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윤희 CHA의과학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중 위축, 주의집중력과 정서 중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 나아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임상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청소년 30명으로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2009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주 1~2회 60분씩 총 16회기에 걸쳐 임상미술치료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위축, 주의집중력, 우울·불안 등의 아동・청소년 행동변화 척도인 K-CBCL척도를 사용하였고, 질적 연구를 위해서는 K-HTP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양적 분석을 위해서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WIN 15.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변화 척도 중 위축, 주의집중력과 우울·불안에 대한 점수 각각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점수를 공변인(covariate)으로 통제한 후 실험-통제 집단이 사후점수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실험집단에서 사전-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변화 척도 중 위축, 주의집중력과 우울, 불안에 대한 점수를 이용한 쌍별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 분석으로서 K-HTP 그림진단 검사의 임상미술치료 전과 후의 변화를 분석하고, 임상미술치료의 전 과정을 개인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지적장애청소년의 위축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지적장애청소년의 주의집중 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지적장애청소년의 우울·불안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넷째, 실험집단의 K-HTP 그림 진단 검사와 임상미술치료 활동은 의미 있고 긍정적인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청소년의 위축 행동 감소, 주의집중력 향상, 우울·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지적장애청소년의 위축, 주의집중 등의 행동변화와 우울·불안 등의 정서적 변화에 임상미술치료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for improving orientation on the problematic behavior and emotional chang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o prepare basic data on the clinical art therapy effects in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intellectual disability at the special class of high school in Seoul. 15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arranged a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15 wer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went through a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for 16 times, each session being 60 minutes long and held once or twice a week from 1st September to 30th October, 2009.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the K-CBCL measurement were used for shrinking, power of concentration, depression・anxiety as the measurement for the change of juvenile and adolescent's behavior, the K-CBCL and K-HTP tests were used each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 statistics program called SPSS/WIN 15.0 was used for the following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An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enforced to verify the preliminary consubstantiality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as enforce in order to verify the change of the K-CBCL score and orientation score. This was done by controlling the preliminary score as the covariate and then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ost-factum score of the two groups lastly, a paired t-test was enforced using the preliminary and post-factum K-CBCL score and orientation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liminary and post-factum tests. Also, the change before and after clinical art therapy of the K-HTP art-diagnosis was effects of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ere analyzed during the process of clinical art therapy. 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shrinking measurement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decreased significantly. Second, power of concentration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ird, depression・anxiety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orth, the K-HTP art-diagnosis and clinical art therapy activitie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meaningful and showed a positive quality change. Thes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clinical art therapy gives a positive effect on reduction of shrinking behavior, power of concentration, depression・anxiety. This represents the necessity of clinical art therapy for the change of behavior such as shrinking, power of concentration and the change of emotion such as depression・anxiety. Key words : clinical art therapy, shrinking, power of concentration depression・anxiety

      •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공간지각력 및 일상생활동작수행에 미치는 영향

        최유나 CHA의과학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치료로서 시공간지각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공간지각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와 관련하여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신체상 및 신체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S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중 좌측 편마비 환자 14명이고, 그 중 실험집단 7명에게는 주 2회 총 12회기로 약 7주간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시지각 검사(MVPT), 한국판 -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WAIS), 일상생활활동 평가(FIM), 시계그리기 검사(CDT)와 도형, 색 그리기(FCC)검사, 구름, 집, 나무 그리기(CHTC)검사, 인물화 검사(DAP)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자료는 SPSS/WIN 15.0 프로그램에서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공간지각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MVPT 는 치료 전보다 치료 후 점수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K-WAIS는 치료 전보다 치료 후 점수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에서 FCC, CHTC, CDT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FIM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DAP의 그림 진단 검사 상에서 긍정적인 질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넷째,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회기별 그림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질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시공간지각 향상을 위한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시공간지각 뿐 아니라 일상생활 활동수행 능력의 회복과 신체상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났다. 이는 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기능회복에 있어 효과적인 재활 치료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as rehabilitation and spatial perception improvement o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Effects on th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body image, concept are also investigated. 14 stroke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hospitalized at the rehabilitation ward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e study. 7 of them were the experiment group and received 12 sessions of art therapy, twice a week for about 7 weeks. K-WAIS, FIM, drawing test tools such as CDT, FCC, CHTC, and DAP were applied as measurement tools.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with the SPSS/WIN 15.0 program. The following ar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for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spatial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the score on MVPT was higher after the therapy than before and the result was significant. And the score on K-WAIS was higher after the therapy than before and the result was not significant. The score on CDT, FCC, CHTC was higher after the therapy than before and the result was significant. Second, the experiment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fter receiving clinical art therapy. Third, as for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body image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t brought a positive qualitative change in drawing diagnosis tests such as the DAP of the experiment group . Fourth, analysis of drawings of each session indicated that clinical art therapy brought a positive change in quality among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clinical art therapy to improve visuospatial perception gives positive effects not only to the stroke patients' spatial perception but also to recovery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improving their body image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rt therapy being an effe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physical, psychological function recovery of stroke patients. Key words : stroke, hemiplegia, spatial percep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body image

