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민간항공 조종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진만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ults of LAM Mozambique Flight 470, which crashed in Namibia on November 29, 2013, and Germanwings Flight 9525, which crashed in France on March 24, 2015. It revealed that both were intentional accidents caused by the burnout syndrome of the pilo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any civil aviation pilots are exposed to unstable and irregular flight work environment changes, which hinders recovery elasticity, one of the pilots' psychological capabilities for aviation safety, which is linked to job satisfa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resilience of civil aviation pilo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prepares measur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rough resilience research, and promotes safe flight. A survey was conducted on 215 civil aviation pilots. IBM SPSS Statistics 24 was verifi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environment of civil aviation pilots significa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sub-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profession, physical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human environment. It was evaluated that the higher the profession, physical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human environmen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t means that the job environment of work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job satisfaction that carries out given tasks with a positive perception and gives a favorable sense of satisfaction. Pilots are specialized professions that require advanced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repetitive and systematic training to maintain valid qualifications, with safety as the top priority. Positions are divided into captain and co-pilot. The flight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smoothly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flight support department, flight dispatcher, flight attendant, aircraft maintenance mechanic, load master, aircraft handling workers(refueling, unloading, ground handling), and air traffic controller. It is a reasonable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ilot's work performance by progressively improving the job environment consisting of four factors: human environment, which is a friendly mutual relationship with co-workers, compensation system for employment relationships, profession for organized and systematic work relationships, and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workplace. Second, the job environment of civil aviation pilots significantly affects resilience. It was analyzed that the sub-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profession, and physic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resilience. It was evaluated that the higher the human environment, profession,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higher the resilience. In order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the pilot, it was determined that the following conditions play an essential role. 1. The pilot’s ability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sychological state by overcoming adverse situations with a positive perception. 2. A healthy, inclusive workplace environment. 3. A comprehensive professional work system that includes pilot work. People with high resilience will have high control, such as seeking solutions to the current situation with a more accurate and objective perspective, controlling negative emotions flexibly, and refraining from impulsive reactions based on patience and passion. Then, with efforts to understand and respect other people's feelings and thoughts and amicable communication, they will have high social skills, such as understanding the other person's perspective. In addition, it will have high positivity by pursu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ppiness through favorable thinking and looking forward to hoping. Third, the resilience of civil aviation pilots has significan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positivity and controll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resilience. It was evaluated that the higher the positivity and control,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t can be said that constructive, positive thinking from an optimistic perspective and management’s ability to recognize and control one's emotions is important in increasing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attitude and positive/negative reactions recognized by the pilot's work performance results. Satisfaction and developmental expectations for a pilot’s job performance will help implement airline policies that prioritize safety and improve the company's productivity. Therefore, if the airline conducts stress management and related training to reduce negative reactions rather than relying only on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the pilots, it will be possible to offset the fear of failure and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positive energy can be emitted. Fourth, resilience significant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civil aviation pilots. It was verified that the pilot's resili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job environment and motivation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job environment of civil aviation pilots is an essential factor in enhancing the pilot's pride,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increasing resilience. Innovative support, invest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pilots to improve the job environment of airlines can boost pilots' morale to improve resilience, which results in high job satisfaction, which can be expected to improve more developmental aviation safe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most studies on resilience, starting with research on child development, were conducted on professional workers, and studies on workers in general companies were rare. Although there have been studies targeting flight attendants, who are employees of airlines, there has been no study targeting flight crew members who have overall responsibility in air navig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ilience of pilots of civil airlines was studied and investigated. This will be a theoretical contribution to related studies.