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비자 정보탐색 특성별 모바일 쇼핑몰 UX 디자인 전략 : 화장품 쇼핑몰 내비게이션을 기반으로

        노은경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소비자들의 소비 형태는 인터넷 이용률의 증가와 스마트폰의 발전에 의해 변화하고 있다. 데스크톱으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였던 소비자들은 시공간적 제약이 없는 모바일 쇼핑에 관심을 갖고 이를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모바일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데스크톱 형식의 웹 디자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디자인된 웹사이트는 사용자에게 불만을 주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모바일이라는 새로운 매체에는 그 특성에 맞는 UX 디자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는 모바일 쇼핑 시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쇼핑몰 UX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정보탐색 행동의 특성에 따라 모바일 쇼핑몰의 이용 방식과 쇼핑몰을 통해 얻고자 하는 부분이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소비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모바일 쇼핑몰 사용 과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소비자가 쇼핑몰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접하며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직접적인 UX요소가 내비게이션이므로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리서치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리서치를 진행하기 위해 소비자 정보탐색의 유형인 구매목적형과 정보탐색형에 대해 조사하고 퍼소나를 제작하였다. 실제 리서치 전에 사전인터뷰를 통해 사용자의 구매 과정과 관련된 배경을 살핀 후 내비게이션에 집중하여 모바일 화장품 쇼핑몰을 이용하는 과정을 비디오 에스노그래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고객여정맵과 친화도법을 사용하여 조사 결과를 분석 한 후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곱 가지의 모바일 쇼핑몰 UX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대상의 워크샵을 진행하여 디자인 원칙에 따른 정보탐색 특성별 모바일 쇼핑몰 UX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UX 디자인 전략은 소비자가 직접 정보를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 보다 먼저 알아서 도와주는 지능적인 쇼핑몰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의 니즈와 인사이트를 토대로 구매목적형과 정보탐색형 소비자에게 알맞은 쇼핑몰을 디자인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고려하였다. 소비자에게는 빠르고 간단한 쇼핑 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정보탐색형 소비자에게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 교통약자 배려를 위한 지하철 차량의 유니버설디자인 방향 연구

        김진희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서울의 지하철은 최근 세계 최고의 지하철 중 하나로 언론에서 뽑히고 있다. 미국 CNN방송에 따르면 서울의 모든 역 및 지하철 차량에서 휴대전화와 wifi사용, 승강장과 차량 내의 TV 설치, 4계절 냉난방 시설 등이 극찬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지하철은 지속적인 민원의 증가와 교통약자석 자리다툼 및 약자배려 문제에 대한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이러한 민원과 갈등의 증가는 사회적 활동 증가 및 대외적 생활방식의 증가로 인해, 대중교통인 지하철의 이용 빈도 상승 및 이용 가치의 향상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지하철 차량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교통약자들을 중심으로 그동안 다뤄지지 않고 놓쳐왔던 것들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 갈등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을 조사하여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하철 차량을 이용하는 교통약자들의 이용행태를 조사하여 과정상의 불편을 분석하고 개선사항 도출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 및 교통약자 배려를 위한 지하철 차량의 유니버설디자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먼저 지하철 차량의 이용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후 차량 외부와 내부의 디자인 연계성 및 이용문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지하철 차량 탑승 전, 탑승 중, 하차 시 공유된 공간에서의 이용 현황을 인터뷰 및 관찰조사를 통해 이동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지침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상기의 연구과정을 통해 본 연구결과에서는 기 연구되어 있는 일반적인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에 보완이 필요한 지침을 강화하기 위해 이용자의 행태 분석결과 중에서‘연계 공간과의 연결성’, ‘쉬운 정보전달’, ‘감성적 배려’라는 새로운 3원칙을 더하여 교통약자를 배려한‘지하철 차량의 유니버설디자인 10원칙’의 개념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된 유니버설디자인 3원칙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계 공간과의 연결성’은 교통약자들의 행태를 기반으로 지하철 차량과 지하철 역사간 상호 연계된 공간의 합리적인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서 연계 공간의 연결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쉬운 정보전달’은 안내표지 및 비상장치 등의 정보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이에 따른 탑승객들의 자연스러운 의사 결정 및 행동을 위해 쉬운 정보전달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감성적 배려’는 이용자가 불편함, 불안함 등을 느끼지 않고 이용자의 요구와 부합될 수 있도록 감성적 배려가 추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스마트 워치 기술 발전에 따른 UI 디자인 방향 연구