      • 두개천골요법과 한방핀다요법이 노년기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황혜주 CHA의과학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15

        두개천골요법과 한방핀다요법은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의 심리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개천골요법과 한방핀다요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60대 이상의 여성들에게 주 2회씩 총 8회 동안 두개천골요법군, 한방핀다요법군, 두개천골+한방핀다요법군의 총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 요법의 사전과 매회 실시 후 13개 항목의 뇌파를 측정하였고, 사전과 8회 실시 후 정맥혈에서 정량의 코티졸과 에피네프린을 채취하여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스트레스, 우울, 불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요법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첫째, 두개천골요법이 뇌파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과 8회 수행 후 알파/하이베타, SMR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절대베타, 절대하이베타, 상대하이베타, SEF50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두개천골요법이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를 사전과 8회 수행 후 Cortisol과 Epinephrine의 집단별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Epinephrine항목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실험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두개천골요법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과 8회 수행 후의 비교에 따른 시각적 상사 척도-스트레스 척도, 시각적 상사 척도-우울감척도, 시각적 상사 척도-불안감척도, 죽음불안척도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한방핀다요법이 뇌파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과 8회 수행 후 절대알파, 상대알파, 알파/베타, 알파/하이베타, SMR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절대베타, 절대하이베타, 상대베타, 상대하이베타, SEF50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한방핀다요법이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를 사전과 8회 수행 후 Cortisol과 Epinephrine의 집단별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Cortisol 항목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실험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두개천골요법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과 8회 수행 후의 비교에 따른 시각적 상사 척도-스트레스 척도, 시각적 상사 척도-우울감척도, 시각적 상사 척도-불안감척도, 스트레스 척도, 우울척도, 일상생활불안척도, 죽음불안척도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두개천골+한방핀다요법이 뇌파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과 8회 수행 후 절대알파, 알파/베타, 알파/하이베타, SMR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절대베타, 절대하이베타, 상대베타, 상대하이베타, SEF50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두개천골+한방핀다요법이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를 사전과 8회 수행 후 Cortisol과 Epinephrine의 집단별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개천골+한방핀다요법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과 8회 수행 후의 비교에 따른 시각적 상사 척도-스트레스 척도, 시각적 상사 척도-우울감척도, 시각적 상사 척도-불안감척도, 스트레스 척도, 우울척도, 일상생활불안척도, 죽음불안척도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It is known that craniosacral and Pinda therapy has positive effect to psychological state lik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In order to prove effectiveness of craniosacral and Pinda therapy, the women older than 60 years ol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treatment; group of craniosacral therapy, group of Pinda therapy, and group of craniosacral and Pinda therapy. Each group was treated for total 8 sessions twice a week. Before and after providing each therapy, 13 items of brainwave were measured and before and after conducting 8 times of treatment, certain amount of Cortisol and Epinephrine were taken from the venous blood to verify the stress alleviation of each treatment. Also, survey on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each therapy in terms of stress alleviation. First regarding the effect of craniosacral therapy to brainwave, alpha/high beta, and SMR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before and after the 8 sessions of treatment while having significantly low score in the absolute beta, absolute high beta, relative high beta, and SEF50. For the assessment on the effect of craniosacral therapy to hormone related to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analysis made on the difference in the variables between the Cortisol and Epinephrine group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8 sessions of treatment. According to comparison made on the effect of craniosacral therapy to alleviation of stress before and after the 8 sessions of treatment, it showed significantly low outcome in the items of Visual Analog Scale‐Stress Scale, Visual Analog Scale‐Depression Scale, Visual Analog Scale‐Anxiety Scale, and Death Anxiety Scale.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Pinda therapy to brainwave, absolute alpha, relative alpha, alpha/beta, alpha/high beta, and SMR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before and after the 8 sessions of treatment while resulting in significantly low score in the absolute beta, absolute high beta, relative beta, relative high beta, and SEF50.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f Pinda therapy to hormone related to stress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8 sessions of treatment, the difference of the study variables in the Cortisol and Epinephrine was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 Cortisol showed significantly low scores and such finding is confirmed the experimental effect. Also, the comparison made on the effect of Pinda therapy to alleviation of stress before and after the 8 sessions of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low outcome in all items of Visual Analog Scale‐Stress Scale, Visual Analog Scale‐Depression Scale, Visual Analog Scale‐Anxiety Scale, Stress Scale, Depression Scale, Daily Activity Anxiety Scale, and Death Anxiety Scale.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craniosacral + Pinda therapy to brainwave before and after the 8 sessions of treatment, it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absolute alpha, alpha/beta, alpha/high beta, and SMR while having significantly low score in the absolute beta, absolute high beta, relative beta, relative high beta, and SEF50. For the assessment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8 sessions of treatment on the effect of craniosacral + Pinda therapy to hormone related to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analysis made on the difference in the variables between the Cortisol and Epinephrine group. According to comparison made on the effect of craniosacral + Pinda therapy to alleviation of stress before and after the 8 sessions of treatment, it showed significantly low outcome in all items of Visual Analog Scale‐Stress Scale, Visual Analog Scale‐Depression Scale, Visual Analog Scale‐Anxiety Scale, Stress Scale, Depression Scale, Daily Activity Anxiety Scale, and Death Anxiety Scale. In conclusion, craniosacral therapy, Pinda therapy, and craniosacral + Pinda therapy increased alpha wave while reducing stress by lowering beta wave and especially, Pinda therapy was effective to lower the blood Cortisol level, resulting in stress reduction. According to results derived from a subjective questionnaire, Cortisol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low in all items of Pinda therapy and craniosacral + Pinda therap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helpful for the me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in terms of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management.

