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행자 도심이용패턴과 공간구조에 대한 연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중심지역을 대상으로

        신수민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jong City, Jochiwon encompasses three universities, among them Hongik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and thus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activities of students around Jochiwon’s central area are limited; it is mostly used as a transit point to commute between home to university. While looking for reasons for this pattern, it became evident that there is very little existing research regarding the urban spaces of Jochiwon. In order to fill this gap in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f the physical structure and pedestrian urban use patterns of Jochiwon. In particular, this study lin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th ‘smart solutions’.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literature study is conducted on pedestrian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urban spatial structure, classifications of pedestrian behavior patterns, among others. Second,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physical elements of the city and pedestrian urban use-patterns are examined. Pedestrian urban use patterns are analyzed by observing direct pedestrian behavior pattern and conducting a survey of Hongik University students. Lastly, physical elements of the city are scrutinized through city structure analysis using space syntax, field study of current building usage and crosswalk façad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city space perspective, most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of the target area are distributed around smaller roads within the block, and not around the major road which is the central crosswalk in Jochiwon’s central area. The study of the façades shows that the smaller commercial streets lack transition spaces and places where people can linger. In addition, the street environment discourages the use of street furniture. Furthermore, dense residential areas shows inadequate street lighting and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long with a lack of adequate separation between pedestrians and cars in the inner roads. Secondly, pedestrian urban use pattern analysis shows that pedestrians traffic is concentrated around Sejong Traditional Market during the day and the inner restaurant street at night. Also, a total of eight pedestrian behavior patterns, mostly falling under ‘necessary activity’, are observed.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remain close to bus and train boarding areas in Jochiwon town center as there is a lack of cultural and recreational destinations. With this information,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Jochiwon central area’s pedestrian pattern and pedestrian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pedestrian distribution corresponds with the building-use distribution, and the time pattern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acilities. Second, pedestrians mostly show ‘necessary activities’. Third, Jochiwon’s central area is relatively unsafe for pedestrians. In other words, issues related to urban use, as experienced by Jochiwon’s urban user, include unbalanced pedestrian distribution according to use-separation, restricted pedestrian behavior due to a lack of available space, and drop in pedestrian safety. In order to tackle such issues, ‘smart solutions’, such as city information services applying mixed-use and IT technology, composition of green space (ET), construc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pedestrian-only streets, are propos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lies in the fact that observation and analysis of pedestrian pattern is confined to a part of Jochiwon’s central area, and cannot be generalized as being applicable to the entire Jochiwon center. However, the these research findings can serve as valuable background data in understanding the spatial structure of Jochiwon town center and its pedestrian movement patterns. 조치원읍은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구역으로 홍익대학교와 고려대학교를 비롯하여 3개 대학이 위치하여 있고 이런 특성상 대학생 유동인구가 많다. 하지만 조치원 중심지역에서의 학생들의 활동은 매우 제한적이며 주로 대학과 학생들의 집을 오가는 환승지로 이용되고 있다. 대학생들이 조치원 중심지역에 잘 가지 않는 이유를 조사하면서 조치원의 도시공간에 관한 연구가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세종시 조치원읍 중심지역의 도시공간구조와 보행자 도심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추후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도심이용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스마트솔루션과 연계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구조에서 보행 특성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요소들과 보행자 행동패턴 분류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도시의 물리적 요소와 보행자의 도심이용패턴을 조사하였다. 보행자의 도심이용패턴조사는 직접관찰을 통한 보행자 행동 패턴 관찰과 홍익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도시의 물리적 요소를 조사하였다. 물리적 요소조사로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구조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한 건축물 용도현황 및 보행가로 입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구조의 관점에서 조치원 중심지역의 중심가로는 중심지역 내 큰 도로인 반면, 대상지 내 상업시설은 주로 블록 안쪽의 작은 도로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건축물 입면을 조사한 결과 상업이 주로 분포된 거리는 전이공간과 보행자가 머무를 공간이 부족하며, 거리시설물을 이용하기 힘든 거리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상지 내 주거 밀집 구역의 경우 가로등과 방범시설이 미비하며, 대상지 내부도로는 대부분 보차혼용도로로 이루어져 있었다. 둘째, 보행자 도심이용패턴 조사결과로는 조치원 중심지역 보행자가 주간에는 세종전통시장, 야간에는 음식점이 밀집된 가로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보행자 행위 패턴은 총 8가지로 주로 필수적인 행위에 해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대학 학생들은 조치원 중심지역에서 주로 버스·기차의 승차시간 대기를 하며, 문화시설과 공원시설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치원 중심지역의 보행자 도심이용패턴과 보행환경에 대한 특성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보행자분포는 건축물용도분포에 영향을 받으며, 보행자의 시간대별 분포는 상업시설의 특성과 연관성을 갖는다. 둘째, 보행자는 필수적 행위를 주로 보인다. 셋째, 조치원 중심지역 내 보행 안전도는 다소 떨어진다. 조치원 도심이용자가 겪는 도심지 이용에 관한 문제점은 용도분리에 따른 보행자 분포 불균형, 여유공간 부족에 따라 한정된 보행자 행동패턴, 보행자 보행안전성 하락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스마트솔루션으로 용도혼합 및 IT기술을 활용한 도시안내서비스, 녹지축의 조성(ET), 방범시설구축, 보행자 전용거리운영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 조치원 중심지역의 보행자 행위를 살펴보고 분석한 것이므로 대상지역의 일반적인 보행자의 특징이라는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조사된 내용은 조치원 중심지역의 이용도를 높이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 스마트 도시환경 기반 재난안전플랫폼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연구

