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용 긍정심리자본 척도 개발

        탁하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66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한다. 둘째, 대학생용 긍정심리자본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한다. 대학생용 긍정심리자본 척도 개발은 크게 개발 계획 수립, 문항 개발, 예비조사(1, 2차), 본 조사 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개발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척도 개발의 목적을 확립하고, 윤리적 고려를 위해 IRB 승인을 받았으며, 검사 방식과 반응양식을 결정하였다. 문항개발 단계에서는 개념모형을 구안하고, 개념을 설정한 뒤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쳤다. 이를 바탕으로 112개의 초기문항을 개발하였고, 다시 한 번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쳐 107개의 1차 예비조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조사 단계에서는 2차에 걸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조사에서는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명확성, 반응의 용이성 등을 점검하였고, 면담을 통해 추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정된 106개의 문항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예비조사에서는 대학생 266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변별타당도 검증, 구인타당도 검증, 하위요인명 설정,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71개의 본 조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조사 단계에서는 대학생 514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변별타당도 검증, 구인타당도 검증, 모형 적합도 검증, 신뢰도 검증,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생용 긍정심리자본 척도는 자기효능감 16문항(유능감 10문항, 성취감 6문항), 희망 20문항(경로사고 10문항, 주도사고 10문항), 낙관성 16문항(낙관적 기대 10문항, 낙관적 인식 6문항), 탄력성 19문항(긍정성 6문항, 통제성 7문항, 사회성 6문항)으로, 4개의 구성개념과 9개의 하위요인을 포함하여 총 7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양식은 Likert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되어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5~10분 정도이다. 문항내적합치도 계수는 전체 .981, 자기효능감 .933, 희망 .961 낙관성 .894, 탄력성 .928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경우 .829~.937의 범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생용 긍정심리자본 척도는 기존 척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사항을 개선하여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척도는 한국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보다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하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연구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헤어샵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행동지속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하승연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663

