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 계열 중국유학생의 유학동기가 학업탄력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팡팡 호남대학교 대학관 2023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한국대학의 중국 유학생들의 유학동기, 학업탄력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이며, 대상은 학부, 석사과정, 박사과정을 이수 중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들이다.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피조사자들은 온라인 링크를 클릭하여 설문에 응답했다. 609명의 중국유학생들 중 설문에 동의한 588명의 유효한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남학생 339명, 여학생 249명으로, 회수율은 96.6%이다. 최근 몇 년간 한국에 입학하는 중국유학생수가 계속증가하고 있으며, 유학생수증가의 이유는 한국과 중국이 지리적으로 가깝고, 역사적 문화적 공통성이 있기 때문이며, 또한 한국 정부가 제시한 유학정책, 한국과 중국대학이 함께 진행하는 행사 등이 있으며, 중국의 고등 교육 시장의 공급-수요 문제 등도 있다. 한국으로 온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의 생활에 잘 적응하며 학업을 완수할 수 있는지가 중점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 창의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현재 한국 정부의 유학 정책을 고려하여 중국 유학생의 한국 유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연구 모형을 제안하여 보다 미시적인 연구 관점을 제공하였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유학 요인에 기반 하여, 한국 정부가 더 유리한 학습 정책을 제정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주요 연구대상은 학문적인 전문성을 가진 체육 계열 중국유학생으로, 체육 계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보다 포괄적이고 집중적이며, 이전 연구와 다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Window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학업탄력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는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학업탄력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학업탄력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 생활적응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 계열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학업탄력성,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 간에 인과 관계가 나타났다. 대학 생활에 더 잘 적응하기 위해서 자신에게 단기적인 목표와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동기부여와 집중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목표를 관리 가능한 작은 단계로 분해하고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진행 상황을 조정하고 어려움이나 질문이 생기면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한다. 학업 지도, 상담사, 교수 및 동료들은 도움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새로운 도전과 경험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스스로가 적응하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This study examines the motivations for studying abroad, academic resilien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Chinese exchange students majoring in spor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undergraduate, graduate, and doctoral program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respondents clicked on an online link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A total of 588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out of 609 Chinese exchang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with 339 male students and 249 female students, resulting in a response rate of 96.6%.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hinese exchange students enrolling in South Korea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xchange students can be attributed to the close geographical proximity and historical/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Additionally, the exchange student policies implemented by the Korean government, joint events organized by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and supply-demand issues in China's higher education market are contributing factors. There is a growing focus on whether Chinese exchange students who come to Korea can adapt well to Korean life and successfully complete their studies.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provides a research framework that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decision to study in Korea, taking into account the current study abroad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It offers a more micro-level perspective on research. Secondly, ba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decision to study abroad,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o support the formulation of more favorable learning policies by the Korean government. Thirdly, the primary focus of this paper is on Chinese exchange students with academic expertise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majors can be more comprehensive, focused, and potentially yield different conclusion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s 22.0 Version. The statistical analyses performed includ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with post-ho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aforementioned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academic resilien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academic resilien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resilience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urth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college life adjustment. Fifthly, a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and academic resilien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better adapt to college life setting short-term and long-term goals can help with motivation and maintaining focus. Breaking down goals into manageable small steps, regularly evaluating progress, and adjusting as needed are beneficial. Don't hesitate to seek help when encountering difficulties or questions, whether it be from academic advisors, counselors, professors, or peers. They can provide assistance and support. Maintaining a positive mindset is crucial for adapting to a new environment. Maintaining an open attitude towards new challenges and experiences, believing in one's ability to adapt and overcome obstacles, is essential.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포츠 접촉 동기가 재미,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에 미치는 영향

