휴가에 따른 사회복지사 직무만족도도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차 휴가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무, 감독, 동료, 기관, 이직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가족간호 휴가에 따른 직무만족도도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육아휴직제에 따른 직무만족도 이직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나. 직무만족 변인과 직무환경과의 상관관계 사회복지사 직무환경의 직무만족 하위 차원의 변수 상관관계 결과를 살펴보면 승진과 직무, 감독, 보수의 경우에는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 감독, 보수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며 동료의 경우에도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 감독, 보수에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기관의 경우에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 감독, 보수에 대한 만족도도 같이 올라가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며 이직의 경우에는 이직에 대한 의견이 높을수록 직무, 감독, 보수 모두에 대해 만족도가 내려가는 부적인 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다.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한 결과 연차휴가(B=.128, p<.05)의 경우와 육아휴직제(B=.175, p<.01)의 경우가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제로 나타났다. 즉 연차휴가나 육아휴직제를 자유롭게 사용 할 수 있는 경우 사회복지사 직무만족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 회귀식의 설명력은 135%(R Square=.135)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는 사회복지관 중사자의 직무환경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으로 볼 때 독립변수인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이론적 함의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수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함의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직무환경이 직무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수임이 검증함으로써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 직무만족과 직무환경의 상관관계 연구의 이론적 구축에 기여하였다. 아울러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인 사회복지사 직무환경 향상이 직무만족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며, 직무환경의 향상을 통한 전문직업적 직무만족 향상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과 아울러 서비스 질의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 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실천적 함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보수 현실화, 근로조건과 직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직업재활시설에 법정 인력을 배치, 승진, 승급제도를 도입 필요, 직업재활시설에 휴가제도를 정비하고 자유롭게 이용 방안 강구, 직업재활시설로써 독립적으로 운영방안 강구 등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주은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661

        대학사회복지 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교육의 내용이 방법론에 치중되어있으며, 한국적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교육을 통해 배출된 사회복지사의 효능감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복지사 효능감을 측정하고, 그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의 요소를 밝힘으로써, 대학 사회복지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양적 분석이 시도되었으며, 종속변수에는 사회복지사 효능감이, 독립변수에는 대학교육의 이론적 이해와 실습의 질, 실습의 횟수가 투입되었다. 통제변수로는 조직의 풍토와 경력, 담당업무, 학력이 고려되었다. 이상의 변수들로 구조화된 설문지는 서울특별시 소재 32개 종합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160명에게 배포되었다. 이중 총 121부가 회수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116부가 사용되었다. 조사는 2002년 11월 25일부터 12월 14일까지 20일간 진행되었으며, 우편조사와 방문조사가 병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효능감은 5.00점 만점에 평균 3.48점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지지적 태도의 측면이 3.8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료기술은 3.30점으로 가장 낮았다. 둘째, 대학교육에 대한 이해는 5점 만점에 평균 3.33점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이해도에 있어서는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개론의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복지론과 사회복지행정론은 평균 3.00점 이하의 저조한 이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대학의 사회복지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학의 교육이 우리의 현장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해왔다. 하지만, 그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육은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질의 실습경험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습 횟수는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습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단지 횟수만을 늘리는 것은 사회복지사 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이다. 다섯째, 분석에 투입된 통제변수 중 조직풍토와 경력이 사회복지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담당업무와 학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사회복지사 효능감 향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내용의 이해도가 낮게 나온 지역사회복지론이나 사회복지행정론에 대한 개선책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치료 기술의 효능감이 가장 낮게 나온 만큼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등 관련 교과목의 내용을 심화하고, 실습 위주의 수업방식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실습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대학의 연구자와 현장의 사회복지사가 연계하여 각 현장의 특성에 맞는 실습의 모형과 내용을 표준화하는 등 근본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학의 실습 전담 교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Work Self-Efficacy (SWSE), to find factors that have positive influence on SWSE,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 for social work education.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with designed questionnaire. Dependent variable was SWS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education, quality of practice, and the number of taking practice course. Cultur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personal history as a social work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controlled. The samples of 160 social workers selected from 32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 total of 12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inally 11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4 in 2002 by mail and on-site visit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an of SWSE was 3.48 out of 5.00. In detail, supportive attitude showed the highest mean, 3.87. On the contrary, the mean of psychotherapeutic skill was 3.30. Second, mean of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education was 3.33 out of 5.00. Considering that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objectives of requirement courses, the mean score should be improved. Specially, it is needed to focus on ‘community organization’ and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hir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education was appeared to directly related to SWSE. Some research pointed out that social work education had not fit into Korea. Nevertheless, social work education affected to SWSE. Forth, quality of practice was appeared to directly related to SWSE. However, the number of taking practice course was not related to SWSE. Therefore, increasing the number of taking practice course, without regarding to the quality of practice, could not raise SWSE. Fifth, cultur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personal history as a social worker were related to SWSE, but social worker's task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no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 for increasing SWS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 education should be revised. Specially, the contents of clinical social work must be strengthened and practical teaching method is required. Second, quality of practice should be enhanced. For this purpose, standardized practice programs are needed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Above all, an appointment of professors for practice course is prerequisite.

