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non-normal data

        동상옥 Dong-Eui Univ. 2012 국내박사

        RANK : 23297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chniques are considered today to be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and are used by biologists, economists, educational researchers, marketing researchers, medical researchers, and a variety of other social and behavioral scientists. In addition, many softwares have been developed for SEM and, over time, have grown steadily. However, a great obstacle for its wider use has been its difficulty in handling non-normal variables within the framework of generalized linear models. The strength of nearest neighbor variance estimation (NNVE) is its robustness against a large proportion of noise points and against deviation from normality of the signal. Consistent results with this method have been established. Under some reasonable assumptions,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variance estimate is bounded and that each point has only bounded influence on the final estimates. NNVE outperformed the popular minimum volume ellipsoid (MVE) estimator in simulation studies, with a big improvement when the proportion of outliers was very large.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five softwares for SEM with non-normal variables and compare them through some simulations. Also, outlier data is applied to the robust covariance. In addition, we compare the number of fit-index and methodologies produced in each software. In the comparison results, most of the softwares analyzed by recognizing binary data in the continuous data. However, some softwares were found to use a special covariance matrix to analyze data. For continuous data, we recommend Mplus's WLS and R's WLS, and for categorical data, we recommend LISREL's WLS using the tetrachoric correlation and R's WLS using the ploycor package. Also, for outlier data, the strong performance of NNVE is demonstrated in several examples. Thus, we propose the robust SEM by using the NNVE method in the case of existing outliers.

      • Induction of apoptosis by sanguinarine in human cancer cells

        한민호 Dong-Eui Univ. 2012 국내박사

        RANK : 232975

        Sanguinarine은 양귀비과에 속하는 혈근초(Sanguinaria canadesis)의 뿌리로부터 유래하는 benzophenanthrridine alkaloid의 일종으로 항균, 항염증, 항산화및 항암효능 등과 같은 다양한 약리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sanguinarine의 항암작용에 대한 부가적인 해석을 위하여 인체암세포의 증식억제와 세포사멸 유도에 관한 기전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U937 인체 혈구암 세포에 sanguinarine을 처리하였을 경우 처리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세포의 성장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 러한 성장억제는 apoptotic body의 형성, DNA 단편화현상 및 sub-G1기에 속하는 세포의 증가 등을 통하여 세포사멸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anguinarine이 유발하는 세포사멸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Bcl-2 family 중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유전자인 Bax의 발현증가 및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유전자인 Bcl-2의 발현 감소와 함께 세포사멸의 작용자로 알려진 caspase-3의 활성화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포사멸 억제 유전자인 Bcl-2를 과발현시켰을 경우와 caspase-3 특이적 억제제인 z-DEVD-fmk를 처리하였을 경우 sanguinarine에 의하여 유발된 세포사멸이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므로 Bcl-2 및 caspase-3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체 대장암 세포인 HCT-116 세포에서 sanguinarine에 의하여 유도되는 세포사멸에 대해 조사하였다. HCT-116 세포에서도 sanguinarine 처리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인 증식억제 현상 및 세포사멸 유도가 확인되었다. Sanguinarine이 유발하는 세포사멸에 있어서 Bcl-2 family 중 세포사멸 억제 유전자인 Bcl-2의 발현감소 및 세포사멸 유도 유전자인 tBid의 발현증가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의 증가와 함께 casp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IAP family 중 XIAP 및 cIAP-1의 발현감소가 관찰되었다. Sanguinarine은 caspase-3, -8 및 -9의 활성증가와 함께 caspase-3의 기질단백질인 PARP의 단편화 현상을 유발하였으며, pan-caspase 억제제인 z-VAD-fmk의 선처리에 의하여 caspases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sanguinarine에 의하여 유발된 세포사멸이 완벽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sanguinarine은 매우 빠른 시간에 활성산소종을 발생시켰으며, 활성산소종 억제제인 NAC을 선처리 하였을 경우 발생된 활성산소종이 완벽하게 제거 되었을 뿐 만 아니라 sanguinarine에 의하여 유발된 세포사멸과 그에 따른 분자적 변화가 완벽하게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 만아니라 sanguinarine은 EGR-1, p38 및 JNK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각각의 유전자들을 억제하였을 경우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EGR-1의 siRNA를 이용하여 EGR-1 발현을 억제 하였을 경우에는 sanguinarine에 의한 세포사멸이 부분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p38 및 JNK 억제제를 선처리하였을 경우에는 sanguinarine에 의한 세포사멸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체 방광암 세포에서 sanguinarine이 유발하는 항암기전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체 방광암 세포인 T24, EJ 및 5637 세포에 sanguinarine을 각각 처리하였을 경우 농도 의존적인 증식억제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증식억제 현상은 세포사멸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anguinarine이 인체 방광암 세포에서 유발하는 세포사멸의 경우 Bcl-2 family 및 IAP family의 발현변화와 함께 caspases의 활성화가 관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활성산소종의 증가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성산소종 억제제인 NAC의 선처리에 의하여 활성 산소종을 억제하였을 경우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는 지를 확인한 결과sanguinarine에 의하여 유발된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 및 세포사멸이 억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sanguinarine은 JNK 및 EGR-1의 활성화를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JNK 및 EGR-1의 활성화도 NAC의 의하여 완벽하게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JNK 억제제를 선처리하였을 경우에는 sanguinarine에 의한 세포사멸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EGR-1siRNA의 경우에는 sanguinarine에 의한 세포사멸을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여러 종류의 인체 암세포에서 sanguinarine은 세포사멸을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세포사멸은 Bcl-2 family 및 IAP family의 조절과 함께 caspases의 활성화가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세포 사멸 신호경로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활성 산소종과 세포사멸 유도 관련 전사인자인 EGR-1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N-methyl-D-aspartate antagonist inhibits serine phosphorylation of the spinal N-methyl-D-aspartate receptor induced by low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강별님 Dong Eui Univ. 2007 국내박사

