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문화에서의 성인아이에 대한 개념 재정립에 관한 연구

        곽노윤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금까지 성인아이의 정의와 특징, 문화의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문화적 시각에서 오늘날의 성인아이를 재조명 했다. 본 연구자는 한국에는 '성인아이가 없다'라는 것을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성인아이가 역기능 가정의 산물도 아니며 아무런 문제도 없다는 것을 주장하려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한 가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들이 적용되며 학자들마자 주장하는 것도 매우 다르다. 본 연구자는 현재 상담 계에 불고 있는 '한국 상담의 토착화'의 시각에서 성인아이를 바라보고자 하였다. 한국 상담의 토착화는 상담의 이론이 서양 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그 이론을 그대로 한국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고 맹목적으로 외국 이론을 따랐던 것을 지양하고 한국 문화에 맞는 상담을 개발하려는 시도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문화'이다. 가정마다 그 가정이 추구하는 바가 달라서 한 가정의 분위기로 다른 가정을 판단하거나 평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가정마다 그 고유의 분위기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좀 더 넓게 확장해 본다면 한 나라의 분위기가 바로 문화이다. 문화는 많은 시간을 거쳐 형성되고 전수되고 변화하면서 한 나라의 고유한 문화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나라마다 문화의 차이는 인정하지만 그 우수성이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할 수는 없다. 더욱이 특정문화의 가치기준을 일반화 하여 다른 문화 요인들을 설명하고, 측정하고, 분석할 수는 없는 것이다. 성인아이라는 개념은 개인주의 문화인 미국에서 들어온 개념이다. 그동안 사회심리에서의 비교문화 연구에 따르면, 문화차이를 재는 여러 가지 기준들이 있는데 이 중에서 동양과 서양에 대한 비교문화 틀로서 가장 확고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집단주의-개인주의 차원이다. 여기에 수직-수평 차원의 개념이 추가됨으로써 집단주의-개인주의 개념은 문화를 비교하는데 그 어느 기준보다 월등하다. 개인주의 문화인 미국에서 들어온 성인아이라는 개념을 그대로 우리나라 사람에게 적용시켜 사용하게 되면 정상적인 것을 이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그로인해 성인아이라는 개념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치료 역시 남용될 수 있다. 이제는 한국문화에 맞게 성인아이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개발하고 사용해야 할 것이다.

      • 한국가족의 구조변화와 대응방안

        이영주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연구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가족의 특성과 변화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가족구조의 형태를 파악하며 현실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가족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한국가족구조의 변화 형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한국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문헌적인 조사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국내ㆍ외의 많은 학자들이나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연구소, 민간단체의 여러 가지 자료들을 활용했다. 변화하고 있는 가족구조에 대한 원인파악과 현황 및 사회변화에 관한 통계는 보건복지부, 통계청,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연구원 등의 통계자료와 각종 학술지, 인터넷 자료, 신문 등을 활용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가족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는 사회적요인, 가치관적 요인, 인구학적 요인, 개인적 요인 및 가족요인을 들 수 있다. 둘째, 한국가족구조의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가족규모의 축소, 가족세대의 단순화, 비정형적인 가족형태의 출현으로 인한 구조적 변화를 들 수 있다. 셋째, 가족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상담학적접근, 사회복지적 접근, 가족정책적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제는 가족의 기능이나 구조뿐만 아니라 가족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가치와 태도, 신념도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유형의 증가는 이들 가족의 적응문제로 이어지기도 하므로 다양한 가족을 포괄하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미래적인 예측과 해결방안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했다.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variables of the Korean family syste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amily syst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ried forms of family and to come up with practical countermeasures to deal with problems arising out of the family system. The concrete subjects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the changes in the Korean family system? Subject 2: What are the forms of the family system changes? Subject 3: What are some possible measures to address the issues that arise out of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family system? This study used the approach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ook advantage of various materials and data that come from scholars domestic and abroa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es and civic organizations. The causes of familial changes and the statistics about social changes stem from the statistical data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Statistical Office, Female and Family Ministry and Korean Adolescent Institute, and from journals, the Internet and newspapers. Research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societal factors, value-related factors, 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famil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caused familial changes in Korea. Second, there were three kinds of familial forms: reduction of family size, simplification of households and emergence of abnormal family forms. Third, in response to those changes, counselling approach and social welfare approach were suggested to counter the changes in the family system. Now, the changing trend comprises not only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family system but also the values, attitude and belief people have regarding the family. In addition, the increase of the forms of the family system leads to the problems of adaptation to the new forms. In this connection, it is suggested that some posi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hat we may find some ways to comprehensively cope with the various forms of the family structure and to have a futuristic perspective with a view to solving the problems.

