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생태적 지혜(ecosophia)로 본 디자이너의 태도와 생태적 디자인의 준거들 제안에 대한 연구

        이강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Today,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re recognized as the mankind’s supreme task which is connected to the survival of mankind. The seriousness of problems from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resulting from the resource uses and consumption activities by mankind is being re-examined in the overall economic activities such as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nd, of course, the design industry cannot be an exception. Furthermor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influence of design on the consumption is expanding, the role of designers who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a product is recognized in connection with the case for the ecological preservation design, and the general fact of importance is that the social and moral responsibility of designers are taking greater significance with the time. The researcher advanced to the graduate school to study further and was able to hear about the seriousness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attitude of a designer with consciousness through the attending professor at Gaga which is a study group for preparing thesis for almost 5 years. Early this year, such ecological problem has registered as the personal one, and the researcher worried about the possible options as a designer for the ecological crisis and came to even have the sense of guilt about the production of the unquestioning design results which had been created personally until now. This study is the beginning of personal conversion toward the ecological design and also has the purposes of informing the designers of this era, who design without thoughts and consciousness about the ecology like the researcher until now, that now is when “ecological awakening” is critically needed, and of suggesting intrinsic concerns and measures. For these purposes, the introduction pointed out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ecological design in order to find a possible clue to solving the overall crisis of ecological environment from the design industry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system and the human life correctly and approachi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ecological crisis and suggested the necessity for the shift toward ecology oriented paradigm through the analysis of causes. In addition, the range of study which the researcher intended included establishing the way of thinking for ecological design which could be applied in general within the various fields of design, and here, “the way of thinking for design” did not refer to the methodology for ecological design and was limited to the ecological attitude of designers. In the section 2, for the discussion of design about ecology,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green, eco and sustainable designs were examined, and their limitation and problems were defined. Green design which came in to the limelight as the part of green marketing and considers the environment from the design to the disposal, eco design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designing activities of product or service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sustainable design’ which emerged with the paradigm shift of 20th century referred to as ‘sustainable development’ are the subordinate concept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and they are recognized as having the same context in terms of their primary goal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ideration. Design studies related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until now had vague concepts and scope, and there was the limitation of concentrating only on the external aspects and not on the fundamental and mental aspects. In the end, the criticism that they are ambiguous concepts where such attempts worsened the imbalance and destructive trends by the blind acceptance of scientific civilization and technology and justified facilitating the transformation of production oriented system and development model towards environmental friendliness on the superficial level is being established as a valid view. The researcher pointed out as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that the problem arose from the lack of basic study about the ecology and mentioned the need for design which shifts towards the new paradigm. The section 3 attempted to correctly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cosystem by first understanding the ecosystem followed by the examining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ecosystem. In addition,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modern paradigm based on human’s logos oriented idea as the greatest cause for the ecological crisis of today and intended to suggest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the turning point towards the cyclic and organic ecology oriented paradigm as the measure to overcome it by analyzing the modern mechanical world view and capitalism, which are the properties of modern paradigm, and criticizing their limit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deep reasoning about the ecology and ecological wisdom from the philosophical view were examined by studying Heidegger’s deep ecology, Bergson’s Creative Evolution and Deleuze’s philosophy of life, and the possibility of ecological design with the infusion of ecological wisdom was presented. In the section 4, the detailed measures which could induce the ecological attitude from designers were explor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response types by designers about the ecological values. First, the ‘establishment of consciousness’ for designers are suggested as the possible way to change the viewpoint of looking at life through the ecological wisdom, to enable understanding of how various subjects and principles are interrelated and applied and to equip the ability to handle the knowledge for designers.