      • 사회복지사 비대면 보수교육의 학습 전이에 대한 맥락적 사례 연구

        정다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647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라이징에 따른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의 비대면 교육에 대한 학습 효과와 전이 현상을 탐색하고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필요한 사회복지사의 핵심 역량과 비대면 교육의 효과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개인의 경험을 나눔으로써 맥락적 상황을 짚어볼 수 있고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간 분석을 통한 상황 기반의 함의점을 도출할 수 있는 질적 연구 방 식을 적용하였는데 그 중 ‘사례연구’분석 방법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코로나19 이전의 집합 형태의 보수교육과 코로나19 이후의 실시간 사이버 보수교육을 경험한 서울특별시 사회복지관 종사 자 5명을 선정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한 학습 및 전이 효과성을 탐구했다. 맥락적 사례연구 분석결과에 따르면, 먼저 현재 운영되는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의 실시간 사이버 교육 형태는 사회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활성화되는 디지털 기술 기반 HRD 현황 및 방향성과 비 교하였을 때에 다소 소극적인 디지털화로 볼 수 있었다. 즉, 단순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비대면 환경의 운영방식만을 도입하였을 뿐, 비대면 교육 기반의 차별화된 교육 기획이나 학습콘텐츠 개 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운영방식 다양화 등에 있어서는 한계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단순 지식적 측면의 서비스 전달기술이 아닌 감정이나 공감 영역의 소프트 역량의 학 습이 필요하지만, 실시간 비대면 교육은 이론전달 차원의 교육이 주로 가능하기에 비언어적 표현 또는 감정적 영역에서의 전달 학습은 어렵다는 한계가 나타났다. 다만, 현장에서는 엔데믹 이후에 여전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가 보 편적으로 나타나며, 더욱 발전된 기술을 도입하고 있기에 디지털 기술 활용의 서비스 전달과 비대 면 교육 기반의 기획 및 내용 고도화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 현장 종사자들은 대체로 본인의 업무와 연관성이 높은 교육과정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더불어 디지털 기반의 교육을 받아 들이는 데에는 거부감이 없으나, 비대면 교육의 학습 효과성과 전이 현상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복지사 비대면 보수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주요 제언을 하자면, 첫째, 보 수교육 주제별로 효과적인 교육 운영방식에서의 구분이 필요하고 운영방식에 따른 교육 기획 고도 화가 필요하다. 둘째, 실시간 사이버 교육 전달체계의 학습 효과성 향상을 위한 교육 제공기관 차 원의 자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피훈련자들이 실시간 사이버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 교육을 고도화하 고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함에 따라 높은 학습 효과성과 전이효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s and transfer of non-face-to-face education of social workers' continuing education due to digitalization, one of the social phenomena that have changed rapidly since COVID-19, and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workers and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e social worker's continuing education delivery system, which emerged after COVID-19, is divided into real-time cyber education and recording education, and among them, by focusing on real-time cyber education, which is in high demand from field workers, we sought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learning transfer and were able to derive major implications. First of all, the real-time cyber education form of social worker continuing education could be seen as somewhat passive digitalizing compared to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HRD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at is activated in all areas of soc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ntextual case studies. In other words,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only the operation method of a non-face-to-face environment was introduced, but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practical educational planning based on real-time cyber education,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and diversification of operation methods using digital technology.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it was challenging to learn in the emotional or emotional domain because real-time cyber education is primarily feasible at the level of theory delivery. However, after COVID-19, the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using digital technology still tends to become more common in the field, and since more advanced technology is introduced, educational planning and content advancement related to service delivery using digital technology are necessary. In addition, social welfare field workers generally tended to prefer a curriculum with high work-related relationship as well as learning convenience. In addition, there is no reluctance to accept a digital-based curriculum, bu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d transfer phenomenon based on the digital environment were relatively not smooth. To make major suggestions for effectively operating such non-face-to-face continuing education for social worker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effective education operation methods for each subject of continuing education, and to advance education planning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at the level of education provider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the real-time cyber education delivery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tivating support so that trainee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real-time cyber education. Based on these efforts, it is expected that high learning effectiveness and transfer effects can be derived by effectively applying the socially emerging digital transformation phenomenon to the continuing education of social workers.

