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울릉공항 건설과 도서 지역 관광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김충은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울릉공항 건설 관련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로 도서 공항을 통한 지역 균형 발전과 함께, 우리나라 도서 가운데 관광지로 각광을 받는 제주도의 사례와 비교하여 공항 건설과 도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이를 통하여 제주도에 편중된 국내 도서 관광의 다각화와 활성화 및 항공교통을 통한 접근성의 다양성을 도모하고 국가 동편의 보루인 독도를 지원하는 기지로서 울릉도에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국가안보 측면에서의 중요성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 범위는 교통산업에 대한 고찰을 통한 교통산업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이전에 발표되었던 통계자료를 종합하여 울릉공항 개항에 따른 해운 운항에서 항공교통으로의 전환을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도서 지역의 개발에 있어서 주민의 편의가 기반이 되는 개발 및 발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울릉공항 등 소규모 공항 개항에 따른 기종 등을 살펴보고, 개항 이전 선결과제를 검토하여 적용하여야 할 부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항공운송을 통한 도서 지역의 발전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의 공항 개항은 국가적, 지역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공항이 건설된 후에 지역에 미칠 파급 효과를 사전 예측하여, 공항 개항과 동시에 불편함 없이 운영되도록 개항 전 계획을 수립 및 실천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서 공항 건설을 위한 제반 요소들에 대한 분석, 계획 및 수행하는 접근을 한다면, 무분별한 개발을 방지하고 환경을 보전하면서 한 차원 높아진 지역으로 발돋움할 수 있으며 이와 연동하여 국토의 균형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되는 울릉공항 건설은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고, 해외여행을 국내로 돌려 외화 유출을 줄이고 내수 확충을 통하여 경제의 자생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소형항공기 운영에 따른 항공산업 발전과 조종사, 정비사, 기내 승무원과 지상 지원 인원의 소요로 항공종사자 관련 고용 증대를 가져오며, 호텔 위락시설 등의 확충으로 건설 및 여행 관련 산업발전을 통하여 또 다른 고용 증대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울릉공항 개항에 따른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도서 공항의 건설에 따른 파급 효과 및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한 근거의 발굴과 도서 공항이 개항되어도 주변 환경과 상황이 너무나 다르므로 이를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제주도의 자료와 울릉공항의 운영을 통한 장단점 등의 비교분석과 이를 통한 발전 방향을 토대로 한 백령도, 흑산공항 등의 항공운송사업과 관광산업의 연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Ulleung Airport. In addition to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island airports, compared to the case of Jeju Island, which is in the spotlight among islands in Korea, the direction of airport construction and island development is sought, and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versify and revitalize local island tourism, promote diversity of accessibility through air traffic, and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national security through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on Ulleungdo as a base to support Dokdo, a fortress on the eastern side of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pening of airports on island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and regional aspects,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is have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lan as predict in advance the ripple effect on the region after the airport is built, so that the airport can be operated without inconvenience at the same time as opening the airport. Therefore, if we take an approach of analyzing, planning, and carrying out all factors for the construction of an island airport, it can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and preserve the environment, while developing into a higher-level area,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it will be able help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The construction of Ulleung Airport, which is being pursued with the goal of opening the airport in 2025, can develop the local community, reduce foreign currency outflow by returning overseas travel to Korea, and increase the self-sustainability of the economy through expansion of domestic deman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due to the operation of small aircraft and the need for pilots, mechanics, flight attendants and ground support personnel will bring about an increase in employment related to aviation workers. Expansion of hotel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will contribute to another increase in employment and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and travel related industries.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t is a limit to its application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the opening of Ulleung Airport, to find the evidence to derive the ripple effect and proble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island airport, and to generalize it becau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ituation are so different even when the island airport is opened. Therefore,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stud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air transportation business of Baengnyeongdo and Heuksan Airpor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Jeju Island's data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lleung Airport's opera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 민간 항공 조종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 조직 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COVID-19 전, 후 비교)

        김성환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95

        2020 decreased to -23.7% and -84.2%, respectively,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rgo decreased to -29.7% and -23.5%. This increase in uncertainty in the airline industry and crisis since COVID-19 has directly exposed civil aviation pilots to job stress such as changes in unstable and irregular flight work environments, job demands, compensation, job insecurity, and anxiety over infec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y examining the definition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civil aviation pilots. In addition, a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egree of job stress perceived by pilots working at airlines currently undergoing COVID-19 and how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ffers before and after COVID-19. 42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For the study,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as follows. Hypothesis 1: There will b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in each significant variable of civilian aviation pilots. Hypothesis 2: job stress of civilian aviation pilots will affec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3: Before and after COVID-19,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between FSC and LCC. Hypothesis 4: there will be variables between small carriers and large carriers before and after COVID-19. To verify hypothesis 1, performed paired samples t-test. And to verify hypothesis 2,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sample t-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hypotheses 3 and 4.