        이헌우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 중 최근 주목을 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중에서도 웨어러블 시장을 이끌어 갈 디바이스로 주목받는 스마트 워치에 관심을 가지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시기로 접어든 스마트 사회에서 기술발전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기능과 UI 디자인이 변해 온 과정을 분석하여 앞으로 스마트 워치의 UI 디자인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를 전망해 보았다. 스마트 워치 UI는 1세대부터 5세대까지 세대가 흐를수록 물리적 입력장치 대신 터치 디스플레이, 음성 인식, 제스처 등의 신체적 움직임을 통한 입력방식이 늘면서 NUI 디자인의 요소가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하였다. 미래 기술의 발전에 따른 스마트 워치 UI 디자인 변화를 다음의 세 가지 기술발전으로 분류하여 예측하였다. 첫째, 센서 기술의 확장에 따라 일상생활을 모니터링하고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사용차의 활동을 분석하여 코칭을 제공하는 인공지능까지 진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동작인식이나 상황인식으로 시계 화면을 보지 않고도, 음성으로 명령하지 않아도 우리는 스마트 워치를 간단히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생체인식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워치는 주변에 연결된 다양한 기기들에 접속하고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렇게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이들을 종합해볼 때 스마트 워치 UI 디자인의 모습은 앞으로 항시 착용하는 시계라는 아날로그적 관점과 더욱 가까워지며, 미래 스마트 라이프의 중심으로서 사용자와 가장 가깝게 다가서는 UI로 발전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earable devices, which have attracted keen attention in recent years among a variety of digital devices specifically focusing on smart watches that are likely to lead the wearable device market.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aracterized by smart society, the study has analyzed the process of developing smart watch functions and user interface designs in association with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to estimate the further developments of the user interface design of smart watches in the future. The user interface of smart watches features a relatively high increase in NUI design elements with the introduction of more entry methods through physical movement, including touch display, voice and gesture recognitions instead of physical entry device as it has advanced from the 1st to the 5th generation. The study has predicted imminent changes in smart watch user interface design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technological developments. First, the increasingly expanded coverage of sensor technology is expected to enable us to monitor everyday life, implement tele-medical services using biometric data and even to advance into the sphe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provides coaching by analyzing user activities. Second, the sophisticated functions of a smart watch that allow us to control and manipulate it based on motion recognition or situation recognition without issuing any voice command or looking at the watch are expected to create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the near future. Lastly, the development of biometric technology will allow smart watches to be able to get connected to and control various devices in neighboring areas. The changes are expecte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these three aspects. To sum up, the smart watch user interface design is likely to develop in a direction to becoming closer to the concept of an analogue watch that is always worn and to further develop into a user interface most intimate to the user as one of the most iconic elements of the future smart lifestyle.