        본 연구는 헤어샵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행동지속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을 분석함으로써, 헤어샵 종사자가 업주와의 관계, 근무환경, 근무 조건, 수입증가, 등으로 인하여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그로인하여 행동 또한 규칙적이고 한 매장 안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며 참여함으로서 고객들과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나의 충성고객으로 만들어 매출증가까지 이어지도록 개선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실증조사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에 종사하는 헤어샵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1일부터 2019년 10월 30일에 걸쳐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43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버젼 프로그램과 AMOS 21.0버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샵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로는 20세 이상~30세 미만의 여성이 많았으며 월 수입은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샵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경력은 3년 미만인 스탭이 많이 응해주었고 8시간 이상의 근무시간과 10인 이상의 프랜차이즈에 종사하며 고정급여를 받는 헤어샵 종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 행동지속성, 고객지향성에 대하여 각각의 차원을 알아 본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의 4가지 요인으로, 행동지속성은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의 3가지 요인으로, 고객지향성은 정보제공, 신뢰성, 대응성, 고객중심적사고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이 행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하위요인들에 모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구성요소들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각 요소들 가운데 함축되어진 요인들이 있었다. 긍정심리자본 요인1은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으로 함축되었고, 요인2는 낙관주의로 분류되었다. 행동지속성 요인1은 경향성으로 행동지속성 요인2는 가능성과 강화성으로 함축되었으며, 고객지향성 요인1은 신뢰도와 고객중심적사고로 함축되었고, 고객지향성 요인2는 대응성, 요인3은 정보제공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각 요소들의 인식의 차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헤어샵 업주들은 종사자스스로가 긍정적 심리를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하여 직무에 대한 행동지속성을 높이고, 헤어샵 종사자들은 행동지속성이 상승됨으로 인하여 긍정심리자본의 긍정적인 사고와 함께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직률 경감과 고객에게 높은 품질의 서비스의 제공한다면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methods to improve sales as hair shop professionals change their thoughts positively due to relationships with shop owners, working environment, working condition and income growth, which lead to their consistent behaviors and long-term employment at one shop resulting in long relationship with clients and making loyal customer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hair shop professional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ehavioral adherence and customer orientation. For actual investigation, total 5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hair shop professionals in Seoul and Gyeonggi from October 1 to October 30, 2019, and 431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materials. On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done with the use of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by the research ques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air shop professionals, the majority is between the age 20 and 30, and most of their monthly income is between 1 million won and 2 million. Second, generally staff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gave the most answers, and the biggest number of hair shop professionals work in franchised shops with over 10 employees, they work over 8 hours a day, and they receive fixed wages. Third, regarding each dimen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havioral adherence and customer orient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of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y, behavioral adherence i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of tendenc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of information offering, reliability, response and customer oriented thinking. Fourth, regarding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ehavioral adherence,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ll the sub-factors. Fifth, regarding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ustomer orientation, the components have a positiv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ed factors among each facto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 1 is implied to be self-efficacy, hope and resilience, and factor 2 is optimism. The behavioral adherence factor 1 is implied to be tendency, and factor 2 is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The customer orientation factor 1 is implied to be reliability and customer-oriented thinking, factor 2 is response, and factor 3 is implied to be information offer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mension of each factor's recognition could be comprehended, and therefore, hair shop owners can enhance behavioral adherence for tasks by encouraging employees to have positive psychology, and hair shop professionals can decrease employee turnover rate and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to clients by improving customer orientation along with positive thinking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their behavioral adherence is enhanced, which will be helpful for hair shop management.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methods to improve sales as hair shop professionals change their thoughts positively due to relationships with shop owners, working environment, working condition and income growth, which lead to their consistent behaviors and long-term employment at one shop resulting in long relationship with clients and making loyal customer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hair shop professional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ehavioral adherence and customer orientation. For actual investigation, total 5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hair shop professionals in Seoul and Gyeonggi from October 1 to October 30, 2019, and 431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materials. On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done with the use of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by the research ques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air shop professionals, the majority is between the age 20 and 30, and most of their monthly income is between 1 million won and 2 million. Second, generally staff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gave the most answers, and the biggest number of hair shop professionals work in franchised shops with over 10 employees, they work over 8 hours a day, and they receive fixed wages. Third, regarding each dimen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havioral adherence and customer orient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of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y, behavioral adherence i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of tendenc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of information offering, reliability, response and customer oriented thinking. Fourth, regarding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ehavioral adherence,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ll the sub-factors. Fifth, regarding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ustomer orientation, the components have a positiv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ed factors among each facto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 1 is implied to be self-efficacy, hope and resilience, and factor 2 is optimism. The behavioral adherence factor 1 is implied to be tendency, and factor 2 is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The customer orientation factor 1 is implied to be reliability and customer-oriented thinking, factor 2 is response, and factor 3 is implied to be information offer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mension of each factor's recognition could be comprehended, and therefore, hair shop owners can enhance behavioral adherence for tasks by encouraging employees to have positive psychology, and hair shop professionals can decrease employee turnover rate and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to clients by improving customer orientation along with positive thinking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their behavioral adherence is enhanced, which will be helpful for hair shop management.

      •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이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지미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663

