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The Role of Media in Koreans' Attitudes Toward Refugees : Focusing on Perceptions of Economic and Cultural Threat

        Mustafa, Shaden Ahmad M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1 국내석사

        RANK : 200511

        본 논문은 한국인의 난민에 대한 지식, 위협 인식 그리고 한국 미디어의 난민에 관한 보도를 탐구하는 것이 목표이다. 첫째, 한국인의 난민에 대한 지식은 26 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둘째, 상징적 위협 인식, 실질적 위협 인식 그리고 언론 보도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한국내 난민을 보도한 신문 기사가 어떠한 접근 방식과 주제 패턴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주제의 분석 이론을 도구로 이용하였으며, 조선일보 및 한겨레 신문사를 중심으로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한국내 난민 이슈와 난민 현황과 관련해서 한국인들의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징적 위협 인식 및 실질적 위협 인식은 나타나긴 하였지만, 유의미하게 높은 정도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조선일보 및 한겨레 기사 분석과 관련해서는 여섯 가지 주제가 나타났다. 그 주제는 인도적 관점, 대중의 태도, 정부의 태도, 난민지위 인정 결정의 절차 케이스 소개, 난민에 호의적이지 않은 관점 그리고 난민의 한국 유입이다. 예멘 난민 문제가 이슈가 되기 전까지만 해도 한국에 있는 난민에 대한 언론 기사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 또한 난민법과 난민 현황, 그리고 특히 인정된 난민 현황과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이미 한국인들의 지식과 언론의 정확한 보도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올바르게 잡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인에게 미디어를 통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과 정확한 보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South Koreans’ knowledge, threat perceptions and attitudes, as well as Korean media coverage of refugees in South Korea. First, knowledge of refugees was measured by conducting an open-ended question survey with 26 Korean participants. Seco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symbolic and realistic threat perceptions as well as Korean’s satisfaction with the media coverage. Third, a thematic analysis was applied to two Korean newspaper articles, specifically Chosun Ilbo and Hankyoreh articles, to find patterns of topics being approached by Korean mainstream mass media regarding refugees or asylum seekers in South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s lack knowledge in terms of refugees’ issues and especially in regard to the current South Korea context. When it comes to symbolic and realistic threat, Koreans did not demonstrate a significant awareness of these two types of threat, although they were present in their answers to the open-ended question survey and the online survey. When it comes to the two newspaper articles, Hankyoreh and Chosun Ilbo, six themes were unveiled during the analysis: humanitarian perspective, public attitudes, government attitudes, introducing RSD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process cases, unfavorable refugees, and refugees’ inflow to South Korea. Newspaper coverage of refugees in South Korea turned out to be very insufficient in informing and creating awareness about refugees in South Korea. There seemed to be an extreme lack of published articles until the spurge during the heated issue of Yemenis refugees in Jeju Island. There also seemed to be a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ountry’s policies regarding asylum seekers and especially integrated refugees. This insufficient coverage and subsequent lack of knowledge can have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misconceptions and therefore nega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refugees, that become increasingly more difficult to ameliorate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more accurate informa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ed for informing people, an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through media coverag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online survey, second, the use of articles from only two Korean newspapers as a basis for media thematic analysis, third, lack of previous studies regarding.

      • An Intellectual Inquiry into Jung Young Lee's Theology of Marginality : Focusing on Lee's Understanding of Divine Pathos

