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es Communes et le Développement Local en France et en Corée

        정옥주 Universite De Paris-Sorbonne(Paris IV) 2003 해외박사

        RANK : 234031

        1) 논문의 구성 ㅇ 총 3파트, 13장, 394쪽으로 구성 - 감사의 글: pp. 3-4 - 큰 제목 차례: p. 5 - 한국어 표기 규칙: p. 6 - 전체 서론: pp. 7-22 - 파트 1(서론, 1장, 2장, 3장, 결론): pp. 23-80 - 파트 2(서론, 4장, 5장, 6장, 7장, 결론): pp. 81-140 - 파트 3(서론, 8장, 9장, 10장, 11장, 12장, 13장, 결론) : pp. 141-322 - 전체 결론: pp. 323-352 - 참고 문헌: pp. 353-367 - 한국 용어 설명: pp. 369-370 - 상세 차례: pp. 371-384 - 부록: p. 385-394 2) 개 요 본 논문은 프랑스와 한국의 전통적 지리 공간들(territoires locaux)의 성격과 지역개발에 있어서의 역할에 대해 다루고 있음. 프랑스나 한국처럼 인간 정주역사가 매우 오래 된 나라의 지리 공간들은 지역 정체성(territorialite)이 결절된 일종의 ‘지역’이자, 현대에 이르러서는 지방분권에 의한 지역개발 주체로서 기능하고 있음. 본 논문은 농촌/농업 사회에 뿌리를 둔 양국의 전통적 지리 공간들(지역문화공동체들)이 형성되는 과정과, 이들이 도시화/산업화로 특징 지워지는 근대 문명에 적응해 가면서 지방분권 및 국토 경쟁력 강화 정책 차원에서 재해석?재조직(recomposition territoriale)되어 가는 내용을 살펴봄. 중세 교구(paroisse)를 토대로 구획된 기초자치단체 코뮌(commune), 광역의 데파르트망(departement)과 레지옹(region), 우리 식으로 보자면 ‘고장’ 정도에 해당하는 페이(pays)와 캉통(canton), 코뮌간 협력체(EPCI) 등 프랑스 지리 공간들이 갖는 공간적 특성을 우리나라의 지리 공간들(도, 시/군, 면/리, 농촌마을 등)과 비교하며, 이를 통해 두 나라의 상이하고도 유사한 공간 구획 원리에 대해 논함. 양국 지리 공간들의 기원과 형성에 대한 역사/문화적 접근과 병행하여, 국토공간 구획과 개발에 있어서 Pierre Foncin, Paul Vidal de la Blache 등 프랑스 근대 지리학자들의 기여를 지리학사적/응용지리적 측면에서 고찰함. 그리고 오늘날 중앙정부와 다양한 지리 공간들이 펴는 지역경제정책, 문화관광정책, 도시계획 등 구체적인 정책내용들을 거버넌스(gouvernance)와 지역개발 차원에서 살핌.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1990년대 이후 프랑스 국토정책의 핵심이 되는 ATR(1992), LOADT(1995), Chevenement(1999), LOADDT(1999), SRU(2000) 등의 법률을 다루고, 이것이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실현되어 가는 내용을 Bretagne 레지옹 Cotes d'Armor 데파르트망의 Communaute de communes de Lanvollon-Plouha, Communaute d’agglomeration de Saint-Brieuc, Pays de Guingamp을 구체적인 사례로 하여 연구함.

      • L'alchimie du vide chez Henri Bosco et la re>alite> contradictoire de la pense>e orientale

