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캠퍼스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적 분석 : 영남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김흥곤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Feng-shui is based on the orderly natural law that happens in earth and sky. It is also a science related to the earth, the ground of all the creatures living on the globe. Its purpose is right choice and management of residential space, the indispensable element for preservation of life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t is admittable that there is a critical viewpoint that Feng-shui is unscientifical. Nevertheless, it is undeniable that the Feng-shui is a wise philosophy of life of our ancestors and a traditional science systematized with an empirical theory. In dictionary, the university is defined as 'an academic community that develops human intelligence based on the freedom of science and that takes the role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cultural heritage accumulated by humankind through creative activity of inquiring the truth, and at the same time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cultivates intellectuals equipped with the quality of leadership'. In short, 'the university is a place where sciences a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f sciences are educated'. However, the environment the universities are in is becoming worse in and out of school. Universities will get in the crisis even the survival is not guaranteed if they insist on their proper fun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 and space of the campus of Yeungnam University using the empirical system of logics in Feng-shui. A precise analysis was also been carried out on the personnel elements like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and the campus, the space in which they have to spend most of their time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device that makes the campus not insufficient for a space to cultivate the future men of ability as well as helps forming a pleasant and efficient environment. Analysis of Yeungnam University in terms of Feng-shui showed that the Juryongmaek, that is one of Biseul Branches Jusan stretches from the BaekduDaegan and comes through Mt. Samseong and Mt. Baekja, is connected to the right backside of the main building of Yeungnam University at the end of the Juryongmaek. Centering around the Chenmaro, colleg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re located to the left side fit for the spirit of challenging, strong and mannish Cheongyong and colleg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the left side fit for the spirit of quiet, relaxed and feminine Baekho. Then the Cheonma Arts Center is located in front, being agreed well with the concept of Sasinsa. Looking around the topography of nearby mountains and streams, the location of Gyeongsan campus is known to choose the rear-mountain-front-water and front-low-rear-high land, the land ideal and basic in Feng-shui, at Sanjincheo where the Naeryong ends. In case of Daemyeong-dong campus, the medical center and college of medicine are located at where Mt. Apsan and Mt. Bipa of Biseul Branches come out and form a peak after gradually rising up, and also at the place where 4 branches of E-W-S-N including Ipsu NaeryongMaek are stable.