        Choi, Hyun Joo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1 국내박사

        RANK : 200478

        이정용의 ‘역의 신학’과 ‘신의 마음’ 사유는 이정용이 주변인의 자리에서 신을 사유한 주변성 신학의 기저(基底)를 이루었다. 이는 또한 이정용 신학이 당대 북미 한인 신학자들의 사유와 구분되는 지점이다. 본 연구는 이정용의 사유가 북미 한인의 실존적인 문제에서 비롯하여 아시아 신학으로서 확장에 이른 부분에 주목한다. 즉 개인의 실존 체험에서 비롯한 주변성 인식이 보편성을 지니고 확장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정용이 주변성을 인식하고 고유한 관점을 형성한 기반인 ‘변화하는 신’에 대한 사유를 ‘신의 마음’이라는 관점에서 시작한다. 이정용의 ‘주변성’에 기반을 둔 문제의식은 ‘신의 마음’을 논의한 초기 신학부터 내재하였다. 이후, 동양의 형이상학인 역(易) 사상으로 세계 종교로서의 기독교를 해 석한 ‘역의 신학 ’은 ‘주변 성’에 기반한 이정 용의 실 존적 의식과 통찰에서 나온 산물이다. 이정용은 이러한 사유의 과정을 ‘신의 마음’에서 ‘역의 신학’으로, 이후 주변성 신학으로 연속적으로 전개한다. 이정용은 그리스도의 속성인 ‘아가페’(agape)를 중심으로 ‘신의 마음’을 이해했으며, 이는 믿음을 통한 관계성이 전제된 사고에 근거한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신의 수난가능성’을 논하고 이후, 동양 형이상학적 사유에 뿌리를 둔 ‘변화’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신의 공감’(divine empathy)을전개한다. 역의 신학에서는 이와 연관하여 요한복음의 로고스를 논한다. 그리하여 이정용에게 ‘신의 마음’과 ‘하느님의 말씀’(divine logos)은 태극의 음양 구조와 같이 양자를 상호포괄하는 관계 안에서 존재한다. 이정용 신학에서 변 화하 는 신은 서로 다른 양 자( 兩者)를 상호 포괄하며, 내재적 부정, 내재적 긍정, 내재적 초월의 속성을 함유한 주변성을 지닌다. 또한 이정용의 신학 방법론은 신학적 구성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연구에서는 바르트(K. Barth)의 관계 유비 개념과 후기 신학에서 사용한 ‘양자모두’(both/and)를 이정용 사유의 전개와 연결하여 논한다. 이정용이 『마지 널리티』에 서 제시한 주변성의 삼 단 계인 ‘사이 안에( inbetween), 함께 안에(in-both), 너머 안에(in-beyond)’는 주변인의 실제적인 상황을 개념화한 모델이다. 이정용은 인간 예수가 이러한 모든 과정을 거쳐, 신과의 합일을 이룬 ‘최고의 새로운 주변인’으로 인식하며, 예수를 창조의 핵심을 이룬 존재로 바라본다. 이정용에 의하면, 주변인은 변화하는 주체, 신과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주체다. 주변성 신학에서 주변은 끊임없이 중심으로 이동하는 실체다. 주변부가 이동한 새로운 중심은 중앙의 중심이 아니라, 이전의 중심을 주변화하고 새로운 핵심적인 중심을 만들어간다. 즉 주변과 중심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상호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중심이 형성된다. 이러한 변화와 주변성에 대한 지속적인 사유와 기독교에 대한 동·서양의 형이상학적 고찰을 기반으로, 이정용은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민중신학에 대한 해석과 비판적인 관점을 전개한다. Jung Young Lee (1935-1996) is arguably one of the most renowned Korean American theologians of our times who made seminal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theology of change (易神學) and theology of marginality. Lee appreciated and contemplated God, based on the ideas, derived from Eastern philosophies, such as Daoism, Confucianism , and NeoConfucianism and thinkers of modern Asia. He regards the reality of God as “change itself” on the basis of cosmology of Yijing (易經). This study begins with Jung Young Lee’s understanding of divine pathos, and thereafter investigates his foundational thoughts of the ‘changing God,’ before finally looking at the basis on which he recognized marginality and formed his perspective. Lee understood divine pathos as centering on the suffering of God and ‘agape,’ the attribute of Christ, and this forms the basis for the presupposition of a relationship through faith. Lee discussed the ‘passibility of God’within the above-mentioned analytical framework and developed it into his own theory of divine empathy rooted in his perception of changes as found in the Eastern metaphysical ideas. After borrowing it, Lee was equipped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logos in the Gospel of John in the theology of change. Thus, for Lee, divine pathos and divine logos co-exist within a relationship that encompasses both, like the yinyang structure of Taiji. For Lee, the changing God has the traits of marginality, the ‘in-beyond-ness,’ crossing between the two, logos and pathos. On the other hand, the overriding theme of Lee’s theological works is encapsulated in his reassessment and re-definition of the theory of marginality. The concept of marginality is rooted in his own existential experience in North America, and is deeply embedded within his personal experience. In Lee’s framework of analysis, marginality itself is central, and he proposes this idea by integrating his metaphysical thoughts within the matrix of the concept of change of the Eastern philosophy. Marginality represents and reflects not only Lee's identity but also his unique theology. Le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gin and the center ingeniously by highlighting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the margin and looking at it as a locus of creativity. Lee employs the Asian Classical theory of change (Yi, 易) to comprehend the disappearance of centrality through the process of the “overcoming of marginality by itself.” The notion of change, borrowed from the Yijing enables him to describe Christianity, focusing on the Hebraic understanding of God. Lee’s theology is meaningful to examine how the Korean immigrant (Korean-American) integrated the Eastern and Western ideas to establish his own identity. In this sense, Lee’s theology is profoundly meaningful and serves as an analytical tool to examine how the Korean immigrant organized his own reasoning combining with the eastern and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s.