        임룡비 호남대학교 대학관 2023 국내박사

        RANK : 248591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포츠 접촉 동기가 스포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스포츠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홍보하는데 있어 SNS 사용의 중요성 및 중재 매체로서의 SNS가 스포츠 문화 및 경제에 기여하는 역할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SNS를 통해 운동 활동에 참여한 참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중국 중부, 남부, 동부 및 서부 지역에서 이 기간 동안 운동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포츠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조사를 통해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554명의 표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외생변수는 성별, 연령, 참여 기간, 가구소득, 내생변수는 SNS 스포츠 접촉 동기, 관심사, 스포츠 가치 인식이다. 또한, 종속변인은 스포츠활동이다. 인터넷 기술과 그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우리는 인터넷과 밀접하게 연관된 시대에 접어들었다. 인터넷은 일과 네트워크 요구뿐만 아니라, 의류, 식사, 주거 등 우리 생활의 모든 측면을 아우르게 되었다. 모든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핸드폰, 시계 등 이동 장치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의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Window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SNS 스포츠 접촉 동기, 재미,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 간에는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SNS 스포츠 접촉 동기가 재미,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미가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포츠 가치 인식이 스포츠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SNS 스포츠 접촉 동기에 따라 재미, 스포츠 가치 인식 및 스포츠활동 간에 인과 관계가 나타났다. SNS 스포츠 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라인으로는 토론회, 경기 예측, 퀴즈 등의 활동을, 오프라인으로는 스포츠 경기 관람, 운동 도전 등을 개최할 수 있다. SNS 스포츠 플랫폼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와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스포츠 경기, 온라인 강연, 오프라인 모임 등 다양한 활동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SNS 스포츠 플랫폼에서 오프라인 스포츠 문화 관광을 개최하여, 사용자가 경기장, 박물관, 문화 전시회 등을 방문하여 스포츠 역사, 문화 및 발전을 이해하고 스포츠 가치를 인식하도록 도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s on sports activities. It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NS usage in promoting and advertising sports participation and to examine the role of SNS as a mediator in contributing to sports culture and economy. In this paper, participants who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through SNS from 2019 to 2022 were studied.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xercise SNS communities in central, southern, eastern, and western China during this period were surveyed online using a sample extraction method, and a sample of 554 respondents was collected. The exogenous variables in this study are gender, age, participation period, household income, while the endogenous variables are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 interests, sports value perception. The dependent variable is sports activity. As internet technology and its influence continue to advance, we have entered an era closely related to the internet. The internet now encompasses not only work and network requirements, but also all aspects of our daily lives, such as clothing, meals, and housing. In modern society, people enjoy the convenience of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phones and watches. For data analysis,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dows 22.0 Version,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with post-ho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using the methods and procedures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The first conclusion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based on the methods and procedures described is tha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 enjoyment, sports value perception, and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ly,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 includes factors such as enjoyment, perception of sports value, and perception of sports activit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se motivations among some groups. Third, enjoy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value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Fourth,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ports value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Fifth,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NS sports contact motivation, enjoyment, sports value perception, and sports activity. To activate the SNS sports market, online activities such as panel discussions, match predictions, quizzes, can be organized, while offline activities such as attending sports events and participating in physical challenges can be arranged. SNS sports platforms should offer diverse experiential activities, including sports matches, online lectures, and offline gatherings, to meet the demands and interests of various users. By organizing offline sports cultural tourism through SNS sports platforms, users can visit stadiums, museums, cultural exhibitions, and gain an understanding of sports history, culture, and development, thereby raising awareness of sports values.