        박민철 弘益大學校 스마트都市科學經營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Summit 2015, slated for Sept.25 to 27, where the participants including Park Geun-Hye,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adopted the 2030 Agenda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Stated in the ‘Agenda’, are 17 goals and 169 associated targets, which could be scalable and varied for not only global but local dimensions, are crucial for realizing the philosophy and the values of the communal goods for the humankind. The ‘2030 Agenda’ succeed and would overcome the MDGs(Millennium Development Goals) over the next 15 years. It is worth while to point out for a proper understanding the ‘2030 Agenda’ that will serve as guidelines for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s and, as value-oriented norms for the ecological coexistence, in terms of the ethic and aesthetic and moral for the future global societies. Each member countries should contribute to the global strategic issues such as world peace, international inequality, climate change, balance and equity between local and international, south and north, east and west, city and rural, men and women and, between themselves too. They should also try to forge the effective shared systems (or “platforms”), in regard to the newly developed technologies and socio-economic policies or politics for the international societies enabling them to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those issues. The normative values on the balance and the equity are both denoted in this Agenda for the environmental coexistence and the humanit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United Nations drive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e goals and targets of the SDGs would influence directly and indirectly on almost all domains and spheres of the global societies, probably on the so called 3 pillars for the sustainability ; “society, economy, environment”. Confining our discussion stucking to the topics of the environment of the smart city, in relation to some of the SDGs’ : Goal 9 [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 Goal 11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a balance and a mutual rate between societal needs and, social growth and innovative technologies (or a “dominant technology” : ex. IoT) are the punch lines paying attention to the sustainability. Technologies relate to the society and vice versa. As a matter of fact, the dominant technology to the environment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that’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s an immediate profound impact on a smart management of the functions of the energy(heats, renewable energy), the preventive security of the disasters, the green infrastructure, the social and cultural assets and human every day life, etc. To investigate more in precision, it would be necessary to invent an architecture of the platform for a sustainable maintenance of the urban environment for the discussion on such a relation ship. In the light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Disaster Risk Reduction (DRR) is an integral part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is essential if development is to be sustainable for the future society to “make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36)[SDGs 11]. The resolution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on 3 June 2015 discerning Sendai Frame 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 have stipulated the importance of a structural or non-structural measures to enhance both material and immaterial assets and environments of the human society. However, in practices, the fact that the related industry didn’t have proceeded far these technologies at smart control system and service platform for the end users is an indication of the domestic investments limited leverage over the innovative ideas resulted in many technical and business changes. Insufficiency and lack of an effective and efficient measure as pivot to minimize the risk of disasters at the same time maximize assured life, security of building assets and enhance culture, health and urban ecosystem, etc., become a threatness and an opportunity to give birth to be a new social want, a new industry : niche market. In spite of those phenomenons previously mentioned in Korea, the United Nations recommended as follows : Public and private investment in disaster risk prevention and reduction through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are essential to enhance the economic, social, health and cultural resilience of persons, communities, countries and their assets, as well as the environment. These can be drivers of innovation, growth and job creation. Consequently, would be desirable for working in niche markets where the an intelligent control system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coping actively and smartly with the unpredictable various disasters having been taken occurred in the built environments. In case of the absence of a proper and an autonomous decentralized system in a building powered by IoT(Internet of Thing), as we recognized that through main streams of the Resolution adopted by the Global Organization (U.N), the well-being, safety of habitants have been damaged as a result of non-prepared or non science-based management tool for disasters. Thus, first of all.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what would be definitively necessary for answer for a series of the questions we previously interrogated i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We attempt to define the functions of ICT to the reduction of the risk of the disasters in a built environment next. Thirdly, we’ll try to establish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for safety runned working by an IoT driven system imbeded in Smart City infrastructure and disseminated by kinds of mobile devices, between concerned public or non public organizations and stakeholders. Also, this research is to forge a business model for safety management of smart urban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therefore to suggest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maintenance on the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owing to ICT to assure the industries of prevention and safety of the disasters. Nowadays, meanwhile, the increasing and frequent big accidents and ICT has advanced rapidly,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erms of optimized technology for disaster reduction and safety, assuring the system in use of mobile devices(smart phone, ect.) are going along animatedly. However, only for utilization of recognition of thing-based devices like smart phone and smart glass in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s, various smart devices, architecture of communication system enabling information exchange subsystem as important constitutes of the platform of disaster prevention, would be merely applied limited functions of built-in sensors, in such a narrow sense. These entailed such technologies to cope with disasters so applied to a simple smart devices that found could not improve the lower survival rate, in case of the fire, smoke and darkness, the reason why this kind of technology could not make active action quickly. Resultantly, the development of a service platform for 'reciprocal-multiple recognition of thing, which makes building become capable to control itself due to sensors and actions on a control system by applying a connecting method combined witsmart device and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a concrete service model is preceded. In other words, a ‘smart city environment driven’ Business Model(BM) in response to construct a service platform in favor of activat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USN and experts-based disaster reduction and prevention for a building The research came up with an ad interim result of essential technical elements for commercialization. En fin, a Business Model is investigated from stand point of the goals of constructing a synthesized informations of safety and control (service) platform for messaging of disasters to meet in coping with them within a smart urban environment. Efficiency and effects of science-based commercialization of a Business Model will get along with improvement of the analysis of the trends of technique and the design of service system to engender a demand-market and to do Business Model credit. Main objects of the category first and second facilities and buildings applied to the <Special Codes for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open informations to the public according to Facility Management System(FMS). These objects have thus potentialities to arise disasters. If the (service) platform out comes from this research is realized, a basic system to correspond with disasters is going to stronger. The basic system is also able to prevent various complex societal disasters as messaging an information about safety between from the ‘thing’ to/and ‘persons’(users). Urban Environment at next generation with an integrated management and sensing disasters public on the basis USN appears us ‘innovative’ and hopes to promise more Safety and Quality of Life(QOL) to their inhabitants. 2015년 9월 유엔개발정상회의에서 결정된 새로운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즉 SDGs17은 안전한 도시주거 및 환경에 관한 목표와 세부이행목표가 다수 포함됨으로써 다시 한 번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의 기본 철학인 균형 및 평등을 강조하고 있다.우리의 관심을 도시환경으로 한정한다고 할 때, SDGs의 정신을 적용하면 도시와 도시 간, 도시환경 구성요소 중 물리적(생태적 그린인프라 : 공원, 녹지 등, 인텔리전트 그레이인프라 : 빌딩, 도로, 기타), 사회경제적 환경 간의 균형적인 지속성 추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실, 지속가능발전이 많은 경우, 특히 도시자체가 정보화, 전자화, 유비쿼터스화 된 ‘스마트도시’ 환경의 경우, 가장 진보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ICT)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의 물적 환경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논의의 한계를 도시주거의 안전성에 대한 감지 및 예찰과 재난대응 정보화 환경방재에 둔다면, 이에 대한 플랫폼의 구축은 디지털시대 도시환경의 지속가능한 유지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고민과 논의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똑똑하고 신속하며 체계적인 기동이 필요한 복합·사회적 재난과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반면 현재의 실정은 기존의 도시 환경 속 건축물과 시설물에서 활용되고 있는 재난대응 시스템의 기술 및 서비스 적 한계로 인한 미흡한 기동성이 대형 사고를 유발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발전된 ICT기술에 의한 사물인터넷기술 및 사물인식기술과 이를 활용하는 스마트기기의 높은 이용률에 대응하지 못하는 낮은 수준의 건축물은 이용자들로 하여금 불안감을 고조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스마트도시의 구성요소들과 스마트기기 상호간 사물인터넷 개념상에서의 안전정보교류 및 제공을 통하여 각종 유관기관과의 직접적 안전소통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위한 플랫폼과 스마트 재난대응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비즈니스 서비스 모델을 연구하여 유비쿼터스도시(Ubiquitous City : U-City)와 녹색도시(Green-City)를 비롯한 스마트도시환경 기반의 안전관리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ICT를 응용한 지속가능 도시환경 유지와 관리의 실현이라는 발전된 방향성을 안전 및 방재산업 분야에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대형 재난사고의 빈번한 발생과 ICT 기술발달의 가속화로 인하여 모바일을 활용한 재난안전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재난안전플랫폼의 주요 구성요소인 통합형 관제서비스와 각종 스마트기기, 건축물간의 재난정보송수신 및 대응을 위한 통신체계의 구축에 있어서 일반적인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안경과 같은 사물인식 기반요소만을 활용하게 되면 내장된 센서의 한정적 기능만을 활용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현재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디바이스만을 활용하여 재난대응을 하는 기술은 화재와 연기 또는 암흑 등의 상황발생시 능동적 대응이 어려워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Ubiquitous Sensor Network : USN)과 스마트기기를 연동시키는 방법의 적용을 통해 건물자체가 센서와 관제시스템의 통제를 통해 지능형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다중 사물인식서비스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실감 있는 재난대응 서비스모델의 수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스마트도시환경의 시설 및 건축물이 USN과 재난안전관리 전문가그룹에 의해 재난예방으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 재난대응, 유지관리까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에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을 연구하고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금번 연구에서는 스마트 도시환경 기반의 재난정보송수신 및 대응을 위한 안전정보 및 관제시스템에 대한 통합서비스 플랫폼의 구축을 목표로, 이를 과학사업화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연구하고 사업화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비즈니스모델의 신뢰성 확보와 수요시장의 창출을 위해서 기술동향분석과 동시에 서비스디자인을 실시하여 비즈니스모델의 과학사업화효율을 향상시킬 것이다. 주요 연구대상은 도시환경 중에서도 재난상황의 발생빈도가 높은 시설물과 건축물, 즉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재난발생의 위험이 높거나 예방이 필요한 시설물로 시설물정보종합관리시스템 (Facility Management System : FMS)에 그 정보를 공개하고 있는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해당하는 1,2종 시설·건축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플랫폼을 구축하게 되면 기본 재난대응체계가 더욱 견고해지는 동시에 체계적인 안전정보를 이용자에게 전달하여 각종 복합·사회적 재난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USN 방식이 적용된 재난감지 및 통합관리 시스템”의 대중화를 통해 구현될 가까운 미래의 도시환경은 스마트한 ICT 기술의 융합을 통한 도시 혁신(Urban Innovation)으로 시민들에게보다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삶의 질 (Quality of life : QOL)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 한국형 EVSM(Energy Value Stream Mapping) 모형설계