      • (A) Study on Korean War Poetry : With Comparative Insights form Spanish Poetry

        Garcia Rabadan, Teresa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4 국내석사

        RANK : 200255

        한국과 스페인은 속해 있는 대륙은 아시아와 유럽으로 각기 다르다. 그러나 이 두 대륙은 지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유라시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스페인은 유라시아의 가장 서쪽에 있고 한국은 가장 동쪽에 있다. 이 두 나라의 언어와 문화와 역사, 그리고 인종적으로도 서로 관련이 거의 없다. 하지만 20 세기에 들어서 양국가의 근대역사는 비슷하게 전개 되었다. 스페인에서는 1936 년 쿠데타가 일어나서 내전으로 발전했고, 1950 년에 한반도에서는 북한의 침공으로 전쟁이 발발해서 3 년 동안 계속되었다. 전쟁을 겪는 동안 특히 시인들은 그들이 겪은 전쟁의 공포, 전쟁의 참상, 전쟁에 대한 그들의 느낌을 시작품으로 승화시켰다. 어떤 시작품은 전쟁의 장면을 그대로 묘사하기도 했고, 어떤 시작품은 이념적 선전의 도구로 창작되기도 했다. 또 다른 시작품은 시인의 정서와 생각의 표현이기도 했고, 그런 창작 활동 중에도 문학예술로서의 미적인 성취를 의해 노력하기도 했다. 이러한 작품의 분류는 M.H. Abrams 의 The Mirror and the Lamp 의 문학 이론을 따른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한국과 스페인의 전쟁시를 조명해보며, 양국의 시작품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각 분류의 대표적 시인으로 선정하여, 그의 대표적인 전쟁시 작품을 분석하였다. 비교 연구의 편의를 위해 한국시와 스페인시를 영어로 번역하여 비교하였다. 분석한 한국 시인은 조지훈과 유치환, 구상, 스페인 시인은 미게르 에르난데스와 라파엘 알베르티와 안토니오 마차도이다. M.H. 에이브럼스의 반영론적인 이론에 의한 분석의 결과, 양국의 전쟁 시인들의 전쟁의 현실을 묘사한 이미지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용론적인 이론에 의한 분석의 결과, 양국 전쟁시의 차이점은 독자에 대한 접근 방법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한국 시인들의 전략은 독자를 회유하거나 또는 중립적인 반면, 스페인 시인들은 다양한 태도를 보여주었다. 양국의 시인들이 선전적인 어조를 공유하고는 있지만, 한쪽 편의 시인들은 미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표현론적인 이론에 의한 분석의 결과, 한국과 스페인 시인들의 정서는 매우 유사하였다. 툭히 양국 전쟁시에서 화자인 시인과 작품에 등장하는 적군의 형상과의 관계가 확연히 다르다는 점이 특기할 만한 것이었다. Korea and Spain belong to two different continents: Asia and Europe. These two conti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geographically by the so called Eurasian continent. The full length of this continent li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While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the Iberian peninsula lies in the western part. However, modern history has brought them closer since both countries have suffered in the course of the last century the tragedy of a war. First, it was Spain that saw its country divided by the outburst of a civil war in 1936. In 1950, it was the Korean War that broke out in the peninsula after the North Korean attack and it lasted for 3 years. The poets that suffered the horrors of the war used their lyrics to describe the situation that they were witnessing. Some of these poets use their songs to encourage their countrymen to defend their cause. Others prefer to express their sorrow and desperation for the destruction of their country. There is also a group that are more committed to the aesthetics of their poetry. This paper aim is to analyze the reaction of poets from two different cultures and societies under the similar circumstance of a war. In order to do this comparison, the classification developed by M.H. Abrams in his book The Mirror and the Lamp is used. By applying the different approaches to look at poetry described by Abrams, the poetry of this two countries are compared. For that purpose, poets representative of each country have been selected. The Korean poets analized have been Jo Ji-hun, Yu Chi-hwan and Ku Sang. For the Spanish poetry, the authors compared to the Korean poetry of war are Miguel Hernández, Rafael Alberti and Antonio Machado. The analysis of the poetry according to the mimetic theories described by Abrams shows that the reflected images of the poets of both countries are similar. The divergence comes from their approach towards the audience, the perspective of the pragmatic theories. On the one hand, the strategy of the Korean poets towards their audience is conciliatory or neutral. On the other hand, the Spanish poets differ more among them. While two of them have a propagandistic tone, the other one is more focused on the aesthetics. The analysis by the expressive theories reflects that the feelings of the poets, Korean or Spanish, are very similar. In addition, other of the main points of divergence in the poetry of both countries is the relationship of the poets with the figure of the enemy.

