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지역 정비방향에 관한연구 : 경기도 양평군을 중심으로

        방계선 弘益大學校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Under Korean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 selection of New Town Development at urban fringe where development is comparatively simple are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fast-growing urban population. These kinds of New city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method has caused many problems. Expansion of the city from New Town development at urban fringe have resulted in economies of scale. Infrastructure and ability of self-sufficiency is relatively getting weaker in rural areas because of this change. In particular, in rural areas than urban areas, it didn't caused only social and economic issues, like the deepening of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 reduction in the population, young adults population's reduction and aging, poor infrastructure, poor cultural facilities, but also urban dimension problems like housing problem. In addition, the living conditions of rural village level are significantly inferior to city(urban area)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ver the past. Rural area has been less developed than urban area in a development project and maintenance, also residential area and residential environment habitability of rural area are insufficient to those of urban. Therefore it is late to paying attention to the method of residential area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rural area. The research of rural area was started recently while those of urban residential area progress actively. Existing project, for residential area maintenance, is not enough because the majority of projects currently being pushed forward is about developing new town and, individual houses. The rural area needs different ways of approaching and solution because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is worse than in urban area. When the focus of paradigm for residential maintenance move from quantity to quality, researchers suggest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and following the tradition for the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contribution to efficient accomplishment of . rural development and maintenance work Lately, it is to research about the problem of Korean rural residential area to set rural development and maintenance types which are suitable for each towns. Similar types of index are unified by operating factor analysis of selected index to visualize Gyeonggi-do Yangpyeong-gun which i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Group analysis is operated for earnestly visualizing based on factor scoresafter cause analysis. As a result of group analysis group is divided in five those five roup are named like this; 1st group is low-density promotion type farm village, 2nd group is growth possibility type farm village, 3rd group is preservation type farm village, 4th group is traditional culture preservation type farm village, and 5th group is pre-growth type farm village. The various types of maintenance projects could apply for each categorized residential areas in rural village. Village structure improvement, cultural village composition, and village maintenance projects for 1st group(low-density promotion type farm village), poor house improvement project for 2nd group(growt possibility type farm village), cultural village composition project for 3rd group(preservationmaintenance type farm village), substandard house improvement work, culture village construction work,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for 4th group(traditional culture preservation type). In case of 5th group, it is low ratio of poor houses, high rates of infrastructure, and near capital area. So, it has a function of satellite town. Thus, in case of this areas considered to need resident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parking lot or community facility.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과정 속에서 급증하는 도시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교적 개발이 용이한 도시 주변부신도시 개발을 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신도시 위주의 택지개발사업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 시켰다. 도시주변부 신도시 개발로 인한 도시의 확장은 규모의 경제를 초래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기반시설 및 경제적 자급능력이 약한 농어촌 지역은 더욱더 쇠퇴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변해가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에 비하여 농어촌 지역은 빈부격차의 심화, 인구의 감소, 청년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기반시설의 열악, 문화시설의 열악 등의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문제 뿐 만이 아니라 주택문제 등의 도시적 차원의 문제들을 야기 시켰다. 