      • 폐암 환자의 활동도에 따른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일주기 리듬변화

        최준영 CHA의과학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615

        배경: 일주기 내인성 코티졸 분비리듬(diurnal rhythm-mediated endogenous cortisol secretion:DRiCS)은 기상 코티졸 반응(cortisol awakening response:CAR)과 일주기 코티졸 분비감소(diurnal cortisol decline:DCD)로 이루어지며 기상부터 취침시간까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 HPA 축)의 기능변화를 반영한다. 암환자에서 빈번하고 다중적으로 나타나는 여러 증상은 내분비기능이상 증상과 중첩된다. 이들 증상은 암환자의 활동도(performance status:PS)와 관련되지만 활동도는 환자의 신체적인 활동만을 반영하고 내분비증상으로 대표되는 정신적인 기능이상을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암환자에서 HPA axis 기능조절의 표지자로서 코티졸 분비 일주기 리듬을 알아보고 폐암환자의 ECOG PS점수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진행된 폐암환자로부터 타액 코티졸을 측정하고 ECOG PS점수를 기록하여 코티졸 분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원발성 폐암 환자(n=52명)로부터 기상 직후, 기상 30분, 60분 후, 저녁 9시에 타액을 채취하여 타액에 포함되어있 는 코티졸 농도를 방사선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RIA)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코티졸의 농도로부터 CAR 지표인 기상 후 60분 동안 분비되는 코티졸의 총량(CARauc), 기상 후 60분 동안 분비된 코티졸의 증가량(MnInc)와 일주기 코티졸 분비감소(diurnal cortisol decline:DCD)지표인 아침/저녁 코티졸 농도의 비(M/N-F ratio)를 구하였고 각 시간대 별 코티졸 농도 및 보조지표를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활동도에 따른 보조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폐암환자의 각 시간대 코티졸 농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all F,p<0.01). 폐암환자의 CARauc 및 M/N-F ratio는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각각 U=880.0, p<0.01; U=889.0, p<0.01) MnInc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all U, p>0.05). 환자군에서 활동도와 CARauc, MnInc 및 M/N-F ratio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Spearman's r=-0.83, -0.77 및 -0.47). 결론: 본 연구는 폐암 환자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CAR이 저하되고 DCD의 둔화가 나타났으며 폐암 환자군 내에서 CAR저하와 DCD의 둔화는 ECOG 활동도 저하와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내인성 코티졸 분비 일주기 리듬을 나타내는 지표는 PS점수에 대한 보완적이고 객관적인 생물학적 표지자로서 가능성이 있다.