      •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 역량모델 개발

        최혜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646

        한국사회에서 한부모가족에 대한 정부지원은 1950년 6.25전쟁 이후 전쟁미망인들을 보호·지원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몇 차례의 관련법 제·개정을 근거로 지원대상과 지원내용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오늘날 한부모가족에 대한 정부지원은「한부모가족지원법」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 법의 제1조(목적)는“한부모가족의 안정적인 가족기능을 유지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한부모가족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학계에서도 한부모가족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정책과 한부모가족 대상자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었고,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부모가족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인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의 한부모가족을 위한 관련법의 제·개정, 지원내용과 지원대상의 확대와 같은 양적증대는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의 전문성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역량에 주목하고,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고 역량모델링 과정을 통해 이를 체계화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복지시설 특수성을 반영한 사회복지사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Dubois(1993)의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과 Lucia와 Lepsinger(1999)의 검증된 역량모델로부터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총4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주요내용, 역량과 역량모델에 관한 이론적 배경, 사회복지사 역량과 역량모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역량모델의 기본틀로 Spencer와 Spencer(1993)의 대인서비스직 일반역량모델을 타당성이 검증된 역량모델로 선정하였다. 둘째,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한부모가족복지분야 전문가 심층면접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역량모델 초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전문가 델파이 조사(3차)를 실시하여 역량모델 초안을 정교화하고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넷째,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역량모델은 5개역량군-18개역량-84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역량군은 성취와 행동 역량군, 대인서비스 역량군, 관계 역량군, 인지 역량군, 개인효과성 역량군으로 구분되었다. 각 역량군은 3∼5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역량에는 3∼6개의 구체적인 행동지표가 제시되었다. 성취와 행동 역량군은 과업을 성취하기 위한 행동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 향상이나 보다 나은 성과를 위해 행동하는 역량으로 주도성과 적극성, 정보수집과 활용, 자원개발과 연계 역량이 포함되었으며, 대인서비스 역량군은 한부모가족들의 관심과 요구에 공감하고, 이를 충족시키려는 의도와 한부모가족들의 발전을 도모하는 역량으로 대인이해, 고객지향성, 타인육성 역량이 포함되었다. 관계 역량군은 과업을 성취하기 위해 관계를 형성하고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 증진시키는 역량으로 신뢰형성, 대인관계, 네트워크, 갈등관리 역량이 포함되었으며, 인지 역량군은 어떤 상황, 과제, 문제점, 기회 또는 지식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지적인 능력을 직무상황에 응용해서 성과를 높이려는 역량으로 전문성, 문제해결력, 기획행정력 역량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효과성 역량군은 타인 혹은 업무 관계에 있어서 개인의 성숙도를 반영하며, 다른 역량의 효과성을 지원하는 역량으로 자기조절, 유연성, 윤리적 태도, 자기성찰, 일에 대한 신념 역량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 역량모델은 사회복지사 개인차원에서 객관적인 자기평가를 토대로 자기개발 및 역량강화 계획수립에 활용될 수 있으며, 조직차원에서는 선발, 평가, 승계계획, 교육계획 수립 및 교육훈련, 슈퍼비전 제공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술적 관점과 실천적 관점에서의 시사점과 함께 역량모델 활용방안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of social workers in the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s and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them.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mainly four-stage procedure.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about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of social workers, and development method and application of competency model. After then, the researcher selected the competency model of helping and human service professionals developed by Spencer and Spencer(1993) as a competency model that was proven to be valid. Second, the researcher conducted death interviews with 9 experts and open-ended questions surveys with 26 social workers to reflec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parent family institutions in the competency model developed by Spencer and Spencer(1993).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s surveys, the researcher developed a draft competency model using the competency dictionary of Spencer and Spender(1993). Finally, the researcher verified the degrees of validity on the respective definitions of the competency model structure and the model components using questionnaires in a three-round Delphi survey with a panel of 10 experts. In addition experts' opinions were reflected to comprehensive redefinition of the competency structure and its components.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model of social workers in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s was secured. The competency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5 competency clusters, 18 competencies, and 84 behavioral indicators. The competency clusters were divided into achievement and action competency cluster, helping and human services competency cluster, relationship competency cluster, cognitive competency cluster, and personal effectiveness competency cluster. The competencies included in each of the competency clusters are as follow: (1) Achievement and action competency cluster include initiative and aggressiveness, information seeking and utilizing, and resource development and connection. (2) Helping and human services competency cluster include interpersonal understanding, customer service orientation, and developing others. (3) Relationship competency cluster contain trust buil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twork, and conflict management. (4) Cognitive competency cluster include expertise, problem solving, and planning administration competencies. (5) Personal effectiveness competency cluster contain self-control, flexibility, ethical attitude, self-reflection, and belief in work.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discussed implications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standpoint for the competency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suggestions for the use of the competency model for competency building of social workers in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s and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Key words: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 Social Worker, Competency, Competency Model