또한 농어촌 마을의 생활환경 수준은 지난 근대화과정을 거치면서 도시에 비해 상당히 열악한 수준에 처해 있다. 농어촌 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하여 국가적으로 개발사업 및 정비사업의 변방으로 뒤쳐져 왔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들 역시 도시지역의 주거지 및 주거환경, 거주성 등의 연구는 다수 실시되어져 온 반면, 농어촌 지역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주거환경이 다소 열악하고 개발이 더딘 농어촌 지역의 주거지 정비 및 관리 방안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는 이미 지났다고 판단된다. 지금까지의 도시지역의 주거지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소외지역인 농촌마을에 대한 주거지연구는 매우 일천할뿐더러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대부분이 신규마을 조성사업이거나 기존마을의 경우, 개별주택에 관한 사업으로서 기존 주거지 정비에 관한 정비 사업이 부진하여 주 거환경의 질은 도시보다 크게 낙후되어 있는 등 도시와는 다른 접근과 처방이 필요하다. 또한 주거지정비에 대한 패러다임이 기존의 양적측면과 물적측면의 정비에서 질적 측면의 정비로 전환되어지면서 환경친화적인 개발,역사성의 전승 등 다양한 정비해법들이 제시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의 개발 및 정비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촌마을의 주거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각 마을의 특성에 맞는 농촌개발 및 정비유형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경기도 양평군을 유형화하기 위해 선정한 지표들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비슷한 성격의 지표들을 하나의 새로운 요인으로 통합시켰다. 요인분석 실시 후 요인점수를 토대로 본격적인 유형화를 시키는 과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다. 1군집은 저밀촉진형 농촌, 2군집은 성장 가능형 농촌, 3군집 보전관리형 농촌, 4군집 전통문화 보존형 농촌, 5군집 기성장형 농촌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의 유형별로 농촌 주거지 정비사업을 적용시켜 보았다. 1군집(저밀촉진형 농촌)은 취락구조개선사업, 문화마을조성사업, 마을정비사업을 적용시킬 수 있다. 2군집(성장 가능형 농촌)은 불량주택개량사업을 적용시킬 수 있었다. 3군집(보전관리형 농촌)은 문화마을 조성사업의 적용이 가능하다. 4군집(전통문화 보존형 농촌)은 불량주택개량사업, 문화마을 조성사업, 아름마을 가꾸기 사업, 농가주거환경개선사업을 적용시킬 수 있다. 5군집(기성장형 농촌)은 노후불량주택의 비율이 크지 않으며, 도로 및 상하수도등의 기반시설율이 높고 수도권과 근접한 도시의 기능을 수행하는 농촌지역으로써 기존의 주거지 정비와 마을의 정비가 잘 이루어진 지역이다. 따라서 이들 지역들의 경우에는 주차장이나 커뮤니티 시설 등의 주민편익시설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스마트그리드 체제에 따른 SCADA 시스템의 보안 평가를 위한 정량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우필성 弘益大學校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스마트그리드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선도 프로젝트로 추진하는 핵심과제로 전력산업의 환경변화에 적응하고 에너지이용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전력시스템이다. 즉, 전력시스템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인프라를 중심으로 다양한 시스템이 서로 통합되는 종합적인 플랫폼으로 이해할수 있다. 기존에 각기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과 통신 인프라가 통합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파생되고 그로 인해 잠재적인 보안 측면의 위험성도 커지게 된다. 현재 전력시스템은 폐쇄적인 SCADA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최소한의 보안강도가 보장되었지만, 스마트그리드 하에서는 개방형 통신망과 연계되면서 기존의 사이버 보안 위협들이 전력시스템으로 유입하게 된다. 또한 IT시스템과는 달리 전력시스템과 같은 제어시스템은 실시간 특성이 강하게 요구되며, 높은 수준의 가용성(낮은 고장 빈도와 신속한 복구)이 필요하다. 기 특성에 따라 전력시스템의 사이버 위협은 IT 시스템에 비해 보다 복잡하고 치명적으로 만드는 요인이 된다. 현재 전력시스템 및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사이버 보안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연구는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 범주 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갈수록 증대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보안 측면의 문제들을 명확히 정의하고, 피상적으로 머물던 스마트그리드의 사이버 위험 문제를 물리적 전력계통과 연계하고 모델링하여 정량적인 수치로 산출할 수 있는 정량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방법론과 더불어 구체적인 수치의 적용을 통해 현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측면에 무게를 두고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전력계통-사이버 측면의 통합적 신뢰도 관점에서 전력계통 제어설비 보안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경제적으로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사례연구에서는 3개의 발전기와 6개의 모선으로 구성된 모의 전력계통을 이용하였으며, 제안된 정량화 방법론으로 전력 제어시스템에 대한 보 안 강도의 지표 및 사이버 위협이 존재할 경우 최소한의 예상피해 정도를 파악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실 계통에 본 논문의 정량화 방법론을 적용한다면 보다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larify the cyber security risks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 power system in Smart Grid. The SCADA system and other communication networks interact with the power system on a real time basis,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wo layers to protect the power system from potential cyber threats. In this study, the optimal power flow (OPF) and Power Flow Tracing are used to ass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CADA network and the power system. Through OPF and Power Flow Tracing based analysis, the physical and economic impacts from potential cyber threats are assessed, and thereby the quantitative risks are measured in a monetary unit.

