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위한 컨테이너 거점시설 조성 연구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를 중심으로

        엄미란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조치원읍 신안1리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구역으로 홍익대학교 캠퍼스와 인접해 있다. 최근 세종시 조치원읍의 도시재생사업인 청춘 조치원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사이에 위치한 신안1리에 캠퍼스타운 조성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민들과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캠퍼스타운에 맞는 지역사회 교류의 장으로 컨테이너를 이용한 마을 거점시설을 조성하는 연구 방안을 제시한다. 마을이나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시설을 구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력과 참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반영하여 거점시설의 위치와 용도를 선정하고 주민과 학생이 공유할 수 있도록 스마트한 컨테이너 거점시설 에 대한 연구방안을 제시한다. 신안1리 주민들 중 다수는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학생을 대상으로 원룸임대업이나 식당 등의 상업을 하고 있다. 학교 주변은 먹을거리나 유흥점이 거의 대부분인 문화적, 예술적으로 고립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신안1리 지역은 학생들 대부분이 재학 중에만 잠시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보면, 신안1리는 인근 원룸에 거주하는 학생들과 주민들 간의 교류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주민들은 홍익대학교 학생들의 재능기부와 마을행사 참여를 원하고 있으나 학생들은 지역사회 커뮤니티 참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인근지역인 신안1리를 대상으로 주민과 학생들의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으며,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세종시 조치원읍 신안1리를 중심으로 주민과 학생들에게 각각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의견을 조합하여 앞으로 캠퍼스타운이 성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컨테이너를 활용한 거점시설은 주민들과 학생들의 만남의 공간을 제공하는 시작점에 있어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사회가 공유할 수 있는 거점시설 조성방안을 제시하여 도농지역 캠퍼스타운 활성화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As part of Youth Jochiwon Project, which is a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Jochiwon, Sejong City, a campus town that connects Hongik University and Shinan-ri has recently become financially viable. This project aims to establish a ‘local base camp’ where residents and student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mmunity center for residents and students using sustainable architecture containers. The purpose is to contribute to urban regeneration efforts. In order for a campus town to be created, it is important to have a sense of community with active cooperation from residents. H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Hongik University students in creating a campus town. By sharing the results with resident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encourage encounters and interactions between local community and university students. Jochiwon-eup Shinan-ri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jong City adjacent to Hongik University, Sejong Campus. Many Shinan-ri's residents cater to students by operating commercial businesses, such as studio rentals and restaurants. The area around Hongik University Sejong Campus is physically isolated from central Jochiwon with minimal provision of culture and art amenities. Most students stay only briefly during semester and leave upon graduation, never to return. Until now,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residents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business-based with almost no sense of shared community.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conducted in this study show that residents want Hongik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village events as well as donate their talents to the local community. Students, on the other hand, have little interest and do not feel any need to do so. There are no studies on community spaces for residents and students in Shinan-ri and Hongik University. To fill this gap,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about creating a successful campus town by giving voice to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 생명보험회사의 지식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S생명 인트라넷 사례를 중심으로

        정삼호 홍익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지식경영이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것은 이미 최근의 일이 아니다. 오늘날의 많은 기업들은 종업원에 의해 축적된 지식자산의 가치에 대해서 물리적 자산가치 이상의 새로운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 등 정보화가 진전될수록, 3차 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과거나 현재보다는 미래가 다가올 수록, 종업원이 보유한 지식자산의 가치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따라서 종업원의 지식을 효율적으로 획득하고, 저장하고, 공유하고, 재창조하는 지식프로세스의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프로세스의 관리는 지식경영의 핵심 성공요인이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기업들은 지식프로세스의 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각 구성원의 지식이 전사적인 차원에서 획득되고, 저장되거나, 공유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업원의 발령이나 퇴사와 함께 장기간 축적된 지식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고, 현직에 있는 종업원간에도 필요한 지식이 공유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지식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사적인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된 IT기술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기능을 하는 전산시스템을 지식관리시스템이라고 한다. 최근 기업들은 지식관리시스템의 기반으로 기업내 정보통신망인 인트라넷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Web 기반으로 구축되어 기업내에서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지않는 인트라넷은 문서관리, 규정·매뉴얼 등 형식지의 공유 외에 현장지식의 공유, 숙련된 직원의 암묵지를 포함한 지식의 회득과 축적,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등을 망라한 전사적인 지식관리시스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보험회사의 관점에서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관리되어야할 지식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논의를 살펴 본 후 사례기업의 인트라넷 기반에 실제 적용되고 있는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성과 기능을 소개하고, 활용실적 분석을 통하여 사례기업의 지식관리시스템의 시사정과 발전적인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내 정보통신망인 인트라넷을 실제 기업에서 지식관리 시스템의 기능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지식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IT기반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인트라넷에 대해서 지식관리시스템으로의 인식이 부족하여, 문서관리기능과 현장정보 공유중심으로 운용되는 한계가 있었으며, 보다 발전적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지식관리자를 지정하고, 본사를 포함하는 전 종업원의 지식의 획득을 위한 노력과 기업문화, 창출된 지식의 체계적인 분류와 저장, 공유 및 재창조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Long before, knowledge management became a new paradigm of corporate management. Many businesses regard their knowledge assets, generated by their participants, more valuable than their physical assets. They thought that knowledge assets possessed by employees would become more valuable as the third industry grows, as web based IT societies develops, and as time passes. Therefore, they are trying to manage knowledge processes to obtain, store, share and recreate the knowledge of their employees. Though the management of knowledge processes is a key success factor of knowledge management, most companies dont recognize the management of knowledge processes. Therefore, the knowledge of each member cant be obtained, stored and shared at the whole company level. Knowledge, accumulated for a long time, disappears at the moment of the transfer or retirement of the related employee, and some important knowledge isnt shared even among present employee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knowledge processes, the support of IT technologies in the whole company level network environment is necessary. The computerized system supporting this function is so call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Recently, most companies are using Intranet, an Intra-company IT network, �or their KMS. Intranet, an web based Intra-company network without time or space limits, does the role of company level KMS such as sharing field knowledge, acquiring and accumulating knowledge including the know-how of skilled employees, and activating communication etc. as well as sharing formal knowledge such as document management, regulations and manuals. In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knowledge management, knowledge to be managed, and discussions about the establishment of KMS were surveyed from the aspect of a life insurance company. After then, the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KMS actually applied to the Intranet of a sample company was introduced, and the suggestion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KMS of the sample company was examined byway of analyzing its utilizing performance.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known that Intranet, an intra-corporate IT network, is well used for KMS in actual companies, and that it is the most efficient IT base for managing knowledge processes. However, on the other hand, Intranet was operated only for document management and for sharing field information due to not being regarded as KMS. For efficient KMS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knowledge managers, to try to obtain the knowledge of all employees including those working in head offices, to classify and store created knowledge systematically, and to try to share and recreate them.