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s that Yeungnam University is in no way inferior to the site of academic research, making th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that is growing as the best private school. It is a site very proper to the condition of house site that puts the vital power away in good order as it has a stable soil layer on low and wide ground, if some lacking part is supplemented in terms of Feng-shui. The perfect propitious site, in Feng-shui, is not many and if any, it is hard to find. Therefore if a place equips somewhat adequacy and rationality as a location, it is enough to live while supplementing something lacking. For Yeungnam University to grow and develop to become a global brand name college in world stage in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of course important, bu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oster a high quality mental culture. It seems only natural that Feng-shui may play an important role here. In addition, only domestic Feng-shui should be expanded to Feng-shui for cosmopolitan and become the best practical science in the future, taking the role of supporter of human life and mind. 풍수지리는 하늘과 땅에서 일어나는 질서정연한 자연법칙을 근본으로 삼고 있다. 또한 지구에서 생존하는 모든 생명의 터전인 대지와 관련된 학문이며, 그 목적은 생명의 보존과 삶의 질의 개선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주거공간의 올바른 선택과 관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풍수가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적 시각이 엄연히 존재함을 인정하지만, 현대 풍수가 우리 조상들의 지혜로운 삶의 철학이자, 실증적인 이론으로 체계화된 전통과학임은 절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오늘날에 있어 대학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학문의 자유를 바탕으로 인간의 지성을 개발하고, 진리 탐구의 창조적 활동을 통하여 인류가 쌓은 높은 문화유산을 계승,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학문 공동체이자, 지도자로서 자질을 갖춘 지성인을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이고, 한마디로 말하면 ‘대학은 학문을 하고, 학문의 결과를 교육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이 처한 환경은 대내외적으로 갈수록 열악해지면서 대학이 본연의 기능만을 고집하다가는 발전은 고사하고 생존까지 위협받을 위기에 처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풍수지리의 경험과학적 논리체계를 이용하여 영남대학교 캠퍼스의 입지와 공간분석을 해 봄으로써 대학의 주요 구성요소인 교수, 직원, 학생 등 인적요소와 더불어 그들이 교육과 연구를 위하여 대부분의 시간을 지내야 할 공간인 캠퍼스를 정밀 분석해 봄으로써 캠퍼스가 미래의 동량을 양성하는 공간으로 부족함이 없도록 할 뿐 아니라 쾌적하고 효율적인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영남대학교를 풍수지리적으로 분석하여 보면, 주산이 백두대간에서 뻗어 나온 비슬지맥의 한 지맥으로 삼성산과 백자산을 거쳐 온 주룡맥은 영남대학교 본관 바로 뒤로 이어져 주룡맥의 끝자락에 본부본관이 배치되고, 천마로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도전적이며 강건하고 남성적인 청룡의 기운에 맞게 이공계열 대학을, 우측에는 차분하며 느긋하고 여성적인 백호의 기운에 맞게 인문·사회계열 대학을 배치하였고, 그리고 앞쪽에 천마아트센터가 놓임으로써 사신사의 개념과 일치하도록 잘 배치되었다. 또한 경산 캠퍼스의 입지는 주변 산천의 지세를 살펴보아 내룡이 끝나는 산진처(山盡處)에, 풍수에서 이상적이고 기본적인 배산임수와 전저후고의 땅을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대명동 캠퍼스 역시 비슬지맥의 앞산과 비파산에서 내룡하여 오다가 서서히 기룡하여 봉우리를 형성한 곳에 의료원과 의과대학이 위치하고 있으며, 입수 내룡맥을 포함한 동서남북 4지맥이 모두 안정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영남대학교는 사학의 최고봉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학의 특성을 잘 살려서 학문연구의 터전으로 손색이 없으며 낮고 넓은 대지에 안정된 토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풍수적으로 일부 부족한 부분을 비보하여 보완한다면 양기를 갈무리하는 양택 조건에 아주 합당한 곳이라 할 수 있다. 풍수에서 완벽한 명당은 많지 않고, 또 있다 해도 찾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입지적인 타당성과 합리성을 갖춘 장소라면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살아가면 충분할 것이다. 영남대학교가 21세기 세계무대에서 글로벌 명문대학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수준 높은 정신문화의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여기에 풍수지리학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이와 더불어 우리만의 풍수지리에서 나아가 세계인의 풍수지리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미래에 최고의 실학(實學)이 되어 인류의 생활과 정신의 지주역할이 가능하기를 기대해본다.