      • 지역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아동문화 COMPLEX 계획안 : 공공보육 시설을 포함한 아동문화

        남창오 (南昌五) 弘益大學校 弘益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아동 복합 문화공간은 아동들에게 '체험'으로서의 참여와 '놀이'로서의 문화 예술 학습의 공간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대안으로서 그 사회적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성이 있다. 세계적으로 어린이 복합 문화공간이 급증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 주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지자체에서 운영˙주관하는 어린이 전용 도서관, 대기업이 사회문화 복지시설로서 운영하는 어린이 박물관, 아동극단과 같은 예술 민간단체에서 운영하는 아동극 전용극장 등 아동전용 문화시설이 서서히 건립되고 있다. 그러나 아동의 특성 및 학부모가 함께 참여 가능한 아동 복합문화 시설은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개별적 아동전용 문화시설의 등장은 미비한 아동문화 시설의 수요개선이란 점에서는 바람직한 현상 이지만, 교육환경의 분산 및 획일적이고 단일화된 문화시설에서 벗어나 여러 문화 행위들을 하나의 단지에서 복합적으로 수용하고 이용자의 특성과 다양한 욕구에 부합할 수 있게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는 복합문화 시설로서의 지역적 요구에 대응하지 못한다. 아동전용 문화시설은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해 지역문화 교육으로서의 시설로서 요구되며, 선진 보육시설은 단순 보육에서 부모-아동의 사회적 요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양육 지원센터로서 지역 커뮤니티 시설의 개념으로 확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아동복합 문화 건축에 관한 연구로서, 아동 전용문화시설을 분석하여 각 시설군의 독립적 기능을 물리적 복합화 하여 서로의 관계를 풀어나감에 있다. 비형식적 교육 (INFORMAL EDUCATION) 장소인 문화장소에서 지역 내 개방된 문화적 공간이며 교육적 공간으로 발전함으로서, 부모-아동 공공 보육센터 (PARENT-CHILD CENTER)의 역할을 가지며 다양한 지역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The importance of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for children should be emphasized, as it is an alternative that provides the children with the atmosphere for participation as 'experience' and cultural∙artistic education as 'entertainment'.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ultural complex for children worldwide shows the importance of its existence. Within Korea, there has been a movement of constructing special cultural facilities for children. Libraries run by the local autonomous entity, museums of some of the major companies sociocultural welfare, and theaters solely for childrens performances are some of the examples of such sites. However, the society is lacking facilities that parents and children can participate altogether.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advent of childrens sociocultural complexes have two meanings: It is beneficial in that it makes up the shortage of juvenile cultural complex. Yet, it can also mean dispers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ven lead to standardization and simplification that fails to correspond to the local demand by means of multicultural complex. A cultural complex for juvenile should provide the region with cultural educations through diversity. In addition, childcare facilities of advanced countries mean more than a simple nursery; Rather, its realm expands to local childcare supporting center and is expected to be responsible for satisfying both the parents and the childrens requirements.