      • 장이론을 적용한 교회공간의 강대상 디자인에 관한 연구

        조부선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교회 공간의 강대상 제작에 장이론의 해석과 적용을 통해 상징적 메시지 전달성을 갖는 오브젝트를 디자인하고자 시작되었다. 다양한 상징성을 가지는 교회 공간의 오브젝트들은 영적 믿음을 고취시키고자 하는 중요한 목적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예술적 심미성과 종교적 상징성을 담아 보편적이지 않은 오브젝트를 제작함에 교회 공간을 하나의 장으로 보고 강대상의 물리적인 위치성을 고려하여 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설교자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디자인개념이 신앙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메시지 전달력이 있음을 가설로 설정했다. 레빈과 부르디외의 장이론을 통해 오브젝트와 개인, 사용자와 집단의 상호작용으로 교회 공간에서 심리적 장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장이론을 활용한 디자인 아이디에이션을 통한 작품의 구체화 과정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론적 해석과 종교적 의미체계를 담아 표현한 물리적 대상인 강대상이 소통의 매개체로 인식될 수 있음을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창의력을 요구하는 디자인 컨셉 도출 과정에 장이론을 활용한 상징체의 제작 과정이 앞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결론지을 수 있었다. 쿠르트 레빈의 장이론 중 ‘생활공간’ 개념에서 물리적 크기와 방향성, 작용점을 가지는 벡터장 내의 강대상이 개인의 행동유도에 영향력을 끼칠 수 있음을 설명하고 나아가 그가 설명하는 또 하나의 역동적 장의 개념인 ‘긴장체계’에서 개인의 내적 긴장감은 행동의 목적성을 가지게 한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강대상의 컨셉을 ‘개인의 내적 긴장감 유발’로 도출하였다. 내적 긴장감 유발을 위한 디자인 컨셉과 기존 디자인 사례들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목재료의 탄화라는 표현기법을 사용하였고 탄화시킨 목재를 강대상에 적용해 생명을 이야기하는 목회자의 설교가 죽음을 이야기하는 강대상과 하나의 장 안에서 양가성 있는 내러티브 형성과정을 기술하였다. 더불어 강대상의 실제 사용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장을 개인의 아비투스와 집단역학의 개념으로 분석하고 강대상에 선 목사의 ‘생명의 설교’가 ‘죽음과 소멸’의 의식을 치루어 낸 강대상과 대비되어 소통의 매개체로서 교회 공간이라는 종교적 장에서 신도들과 하나의 심리적 장을 형성하는지에 대한 인터뷰와 리서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불에 탄 강대상이 보는 이에게 각각 어떤 의미로 작용하는지 분석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실제 사용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와 종교 및 예술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장이론을 건축과 공간에 활용하여 연구한 선행사례는 있었으나 강대상과 같은 종교적 메시지 전달성을 가지며 동시에 사용성을 갖는 오브젝트에 적용한 사례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장이론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연구 및 목재의 탄화라는 기법을 통한 의미체계 적용에 선행연구가 되어 줄 수 있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목조형 작품제작 현장의 학술적 기여를 기대해 본다.

      • 뉴미디어 시대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표현 전략에 관한 연구

        김은경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디지털 미디어의 진보와 첨단 기술의 발전은 기존과는 다른 커뮤니케이션방식으로 소통의 확장을 이루며 변화하고 있다. 미디어의 환경 변화는 사회 전반으로 확장하며 다양하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역시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대중과 소통하기 위하여 진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기존의 경직되고 고정된 구조에서 벗어나 통합과 융합 등이 자유로운 유연하고 다양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표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앞서 뉴미디어와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이론 고찰을 통하여 변화하고 있는 뉴미디어 시대와 이에 따른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진화 과정에 대하여 살펴 보았고, 이를 통하여 새롭게 나타난 유연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유형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사례분석과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뉴미디어에 대응하는 아이덴티티 표현 전략으로 ‘비물질성’, ‘매시업’, ‘연결성’을 갖춘 매서블 아이덴티티를 제안하며, 작품 연구를 통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표현 전략을 갖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구현하였고, 실제 디자인을 통하여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전개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다. Advanced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have been changing with a communication mode different from the former as realizing the extension of communication. And the change of media environment is being spread to entire society, and it is taking diverse as well as dynamic aspects as repeating its evolution. Corporate communication, too, has come to need design strategies to adapt itself to and cope flexibly with media environment constantly evolving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people in this changeful era. According to such necessity, this study aims to suggest expression strategies for more liberal, flexible, and diverse identity designs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not remaining in a fixed and stiff structure that has existed. Before proceeding to the research, this author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new media and identity design in order to look into this new media age constantly changing and the evolving process of identity design based on that, and with this, it was possible to figure ou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lexible identity design that has newly appeared. With detailed case analysis and expert in-depth interviewing, the study has suggested mashable identity equipped with ‘immateriality’, ‘mash-up’, and ‘connectivity’ as identity expression strategies to cope with new media, has realized identity design equipped with expression strategies to be suggested through research on works, and has seen identity design that develops flexibly correspondingly to the new media environment through actual design.