      • Yun Chi-Ho's Individualism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Naseralla, Maria Adel Faragalla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1 국내석사

        RANK : 200239

        On January 8 th 1918, after World War I,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Woodrow Wilson declared the Fourteen Points - a statement made in front of Congress to introduce to the world a plan for world peace. These points consisted of several principles including free trade, and opening the seas, as well as geographic arrangements such as self-determination, and the nations' league to ensure peace after the war.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Fourteen Points, the Korean religious leaders in Korea, considered Korea to be on the list of countries that would be restored to self-governance. The Korean church leaders, the Chundo-kyo, and the Buddhist church began to gather and write a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 protest their Japanese colonial rule. The 33 leaders signed the declaration, printed and distributed it secretly all over the country. Koreans living outside of Korea were also affected by The Fourteen Points of “self-determination” and were very positive about the fact that Korea was included on President Wilson’s list as one of the nations to be potentially restored to self-governance. These leaders started to send letters to President Wilson to advocate for Korea. Despite these efforts toward liberation, Korean activist Yun Chi-Ho, interestingly refused to get involved in the March 1st Movement. This research's primary goal is to analyze Yun Chi-Ho's opinion and ideologies at this time to justify his reasoning for criticizing the leaders of the movement inside and outside Korea. Furthermore, this thesis will aim to explain why Yun Chi-Ho held the contrarian view that a civilization’s growth is dependent on the empowerment of the individual. This thesis shall follow Yun ChiHo's early life and the situations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is ideology of individualism. Although his ideology initially developed during his education in Japan, the USA and China; it was also influenced by his personal experiences including his childhood, his conversion to Christianity, the three years he spent in Japanese rison, as well as his experience and perspective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The thesis will cover the period from 1919 -1921 to determine why Yun Chi-Ho refused to get involved in the March 1 st movement and his reasoning for criticizing the leaders who supported the movement. The above arguments will be made by analyzing primary sources including the diaries written by Yun Chi-Ho himself and his interview with the Kyongsong-ilbo at March 1919.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further insight into how Yun Chi-Ho viewed his own Korean civilization and how his perspectives differed from other major activists of the time. This thesis will not analyze Yun Chi-Ho’s broad militaristic or other philosophical views but will specifically analyze his emphasis of “individual candidacy.” This thesis will aim to differentiate Yun Chi-Ho as an individualist but also illustrate where his views overlap with those of other major leaders who advocated for liber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The evidence that will be used will include Yun Chi-Ho's diary entries, and other primary sources including pertinent letters and interviews of other prominent political figures of the time. This analysis intends to shed new light on these historical figures involved in the rule of the country and provide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events after World War I in the Korean peninsula. Thus, this paper will aim to provide a more thorough historical context surrounding the development of Yun Chi-Ho’s ideology which emphasizes that a civilization is dependent on individualism empowerment for the true success and liberation of the state. 윤치호는 조선후기에서 특별한 인물이었다. 당시 조선은 일본, 유럽과 조약을 맺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대부분의 조선인들은 유교 문화 전통을 여전히 따르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윤치호는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고 일본, 중국, 미국에서 공부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가졌다. 그러한 개인적 경험을 기반으로 그는 그 시대에 정치, 사회 지도자들의 보편적 견해와는 다른 정치적, 개인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윤치호는 105 인 사건으로 인해 감옥에서 3 년간 수형 생활하였다. 이 사건은 윤치호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19 년 3.1 운동이라는 대규모 운동이 한국의 독립을 목표로 시작되었지만, 그는 이에 관여하기를 거부하고 반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윤치호의 의견과 이데올로기를 분석하여 국내외에서 운동 지도자들을 비판한 그의 견해를 견지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어떻게 한국인들이 개인의 힘으로 독립을 이룰을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을 둘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윤치호가 3.1 운동의 제안을 거절한 원인을 두 가지로 나누었다. 첫 번째 원인은 당시 국제상황으로 인해 3.1 운동으로도 한국이 독립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윤치호는 파리 강화회의에서 한국의 문제를 상정하지 않으면 독립을 이룰 수 없다고 믿었다. 그리고 미국이나 유럽이 한국인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가능성도 전무하다고 판단하였다. 두 번째 원인은 한국의 상황과 관련된 부분이다. 윤치호가 한국이 스스로 독립을 유지할 수 없다고 생각을 하였다. 이에 독립을 유지 할 때까지 일본으로부터 배워야 한다고 생각을 하였다. 그 당시에 독립 운동을 위해 기부금을 모금하는 것을 비판을 하였다. 왜냐하면 일본 경찰한테 잡힐 수 있었기 때문에 위험한 행동이라고 생각을 하였다. 윤치호는 진정한 개인주의자였으며 한국 내 개인주의 확립을 필수적 과제로 여겼다. 윤치호는 실력양성론을 발들되 정치에 관여하기를 원하지 않았다. 그는 정치적 독립을 중시하면서도 선진국에서 경험한 것과 유사한 현대 교육 체계를 한국에서도 먼저 달성해야지만 한국이 발전하는 데 진정한 성취를 이룰 수 있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또 그는 독립경제가 한국의 성공을 위해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국이 외국산 일본산 제품 의존하지 말아야 하며, 자국산 제품을 제조, 사용, 판매 하야 한다고 주장하며 그의 생각을 널리 알리고자 했다. 윤치호는 그의 개인주의에 대해 견해를 바탕으로 국내외 지도자들이 기부금을 모으는 것이 한국의 경제 상황에 더 큰 해를 끼친다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윤치호를 보다 완전한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목표설정에 있어 윤치호를 개인주의자로 이해함에 더 필요하다고 본다. 즉 윤치호는 개인의 발전이 한국의 독립과 발전을 위한 토대이자 필수요소로 간주했던 애국자였다.