      • 임베디드 기반 원격 자동 검침을 위한 계량기 숫자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오한글 弘益大學校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원격 검침 시스템은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자동 계량기나 상하수도 수질, 공정제어 시스템, 설비관리 시스템, 빌딩관리 시스템, 각종 시설물 관리 등 활용되는 범주가 다양하여 시장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산업적 응용을 목표로 현재 설치되어 있는 계량기들을 교체하지 않고 검침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영상인식 기반 숫자인식 원격 검침 시스템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영상 인식 기반 원격 검침기 시스템 S/W를 위한 계량기 숫자 인식 알고리즘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계량기의 이미지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후 LN 방법을 이용하여 조명 정교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LSD(Line Segment Detector) 알고리즘을 통한 개략적인 숫자 영역을 추출 후 지역 에지 기반 문턱치 이진화 전처리 과정을 거친 뒤, 계량기 타입에 따라 알맞은 수직 및 수평 투영 기법을 이용하여 정교한 숫자 영역을 검출한다. 다음 단계인 숫자 분할은 CLNF 알고리즘을 통해 숫자 블랍을 획득하고, 신경망과 템플릿 매칭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숫자 분류기를 통해 최종적으로 숫자를 분류한다. 실험에 사용한 H/W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하자면, 원격 검침기의 H/W는 이미지 센서 보드 및 메인 보드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위 원격 검침 관리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RS-485, USB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계량기 숫자 인식 시스템의 효과적인 동작은 실제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만든 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Today, AMR is the technology to a central database for billing, troubleshooting, and analyzing of automatically collecting inspection, and stable state data from water meter, or energy metering devices. This opportunely information and analysis can assist both supplier and customers better control the use and output of electric energy, gas usage, or water spend. In this thesis, we propose a cuspy and complete Meter Numeric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optimized embedded for Remote Automatic Metering under low contrast and uniformity illuminations, and also in respective of metering device types. In advance, we mention a part of S/W for Meter Numeric Character Recognition. Firstly, some effective preprocessing methods are utilized to solve the low contrast and uniformity illumination problem. After that, a robust method for detecting reading area, which is devised based on some prior knowledge and line segm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meter images, is applied. Next, the three-phase process are proposed for segmentation of numeric characters in the reading part. Finally, an efficient hybrid numeric character classifier, which combines multi-layered feedforward neural network and template matching, is developed and applied. Second, we mention a part of H/W for Remote Automatic Metering. Briefly, Remote Automatic Metering consists of an image sensor board and a mainboard. And we use RS-485, USB interfaces for AMR system of the top. Through experiments about meter image database containing meter images of low contrast and uniformity illuminations, the proposed numeric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perform well under real environment with high recognition rate and a reasonable computation time.

      • 현장 재생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및 내구성 실험

        박진호 弘益大學校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건설 폐기물의 급격한 발생량 증가로 인해 건설 폐기물 처리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게다가 천연 골재의 고갈, 환경적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순환 골재와 같은 재활용되어 생산되는 재생 골재가 천연 골재의 대체 자원으로 각광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생 골재를 현장에서 직접 파쇄 하여 사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재생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과 내구성 및 적합적 특성인 비중, 흡수율, 마모율, 안정성, 체가름실험, 슬럼프, 슬럼프 경시변화, 공기량, 압축강도, 탄성계수, 휨강도, 건조수축, 동결융해, ASR, 열팽창계수 실험 등을 실시하였으며, 국내에서의 순환골재 품질기준인 흡수율 3% 이하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골재에 대해서 내구성 및 적합적 특성이 포장용 콘크리트의 품질기준을 만족 여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먼저 현장재생골재가 콘크리트 포장 표층에 사용 가능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공항의 보수구간 현장에서 얻은 재생골재를 사용한 기초 실험을 진행하였다. 공항에서 얻은 재생골재의 비중은 2.42로 나타났고, 흡수율은 5.37%의 값을 보였다. 중간처리업체에서 얻은 재생골재는 비중 2.37, 흡수율 5.39%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천연골재와 현장재생골재의 마모율 실험은 각각 20.2%, 22.7%로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및 인천국제공항공사 콘크 리트 시공지침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였지만, 공장재생골재는 30.3%로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압축강도, 휨 강도, 탄성계수 실험 모두 설정한 기준(압축강도 27MPa, 휨 강도 4.5MPa, 탄성계수 20GPa)을 만족하였으며, 결과는 천연골재, 현장재생골재, 공장재생골재 순서의 경향을 보였다. 세 골재의 건조수축 실험은 현재 약 재령 315일 경과했으며, 재령 200일까지의 천연골재 건조수축 변형률이 현장재생골재와 공 장재생골재의 건조수축 변형률 보다 작게 나타났지만 그 이후 재령 315일 까지의 건조수축 변형률은 천연골재 537μm/m 현장재생골재 563μm/m 공장재생골재 552μm/m로서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천연골재와 현장재생골재의 동결융해 실험결과는 JSCE G 501의 기준인 300 사이클 이후 85%이상을 만족하였으나, 공장재생골재의 경우는 68.9%로 설정 기준을 초과하여 만족하지 못하였다. 