        유아는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하며 발달할 권리를 가진다. 이러한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환경과 책임은 가정과 사회 공동체가 이행해야 할 의무이다. 특히,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부모만큼 직ㆍ간접적으로 개입하는 유아교사에게 많은 책임과 역할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개인과 환경요인들을 분석하고 실행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대안을 간구하면서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이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유아권리존중실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일반적 변인(연령, 경력, 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 및 유아권리존중실행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과 유아권리존중실행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이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국에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만 3~5세 유아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482부를 회수하였고, 최종 460부의 설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측정하기 위해 한혜영(2013)의 긍정심리자본 측정도구를,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하기 위해 신혜영(2004)의 직무스트레트 측정도구를 각각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전병성(2003)의 연구도구를 이용하였고, 유아권리존중실행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김진숙(2009)이 개발한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 동시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 Scheffé 검증을 이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 유아권리존중실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 유아권리존중실행은 연령, 학력,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 유아권리존중실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스트레스와 유아권리존중실행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이 유아권리존중실행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인지공감, 정서공감이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부족, 업무 과부하, 동료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은 하루 일과 존중에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정서공감이 영향을 받는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행정적 지원 부족, 업무 과부하, 동료와의 관계가 불가피한 영향을 행사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은 아동 최선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이,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인지공감, 정서공감이 결과에 작용했고,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부족, 업무 과부하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권리존중이 실행될 수 있도록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공감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지원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Young children have the right to happiness and healthy growth. Families and societies are mandated to foster the environment, and fulfill the responsibilities, for young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esponsibilities fall on preschool teachers, who directly/indirectly intervene in young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as much as their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reschool teachers’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look for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ractices, and provide basic data to inform efforts to ensure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with regards to the effect of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and empathy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To that end,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Do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empathy,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significantly vary depending on the teachers’ general variables (age, job experience, academic attainment, and type of institution)? Research Question 2. How are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empathy,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related with each other?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and empathy affect their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sending questionnaires to 500 preschool teachers teaching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at preschools across Korea, of which 482 were collected, and 46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measured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tress using the measurement tools proposed by Han (2013) and Shin (2004), respectively. The teachers’ empathy was measured using the research tool proposed by Jeon (2003), and a modified version of the tool proposed by Kim (2009)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This study performed a frequency analysis, a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A Scheffé test was performed for follow-up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ly,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empathy,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depending on their general variable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empathy,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depending on their age, academic attainment, job experience, and type of institution. Secondly,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empathy,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save for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Thirdly,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and empathy affect their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Specifically,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was found to be affected by self-efficacy, optimism, and hope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directors’ lack of leadership or administrative support, excessive workload,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seem to exert influence.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and empathy were also found to affect respect for daily life. Specifically, respect for daily life is affected by self-efficacy and hope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al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directors’ lack of leadership or administrative support, excessive workload,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exert unavoidable influence. In addition,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and empathy affect children’s best interest. Specifically, self-efficacy and hope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y affected the result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directors’ lack of leadership or administrative support and excessive workload were found to exert influence.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and empathy on their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They also suggest the need for finding ways to take interest in, and support, pre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athy, and reduce their job stress, so as to ensure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at preschools.

      • R&D연구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민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

        김성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663

        본 연구의 목적은 A기업의 R&D연구원의 긍정심리지본 및 학습민첩성이 혁신행동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긍정심리자본, 학습민첩성, 혁신행동에 대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이미 검증된 도구를 적용하였으며,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R&D연구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민첩성은 혁신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R&D연구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민첩성의 하위변인과 혁신행동의 하위변인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1> R&D연구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민첩성의 하위변인과 아이디어 창출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2> R&D연구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민첩성의 하위변인과 아이디어 홍보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3> R&D연구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민첩성의 하위변인과 아이디어 실행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조사 분석은 Windows용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요인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Cronbach's α 계수를 측정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과 기초통계 확인을 위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변인 간 영향 관계 파악을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민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하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663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에게 적용하여 긍정심리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로는 첫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유의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중등교사 310명 중 교사 심리적 소진 검사(TBI)에서 소진의 정도가 경계(T점수 55점) 이상이며,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 중 개인적 요인에 해당하는 ‘교직 회의감’이 경계(T점수 55점) 이상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 51명 중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희망자 2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11명씩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특성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ZOOM(줌)을 활용한 화상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박인우(1995)의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에 의한 타당화 과정을 거친 후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9월 17일부터 10월 22일까지 1주에 2회씩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Luthans et al.(2007)의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중등교사의 상황에 맞게 수정한 박민아(2021)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에 사전 · 사후 검사를 시행한 후 SPSS/Windows 2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이 갖는 신뢰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도 실시하여 구성 요소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의 구성 요소별 분석 결과 희망, 자기효능감, 낙관성, 탄력성의 네 가지 영역에서 실험 ·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회기별로 수집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서 실시한 활동으로 교직 생활에서 나를 있게 한 대상을 찾고 나의 성공 경험을 회상함을 통해 알게 된 강점을 활용하는 계획을 세우고 교직 생활에 관한 목표를 세우고 교직에서 갖는 나의 생각을 점검하며, 교직 생활 최고의 순간을 표현하고 교사로서의 비전을 선언하는 등의 활동이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긍정심리자본을 향상할 수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생 및 교육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긍정심리자본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이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화상 집단상담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다양한 상담 접근법과 활동을 포함하고 이를 구체적 활동지와 참고자료로 제시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심리적으로 소진된 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에 쉽게 활용할 수 있어서 심리적 소진을 예방 또는 치유하고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전국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했으나 주로 C도 위주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하였기 때문에 그 대상이 소수이고, 연구 결과를 중등교사 전체나 교사 전체로 일반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지역에 소속된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보다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추후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보다 장기적인 계획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을 구성할 때 연구 대상의 심리적 소진의 수준과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았는데, 이를 개선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넷째, 본 연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의 결과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는데, 이를 검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특성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예방을 위해 프로그램을 화상 집단상담으로 구안하였는데, 대면 집단상담의 강점과 비대면 집단상담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등을 활용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프로그램 구안자가 집단상담 진행을 했으므로, 프로그램 구안자가 아닌 다른 상담자가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 수도권 중소기업에서 코칭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한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662