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civil aviation pilot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fter COVID-19. It was analyzed that job stress increased, job satisfaction decreased, job stress had a nega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a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analyzed that job stress did not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fore and after COVID-19, each major variable between FSC and LCC was confirm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between the small carriers and large carrier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The study's limitations are that the composition of many questions (82) may reduce concentration among the questionnaires and that the analysis results are somewhat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imbalance of the votes of the questionnaire, for example, 88% for FSC and 12% for LCC. On the other hand, if research on the factors constituting the pilot's safety behavior is conducte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to pilot management was also confirmed. The limitations of difficulty in discussing the safety behavior of pilots were also identified, focus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is meaningful that it is a study that confirms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argeting pilots and that it is a study that can confirm changes before and after COVID-19. 2019년 12월 COVID-19라는 새로운 유형의 호흡기 감염질환이 발생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항공사의 피해가 심각하였고, 2020년 전 세계 매출 승객이 66% 감소하였다. 국내 항공 산업의 경우도 전년 대비 2020년의 국내 및 국제선 여객은 각각 –23.7%, –84.2%, 국내 및 국제선 화물은 –29.7%, –23.5%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COVID-19 이후로 항공업계의 불확실성의 증가와 위기위식으로 인해 민간 항공 조종사들은 불안정하고 불규칙적인 비행근무 환경의 변화, 직무요구, 보상, 고용불안으로 인한 직무 불안정, 감염에 대한 불안감 등과 같은 직무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있고 이는 조종사들의 안정적인 직무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 본 논문은 이와 관련하여 민간 항공 조종사들의 직무 특성 및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 조직 몰입, 조직 시민 행동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각 주요변수의 요인을 설정, 분석하여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COVID-19가 진행 중인 현재 항공사에 근무하고 있는 조종사들이 인지하는 직무 스트레스의 정도와 직무 만족, 조직 몰입, 조직 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COVID-19 전, 후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42개의 설문문항을 구성하였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연구를 위해 가설 1, 민간 항공 조종사의 각 주요변수의 COVID-19 전, 후 차이는 있을 것이다. 가설 2, 민간 항공 조종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 조직 몰입, 조직 시민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COVID-19 전, 후 FSC와 LCC 간의 각 주요변수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가설 4, COVID-19 전, 후 소형기와 대형기 간 주요변수의 차이는 있을 것이라는 4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정,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가설 3과 4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민간 항공 조종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조직 몰입, 조직 시민 행동은 COVID-19 후에 차이가 있었다. 직무 스트레스는 증가하였고, 직무 만족은 감소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조직 몰입에도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 시민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VID-19 전, 후 FSC와 LCC 간의 각 주요변수의 차이 유무를 확인하였지만,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VID-19 전, 후 소형기와 대형기 간에 직무 스트레스는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 만족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많은 문항(82개)의 구성으로 설문자의 설문 중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과 설문의 표본의 불균형, 예를 들어 FSC는 88%, LCC는 12%의 이유로 분석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점이다. 한편, 조종사의 안전행동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된다면 실질적으로 조종사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조직 몰입과 조직 시민 행동을 중심으로 조종사의 안전행동을 논하기 어렵다는 한계점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는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조직 몰입, 조직 시민 행동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해당 연구라는 점과 COVID-19 전, 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 국내 드론 레이싱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하경호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국내 드론 레이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델파이(Delphi)기법을 이용하여 현재 드론 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와 체육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학계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연구의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 되어지는 드론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중 유목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의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드론 전공 대학교수, 드론에 대한 지식이 있는 현장 전문가, 드론 관련 산업체 전문가, 그리고 체육관련 교수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드론 레이싱 활성화를 위한 대분류의 우선순위는 선결과제, 기대효과, 발전방안, 문제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드론 레이싱 활성화를 위한 중분류의 우선순위는 경기장 프로그램 과제, 드론 산업의 활성화, 시설 및 프로그램 부족, 교육기관 및 대회 유치, 드론 산업의 시설 및 제도개선, 드론 산업의 다변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및 법적 제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드론 레이싱 활성화를 위한 소분류의 우선순위는 드론 레이싱 연습 및 경기장 시설 확보, 드론 레이싱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드론 레이싱 연습 및 경기장 시설 부족, 항공스포츠 산업의 활성화, 드론 레이싱의 관련 기업의 활성화, 드론 레이싱의 홍보 및 국내외 대회 유치, 드론 레이싱 전문 인력 양성 및 교육기관 확대, 드론 산업의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 드론 산업의 다변화, 드론 레이싱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부족, 드론 레이싱 전문 인력 및 홍보 부족, 드론 산업의 활성화, 드론 레이싱 프로팀 창단 및 리그의 활성화, 드론 레이싱 관련 법규 및 제도개선, 드론 레이싱 전문 인력 양성, 드론 레이싱의 법적 제한 및 국내외 대회 부족, 드론레이싱 개발비용 절감 및 산업체 지원, 드론레이싱 국내·외 대회개최, 드론레이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s currently active in drone-related fields and academic researchers doing physical education-related research using the Delphi technique in order to propose a plan to activate domestic drone racing.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for experts who field experts with knowledge of drones, operators of drone leagues, drone-related industry experts, and sports experts. In order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Expert Choice program. First, the priority of the major classification for activating domestic drone racing appeared in the order of pre-results, development directions, expected effects, and problems. Second, the priority of the middle classification for revitalization of domestic drone racing is stadium program tasks, activation of the drone industry, lack of facilities and programs, attrac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mpetitions,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systems of the drone industry, diversification of the drone industry,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It appeared in the order of publicity and legal restrictions. Third, the priority of sub-classification for revitalizing my drone racing is to practice drone racing and secure stadium facilities, develop and operate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drone racing, practice drone racing and lack of stadium facilities, revitalize the aviation sports industry, and promote drone racing related companies. Activation, promotion of drone racing and attrac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s, training of drone racing experts and expans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employment and added value creation of the drone industry, diversification of the drone industry, lack of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drone racing, lack of drone racing experts and publicity, drones Revitalization of industry, establishment of drone racing pro team and vitalization of league, improv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drone racing, training of drone racing experts, legal restrictions on drone racing and lack of domestic and overseas competitions, reduction of drone racing development cost and support for industry, drone racing domestic and foreign It appeared in the order of holding the competition and support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drone racing.