현장재생골재 및 공장재생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는 각각 10.45μ/℃, 12.44μ/℃로서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9.73μ/℃)대비 약 107.4%, 127.9%로 나타났으며 설정 기준인 115% 이하를 현장재생골재만 만족하였다. ASR 실험은 현장재생골재와 공장 재생골재는 ASTM C 1260의 기준(재령 17일에서 0.1%이하)을 만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project was to investigate a feasibility of job-site using recycled concrete aggregate obtained from an old airport concrete pavement or supplied from plant recycled aggregate. Provisions of recycled aggregate and its job-site process were introduced along with test results on diverse concrete properties tests using recycled aggregates. In this thesis, four different properties tests were conducted on such as basic aggregate properties, non-hardened concrete properties, mechanical strength properties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mixes. As for determining the basic aggregate properties, tests such as sieve analysis, specific gravity, absorption rate, abrasion rate, stability were done. And for the non-hardened concrete properties, tests such as slump, amount of air, slump loss with an elapsed time were conducted. Meanwhile diverse mechanical strength properties tests were done with respect to compressive strength, elastic modulus, flexible strength, several durability tests were investigated such as alkali-silica reaction, resistance of concrete rapid freezing and thawing, drying shrinkag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n S. Korea water absorption of th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is specified as less than 3%. However in this study recycled concrete aggregates over 3% of water absorption were used to know any feasibility of using those aggregates on the jobsite, if all the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properties are to be satisfied. First, recycled aggregates processed from the concrete pavement of airpor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eld site recycled aggregates are to be performed well in the concrete pavement surface. Recycled aggregate processed directly from the airport specific gravity of 2.42 and absorption rate was 5.37%. Also, the aggregates processed from the intermediate waste treatment company specific gravity of 2.37 and absorption rate was 5.39%. The abrasion rate of natural aggregate and job-site produced recycled aggregate was 20.2%, 22.7%, respectively. But the abrasion rate of the plant recycled aggregate was 30.3%, thus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and flexural strength of experimental results of concretes made from natural aggregates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ose from the site recycled aggregates and plant recycled aggregates. However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recycled concretes ranged from 27MPa and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ose not to be far decreased. Flexural strength of recycled aggregates was somewhat lower than the natural aggregate, but was satisfied with the target of 4.5MPa. Three hundred days have passed since then for drying shrinkage test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 of concrete specimen made with natural aggregate was 537μm/m, whereas that made with the job-site recycled aggregate was 563μm/m, and that with recycled aggregate from the plant was 552μm/m. In case of freezing and thawing experiments concretes made from job-site recycled aggregates and natural aggregates were to be satisfied as more than 85% after 300 cycles(JSCE G 501). However, in the case of plant recycled aggregates 68.9% at 300 cycles was obtained and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TE value of concrete specimen made with natural aggregate was 9.73με/℃, whereas that made with job-site recycled aggregate was 10.45με/℃, and that with recycled aggregate from the plant was 12.44με/℃. ASR experiments in the field of recycled aggregate and recycled aggregate plant basis, less than 0.1% at 17 days(ASTM C 1260) was met as the requirement.

      • 푸시-메시 구조 기반의 효율적인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기법

        김진성 홍익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컴퓨터 네트위크의 발전으로 초고속통신망이 일반화되고 방송 컨텐츠가 디지털화됨에 따라 확장성이 높고 저비용으로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는 피어투피어 방식의 스트리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트리-푸시 구조와 메시-풀 구조의 장점을 동시에 활용하는 푸시-메시 구조의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에서는 높은 네트워크 업로드 성능을 가지는 피어를 최대한 활용하여 초기 재생 지연 시간 및 소스 서버와의 시간차를 줄이고 연속 재생률을 증가시킨다. 기본적으로 메시-풀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소스 서버와 수퍼 피어 및 수퍼 피어와 특정 수의 일반 피어들 사이에 푸시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기존 구조들에 비해 지연 시간이 짧고 재생 영속성이 높다는 것을 보인다. As high-speed broadband networks have become prevalent and contents have been digitalized, research on peer-to-peer live streaming with high scalability and low commercial cost has been widely conduc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eer-to-peer live streaming scheme based on a push-mesh structure that takes advantages of tree-push and mesh-pull structure simultaneously. The proposed scheme can reduce the startup delay and lag time from a source server and increase playback continuity by utilizing peers with high network upload capacity. This structure basically provides the pull mechanism for data transmission and also support the push mechanism along with paths from a source server, super peers, and selected general peers. By simulation experiments, we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can achieve shorter delay and high playback continuity.