        수도권 중소기업에서 코칭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기술의 발전과 글로벌화로 인해 기업의 경쟁 구조는 지역과 나라를 넘어 세계적인 규모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기업의 경쟁이 가중된 가운데 중소기업의 성장 과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소로 조직몰입과 혁신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칭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코칭리더십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 은 대기업, 관련 기업, 기관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선행연구를 통해 코칭리더 십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긍정심리자본이 유의미한 매 개 효과를 보인 만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변수 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경영전략을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있는 350인 이하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 문 조사를 실시하여 35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37부를 제외하고 통계 자료로 313 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데이터는 IBM사의 SPSS 23.0 버전과 R언어를 기반 으로 둔 프리 소프트웨어인 Jamovi 2.2.2. 그리고 JASP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의 수행평가와 관계는 긍정심리자본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역량개발, 관계는 긍정심리자본 희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코칭리 더십의 수행평가와 관계는 긍정심리자본 낙관주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넷째,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수행평가는 긍정심리자본 복원력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 능감과 낙관주의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여 섯째,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주의와 복원력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일곱째, 코칭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여덟째,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긍 정심리자본은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리더의 수행평가(피드백)과 관계가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 다는 점이다. 둘째, 리더의 방향제시와 역량개발, 관계를 통해 구성원들의 희망 수준 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리더의 수행평가(피드백)와 관계가 구성원들의 자신 감을 높여 낙관주의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리더의 방향제시와 수행평가는 구성원들의 복원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낙 관주의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을 촉진한다는 점이다. 여섯째, 구성원의 낙관주의와 복원 력이 혁신행동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곱째, 리더의 방향제시는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는 점과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자 기효능감을 향상시켜 조직몰입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덟째, 리더의 코칭리더 십이 혁신행동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방향제시와 수행평가와 같은 특정 요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리더는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코칭리더 십을 통해 혁신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코칭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혁신행동, 중소기업

      •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변화태도와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및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

        나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662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변화태도,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및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변화태도와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및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 수준을 구명하고,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긍정심리자본과 학습지원환경이 조직변화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며, 셋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변화태도의 관계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구명하고, 넷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학습지원환경과 조직변화태도의 관계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이며, 목표모집단은 30대 그룹사에 재직 중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는 조직변화태도,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변혁적 리더십,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변혁적 리더십은 연구의 목적과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존의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조직변화태도는 외국의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조직변화태도 척도는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경향성으로 구성되었으며, 긍정심리자본 척도는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탄력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학습지원환경 척도는 동료의 학습지원, 학습지원제도, 혁신적 분위기로 구성되었으며, 변혁적 리더십 척도는 카리스마, 격려적 동기,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로 구성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확보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1월 17일부터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온라인 설문 시스템(KSDC)와 우편 조사를 통해 10개 기업의 253명이 응답하였다. 이중 불성실 응답자료 13부를 제외하고 2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주요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조절변인 분석모형(moderator model)에 근거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조직변화태도, 긍정심리자본, 학습지원환경,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연령, 근속연수, 직무, 산업군에 따라 조직변화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변화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β=.633, p<.001). 또한,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학습지원환경은 조직변화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421, p<.001). 학습지원환경의 하위변인 중 혁신적분위기(β=.402, p<.001), 동료의 학습지원(β=.205, p<.001)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지원제도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변화태도의 관계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이 기질적 특성이 강하고,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절변인이 아니라 선행변인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학습지원환경과 조직변화태도의 관계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었다(β=.149, p<.05).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조직변화태도가 보통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조직변화태도를 다룸에 있어 성별, 직급, 연령, 근속연수, 직무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조직변화태도는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받는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조직변화태도는 학습지원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다섯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습지원환경과 조직변화태도와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한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였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첫째, 조직변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종단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직변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차원의 요인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조직의 규모에 따라 조직변화태도가 다른지 구명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실천적 활용을 위한 제언은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조직변화태도는 직급과 연령을 고려하여 다룰 필요가 있다. 둘째, 조직 차원에서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을 HR 프로세스의 선발단계부터 교육훈련까지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가 조직변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무형의 학습지원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 상사의 리더십을 키우기 위해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들을 변화촉진자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HRD 담당자는 상사가 변혁적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 네일리스트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 및 심리적웰빙에 미치는 영향