      • The polish imag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1950s

        Paprocki, Jabul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0 국내석사

        RANK : 200239

        Praca niniejsza bierze za cel ukazanie społeczno-politycznego tła relacji Polskiej Rzeczypospolitej Ludowej z Koreańską Republiką Ludowo-Demokratyczną w latach 50., ze szczególnym uwzględnieniem wpływu tej ostatniej na świadomość Polaków. Bazując na źródłach pisanych, takich jak dokumenty dyplomatyczne Ministerstwa Spraw Zagranicznych w Warszawie, publikacje z okresu dotyczące Korei etc. oraz niepisanych – kroniki filmowe, świadectwa korespondentów wojennych i innych, autor przedstawia społeczny odbiór tj. wpływ Korei na Polskę wraz z wszelkimi przejawami obecności Phenianu nad Wisłą. Autor wydziela dwa zasadnicze okresy w stosunkach polsko-koreańskich – okres wojny koreańskiej, gdy Korea była propagandowym narzędziem do walki z ekspansją imperializmu, oraz okres powojenny, gdy czynniki koreańskie były obecne głównie przez pryzmat egzotyki, pomimo formalnych deklaracji o bratnim, sojuszu. Poprzez analizę zjawisk polityczno-społecznych, takich jak wizyta Kim Ir Sena w Warszawie w 1956 roku, wymiany naukowców, literatów etc., przyjęcie przez Polskę koreańskich sierot wojennych, autor dochodzi do wniosku, że odległość przestrzenna jak i ideologiczna, a także przyjęta przez Kim Ir Sena polityka autarkicznego izolacjonizmu skutecznie zniechęciła Warszawę do nawiązania bliższych kontaktów z Phenianem, i zablokowała możliwość zapoznania się Polaków z Krajem Porannej Świeżości. Autor pragnie podkreślić, że praca niniejsza oraz pewne oceny w niej wyrażone nie mogą być do końca poczytywane za jego dzieło, i od części tychże ocen i wypowiedzi autor odżegnuje się albowiem wynikły one z nadmiernie szerokich ingerencji dokonanych podczas ocen recenzenckich. 이 논문은, 한반도가 세계사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던 한국전쟁기로부터 1950년대말까지의 기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폴란드가 정부 차원과 민간 차원에서 서로 어떤 관계를 맺었으며, 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폴란드 에서 어떻게 소개되고 어떤 이미지를 형성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그것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두 나라 정부끼리의 교류 및 민간 차원의 교류를 보여주는,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스스로가, 또는 폴란드의 여러 매체들이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소개하고자 생산했던 여러 자료들(역사적 자료, 문서 등)을 분석하였다. 폴란드 정부는 한국전쟁 동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소개하는 책과 기사, 공식적인 인쇄물을 출간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자선사업을 조직하는 한편, 북한의 인사를 폴란드로 초청하기도 했다. 또 이 시기에는 상당수 북한출신의 고아들과 유학생들이 폴란드에서 양육되고 학교교육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두 정부 사이의 이러한 사회적 교환은 그 이상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고, 1950년대 후반이 되면 두 국가 사이의 교류는 오히려 위축되고 있었 다.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바르샤바에서 평양으로 보내졌던 기자, 의사, 특파원과 외교관들은 조선의 문화를 조국으로 가져 오는 데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한국전쟁에 대한 선전 노력은 미국의 제국주의에 맞선 영웅적인 북한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 기여했지만, 1953년 이후 평양은 오히려 공산권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전쟁이 끝난 1950년대 후반에, 폴란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 공화국의 존재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흔히 1960년대 들어서 ‘주체사상’이 선전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국제적 고립에 빠져들었다고 주장되지만, 김일성의 독자노선, 고립정책은 이미 한국전쟁 직후에 시작되고 있었다. 