      • 단위전시공간 분석을 위한 시지각 지표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역사계)를 중심으로

        민준홍 弘益大學校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basic functionality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 is to mediate between the actual exhibits and the audience. Therefore, the most optimal exhibition space is one which satisfies both the exhibition and the audience. That is from the exhibitions’ perspectives, the both ‘preservation’ and ‘exhibition’ part of the exhibits must be considered. And from the audiences’ perspective, pleasant environments that can communicate and enhance understanding about the exhibits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about museum exhibition is not about exhibits’ real image but how those restored or copied objects can be conveyed - the facts about the exhibits must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viewers’ perception. Likewise, under the view that the exhibition spac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design of museum space plan in order to achieve the realization of museum’s true objective, there had been active studies being carried out from the 90’s about analyzing and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exhibition space structur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studies about diverse exhibition space structures of museums built in 21st century are still lacking. Considering 21st century’s reality of cultural competition and the growth of related.facilities in Korea, there are definite needs to carry out in-depth study about the architectural planning to support such changes. So in this study, the aims are to first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theories of exhibition space analysis, and validate that the EE model (exposure index for exhibition components) which reflects the visual contents within the exhibition space is more effective in the context of the exhibition space, thereby distinguishing from the traditional methodologies. Also, because the traditional methodologies could not quantify the analysis methods of exhibition space, they could not adequately make good speculation and make convincing explanations. Therefore, this study also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visual perception related to human’s actions in order to suggest the basis that can help to anticipate the actual exhibition space and also by which to make good evaluations. The scope of this study is - by studying the previous studies on museum exhibition space in Korea, review the meanings of human environmental perception, visual perception and space analysis theories and their trends, and also review what methods of analysis are used for each topics of study and for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pace structure, and what kind of results are obtained correspondingly. And through such comparisons and analysis, think clearly about the actual scope on which the new index can be applied, thereby indentify the future improvements, directions and what areas to supplement. Through the above objectives and scope, the characteristics of EE index that will be newly suggest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on the basis of physical contents (new facilities, number of exhibits), size of exhibits, and locations of entrance and exits. The theory which states that rectangular space has more practical use of space for exhibition and can draw more focused attention than the square space (that which had been shown in many previous studies), was analyzed quantitatively. Also, when the exhibits were categorized from one tothree and compared with one another, it was verified that characteristics of space for one exhibit has different utilization characteristics than the space for the 3 exhibit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deduct the line of flow according to the EE index distribution. It was also observed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made based on the conditions that could affect the life of flow within the exhibition space, that the line of flow can change by adding the exhibits, and also that the effect is greater with the increase in size of the exhibits. Also it was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that the line of flow and the viewers’ choice of line of flow can change according to the different loc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Based on the above, the