      • 통합경영관에 따른 경영혁신기법의 도입 및 병원정보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김준철 홍익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의 병원정보시스템은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통합 경영관에 따라 경영혁신기법을 도입하고 이에 따른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영시스템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HIS(POE, EMR, Patient Administration), ERP 등의 재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 나라 대부분의 병원정보 legacy system은 효율적인 진료비 수납과 이미 인지된 비즈니스 프로세스(기존의 병원 프로세스)의 자동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발전해 왔기 때문에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른 유연성이 결여되어 있고 서비스별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하며, 성과측정지표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생성해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병원의 경영자들이 가져야할 통합적인 경영관과 이에 따른 경영기법 및 정보시스템의 구축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병원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듀크 아동병원과 국내 A 병원, Vanderbilt University 병원 등의 경영혁신 사례를 통해, BSC, ABC/M, BPR의 경영기법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성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리 나라 병원의 경우 BSC나 ABC/M, BPR 등의 경영혁 신기법을 도입하고도 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사례를 볼 수 있었다. 그 이유는 통합적인 시각 하에서 정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데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BSC의 경우 성과평가지표를 도출하고서도 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아 대체지표를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ABC/M의 경우에도, 원가분석 모형을 개발하고 나서도 정보시스템의 결여로 이를 산출하기 위한 비용이 너무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새로운 병원정보시스템은 첫째 진료 전문가와 정보 시스템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하고, 둘째,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라 정보시스템의 워크플로우도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해야 하며, 셋째, 향후 확장성을 고려한 Web Based System의 구축이 필요하며, 넷째, 성과평가를 평가하고 공유할 수 있는 DW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렇게 구축된 병원 정보시스템은 속도와 유기적인 연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조직, 운영효율의 극대화, 이해관계자들과의 성공적인 관계정립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하여 줄 것이다. Executive management and boards of directors ar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business innovation. With revenues decreasing, survival will depend on reducing costs and assuring quality to provide care and healthcare organizations will want guarantees that IT investments will deliver the value they expect. It is becoming imperative that the IT organization takes a more businesslike approach to managing expectations by measuring and communicating the value that results from IT investments. To accomplish business innovations upon integrated management perspective, operational systems such as HIS (POE, EMR, Patient Administration) and ERP have to be restructured. This study suggested core business innovation methods and the blueprint of HIS to find out the new direction of IT development. For those suggestions, this study probed cases of best hospitals such as Duke hospital, Korea's A hospital and B hospita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below. (1) Medical care experts and information system experts have to be participated in the IT development project. (2) New system has to acquire flexibility to have freely changeable workflow depends on business processes. (3) As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llaboration with other systems, new system has to be developed as web based. (4) To measure and share of performance, development of DW system has to be followed. The HIS concerned speed and organic integration will provides the foundation which can get effective organizations, operational excellence, and successful relationships with stakeholders.