      •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oasted Red Ginseng Lateral Roots Powder

        조혜란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availability of red ginseng lateral roots by applying air jet impingement fluidized bed roasting as a novel processing technology an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roasted red ginseng lateral roots powders according to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e first chapter, background knowledge which is required to conduct this study was explained in detail. In the second chapter,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150°C, 160°C, 170°C, 180°C, 190°C, and 200°C)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lavor compounds of red ginseng lateral roots were investigated. The air roasting time and velocity of the jet impingement fluidized bed roaster were 10 min and 21.68 m/s,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total weight loss, expansion index and specific volum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p < 0.05). The extraction yields significantly increased by 38.34% at 200°C compared with unroasted samples (p < 0.05). The high-temperature roasted sample had larger and more porous structures on their surfaces than the unroasted sample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s. The major ginsenosides (Re, Rg1, Rb1, Rc, Rb2 and Rd) peaked at 150°C or 160°C, whereas the minor ginsenosides (Rh1 and Rg2) peaked at 190°C or 200°C. Furfural and maltol increased >444 and >10 times in the roasted samples at 200°C and 170°C,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unroasted samples. In the third chapter, the volatile compounds of unroasted and roasted red ginseng lateral roots according to different air temperatures under the air jet impingement fluidized bed roaster were analyzed. The volatile components of red ginseng samples at different air roasting temperatures were extracted using a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metho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A total of 52 volatile compounds were obtained in the unroasted sample, on the other hands, the total of 58 compounds (150°C and 200°C), 59 compounds (190°C), and 60 compounds (160°C, 170°C, and 180°C) were detected in the roasted samples at different air roasting temperatures. After detecting the volatiles, correlation between volatiles and unroasted and roasted red ginseng samples was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s the PCA results, the unroasted and roasted samples at 150°C and 160°C were located in the fourth quadrant, meanwhile, the roasted samples at 170°C, 180°C, 190°C, and 200°C wer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β-elemene, α-gurjunene, neoclovene, β-panasinsene, calarene, α-humulene, γ-elemene, and β-farnesene were correlated with the unroasted and roasted samples (150°C−160°C) and acetic acid, 2-methyl-5-formylfuran, acetylfuran, 2-furanmethanol, furfural, and maltol were correlated with the roasted samples (170°C−200°C). In the fourth chapt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oasted red ginseng lateral roots powders according to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were investigated. The roasted red ginseng lateral roots (170°C) powders were made by superfine grinding, fluidized bed granulation, and spray drying. The average particle sizes of the superfine powders (SG1, SG2, SG3, and SG4), fluidized bed granulated powders (FBG1 and FBG2), and spray dried powders (SD1 and SD2) were 19.47 ㎛, 13.07 ㎛, 10.80 ㎛, 9.28 ㎛, 89.90 ㎛, 148.33 ㎛, 11.07 ㎛, and 14.00 ㎛, respectively. In the superfine powders, the water solubility index (WSI) tended to be lower than other powders, but the water absorption index (WAI) and the angle of repose tended to be higher than other powders. Although the particle size values of fluidized bed granulated powders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other powders, however, the wetting times of fluidized bed granulated powders were significantly (p < 0.05) lower than other powders. The solubility and fluidity of fluidized bed granulated powders were shown to be superior to other powders. Comparing the fluidized bed granulated powders, FBG2 powder h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s in particle size, WSI, swelling time, and the angle of repose than FBG1 powder, but significantly (p < 0.05) lower values in WAI than FBG1 powder. In the case of spray dried powders, the wetting time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other powders, WSI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superfine powders, however, WAI tended to be lower than other powders.