unit exhibition space which the actual exhibition is taking place was selected and put under analysis. When the exhibition space that is actually undergoing exhibition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viewers’ trace investigation, it was seen that the actual line of flow by which the viewers are flowing through and the exposure index distribution are more or less in synch. It was also verified that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analyze by successive review of the exposure index using the line of flow deduced from the viewer trace investigation - through which to suggest improvement in the current viewing line of flow. It was judged that this study can be of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future exhibition space research and approach, and it was a meaningful study in that it was a step where useful thoughts were made through the application of methodologies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analysis methods are still quantitative and may have certain shortcomings, it is expected that such EE (exposure index) can be utilized as an excellent tool by which to analyze the exhibition space by adding yet more variables to the index. 박물관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기능은 전시물과 관람자 사이에서 공간적인 매개역할을 수행하는데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전시공간의 조건은 전시물과 관람자의 양측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전시물의 입장에서 보면 전시물의 '전시'와 '보존'의 양면을 고려해야 하며, 관람자의 입장에서 보면 쾌적하고 이해도를 재고시킬 수 있는 환경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박물관의 전시는 실물 지향이 아닌 복원·복제된 사물이 어떠한 방식으로 전시되어야 하는가가 중요하며 전시될 자료 그 자체가 관객에게 마음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박물관 공간계획에 있어 전시공간은 박물관의 목표실현에 가장 중요한 디자인 인자라는 인식하에 국내에서는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여 설명하는 연구가 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21세기 이후에 건립된 현대의 다양화 된 박물관의 전시공간구조를 논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21세기 문화경쟁의 시대적 현실, 국내 관련시설들의 성장 현황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그 건립에 수반 되는 건축계획분야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시 공간을 분석함에 있어 기존의공간분석이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이후 전시 공간내에서의 시지각적 속성이 반영된 전시구성요소의 노출지표(EE) 모델이 전시공간내에서는 더욱 효과적임을 검증해 기존의 방법론들과는 차별화를 두려 한다. 또한 기존의 방법론들로는 전시공간을 분석하는 방법이 정량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충분한 예측력과 설득력을 확보하지 못했다. 따라서 실제로 전시공간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평가를 내리기위한 용도로서의 분석이 행해지기위한 인간의 행동과 관련된 정량화된 시각분석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의 박물관 전시공간구조를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인간의 환경지각과 시환경, 공간분석이론들의 의미해석과 함께 그 경향을 살펴보는 한편, 연구의 주제별로, 공간 구조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분석방법들이 사용되었고, 그에 따라 어떠한 결과를 도출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지표의 적용가능성의 범위를 보다 명확히 고찰하고, 향후 개선 내지 보완사항과 함께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와같은 목적과 범위를 통하여 통하여 새로이 제시하고자 하는 EE 지표의 특성을 전시공간내에서 갖는 물리적 속성(세장비, 전시물의 갯수)과 동선특성(전시물의 크기, 출입구의 위치)를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전시공간의 물리적속성과 EE지표를 분석하여 기존의 정성적인 연구들에서 보여지는 전시공간이 정방형의 공간보다 장방형의 공간이 전시공간으로써 활용도 및 관람 집중도가 높다는 이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전시물의 개수를 하나에서 셋까지 나누어 비교한 결과 전시물이 하나일 경우 전시공간이 갖게 되는 특성과 셋의 경우 갖게 되는 공간의 활용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E지표의 분포에 따라 동선의 추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시공간내에서 동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건들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전시물이 추가됨으로써 동선이 변화할 수 있고, 이는 추가되는 전시물의 크기가 커질수록 그 영향은 더욱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출입구의 위치변화에 따른 동선의 변화와 관람객의 선택동선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단위전시공간을 선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실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시공간을 분석하여 이를 관람객 추적조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실제 관람객이 움직이는 동선과 노출지표의 분포가 어느 정도 일치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관람객 추적조사를 바탕으로 추론되어진 동선을 활용하여 노출지표의 순차적 검토에 의해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현재 관람동선의 개선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전시공간의 연구와 접근방법에 있어 유용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고, 이에 따른 방법론적 활용과 특성분석을 통한 고찰을 하는 단계로써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아직은 분석방법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지만, 향후 이 노출지표(EE)가 좀 더 많은 변수들이 추가되어 전시공간을 분석하는데 훌륭한 분석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도시재생의 촉진을 위한 용적이전제도 적용 방안 : 서울시 중구 필동길을 중심으로