      • 經營環境 變化에 따른 學校長의 리더십에 관한 敎員의 認識

        조순자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학교장의 리더십 변화를 요구하는 학교 내·외적인 경영환경의 변화 및 그에 따른 리더십 패러다임의 변화 분석, 학교장 리더십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등을 토대로 변화하는 경영환경을 주도할 수 있는 학교장의 리더십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환경의 변화 요인에 대하여 학교장과 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학교장의 리더십 현황에 대하여 학교장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셋째, 경영환경의 변화 속에서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에 대하여 학교장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비교해 보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학교 내·외적인 경영환경의 변화 요인, 학교장의 인력 구조, 특성 등의 분석을 위하여 문헌 및 선행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고, 학교장의 리더십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장 100명과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를 위해 배포된 설문지 중에서 성의 없이 회수된 것들을 제외하고 교장 93명과 교사 398명의 자료를 조사·분석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for Window 8.0 Program으로 전산처리 하였다. 각 문항별 응답의 단순빈도 (백분율)를 통하여 경향을 분석하고, 각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Chi-square(x^(2))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영환경의 변화 요인으로 학교장은 '교육정보화의 진전(M=4.29)'이, 교사는 '학교평가(M=4.08)' 에서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시급하게 추진되어야 할 사항으로, 학교장은 '단위학교의 재량권 확대(67.7%)', 교사는 '의사 결정의 민주화(37.8%)'가 추진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학교장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역할은, 학교장과 교사 모두에서 '구성원들 간의 원만한 인간관계 유지를 위한 갈등 조정자역할(교장 41.3%, 교사 35.6%)'이 요구된다고 나타났다. 학교장의 재량권 확대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교장은 '학교인사관리 재량권 (M=4.65)' 이, 교사는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재량권 (M=4.22)'이 더 확대되어야한다고 응답하였고, '학교 인사 관리'와 '학교 재정관리' 영역의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2. 학교장이 중점을 두고 있는 리더십의 유형으로, 교장과 교사 모두 '인화 지향적 리더십(28.0%, 36.8%)'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경영과 관련된 자질 구비 정도에서, 학교장은 '학교경영 계획 능력, 인간관계 능력의 자질'이, 교사는 '학교경영계획 능력, 대외교섭 능력'의 자질이 구비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경영에 대한 자문과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으로, 학교장은 '동료 교장이나 교장 협의회(50.0%)'를 통하여, 교사들은 '교감 및 간부·기획 회의(32,8%)' 를 통하여 얻고 있다고 나타났으며, 학교경영 계획에 학교장의 철학이나 비전의 반영 정도에서는, 학교장은 91.3%가, 교사는 87.1%가 반영 된다고 나타났다. 학교장의 일과 중 업무 유형에서, 교장은 '학교 시설 및 환경관리(43.0%)', 교사는 '회의 진행(42.9%)'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이 리더십의 준거로 삼고 있는 철학이나 원칙에서는 학교장, 교사 모두 1순위로 '원만한 인간관계(30.4%, 29.0%)', 2순위로 '민주적 학교운영(29.3%, 24.4%)' 으로 나타났다. 3. 가장 시급하게 대응해야 할 현안과제로, 학교장은 '교육환경 여건개선 (32.6%)', 교사는 '교사들의 사기 진작(50.3%)'으로 나타났다. 지식기반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능력으로는 학교장과 교사 모두 '다양한 교육개혁에의 대응 능력(44.6%, 57.6%)'과 '인간관계 관리 능력(32.6%, 28.8%)'이 라고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리더십 배양을 위한 영역별 연수에서는, 학교장은 '학교 재정관리(M=4.49)', 교사는 '인간관계 능력개발(M=4.38)' 영역의 연수가 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학교장 리더십 배양을 위한 연수제도의 개선점에서는, '연수과정의 질을 높이고 연수프로그램을 다양화 한다(47.3%)'로 나타났다. 리더십 있는 학교장 양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장 교사 모두 '교장 직무연수 과정을 내실화 한다(63.4%, 42.5%)'로 응답하고, 학교장의 리더십 검정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전체 교직경력 기간의 근무 평정 (34.4%)'과 '교감 경력 기간의 근무 평정(32.2%)'으로 나타났다. 학교장 리더십의 평가단 구성에 대하여, 학교장은 '소속 학교 교직원 (41.3%)'과 '학교평가 전문 연구기관(32.6%)'으로, 교사들은 '소속 학교 교직원(82.6%)'이라고 나타났으며 p=.000<.001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요약을 토대로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초등학교장의 리더십에 대한 인식 연구에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관계 능력 개발 등에 대한 연수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 학교장 리더십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장 전문 연수기관을 설치 운영하여 학교장의 전문성을 신장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장의 직무 분석, 학교장의 권한과 책임 분석, 학교장의 리더십 프로그램 등 학교장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넷째. 리더십 있는 학교장의 화보와 함께 교원정책의 방향 설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principal's leadership that can take initiatives in the changes of the school management environment through careful analysis of the inside and outside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school that demands changes in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analysis of changes in leadership paradigm.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o know how the principal and teachers recognize the factors of change in the school management environment. Second, to know how the principal and teachers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and to compare it. Third, to know how the principal and teachers understand the leadership requested to the principal in the changes of the school management environment. To analyze the factors of change in the inside and outside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school and the principal's character and human resources structure, the literatures of school leadership were reviewed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recognition and request for the principal's leadership, the questionnaire survey, composed of 100 primary school principals and 500 teachers in the city of Seoul, was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 survey used by this study was focused on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by 93 principals and 398 teachers. The data were computerized by SPSS for Window 8.0 program. Answers of each ques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centage. After that, Chi-square (x^(2))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mong each group.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principal regards the factors of changes in the school management environment a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having greater influence on the principal's leadership(M=4.29), while teachers as the school evaluation(M=4.08)'. As for the most urgent matter to be driven in the school management environment, the principal answer 'the enlargement of the generosity of the unit school(67.7%)', while the teacher 'the democratization of opinion decision(37.8%)'. For the demanded ability recently to the principal' leadership, 41.3% of the principal and 35.6% of the teacher reply that it is requested to settle conflicts for maintaining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its members.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rosity of principal's authority, the principal reply that 'the generosity of personnel administration' need to be enlarged(M=4.65), while the teacher think 'the generosity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needs to be enlarged(M=4.22). And they also think that the chance of taking part in the personal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adminstration have to be expanded. Second, in the type of leadership the principal emphasize, 28% of the principal and 36.8% of the teacher regard the leadership of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 as the first type. But compared to the second type that the principal choose the leadership of matters connected with teaching(24.7%), the teacher choose 'the leadership of creating a new culture for school(21.1%). In relation to standard of the principal's ability to be equipped with school management, the principle choose the ability to make school management as it, while the teacher the ability to make school management and external negotiation. Considering the method of obtaining advice and ideas about the school management, it appears that the principal receive from the same principals or principal committee(50.0%), while teachers from the conference of vice principal and the managing staff(32.8%). 91.3% of the principal and 87.1% of the teacher reply that the principal's philosophy or vision are reflected on the school management. In the type of principal's duties and business, the 1st ranking was 'the school equipment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 by the principal(43.0%)', and performing the meeting by the teacher(42.9%). And the philosophy or principle that a principle is based on the leadership was 'the harmonious relationship(30.4%, 29.0%)' as the 1st ranking, and 'democratic school management(29.3%, 24.4%)' as the 2nd ranking, which was suggested by principals and teachers. Third, in relation to demand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as the current subject which is to be coped with urgently, the 1st ranking was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of environment(32.6%)', the 2nd ranking was making of teaching atmosphere(31.5%), which was proposed by principals. On the other hand, for teachers, the 1st ranking was 'the raise of the teacher's morale(50.3%)', and the 2nd ranking was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23.0%)'. As the most important ability demanded of the principal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both principals and teachers asked for 'the respondent ability to various educational reform(44.6%, 57.6%)', and 'the management ability of human relationship(32.6%, 28.8%)'. In the necessity of training for developing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according to principals, the training field as 'school financial management(M=4.49)' is more necessary, while according to teachers,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of human relationship(M=4.38)' is the more necessary field. To improve the training system for developing the principal's leadership, both principals and teachers wanted to 'raise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ess and to make the training program various(44%, 47.3%)'. According to the principals and teachers, what is the most important to develop principals with great leadership is to 'strengthen the training progress of principal's duty(63.4%, 42.5%)'. What is the most important to authorize the principal's leadership is shown as 'the evaluation of the work during the total period of career(34.4%)' and 'the evaluation of the work during the period of career as a vice principal(32.2%)'. As for organizing the evaluation members for principal's leadership, according to principals, the reasonable evaluation members are 'the faculty members of his school(41.3%)' and 'the professional research institute for school evaluation(32.6%)'.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eachers, 'the faculty members of their school' are the most suitable evaluation ones(82.6%), which shows a great difference on the level of p=.000 <.001. Based on the summary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the training program for developing the ability of human relationship is to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principal's leadership. Second, the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e is to be established so as to give a chance to expand principal's speciality. Third, the study for the principle is not enough. Therefore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principal such as analysis of the principle's duty and responsibility and the principal's leadership program are to be carried out. Fourth, Besides invitation competent principal,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in teacher's policy is to be synthetically examined.