        유태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662

        본 연구의 목적은 네일리스트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와 심리적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적고찰을 통하여 규명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네일리스트 250명을 유층집락표집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5년 4월15일 ∼ 4월18일까지 3일간 집중적으로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0.0 version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네일리스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심리적웰빙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급, 연령, 학력, 근무년수, 월소득에 따른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심리적웰빙 모든 하위 요인에 통계적 유의하게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에서는 직급이 높은 집단(원장, 매니저, 관리자)이 낮은 집단(36스텝, 초급디자이너) 보다, 연령이 높은 집단(31세-35세, 36세이상) 집단이 낮은 집단(21세-25세, 25세-30세), 학력이 높은 집단(대졸, 대학원졸이상)이 낮은 집단(고졸, 전문대졸)보다, 근무년수가 높은 집단(5년이상)이 낮은 집단(1년미만, 1년-2년, 2년-3년)보다, 월소득이 높은 집단(300만원 이상)이 낮은 집단(100만원미만, 100만원-200만원, 200만원-300만원)보다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심리적웰빙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네일리스트들의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심리적웰빙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심리적웰빙 모든 하위 요인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네일리스트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넷째, 네일리스트의 긍정심리자본이 심리적웰빙에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네일리스트의 직무만족도는 심리적웰빙에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 지각된 부모자녀관계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학습·여가 균형의 매개효과