        성준영 弘益大學校建築都市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신도시 및 강남 위주의 개발에 치중한 도시 계획으로 서울 도심부는 낙후됨에 따라 기성시가지의 도시재생을 통한 도심 재활성화를 위해 해외의 개발권양도제도 등의 도입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 중 개발권양도제도의 개발권 개념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내 결합개발제도를 준용하여 일본의 용적이전제도의 도입을 통해 도시재생과 관련한 다양한 제도의 활용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2020도심재창조종합계획」의 일부분인 녹지문화축이 조성되는 대상지를 중심으로 제도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권양도제도의 개발권 개념을 보완하기 위한 용적이전제도는 개발권 대신 용적률을 거래하는 측면에서 국내도입의 가능성이 있다. 둘째, 도시재생과 관련된 유일한 국내 제도인 결합개발제도는 용적이전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준용의 제도로 참고할 수 있다. 셋째, 용적이전제도의 국내에 적용해 봄으로써 도시재생에 긍정적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행되고 있는 일본의 특례용적률적용구역제도의 절차를 이해하고 현행 사례를 분석하며 국내 결합개발제도 사례의 비교를 통해 연구에 적용될 용적이전 인센티브모델을 형성하였다. 여기서는 공시지가와 법정용 적률을 사용하였으며, 대지면적은 기반시설부담률을 적용한 순수 대지면적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녹지문화축이 조성되는 종로구 필동길에 적용함으로써 용적률을 세운재정비촉진구역에 이전하였는데, 이 때 수용지역은 재정비구역 내 세운6, 8구역을 각각 수용지역-1과 수용지역-2로 지정함으로써 용적이전 인센티브모델의 적용 결과를 비교하여 그 기준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용적이전제도를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면적을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수용지역-1의 경우 학교 및 공원과 주차장의 면적을 제외한 수용지역-2 와 비교하였을 때 용적이전 이후 남는 용량이 약 40%로 약 30%인 수용지역-2에 비해 수용지역의 규모가 송출지역에 비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송출지역과 수용지역을 선택할 때 이러한 면적의 규모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기준이 되는 수용지역의 용도가 상업 및 준주거 지역일 경우 그 결과의 차이가 크므로, 송출지역 및 수용지역을 지정함에 있어서 그 용도지역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용적이전제도는 수용지역에서 발생하는 수용용량 내에서의 용적을 수용 및 인센티브를 부여한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종로구 전체의 용적용량에는 증가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곧 기성시가지의 재활성화에 있어서 과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밀도관리방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적이전제도를 통해 녹지가 조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대상지의 손실보상이 가능하고, 재개발구역 내로의 이전을 통해 구역의 개발비용 지원이 가능하다는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었다. 첫째, 용적이전에 있어서의 각종 기준 선정이다. 송출지역과 수용지역의 면적기준 및 공시지가 외의 분명한 용적용량산출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결합개발제도와 같은 제도적 기반 조성이 요구되며, 셋째,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의 통제와 제제 및 용적은행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통해 용적이전제도의 도입 가능성을 높임으로서, 도시재생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으로 마련하고자 한다. The urban center of Seoul was behind in development because of new town and Gangnam-oriented urban plan. So there are continued to attempt to introduce land-use systems for revitalization of established city. Associated with these efforts, this study examine to supply of TDR's shortcoming and to apply of Korea's CRP(Conjoint Renewal Program) for introduction a「FAR(Floor-Area-Ratio) Transfer System」to enable to use of various system. Therefore, first step is understand about FAR transfer system and CRP by precedent examples. According to comparison between two systems, second step makes 'FAR transfer incentive transfer model' and this model applied to this studies's site in third step. The site is on the Seoul's community development plan for civic center activating. This plan create green network named 'green axis' from Gyeongbokgung to Korean Village and the Namsan. But the state plan is insufficient about development and financial losses for land owners and residents's compensation. This paper examines about FAR transfer system as measures for compensation of losses in sending area, Fill-dong street with receiving area as district-6 and district-8 sewoon shopping area. According to result of applying by 'FAR transfer system model' using land prices and pure land area, firstly, it I possible to compensate only used by existing FAR of sending area without the financial support of public institutions. Secondly, receiving area obtain the cost of the developments and sending area is expected to profits due to develop of transfer FAR in receiving area in future. Thirdly, because of the limitations for introduced in Korea, there are required to apply as suit Korea's condition. So the legal basis is urgently needed based on the law of CRP(Conjoint Renewal Program), and public institution's role of control and efficient operation. In addition, FAR bank i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system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