      • 외식포장 디자인에서 증강현실의 기술 적용이 마케팅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구차오 호남대학교 대학관 2023 국내박사

        RANK : 248591

        고효율 및 지속가능한 운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음식업계는 산업이 제공하는 모든 측면의도움을 디자인해야 한다. 시각적 전달 디자인, 디지털 비디오 디자인, 실내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등 모든 디자인 작업은 운영 프로세스에서중요한 부분이다. 디자인 작업의 반복 및 최적화로 인해 레스토랑은혁신적이고 효과적인 운영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디자인 산업은 마케팅 작업에 더 많은 가능성을 제공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연구자와 관리자들이 음식 마케팅 분야에서 인간-기계 상호작용 디자인 방법을 실제 활동에 적용하기시작했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증강 현실 기술이다. 이 기술은 이미 사회 과학 분야에서 사용자의 인식과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음식업계에서 증강 현실 기술은 기대되는 미디어 유형으로 인식되고 있다. 증강 현실 기술은 풍부한 정보 전달과 함께 특별한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하며, 지원 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요구 사항이 거의 없다. 그러나 증강 현실 기술이 음식 마케팅에 대한 지원에서강력한 잠재력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기술의 실제 시도와 적용은 실업계에서 심각하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본 연구를 실시하는 전제 조건과 주요 이유이다. 본 논문는 배달 음식의 패키지에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한 경우, 이것이 마케팅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총 3개의 연구로 나뉘어 점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했다. 연구 1에서는 인터넷에서375859개의 배달 불만 코멘트 정보를 수집하고, 잠재 디리클레 할당 주제 모델링을 사용해 사용자 평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탐색했다. 이 단계에서 본 연구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량의 고객 평가 텍스트를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이러한 분석 방식을 통해 콘텐츠를 기반으로 소비자들이 외식 배달 서비스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원인을 분류하고 제시할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165명의 시험자들을 조사하고, 증강 현실 패키지와 전통적인 패키지를 비교하여 증강 현실 패키지의 유효성을 입증했다. 이 단계에서 본 연구는 변수를 조절하여 원래의 포장과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한 포장을 비교하고자 시도했다. 비교 방법은 소비자들을 차례로 체험시켜 평가를 받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믿음, 만족도 및 구매 의사 등 세 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된 평가 체계를 측정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증강 현실 포장이 음식 서비스 업계에서 마케팅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입증하였다. 연구 3에서는1603명의 시험자들을 조사하고, 기술 자극 모델을 사용해 증강 현실 기술이 배달 마케팅에 지극히 좋은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본 연구는 증강 현실의 세 가지 특성인 인지된 상호 작용성, 인지된 생생함 및 새로운 경험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동시에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고 변수 간의 경로 계수를 계산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이외식 산업에서 마케팅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테이크아웃을 구매하고 먹는 과정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인 평가는 포장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증강현실 기술은 기존 패키지보다 마케팅에 유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 부정적 평가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결과는 증강 현실 기술이 소비자의 인지된 상호 작용성, 인지된 생생함, 그리고 새로운 경험을 개선시켰고, 사용자의 불만 코멘트를 개선함으로써 배달 음식 소매를 촉진하는 목적을 달성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배달 서비스는 음식을 소비자의 거주지, 사무실 등의 장소로 판매한다. 이러한 장소는 소비자의 생활 습관에서 고정된 공간이다. 이는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당에게는 지역 내 소비자가 약간의 변화를 보일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외식 음식에 대한 소비자의 장기적인 인기 획득은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패키지가 젊은 소비자의 부정적인 평가를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했으며, 이 결과는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 기술을 활용하여 음식 서비스 산업의 경영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운영 관점에서 경영 기여를 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는 음식 포장 분야에서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연구 공백을 채웠다. 이론 발전의 관점에서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이 배달 음식 포장에 적용되는 모델을 제시했다. 이 이론 모델은 음식 마케팅 분야에서 증강현실 기술의 구체적인 사용자 경험 영향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확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로 분석과 모델 구축의 관점에서 이론적 기여를 하였다. Catering companies require the assistance of the design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efficient and sustainable business goals. In terms of operatio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digital video design, interior design, service design, and other design work need to be considered. Through iter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design work, the restaurant can continuously achieve innovative and effective business strategies. Design has opened up new marketing opportunities. In recent years, a number of researchers and managers have begun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design methods to practical activities related to food marketing. Particularly, augmented reality is of interest. In the social sciences, this technique has been shown to positively influence user perceptions and preferences. In this regard, it is logical that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highly anticipated as a media type within the