      •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현황과 개선방안 : 부산지역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윤정이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training for social workers, working at some social welfare facilities which conduct some social welfare policies in the fields, on behalf of the government and to suggest its improvements. And the purpos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First, social workers understand operations of continuing and job education, both of which are practical educational training necessary for realizing some national welfare policies in the fields. Second, some improvement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social workers are planned to examine their satisfactions and necessities for the education, operation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m and their recognitions of the programs. For these purposes, the scope of this study is spatially limited to social welfare, senior welfare and rehabilitation center among all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at 9 municipalities in Busan. In particular, only social workers among practitioners working at thes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e temporal scope, since 2009, some changes in continuing educational training for social workers in Korea are investigated. The scope of contents is limited to the exploration of improvements related with the compositions and operation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social workers, some educational training facilities for them and budgets for the training.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categorized into two: first, some theories are constructed by researching literatures such as theoretical books and all kinds of papers and reports for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 order to consider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practitioners theoretically; second, a questionnaire survey of social worker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Busan a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social workers' recognitions and their educational status for the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sufficiencies of educational training budget for social workers should be solved. Second, current participations of social workers in the educational training are not enough to improve their job skills. Third, some improvements in educational compositions and operations are required. Fourth, the educational subsidy institution and the career development plan, both of which are educational systems, should be improved. Fifth,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social workers, a legitimate compulsory education for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candidates for social welfare because of low graduation rate of spontaneous applicants rather than obligatory ones. Sixth, the educational training which reinforces the filed-centered compositions and operations of subjects based on a survey of requirements is necessary, and the contents and operations of lectures should be transformed into field-centered ones. Seventh, some measures for resolving deficiencies of interests in and lack of motivations for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Because, the status of educational training for them has all kinds problems, someimprovements are needed to solve them. First, the role of educational training organizations should be reinforced. Second, insufficiencies of educational training budgets should be solved actively. Third, the courses and subjects of educational training are required to be composed by reflecting requirements in the fields. Fourth,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training methods suitable for necessity of educational training and changes in environments of it should be planned. Fifth, effective managements of education and evaluation items related with educational training among all evaluation item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more reinforced. Many efforts to examine and complement improvements of educational training for social workers should be made in advance, in order to realize the genuine social welfare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를 대신하여 사회복지정책을 현장에서 수행하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인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그 목적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이 국가 복지정책을 현장에서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실질적인 교육훈련인 보수교육과 직무교육의 운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교육의 필요성 정도, 그리고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교육훈련 운용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사회복지사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범위로는 공간적으로 부산지역 9개 자치구의 사회복지시설 중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이들 기관 종사자 중 사회복지사들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시간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 교육훈련이 시행된 2009년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내용적 범위로는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사회복지사들의 교육훈련 기관, 교육훈련 예산 등과 관련하여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한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두 가지로 구분되며, 첫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교육훈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은 문헌 및 이론서, 각종 논문, 행정기관 보고서 등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을 구성하였으며,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교육현황과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부산지역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예산의 부족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둘째, 현재의 교육훈련 참가로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을 개선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셋째, 교육 편성 및 운영 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제도 관련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서 교육비지원제도와 경력개발계획의 개선이다. 다섯째, 사회복지 종사자 법정 의무교육인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은 의무대상자가 아닌 희망대상자의 교육 이수율이 낮아 사회복지 종사자 진입예정자에 대한 교육훈련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여섯째,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한 현장 중심의 교육과목 편성 및 운영을 강화하는 교육훈련이 필요하며, 현장 중심의 강의 내용과 강의 운영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일곱째,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교육훈련에 대한 동기 결여나 관심부족 개선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보다 많은 교육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실태는 크고 작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첫째, 교육훈련기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교육훈련 예산의 부족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셋째, 현장 수요를 반영한 교육훈련 교육과정 및 교과목 편성이 요구된다. 넷째, 교육훈련의 필요성과 교육훈련 환경의 변화에 걸맞는 교육훈련 방법의 다양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다섯째, 효과적인 교육관리 방안 및 사회복지시설 평가항목 중 교육훈련과 관련된 평가항목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진정한 사회복지 구현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개선책을 시급히 발굴하여 보완해 나가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시설, 교육훈련, 보수교육, 직무교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