        김민지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 과학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thesis aims at establishing the fundamental infrastructures of industrial energy efficiency for manufacturing plants in Korea. The study identify energy flow of a positive research object to visualize it into an ESM(Energy Stream Map),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ones that those latters doesn’t present in a comprehensive manner to show energy flow in different strands in multicolor by distributed percentages, derived from those of rated powers of the plant, by cell, by ‘group(ed) process’, along with process lines. We investigate a whole energy footprint as time-energy functions to make it join a value stream to bring a new combined Energy Value Stream Map (EVSM) responding to the reality of the manufacturing plants in Korea. The study analyse energy efficiency of the nine lean production lines conducting an energy stream mapping triggered by examining on site the energy flow, on the basis of a processing map. By analyzing the energy with an EVSM and a PECT(Predictable Energy Consumption Table) of the Lean-Production processes, finding the wastes by dichotomic classification of energies between value added usage of energy(VA-EU) and non value added usage of energy(NVA-EU), the energy savings potential and the optimization can be suggested by the usage of EVSM. The prelude of a New Climate Regime originated from Paris Climate Agreement other named COP21, Green House Gases and Carbon Economy, the duty of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lean Technology(CleanTech) and the Policy and Institutions of Green Factory that’s a ‘clean plant aiming at diminishing carbon emissions’ as a consequence of running a management system of energy and, innovations in developing new technologies, Energy saving technology and its management as energy efficiency and enfin, until 4th Industrial Revolution, those are common tasks for the survival of the humanities, policies, economies and turn up the touchstone of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at faces the global community living such a sustainable environment coping with climate change. The international attention is competitively being directed to solve these problematics, in committing and invest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in focusing on off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ackage Climate change response, Greenhouse gases mitigation and, seeking the innovative alternatives by a process of two or more of convergence in the process of looking of the solutions against such challenges is being settled as a principle and a normative approach in all the scholastic area, professional field studi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even in every branch of human endeavor. This study keeps it’s cause and full account of the argument on build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efficiencies’ of the industrial energy especially including electrical energy saving in the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plants, with the prerequisite of ‘attaining nation’s goals of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through by curtailing carbon that should be under ministrial controls, which are mandatory implementation challenges accrosing over government-wide and all industrial field. Resting our attention on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plants resides in the skeptical but balanced idea that, in order to accomplish the success of the intended purposes of National policy drive of energy efficiency like NEPA(National Energy Policy Act), a relative equity should be now allowed to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taking charge of much of the industrial production in Korea but lying in the relative inferiority from governmental supports and institutional benefits, in sharp contrast to the major companies, capable to adapt them to those national energy efficiency acts. These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that seem to as though the lower rates of absorption of energy institutions and supports are targeted for and, in case of that they actively responds to the governmental policies of green plant accomplishment and energy saving, identification of energy database by a ‘master plan driven’ and analysis of energy footprint based on that, and then, a self-monitoring besides-diagnosing system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enabling them(the manufacturing companies) to facilitate a knowledge-based positive research that can be prepared through such a basic ‘energy master(date) plan’(executing energy inspection, generating an EVSM and conducting analysis and results) are the fundamental infrastructural elements, as ready to be highest priority [Sphere and contents of the Study] In the light of the reality of the manufacturing plants not looking at energy as ‘In put’ but also as energy management system frame in the production process, establishing infrastructure of energy informations of the plants in a state of the rising energy costs and low carbon policy provides us a clue to both Energy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n the one hand, and the other hand, enable them to get the fundamentals, stand forth, means a lot. We investigate on a foreign-based domestic manufacturing site in the production of auto-parts as positive study object. As previously stated, engaged in the studies of the optimization in relation to the energy us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ound ‘energy desert’, in confront of the responsibilities for the target of energy reduction and the mitigation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this study became challenging in terms of the software improvement standpoint that carries out an energy data collecting and formulating a relevant system, having an eye for the improvements upon wastes from Lean management perspective and establishing the frame which are to be furnished as a place of business-level self-assessement, prior to the device-based physical or hardware improvement viewpoint by means of IoT or sensors. What this study is to be challenging is clearly understood in fact that the rearch in which hard work and significance are dissolved attempts to undergo intact a process of a STEM-based convergence or possibly, of science management triggered by arithmetical reasoning about such like management viewpoint meets with (electrical) engineering know-how, a Predictable Energy Consumption Table(PECT). Understanding the targeted plant for a positive study have practiced the Lean-management, we make a significant breakthrough in our studies from the ideas of the ‘Lean-Energy manufacturing process’ put following two things together : the energy stream which would be forced to be added parallel to the value stream in the lean production processes. In addition to find the wastes so that we discriminates clearly between value added energy usage and non value added energy usage by each product cells, related to ‘time-energy’ functions, we have tried to estimate a Preditable Energy Consumption Table (PECT in xlx) from nominal power per rack by line, by equipment and, energy bill of the plant to serve as ‘master database’ to facilitate the optimization of energy uses per day, per month, per year. These are all included in the visualization of the EVSM, as the result of an un precedented blending of managements and electrical knowledges, responding to the VSM of the Lean manufacturing Processes. Although it includes recommendations likely to say what we don’t know exactly how an EVSM and a PECT will have promptly delivered substantial cost savings is involved in a latter research, a Korean model of EVSM reflecting reality of the country, whis is ultimate goal of this positive study, is now available that leads to create ‘basic energy infrastructures. In that respect, an EVSM model makes a draft(or a tool) to establish energy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resulted in the contribution to provide a scholastic basis for the qualifications of the company that will be eligible for entrepreneurs that they are properly and preemptively prepared for the energy efficiency policies. And to conclude,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a cross-stream mapping assessment of innovation capabilities for the energy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o not support yet the suggested causal association, that’s one of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between EVSM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Hereafter, we hoped to become increasingly common, as many plants, verifiable facts, as possible to have access to an ‘EVSM’, a ‘PECT’ and a ‘Lean-Energy Inspection and Efficiency Toolkits’. Moreover, a larger study that strengthen the bottom of proves undergoing an abundant data-based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through a very grounded measurement of energy data on site and a production of new informations, will be expected in the nearest future. Finally, more will be expected that Lean-Energy expands Energy-Six Sigma by ‘vertical integrated and lateral associated’ have resulted in significance in relation to Energy-Quality Improvement beyond cost-justify and process improvement. 파리기후협정(COP21)과 신기후체제(New Climate Regime)의 서막, 온실가스와 탄소경제, 지속가능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이행의무와 국제개발협력, 청정기술(Cleantechnology:Cleantech)과 녹색사업장 정책과 제도 및 혁신기술개발 등으로 표현되는 에너지 효율화로서 에너지절약 신기술과 경영 그리고 4차 산업혁명까지 이 모든 이슈들은 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글로벌 공동체가 맞닥뜨리고 있는 인류생존의 공통과제이자 정책 및 경제, 기술경쟁력의 지표이다. 이에 맞춰 각국은 경쟁적으로 기후변화대응, 온실가스감축 등의 문제에 대해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자하며 연구개발에 역량을 쏟고 있다. 이러한 도전적인 과제들에 대해 해결책의 모색 과정은 학문 분야나 기술개발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을 융합하는 학제적 연구 방법론이 하나의 원칙이자 혁신적인 접근방법으로 정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범정부적, 전 산업 분야의 의무적인 이행 과제로서 그 목표가 관리 되어야 할 탄소저감을 통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이라는 대 전제 속에서 특히 중소 제조사업장의 산업 에너지 절감을 포함한 효율화의 인프라 구축에 대의명분(大義名分)과 논증의 근거를 두고 있다. 중소제조사업장에 주목 한 것은, 국가적 에너지 효율화 정책 드라이브가 소기의 성공을 이루려면 에너지 합리화에 무리 없이 순응할 수 있는 대기업들보다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지만 산업생산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 제조업체들이 정책·윤리적 측면에서 상대적 평등성이 주어져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이들 에너지 제도 및 지원에 대한 흡수률이 낮다고 판단되는 중소제조사업장을 대상으로 기업이 정부의 녹색사업장 달성 정책과 에너지 절약 시책에 적극 반영할 때 최우선적으로 기업이 준비해야 할 에너지 현황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 확인과 분석 그리고 이를 통해 준비 될 수 있는 「에너지 자가진단 및 정보 관리 시스템」등 에너지 정보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에너지실사, 에너지 가치흐름도 작성과 분석 및 결과)로 한정할 수 있다(연구의 범위와 내용). 생산 공정에 있어 에너지를 특별히 고려해야 할 투입 요소로 보고 경영시스템의 틀로 바라보지 않았던 중소제조사업장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에너지 비용의 상승과 저탄소정책 속에 사업장의 에너지정보에 대한 인프라 구축은 에너지경영과 환경경영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기초체력을 갖는 의미 있는 일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 제조사업장을 연구의 실증대상으로 삼았다. 앞서 말한 바, 에너지 절감 목표와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숙명 앞에 놓인 이른바 ‘에너지 황무지’인 중소 제조공정에 에너지사용의 최적화와 관계되는 연구에 관해 IoT나 센서 등 디바이스 기반의 물리적 제안에 앞서서 사업장의 자가진단 차원에서 구비해야 할 에너지 데이터의 수집과 그 체계의 정립, 린 경영 관점의 개선에 대한 안목과 틀의 정비라는 소프트웨어 차원의 개선에 일차적인 무게를 두고 그 해법을 찾아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된 도전적인 과제라 하겠다. 본 연구가 도전적이라 함은, 경영적 관점과 전기 공학적 노하우 그리고 에너지사용량 예측(PECT) 관련 수리과학적 추론이 동원된 STEM적 융합과정, 즉 과학경영적 연구과정을 고스란히 밟고 있다는 점에서 노고와 의의가 녹아있다고 볼 수 있다. 실증연구 대상사업장에 린 제조공정에서의 가치흐름(VSM)과 평행하게 투입될 수 있는 에너지의 투입 흐름(ESM)을 생각하고 이 둘을 융합하는 「린-에너지 제조공정」아이디어로부터 연구의 돌파구를 마련하였다. 낭비 요인을 찾아내어 「시간-에너지」관련 각 설비를 부가가치적 에너지 사용(VA-EU)과 비부가가치적 에너지 사용(NVA-EU)을 구분하는 한편, 정격전력과 사업장 전체 에너지 요금(Energy Bill)으로부터 라인별, 설비장치별 에너지사용량 예측표(PECT : Predictable Energy Consumption Table)를 산출하였다. 경영과 전기공학적 지식 융합의 소산물인 이 결과들로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은 린 제조공정의 가치흐름 대응 「에너지 가치흐름도(EVSM) 시각화」를 표현하였다. 이는 곧「한국형 EVSM 모형 설계」로 에너지 기초 인프라를 정비하게 한다는 점에 있어서 국내 중소산업체의 현실을 반영한 에너지 경영의 인프라 제공이라는 본 연구의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EVSM 모형은 에너지 관리체계(EMS)의 확립을 위한 밑그림이자 도구이다. 연구의 성과가 에너지 효율화 정책에 선제적인 중소제조사업장으로서 자격을 갖추게 하는 학술적인 토대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실증 대상 사업지인 A중소제조사업장에 EVSM과 PECT 그리고 린-에너지실사 및 진단 툴킷의 일반화와 실제적인 에너지 데이터의 현장 측정 및 정보의 생산을 통해 보다 풍부한 데이터 기반의 해석으로 논증의 밑바탕이 강화되길 희망한다. 또한 린-에너지가 한발 더 확장하여 에너지-식스시그마로 합종연횡(合從連衡)함으로서 비용개선과 공정개선을 넘어 에너지-품질개선 연관성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낳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위한 컨테이너 거점시설 조성 연구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를 중심으로