catering industry. Augmented reality provides users with a unique interactive experience while conveying rich information, and there are minimal requirements for supporting devices. Althoug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food marketing, there have been very few attempts and applications in this area. This is the prerequisite and main reason for conducting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food packaging as an aid to marketing for takeout food. A progressive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conducted in three studies. In study 1, we collected 375,859 negative evaluations from the Internet, and we used latent Dirichlet topic modeling to examine the reasons that may affect user evaluation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ext using the evaluation content of a large amount of data in this step. By analyzing the content, we can identify and propose what causes consumers to negatively evaluate food delivery services. As part of study 2, we surveyed 165 subjects and compared augmented reality packaging with traditional packaging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augmented reality packaging. At this stage, the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original packaging with the packaging using augmented reality in a controlled manner. As part of the method of comparison, consumers are invited to experience and evaluate things in turn. Using this methodology, this study measures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ing of three dimensions, namely trust,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systematically demonstrate the benefits that augmented reality packaging can bring to marketing work in the catering industry. In study 3, we surveyed 1,603 respondents and examined the mechanism through which augmented re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food delivery marketing by utilizing the technology incentive model (TIM). Specifically, this study evaluates systematically the three AR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interactivity, perceived vividness, and novelty experience in this step.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lso used to construct the theoretical model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as well as to determine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variables. In summary, this study indicates that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an be beneficial in the marketing process of restaurants. Packages will affect consumers' negative evalutaions of the process of buying and eating takeaways. A particular advantage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that it can provide a better user experience than traditional packaging in terms of marketing, and has achieved the effect of improving negative evaluations of products. According to the finding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improved consumers' perceived interactivity, perceived vividness, and novelty experience. Promoting takeaway food retail by improving negative evaluations from user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akeaway service is intended to provide food to consumers at their residences, offices, and other locations. It is common for consumers to consider these places to be fixed spaces in their lives. Generally, consumers within the delivery range of restaurants that provide takeout services experience small changes, but overall, they remain stable. Consequently, i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o gain the long-term favor of consumers when selling takeaway food. According to this study, augmented reality packaging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improving young consumers' negative evaluations. This finding is important for the use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technology for improving catering op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makes a management contribution from a practical operational perspective. Moreover, this study fills a research gap in the field of food packaging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terms of theoretical development,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apply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takeaway food packaging. It explains and extends the specific mechanisms by whic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mpacts user experience in the field of food marketing.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y of path analysis and model construction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 공자(孔子) 선(善) 사상을 기반으로 한 행서 예술작품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조맹 호남대학교 대학관 2023 국내박사

        RANK : 248591