이런 고립 정책은 심지어 같은 사회주의권 안에서도 어떤 동맹 관계도 맺기 어렵게 했다. 여러모로 서로 비슷한 위치에 있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베트남민 주공화국을 비교해 보더라도, 하노이 정부가 훨씬 더 개방적인 정책을 유지한 것을 알 수 있다. 베트남민주공화국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른 사회주의권 국가들과 가까운 연대를 유지하며, 그런 관계로부터 상당한 이익을 얻어왔다. 요약하면, 한국전쟁 이후 평양이 고립정책을 고수함에 따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은 사회주의권 안에서도 고립된 존재가 되었으며, 평양과 바르샤바 두정부는 더 이상 가까워질 수 없었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process of creation of the imag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Polish People’s Republic during the 1950s. It shows how much recognition amongst the common people the distant neighbour got in Poland. The author uses various sources to trace how the awareness about the government in Pyongyang and its people was built and raised – amongst these, one finds the official documents from the diplomatic archives, the newspapers, the film chronicles and other media, the other publications (which exist in scarcity). The relations between Poland and Korea have not been officially bonded until 1948. Before this time, only a few Poles have visited or made research on Korea. After establishing the diplomatic ties between Warsaw and Pyongyang, there was not much mutual interaction as well. It was only the Korean War, which made the issue of Korean Peninsula crucial for the socialist propaganda. At the time of war, Korea became the flag problem for the socialist governments, thus a lot of information was passed to the Polish society not only concerning the political situation, but also the Korean nation, the culture etc. The correspondents were sent to the front, the writers and intellectuals visited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describe what they have learnt to educate the Poles about Korea. In the 1950s there was a significant amount of Koreans in Poland. Amongst them there were students, war orphans and others. Having this situation provided and considering the propaganda machine working on showing the struggle of the Korean nation one can say, the imag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as mainly constructed during this time. The official factors and the propaganda were building the image of an ally, and the various official actions have taken place. Along with the art events, literary meetings concerning Korea, there were thus also official visits and pro-Korean campaigns. Obviously, the propaganda image was not this accurate, since it serves certain purposes. The author’s conclusion is, that Pyongyang’s absolutism isolation and reluctance towards fraternalising with other socialist countries lead to failure in popularis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Poland.

      • A study on café culture of the Hongdae area in Seoul :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 of social place