        엄미란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조치원읍 신안1리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구역으로 홍익대학교 캠퍼스와 인접해 있다. 최근 세종시 조치원읍의 도시재생사업인 청춘 조치원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사이에 위치한 신안1리에 캠퍼스타운 조성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민들과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캠퍼스타운에 맞는 지역사회 교류의 장으로 컨테이너를 이용한 마을 거점시설을 조성하는 연구 방안을 제시한다. 마을이나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시설을 구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력과 참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반영하여 거점시설의 위치와 용도를 선정하고 주민과 학생이 공유할 수 있도록 스마트한 컨테이너 거점시설 에 대한 연구방안을 제시한다. 신안1리 주민들 중 다수는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학생을 대상으로 원룸임대업이나 식당 등의 상업을 하고 있다. 학교 주변은 먹을거리나 유흥점이 거의 대부분인 문화적, 예술적으로 고립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신안1리 지역은 학생들 대부분이 재학 중에만 잠시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보면, 신안1리는 인근 원룸에 거주하는 학생들과 주민들 간의 교류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주민들은 홍익대학교 학생들의 재능기부와 마을행사 참여를 원하고 있으나 학생들은 지역사회 커뮤니티 참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인근지역인 신안1리를 대상으로 주민과 학생들의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으며,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세종시 조치원읍 신안1리를 중심으로 주민과 학생들에게 각각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의견을 조합하여 앞으로 캠퍼스타운이 성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컨테이너를 활용한 거점시설은 주민들과 학생들의 만남의 공간을 제공하는 시작점에 있어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사회가 공유할 수 있는 거점시설 조성방안을 제시하여 도농지역 캠퍼스타운 활성화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As part of Youth Jochiwon Project, which is a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Jochiwon, Sejong City, a campus town that connects Hongik University and Shinan-ri has recently become financially viable. This project aims to establish a ‘local base camp’ where residents and student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mmunity center for residents and students using sustainable architecture containers. The purpose is to contribute to urban regeneration efforts. In order for a campus town to be created, it is important to have a sense of community with active cooperation from residents. H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Hongik University students in creating a campus town. By sharing the results with resident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encourage encounters and interactions between local community and university students. Jochiwon-eup Shinan-ri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jong City adjacent to Hongik University, Sejong Campus. Many Shinan-ri's residents cater to students by operating commercial businesses, such as studio rentals and restaurants. The area around Hongik University Sejong Campus is physically isolated from central Jochiwon with minimal provision of culture and art amenities. Most students stay only briefly during semester and leave upon graduation, never to return. Until now,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residents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business-based with almost no sense of shared community.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conducted in this study show that residents want Hongik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village events as well as donate their talents to the local community. Students, on the other hand, have little interest and do not feel any need to do so. There are no studies on community spaces for residents and students in Shinan-ri and Hongik University. To fill this gap,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about creating a successful campus town by giving voice to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위한 참여형 스마트 지도 만들기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를 중심으로