      • TESS(Tactical Engagement Simulation Software)를 활용한 채프 투발 기법의 추적 레이다 기만효과 연구

        최민준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95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레이다에 대응하기 위한 알루미늄 호일을 항공기에서 투발한 것을 시작으로 개발 및 개량된 채프는 적 전투기와 지대공 미사일의 레이다를 기만하여 항공기와 조종사의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전자전 장비이다. 채프는 레이다에서 송신된 전파를 반사하여 항공기보다 더 큰 RCS를 만들어 레이다를 기만하지만, 효과적으로 레이다를 기만하기 위해선 항공기의 특성과 레이다의 특성 그리고 교전 상황을 반영한 채프 투발 기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효과적인 채프 투발 기법을 산출하는 방법은 각국에서 군사기밀로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채프 투발 기법을 만들어 항공기와 조종사의 생존성을 향상시키는데 제한이 되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현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채프 투발 기법의 산출 공식의 필요성을 고민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의 특성과 레이다의 특성 그리고 교전 상황을 반영한 채프 투발 기법의 산출 공식을 산출하기 위해 레이다가 목표 항공기의 거리, 각도, 속도를 추적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채프의 레이다 기만 원리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항공기의 특성, 레이다의 특성, 교전 상황을 반영한 채프 투발 기법 산출 공식을 제시하며, 다양한 교전 상황을 부여하여 여러 채프 투발 기법을 산출한 뒤 여러 채프 투발 기법 중 효과적인 채프 투발 기법을 선정하는 최적화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최적화된 채프 투발 기법을 TESS를 활용해 목표 항공기가 다양한 지대공 레이다와 공대공 레이다와 조우한 다양한 교전 상황을 부여에서 투발하며 대응 했을 때 채프 투발 기법의 추적 레이다 기만 효과도를 항공기와 미사일의 Miss Distance로 분석하여 산출한 채프 투발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번 연구는 현재까지 부재하였던 항공기와 레이다의 특성 및 교전 상황을 반영한 효과적인 채프 투발 기법의 산출 공식을 도출하고 간단한 최적화 방안을 제시했으며, 산출한 채프 투발 기법에 대한 추적 레이다의 기만 효과도를 분석하여 채프 투발 기법 산출 공식의 유효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chaff, developed and improved starting with the dispense of aluminum foil from aircraft to counter radar in World War II, is an electronic warfare equipment that improves the survivability of aircraft and pilots by deceiving the tracking radars of enemy fighters and surface-to-air missiles. The chaff reflects the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cking radar and deceives the tracking radar by creating a larger RCS than the aircraft. However, since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effective chaff dispense program is treated as a military secret in each country,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survivability of aircraft and pilots by making an effective chaff dispense program.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calculation formula for the chaff dispense program was contemplated based on the problem awarenes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this study, to calculate the formula of the chaff dispense progra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ircraf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cking radar, and the engagement situation, the method of the radar tracking the distance, angle, and speed of the target aircraft is checked, and examine the principle of the radar deception of the chaff.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s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haff dispense progra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craf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cking radar, and the engagement situation. After calculating various chaff dispense program by giving various engagement situations, an optimization method for selecting an effective chaff dispense program among several chaff dispense program is presented. And, when the optimized chaff dispense program responds to various engagement situations in which the target aircraft encounters various surface-to-air radars and air-to-air radars in enemy aircraft, the tracking radar deception effect of the chaff dispense program is analyzed and calculated by the Miss Distance between the aircraft and missiles using TESS.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formula for the effective chaff dispense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engagement situation of aircraft and radar, which had not been present so far, was derived, and a simple optimization method was presented.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haff dispense program.

      • 민간항공조종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의 상관관계

        최재원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과학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가 가까워지고 있다.’라는 얘기는 학교나 미디어에서 심심치 않게 들어 봤을 것이다. 물론 인터넷처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각지에서 서로 소통이 가능해졌고 느껴지는 거리가 대폭 줄었지만, 항공 산업의 발달 역시 우리가 물리적으로 느끼는 거리를 크게 단축시켜 주는 데에 있어 큰 역할을 하였다. 인터넷 사용인구가 늘어난 것처럼, 항공기를 이용하는 세계 인구의 수는 매해 상상도 할 수 없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맞물려 국내에도 10년 전 200대 정도였던 국내 민항공사 항공기 대수가 400대에 육박하게 되며, 항공인력에 대한 수요도 비례하며 증가하였다. 과거와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이직이 급증하는 현상들을 목격하며 이직은 자유지만 무분별한 이직과 외국인 조종사 수급은 항공안전에 부정적인 면도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조종사의 직무만족도와 어떤 요인이 이직을 유발하게 되는가에 대한 호기심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문헌고찰과 사전연구들을 통해 직무만족과 이직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민간항공 조종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우선순위, 그리고 이직의도와 관련된 설문을 하여, 조종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가 어떤지 그에 관해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민간항공 조종사들은 임금(보수)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 우선순위 요소에서 또한 압도적적이 비율로 1순위 요소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의 원인 중에서도 임금이 가장 큰 원인으로 택해졌고 이직의도 우선순위에서 1순위가 임금이었다. 이를 통하여 국내 민간항공에 종사하고 있는 조종사의 임금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직을 고려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조종사의 직무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보통’이하로 나타났지만, 아이러니하게 조종사라는 직업자체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 항공사에 근무하는 외국인 조종사에 비하여 열악한 대우, 국제적인 기준에 못 미치는 임금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기장이 부기장에 비해서 만족도가 낮게 분포하였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모두 경력에 대한 항공사의 보상이 미미한 것과 연관 된다고 생각된다. 직무만족 우선순위요소에서 1순위요소에선 임금이 압도적이었고, 그 다음 순으로 업무강도 즉, 스케줄로 나타났다. 복리후생의 요소는 최우선순위로는 낮은 비율로 나타났지만, 2순위 요소로는 임금 다음으로 많은 비율로 선택을 받은 것으로 보아 복리후생은 최우선요소는 아니지만 조종사는 임금과 업무강도와 함께 중요시 여기는 요소로 볼 수 있다. 이직의도에서는 조종사들이 더 나은 조건이 있거나 미래에 이직을 고려하는 것이지, 사실 당장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이직하려는 정도는 낮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직의도에 대한 원인으로는 임금(보수), 전망, 복리후생 순으로 평균이 분포하였다. 이직에 대한 우선순위는 직무만족 우선순위의 요소랑 거의 동일한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본다. 