        허영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662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PC) refers to individual’s positive psychological state of development characterized by 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PPC is used as a coping resource to adapt well when pre-adolescence youths confront diverse uncertain chang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normative variations in PPC,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erceived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with the variables of gender and grade, (2) to examine the probable links among PPC,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erceived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3) to identify whether parent-child relationship would impact PPC and perceived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respectively, and (4)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PC. Seven hundred and seventeen students (309 of fifth grade and 408 of sixth grade) were recruited from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Daegu and Busan. Data on PPC,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erceived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was collected by surve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PPC was slightly above the median with no related effect based on gender and school grade. Regrad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boys were more discerning of overprotective and over-anticipating parenting than girls. In the case of autonomy-suppor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re were no gender and grade-related effects found. Compared with 6th graders, the 5th graders’ level of perceived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was higher. Second, PPC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level of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In additio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 were also relat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utonomy-suppor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correlations with PPC and the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were all positive. However, in the case of overprotective and over-anticipating parent-child relationship, correlations with PPC and the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were all negative. PPC and the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ird,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PPC and the balance level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Youth with high levels of PPC and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were those with high autonomy-suppor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low overprotective and over-anticipating parent-child relationship. Lastly, child perceived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had a mediating effect on child perceived relationship with parents to PPC. These effects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child’s gender, grade, parents’ academic backgrounds and subjective economic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autonomy-supportive and low overprotective and over-anticipating parent-child relationship facilitate development of PPC and increase the balance level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Child perceived relationship with parents not only has a direct impact on PPC, but also an indirect impact on it with mediation of the balance between academic and leisure domains. In this regard, parents need to grant autonomy and decrease over-protectiveness and over-anticipation to children in order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PC. 이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의미 있는 발달적 함의를 가지는 것에 주목하여 긍정심리자본 발달의 기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의 긍정심리자본, 지각된 부모자녀관계 및 학습·여가 균형이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긍정심리자본, 지각된 부모자녀관계, 학습·여가 균형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지각된 부모자녀관계가 학습·여가 균형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후, 학습·여가 균형이 지각된 부모자녀관계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아동의 긍정심리자본, 지각된 부모자녀관계(자율·지지형, 과보호·기대형) 및 학습·여가 균형은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아동의 긍정심리자본, 지각된 부모자녀관계(자율·지지형, 과보호·기대형)와 학습·여가 균형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지각된 부모자녀관계(자율·지지형, 과보호·기대형)는 아동이 지각한 학습·여가 균형과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3-1. 지각된 부모자녀관계는 학습·여가 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3-2. 지각된 부모자녀관계는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학습·여가 균형은 지각된 부모자녀관계(자율·지지형, 과보호·기대형)가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4-1. 학습·여가 균형은 지각된 자율·지지형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4-2. 학습·여가 균형은 지각된 과보호·기대형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대구, 부산에 소재한 초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5학년 309명, 6학년 408명, 총 717명의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여 지각된 부모자녀관계, 학습·여가 균형, 긍정심리자본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이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의 긍정심리자본은 중앙값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성별과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각된 부모자녀관계 중 자율·지지형 부모자녀관계는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반면, 과보호·기대형 부모자녀관계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지각했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여가 균형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5학년이 6학년에 비해 높았다. 둘째, 지각된 부모자녀관계, 학습·여가 균형, 긍정심리자본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율·지지형 부모자녀관계는 다른 변인들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과보호·기대형 부모자녀관계는 다른 변인들과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여가 균형은 긍정심리자본과 다소 높은 수준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아동의 성별 및 학년, 부모학력과 주관적 경제수준을 통제했을 때, 지각된 부모자녀관계는 학습·여가 균형 및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아동의 성별 및 학년, 부모학력과 주관적 경제수준을 통제했을 때, 학습·여가 균형은 지각된 부모자녀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긍정심리자본, 지각된 부모자녀관계 및 학습·여가 균형의 전반적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심리자본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며, 부모자녀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관계를 학습·여가 균형이 매개함을 입증하였다. 자녀의 자율성이 지지되는 부모자녀관계는 학습·여가 균형 수준을 높여 아동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는 반면, 자녀에 대한 과도한 보호와 과잉 기대는 학습·여가의 균형 수준을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긍정심리자본의 발달을 저해한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학습·여가 균형의 매개 역할을 규명하였다.

      • 코치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 코칭고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배용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662