        김규남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신안1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자리하고 있어 지역 주민보다 대학생 인구가 많은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이다. 이 지역은 도농지역이라는 특성상 젊은 대학생들이 거주하기에는 편의시설이 부족하며 어두운 길거리는 신변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의 문제점들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대학생들의 삶이 반영된 지속가능한 신안1리만의 지도를 구상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하고 편리한 그리고 친환경적인 캠퍼스타운 조성을 위한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의 참여형 스마트 마을지도 만들기 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농지역과 캠퍼스타운에 대한 개념 정리와 마을지도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조사하였고 연구방법으로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현황조사로 구성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지역 구성비가 지역주민 대비 대학생의 비율이 많음 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 대학생들을 위한 시설과 장소는 부족하고 대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참여나 역할에는 소극적 인 것을 알 수 있다. 설문조사의 결과, 통학로 이용은 안전한 통학로보다는 최단 거리의 샛길 통학로를 선호하고, 캠퍼스타운 내 자주 가는 장소와 상징장소는 접근성과 인식성이 좋은 마을회관 건너편의 큰 나무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불편사항으로는 병·의원의 부재, 공공시설 및 문화시설 등의 부족으로 꼽았고 개선 요구로는 골목길 정비, 빈집 활용, 저렴한 주거공급, 광장 및 공공장소 설치 등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다. 현장 조사결과, 샛길 통학로 열악한 보행 환경과 안전 시설물 현황을 통해 안전에 취약한 골목 현황, 그리고 공공시설 및 편의시설의 부족 현황과 빈집(빈 상가)의 존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신안1리에 위치한 홍익대학교주변 안전한 골목지도라는 의미의 (가칭) “신안홍길(신나고 안전한 홍대주변 길)”이라는 캠퍼스타운 지도를 만들고 지역의 지리적 정보, 그리고 다양한 활동들을 지속적으로 제공과 시‧공간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다음 단계이다. 오프라인 지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매핑 지도를 제안하여 마을 구성원인 대학생-지역주민-학교-지자체 간 협력과 지역발전을 위한 상생 방안 마련 등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대학생 관점에서의 캠퍼스 타운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생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구와 필요인 주거, 교통, 안전, 의료, 복지, 교육에서부터 창작, 문화, 그리고 생산까지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마을지도를 활용한 공간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사용을 통하여 지역주민과 학생이 주체가 되는 젊음과 예술을 바탕으로 활력이 넘치는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추구한다. Jochiwon-eup Shinan1ri is an urban-rural campus town where Sejong Campus of Hongik University and Sejong Campus of Korea University are located, and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local resident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urban-rural area, there are insufficient amenities to use. There are many dark streets which make students feel uneasy about safe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 way to improve the urban-rural campus town and to plan a sustainable Shinan1ri’s new map to reflect the life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articipatory smart village map of the campus town in the urban-rural area for the safe, convenient, and eco-friendly campus town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campus town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village are investigated. The research method is composed of a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a present-condition investigation. The literature survey shows that there are more students than local residents. The convenient facilities and places for college students are insufficient. Students are reluctant to a participation and role in town community.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s that students prefer the shortest pathway to the safe school pathway, and that the large tree across the town hall is a favorite place and a representative site in the campus town. Students feel inconvenience due to the lack of vending machine, public facility, and cultural facility, and request various matters such as maintenance of alleys, use of empty houses, supply of cheap house, and installation of public areas and plazas. The field survey shows that pedestrian environment is poor and unsafe. In addition, a lack of public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an existence of vacant houses (empty shop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produce a campus town map named "Shinan Honggil (a beautiful and safe way around Hongik University)", meaning "safe alley map around Hongik University". It is the next step of this research to provid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various activities of the region continuously and to share a time and spatial change of the region in real time.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offline map, this study proposes a smart map that applies smart technology to enable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uch as cooper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local residents, school, and local governments, and a win-win plan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smart map which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requirement of campus town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ity students helps community do various activities relating to housing, transportation, safety, medical care, welfare, education, creation, culture, and production. The research proposes the vigorous, young and artful campus town that both local resident and student become a subject through free access and use of space using the smart map of the village.

      • SDGs관점과 CPTED접근을 통한 외국인밀집지역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및 대전시 사례 중심으로