항공사들은 이직률이 낮은 선진 항공사들의 사례들을 통해 국내특수성을 고려하고 참고하는 것이 인력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를 위한 인원 및 시간이 부족했으며, 조종사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엮어내는 분석도 미미했지만, 현재 민간항공사 조종사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The world getting closer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lmost a cliche sentence which been heard in school textbooks and media for decade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enabled humankind to communicate in real time basis regardless the distance while the growth of the aviation industry also played a major role in shortening the actual time spent to travel across the globe. As fast as the growth of internet users, the population travelling via aircraft is growing significantly each year. The number of domestic civil airline aircraft in Korea was around two hundred 10 years ago, excluding small jet airline aircraft, has doubled in recent decade, and the demand for population with aviation expertise has increased proportionally. This study is based on a question on what is causing the turnover. The fact that the turnover is free in democratic country, but the indifferent turnover and the hiring foreign pilot's with not enough screening or background check have negative aspects in aviation safe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liminary studies. Questionnaire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riority, and turnover of civil aviation pilo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And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is study, civil aviation pilots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salary, and rank first in the job satisfaction priority factor and the overwhelmingly negative ratio. Among the causes of turnover intention, wages were chosen as the biggest cause, and wage was the number one priority in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ilot population engaged in civil aviation in Korea is low in satisfaction with wage, which is a reason to consider turnover. The overall satisfaction of pilots' job satisfaction was below 'normal', but ironically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job itself. Compared to foreign pilots working in the same airline, it seems that poor treatment and wages below international standards have affected. Satisfaction was lower in the captain compared to the first officer. The higher the age, the lower the satisfaction was.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insignificant rewards of the airlines for their careers. In the job satisfaction priority factor, wage was overwhelming in the first factor, followed by work intensity, ie, schedule. The welfare component was not the top priority, but I was chosen quite high rate in the second factor. This shows welfare is aslo a major factor in pilot job satisfaction. In turnover intentions, pilots have better conditions or consider leaving in the future. The reasons for the turnover intention were the wage (pay), the outlook, and the welfare benefit. The order of job turnover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job satisfaction. Based on thi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It is believed that airlines will help to manage pilot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irlines through cases of advanced airlines with low turnover rates. This study required systematic further study, lack of personnel and time for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pilo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minimal, Currently,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civilian airline pilots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can help future related studies Key word: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Turnover, Civil Aviation Pilot

      • 민간항공 조종사의 인적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 연구 : IPA 분석을 이용하여

        이재윤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Today, the world is leading a global era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As a result, the supply of the air transport market has expanded, and the volume of air traffic has increased steadily every year. Despit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number of aircraft and the number of flights, aviation accidents are decreasing every year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systems, improvement in automation levels and safety management education. However, many of the aviation accidents are reported to have been caused by human error by practitioners directly involved in operations. In other words, while the overall accident rate is decreasing, the proportion of accidents caused by human factors is still high. Currently, safety management training conducted by civilian airlines is conducted by selecting dozens of previously studied factors as major subjects. However, since the actual pilots' opinions on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the current level are not adequately reflected,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achieve the final goal of safe oper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consider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CRM and human factors selected as subjects of safety management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ior research, and identified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factors recognized by pilots through surveys.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ultimately contributing to aviation safety by providing basic data so that the analysis results could be reflected as a focus of future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factors related to aviation safety through prior research,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ed 29 incumbent instructor captains on the importance of various factors and conducted a second survey of a total of 216 pilots to analyze the reconstructed questions based on collected data. To analyze potential correlations for a total of 37 survey items of six factor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horten highly relevant items and eliminate unnecessary items. This eliminated six of the 37 items (understanding aircraft system failure procedures, providing assistance, checking procedures in PF, crew cooperation for safe operation, respecting other crew members, and distance of power in the cockpit) and classified a total of 31 items as five factors again for statistical analysis. In summar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officer’s average level for all 5 factors, such as situational awareness, cockpit culture, crew cooperation, leadership, and decision-mak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current level was large compared to the captain, and for those from the civilian was large compared to those from the military. On the other hand, IPA analysis of importance and current levels showed that both situational awareness and leadership were high in importance and current levels, and both of these factors showed high levels of achievement in real-world flight. The cockpit culture was low in importance and high in current level, and decision making was shown to be low in both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Noteworthy was the suggestion that the crew cooperation factor is a part of future in-depth treatment as the current level felt by pilots is undervalued compared to its high importance. In addition to existing research on human factors and theoretical content including literature,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practical pilot perception research and IPA analysis hav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for its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Based o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analysis presented in the study, future Crew Resource Management (CRM) training should be restructured based on pilots' perception,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uman factors management education along with the technical aspects of operation will promote high levels of aviation safety based on accident prevention. 