      • 傳統音樂 長短 用語와 教科課程 研究 : 중국 연변지역 조선민족을 중심으로

        박은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연변대학 예술학원 음악표현전업 민족기악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서 한민족의 유구한 전통음악의 맥이 해외에 있는 한민족에게도 올바르게 전승되고 교육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위하여 장단의 용어, 기보법, 그리고 교과과정을 비교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한국 전통음악장단과 중국 연변지역 조선민족의 장단 용어를 비교해 보면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오랜 기간 동안 단절된 생활환경에 의하여 사용 용어에서 차이가 있다. 현행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하는 장단의 용어 중 한국의 자진모리장단과 세마치장단을 중국 연변지역에서는 잦은모리장단과 양산도장단이라고 쓰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덩덕궁이라 부르는 장단을 중국 연변에서는 덩덕쿵장단 이라 부르고, 반굿거리장단과 안땅장단 등은 한국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둘째, 장단 기보법은 현행 한국과 중국 연변지역에서 모두 구음을 사용하는 것은 같지만, 내용면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고, 중국 연변지역은 정간보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서양 기보법에서 박자를 표기하는데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엇모리장단을 주로 10/8박자 혹은 8/5박자로 두 가지를 혼용하는데, 중국 연변지역에서는 엇모리장단은 5/8박자로 국한하여 쓰고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굿거리장을 8/12박자, 엇모리장단 8/10박자로 기보하며 중국 연변 지역에서는 굿거리장단을 12/8박자, 엇모리장단 5/8박자 등으로 기보한다. 박자 기보법이 다름으로 잘못 이해하기가 쉽다. 이러한 박자 표기의 순서가 한국과는 반대적인 기록을 하고 있다. 셋째, 한국의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음악학부 국악과와 연변대학 음악표현전업 교과내용을 비교분석을 보면 각 학년별로 다른 점이 많이 나타난다. 1) 1학년 교과내용을 비교해보면 영남대학교 국악과 교과내용은 전통음악장단인 정악장단부터 교육하는데, 연변대학 음악표현전업 정악장단을 교육하지 않고 있다. 연변대학 음악표현전업에서도 정악 이론과 실기 교육이 도입되어야 한다. 2) 영남대학교 국악과 2학년 교과에서는 소리북을 통해 장단을 교육하는데, 연변대학 음악표현전업 2학년은 1학년에서 교육한 조선민족 장단을 토대로 조선민족 장단의 기본장단과 변형장단을 교육한다. 한국에서는 판소리를 부를 때 소리 북을 사용하고 있는데, 중국 연변지역에서는 장구를 사용하는 것도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3) 영남대학교 국악과 3, 4학년 교육내용은 경기 도당 굿과 사물을 통한 민속악 장단을 교육하고 있는데, 연변대학 음악표현전업 4학년은 3개 학년에서 배운 내용을 더 깊게 분석하여, 음악에서 기본장단과 변형장단의 쓰임새에 대하여 교육한다. 이상과 같이 한국은 전공 교과과정 외에도 관현악 수업을 통한 국악 창작곡과 관련된 장단 수업을 교육하며 2학년 교과과정에서 반주법 교과가 있어 국악전반에 필요한 장단 교육을 받는다. 반면 한국의 교과내용과 달리 연변의 교과 내용은 민속악 장단 한가지만을 4년 동안 교육 받는다. 이는 전통음악의 폭넓은 장르를 단절 시킬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상으로 얻은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1) 양국의 장단에 관한 용어와 기보법의 차이점은 통일할 필요성이 있으며, 연변대학 음악표현전업의 교재에서는 그 차이점을 고려한 지도서를 발간하여 오류 된 부분을 방지 하여야 한다. 2) 한국의 장단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연변대학 음악표현전업에서도 단조로운 민족장단의 수업에 관한 교과과정에서 벗어나 폭넓은 전통음악을 장르별 장단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확충된 교재확보와 교과내용 확립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전통음악 장단 용어와 교과과정을 비교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음악학부 국악과와 중국 연변대학 예술학원 음악표현전업 민족기악 교과과정에 국한하여 비교연구 한바 다른 대학의 교과과정을 더 많이 연구하지 못한 것이 필자의 한계이다. 이후 전통음악 장단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해외에 거주하는 한민족들이 전통음악 장단의 맥이 끊어지지 않도록 보다 연구가 다양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 Research on Terms of Traditional Music Rhythm and Courses in Universities - On the folk music rhythm education of the Korean - Chinese in Yanbian University, China En-Jing, Piao Department of Korean Music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Tae-Chun Kwak) Abstract In order to find a more effective method to correctly educate students in Music College (majoring in music and performance) of Yanbian University, China, to continually inherit dow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rhythm to the overseas, in this thesis I compared the terms, methods of music notation, and courses teaching in Korea and Yanbian University. My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because Yanbian is in an isolated living environment for a long time, both Korea and Yanbian use the same terms in expressing rhythms and folk music, but the contents are different. For example, The terms used in Korea like Jajinmori jangdan (자진모리장단) and Semachi jangdan are Jajeunmorijangdan and Yangsando jangdan in Yanbian area. Korean Deongdeokgung jangdan is Deongdeokkung jangdan in Yanbian, China. And in Yanbian, Bangutgeori jangdan and Anttang jangdan are not in use. Second, currently both Korea and Yanbian use Gueum in music notation, but the content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Yanbian the Jeongganbo is not in us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using western music notation in both countries. In Korea Eonmori jangdanuse 10/8 together with 8/5 rhythm, but in Yanbin Eonmori jangdan use 8/5 only. Also in Korea GutGeori jangdan is noted with 8/12, Eonmori jangdan is noted with 8/10. In Yanbian, China the GutGeorijangdan is noted with 12/8, and Eonmori jangdan is noted with 5/8. Because of the differences or sometimes opposite rhythm and music notation, it is easy to make the students confused. Third, the courses in Yeongnam U.