      • 만성 삼출성 중이염 고막절개 시 무효천자의 임상양상

        홍재형 CHA의과학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15

        삼출성 중이염은 아동기의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로서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바이러스나 세균의 감염, 이관의 기능 장애, 알러지 혹은 만성 염증에 기인한 과도한 삼출액 생성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고막절개술과 환기관 삽입술은 만성 삼출성 중이염의 표준적인 수술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고막절개술을 시행하였을 때 중이 내에 삼출액이 없는 경우, 이른바 무효천자(dry tap)인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이비인후과 의사로서 종종 마주치게 되는 상황이지만 국내에서는 이에 관련된 연구가 거의 없고 외국에서도 소수의 문헌들만이 존재하여 그 임상적 의의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고막절개술시 우리나라에서 무효천자의 전체적인 빈도를 알아보려는 것이고 둘째는 무효천자와 관련있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며, 셋째는 고막절개술시 무효천자였던 환자들의 경과를 관찰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방침을 세우는데 도움을 얻기 위함이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분당차병원 이비인후과 중이염 클리닉에서 국소 점이 마취하에 레이저 고막절개술을 시행받은 73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3개월 이상의 약물 치료나 관찰에 반응하지 않는 지속적인 삼출성 중이염을 가진 환자들 604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무효천자 유무를 성별, 연령, 계절, laterality에 따라 분석하였고 무효천자였던 환자들을 경과 관찰하여 재발률 및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평균나이는 56개월(5개월-130개월)이었고 남자가 381명, 여자가 223명이었다. 고막절개술을 시행받은 계절별로 분류하였는데 봄 190명, 여름 131명, 가을 107명, 겨울 176명으로 봄과 겨울에 더 많은 수술이 시행되었다. 양측성 중이염이 296명, 편측성 중이염이 308명으로 총 900귀에 고막절개술이 시행되었다. 604명 900귀 중 92명 103귀에서 무효천자가 확인되어 전체적인 무효천자의 비율은 인원 기준 15.2%, 개별 귀 기준 11.4%였으며, 연령이 적을수록, 양측성 삼출성 중이염보다 편측성 삼출성 중이염에서 무효천자의 빈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무효천자로 확인됐던 92명을 대상으로 재발여부를 관찰하였다. 이 중 32례인 34.8%가 12개월 안에 재발하였으며, 이 재발률 또한 양측성 삼출성 중이염 환자군에서 더 높았다. 술 전에 고실도를 시행한 81귀에 대해서 고실도를 B형과 non B형(A, C1, C2)으로 나누어 재발률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는데, B형의 고실도를 보였던 귀에서 그렇지 않았던 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재발률을 보였다. 양측성보다 편측성 삼출성 중이염 환자군의 자발적 호전(spontaneous resolution)의 빈도가 더 높고 무효천자 후 재발률도 낮으므로, laterality가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어야 하며, 그로 인해 더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d and Objectives: Otitis media with effusion(OM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as in infants and children. The etiologies and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OME are very diverse. The standard operative treatment of OME consists of myringotomy and ventilation tube insertion. Patients undergoing myringotomy for OME may have no fluid in the middle ear at operation, the so called 'dry tap'. Articles dealing with dry tap are rare and the clinical implication was not well know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dry taps at myringotomy in our clinic population; secondly, to determine which factors were related with dry tap; thirdly, to observe the progress of dry tapped ears for the search of optimal management. Subjects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of the enrolled 604 patients(900 myringotomies). They were received myringotomies with laser under topical anesthesia for OME persisting more than 3 months. The presence of fluid or dry tap at myringotomy was documented. We also recorded and analysed the data on the following: sex, age, seasonal variation and laterality. Regular follow-up checks were made to collect the relevant data of recurrence in the dry tapped patients. Results: The average of age was 56months(ranged from 5 to 130) and 381 were male, 223 female. The number of unilateral OME was 308 and that of bilateral one was 296, so total myringotomies reached 900. Dry taps were found in 92 from 604 patients and 103 from 900 ears each. So the overall rates of dry tap were 15.2%(92/604) per patients and 11.4%(103/900) per ears. The higher rates of dry tap were related with younger age group and unilateral OME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currence rate of OME in the dry tapped patients was 34.8% and higher in the bilateral OME group and type B tympanogram group than unilateral one and non type B tympanogram one. Conclusion: The unilateral OME group had the higher rate of dry tap and the lower rate of recurrence after dry tap myringotomies than the bilateral OME one, so laterality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criteria for management decisions. This will make the management for OME more efficient. Keywords : otitis media with effusion, myringotomy, dry tap, laterality, unilateral, bilateral