        The demand for coaching is growing in our lives and organizations. As such, interest in coaching performance and coaching competencies is also increasing. Up to now, macro-methodology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coaching performance as experience has been accumulated through a lot of trial and error at the practical level, and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coaching. However, now is the time to develop microscopic studies that empirically analyze and set theoretical variables that affect coaching performance, rather than develop macroscopic methodologies.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how positive questions, negative questions, active listening, and acknowledgement, which are the constructs of coaching communication, affect self-efficacy, optimism, hope, and resilience, which are constru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rom a verbal and non-verbal perspectiv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ositive ques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optimism, hopefulness, and resilience, while they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ctive listening positively affects self-efficacy, optimism, and hope, bu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resilience. It was proved that acknowledgement positivel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optimism, while it had a very weak positive effect on hope, but not on resilience. On the other hand, negative questions were verifi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any compon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from the verbal point of view, the main vocabularies that determine the style of positive questions, negative questions, active listening, and acknowledgement are are specifically identified and presented, and how often they are used. If the research focus has been focused on clients' motivating effect in a large framework, this study has more microscopically verifying the meaningful association in each of the as four sub-elements of communi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four sub-elemen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dependent variables from a verbal and non-verbal point of view. It is said that it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vocabulary and frequency of use in coaching communication from a verbal point of view. Third, if most of the research on coaching performance has been studied only by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questionnair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quantitative research, in which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by apply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one of the first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t has an important meaning. The introduction of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for coaching performance research opens up the possibility of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coaching performance in the future, and further opens the way for IT (information technology) or AI (artificial intelligence) to be integrated. It means a lot in the sense that it will be a guide. Finally, by providing a method for objectively measuring and evaluating communication competency from the perspective of coaching practice,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communication competency standards from coach training institutes, including Korea coach association, to the stage of coach training and training through qualification and maintenance.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a direction for developing effective training programs. Despite the variety of significanc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expos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negative question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structs because coaches trained and leaders who succeeded in network marketing trained in coaching leadership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haps the negative question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onstru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f the research is extended to leaders, office workers, and the general public without coaching training. Second, despite the fact that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first to introduc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nto research on coaching performance, it remained as an aid to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future, it would be nice to be able to carry out research that can identify the impact relationship on coaching performance using only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Lastly, despite the significance of suggesting a method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communication competency i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it remains unfortunate that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coaching qualification was not show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tudies that can empirically compare an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aching qual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to come out to find the variables influencing coaching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코칭의 수요가 우리의 삶과 조직에서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런 만큼 코칭성과와 코칭역량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실무 차원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경험이 축적되면서 코칭성과를 높이는 거시적 방법론이 개발되어왔고, 코칭발전에 기여도 많이 했다. 그러나 이제는 거시적 방법론의 개발보다는 코칭성과에 영향을 주는 이론적인 변수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미시적인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언어적·비언어적 관점에서 코칭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인 긍정질문, 부정질문, 적극적 경청, 알아주기가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소인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먼저, 긍정질문은 낙관주의와 회망, 그리고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반면, 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적극적 경청은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회복탄력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알아주기는 자기효능감, 낙관주의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희망에는 아주 약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되, 회복탄력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에 부정질문은 긍정심리자본 어느 구성요소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두 번째로 언어적 관점에서 긍정질문, 부정질문, 적극적 경청, 알아주기의 특성을 결정짓는 주요 어휘들이 무엇이며, 어느 정도의 빈도로 사용되는지 구체적으로 밝히고 제시하였다. 그동안 큰 틀에서 코칭이 코칭고객의 동기부여에 효과가 있다는 것에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 왔다면, 본 연구는 언어적·비언어적 관점에서 보다 미시적으로 독립변수로서의 커뮤니케이션의 4가지 하위요소와 종속변수로서의 긍정심리자본의 4가지 하위요소와의 각각에서 유의미한 연관성을 검증하고, 언어적 관점에서 코칭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는 어휘와 사용빈도를 밝힌 것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세 번째로 코칭성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설문에 의한 양적연구로만 연구되어 왔었다면, 본 연구는 양적연구에 추가하여 최초로 빅데이터 분석 기법의 하나인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질적연구를 동시에 진행했다는 것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코칭성과 연구에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도입한 것은 추후 코칭성과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 가능성을 열어준 것이며, 더 나아가 IT(정보기술) 또는 AI(인공지능)를 접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길잡이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코칭 실무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코치협회를 비롯한 코칭기관에서 코치의 훈련 및 양성 단계에서 자격 인증 및 유지보수 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커뮤니케이션 역량 기준의 설정과 함께 효과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서 또한 의미가 있다. 이렇게 다양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세 가지 면에서 연구의 한계점이 노출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 코칭훈련을 받은 코치들과 코칭리더십 내재화 훈련을 받는 네트워크 마케팅에서 성공한 리더들이 연구에 참여한 이유로 부정질문과 긍정심리자본 구성요소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아마도 코칭훈련을 받지 않은 조직의 리더들과 직장인, 그리고 일반인으로 연구 대상을 확장한다면 부정질문은 긍정심리자본 구성요소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두 번째는 질적연구로 빅데이터 분석 기법의 하나인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코칭성과에 대한 연구에 최초로 도입했다는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적연구의 보조수단으로 머물렀다는 점이다. 추후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 방법만으로도 코칭성과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어적 관점에서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치자격의 등급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차이를 비교해서 보여주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향후 코치자격의 등급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유의미한 차이를 실증적으로 비교해서 보여줄 수 있는 연구가 잇따를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계기로 코칭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찾아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계속해서 나오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