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Yanbian U. Majoring in music and performance are different: here is some comparison. 1) Yeongnam U. teach the freshman traditional music rhythm from Jeongak jangdan, on the contrary, Yanbian U. do not teachJeongak jangdan to the freshman. So Yanbian should introduce the Jeongak theory and practical skill to the freshman. Yeongnam U. teach the sophomore the rhythm by using Soribuk, Yanbian U. teach the sophomore the Korean rhythm, basic rhythm and Byeonhyeong jangdan, changed rhythm based on the Korean rhythm which is being taught when they are freshman. 2) In Korea Soribuk is used when the sing Pansori, while in Yanbian, they use Janggu. It is another difference. 3) Yeongnam U. teach the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the folk music rhythm by using Gyeonggi Dodang Gut(경기도당굿 京畿都堂) and. Samul(사물). While in Yanbian U. the fourth grade students will deeply analyse the already learned knowledges in the first three years and teach them how to use these basic rhythms and changed rhythms(Byeonhyeong jangdan변형장단). In Korea, beside the major courses, the students also learn the rhythm through creating folk music connected with the orchestral music; the sophomore could learn rhythm through accompaniment class. On the contrary, Yanbian U. students learn the only folk music rhythm all the four years. It could limit them to learn a wider genre of music. By the above amylases, I’d like to make recommendations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terms and methods of music notation of the two countries. Yanbian U. should think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make a new construction books to correct the mistaken notations. 2) It is necessary for the Yanbian U. to change the monotonous national music rhythm class to a wide genre of music rhythm class. And introduce to the students new contents with a new textbooks. Finally, my research is limited on the only comparison between the Yeongnam and Yanbian U. not concerned with the other universities. And I know the limitation of my research. In order to continually inherit dow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rhythm to the overseas, more various and active researches and are expected.

      • 진료 프로세스 터치 포인트 속성 분석을 통한 의료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영남대학병원 초진 환자를 중심으로

        김시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예방으로 전환됨에 따라 병원을 방문하는 이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의 병원 이용자들은 기본 의료 욕구인 치료개념에 만족하였으나 현재의 병원 이용자들은 치료뿐만 아닌 병원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만족한다. 본 연구는 병원 이해관계자 중 주요 고객인 환자들 중 처음 병원을 방문하는 초진환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진료 서비스 프로세스 개선 방향 제시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진료 프로세스의 페인 포인트를 파악하기 위해 필드리서치를 진행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터치 포인트 속성을 추출하여 세부항목을 정립하였다. 이를 표적 집단 면접법(FGI)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주요 속성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주요 속성을 추출한 것을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통해 공통속성과 차별속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가지 항목 중 3가지 항목은 소프트웨어 관련 페인 포인트임과 동시에 안내에 대한 내용으로 안내 중심 소프트웨어 개선 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 둘째, 하드웨어의 하위요소인 물리적 특성에서 두 집단 동일하게 접근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배리어프리 항목이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집단의 의견이 가장 비교 편차가 크게 평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휴먼웨어의 하위요소인 인격적 태도에서 표적집단면접법(FGI)과 설문조사 결과 가장 주요한 항목으로 친절성이 평가되었다. 넷째, 소프트웨어에서의 하위요소인 기능적 특성에서는 두 집단 모두 가독성과 정확성이 상위 두 항목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영남대학병원 초진환자 중심 프로세스 속 페인 포인트 및 터치 포인트 채널, 속성의 발견을 통해 환자 중점의 만족도 제고와 진료 효율성 향상 그리고 의료공간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에 의의를 둔다.