      • 구강 원격검진을 위한 구내경 제품디자인 개발 연구

        최진국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건강에 대한 이목은 웰빙(wellbeing)이라는 단어를 시작으로 2000년 이후부터 건강기능식품이 증가되어 건강에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는 추세이며 건강 및 의료 또는 신체 등의 관심만 늘어난 것이 아니라 인구고령화도 같이 증가되고 있으며 국민건강증진의 환경적인 측면으로는 건강관심 증가, 의료 복지 혜택 증가, 노인인구 증가, 음식문화 다변화로서 이에 따른 문제점인 국민의료비 증가와 건강보험 진료 및 급여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측면에서의 환경적인 해결방안으로 보건교육, 건강 검진, 수불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문제점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며, 구강 질환으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중대 구강 질환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강질환에 관한 조사를 각종 문헌조사를 통해 치료가 늦어진 문제점을 분석하여 발병 후 치료가 아닌 예방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구강건강관리의 해결방안을 도출하여 올바른 자가검진의 자가진단으로 사전에 질병예측을 할 수 있고 원격 검진이 가능한 구내경 제품디자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치과 방문조사, 치과용 Intraoral Camera제품을 분석하여 일반인 환자에게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 Prototype을 제작하여 일반인 사용자 및 치과의사 사용자에게 사용자평가를 실시하여 문제점 도출에 따른 해결방안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구내경 제품디자인 개발로 Prototype을 이용하여 일반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구강사진을 촬영하여 SNS를 통한 치과의사와의 검진을 분석해봄으로써 구내경의 이용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일반 사용자와 치과의사간의 소통이 되는 원격 검진과 일반 사용자는 구내경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자신의 구강을 볼 수 있음으로 올바른 자가 검진으로 칫솔질과 구강보조용품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는 구강건강관리로써 질병 후 치료에서 예방치료가 가능한 사전질병예방차원의 구강건강관리 의료서비스가 발전될 것을 기대한다. “Well-being” has been an increasingly important trend in general healthcare since 2000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y & functional food products in the health marketplace and an improving quality of life with consideration of overall health, medical health, body care etc. In addition to that, population aging is another factor leading to increased interest in public health. From an environmental point of view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increasing the interest in health, medical welfare benefit, population aging and diversification of food culture has raised public problems such as increasing health care expenditure and insurance expendi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especially in terms of oral healthcare, hygiene education, regular dental check-ups and adjusted water fluoridation have been working very well, but unfortunately other unexpected problems such as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have arisen as severe dental disease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regarding dental diseases, especially covering analysis of the reasons why dental treatment is often delayed, this study present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treatment rather than disease treatment. To do so, this study suggests proper design of an intraoral camera in order to do self-diagnosis which will then enable prevention of dental diseases and offer a remote check-up system. The study design came up by examining research in dental clinics, in analyzing pre-existing oral cameras to find factors what patients want and need. By making a prototype of the product and using an interview survey of both patients and dentists for feedback, product re-evaluation has led to an improvement in function and a better user interface. This study looks into the utility value of an stomatoscope camera by making a prototype of the product and managing a trial which is actually enables the taking of a “selfie” of the intraoral condition. In addition, social media was used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patient and dentist.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 remote check-up, and helps the patient understand the necessity of proper tooth brushing and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which are essential factors for preventive treatment. In conclusion, oral healthcare in terms of preventive treatment will be improved by using an stomatoscope camera.