오늘날 세계는 항공산업의 발전에 힘입어 글로벌시대를 영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운송시장의 공급은 확대되었으며, 항공교통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항공기 대수와 운항횟수의 양적인 팽창에도 불구하고, 항공기의 첨단 시스템 도입과 자동화 수준의 향상 그리고 안전관리 교육에 힘입어 항공사고는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발생 된 항공사고 중 많은 수가 운항과 직접 연관이 있는 실무자들의 인적 과실로 인해 발생 되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전체적인 사고율은 감소되고 있지만, 인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사고의 비율은 여전히 높은 것이다. 현재 민간항공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안전관리 교육은 기존에 연구되었던 다양한 요인들을 주요 과목으로 선정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 요인들의 중요도와 현재수준에 대한 실제 비행하는 조종사들의 의견은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고 안전운항이라는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안전관리 교육의 주제로 선정되어 있는 CRM 및 인적요인과 관련된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설문을 통해 조종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요인의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결과가 향후 교육훈련의 중점 사항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항공안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항공안전과 관련된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1차 설문은 현직 교관 기장 29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하여 재구성된 문항을 총 216명의 조종사를 대상으로 2차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6가지 요인의 총 37개 설문항목에 대한 잠재된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연관성이 높은 항목들을 축약하고 불필요한 항목들을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37개의 항목 중 6개(항공기 계통 고장 절차 숙지, 조력 제공, PF의 절차에 대한 확인, 안전운항을 위한 승무원협력, 다른 승무원 존중, 조종실내의 권력거리)를 제거하고 총 31개의 항목들을 다시 5개의 요인으로 분류하여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직책에 따른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평균차이는 5개 요인인 상황인식, 조종실문화, 승무원협력, 리더십, 그리고 의사결정 모두 기장 대비 부기장이 차이가 컸으며, 출신에 관련하여 민간 출신이 군 출신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요인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에 대한 IPA 분석결과 상황인식과 리더십은 중요도와 현재수준이 모두 높음으로 나타나 이 두 요인 모두 실제 비행에서도 높은 수준의 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종실문화는 중요도는 낮고 현재수준이 높았으며, 의사결정은 중요도와 현재수준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승무원협력 요인은 높은 중요도에 비해 조종사들이 느끼는 현재수준은 낮게 평가되어 향후 심층적으로 다루어야 할 부분이라는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인적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와 문헌을 포함한 이론적 내용 외에 실제적인 조종사들의 인식 조사연구와 IPA 분석을 통해 중요도와 현재수준에 대한 각 요인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가 실무적 기초 또는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구에서 제시된 중요도와 현재수준 분석에 기초하여 향후 승무원 자원관리(CRM) 교육은 조종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어야 하며, 운항의 기술적 측면과 함께 인적요인 관리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교육훈련에 투자한다면 사고예방에 기초한 높은 수준의 항공안전이 도모될 것이다.

      • 민간항공 조종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변지환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Korea's aviation industry is now divided into two airlines currently classified as FSC (Full Service Carrier) groups and 10 airlines classified as LCC (Low Cost Carrier) groups, and has grown to an unimaginable degree compared to the past. As the industry grew, airlines belonging to FSC groups are planning to expand the number of aircraft fleet and employees, and airlines belonging to the LCC group have sustainable growth potential through long-term plans such as route expansion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wide body aircraft as well as existing short-distance routes. Although the growth of airlines seen from the outside increased rapidly, the flight time, intensity of work and fatigue of the pilots were gradually accumulating. and satisfaction of the pilots who works in the company was gradually decreasing. Every year, airlines are trying to reduce the accidents through efficient safety management, and they conduct simulator training related to job and CRM training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But the actual management of the pilot’s stress when they are working in the cockpit and the research of the stress related with the work are inadequate. When this researcher actually has a lot of conversations with the captain and First officer during flight, pilots are not only stressed when they are fatigued by jet lag, noise, etc., but also when there are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 between the captain and the co-pilot, and when there are conflicts with other departments related to flight. And I felt that these factors reduced the job satisfaction with the company and the commitment to the job. As a result, I witnessed the phenomenon that the pilots are shifting their jobs to the other companies or other foreign airlines. In the end, it was judged that this was a turnover to better conditions for individual satisfaction.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factors that could essentially solve this phenomenon wer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is study has began with the thought that if the cause and the correlation are well understood, not only the pilots, but also the company can do better manpower managem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ivil aviation pilots, major variables were se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identified. and the sub-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ivil aviation pilots were identified.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on the stress of employment insecurity.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five factors that compose job stress, physical environmental stress was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esulting from human relations, job satisfaction itself, and sense of achievement. Stress related to relationship conflict showed similar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itself, and also showed correlation with leadership. The stress of the pilot job itself had no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Role stres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and also showed correlation with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the stress factor of the job itself. This is considered to increase the stress that pilots feel about the flight when they are stressed about employment insecurity in their workpl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and human relation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higher leadership felt by the captain and the co-pilot while performing the flight task or the higher leadership related to the ability to cope with crisis situations,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elt in human relations. By workplace type, the FSC group was found to more stressed about job itself, role stress, and employment insecurity than the LCC group, and the LCC group was more stressed about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conflicts. In job satisfaction, the LCC group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FSC for all