        선(善)은 동서양을 모두에 있어 중요한 하나의 사상이다. 그 내용은 매우 풍부한 도덕적인 의의와 정신적인 추구도 있다. 선은 동시에 예술의 정신이며 심미 기준이기도 하다. 중국 전통서예는 공자의 ‘선(善)’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아 특유의 예술 법칙을 보여준다. 또한 예술의 사상 내용을 중시한다. 서예가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인격과 품성을 더욱 중시한다. 서예작품에 대해서는 그 내적인 사상표현과 감정 전달을 더욱 중시한다. 공자는 ‘완전무결(盡善盡美)’이라는 예술 사상을 제기했다. 이는 일종의 이중 예술 기준으로, ‘盡善’과 ‘盡美’을 다 해야 한다. 그러면서도 공자는 ‘선(善)을 앞세우자’고 했다. 이는 ‘미보다 선을 우선한다’는 뜻이다. 서예가에 대한 이 가르침은 서예창작에서 우선 ‘선(善)’에 대한 추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아름다움’도 자연스럽게 따라 생겼다. 공자의 ‘선(善)’ 예술 사상은 예술가가 마땅히 갖추어야 할 우수한 인격 정신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작품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건전하며 깊이 있는 내용을 담는다. 공자의 ‘미(美)’에 대한 정의는 예술가는 심미적인 안목, 태도와 정신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작품에 대해서는 형식적인 면에서 관중들이 그 속에서 미적 체험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예술작품이다. 그러므로 공자의 ‘선(善)’ 사상은 사실 내적인 정신미와 외적인 형식미의 통일이라고 할 수 있다. 선(善)의 사상은 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화두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부터 지금까지 모두가 그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선(善)은 우리 곁에 아주 가까이 있다. 평상시 우리의 작은 행동 하나에도 선의 의미가 담겨 있다. ‘선’은 때로 우리와 매우 멀리 떨어져 있지만, 이는 전 인류의 지상 목표라고 말할 수 있고, 사람이 일생에 있어 추구하고자 하는 답안이기도 하다. 서예의 역사를 살펴보면, 중국의 서예는 문자가 탄생한 초기부터 이미 ‘선(善)’이라는 소박한 사상이 내포되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오랜 발전을 거쳐 ‘선(善)’의 사상은 줄곧 서예 사와 함께 존재해왔다. 서예가부터 서예작품, 그리고 각종 서체의 창작 사상과 창작 과정에 이르기까지 ‘선(善)’의 사상이 담겨 있다. 중국 서예 사의 발전은 두 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실용성을 위주로 한 시기이고 다른 하나는 실용성과 예술성을 다 같이 중시하는 시기이다. 물론 이 구분은 상대적인 것이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실용성을 위주로 하던 시기의 서예도 예술성이 있었다. 제2단계의 부동한 시기에 서예의 실용성과 예술성의 중점도 서로 달랐다. 하지만 이런 구분은 공자의 ‘선(善)’ 사상과 많은 관련이 있어 주로 두 가지 차원으로 나타난다. 첫째, 공자 사상 중의 선과 미의 관계를 서예의 실용성과 예술성 사이의 관계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층차, 공자 사상 중의 선과 미는 서예 예술성 중의 선(善)과 미(美), 즉 서예 사상의 내용과 형식 사이의 관계만을 가리킨다. 연구자의 견해로는 현대 예술에서 가장 부족한 것이 바로 선(善)의 사상이라고 생각하였다. 옛 동양 예술에 있어서 선(善)은 아름다움 위에, 미(美)에 우선하여 존재했다. 서양 예술은 미(美)의 존재를 더욱 중시하였다. 현시대 중국의 서예는 서방 예술의 영향을 많이 받아 더욱 많은 사람들이 서예의 예술성과 조형을 연구하면서 서예의 인문 정신과 문화 내포를 약화시키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많은 당대 서예가들의 작품은 형식감은 넘치지만 내재적 정신과 작품 사상표현이 매우 결핍하다. 행서(行书)는 서예에서 매우 대표성이 서체로서 실용성과 예술성을 다 같이 중시하는 뚜렷한 특징을 갖고 있다. 동시에 전형적인 ‘인격미(人格美)’와 ‘중화미(中和美)’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두 특징은 공자의 ‘선(善)’ 사상의 핵심이기도 하다. 즉 ‘인(仁)’과 ‘중용(中庸)’이다. 행서의 선의 운용에 대한 연구는 그래서 중요하다. 중국 서예 사에서 ‘천하 3대 행서’로 불릴 만큼 중요한 행서 작품이 세 점 있다. 이 세 작품을 창작한 선행 서예가들은 행서 서가뿐만 아니라 중국 서예 사상 위대한 서예가이기도 하다. 이들은 서예 중의 예술, 인격과 학문의 대표자이다. 본 논문은 이들 세 사람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발견하였다. 첫째, 서예 발전 중‘(善)’ 사상의 운용에 대한 지속성이 있다. 둘째, 서예 창작 중 ‘선(善)’ 사고와 표현의 사상적 기초에 일치성이 있다. 셋째, 서예가의 작품 내용에 나타난 ‘선(善)’ 사상의 계승성이다. 넷째, 선행 서예가들은 행서 창작에서 ‘선(善)’을 적용하는 혁신성을 모색하였다. 연구자가 ‘선(善)’을 기초로 하는 행서 작품을 연구할 때, 선정한 세 가지 중요한 제시 방식의 기초 위에 각각 세 가지 구체적인 연구 방면으로 나뉜다. 자연과 인생에 대한 탐구에 있어서는 또 동양의 천인합일의 인생관, 인간의 세계관, 일상생활 속의 자연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다른 각도와 차원에서 자연 속의 선을 연구하고 있다. 도덕에 있어서 선에 대하여 사고하는 가운데, ‘공자의 선 사상의 계승’, ‘국가와 민족에 대한 자부심’, ‘본성의 선함’이라는 세 가지 방면을 바탕으로 행서 창작을 연구하였다. 개인감정 중의 선의 표현에 대해 연구할 때, 사람의 ‘가족애 정’, ‘사랑’과 ‘우정’의 세 각도에서 창작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각도에서 창작과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행서창작에서 ‘선’ 사상 운용의 철학성과 구체적인 실천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였다. 현대행서의 창작은 새로운 시대정신을 구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에서 경험을 흡수해야 한다. 그래야만 서예작품이 더욱 많은 의의와 가치를 가질 수 있다. Seon(善) is an important philosophy in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t has a rich ethical significance and is also a pursuit of spiritual cultivation. At the same time, it embodies the spirit of art and serves as a criterion for aesthetics. Traditional Chinese calligraph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Confucius' philosophy of Seon, showing its unique artistic principles. Additionally, calligraphy focuses on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of the writer while emphasizing the expression of inne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 artwork. Confucius proposed the artistic philosophy of "Jinshan Jinmei", which means one should strive for both goodness and beauty in their artwork. However, Confucius also emphasized putting Seon first and prioritizing goodness over beauty. In calligraphy creation, pursuing Seon must come first, and then beauty will follow naturally. Confucius' philosophy of Seon can be understood as an outstanding personality and spirit that every artist should possess. Works of calligraphy carry positive, wholesome, and profound content. Confucius' definition of "Mei(美)" is that artists should have a sense of aesthetic vision, attitude, and spirit in creating artworks that allow audiences to experience aesthetic enjoyment through the formality of the work. Therefore, Confucius' philosophy of Seon is the unity of internal spiritual beauty and external formal beauty.