      •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빈성진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 주요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특성별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 분석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모델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이는 상이한 분석변수들로 인해 종속변수인 노인에 대한 태도에 다른 영향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변수를 더해 가면 분석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주요 특성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성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1학년이 가장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 4학년이 가장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20살의 대학생이 노인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장지, 노인관련 자원봉사경험 유무, 노인관련 강의수강 경험 여부, 노인관련 실습경험 경험 여부 등 각각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조부모관련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거에 노인과 동거여부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에 노인과 동거여부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과거에 노인과 동거한 경험보다는 현재에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더 중요하게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이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향력이 있는 노인 유무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이 있는 노인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주는 주체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빈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방문빈도나 대화빈도는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모델 1의 분석에서 유의미한 변수로는 성별과 연령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여성 대학생일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남학생들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이 노인 및 어른들을 대하는 태도가 긍정적일 것이라는 생각과는 매우 상반되는 결과라 하겠다. 다음으로 연령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노인을 대하는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연령이 높은 학생일수록 노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의미가 강하고 이는 노인에 대할 때 부정적으로 대하는 행동으로 나타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모델 2 분석결과, 모델 1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성별변수와 함께 새로 추가된 변수 중 과거노인과 동거한 경험여부, 주변에 영향을 주는 노인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변수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과거노인과 함께 동거한 경험이 없는 학생 일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에 대한 동거 경험의 부재로 인해 노인들이 갖는 일반적 및 독특한 특성을 이해하지 못함으로써 비롯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노인이 없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단편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주변에 노인이 없는 학생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노인의 행동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노인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델 3의 분석에서는 모델 1과 모델 2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변수들과 새롭게 추가한 노인에 대한 정보 변수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즉 여성 대학생일수록, 연령이 높은 학생일수록, 과거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없는 학생일수록, 주위에 영향력이 있는 노인이 없을수록 노인에 대한 의식 및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롭게 추가된 변수의 경우 노인에 대한 정보 및 지식이 많을수록 노인에 대한 의식 및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앞서 여성 대학생일수록, 연령이 높은 학생일수록, 과거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없는 학생일수록, 주위에 영향력이 있는 노인이 없을수록 노인에 대한 의식 및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대안으로서 노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충분한 정보 및 지식을 얻도록 도와야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및 태도를 변화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미술활동이 유아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창순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유아의 과잉행동 특성을 알아보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과잉행동과 미술활동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미술활동이 유아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과잉행동 경향을 보이는 7세 유아 3명을 대상으로 각각 16회기의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유아의 그림을 분석하는 관점과 그림에 나타난 표현 특성에 관하여서는 김재은의 '그림에 의한 아동의 심리진단' 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술활동을 통하여 사례 유아의 작품과 행동 변화를 분석하고 담임교사 질문지와 연구자 체크리스트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과잉행동의 특성은 주의가 산만하고, 주의집중력이 짧으며, 충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연구자들간에 차이는 있지만 미술활동이 유아의 과잉행동을 다소 감소시키고 주의 집중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일치하고 있었다. 셋째, 미술활동이 유아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유아의 집중력과 과잉행동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술활동에 사용한 재료 및 지도방법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억압된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모래놀이, 점토놀이, 가면 만들기(가면놀이)등이 다른 활동에 비하여 더욱 집중력을 높여 주었다. 사례B 유아는 회기 초 어두운 색을 선호했었는데 중기이후 밝고 따뜻한 색을 선호하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넷째, 11회기 평소에 들려주었던 동요 '나무야' 와 뱃고동 소리를 들려주고 연상법을 병행하였을 때에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술활동 시간에 유아의 작품이나 행동에 대하여 연구자가 격려하고 언어적 보상을 주었을 때 유아가 활동에 집중하고 다양한 미술표현을 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앞으로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례대상 유아 세 명 모두 과잉행동이 다소 감소되었으나 변화의 폭은 매우 적게 나왔다, 이는 16회기라는 짧은 기간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없었던 것 같다. 따라서 미술활동을 통해서 유아가 과잉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좀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 유아의 작품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 결과물인 그림과 작품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과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것이다. 셋째, 후속 연구에서는 과잉행동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초기 유아의 심리를 진단하고 회기가 진행될 수록 유아의 억압된 부정응 감정을 표출 하도록 하여서 후반기에는 초기의 미술작품과 비교하여 과잉행동이 감소되었는지 그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좀더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교회사회복지의 활성화 방안