        박진규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의 17가지 목표 중 ‘도시와 주거지를 포용적이며 안전하고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하게 보장한다.’는 11번째 목표의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지속 가능한 도시와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안전하며 적정가격의 주택과 기본 공공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고 빈민가의 환경 개선, 접근이 용이하고 지속 가능한 교통시스템 제공, 주거지에 대한 참여적, 통합적 계획과 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배제․사회적 차별에서 오는 소외감으로 주거지 내에서 일탈적 행 위가 증가하여 사회적 범죄 행위로 표출되지 않도록 포용적인 주거지를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서남권 구로공단의 배후 주거지였으며 현재는 외국인 밀집지역이 된 영등포구 대림2동과 구로구 가리봉동, 그리고 중부권 대전시 대덕구 대화공단의 배후 주거지인 대화동 일대를 연구 대상지로 삼아 노후화된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행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가 외국인 밀집지역의 거주환경의 삶의 질 저하 및 체감안전도 저하 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요소의 차별성을 갖춰야 한다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CPTED 요소 도출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CPTED가 시행중인 영등포구 대림2동과 시행은 하지 않았지만 CPTED 요소의 물리적 요소를 일부 가지고 있는 구로구 가리봉동, 그리고 CPTED 시범사업 시행 예정인 대전시 대덕구 대화동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고, 대상지에 따라 주민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CPTED의 설치가 범죄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다른 연구 결과와 달리 그 효율성이 미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주민들이 요구하는 요소들이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외국인 밀집지역의 사회 통합과 안전 강화를 통한 주거환경 개선의 구체적인 CPTED 기반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공동체를 위한 방향 설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는 종합적인 범죄예방 전략을 제시하였다. Among the 17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is study started in the perspective of the 11th goal: ‘to guarantee a city and a dwelling’s inclusiveness, safety,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To build a sustainable city and community, it is needed to provide safe enough houses at reasonable price, guarantee access to basic public services, improve environment in a slum area, provide an accessible and sustainable traffic system, and enhance competence to plan and manage a dwelling participatively and integratively. Also,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inclusive dwelling not leading to the behavior of social crimes with the increase of deviant behavior in it resulted from a sense of alienation coming from social exclusion or social discrimin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Yeongdeungpo-gu Daelim2-dong and Guro-gu Garibong-dong which were the behind dwellings of Guro Industrial Complex in the southwest sphere of Seoul and have become the places where foreigners are crowded and also Daehwa-dong which is the behind dwelling of Daedeok-gu Daehwa Industrial Complex in Daejeon City, the central sphere. Focusing on the fact that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at has been enforced as part of the effort to improve old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be equipped with differentiation in terms of elements as a solution to reduction in life quality and the degree of safety felt in the environment where foreigners are densely located, this study intends to draw the factors of CPT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gions. This autho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Yeongdeungpo-gu Daelim2-dong where CPTED is being enforced, Guro-gu Garibong-dong where it is not enforced but the physical factors of CPTED are partly present, and Daedeok-gu Daehwa-dong in Daejeon where CPTED’s pilot project is about to be implemente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to the residents of each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its efficiency is found to be subtle unlike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s reporting installing CPTED is effective in preventing crimes. Also, it has led to a conclusion that elements demanded by residents tend to differ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er has prepared a detailed CPTED-based guideline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substantial safety enhancement and social integration where foreigners are densely located, figured out ways to produce synergy, and eventually proposed comprehensive crime prevention strategies to set up the direction for a sustainable urban community and improve life quality.

      • 도시재생 프로그램으로서 도시정원 : 서울로 7017 하부 ‘7개 정원’계획안을 중심으로

        김정아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 과학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Seoullo 7017 (The Seoul Arboretum), which transforms Seoul Station Overpass into a promenade as skygarden, has opened in order to promote an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ing the neighboring areas. Urban regeneration around the site aims at facilitating both physical and economical rehabilitation, socioeconomic revitalization and moreover, to hasten the quality of urban daily life, so that those measures would accelerate urban competitiveness for the urban center that keeps on worsening. In addition to these circumstances, Seoul Station, Grand Central of the Capital in the heart of Seoul is not capable anymore to distribute and to connect to traffic and peoples. Express trains and cars connect Seoul to its surrounding urban areas and cities. In the light of this standpoint, the overpass of Seoul Station, which transforms a new linear park and becomes quite different spaces and places for citizen, is the ‘Link’that holds at least two together ; tie the surrounding urban services and utilities up with the Seoul Station, by the functional form of its 'Linearity'. I therefore began to doubt for the functions of changing this grand infrastructure of railwaya in the context of urban change illustrated by a specific urban regeneration explanation named ‘Seoullo 7017’. The study starts from this point of view that underlined spaces are in need of being fulfilled with a social ‘happen’, which people enjoy freely and ‘eventual grounds’. Gathering people to the disconnected urban spaces and developing them as an attractive place would disseminate a positive energy to the nearby areas. In terms of spatial organization, Seoullo 7017 is interpreted by a dual form of a composed upper and lower sections then it goes spreading over the city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wer level, which is informal and flexible ‘ground’, rather than and in contrast with, upper level that’s ‘Seoul arboretum’, which is fixed flower skygardens on that it is worthwhile paying attention. On the space syntax point of view, the lower space, a 'free ground' in linear form is a space more accessible with ease and pedestrian friendly path. Gesturing with a little landscaping or installation these newly generated residual spaces underlined paths, we have an opportunity to create temporal landscapes. By assuring 17 pedestrian walkways in the 7 directions to the central city, they also link and feed the surrounding areas, responsible for the seven gardens, including Seoul Station, Namdaemun Market, Namsan and Myeongdong, etc. This study proposes an installation of the seven gardens at the angle of seven main access points as well as the rest area of lower spaces of Seoullo 7017. The study examines that seven gardens will possible to contribute to serve as a spatial or social relay for the separated and scattered territories and places as ‘indifferent islands’. This study tries to take a comprehensive approach by Urbanism experienced with programs of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garden or garden community as connection of people from the standpoint of social work practice, as place of citizen empowerment, therefore referred to a social point of view, etc. The Strategy of creating a garden in the ‘urban indifferent islands’currently undergoing vicissitudinous would be highly appreciated and considered as a strategic urban programs of regeneration. It serves as a focal point for promoting amenities in regeneration area and fostering a community around the topic of garden, installable on the citizens’ grounds founds under the slabs of the ‘arboretum’. The findings resulted in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are those of that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preserved in the continuous urban context. Also, it is strongly recommendable and important that a real cooperation by social works between civic government and citizen as well as upper overpass and lower ground should be linked. The site analysis includes a keen observation on the morphological aspect of the whole of the lines and its linked elements which extend around, general development plan for the Seoul Station area, and a master plan and a design of Seoullo 7017. The question investigation consists of a question about appreciations of users of Seoullo 7017 and the preference survey of the opinions of visitors. The result of the questionaire that is summarized by that the citizens demanded on a more lavish green space, a recreational facility, shelter facilities, various attractions, and artistically meritable gardens. Also, hopes of remaining at the developing linearity and flexibility of this unique ground in the cities, worth enjoying in everyday urban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nning of the seven gardens is expected to give birth to a temporal landscape, in addition to the urban jungles by imagining social gardens or grounds considered by a concept of the bottom zoological garden, in sharp contrast with the above arboretum. These provide various attractions, storytelling and playgrounds to the citizens as so called 'garden-community' venue through city garden programs and garden education programs. The community spaces and pop up gardens contribute to enhance the experience of users, giving vitality to the space and place at the same time, will serve as catalyst for a breakthrough for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By the different uses of the bottom spaces under a remodeled viaduct, on which new values will be. Boosting the ‘societal’Seoullo 7017 with the activities that engage the city in a cultural and a commercial level, the vitality initiated by Seoullo 7017 would spread to the whole areas under the influence of Seoul Station. 많은 관심과 기대 그리고 논란과 우려 속에 도시재생을 목적으로 사람들에게 차도 대신 보행길을 열어주는 서울로 7017(서울수목원, The Seoul Arboretum)이 개장했다. 도시재생은 쇠퇴하고 낙후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리적 정비와 사회적, 경제적 재활성화를 추진하는 것이다. 서울로 7017은 서울역 서부권과 동부권의 단절의 주요 원인이라 꼽히던 서울역 고가가 보행길로 변신한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서울로 7017의 ‘연결’이라는 ‘선’의 형태적 요소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사람들이 서울역 주변으로 보행 흐름을 넓히고 머물고 주변 지역으로 확산하여 인근 지역으로 재활성화의 긍정적인 효과가 확산되게 하는 데에는 고가보행로의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의구심에서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서울로 7017은 서울수목원의 고가 상부에서 퇴계로, 만리동, 중림동 그리고 청파동으로 갈라져 뻗어 있는 역동적이며 ‘살아 있는’길이다. 이 길(고가도)은 엄밀히 말하면 고가 상부와 그 하부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도시환경과 만난다고 볼 수 있다. 자칫 간과하기 쉬운 하부 공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보다 친보행적이며 친주민적일수 있는 공간이 하부 공간이다. 서울로 7017 주요 출입구 주변 및 하부 공간을 대상으로 7개의 정원을 계획하고자 한다. 7개 정원은 재생의 에너지가 주변 지역의 ‘면’적인 요소로 퍼져나가기 위한 거점 또는 매개인 ‘점’적인 요소이며, 분리된 지역을 연결하고 재생하는 데 기여한다는 화두를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도시재생과 도시정원, 도시재생의 주민 활력 프로그램으로서 도시정원의 가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도시정원은 어메니티 증진과 커뮤니티 장소, 장소성 형성과 지역경제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하는 도시축제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하는 데에 전략적 도시재생 프로그램으로서 가치가 있다. 사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시재생은 도시적 맥락과 역사성, 문화성이 보존되어야 하고 시민과 관의 협치가 중요하다. 고가 상하부는 의미론적, 공간구문론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시재생은 완료형이 아닌 현재진행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시민 간 커뮤니티 형성과 역량강화 차원에서의 교육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이론적 고찰 및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로 7017 하부 공간에 7개의 도시정원을 계획하기 위한 여건분석과 관련 계획 검토, 서울로 7017의 동선과 공간구성을 분석하였다. 서울로 7017 방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시민의 의견을 반영한 도시정원을 계획하였다. 시민들은 좀 더 풍성한 나무와 꽃 등의 녹지공간과 휴게ᆞ편의시설, 주변 지역과의 연계시설, 다양한 볼거리, 예술성 있는 생태ᆞ자연 정원을 요구하였다. 7개 정원을 공중수목원(서울로 7017)과 생태적으로 조화되게 개념화한 지상 동물원정원(7개 정원)으로 설정하여 도시 밀림을 상상한 계획안을 제안한다. 7개 정원은 계절별, 행사별, 주제별로 다양화한 일시적 정원이자 가변적 정원으로 페스티벌 성격의 정원으로 제안한다. 사계절 시민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이야깃거리, 놀 거리를 제공하고 시민이 직접 만드는 도시정원 프로그램, 정원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장소로 제공한다. 서울로 7017 주변 지역의 재생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홍보하는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가변적인 7개 정원을 통해 시민들에게 정원에 대한 의식 고취와 정원 문화, 정원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유입되고, 방문하여 주변 지역을 활성화 하는 도시재생의 활력 공간이자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