      • 시선추적을 활용한 국내 디자인 연구논문의 메타분석 연구

        신효연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시선추적(Eye Tracking) 연구는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시선의 이동과 시선의 위치를 알아내는 기술로 눈을 통한 정보 습득, 시각 자극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이다. 시선 이동은 시각 자극에 대한 인지 활동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로 사용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선추적 관련 연구논문의 메타분석(Meta Analysis)을 통해 연구동향 및 특성을 도출하여 시선추적을 활용한 국내 디자인 연구를 재조명하고, 디자인 산업분야의 활용 가능성 척도를 파악하여, 다양한 사용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리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게재된 시선추적 연구를 범위로 하였으며, 연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동향 분석 기간의 범주는 5년 단위(2010년~2014년, 2015년~2019년, 2020년~2022년)의 3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시선추적 관련 연구논문의 연구동향과 특성을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통합적 연구방법인 메타분석(Meta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 개입을 최소화하고 연구주제에 대한 정보의 누락 없이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기반 분석 중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시선추적과 관련된 연구논문의 경향성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도출된 시선추적 연구 활용 가능성에 대한 척도를 토대로 향후, 시선추적기술이 디자인 전 산업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심점이 될 수 있길 바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시선추적 연구에서 언급되는 빈도가 높은 단어를 추출했다. 그 결과, 분석방법, 과정, 실험연구 등 연구방법과 분석에 관련된 단어들이 상위권에 형성되었다. 디자인 시각정보의 효과와 관련된 단어들인 시각정보, 활용, 디자인, 효과 등과 영향, 인지, 광고 등 시각적 효과의 인지 및 영향과 관련된 단어들이 차례로 형성되었다. 이는 시각정보를 통한 효과와 사용자들의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측정 도구로서의 효과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N-gram의 단어 간 연결 강도 분석 결과, ‘시선추적-고정형’의 연결 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어-연쇄에서는 교수-학습-시선추적-데이터 분석-분석방법-연구동향-빈도’가 7-gram의 연결성을 나타내었다. 시선추적 분석에서는 빈도 및 응시시간 지속의 중요함을 유추할 수 있으며, 연쇄 군집을 통해 도출된 단어들이 연구동향 변화추이의 중심축임을 유추할 수 있다. 셋째, LDA 분석 결과, 토픽비율로는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및 측정과 관련된 토픽이 전체 비율 중 가장 큰 43.5%로 나타났고, 사회과학 및 인문학 관련의 토픽은 25.3%, 시선추적 과제와 특성 관련 토픽은 17.5%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선추적 측정결과가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해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넷째, 동시 출현 단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연구동향 및 분석방법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연결 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습’과 관련된 단어의 연결 강도가 가장 높게 파악되어 시선추적 연구 시 학습 방법이 중요한 요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섯째, CONCOR 분석 결과, 󰡐실험연구’, ‘연구방법’, ‘학습’, ‘과정’, ‘인지’, ‘디자인’, ‘시각정보’, ‘빈도’, ‘활용’, ‘대학생’, ‘집단’, ‘차이’, ‘요소’, ‘공간’ 등의 단어들이 도출되어 시선추적 연구의 연구방법과 분석의 유형이 시각정보의 활용에 대한 요소와 특성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2way-tree 분석 결과, “학습”, “공간”, “광고”, “분석방법”, “효과” 등의 단어들이 시선추적 연구동향과 빈도, 데이터 분석과 검증, 과정, 차이 등의 단어와의 연결 강도가 높아 이들이 시선추적 연구동향 파악을 위한 핵심 단어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일곱째, 시선추적 연구논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도출된 핵심 특성은 연구의 다양성, 규모의 확장성, 기술의 혁신성, 대상의 다변성, 정보의 효과성, 사용자 경험성 등 6가지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여덟째, 선행연구를 통해 디자인 분야별 시선추적 연구논문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 디지털/멀티미디어 디자인 184건, 시각 디자인 152건, 공간 디자인 127건, 제품 디자인 45건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인지와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홉째, 시선추적 연구의 디자인 분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척도 도출을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Focus Group Interview) 및 전문가 심층 인터뷰(Expert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그 결괏값을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분석한 결과, 산업분야별 평균에서는‘연구의 다양성’, ‘정보의 효과성’, ‘사용자 경험성’등이 높은 순위로 도출되었으며,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한 가능성 척도의 분야별 종합 분석 결과는 대다수 분야에서‘사용자 경험성’, ‘정보의 효과성’, ‘대상의 다변성’, ‘연구의 다양성’이 도출되었다. 사용자 경험으로 정보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대상의 다변화 및 연구의 다양성 변화 시도와 시선추적기술을 통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의 활용 가능성이 큼을 시사하고 있다. 열째, 시선추적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사용성(Usability), 공간성(Spatiality), 인지성(Cognition) 3가지의 핵심 요소를 통한 접근 방안이 필요하다.

      • 모바일 환경에서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UX 디자인 방향 연구 : 사용성 높은 이커머스 앱을 중심으로