        Maria, Minkina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4 국내석사

        RANK : 2002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evolution of Korean cafe culture and its manifestations as well 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its functions. The empirical par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ive private cafes located in Hongdae area.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fifteen participants.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evolving Korean café culture and Hongdae area in particular, I have noticed that Koreans do not necessarily go to the cafes for the purpose of socialization but often for something else like study, work or having meetings with friends. This observation pushed me to challenge the widely held notion of cafes as a “third place”, place primarily for socialization. In this study, I argue that Korean café culture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idea of the café as a place with a priority to socialize. With a rise of portable devices and spreading of telecommunication in the form of wireless internet, cafes as other public spaces started embracing activities as study and work, which before belonged to private sphere of life. Based on research data, two main activities found in the studied cafés besides socialization are fun and productivity related activities what bring us to the notion of the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s of patrons to visit café. With an accordance to that notion, the studied caf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ominant function of the café. Studied cafés were typed as a third place for socialization, where patron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socialize with others beyond their own circle, hedonic third place, where patrons are mostly engaged in fun and recreational activities, utilitarian third place , where patrons are mostly engaged in productivity related activities as work and/or study and mixed-activity third place, which incorporate all mentioned functions. Regarding the pattern of the interaction between patrons of the studied cafes, it was noticed that in majority of the cases Koreans tend to avoid interaction with others beyond their own circle. Social activities in the form of various events can contribute to the increase social participation of patrons but not significantly. The socialization behavior of café patrons and the activities in such places are mainly controlled and encouraged by owner or baristas of the café. 근래 대한민국은 급속히 성장하는 커피숍 시장을 지닌 세계 최고의 커피 소비국중 하나가 되었다. 한국의 커피숍 문화는 1999 년에 도입된 국제 커피 브랜드인 스타벅스의 등의 커피숍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 이후로 학생들과 청년층을 주소비자로 겨냥한 수많은 커피숍이 대학가에 설립되었다. 이 현상은 특히 최근 도시계획에 따라 활기찬 청춘 문화의 공간으로 개발된 홍익대학교 부근, 즉 홍대거리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한국의 탈공업화 후의 경제적 변화는 생활의 질의 향상에 대한 관심을 높였으며 대중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공공장소의 수요가 생겨났다. 다양한 커피숍이 이 수요를 충족시키러 홍대거리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커피숍은 달리 만날 일이 없는 주민과 방문자들을 위한 공간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홍대거리는 사람 사이의 사회화를 촉진시키는 공공장소의 연구대상으로 적합하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커피숍 문화의 진화와 표현을 추적하고 그 사회적인 기능을 설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실증적인 자료는 홍대거리에 있는 다섯 군데의 개인 커피숍에서 수집되었으며 연구자료는 열다섯 명의 대상과의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자는 한국인이 사교적 목적으로만 아니라 공부, 일, 아니면 회의 같은 목적을 위해 커피숍으로 가는 것을 관찰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일반적인 커피숍에 대한 인식, 즉 주로 사교적 목적을 위한 “제 3 의 장소”라는 인식에 이의를 제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커피숍은 주로 사교적 목적을 위한 장소라는 일반적 인식과는 다른 주장을 편다. 휴대기기와 무선인터넷을 통한 원격 통신의 확산에 따라서 커피숍은 타 공공장소와 같이 전에는 개인의 영역에 속했던 공부와 일을 포용하게 되었다. 연구 자료에 따르면 사교적 목적 외에 커피숍에서의 발생하는 두가지 주요 활동은 여가활동과 생산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우리는 고객이 쾌락적이고 실용적인 동기를 가지고 커피숍을 방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연구대상이 된 커피숍들은 각 커피숍의 주된 기능에 따라 구분되었다. 학습 커피숍은 사교를 위한 제 3 의 공간으로, 고객들은 그들의 일상 생활주기를 벗어나 타인과 교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쾌락적 제 3 의 공간은 고객들이 대부분 오락과 레크레이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곳이며, 실용적인 제 3 의 공간은 고객들이 일과 공부 등 생산성과 관련된 활동을 하는 곳이다. 또한 복합 활동 제 3 의 공간은 위에 언급된 모든 활동이 포함되는 곳이다. 학습 커피숍의 고객간의 상호작용 패턴을 볼 태, 대부분의 경우에서 한국인들은 그들의 범주를 넘어선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은 꺼려하는 경향이 있었다.다양한 이벤트의 형식을 띤 사교 활동은 고객간의 사교적 참여를 증대시킬 수있지만 주목할 만큼은 아니었다. 커피숍 고객의 점내의 행동과 사교적 행동은 주로 바리스타나 점장에 의해 통제되거나 촉진된다.