      • 잎파래 추출물의 치은염 개선및 억제 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조한빈 CHA의과학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615

        치주병은 치아우식증과 더불어 치아를 발거하는 중대구강병중 하나이다. 그러나 초기 병소에 의한 자각증상이 크지 않아 대부분의 경우 치과의사의 치료없이 방치되고 있다. 그러므로 각 개인이 저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치주병예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강위생용품은 잇솔(toothbrush)이며 잇솔을 제외한 구강위생용품중에서 구강양치액 사용자가 11.8%로 제일 많았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에 자생하고 있는 57종의 해조류를 수집하여 P. inte- rmedia 와 P. gingivalis의 생육억제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중에서 생육 억제효과가 높은 Enteromorpha linza의 phenolic rich compound 분획을 구강양치액 으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6주간 연구자단일맹검법(single blind study)을 사용하여 E. linza extract 양치액을 실험군으로 치은염 억제 및 개선 효과가 있는 지 알아 보기 위하여, 19세에서 34세까지의 성인남녀 55명(실험군 37명, 대조군 18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1일 2회씩 가글링을 하고, 다음 2주는 중단하게 한 후 상하악제일대구치와 중절치부위에서 치면세균막지수, 치은염지수, 치은출혈지수, 치은열구액내의 P. intermedia와 P. gingivalis의 수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7종의 해조류 중에서 P. intermedia와 P. gingivalis균에 대한 생육억제효과가 17종(29.8%)에서 나타났고 그중에서 E. linza, S. sagamianum, U. pertusa가 가장 높았다. 2. E. linza를 극성에 따라 분리했을때 생육억제효과를 나타내는 main compound는 phenolic rich compound 이었다. 3.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출혈지수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용기간동안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01), 치은염지수의 경우 실험군은 2주경과단계에서 상승하였다가 그 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01) 4. 치주병원균중에 P. intermedia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용 기간 동안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01), P. gingivalis는 실험 1주까지 E. linza와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001) 2주경과단계 이후 검출되지 않았다. 5. E. linza extract 양치액을 4주간 사용시 치은염개선 및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P. intermedia와 P. gingivalis의 real time PCR법과 임상지수(PI, GI, BOP)와 경향성이 일치하였으므로 P. intermedia와 P. gingivalis가 치은염의 지표로 적합하였다. Periodontal diseases are complex lesions that are associated with various risk factors. These lesions are initiated by the accumulation of gingival plaqu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ooth-care while the teeth are healthy. Rinsing with mouthwash is an effective method of oral hygiene while teeth are healthy. The most desirable property of a mouthwash is that it exerts anti-paradentitis effects without dangerous side effects. Therefore, we searched for an alternative therapeutic agent in natural marine comp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57 species of seaweed harvested in Korea on Prevotella intermedia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o establish the inhibitory effect of Enteromorpha linza extract. To accomplish this, a clinical study of 55 subjects (E. linza = 37, Control=18) who used mouthwash two times a day for four weeks and did not use mouthwash for the next two weeks was conducted. Specifically, we compared an experimental mouthwash containing E. linza extract to a positive control (LISTERIN®) based on the Plaque Index, Gingival Index, Bleeding On Proving and the concentration of P. intermedia and P. gingivalis as determin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a single blind study. 1. The agar diffusion method revealed only 17 species (29.8 %) that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 intermedia and P. gingivalis. Among these, E. linza, S. sagamianum and U. pertusa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s. 2. In the broth microdilution assay, the MIC value of E. linza extracts against P. intermedia was 625 μg/mL, while it was 312 μg/mL against P. gingivalis. 3. When fractionated according to their polarity, the main active compounds of E. linza were determined to be phenolic rich compounds. 4. For PI and BOP, during the four week application period, the E. linza extract and control were significant decreased (p<0.0001). Additionally, during the second week, treatment with E. linza extract led to a slight increase in GI; however, this was significantly lower after the fourth week of treatment (p<0.0001). 5. Treatment with E. linza extract and the control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P. intermedia during each application period (p<0.001), while for P. gingivalis, treatment with E. linza extract and with the control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the 1st week of application (p<0.0001). After the second week of treatment with E. linza extract and the control, P. intermedia were not detected. 6.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use of mouthwash containing E. linza extract for 4 weeks would prevent and inhibit common gingivitis. key word : Enteromorpha linza, listerine, Prevotella intermedia, Porphyromonas gingivalis, real time PCR