        황영심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55

        교회는 사회봉사를 반드시 수행해야 할 근본적인 사명이 있으며 책임이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회봉사는 하나님의 나라실현의 구체적인 방법이며 표현이기 때문이다. 교회봉사에는 단순한 구제나 자선을 베푸는 사회구제적인 봉사와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개혁적인 운동이나 행동을 포함하는 사회선도적인 봉사가 있는데, 이 두 가지가 모두 사회에서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한국교회는 구제적이든 선도적이든 사회봉사에는 그렇게 적극적이지는 못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거의 모든 노력과 열정이 전도에만 투입되어 왔기에 놀라운 양적 성장은 이루어 냈지만, 사회봉사의 역할은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사회봉사에 대한 의식도 불완전하고 소극적일 뿐 아니라 구체적인 봉사 실천에도 소홀히 해 왔다. 이에 따라 교회의 본질이 손상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공신력도 크게 상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그 본질을 회복하고 질적인 성숙을 이루기 위해 지역사회봉사에 눈을 돌려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을 이루어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지역 사회 복지증진을 위한 교회의 사회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간략히 요약함으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첫째, 지역교회를 목회 하는 목회자의 사회봉사에 대한 깊은 인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한국교회는 목회자 중심의 교회운영으로 목회자의 의식이 목회 전반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목회자는 교회가 서 있는 지역사회에 끊임없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래서 지역주민들의 영적인 책임뿐만 아니라 전인적인 구원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둘째, 교회전체가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목회자가 제 아무리 사회봉사에 대한 좋은 생각과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당회, 제직회, 교인들이 모두 협조해 주지 않으면 실행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이론을 교육시켜 동기부여를 계속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교회내의 자원을 철저히 조사하여 최대로 활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자원이라 함은 인적, 물적, 조직적 자원을 통틀어 말한다. 먼저 인적자원인데 사회봉사는 구체적으로 사람의 손길을 통해서 실시됨으로 교회내의 전문가나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물적 자원인데, 교회의 기존 시설을 주민들을 위하여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야 하고 가능하다면 지역사회 봉사관을 건립하여 활용한다면 좋은 것이다. 그리고 조직 자원인데 조직을 과학적으로 구성하여 활동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을 잘 알아야 한다. 지역을 파악하지 않고서는 지역을 위하여 봉사할 수 없다.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정기적인 지역조사를 하여야 하고 목회자가 정기적으로 지역을 순회하면서 지역주민들과 지역의 필요를 파악하여야 한다. 그 외에도 지역 내 유지 및 기관장들과의 유대관계 속에서 지역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끊임없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프로그램은 지역 의 필요에 알맞고 지역성과 시기성에 적절하여야 한다. 교회보다는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야 지역주민의 참여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이 단순한 차원을 넘어서 적극적인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복지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전문가가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을 전담해야 한다. 그래서 사회복지 전문가들의 전문성을 통해서 교회들은 각 교회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이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회 간 협력체계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면 개교회 중심성에 대한 부분적 시정과 함께 사회봉사를 위한 협력망의 강화가 필요하다. 그래서 자체적으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보다 서로 연합하여 분야별로 복지 프로그램을 분담 운영한다면, 더욱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지역사회 봉사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피치 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이숙영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스피치 능력과 그 하위 요인들이 자아존중감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스피치 교육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성별에 따라 스피치 능력과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스피치 능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스피치 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스피치 능력의 하위 구성요소는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문제를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직장인 200명을 대상으로 장해순, 허경호가 개발한 스피치능력척도를 자기보고식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측정은 김문주가 번안하고 윤유경이 사용한 Rosenberg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7명을 제외하고 수집된 110명의 자료를 토대로 SPSS 12.0 for Window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t-검증,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스피치 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능력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능력의 하위 구성요소에서는 시각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내용적 요소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에서는 남성과 여성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스피치 능력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피치 능력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았고, 스피치 능력 하위 구성요소에서는 시각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 내용적 요소에서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셋째, 스피치능력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각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 내용적 요소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내용적 요소와 자아존중감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전체 스피치 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스피치 능력의 하위 요소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내용적 요소, 시각적 요소, 음성적 요소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speech ability and its sub-factors with the self-esteem and the effects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through the speech training. For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raised. Q 1. Is there a disparity in the speech ability and the self-esteem per gender? Q 2. How about self-esteem per the level of speech ability? Q 3. What correlation do the speech ability and the self-esteem have? Q 4. What effects do the sub-factors of the speech ability exert on the self-esteem? For the assessment and analysis, the speech assessment scale developed by Haesun Jang and Gyeongho Huh was revised and applied to 200 employees, and the self-esteem was measured by Rogenberg translated by Munju Kim and Yugyeong Yun. The feedbacks from 110 respondents excluding 7 insincere ones were analyzed in the methods of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for Window. As a result, this study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analysis of the disparity in speech ability per gender showed the difference. That is, the male ability was superior to the female. The male presented higher material factor than the female,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visual and phonetic factors of the speech ability's sub-facto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in the self-esteem per gender. Secondly, the self-esteem per the level of speech ability was analyzed. The upper group of speech ability exhibited higher self-esteem. It is found that the upper group had higher self-esteem in the visual, phonetic and material factors than the lower group. Third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peech ability and the self-esteem, all the visual, phonetic and material factors showed the positive static correlation. In particular, the material factor and the self-esteem had high correlation. The overall speech ability had a positive and static correlation with the self-esteem. Finally, the effects of the speech ability's sub-factors on the self-esteem was identified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material factor was found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visual factor and phonetic factor.