      • 존 러스킨의『예술의 정치 경제학』에 나타난 예술 경제 사상과 현대 문화 경제학에 주는 의미

        박지혜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예술 노동의 가치를 중심으로 예술을 경제학적으로 분석한 존 러스킨의 예술 경제 사상을 이해하고, 이것이 오늘날 문화 경제학, 문화예술 경영학, 문화예술 정책, 그리고 문화 소비의 측면에서 갖는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러스킨의 예술 경제 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특히 그의 저서 『예술의 정치 경제학』(1857)을 중심으로 러스킨의 예술 경제 사상의 토대와 예술 노동에 관한 생산, 보존, 분배의 예술 경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러스킨은 예술 경제 사상의 토대는 예술 노동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다. 그는 『예술의 정치 경제학』에서 시민 경제 사상, 노동의 재해석 그리고 부의 정의와 가치론을 제시하였다. 정부에게 아버지의 권위를 인정하고 정부의 간섭과 규율의 필요성을 주장한 러스킨은 자유방임 경제 사상을 반대하였다. 또한 러스킨은 인간이 노동을 통해서 예술 행위와 같은 자기만족과 자기실현의 기쁨을 느낄 수 있다고 해석함으로써 예술행위와 노동을 같은 것으로 보았으며 예술경제의 본질은 노동이라고 주장하였다. 러스킨은 경제에 있어서 ‘부’를 ‘고용 능력’이라고 보고 이러한 ‘부’의 사용에 있어서 도덕성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러스킨에 따르면 가치의 원천은 ‘생명을 지지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생활과 생명에 공헌하는 성질에서 생겨나는 ‘고유가치’와 그것을 받아들여 유효하게 사용할 줄 아는 ‘향유능력’이 갖추어져야 진정한 부라고 역설하였다. 이렇듯 러스킨에게 경제는 고유 가치와 향유능력을 높임으로써 상호간의 유기적인 발달 과정을 통해서 이룩되는 ‘인간의 행복’에 목적을 가진다. 그의 저서『예술의 정치 경제학』은 인간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생산된 미술품을 국가의 부로 보고 이러한 예술품 생산의 문제와 관련해서 예술가라는 특정 계급의 노동을 어떻게 발굴하고 적용할 것인가를 다룬다. 또한 그는 예술품의 보존과 분배 문제와 관련해서 예술품 보존의 목적은 예술을 다수의 사람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 하였다. 따라서 나라 전체에 공급하기 위해 예술품을 가능한 만큼 축적하는 것과 그것의 필요성에 따라서 분배를 통제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찾기 위해서 예술의 증가를 강요하거나 예술품을 파괴하지 말 것을 당부한다. 경제, 경영, 정책 그리고 소비의 관점에서 본 러스킨의 예술 경제사상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꼽을 수 있다. 첫째, 문화 경제학적 관점에서 러스킨의 예술 경제사상은 예술 노동의 가치를 중심으로 예술을 경제학적 관점으로 분석한 초기의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그의 예술 경제 사상은 오늘날 문화 경제학의 시장 중심적인 사고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문화 경제학 방법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둘째, 문화예술 경영학적 관점에서 러스킨이 주장한 ‘예술을 통한 삶의 실천’이라는 의미는 오늘날 문화예술 경영이 가지는 확장적 의미와 실천 범주에서 확인된다. 셋째, 문화예술 정책적 관점에서 러스킨은 예술이 국가의 공적 관심사로서 그 육성이 국가의 과업 가운데 하나가 되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정부의 예술 지원에 대한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오늘날 소비자 중심의 문화 향유 지원 정책 방향이 경제학의 귀결을 생산이 아닌 소비에 있다는 점과 생활 속에서 예술의 향유를 추구한다는 점은 러스킨의 예술 경제 사상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소비적 관점에서 살펴 본 러스킨의 예술 사상은 ‘예술이 삶의 원동력’이라는 맥락에서 현대인의 존재방식의 표현으로서의 소비문화의 성격을 부여한다. 여기서 소비자는 ‘이성과 감성, 영혼을 지닌 완전한 인간’이라는 점에서 예술을 통해 온전한 인간성 회복과 예술 가치를 중심으로 경제를 이해한 러스킨의 예술 경제 사상을 볼 수 있다. 21세기 문화 시대는 경제가 문화에 봉사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러스킨의 예술 경제 사상은 문화예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인간의 본질과 삶의 행복을 추구하는 경제 체제를 이루기 위한 사상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ultural economics has been developed mainly in terms of economic impact from culture and art. However, in order to explai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beyond price', one has to allow more alternatives based on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culture and economy . For this aim, this essay introduces John Ruskin's thoughts on the economy of art from his book "Political Economy of Art" which was written in 1857. Ruskin was one of the most prolific art critics and social reformer of the 19th century. With his deep appreciation for nature and art he became a prominent critic in his later years through England's industry revolution. Ruskin was against human labor as a capital for production and the 'Let Alon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He viewed human labor similar to artist experiencing intelligence over what they create. He refuted upon the 'Let Alone' principle as the principle of death. He advocated the notion of discipline and interference lies at the very root of all human progress while insisting on the fraternity of government. He was also against the notion of the value in exchange and highlighted the intrinsic value and acceptant capacity by his definition of wealth. As quoted by Ruskin, "Wealth, therefore is the possession of the valuable by the valiant.” In his book 『Political Economy of Art』, Ruskin highlighted the value of art and artist labor and explained the economy as a development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art. He dealt with commercial questions with the particular form of wealth, the art, in three senses. Firstly, was the manner of application of labor to art. Secondly, was the accumulation or the preservation of labor and finally, was the manner which they were distribut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 and significance of Ruskin's thoughts in his book, "Political Economy of Art", this essay examines respectively in the following perspectives: economics, management, policy and consumption in the areas of culture and art today.