      • 염색시술시 모발 손상에 대한 펩타이드 성분의 보호효과

        조정화 CHA의과학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15

        Hair dyeing and bleaching are often used as an action for expressing outward beauty or supplementing flaws like premature gray hair, but the chemical/physical action occurring in the treatment process and repetition bring about hair damage and result in hair not being restored to healthy hair.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hair damage, to check the change of the tissues in dyeing treatment utilizing peptide as a pre-treatment agent and to utilize the results as the data for the use of the peptide content’s function of hair prot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ducts using the content in the future. As for research method, this study divided hairs into four groups and treated general bleaching for Groups A, C, and D, and treated bleaching after pre-treatment with peptide for Group B. In other words,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a group of hairs not treated with bleaching treatment and three groups treated with bleaching, one, two and three times, respectively. Group A was a control group. Group B was a peptide-pre-treated group. Group C was a dyeing-treatment group, treated with general dyeing. And Group D was a pre-treatment and dyeing group, treated with dyeing after pre-treatment with peptide. Then, the dyed hairs were pre-treated with peptide after general dyeing and three times of bleaching, and the surface of the dyed hair was checked using scanning microscopy while for tensile strength, a solder pull-off force tester was used. The difference in hair color was checked, using a color-difference meter. In addition, these hairs were shampooed five times at an interval of two days, and the difference in hair color was checked, using the color-difference meter. As a result, the pre-treatment and bleaching group got less damage to the cuticles as compared to the general bleaching group, had less phenomenon of the hair cuticles sticking together and melting down even with repeated treatments. Through the picture, it was found that unlike the non-treatment and dyeing group, in the pre-treatment and dyeing group, even in hairs bleached several times repetitively. Cuticles did not melt down and there was a phenomenon of the separation of cuticles. In the pre-treatment and dyeing group, unlike the dyeing-treatment group, the tensile strength was high,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imes of bleaching. As for L* valu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bleaching, the more the number of times of bleaching, the lighter the color became in the non-treatment group and the color became sharply lighter at one time of bleaching in the dyeing-treatment group. As for a* value, the more the number of times of bleaching, the closer the color became to the red in both the non-treatment group and the dyeing-treatment group. It turned out that the increase was the lowest between one time and three times of bleaching. It turned out that in the pre-treatment and dyeing group, the color rapidly changed into red till the hair was bleached two times. As for b* value, the color changed into yellow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imes of bleaching in the non-treatment group and the dyeing-treatment group. In the pre-treatment and dyeing group, the color changed the most to the yellow at three times of bleaching. As for L* value, the color difference in the dyed hai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shampooing and pre-treatment, for the hairs not bleached (zero time of bleaching), the difference in L* between one time and five times of shampooing in both the dyeing-treatment group and the pre-treatment dyeing group. In addition, at one, two and three times of