      • 스마트 보행신호시스템 안전성을 위한 시나리오 기반 테스팅

        이현준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 과학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79

        새로운 스마트 도시 개발 환경에서 모델링과 검증하는 방안과 개발된 결과를 테스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는 많은 교통, 환경, 주거, 시설 등의 도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전 세계적으로 ICT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시가 개발 및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세종특별자치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에서는 미래지향 행정도시의 정보인프라를 위한 공공정보통신망과 그리고 도시정보의 효율적 통합 운영을 위한 도시통합정보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국내의 교통체계는 대부분 차량중심으로 설계되어 있고 횡단보도의 보행시간은 일반인의 보행속도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교통약자에 대한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2017년에는 고령사회(65세 인구 14%), 2026년 초고령사회(65세 인구 20%)에 진입 예상되어 교통약자의 증가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교통약자는 일반인에 비해 보행속도가 느려 1m/s로 설정된 기존 보행신호등에서 안전한 횡단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증가하는 교통약자의 보행안전과 시각장애인, 노약자, 일시적 교통약자(다리수술 등으로 인해 걷는데 지장이 있는 사람), 어린이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확정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갖춘 보행신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신호등에 설치된 신호감지기를 이용해 교통약자를 자동 인식하여 추가보행시간을 제공하는 스마트 보행신호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스마트 보행신호 시스템 모델을 프로토타입 모형으로 제작하여 시연 및 검증 하였다. 그리고 sumo 시뮬레이터로 스마트보행신호 시스템을 가상 시뮬레이션하여 일반신호등, actuated control 신호등, 스마트보행신호등과 비교 검증하였다. 특히 모델 기반 테스팅 관점에서, 스마트보행신호 시스템 모델의 안전성을 위해 실제 모델 테스팅이 필요하지만 실제 구축에는 여러 제약사항이 있기 때문에 HiMEM.ver1.0을 이용한 모델링 기반 Test Case 생성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증가하는 교통약자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 중 하나인 기존 보행신호 시스템에서의 안전한 보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or a new smart system in the smart city environment, we focus on modeling and verifying new software system, and also generating test cases based on model based testing. In Korea, ICT-based smart cities have developed and researched globally so that they can solve many urban problems such as transportation, environment, housing and facilities that are currently occurring in a city, that is,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The Sejong City has built a public information network for information infra of future-oriented administrative cities and an integrated information center of cities for efficient integr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information. The domestic traffic system is mostly designed for the vehicles, and the walking time of the crosswalk is set on the basis of the general walking speed. So it is the issue of handicapped person’s working time for a crosswalk.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Office, Korea is expected to enter an aged society (14% of 65-year-old population) and a super-aged society (20% of 65-year-old population) by 2017. The increasing trend of vulnerable people is expected to continue. The Handicapped person can not be safely traversed in existing walking lights set at 1m/s because walking speed is slower than that of ordinary people. Therefor, there is a need for a Crosswalk traffic signal mechanism with a Scalability and sustainable capability that can include increased handicapped person safety, blind, elderly people, temporary traffic disadvantages (those with difficulty walking due to leg surgery), children. In this paper, we suggest a smart crosswalk traffic system by modelling that provides additional walking time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handicapped person using a detector installed on a crosswalk signal. We also made the smart crosswalk traffic system as a prototype and verified it with some demo. We simulated smart crosswalk traffic system with the sumo simulator, and compared with the normal signal and the actuated control signal.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 of model-based testing, real model testing is required for the safety of the smart crosswalk traffic system model. but there are various constraints in actual construction. We used the modeling based Test Case generation using HiMEM.ver1.0.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a safe walking in the existing crosswalk signal system due to the increasing handicapped person and aging of the population. It can contribute to solving this problem.