factors. I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married group was more stressed related to role stress, and the unmarried group was more stressed on the stress of physical, relationship conflict, job itself, and employment insecurity. By position, the captain's group was more stressed about relationship conflict, role stress, and employment insecurity, and the co-pilot group was more stressed from physical and job itself stress. Regarding employment insecurity, the FSC group was highly stressed about the reduction of company size and restructuring, and the LCC group was more stressed than the FSC group about the possibility of dismissal. In the aviation industry that will change after COVID-19, the job stress that pilots will face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have new factor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n addition, it is questionable what kind of new correlation will be formed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y managing job stress well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e airlines should manage their workforce efficiently, and the pilots should take measures to ensure safe operation. 한국의 항공운송산업은 FSC(Full Service Carrier)로 분류되는 2개의 항공사와 LCC(Low Cost Carrier)의 10개의 항공사로 나뉘어져 과거와 비교하여 급격하게 성장하였으며 최근 증가세에 힘입어 FSC 항공사들은 항공기 대수와 인력확장을 계획하고 LCC에 속해있는 항공사들은 기존 단거리 노선뿐만 아니라 중·대형기 도입을 고려하여 노선확장 등 장기계획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성을 보여주었다. 외부에서 보는 항공사들의 성장세는 가파르게 증가하였지만 업무에 종사하는 조종사들의 비행시간이나 업무의 강도 및 그에 따른 피로는 갈수록 누적되는 추세였고 이로 인한 회사에 대한 만족도는 감소하고 있었다. 매년 항공사들은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통해 사고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직무와 관련된 시뮬레이터 훈련과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CRM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실제 조종사들이 업무 시 받게 되는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교육과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이로 인하여 실제로 비행 시 편조 간에 대화를 나누다보면 조종사들은 시차, 소음 등으로 인한 피로를 받을 때 나타나는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편조 간 대인관계 및 비행과 관련된 타부서와의 갈등이 있을 경우에도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회사에 대한 만족, 직무에 대한 몰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라고 토로하였다. 그 결과 조종사들이 타 회사 또는 외국 항공사로 이직을 하는 현상으로 발전하기도 하는데 이는 결국 개인의 만족을 위해 더 나은 조건으로의 이직이라고 판단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주요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라는 관점에서 그 원인과 상관관계의 분석을 통하여 조종사 개인은 물론 항공사의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항공 조종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주요 변수들을 설정하여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민간항공 조종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차이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용불안의 스트레스에 관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를 구성하는 5가지 요인 중 물리적 환경스트레스는 인간관계, 직업만족, 성취감에서 오는 직무만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관계갈등에 관한 스트레스는 인간관계와 직업만족 자체의 직무만족과 비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리더십과도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조종직무 자체의 스트레스는 직무만족 하부요인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역할스트레스는 인간관계의 직무만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리더십, 직업만족과도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직무스트레스의 구성요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고용불안과 직무자체의 스트레스 요인이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업무공간에서 조종사들이 고용불안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을 시 비행직무에 대해 느끼는 스트레스도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직무만족의 구성요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리더십과 인간관계의 직무만족이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는데 비행 편조 간 비행 업무를 수행하면서 상대방에게 느끼는 리더십 또는 위기상황 대처능력에 관련한 리더십이 높을수록 인간관계적으로 느끼는 만족도는 높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직장 형태별로는 FSC집단이 LCC집단보다 직무, 역할 및 고용불안에 대한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LCC집단은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에 대한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서는 LCC집단이 모든 요인에 대해 FSC보다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혼인 여부에 따른 차이에서는 기혼인 집단이 역할스트레스에 관해 더 큰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미혼인 집단은 물리적, 관계갈등, 직무자체, 고용불안의 스트레스에 관해 더 큰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직책별로는 관계갈등, 역할, 고용불안에 대해 기장집단이 더 큰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부기장 집단은 물리적, 직무자체의 스트레스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다. 고용불안에 대해서는 FSC집단에서는 회사 규모의 축소, 구조조정에 관련한 스트레스를 크게 받았고 LCC집단에서는 해고의 가능성에 대해 FSC집단 보다 큰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COVID-19 이후로 변화되어질 항공 산업에서 앞으로 조종사들이 받게 될 직무 스트레스는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요인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는 어떠한 새로운 상관관계를 가지게 될 것인지 의문이 생기는 바이다. 직무스트레스를 잘 관리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여 항공사에서는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해야 하고 개인으로서는 안전운항을 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 코로나-19로 인한 민간항공 조종사의 고용불안, 직무만족 및 안전행동에 관한 연구

        한태환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world economy has undergone many changes due to the Corona-19 pandemic. The global economy has faced a slowdown in growth due to the prolonged Corona-19, and normalization of economic activities is difficult due to slowing employment and reduced private consumption. The global economy is expected to recover, bu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as the supply and inoculation of vaccines are expanding and economic stimulus measures are effective. Among them, the aviation industry is one of the most damaged industries, and in particular, studies on civil aviation pilots responsible for aircraft safety are needed. Currently, many pilots are feeling Employment Instability due to frequent paid, unpaid leave and fewer flight work days due to Corona-19. As a civil aviation pilot, this researcher also feels a lack of job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it may affect aviation safety in relation to aircraft operations in addition to large and small aviation safety hindrances or incidents. As part of the Delphi technique, job insecurity, job satisfaction, and safety behaviors were the most common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ed by Covid-19 when pre-surveyed to 12 pilots and bosses around. The continued decline in job satisfaction caused by Employment Instability and the resulting precarious behaviour can pose a risk to aviation safety. Therefore, we began the study, judging that identifying the correlation would make safety management easier for individuals or airlines of pilots.