        박겨울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2020년, 코로나 특수 사태로 인해 재택 근무와 온라인 강의 등의 PC나 태블릿 기기, 스마트폰의 활용도는 사태 이전과 크게 달라졌다. 편의성, 접근성 면에서 PC보다 더 뛰어난 스마트폰의 경우 태블릿 기기와 스마트폰의 활용 범위와 사용량 역시 크게 증가하며 앱 사용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 역시 보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기존에 제공하고 있던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앱을 통한 사업 확장을 노리고 있는데 쇼핑 플랫폼을 벗어나 배달 앱 시장에 뛰어든 쿠팡, 위메프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늘어나고 활용 범위가 넓어진 지금, 기존부터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던 불편함, 어려움들은 얼마나 개선되었는가? 이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기술적 장애는 물론, 장애라 할 수 없지만 쓰면서 느끼는 불편함, 그러한 고객들의 니즈들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가? PC 웹 사이트든 모바일 앱이든 사용자가 호감을 느끼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각각 다르다. 쇼핑 플랫폼 역시 마찬가지다. 어떤 사용자는 이벤트나 할인전이 많아서, 어떤 이는 오랫동안 사용해왔다는 습관적 이유, 어떤 이는 혜택이 좋아서 등 사람마다 그 이유는 다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개개인의 호감도를 떠나 다양한 유형의 고객층을 오랫동안 유치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사용에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쿠폰 할인이나 적립 혜택이 좋아도 오랫동안 사용해왔어도 상품을 찾고 다음 번에 사기 위해 장바구니에 넣고 결제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면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다. 대체할 수 있는 앱이 얼마든지 있는데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이용할 고객은 많지 않다. 즉, 앱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가장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요소들은 편리함, 사용성이다. 그리고 온라인 쇼핑 앱 서비스에서는 원하는 상품을 얼마나 빨리 정확히 찾을 수 있는지, 내게 필요한, 중요한 정보만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지, 얼마나 편하고 빠르게 결제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는 것이다. 스마트폰 출시 이후 어연 10년이 넘어가는 지금, 모바일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나 기능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다양한 기술들이 출시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관점에서 생각하고 개선시키려는 노력 역시 현재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PC에 비해 그 역사가 길지 않은 탓에 많은 연구와 이론적 체계가 엄격히 정립되어 있지 않아 각 앱마다 제공되는 UX는 각기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즉, UX란 무엇인지, 그 개념 및 정의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과 '전자정부 웹사이트 UI· UX 가이드라인'를 조사하여 대상이 되는 이커머스 앱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 쇼핑앱 사용성 체크리스트를 생성한 뒤 체크리스트의 각 질문에서 휴리스틱 기반의 UX 요소들을 도출했다. 그리고 생성된 체크리스트와 UX 요소들을 기반으로 쇼핑 앱의 주 프로세스인 검색, 조회, 결제 세 단계를 중점으로 연구하여 결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재해석을 통한 가구 디자인 접근방법 연구