      •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연구

        주재홍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학교의 의사결정 영역 중 교사들의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은 어떻게 달라지고, 이에 따른 교사의 참여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의 의사결정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에 따라 의사결정 참여도는 어떠한가? 2. 학교 의사결정 영역에서 교사들의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3. 교사의 의사결정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에 따른 의사결정 참여도는 의사결정 영역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경영 영역을 6개 영역으로 나누고 그 영역에서 의사결정이 필요한 업무를 23가지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질문지는 서울, 경기, 전라북도 16개 초등학교 교사 600명에게 배포하였고 520명으로부터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각 설문의 응답에 있어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6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들은 5단계로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에 1점, '그렇지 않다'에 2점, '보통이다'에 3점, '다소 그렇다'에 4점, '매우 그렇다'에 5점을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에 따라 교사의 참여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두 집단 평균차 검증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의사결정의 각 영역에서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 중 어떤 변인이 의사결정 참여도를 유의미하게 예언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든 독립변수들이 동시에 투입되는 입력(Enter) 방법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의사결정 적절성과 의사결정 참여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의사결정의 적절성이 높은 집단이 적절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의사결정 참여도와 전체적인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2. 교사의 의사결정 전문성과 의사결정 참여도와 관계를 살펴보면 의사결정의 전문성이 높은 집단이 전문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의사결정 참여도와 전체적인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3. 교사의 의사결정 관할권과 의사결정 참여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의사 결정의 관할권이 높은 집단이 관할권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의사결정 참여도와 전체적인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4. 교사들은 대체로 학교 의사결정 영역 중에서 교육목표 관리(학교교육 목표 수립, 학교연간운영계획, 학교중점 사업계획 수립), 교육조직관리(교무분장 조직의 설계, 학습지도 조직, 부장교사의 임명), 교육과정 관리(학습평가 계획, 교내장학 계획, 특별활동 운영계획, 학생생활지도 계획 수립)에서 적절성이 높았고, 교육조건 관리(표창 대상자 선정, 근무평정 결정, 학교예산의 운용 계획, 학교시설의 설치 및 수리 관리), 교육성과 관리(학교경영 계획 수립, 학교경영결과의 평가), 지역사회 관리(학교운영위원회 조직 및 운영계획,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개선)에서 적절성이 낮았다. 5. 교사들은 대체로 학교 의사결정 영역 중에서 교육목표 관리(학교교육 목표 수립, 학교연간 운영계획 수립, 학교중점사업계획의 수립), 교육조직 관리(학습지도 조직), 교육과정 관리(학습평가 계획, 교내 장학계획, 특별 활동 운영계획, 학생생활지도 계획)이 높았고, 교육조건 관리(표창 대상자 선정, 근무평정 결정, 학교예산의 운용 계획, 학교 시설의 설치 및 수리 관리), 교육성과 관리(학교경영 계획 및 학교경영 결과의 평가), 지역사회 관리(학교운영위원회 조직 및 운영계획,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 개선)에서 전문성이 낮았다. 6. 교사들은 대체로 학교 의사결정 영역 중에서 교육과정 관리(학습평가 계획, 교내 장학 계획, 연구수업 대상자 결정, 특별활동 운영계획, 학생 생활지도의 계획 수립)에서 관할권이 높았고, 교육 조직 관리(교무분장 조직의 설계, 부장교사의 임명, 학교운영위원회 조직 설계), 교육목표 관리(학교 교육목표 수립, 학교중점사업계획 수립), 교육조건 관리(학교예산의 운용 계획, 학교 시설의 설치 및 수리 관리), 교육성과 관리(학교경영계획의 수립, 학교 경영결과의 평가), 지역사회 관리(학교운영위원회 조직 및 운영 계획,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개선)에서 관할권이 낮았다.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of how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of teachers are changed in decision-making at school, and in accordance with that, how participation degree of teachers are changed.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the subjects of study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are participation degree in decision-making as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of decision-making of teachers? 2. How are changed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of decision-making of teachers in decision-making fields of school management? 3. How are changed participation degree in decision-making as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of teachers? To solve the above subjects of study, the fields of school management are divided with 6 fields. An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600 teachers of 1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ung-Gi, and Jeon-Buk, and 520 copies were collected from them. Except 6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 of the object of study, the others were evaluated with 5 levels. Points were given to each question as the following criterions : "absolutely not" is 1 point, "not so" is 2 point, "medium" is 3 point, "somewhat so" is 4 point, "absolutely so" is 5 point. Next, T-test, a test to averag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done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based on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in decision-making procedure of schoo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make out with a way to use the Enter method put simultaneously independent fluent, in order to know what fluent among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can significantly forecast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of decision-making in the each field of decision-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vie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uitableness of teacher's decision-making and the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a group having higher suitableness of teacher's decision-making shows higher participation degree for decision-making than a group having low it. 2. Revie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 in decision-making and the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a group having higher speciality of teachers has higher participation degree than a group that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 is low. 3. Revie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jurisdiction of teacher's decision-making and the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for decision-making, a group that the jurisdiction of teacher's decision-making is high has a higher participation degree for decision-making than a group that the jurisdiction of teacher's decision-making is low. 4. The items that the suitableness of teachers are high among the decision-making fields of school appear as follows :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an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al objective, annual management plan of school, establishment of a priority undertaking plan of school),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 plan for allotment system of school affairs, a system for study instruction, appointment of a chief teache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study evaluation plan, a plan in school supervision, management plan of special activity,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uidance plan). Contrarily, low items are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election for awardee, decision of teacher efficiency rating, management plan of school budget, setting up and repair of school facilities), administration of educational results (establishment of school management plan, evaluation of school management results), management of local society (organizing and management pla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mprovement of relation with school and local society). 5. The items that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s appears highly in the decision-making fields of school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al objective, annual management plan of school, establishment of a priority undertaking plan of school),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 system for study instruction, appointment of a chief teache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study evaluation plan, a plan of promotion of learning in school, management plan of special activity,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uidance plan), while low items are as follows '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election for awardee, decision of teacher efficiency rating, management plan of school budget, setting up and repair of school facilities), administration of educational results (establishment of school management plan, evaluation of school management results), management of local society (organizing and management pla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mprovement of relation with school and local society). 6. The items that the jurisdictions of teachers appear highly in the decision-making fields of school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study evaluation plan, decision of object students for research class, management plan of special activity,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uidance plan), while low items are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 system for study instruction, appointment of a chief teacher),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al objective, annual management plan of school, establishment of a priority undertaking-plan of school),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election for awardee, decision of teacher efficiency rating, management plan of school budget, setting up and repair of school facilities), administration of educational results (establishment of school management plan, evaluation of school management results), management of local society (organizing and management pla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mprovement of relation with school and local society).