      • (The) non-canonical -ul in Korean : asymmetries and constraints

        Lee, Aldrin, P Korean Studi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2 국내박사

        RANK : 200239

        The Korean language, being a Nominative-Accusative type language in its case-marking system, has separate morphological markings for the clausal subject and the direct object. The case marker for the subject is –i/ka, while the one for the object is –ul/lul. The latter however, apart from its canonical use of marking the direct object, occurs in other syntactic environments. This phenomenon has long been a puzzle to linguists and has posed a great difficulty to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se non canonical occurrences of –ul/lul and tries to come up with a unified generalization about the motivation for such eccentric grammatical phenomenon. This study utilizes a synthetic theoretical approach in analyzing the problem. While the core syntactic framework applied in this study is the Minimalist Program, independent assumptions that incorporate significant claims from Lexical Semantics have also been utilized. In particular, the Unaccusative Hypothesis of Perlmutter and Postal (1978) and the applicative derivation which was largely advanced by Pylkkänen (2002) have been very useful in describing the motivation for the phenomenon and the mechanism(s) that allow such asymmetry in syntax. The non-canonical occurrences of –ul/lul have been organized into three: (1) the one that occurs in intransitive constructions; (2) the one that occurs in the long form of negation (LFN) and (3) the one that occurs in what we referred to as NP-split constructions (including whole-part, inalienable possession and quantifier constructions). These three comprise the three main chapters of this dissertation. Three other non-canonical occurrences of –ul/lul have been surveyed and a brief description of each of them is presented in Chapter 5.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non-canonical occurrence of –ul/lul in intransitive and LFN constructions is largely motivated by the accusative behavior of the language. Unaccusativity plays villain to this however, by posing various forms of constraints to the appearance of this marker in unaccusative constructions. Syntax therefore allows the licensing of –ul/lul in these constructions by virtue of the verb’s accusativity value. The non-canonical occurrence of –ul/lul in NP-split constructions on the other hand differs from those of the intransitive and LFN constructions because the former is licensed not by the nature of the verb per se but by the semantic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 two NPs (possessor-possessee or quantifiedquantifier relations). This phenomenon is easily captured by Pylkkänen’s concept of low applicatives. 한국어는 격-표시 체계의 측면에서 주격-대격 유형 언어이며, 따라서 절의 주어와 직접 목적어는 각각 별도의 형태론적 표지로 표시된다. 주어에 대한 격 표지는 '-이/가'이며, 목적어에 대한 격표지는 '-을/를'이다. 그러나 '-을/를'은 직접 목적어를 표시하는 규준적인 용법 외에, 다른 통사적 환경에서도 나타난다. 이 현상은 오랫동안 언어학자들에게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였으며,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도 많은 어려움을 주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을/를'의 비규준적인 출현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시도하여, 기이하게 보이는 문법 현상의 동기에 대한 단일화된 일반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문제를 분석함에 있어서 통사론적 이론을 통한 접근을 활용한다. 이 연구에 적용되는 핵심적인 통사론적 틀은 최소주의(Minimalist Program)이지만, 어휘의미론의 중요한 주장을 포함하는 독립된 가정들도 사용된다. 특히 Perlmutter& Postal (1978) 의 비대격가설 (Unaccuasative Hypothesis)과 Pylkkänen (2002)이 널리 제기한 applicative derivation은 현상에 대한 동기와 통사론에서 이 같은 비대칭성을 허용하는 기제를 기술하는 데 유용하다. '을/를'의 비규준적 출현은 셋으로 분류된다: (1) 자동사 구문에 나타나는 경우, (2) 장형부정문(LFN)에 나타나는 경우, (3) (전체-부분 구문, 양도불가능 소유 구문, 양화사 구문 등을 포함하는) Np-split 구문에 나타나는 경우. 이 세 가지 유형은 이 논문에서 주된 3개의 장을 구성한다. 이외에도 '을/를'의 비규준적인 출현 3가지에 대해서도 조사하는데, 이들에 대한 간략한 기술은 모두 5장에서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비규준적인 '-을/를'이 자동사구문과 장형부정문에 나타나는 것이 주로 이 언어의 대격적 행동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비대격성은 여기에 작용하여, 비대격 구문에서 이 표지들이 나타나는 것에 다양한 형태의 제약을 부가한다. 따라서 통사론은 동사의 대격성 값에 의해 이들 구성에서 '-을/를'을 인허하도록 한다. 한편, NP-split 구문에 나타나는 비규준적인 '-을/를'은 동사 자체의 성격이 아니라 두 명사 간에 성립되는 의미론적 관계(즉, 소유자-소유물 관계 혹은 양화의 대상-양화사 관계)에 따라 인허되기 때문에, 자동사구문과 장형부정문에 나타나는 비규준적인 '-을/를'과는 다르다. 이 현상은 Pylkkänen의 '낮은 applicatives' 개념으로 쉽게 포착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