        RANK : 232975

        저주파에 해당하는 2 Hz 전침 자극이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의 NR-1 및 NR-2B subunit의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계 흰쥐를 Størkson 등의 방법에 의해 척수막의 지주막하강에 catheter를 삽입하는 수술을 행한 후 마비 등의 척수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 antagonist인 D-2-amino-5-phosphonopentanoic acid (AP-5)를 투여한 후 족삼리와 삼음교에 해당하는 부위에 30분간 전침 자극하였다. 무통각 여부는 hot plate test를 시행하였으며 NMDAR NR-1 및 NR-2B subunit 발현과 인산화 여부는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으로 살펴보았다. 전침 무통각은 전침 자극 후 180분 후까지 지속되었으며 NMDA antagonist인 AP-5를 투여하였을 때 전침 무통각이 저하되었으나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Western blot 분석으로 보아 NMDAR NR-1, NR-2B, 인산화 NR-1 및 NR-2B의 발현은 전침자극에 의해 미약한 증가를 보이나 AP-5투여에 의해 현저한 저해를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에 의한 척수배각 구역별 발현을 보면, NMDAR subuint 및 인산화 NMDAR subunit는 전 배각에 걸쳐 관찰되나 경부(층판 Ⅴ-Ⅵ)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전침 자극에 의한 각 군별 NR-1 및 NR-2B 발현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는 천층(층판 Ⅰ-Ⅱ) 및 고유핵(층판 Ⅲ-Ⅳ)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AP-5 투여로 배각에서 인산화 NR-1이 유의성 있게 저하되었으며, 유의성은 없으나 인산화 NR-2B 발현도 일부 저하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주파 2 Hz 전침에 의한 무통각은 NMDA antagonist인 AP-5 투여에 의해 저해될 뿐 아니라 NMDAR subunit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전침 무통각의 과정에 NMDAR 및 NMDAR 인산화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I investigated whether the 2 ㎐ electroacupuncture (EA) analgesia is associated with phosphoryla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 subunits and NMDAR antagonism in the lumbar spinal cord. The NMDAR antagonist, D-2-amino-5-phosphonopentanoic acid (AP-5) dissolved in sterile saline and injected intrathecally. Two stainless-steel needles were inserted in each hind leg at those acupoints corresponding to Zusanli (ST36) and Sanyinjiao (SP6) in man and were connected to an electric stimulator The EA with 2 ㎐ stimulation started immediately after AP-5 injection for 30 min. EA analgesia was slightly reduced by intrathecal injection of NMDAR antagonist AP-5, but analgesic effects of EA still showed at 60 minutes after termination of stimulation in all EA-treated group.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EA stimulation produced an increase of serine phosphorylation of NMDAR NR-1 and NR-2B, especially in NA-1 subunits, in the spinal cord as compared with normal conditions. However, the intrathecal injection of NMDAR antagonist AP-5 significantly prevented serine phosphorylation of both NMDAR subunits induced by EA stimulation in the dorsal horn of spinal cord. As for regional reaction of NMDAR, immunoreactions were observed throughout all laminae of the dorsal horn of spinal cord and weaker ones showed in the neck region. The mean IOD of phospho-NMDAR of EA-treated rats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normal ones, especially NR-2B in the superficial laminae and nucleus proprius. But these expressions were decreased in EA-treated with AP-5 groups in the dorsal hor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A analgesia by stimulation of peripheral nerves may be involved in an increase of NR-1 and NR-2B serine phosphorylation in the dorsal horn of the spinal c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