bleaching, the more the number of times of shampooing, the higher the brightness became in the dyeing-treatment group. As for a* value, for the hair not bleached, the color decreased and became closer to green at five times than at one time of shampooing in the dyeing-treatment group, while it increased and became closer to red at five times than at one time in the pre-treatment dyeing group. As for b* value, in no bleaching, the more the number of times of shampooing, the closer the color became to yellow in the pre-treatment dyeing group as compared to the dyeing-treatment group. It turned out that for the hair bleached one time, it became closer to yellow at five times than at one time of bleaching in the dyeing-treatment group, while it became closer to blue at five times more than at one time in the pre-treatment dyeing group.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re-treatment of the hair using peptide has strengths, such as the function of protection as artificial protective film, the prevention of changes in color because of fading and the increase of the maintenance of the hair dye’s unique color. Also,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ved the peptide content’s function of protecting hair in the conditions that affect hair damage such as bleaching, dyeing, and shampooing through photography, tensile strength and a color-difference meter. 모발의 염색과 탈색은 외적 아름다움을 표출하거나 새치 등의 결함을 보완하는 작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시술 과정 시 발생하는 화학적·물리적 작용과 반복성으로 인해 모발의 손상 및 건강한 모발로 복구 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펩타이드를 전처리제로 활용하여 염색 시술 시 모발의 손상도 평가와 조직적 변화를 확인하고 펩타이드 성분의 모발 보호 기능과 추후 펩타이드 성분을 이용한 제품 개발의 자료 활용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방법은 모발을 4개 군으로 나누어 A군, C군, D군은 일반 탈색, B군은 펩타이드 전처리 후 탈색을 시술 하였고, 각 군 모발은 탈색 처리 하지 않은 군과 탈색을 각각 1, 2, 3회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A군은 대조군, B군은 펩타이드 전처리군, C군은 일반 염색을 처리 하여 염색처리군, D군은 펩타이드 전처리 후 염색 시술한 경우 전처리염색군으로 분류하였다. 일반 염색과 3회 탈색을 진행 한 후 염색한 모발에 펩타이드를 이용한 전처리 후 염색 모발의 표면은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인장강도는 솔더 이탈력 시험기를 이용하였고, 모발의 색상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모발을 2일 간격으로 샴푸를 5회 실시하여 색차계를 이용한 모발의 색상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전처리 탈색군은 일반탈색군에 비하여 모표피의 손상이 적고 반복적 시술에도 모발의 모표피의 뭉침 현상과 녹아내리는 현상이 더 적게 나타났으며. 전처리 염색군은 비처리염색군에 비하여 탈색 횟수가 반복적으로 진행된 모발에서도 모표피가 녹아내리지 않고 모표피의 문리현상이 존재하는 것이 사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처리 염색군은 염색 처리군에 비하여 탈색횟수에 관계없이 인장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색횟수에 따른 L* 값은 비처리군의 경우 탈색 횟수가 증가할수록 밝아지고 염색처리군은 탈색 1회 급격하게 밝아졌다. a* 값은 탈색이 진행될수록 비처리군과 염색처리군 모두 붉은색 계열로 변화하였으며, 탈색 1회와 3회 사이에 증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처리염색군은 탈색 2회까지 빠르게 붉은색 계열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값은 비처리군과 염색처리군은 탈색 횟수가 노란색 계열로 변화하였다. 전처리염색군은 탈색 3회에 노란색 계열로 가장 크게 변화하였다. 샴푸 횟수와 전처리 여부에 따른 염색모발의 색차 L* 값은 탈색 0회는 염색처리군과 전처리염색군 모두 샴푸 1회와 5회의 L*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탈색 1회, 2회, 3회시 염색처리군은 샴푸 횟수가 증가할 수록 명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 값은 탈색 0회는 염색처리군은 샴푸 1회에 비하여 5회에 감소하여 그린 계열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처리염색군은 1회에 비하여 5회 증가하여 붉은 계열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 값은 탈색 0회는 전처리염색군이 염색처리군에 비해 샴푸 횟수가 증가할수록 노랑 계열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색 1회의 염색처리군은 1회에 비하여 5회에는 노랑 계열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처리염색군은 1회에 비하여 블루 계열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발의 펩타이드를 이용한 전처리가 인공보호막으로 보호 역할의 기능과 물 빠짐으로 인한 색상의 변화를 방지하고 염색제 고유의 색상에 대한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확인하였으며, 탈색, 염색, 샴푸 등 모발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서 펩타이드 성분을 이용하여 사진촬영과 인장강도, 색차계를 이용한 모발 보호 기능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