      • 學級經營에서의 意思決定 制約要因에 관한 硏究 : 서울특별시 人夫系 高等學校 中心으로

        지윤섭 (池允燮)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teachers should escape from class-management that is simple and standardized and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ities and abilities, they must instruct effectively and reasonably. Through this course, teachers should decide their reasonable and creative intentions, which can influence on students' future and are connected with national competition. This study is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effectively by minimizing factors that are restricted in the course of making decision-intention for reasonable and effective class-management. Question-survey is carried out on 350 teachers of 20 high schools in Seoul, Korea. Among them, I collected question-papers again and analyzed them by using SPSSWIN 11.0. As teachers are diverse, I divided them into genders, experiences, ranks, and many restricted factors a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 factors in school, factors out of school.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goes. 1. Teachers are more restricted by factors in school and out of school than by individual ones. 2. In individual factors the problem of household, one's own interests except beliefs and values don't influence greatly on decision-making of teachers. 3. Male teachers are restricted to students-directions because of rank-raising such as transferring and promoting. This tells us that we need systematic devices and improvement for school education only. 4. Among factors in school, the degree of restriction is high due to authoritative system, the lack of information and material, precedents and practice. In this situation, supporting system of flowing information and material swiftly and transferring of authority resolutely are needed naturally. 5. In the case of male teachers, reasonable decision-making is restricted due to the personal relationship with principal and vice-principal. 6. In decision-making of teachers, teachers are sometimes restricted by human relations between colleagues, the scanty of time, the deficiency of school budgets. 7. In factors out of school, teachers are greatly restricted by administrative direction from superior offices, overworked task given from things out of school, traditions and practices in community. 8. Teachers are sometimes restricted by educational laws in current, social opinions, political atmosphere. 9. In high school, because most of task is made of same grade units, creative decision-making and characteristic class- management are greatly restricted. 10. Teachers are sometimes restricted by other factors such as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health, religion, overcrowded class, large-scale school, personal gaps of students, and so on. Accordingly, to do class management reasonably and effectively through creative decision making of teachers, we should change authoritative system into democratic system for having many chances of discussion, and provide information and material for teachers in order to get rid of trial and error. In addition, teachers should enhance professional knowledge steadily through self-training and self-learning. Finally, superior office should minimize administrative directions for teachers to spend more time doing class management. 교사들은 학교의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학급경영에서 학생의 개성과 능력에 알맞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지도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들이 내리는 의사결정은 학생의 미래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과도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들이 학급경영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위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제약을 받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이를 최소화하여 교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20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325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WI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사결정의 제약요인을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가치관,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 가정 사정, 자신의 신분상승, 이익 관계 등 개인적인 요인과 학교 내의 권위주의체제, 정보와 자료의 부족, 관행이나 선례, 동료교사와의 개인적인 인간관계, 시간의 부족, 학교 예산의 부족, 교장 또는 교감과의 의견대립 시 자신의 의견 수용관계 등 학교 안에서의 요인, 상부기관의 행정 지시 및 지표, 학교 밖으로부터 주어지는 과다한 업무, 현행 법규, 지역사회의 관습과 전통, 이익단체 및 학부형의 의견, 사회적 여론, 정치적인 분위기, 교직단체 등 학교 밖에서의 요인으로 나누어 고찰 하였으며, 각 요인별로 교사들의 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에게는 개인적 요인보다는 학교 안 요인, 학교 밖 요인이 더 큰 제약이 되고 있다. 둘째, 개인적 요인에서 신념과 가치관을 제외한 가정 사정, 자신의 이익관계는 교사들의 의사결정에 크게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남교사의 경우 전직이나 승진 등의 자신의 신분 상승으로 인하여 학생지도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는 교사들이 학생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개선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넷째, 학교 안 요인에서 권위주의 체제, 정보와 자료의 부족, 관행이나 선례로 인한 제약정도는 매우 높다. 과감한 권한 위임과 신속하고도 원활한 정보와 자료의 지원체제가 요망되고 있다. 다섯째, 남교사의 경우 교장, 교감과의 개인적인 인간관계로 인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제약이 되고 있다. 여섯째,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 시간부족, 예산부족은 가끔 교사들의 의사결정에 제약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교 밖 요인에서 상부기관의 행정지시 및 지표, 지역사회의 관습과 전통, 과다한 업무로 인한 제약은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다. 여덟째, 교육관련 법규, 정치적인 분위기 사회적 여론은 가끔 교사들에게 제약이 되고 있다. 아홉째, 고등학교에서 대부분의 업무가 동학년 단위로 획일적으로 이루어지는 관습은 창의적 의사결정과 특성 있는 학급경영에 제약이 되고 있다. 열번째, 그 외교사들의 의사결정에 제약이 되는 요인으로서 전문지식의 부족, 건강, 종교, 과밀학급, 과대학교, 학생들의 개인차 등이 있다. 따라서 교사들이 창의적인 의사결정으로 학급 경영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위해서는 학교안의 분위기를 권위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바꾸어 대화와 토론의 기회를 많이 만들어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또한, 정보와 자료를 많이 제공하여 시행착오를 겪는 일이 없도록 하고, 상부기관은 행정지시를 최소화하여 교사가 과다한 업무로부터 벗어나 학급경영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줌이 바람직해 보인다. 한편, 교사는 자기연찬과 연수를 통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꾸준히 향상시키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문화예술지역 상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이해관계자 간 갈등구조 분석 : 홍대 앞 상권을 중심으로