      • 새마을교육 ODA의 효과성 분석 :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PSPS) 사례를 중심으로

        이원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aemaul Education ODA as a strategic mean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s Education ODA, and its value as a model to represent a brand of Korea’s Education ODA. To this end, this paper identifies the effect of Saemaul Education ODA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ase study, and proposes strategic utilization of Saemaul Education ODA as well as future research tasks to cope with the global demands for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conducted analysis on the case of Park Chung Hee School of Policy and Saemaul (PSPS) education. This is because that PSPS education has been conducting the Saemaul Education ODA for more than 10 years in order to meet the sharing demand of Saemaul Undong in developing countries. PSPS education ha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boils down to three categories: humanware, software,and hardware. In humanware, social leaders in developing countries were strategically selected as priority education targets, and in software, mental education was emphasized as well as knowledge (technical) education through the unique Saemaul education method: "education in a daily life", "education in practice", "mutual education", and "follow-up management." And in hardware,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for immersion educ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PSPS education is consistent with the Paris Declaration; PSPS education contributes to raise awareness of ownership of developing countries, meets the demands of developing countries, avoids overlapping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education ODA, and strengthens mutual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Hence, in conclusion, this paper presents the policy applicability of PSPS education as an ODA model for Saemaul education, and based on this, suggests a strategy to use PSPS education as a model, which is part of Saemaul education ODA, to brand Korean education ODA.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long-term comparative studies on performance of Saemaul Education ODA before and after and researches for its local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should be followed.

      • 강의서비스속성과 유학생의 개인특성이 강의서비스만족과 신뢰 및 구전·재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주홍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강의서비스속성과 유학생의 개인특성이 강의서비스만족과 신뢰 및 구전·재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朱 紅 星 嶺南大學校 大學院 經營學科 運營管理 專攻 (指導敎授 金 潤 詳) 현대사회는 세계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국경의 의미가 점점 희박해지고 있다. 대학교 교육 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키는 것이 대학 교육 국제화의 요구가 되었다. 대학 교육 산업화를 추진하는 것을 뿐만 아니라 또한 대학 교육 한층 더 발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 교육 서비스 품질의 감시를 통해 강의 만족도과 신뢰도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대학교육은 대중화, 시장화와 국제화가 가져오는 도전을 차분하게 대처함에 대해 의미가 있다. 분 연구에서는 먼저 교육 서비스, 대학 교육서비스품질 등 관련이 있는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외국의 경험을 참조하고 설문 조사와 인터뷰 분석을 이용하여 대학교육 서비스품질의 이론을 연구하는 것이다. 분 연구는 유학생 강의 만족도와 신뢰도의 평가형식을 제시하여 또한 대학교육 서비스품질이 유학생 강의 만족도과 신뢰도에 대해 평가의 중요성을 기술하여 교육품질을 영향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경상북도에 있는 국립대학교와 사립대학교에 제학중인 일부분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되었다. 게다가 교수의 교수법, 평가의 공정성, 대학교의 교육환경,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 한국학생과 교류활동, 유학생의 개인 요소를 통해서 대학교육 서비스 품질에 존재하는 문제를 분석할뿐더러 유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찾아내는 것이다. 앞에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대학교육서비스 품질을 개선하여 유학생 강의 만도와 신뢰도를 향상 시키는 것을 매우 시급하다고 한다. 유학생이 강의 만족도와 신뢰도에 대해서 높이게 한다는 것과 학생행위 경향 사이에 큰 관계가 있다. 정부 직능 서비스화, 대학의 연구제도화가 대학교육 서비스품질을 향상 시키고 대학교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The Effect of Lecture Service Quality and Characteristic of Students on Satisfaction, Lecture and Verbally Intention·Attendance Intention - Focused on Chinese abroad students - Hongxing Zhu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unsang Kim) Abstract In modern society,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glob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 the meaning of the border are increasingly crumbled. The improvement in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quality has become a requirement in order to promote university education industrialization as well as the further develop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the monitoring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the lecture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have been evaluated. In this study, I first review the related study such as education services,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I study the theory of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by using survey and interview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the