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insecurity, job satisfaction, and safety behavior of civil aviation pilots due to Covid-19 Pandemic. Sub-variables of each item were set to determine its correlation, and each sub-variable that affected the items were analyzed. And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ivil aviation pilots. Studies have shown significant changes in job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Job insecurity increased relatively significantly compared to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decreased. Safety behaviour factors have declined, but not to a significant extent. Among the components of job insecurity, job characteristics showed the biggest change, and among the safety behavior factors, there were the smallest changes in conformity behavior. It showed the largest increase in questions about freezing salaries among job losses. Of the three factors of job insecurity, job losses were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ole satisfaction and leadership, and those fact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rs. Among the factors of job insecurity, job loss showed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no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and safety behavior was identified. Among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leadership has shown a positive impact on safety behaviour. In age-specific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found between job losses and job losses. It was the biggest figure in the 40s due to job losses and job characteristics. Analysis by marriage statu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rriage and job characteristics, and in most categories, marriage was higher than unmarried. Analysis by position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but in most factors, the Captain was higher than the First officer. In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irline, the FSC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higher than the LCC due to job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od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ormational behavior, and the response of the small plan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rge plane. Analysis by flight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with most passenger responses higher than cargo responses. Differences due to reduced flight hou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response scale of respondents whose flight time decreased by more than 40% was the highest. Differences in salary redu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behavior. Due to the nature of the job, respondents with increased flight time were the lowest in both participatory and participatory behaviors. In terms of career differenc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lplessness and the lowest level of helplessness among respondents who worked for more than eight years. An analysis of the safety behaviour of civil aviation pilots in the aviation industry, which has been transformed by the Covid-19 pandemic,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The researcher analyzed what changes were mad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how job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ere related to safety behaviors. I hope this will effectively manage the fast-recovering aviation industry in the post-corona era and contribute to future aviation safety management. State agencies or airlines will have to manage Employment In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for civil aviation pilots and seek various measures to improve safety behaviors.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세계 경제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성장둔화에 마주쳤고, 고용둔화와 민간소비 감소 등으로 인해 경제활동 정상화는 어려운 상황이다. 백신의 보급과 접종이 확대되고, 경기부양책 등이 효과를 보면서 세계 경제는 회복될 전망이나 여러 가지 난관이 놓여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중 항공산업의 피해가 가장 큰 산업 중 하나이고, 특히 이와 관련하여 항공기의 안전을 책임지는 민간항공 조종사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조종사들이 잦은 유,무급 휴직과 적은 비행근무일수로 인해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자도 마찬가지로 민간항공 조종사로서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크고 작은 항공기사고 및 항공기준사고 외에 항공기의 운항 등과 관련하여 항공안전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우려가 있는 것을 말한다. 항공안전장애, 항공안전에 중대한 위해를 끼쳐 항공기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준사고 등이 나타나게 되었고, 주변의 사례로서도 흔히 볼 수 있었다. 델파이 기법으로 주변 조종사 동료와 상사 12명에게 사전설문을 하였을 때, 코로나19로 인하여 부정적 영향을 끼친 요소들 중 고용불안, 직무만족 그리고 안전행동이 가장 많았다. 고용불안으로 인한 지속적인 직무만족의 저하와 그로 인한 불안전한 행동은 항공안전에 위해를 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면 조종사 개인 또는 항공사의 안전관리가 더 수월하리라 판단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민간항공 조종사의 고용불안, 직무만족, 그리고 안전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각 항목의 하위 변수들을 설정해 그 상관관계들을 파악하였고, 항목들에 영향을 미치는 각 하위항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민간항공 조종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들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요인들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고용불안은 직무만족 변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직무만족은 감소하였다. 안전행동 요소들은 감소하였지만 크게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고용불안 구성요소 중 직무특성상실이 가장 큰 변화를 나타냈고, 안전행동 요소 중 순응행동의 변화가 가장 적었다. 직무특성 상실 중 급여동결에 대한 문항에서 가장 큰 증가량을 보였다. 고용불안의 세 가지 요인 중 직장상실은 직무만족 요인인 관계만족, 역할만족, 리더십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요인들은 안전행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용불안 요인 중 직장상실은 직무만족과 부(-)적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고, 고용불안과 안전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파악되지 않았다. 직무만족 요인 중 리더십은 안전행동에 양(+)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나이에 따른 분석에서, 직장상실과 직무특성상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40대의 직장상실과 직무특성상실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혼인 여부에 따른 분석에서는 직장상실과 직무특성상실에서 기혼이 미혼보다 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부분 항목에서 기혼이 미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책에 따른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대부분 요소에서 기장이 부기장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공사에 따른 차이에서는 직무특성상실에서 FSC가 LCC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기종에 따라서는 순응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소형기의 응답이 대형기의 응답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비행형태에 따른 분석에서는 환경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대부분 여객의 응답이 화물의 응답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비행시간 감소에 따른 차이는 직무특성상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비행시간이 40% 이상 감소한 응답자의 응답 척도가 가장 높았다. 급여감소에 따른 차이에서는 직무특성상실과 참여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특성상실과 참여행동에서 모두 비행시간이 증가한 응답자의 응답척도가 가장 낮았다. 경력의 따른 차이에서, 무력감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8년 이상 근무한 응답자의 무력감이 가장 낮았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변화된 항공산업에서 민간항공 조종사들의 안전행동 분석은 항공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변화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이 안전행동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빠르게 회복하는 항공산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앞으로의 항공안전관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국가 기관이나 각 항공사는 민간항공 조종사의 인력관리를 위해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에 대한 관리를 해야 하고 안전행동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항공 안전문화 진단지 가중치 개발 및 관리에 대한 연구 -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ASC-IT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