        한설아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본래 젊은 계층의 특징 있는 문화지역을 대표하던 홍대 앞 지역이 대기업의 자본 유입 이후 이전의 정체성이 상실되고 점차 대중적인 공간으로 변모함에 따라, 여러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갈등이 유발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홍대 앞은 대학가와 일반주거지역이 혼합된 지역으로서, 가속화되고 있는 홍대 앞 상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주체를 파악하고, 각 주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갈등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으로 문헌연구, 내용분석, 심층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우선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5년간의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해 홍대 앞 상업화 과정에서 총 7개의 갈등주체가 추출되었다. 각 주체들은 갈등의 특성상 서로 연계되어 있으며, 하나의 갈등 주제에 연계된 주체는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5개의 이해관계자 혹은 이해관계자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장 많은 갈등 주제는 임대료 상승에 관한 갈등이었으며, 그에 따라 파생되어진 소상인들의 고통과 문화예술인들의 홍대 앞 이탈현상으로 인한 갈등들이 주를 이루었다. 신문기사 내용분석에서 추출된 갈등주체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홍대 앞 갈등구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홍대 앞 소상인과 지역주민은 임대료 및 상권에 대한 갈등을, 문화예술인, 방문객, 학생은 홍대 앞 문화에 대한 갈등을 지니고 있다. 둘째, 갈등주체들은 홍대 앞 상권변화의 기점을 단순 대기업의 진출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공항철도의 개통, 중국인 관광객의 대거 유입, 상가 강제철거 등으로 세분화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각 주체는 서로 상이한 갈등을 겪고 있으며, 특히 홍익대학교 학생이 갈등주체 중 가장 다양한 양상의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넷째, 각 주체가 인식하고 있는 갈등의 이해관계자는 서로 상응구조가 아닌, 일방향적 구조가 주를 이룬다. 다섯째, 갈등 해소를 위하여 소상인과 지역주민은 대체로 시위, 항의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문화예술인과 학생은 이주, 민원제기 등 현실에 순응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여섯째, 갈등주체들은 갈등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행정적 대책마련의 필요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갈등이 종료된 이후에도 대부분의 갈등주체가 홍대 앞 방문 또는 거주, 활동 등을 유지하겠다는 의견을 제시함에 따라 홍대 앞이라는 공간이 지닌 장소적 특수성은 현재 전개되고 있는 갈등과 관계없이 유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conflict from various interest involved people is arising, as the “?neighborhood of Hong Dae”, originally representing culture and arts areas, lost its identity after importing capital and gradually change into commercial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ain conflict parties of commercial process in the neighborhood of Hong Dae, and analyzes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m. As for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s and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At first, the content analysis on newspaper articles from 2000 to 2014 reported that a total of seven conflict parties are found in the process of the commercialization in the neighborhood of Hong Dae. For one conflict part, 2~5 stakeholders or stakeholder groups were involved. The most popular conflict topic was these increases in rentals, and that was what might cause retailers’ pains and cultural artists’ breakaway from the neighborhood. They were all what would bring about other conflicts in return. Findings of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nflict parties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Hong Dae neighborhood as follows. First, when the cultural artists, visitors and students are having conflicts over the culture in the neighborhood of Hong Dae, the retailers and the local residents are going through conflicts related to rentals and commercial supremacy. Second, every conflict parties are being suffered from all these different conflicts and in particular, the students of Hongik University as the conflict participants have turned out to be experiencing the most diverse aspects of the conflicts. Third, in terms of the interested parties of the conflicts that are perceived by each of the parties, they are dealing with one-sided structures but not these mutual corresponding structures. Fourth,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s, the cultural artists and the students are taking passive attitudes but as for the retailers and the local residents, they are mostly willing to demonstrate or protest. Fifth, the conflict parties suggest that administrative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no matter what to solve the conflicts. Last but not least, most of the conflict parties answered that they will keep visiting and residing as well as working in the Hong Dae neighborhood even after the conflicts are all settled down, and that has led the study to confirm that the local characteristic of this special space is still valid regardless of those currently-developing conflicts.

      •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위한 참여형 스마트 지도 만들기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를 중심으로

        김규남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신안1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자리하고 있어 지역 주민보다 대학생 인구가 많은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이다. 이 지역은 도농지역이라는 특성상 젊은 대학생들이 거주하기에는 편의시설이 부족하며 어두운 길거리는 신변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의 문제점들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대학생들의 삶이 반영된 지속가능한 신안1리만의 지도를 구상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하고 편리한 그리고 친환경적인 캠퍼스타운 조성을 위한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의 참여형 스마트 마을지도 만들기 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농지역과 캠퍼스타운에 대한 개념 정리와 마을지도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조사하였고 연구방법으로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현황조사로 구성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지역 구성비가 지역주민 대비 대학생의 비율이 많음 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 대학생들을 위한 시설과 장소는 부족하고 대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참여나 역할에는 소극적 인 것을 알 수 있다. 설문조사의 결과, 통학로 이용은 안전한 통학로보다는 최단 거리의 샛길 통학로를 선호하고, 캠퍼스타운 내 자주 가는 장소와 상징장소는 접근성과 인식성이 좋은 마을회관 건너편의 큰 나무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불편사항으로는 병·의원의 부재, 공공시설 및 문화시설 등의 부족으로 꼽았고 개선 요구로는 골목길 정비, 빈집 활용, 저렴한 주거공급, 광장 및 공공장소 설치 등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다. 현장 조사결과, 샛길 통학로 열악한 보행 환경과 안전 시설물 현황을 통해 안전에 취약한 골목 현황, 그리고 공공시설 및 편의시설의 부족 현황과 빈집(빈 상가)의 존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신안1리에 위치한 홍익대학교주변 안전한 골목지도라는 의미의 (가칭) “신안홍길(신나고 안전한 홍대주변 길)”이라는 캠퍼스타운 지도를 만들고 지역의 지리적 정보, 그리고 다양한 활동들을 지속적으로 제공과 시‧공간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다음 단계이다. 오프라인 지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매핑 지도를 제안하여 마을 구성원인 대학생-지역주민-학교-지자체 간 협력과 지역발전을 위한 상생 방안 마련 등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대학생 관점에서의 캠퍼스 타운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생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구와 필요인 주거, 교통, 안전, 의료, 복지, 교육에서부터 창작, 문화, 그리고 생산까지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마을지도를 활용한 공간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사용을 통하여 지역주민과 학생이 주체가 되는 젊음과 예술을 바탕으로 활력이 넘치는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추구한다. Jochiwon-eup Shinan1ri is an urban-rural campus town where Sejong Campus of Hongik University and Sejong Campus of Korea University are located, and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local resident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urban-rural area, there are insufficient amenities to use. There are many dark streets which make students feel uneasy about safe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 way to improve the urban-rural campus town and to plan a sustainable Shinan1ri’s new map to reflect the life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articipatory smart village map of the campus town in the urban-rural area for the safe, convenient, and eco-friendly campus town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campus town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village are investigated. The research method is composed of a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a present-condition investigation. The literature survey shows that there are more students than local residents. The convenient facilities and places for college students are insufficient. Students are reluctant to a participation and role in town community.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s that students prefer the shortest pathway to the safe school pathway, and that the large tree across the town hall is a favorite place and a representative site in the campus town. Students feel inconvenience due to the lack of vending machine, public facility, and cultural facility, and request various matters such as maintenance of alleys, use of empty houses, supply of cheap house, and installation of public areas and plazas. The field survey shows that pedestrian environment is poor and unsafe. In addition, a lack of public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an existence of vacant houses (empty shop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produce a campus town map named "Shinan Honggil (a beautiful and safe way around Hongik University)", meaning "safe alley map around Hongik University". It is the next step of this research to provid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various activities of the region continuously and to share a time and spatial change of the region in real time.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offline map, this study proposes a smart map that applies smart technology to enable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uch as cooper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local residents, school, and local governments, and a win-win plan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smart map which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requirement of campus town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ity students helps community do various activities relating to housing, transportation, safety, medical care, welfare, education, creation, culture, and production. The research proposes the vigorous, young and artful campus town that both local resident and student become a subject through free access and use of space using the smart map of the village.