evaluation of reliability and lecture satisfaction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quality deal with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lecture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is study, Chinese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Gyongsan Buk Do, are the sample. Through professor of pedagogy, the fairness of evalu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university, international student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tudents exchange program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 find the problems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it has the impact on lecture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 to the previously mentioned, we urgently need to improve the lecture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improving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It has a great relationship between the tendency to act of students and the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lecture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The government functions, also need to improve the university services quality and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연구

        박승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23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연구 박 승 태 영남대학교 대학원 교 육 학 과 교 육 학 전 공 ( 지도교수 김 병 주 ) 요 약 이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를 졸업한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을 파악하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적정한 수업연한을 검토하고 적정한 수업연한으로 운영을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국내·외 고등직업교육 기관의 수업연한과 관련된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현황과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및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 연장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유치원 교사의 핵심 역량과 수업연한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전문대학 유아교육과를 졸업한 졸업생의 유아 교사로서의 핵심 역량,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적정 수업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를 적정 수업연한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설문은 전문가 안면 타당도 검사를 통해 검토하여 개선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 설치 대학 학과의 교수와 학생, 유치원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의 내용을 보충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 설치 대학 학과의 교수와 학생, 유치원 원장과 교사 중 일부 인원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년제 졸업생의 유아 교사로서 핵심역량을 고려했을 때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은 연장되어야 한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핵심역량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 학문적 지식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핵심역량을 부족하게 갖추고 졸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 학문적 지식의 이해 및 활용 영역에 대한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교양 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유치원 경영의 이해 역량 면에서 특히 유치원의 재정 확보와 관리, 유치원 회계 부분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직 과목에서 유치원 재정 및 회계에 대한 과목을 증설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의 교육과정보다 질적인 면과 양적인 면에서 더욱 심화된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고려했을 때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을 4년제로 전환하여야 한다.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적정한 수업연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4년 단일화 방안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년제를 졸업한 졸업생들은 상당수가 졸업이나 취업 후에도 학사학위 취득을 위해 편입을 통하여 학업을 계속 원했다. 그 원인은 취업 시의 차별이나 임금 등의 대우에 대한 차별을 극복하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3년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과 4년제 유아교육학과의 교육과정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성 등 일반 교양지식 정도 함양 강화와 교직성향 강화를 위한 교직관련 지식 정도를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교육적 요구와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업연한으로는 기간이 부족하므로 수업연한을 4년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셋째,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을 4년제로 운영하기 위해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교육기관의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는 자신만의 강점을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이 4년으로 단일화되면 인지도가 높은 기존의 일반대학교 유아교육과로 학생들의 지원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가 그 존재성을 확보하려면 국가 수준의 표준 교육과정 외에 해당 전문대학만의 독창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문대학 유아교육과가 4년제로 전환하면서 시급하게 해결해야할 과제는 교수확보율을 4년제 대학 수준으로 갖추는 방안과 학생 정원 조정이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과의 4년제 단일화가 추진되었을 때 제기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유치원 교사에 대한 처우 문제이다.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우수한 교사 자원을 확보하려면 현재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보수와 복지를 점차적으로 개선하여 공립 유치원 교사의 수준까지 도달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주요어 :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유아교사 핵심역량, 유아교육 교육과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