        최돈호 Universite> de Paris Ⅳ-Sorbonne 2000 해외박사

        RANK : 234031

        유년시절을 남불의 아비뇽 근교, 한가하고 적막한 전원에서 보낸 앙리보스코(1888-1976)의 작품세계는 외면적으로 보았을 때 단지 풍요로운 자연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 같지만, 태어난 순간부터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드는 열병을 앓아야만 하였던 작가는 내면적인 자연의 모습, 즉 고요함과 고독 속에서 나타난 자연과의 정신적 대화를 그의 작품 속에 표현하였다. 특히 작가는 1915년 당시 그리스전선에 통역하사관으로 종전하였다가 심한 부상을 당하였는데, 이러한 모든 사실들은 192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1976년까지 계속된 작품들 속에 영적 세계에 대한 명상, 즉 지상의 한시적인 고통을 극복하고 천상의 본래적 행복으로의 귀환이라는 그노시즘(gnossisme)적 주제를 설정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신플라토니즘(neo-platonisme)적 사상, 다시 말하여 고통받는 육체의 해방과 영혼의 자유라는 주제를 어떻게 연금술적 방법으로 이해하는가를 연구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Ⅰ장은 물질적 세계, Ⅱ장은 정신적 세계, 그리고 Ⅲ장은 이러한 양자의 촉매자인 꿈의 영역이후에 나타나는 시적 언어의 파괴, 변형, 조화를 다루는데, 우리는 도가의 음양관(陰陽觀)과 불교의 공(空)사상에서 자주 표현되는 '대일'(大一), '윤회'(輪廻)등의 용어를 빌어서 시인이 영적 황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게되는 상징적 죽음(LA MORT SYBOLIQUE), 재탄생(LA REINCARNATION), 변형(LA METAMORPHOSE)라는 통과 의례적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 위에서 제시한 각 장마다의 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Ⅰ장. 육체에관한 문제(물질적 세계): 작품의 주인공들의 육체적 상태에 관한 문제를 원소적 질서, 특히 물과 불의 대립적 의미화작용에 따라서 설명하였다. 이 양자간의 물질적 교차작용은 땅의 풍수(風水)적 질서의 기본이 되며, 그 바탕위에 세워진 집의 소우적 이미지는 대우주적 운동을 향하여 열려있는 자기(磁氣)적인 주인공들의 육체의 모습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한다. Ⅱ장. 영혼에관한 문제(정신적 현상세계): 작가가 표현하고자하는 내적 자아의 변형과정과 관련된 영적인 연금술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이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우리는 주인공들의 영혼의 상태를 1) 원소적 세계의 근저로부터 나오는 자연적 영혼, 2) 자연을 응시하는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이성적 영혼으로 나누었으며, 이들에 근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징적인 죽음을 통한 신화적인 변형이라는 주제를 다루었다. Ⅲ장. 구조의 파괴와 공(空)의 문제 : 우리는 이 장에서 작가가 추구하는 시적 언어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먼저 이 주제를 연구하기 전에, 시간과 공간의 종축과 횡축이 상대적 결합관계를 이루면서 완벽한 논리적 언어의 형태를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하였다. 이 형태는 내면의 심리적 질서를 기호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는 연극적 레알리떼와 연결되어있다고 고찰하였다. 그러므로, 보다 더 심층적 차원에서 우리는 이 문제를 '그레마스'가 제시한 발신자-수신자, 주제-대상, 조력자-적대자등의 관계속에서 설명하였고, 이 논리적 관계들을 동양의 구조주의라고할 수 있는 팔괘(八卦)와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한편으로, 그레마스적 체계와 팔괘의 체계는 모두 자연적 언어의 형식과 양태 속에서 존재하는 일상적 자아의 평범한 단면을 보여주는데, 작가가 현재적 자아의 파괴를 통하여 미지적 자아속에 숨어있는 신비적 세계에 심취할수록 비논리적인 언어의 착란현상은 더욱 심화됨을 연구하였다. 보스코의 글쓰기 과정에서 나타난 이 'le delire du langage'현상은 새로운 언어들을 발견하여 미래적 자아의 본질적인 모습을 찾기위한 꿈의 언어로 표현된다. 특히 작가가 추구하는 육체와 영혼의 결합,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하는 꿈의 시적 언어의 성립과 파괴는 A)일상적 언어를 부정하는 소극적인공(空),(le vide passif), B)정확한 명상의 세계에 돌입하는 적극적인공,(le vide actif), C) 완벽한 깨달음의 상태에 이르러 더 이상 언어적 재탄생이 반복되어 나타나지않는 거대한 공(le grand vide)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세가지 단계의 공은 작가가 영혼의 불멸성을 뜻하는 영적황금을 얻기위한 방법론으로 쓰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