      • 보행자 도심이용패턴과 공간구조에 대한 연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중심지역을 대상으로

        신수민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jong City, Jochiwon encompasses three universities, among them Hongik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and thus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activities of students around Jochiwon’s central area are limited; it is mostly used as a transit point to commute between home to university. While looking for reasons for this pattern, it became evident that there is very little existing research regarding the urban spaces of Jochiwon. In order to fill this gap in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f the physical structure and pedestrian urban use patterns of Jochiwon. In particular, this study lin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th ‘smart solutions’.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literature study is conducted on pedestrian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urban spatial structure, classifications of pedestrian behavior patterns, among others. Second,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physical elements of the city and pedestrian urban use-patterns are examined. Pedestrian urban use patterns are analyzed by observing direct pedestrian behavior pattern and conducting a survey of Hongik University students. Lastly, physical elements of the city are scrutinized through city structure analysis using space syntax, field study of current building usage and crosswalk façad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city space perspective, most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of the target area are distributed around smaller roads within the block, and not around the major road which is the central crosswalk in Jochiwon’s central area. The study of the façades shows that the smaller commercial streets lack transition spaces and places where people can linger. In addition, the street environment discourages the use of street furniture. Furthermore, dense residential areas shows inadequate street lighting and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long with a lack of adequate separation between pedestrians and cars in the inner roads. Secondly, pedestrian urban use pattern analysis shows that pedestrians traffic is concentrated around Sejong Traditional Market during the day and the inner restaurant street at night. Also, a total of eight pedestrian behavior patterns, mostly falling under ‘necessary activity’, are observed.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remain close to bus and train boarding areas in Jochiwon town center as there is a lack of cultural and recreational destinations. With this information,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Jochiwon central area’s pedestrian pattern and pedestrian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pedestrian distribution corresponds with the building-use distribution, and the time pattern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acilities. Second, pedestrians mostly show ‘necessary activities’. Third, Jochiwon’s central area is relatively unsafe for pedestrians. In other words, issues related to urban use, as experienced by Jochiwon’s urban user, include unbalanced pedestrian distribution according to use-separation, restricted pedestrian behavior due to a lack of available space, and drop in pedestrian safety. In order to tackle such issues, ‘smart solutions’, such as city information services applying mixed-use and IT technology, composition of green space (ET), construc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pedestrian-only streets, are propos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lies in the fact that observation and analysis of pedestrian pattern is confined to a part of Jochiwon’s central area, and cannot be generalized as being applicable to the entire Jochiwon center. However, the these research findings can serve as valuable background data in understanding the spatial structure of Jochiwon town center and its pedestrian movement patterns. 조치원읍은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구역으로 홍익대학교와 고려대학교를 비롯하여 3개 대학이 위치하여 있고 이런 특성상 대학생 유동인구가 많다. 하지만 조치원 중심지역에서의 학생들의 활동은 매우 제한적이며 주로 대학과 학생들의 집을 오가는 환승지로 이용되고 있다. 대학생들이 조치원 중심지역에 잘 가지 않는 이유를 조사하면서 조치원의 도시공간에 관한 연구가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세종시 조치원읍 중심지역의 도시공간구조와 보행자 도심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추후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도심이용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스마트솔루션과 연계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구조에서 보행 특성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요소들과 보행자 행동패턴 분류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도시의 물리적 요소와 보행자의 도심이용패턴을 조사하였다. 보행자의 도심이용패턴조사는 직접관찰을 통한 보행자 행동 패턴 관찰과 홍익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도시의 물리적 요소를 조사하였다. 물리적 요소조사로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구조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한 건축물 용도현황 및 보행가로 입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구조의 관점에서 조치원 중심지역의 중심가로는 중심지역 내 큰 도로인 반면, 대상지 내 상업시설은 주로 블록 안쪽의 작은 도로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건축물 입면을 조사한 결과 상업이 주로 분포된 거리는 전이공간과 보행자가 머무를 공간이 부족하며, 거리시설물을 이용하기 힘든 거리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상지 내 주거 밀집 구역의 경우 가로등과 방범시설이 미비하며, 대상지 내부도로는 대부분 보차혼용도로로 이루어져 있었다. 둘째, 보행자 도심이용패턴 조사결과로는 조치원 중심지역 보행자가 주간에는 세종전통시장, 야간에는 음식점이 밀집된 가로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보행자 행위 패턴은 총 8가지로 주로 필수적인 행위에 해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대학 학생들은 조치원 중심지역에서 주로 버스·기차의 승차시간 대기를 하며, 문화시설과 공원시설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치원 중심지역의 보행자 도심이용패턴과 보행환경에 대한 특성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보행자분포는 건축물용도분포에 영향을 받으며, 보행자의 시간대별 분포는 상업시설의 특성과 연관성을 갖는다. 둘째, 보행자는 필수적 행위를 주로 보인다. 셋째, 조치원 중심지역 내 보행 안전도는 다소 떨어진다. 조치원 도심이용자가 겪는 도심지 이용에 관한 문제점은 용도분리에 따른 보행자 분포 불균형, 여유공간 부족에 따라 한정된 보행자 행동패턴, 보행자 보행안전성 하락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스마트솔루션으로 용도혼합 및 IT기술을 활용한 도시안내서비스, 녹지축의 조성(ET), 방범시설구축, 보행자 전용거리운영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 조치원 중심지역의 보행자 행위를 살펴보고 분석한 것이므로 대상지역의 일반적인 보행자의 특징이라는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조사된 내용은 조치원 중심지역의 이용도를 높이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