        김종욱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COVID-19 Pandemonics, the aviation sector has faced many unexpected challenge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job insecurity and health problems that can be infected are great stress for pilots. ICAO, IFALPA, and IATA stress that pilots must be physically and emotionally healthy for flight safety. Unexpected difficulties in aviation pose a severe threat to our safety. The threat eventually links to accidents. On May 22, 2020, PK8303, flying from Lahore to Karachi, crashed into a residential area after an insecure approach, killing 97 of the 99 passengers on board. Also, on August 7, IX1344 from Dubai to Kozhikode crashed into a valley over a runway in bad weather, killing 16 people. Those accidents show that failure to address safety-related issues in a Pandemic context can lead to near-disaster accidents.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xplore ways to prevent accidents under the recently increased instability situations fundamentally.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aviation sector is carried out through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dealing with all unstable situations with SMS alone. SMS is just hardware, and if the software does not work correctly, its performance will not work. For SMS to work correctly, a software safety culture must be positively formed. Even if SMS is perfect, it does not correctly respond to new safety issues if the safety culture is negatively formed. Managemen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safety culture positively. Management requires measurement and quantification. While reviewing the literature for measuring safety culture, the airline safety culture guidelines (2017)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re identified. The safety culture diagnosis sit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an ASC-IT model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diagnosis site used in other fields to assessment its appropriateness. Furthermore, we incorporate AHP weighting methods into the study in a way that can specify the pilot. The literature research section looked at the definition of safety, general safety management methods, and safety management concepts in aviation and reviewed the safety culture initiative, the definition of safety culture, and the stage of safety culture management. Besides, how to manage safety culture was identified in the PDCA procedure. The conformity of safety culture diagnosis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comparing the model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th IAEA models, NOSACQ-50 and GAIN, and summarized the meaning of 21 operational definitions and sub-factors of the ASC-IT model. This study's condition is to leave the main and sub-factors of the ASC-IT model intact, and the metric that measures it is made clear that the original seeks. Executives of the current team leader or higher who are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and policies at the airline for more than 20 years participated in a pair-by-side comparison with each safety culture diagnosis site and calculated the weight for each factor by reflecting the results. The study applied the complementary metric to 10 pilot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at private airlines to compare the weighted and unweighted results. Ten samples were selected to substantially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weight was applied. The safety culture management methods and progress were reviewed through surveys and result in analysis.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are not sure if it i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because the ASC-IT model has been used as it is. As a result, the need to develop safety culture diagnostic sites in the Korean aviation sector was also recognized. Also, the question of whether this could be used for all airlines was identified because it only reflected the opinions of the safety management experts of a particular airl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under the leadership of government-led or private pilots' associations. 세계보건기구(WHO)의 COVID-19 팬데믹 선언 이후 항공분야는 예상하지 못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고용불안과 감염될 수 있다는 건강에 대한 염려는 조종사에게 큰 스트레스이다. ICAO와 IFALPA, IATA는 비행안전을 위해 조종사가 신체적·정서적으로 비행에 적합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심각한 위협이 되고 그 위협은 결국 사고로 이어진다. 2020년, 5월 22일 Lahore에서 Karachi로 비행 중이었던 PK8303편은 불안전한 접근으로 복행 후 주거지역에 추락하여 99명의 탑승자 중 97명이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또한 8월 7일, Dubai에서 Kozhikode로 비행 중이었던 IX1344편은 나쁜 기상하에서 무리한 착륙으로 활주로를 초과하여 계곡으로 추락함으로 16명이 사망한 사고로 이어졌다. 이는 팬데믹 상황에서 안전과 관련된 이슈를 관리하지 못하면 재난에 가까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된 불안전 상황 하에 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시작됐다. 항공분야의 안전관리는 안전관리시스템(이하 SMS)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SMS만으로 모든 불안전한 상황을 관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SMS는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이를 가동하는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그 성능이 발휘되지 않는다.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인 안전문화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SMS가 외형적으로 완벽하더라도 안전문화가 부정적으로 형성되어있다면 새롭게 제기되는 안전이슈에 대해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안전문화를 긍정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관리가 필요하다. 관리하기 위해서는 측정하여 수치화할 수 있어야 한다. 안전문화를 어떻게 측정할지 문헌을 고찰하던 중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한 항공사 안전문화 가이드라인(2017)을 확인했다. 정부에서 제공한 안전문화 진단지는 ASC-IT 모델이며, 본 연구에서는 그 적절성을 살피기 위해 타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단지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조종사를 특정하기 위해서 AHP 가중치 부여 방법을 연구에 접목시켰다. 문헌연구에서는 안전의 정의, 일반적인 안전관리 방법, 항공분야의 안전관리의 개념을 살폈고, 안전문화의 태동과 안전문화의 정의, 안전문화 관리의 단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안전문화의 관리방법으로 PDCA절차를 확인하였다.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모델과 IAEA의 모델, NOSACQ-50, GAIN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안전문화 진단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ASC-IT 모델의 주요인 6개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하위요인 21개가 의미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정리했다. 본 연구의 기본조건은 ASC-IT 모델의 주요인과 하위요인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원본의 내용을 그대로 담되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항공사에서 20년 이상의 안전관리와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현재의 팀장급 이상 임원이 참여하여 안전문화 진단지의 각 요인에 대한 쌍대비교를 했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각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와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은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연구를 통해 보완된 측정지표를 민간 항공사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조종사 10명에게 적용하였다. 10명의 표본을 선정한 이유는 가중치 적용 전과 후에 대한 차이를 실질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으로 설문과 결과분석 과정을 통해 안전문화를 관리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ASC-IT 모델을 번역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한국상황에 적합한지에 대해 분석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향후 한국형 항공분야의 안전문화 진단지 개발의 필요성도 인식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특정 항공사의 안전관리 전문가의 의견만 반영했기 때문에 이를 전 항공사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주도 혹은, 민간조종사 협회 주도로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