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y to induce the attitude and behavior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is found if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sychological distance towards the ecological crisis through design and to establish the consciousness of ecological preservation - transferring and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followed by reminding. Next, the shortening of psychological distance was examined as the way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establishment of such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the inevitable need for establishment of consciousness about ecological design in order to shorten the psychological distance towards the ecological values and to manifest the practical wisdom was presented. Based on these,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practical criteria for ecological design that integrated the deep introspection about the ecology and the ecological wisdoms of previously discussed philosophers. Each criterion was designed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consciousness for the fundamentally ecological design by including ecological wisdoms in terms of basic definitions. In the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y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derstanding the inevitable limitations of existing discussions and presenting ecological design using fundamental and new methods by defining the ecological design not from the viewpoint of ‘industry’ but from the viewpoint of playing the role of human as ‘human within the ecology’ and ‘a part of ecology,’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although practical methodologies are required in order for criteria suggested by the researcher to be accepted and sympathized, because this study’s purpose was to suggest criteria, the study on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s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ciousness through such criteria. Therefore, the follow-up study which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should re-establish the ‘adaptable’ criteria through segmentation and concretization according to each design area characteristics of criteria, and the practical way to effectively and continuously educate or expose the criteria to designers is needed. 오늘날, 생태계 파괴에 따른 문제는 인류의 생존’과 결부된 인류의 지상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인류의 자원 활용과 소비활동에서 촉발되는 생태계 파괴에 따른 문제의 심각성은 생산,소비,유통 등의 경제활동 전반에서 재조명되고 있으며 디자인분야 역시 예외일 수 없다. 더욱이, 디자인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제품의 상품화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디자이너들의 역할은 생태보존적 디자인의 당위성과 결부되어 인식되고 있으며, 생태에 대한 디자이너의 사회적, 윤리적인 책임감이 갈수록 그 비중이 커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연구자는 공부를 더 하기위해 대학원을 진학했고 논문을 준비하는 공부모임인 가가에서 선생님을 통해 생태환경의 심각성과 의식있는 디자이너의 태도에 대한 말씀을 들을 수 있었다. 5년 가까이 이 수업에 참여하면서 자주 접했던 말이었는데, 올해 초 그 생태 문제가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여졌고, 연구자는 디자이너로서 생태적 위기에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과 그동안 본인이 만든 무비판적인 디자인 결과의 생산에 대한 죄책감마저 가지게 되었다. 이 연구는 연구자에게 생태 디자인으로 전향을 위한 시작이며, 또 그동안의 연구자와 같이 생태에 대한 사고와 의식 없이 디자인을 하는 이시대의 디자이너들에게 지금은 ‘생태적 각성’이 절실히 필요할 때임을 알리고 이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과 해결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생태계와 인간의 삶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생태의 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생태환경 위기일반을 디자인 영역에서 해결코자 하는 가능한 하나의 단서를 찾기 위해 기존 생태적 디자인의 한계성과 문제점을 짚어보고,ii 생태적 위기와 그 원인 분석을 통한 생태중심적 패러다임에로의 전환의 필요성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다루고자 하는 연구의 범위는 디자인의 여러 범위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생태적 디자인 사고방식을 정립하였으며, 여기서 말하는 ‘디자인 사고 방식’이란 생태 디자인의 방법론이 아닌 디자이너의 생태적 태도에 대한 것으로 한정하였다. 2장에서는 생태에 대한 디자인 논의로 그린,에코,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배경과 특성을 검토하고, 그들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집었다. 그린마케팅의 일환으로 대두된 설계에서 폐기까지 환경을 고려하는 그린 디자인, 환경문제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제품이나 서비스를 디자인 하는 활동으로 정의되고 있는 에코 디자인,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20세기 패러다임 전환과 함께 나타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하위개념으로 ‘친환경적’ 고려가 일차적인 목표라는 점에서 같은 맥락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지금까지의 생태 환경과 결부된 디자인 연구들은 그 개념이나 범위가 모호하며, 본질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이 아닌 외형적인 면에만 치중되어 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결국, 이러한 시도들이 과학문명과 기술에 대한 맹신으로 불균형과 파괴적 양상을 심화시고 생산중심주의와 개발모델을 피상적인 수준에서 환경 친화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정당화하는 모호한 개념이라는 비판 역시 정론화 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에 가장 본질적인 문제점으로, 생태에 대한 근원적 고찰이 결여됨에서 비롯된 문제임을 지적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향된 디자인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3장에서는 생태를 근원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먼저 생태계의 이해과 생태학의 개념과 원리를 고찰함으로써, 인간과 생태계의 관계를 올바로 인식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현재 직면한 생태적 위기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인간의 로고스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한 근대적 패러다임을 주목하고, 그것의 속성인 근대 기계적 세계관과 자본주의를 분석하고 그 한계점을 비판함으로써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순환적이고 유기적인 생태 중심적 패러다임에로 전환점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하이데거의 근원적 생태론과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 들뢰즈의 생명철학을 고찰함으로써, 생태에 대한 깊은 사유, 그리고 철학적 관점으로 본 생태적 지혜를 살펴보고, 생태적 지혜를 접목한 생태적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장 에서는 생태적 가치에 대한 디자이너의 반응의 유형을 살펴본 후 이를 기반으로 디자이너로부터 생태적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디자이너로 하여금 생태적 지혜를 통해 인생을 보는 시각을 전환하고, 다양한 개체들과 원칙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고 적용되는지에 대하여 이해하며 지식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 갖게 할 방법으로 여기서 제시될 수 있는 방법으로 디자이너의 ‘의식화’를 제시한다. 즉 디자인을 통하여 생태적 위기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 생태 보존적인 의식화 - 지식의 전달과 인식, 그리고 상기(Reminding) -가 가능하다면 디자이너로 하여금 환경 보존적 태도와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은 것이다. 다음에는 이러한 의식화를 원활히 수행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것을 주목하였다. 곧, 생태적 가치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단축시키고 실천적인 지혜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결국 생태 디자인에 대한 의식화라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이에 기반하여 생태에 대한 깊은 성찰과 앞서 논의한 철학자들의 생태적 지혜를 접목한 생태 디자인을 위한 실천적 준거(Criteria)로 제안을 하였다. 각 준거들은 근본적인 의미에서의 생태적 지혜를 포함하도록 하여 본질적인 생태적 디자인을 위한 의식화를 이뤄낼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디자인을 ‘산업’의 관점이 아닌 ‘생태 안에 있는 인간’, ‘생태의 일부’로서의 인간의 역할을 수행하는 관점에서 생태적 디자인을 정의함으로써 기존 논의들이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계를 파악하고 본질적이고 새로운 방법으로의 생태적 디자인을 제시했다는데 있으며 본 연구의 한계는 연구자가 제시한 준거들이 디자이너에게 받아들여지고 공감되어지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방법론들이 필요하나 본 논문에서는 일단 준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준거를 통한 의식화를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후속 연구는 준거들의 각 디자인 영역별 특성에 따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되어 ‘적응 가능한’ 준거로 재정립되어야 한며, 준거들을 디자이너에게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교육시키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