        서동민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디자인 및 예술 분야에서 만화와 애니메이션(animation)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하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철학적 측면에 대한 재해석 보다는 형태에 대한 차용을 통한 재해석에 그치는 아쉬움이 있다. 전 세계적인 마니아(mania)층을 확보하고 있는 미야자키 하야오(みやざきはやお;宮崎駿)의 애니메이션은 재미와 감동 뿐 만 아니라 깊이 있는 철학적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대중적 사랑의 이유는 그가 보여준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이 대중들의 정서적 공감대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깊이 있는 철학적 통찰을 통해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한 화두를 던져온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주제의식과 시각적 특성을 디자인 자원으로 보고, 그의 작품 세계를 재해석한 디자인 접근방법의 가능성을 실험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그의 작품의 주제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조명하고, 이를 기초로 2단계에서는 1단계의 분석을 기초로 재해석 디자인 사례를 실험해 보았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재해석 디자인 접근방법의 의의와 가치를 통해 우리 사회가 재고해야 할 디자인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분석된 작품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그의 작품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주제적 특성은 페미니즘과 주체성, 생태주의, 공동체와 과거의 회복이고, 시각적 특성은 혼종성, 데페이즈망(dépaysement), 복고적 미래주의이다. 이러한 시각적 특성 속에 미야자키의 메시지가 상징적, 우회적 방식으로 함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디자인 접근방법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범 사례로서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선정하여 재해석 디자인을 실험하였다. 이 작품에서는 미야자키의 작품관에 담겨있는 생태주의와 혼종성의 특성이 상대적으로 부각되고 있었고, 디자인의 재해석 방향은 이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디자인 접근방법 실험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위한 디자인의 대상은 시대상을 가장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사무공간을 위한 가구가 적정할 것으로 판단하여 선정하였고, 현대 사회의 시각에서 새롭게 정의된 창의적 사무의 개념에 생태주의 주제 특성과 혼종성의 시각적 특성을 중첩시키는 디자인 접근방법을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미야자키의 작품이 보여준 조형 원리와 그 철학이 업사이클링(up-cycling)형식을 빌어, 새로이 요구되는 창의적 업무 공간에 필요한 가구 디자인 과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해법과 자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 발견하게 된 것은 재해석에 의한 디자인 순환의 가치를 추구하는 접근방법이다. 이것은 지속가능한 발전이 화두가 되고 있는 이 시대에 주목할 만한 디자인 접근 관점이므로 향후 보다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대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속가능 디자인의 다양성 측면을 발전시킬 수 있는 지식 기반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에 사회적 관심을 도모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서비스디자인관점의 전통 茶 문화 체험 활동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고애경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통해 서비스 디자인프로세스에 전통 차 문화 체험활동에 대한 형태분석 및 서비스 디자인 산업분류에 맞는 디자인 요소를 찾고 선행 연구 논문과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개 선 안을 발견하여 체험활동의 경험 기반의 발전을 도모하고 시각적 검증을 거쳐 다산 유적지 관광지 내의 방문 인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전 통 차 문화 체험활동에 대해 문화적인 맥락에서 발생하는 전통 차에 대한 생소한 과정 을 서비스 디자인 관점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위해 다산 선생 의 생가인 여유당(전통 한옥)에서 매주 토요일에 운영되고 있는 전통 차 문화 체험활동을 배경으로 연구,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현재 남양주 시티투어“다산선생과 함께 하는 역사체험 코스”의 마지막 장소인 다산 생가(여유당)에서 무료로 진행되고 있는 전통 차 문화 체험활동 참여자들의 모든 경험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활동 경험 을 토대로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여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중 많이 사용 하고 있는 영국 디자인 카운슬의 더블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여 서비스 프로 세스 단계인 발견-정의-발전-검증의 단계를 적용하고 효율적인 전통 차 문 화 체험 활동에 따른 개선 방안과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시각화 할 수 있는 표준 화 되는 가이드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발견 단계에서는 경험을 통한 사용자들을 관찰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관찰 대상자들에 해당하는 전통 차 문화 체험활동의 이해 관계자들과의 경험에 기반 한 서비스 디자인의 개발 방향은 인적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적 방안을 찾았다. 전통 차 문화 체험활동을 개선하기 위한 문제 발견에 있어 실태조사와 활동기준 조사를 거쳐 서비스 디자인적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적 요인을 제외하면 참여자들의 참여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봤다. 직접 참여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고객 여정 맵을 관찰하여 참여자들의 체험 활동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한 연구의 목적과 진행 방법을 전달하고 참여자들의 감성 변화의 시점을 파악하고 흥미로운 부분과 체험 활동을 진행되는 동안 참여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집단별 다르게 나타나는 서비스의 상황을 확인하고 이슈를 추출했다. 동일한 공간에서 참여자 및 진행자들을 관찰하면서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 진행 과정 및 모습을 촬영하고 이에 대해 기록하고 데이터를 수집했다.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의 정의를 통해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을 발전시키고 전달하여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여 전통 차의 파급효과를 나타낸다. 가족 단위의 관람객과 역사 체험코스를 통한 체험학습 위주의 단체들이 방문하고 관람 도중에 참여할 수 있는 다산 유적지 내 여유당(다산 선생 생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체험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고 직접 참여하여 진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제안함과 동시에 참여자의 행동을 관찰. 연구하여 현재의 상황을 인지하고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에 디자인적 요소의 이론적 특징과 관찰 체크리스트를 파악한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에 문화적인 디자인 요소를 접목하고 서비스 디자인 관점의 전통 차 문화의 중요성과 홍보를 전달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의 전통 차의 정착과 수요를 도출하고자 하고 체험 활동의 참여자가 경험하게 되는 이론과 실기 경험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정의하여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의 표준화된 효율적인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에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선행 논문 연구에서는 서비스 디자인관련 선행 논문 연구, 전통 차 문화관련, 차 문화 교육 활동 관련은 학위 논문에서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갹출하고 부족한 연구 부분에 대해 연구, 분석 했다. 선행 논문 연구를 연구, 분석한 공통점과 차이점에 의거하여 선행 연구에서 부족하고 개선해야 하는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반영한 내용을 중점으로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의 정의를 반영하여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여 체험 활동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참여자의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 형태변화 과정. 관람객의 이동형태 변화 과정. 시각화 된 결과물, 실물 차 도구 전시 및 이미지 연출 결과물을 토대로 검증하였고, 사용 성 평가 항목(디자인 측면)의 서비스 디자인 적용 전. 후를 비교하여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전달해 주었다. 전통 차 문화의 가치를 찾고 활발한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의 보급 단계를 거쳐 명상적 효과와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에 참여하는 체험 활동의 문제점에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시각적이고 표준화된 효과적인 전통 차 문화 체험 활동에 대한 설문 조사와 관찰을 통하여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개선 해결 방안 책에 맞는 형태와 서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