      • 스마트트리 플랫폼구상 기초 연구 : IoT + USN + Drone 환경융합 수목관리시스템 : 수목수분 패러미터 중심

        이주현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 과학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79

        2015년 9월 유엔에서는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국제적 움직임은 환경변화 대응에 대한 세계의 관심사이다. 이는 국제적 공조 및 실행방향으로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지구촌 차원의 공동의 대처가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도시 산업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환경조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환경 영향에 대한 도시환경의 예측하기 힘든 변화성을 좀 더 과학적이고 영리한 시스템에 의해 생태성과 안정성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워터, 스마트 홈어플라이언스 등이 그 방증 사례라 할 수 있다. 수목은 산소를 발생하고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최근 세계의 문제로 대두하고 있는 대기오염 및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목환경의 식물학적 생리 생태 과정 모니터링은 지속가능 녹지환경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 시대의 지배적 기술인 정보통신기술을 환경관리(조경수목)에 접목하고 드론을 활용한 센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수목관리 시스템 전반에 대해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기술과 환경융합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수목 생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들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수목 관리 시스템을 설계·구현하였다. 실증 실험을 위해 소프트웨어 측면의 수목 생리적 특성을 반영해 패러미터 관련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수목관리 적정화 드론을 제작하였고, 비행 센서이자 액추에이터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과 실험 타겟수목(교내 소나무 동산) 하부에 수목환경 센서들을 장착하였다. 그리고 와이파이 및 광대역통신망 등 통신방식에 의해 감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여 수집‧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목환경의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수목 생리의 핵심인 수목 패러미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테스트베드 구축과 이에 따른 실증 실험을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른바 ‘스마트트리 플랫폼’ (Smart Tree Platform) 구성(수목센서 Wi-Fi >드론 LTE >터미널 : 서비스 플랫폼, 앱)과 현장 실증실험을 통한 성공적 구동에 따라 수분 패러미터 중심 실시간 수목관리의 가능성과 시스템의 모형을 정립. 둘째, 테스트베드 구축과 2 계절 실증실험을 통한 계절데이터베이스의 획득. 셋째, 앞으로 4계절 데이터 확보로 데이터값의 확장 필요. 넷째, 이와 같은 일련의 시험적 연구를 통해 수목환경관리에 지능화와 과학화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확인. 다섯째, 산림, 지형지물 등 장애로 인한 접근곤란지역의 경우 드론에 의한 영상정보 취득과 데이터 통신의 가능 등 환경센싱 및 데이터 통신 액추에이터로써 가능성 확인. 여섯째, 스마트트리 플랫폼을 통한 제반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수목환경의 예찰, 나아가 수목 수분을 중심으로 한 관리지침의 수립 가능성을 확인.(4계절 데이터 확보 시) In September 2015, the UN adopted the 2030 Sustainable Goals (SDGs). This international movement is a global interest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This means that strategic and concrete global-level joint action is need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ustainable environment to cope with climate change caused by urban industrializati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help predict the impact of the urban environment on the environments through a more scientific and intelligent system and also can ensure the stability of the ecosystem. Smart Factories, Smart Water, and Smart Home Appliances can be such examples. Trees have an important function to mitigate global warming, which has recently become a global problem by generating oxygen and reduc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Therefore, the monitoring of the botanical,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processes of the forest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ustainable green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whole forest management system that combin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is the dominant technology of this era, with environmental management(landscape architecture) and uses drones for sensing and data communication. To this end, we examined the trends of ICT and environmental convergence research, and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tre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ree physiology. For the demonstration experiment, we produced a tree management optimization drone which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parameter related data reflecting the tre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ftware. Also, we developed a drone that acts as a flying sensor and actuator and installed forest environment sensors in the lower part of the experimental target tree(campus pine tree). We attempted to make a databas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and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LTE). Based on the basic data of the forest environment, we tried to derive the tree parameters which is the core of the tree physiolog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test b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uccessful oper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o-called 'Smart Tree Platform'(Tree sensor Wi-Fi > drone LTE > terminal: service platform, app) and field experiments, w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real-time tree management centered on moisture parameter and established the system model. Second, we acquired seasonal databas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est bed and two-season demonstration experiment. Third, data needs to be expanded by securing data for the next four seasons. Fourth,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al studies, we positivel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telligence and scientific movement in the management of forest environment. Fifth, in the case of difficult access areas such as forests and terrain, w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 sensing and data communication actuator such as acquiring image information by drones and using data communication. Sixth, the forecasting of tree environment by analyzing all data through SmartTree platform as well as confirmation of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management guidelines based on tree moisture (in case when four seasonal data were secured)

      • Landsat 위성영상 데이터 기반 도시화지수 분석 : 세종시 스마트 시티를 대상으로

        한정헌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 과학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연환경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도록 하였다. 또한 급격한 인구증가와 산업구조의 변화로 세계 여러 나라의 도시들은 도시의 정주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였으며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과거의 도시정책과 개발행위는 도시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도시문제를 한정적으로 접근해왔다. 이러한 한정적 문제해결 방법은 또 다른 개발행위를 야기하며 자연에 대한 인간의 활동영향을 가속화 시켰다. 이에 도시의 전체적인 변화흐름을 파악하고 도시의 본연의 모습과 특성을 파악하여 도시개발 행위로 인한 자연환경에 영향을 줄이고 도시의 균형발전이 필요하다.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균형개발을 위해서는 먼저 도시 전체의 모습과 변화 흐름을 파악, 분석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리정보 시스템과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도시의 변화흐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도시의 변화의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도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USGS에서 제공하는 Landsat 위성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하고 각 위성영상을 통해 분석할 수 있는 도시환경과 관련된 정규화 지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cloud cover less10%의 위성영상을 선택해 NDVI, mNDWI, NDBI의 영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UIw 수분도시화지수 영상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위성영상 데이터는 2007년과 2013년의 환경공간정보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도를 대조군으로 정확도 검정을 하였으며, Landsat 위성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도시변화 모니터링방법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Landsat 위성영상은 평균 71%의 정확도를 가지며 이는 Landsat 위성영상데이터를 통한 도시의 변화과정을 연구, 분석하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대상지에 대한 위성영상 분석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도시전체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고, 도시화로 인한 기후변화 영향, 도시화와 정주 환경변화, 사회·경제적 변화 등 도시의 변화에 따른 영향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또한 도시의 물리적 변화를 통한 환경의 질을 파악하고, 도시 생태 질 분석, 사회 환경의 변화 분석 등 다양한 도시의 변화와 관련된 요인들의 분석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Advances in Science Technology have allowed humans to have a lasting influence on the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rapid population growth an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industry have caused negative effects on cities’residental settings and have begun to explore various solutions. However, past urban policies and development activities have approached urban issues with limited consideration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se limited problem solving methods have accelerated the effects of human activity on natural, resulting in other development behaviors. Thu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o balance the development of cities by understanding the overall flow of change and identifying the nature of the cities. In order to develop the physical and social balance of cities, the first thing to do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shape and flow of changes throughout th city. From this point view, the study analyzed the changing trend in citi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This study used landsat satellite images provided by USG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changes in urban land use changes in the Sejong-city, an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urban changes in satellite imagery. Therefore, a cloud cover less 10% images between 2008 and 2016 was selected and NDVI, mNDWI, NDBI images were analyzed, and base on this, UIw image was extracted. the accuracy of satellite images was tested using the land coverage map by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n 2007 and 2013. And, Based on Landsat images data, it was intended to determine whether the method of monitoring urban change would be useful. The analysis shows that Landsat satellite images from 2008 to 2016 have an average accuracy of 71%, which is determined and analyzed in an efficient way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city via Landsat satellite image data. In the future, Landsat satellite image analysis is accumulated, the entire city will understand the flow of changes, and the changes in climate, residential environment, social and economic use of the data will be used in various fields. Moreover, ot can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to identify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through physical changes in citi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various urban changes, such as the analysis of Ecological quality and social environment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