“ The philosophy of Seon(善) is a very important topic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Regardless of Eastern or Western cultures, people have been striving to find its answers since ancient times. Seon is sometimes very close to us, and even in our everyday actions, there are meanings of Seon(善) is sometimes far away from us, but it can be considered as the ultimate goal of humanity and the answer that people seek throughout their lives. Looking at the history of calligraphy, it can be discovered that Chinese calligraphy already contained a simple philosophy called 'Seon(善)' from the early days of the birth of characters. Over a long period of development, the philosophy of 'Seon(善)' has always coexisted with calligraphy. From calligraphy to calligraphic works and various font creations, the philosophy of 'Seon(善)' is embedded in the creation process. The development of Chinese calligraphy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one focused on practicality and the other emphasizing both practicality and artistry. Of course, this distinction is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Calligraphy during the period focused on practicality also had artistic qualities. During the steady second phase, the emphasis on practicality and artistry in calligraphy was different. However, this distinction primarily manifests itself in two dimensions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Confucius' 'Seon(善).'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ality and artistry of calligraphy can be see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 and beauty in Confucian though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 and beauty in Confucian thought only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and form of calligraphic artistry. From the researcher's perspective, the most lacking aspect in modern art is the philosophy of Seon(善). In ancient Eastern art, Seon was prioritized over beauty and aesthetics. Western art has placed a greater emphasis on beauty. Contemporary Chinese calligraph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Western art, and as more people study the artistry and form of calligraphy, it has begun to weaken the humanistic spirit and cultural significance inherent in calligraphy. Therefore, many contemporary calligraphers' works are abundant in formality but lack internal spirit and expression of artistic philosophy. Running hand is a calligraphy style that has a distinct feature as a font, emphasizing both practicality and artistry. It also include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beauty" and "harmony beauty," which are the core of Confucius' philosophy of Seon(善), specifically, "Ren(仁)" and "Zhongyong(中庸)." Therefore,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Seon in Running hand is important. There are three important Running hand works in Chinese calligraphy history that are known as the "three greatest Running hand works in the world." The calligraphers who created these three works are not only masters of Running hand but also great representatives of Chinese calligraphic art, personality, and scholarship. Through a study on these three calligraphers, this paper reveals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continuity in the application of the philosophy of Seon in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Second, there is consistency betwee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expression of Seon in calligraphic creation. Third, there is an inheritance of the philosophy of Seon in the content of calligraphic works. Fourth, the calligraphers sought innovation by applying Seon in Running hand creation. When researching Running hand work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eon(善), researchers divide their studies into three specific directions, each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ree important presentation methods. In exploring nature and life, they also study the Seon in nature from three different aspects: Eastern philosophy of unity between nature and humans, human worldview, and nature in everyday life. Regarding morality, researchers have studied Running hand creation based on three aspects: "inheritance of Confucius' philosophy of Seon," "pride in the country and nation," and "innate goodness." When studying the expression of Seon in personal emotions, they conduct creative research from three angles of "family affection and love," "friendship," and "love." By conducting creative and research work from various angles, researchers have systematically explored the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hilosophy of Seon in Running hand creation. The creation of contemporary cursive calligraphy not only needs to embody a new era's spirit but also needs to draw experiences from traditional culture so that calligraphy works can have more meaning and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