      • 영·유아 보육시설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연구

        홍선영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현대사회에서 보육이 갖는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사회발전에 따라 교육에 대한 욕구가 증대될 것이고 그에 따라 보다 체계화된 보육활동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사업은 법령상 그 주체, 대상, 방법 및 재원에 있어서 치료적이고 선택적인 사보육적 성격이 매우 강하다. 그러나 정부와 민간은 인력난과 사회 참여 등으로 공보육에 관심이 대단히 많다. 그리하여 정부의 장기발전 방향이나 3개년 확충계획안이 나오고 있다. 우리가 직면하게 될 복지국가를 건설하려고 한다면 공보육을 강화시키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복지시설의 문제점들은 행정 및 재정적 문제, 보육서비스의 문제, 지역사회의 지원 체계 등 3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보육 행정적 면에서 보면 재정지원의 빈약과 함께 전문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갖지 못한 행정 공무원들의 권위주의적 태도로 인해 보육 시설 운영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는 보육사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충분한 예산을 세워 집행해야 할 것이며, 보육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공무원의 전문성을 검토하여 철저한 재교육을 시키거나 사회복지 전문가로 배치하여 보육시설 종사자들이 업무 수행을 함에 있어 시간낭비나 그들의 권위의식으로 인한 부담감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주어야 할 것이며, 보육시설의 활성화를 지역사회의 공동과제로 인식하고 행정기관의 계속적인 관심과 시설 종사자들의 철저한 사명의식, 그리고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더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보육시설들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현행 영·유아보육법에 대한 개정으로 귀착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여 진다. 왜냐하면, 보육시설에 대한 행정적 지원이나 시설과 재정과 인력의 강화, 그리고 프로그 램의 강화 등은 모두 법적 뒷받침을 통해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2백여만명에 이르는 만 3세에서 만 5세의 영·유아들을 담당하는 영·유아 교육을 초·중등교육의 일부분으로 취급할 경우에는 영·유아보육의 독자적인 발전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초·중등 교육법에서 유아교육과 관련된 사항은 삭제하여 유아교육법으로 통합을 해야 하고 현재의 유아교육진흥법은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보육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고려한다면, 유아교육법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은 것을 내용으로 해야 할 것이다. 첫째로,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연령인 만 5세까지의 유아는 '유아학교'에서 교육하도록 하고, 현행 유치원과 보육시설을 유아 학교로 통합한 이후 일정 기간의 유예기간을 두어 교원의 자격, 시설의 기준 등을 유아학교의 기준에 맞추도록 한다. 둘째로, 유아학교는 초, 중,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교장, 교감, 교사 등 교원을 두도록 하며, 학교 운영에 필요한 사무직원을 둘 수 있도록 한다. 셋째로, 유아학교는 종일제로 운영하고, 운영 시간과 프로그램의 선택은 보호자가 하도록 한다. 종일제의 비용은 학부모가 부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생활보호대상자와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저소득층 자녀의 교육에 필요한 비용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그 전부 혹은 일부를 부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유아교육법의 제정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현행 보육시설들이 '유아학교'로 재편될 경우에는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동시에 각종 학원 및 선교원 등에서 행해지던 파행적인 유아교육이 정비됨으로써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로, '유아학교'는 '학교'라는 명칭을 통해 사회적인 인식과 신뢰를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취원율의 증가를 수반함으로써 원아모집에 대한 경쟁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셋째로 유아교육의 이원화에 따른 유치원과 보육시설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한편, 현행 유치원과 보육시설 간의 각종 혜택의 차등문제가 일괄적으로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로, 유아학교를 종일제로 운영 하고 교육기능과 보호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영·유아의 요구와 학부모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하게 되어 영·유아의 건전 육성과 보호자의 사회적, 경제적 활동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