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n the job environment,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civil aviation pilots, we want to help systematic and sustainable safety management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through an in-depth approach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airlines. It is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data. Keywords : Civil Aviation Pilot, Resilience,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2013년 11월 29일 나미비아에 추락한 LAM 모잠비크 항공 470편과 2015년 3월 24일 프랑스에 추락한 저먼윙스 9525편의 사고조사 결과가 모두 조종사의 탈진 증후군으로 인하여 발생한 고의적인 사고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많은 민간항공 조종사는 불안정하고 불규칙한 비행 근무환경 변화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비행환경은 항공안전을 위한 조종사의 심리적 역량 중 하나인 회복탄력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이는 직무만족과도 연계가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민간항공 조종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회복탄력성 연구를 통하여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며, 안전운항을 도모하는데 있다. 실증연구는 민간항공 조종사 215명을 표본으로 구성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4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민간항공 조종사의 직무환경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직무환경의 하위 요인인 전문성 및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 인적환경 순으로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문성 및 물리적 환경 · 보상체계 · 인적환경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긍정적 인식으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며 호의적인 충족감을 주는 직무만족을 향상하는데 있어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한다. 조종사는 안전운항을 최우선 목표로 유효한 자격유지를 위해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을 통한 고도화된 지식과 기량을 확보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진 전문직이다. 기장과 부기장으로 직책을 구분하여 운항지원부서, 운항관리사, 객실승무원, 항공정비사, 탑재관리사, 항공기취급업 종사자(급유, 하역, 지상조업) 및 관제사 등과 긴밀한 협업으로 비행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해야한다. 이때 동료와의 우호적인 상호관계인 인적환경, 고용관계를 위한 필수적 보수인 보상체계, 조직화되고 체계적인 업무관계를 위한 전문성,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근로현장인 물리적 환경 등 4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직무환경을 진취적으로 개선해서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조종사 업무수행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합리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민간항공 조종사의 직무환경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직무환경의 하위 요인인 인적환경, 전문성 및 물리적 환경 순으로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적환경, 전문성 및 물리적 환경이 높아질수록 회복탄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부정적인 상황 및 역경을 긍정적 인식으로 극복하여 원래의 안정된 심리적 상태를 되찾는 마음의 정화 능력인 회복탄력성을 향상하는데 있어 속해 있는 조직의 근로자 구성 및 관계, 조종업무를 포함한 종합적인 전문체계 및 근무제반 여건이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한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현재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해결 방안을 강구하고, 본인의 감정을 유연하게 조절함으로써 부정적인 감정을 통제할 수 있으며, 역경과 고난에 좌초하지 않고 인내와 열정을 토대로 충동적인 반응을 자제하는 등 높은 통제성을 가질 것이다. 이어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노력과 원만한 의사소통으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헤아리는 등 높은 사회성을 가질 것이다. 또한 호의적인 사고로 심리적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고 희망을 고대하는 등 높은 긍정성을 가질 것이다. 셋째, 민간항공 조종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성, 통제성 순으로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긍정성, 통제성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종사의 업무수행 결과에 의해 인지하는 긍정적·부정적 반응 및 마음가짐인 직무만족을 증대하는데 있어 낙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건설적인 사고와 함께 본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조절하는 관리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조종사로서 직무 수행에 대한 만족과 발전적인 기대는 회사의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항공사 정책이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조종사 스스로의 회복탄력성 증대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항공사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줄이기 위한 스트레스 관리와 이와 연계한 교육을 실시한다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상쇄하고 긍정의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민간항공 조종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다. 조종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인 동기요인 간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민간항공 조종사의 직무환경은 조종사의 긍지와 능률을 높이고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을 중히 여길 필요가 있다. 항공사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획기적인 지원과 투자, 조종사의 능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진다면 조종사의 사기를 북돋아 주어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이는 높은 직무만족으로 귀결되어 보다 발전적인 항공안전의 증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회복탄력성은 아동 발달에 관한 연구조사를 시작으로 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으나 일반 기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흔치 않았다. 항공사 근로자인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었지만 항공운항에 있어 전반적인 책임을 지는 운항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재하였으므로 민간항공 조종사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을 연구조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고, 구체화된 이론적 구성개념을 정립하여 학문적 내실을 갖추고자 하였다. 둘째, 민간항공 조종사의 직무환경,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정책 연구에 도움이 되며, 항공사의 인적 관리에 있어 해당 분야의 심도 있는 접근을 통한 실무적인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민간항공 조종사, 회복탄력성, 직무환경, 직무만족

      • 비행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인기-무인기 간 UATM 공역 내 분리기준 최적화 연구

        박범준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드론을 포함한 무인항공기(UAV) 기술은 군사·정밀농업 등 특정 분야 활용을 넘어 물류·배송, 시설물 점검, 재난 대응, 의약품 수송, 방송·촬영 등 광범위한 산업 영역으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특히,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의 부상과 함께 향후 대도시 상공을 가로지르는 무인항공기 기반 택시나 초소형 물류배송 시스템 도입이 가시화되면서, 전통적 항공교통관리(ATM) 패러다임 및 분리기준(Separation Standards)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가 요구된다. 기존 분리기준은 유인기 중심의 중·고고도 운항을 가정하고 장기간 검증된 안전성을 바탕으로 정립된 반면, 저고도·도심 환경에서 다수의 무인항공기가 비정형 경로로 혼재 운용되는 새로운 공역(UATM: Urban Air Traffic Management) 환경에서는 이와 같은 전통적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지나치게 넓은 분리기준은 공역 활용도를 저하시켜 산업적 기회를 제한하고, 반대로 유인기 오차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축소된 기준을 적용하면 충돌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UATM 환경을 반영한 새로운 분리기준 체계 마련은 UAM 시대를 준비하는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 하에, 실제 비행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인기(헬리콥터)와 무인기(드론)가 도심 공역에서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통합 운용될 수 있는 최적화된 분리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접근을 수행하였다. 우선, DJI Mavic 3 드론 및 R22 헬리콥터를 대상으로 실제 비행데이터를 수집하고, GPS·IMU·비전 센서 기반 위치·속도·고도 데이터 및 ADS-B 정보 등을 활용하여 양 항공기 운용 특성을 정량적·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드론은 고정밀 제어를 통한 매우 낮은 종·횡·고도 오차 범위를 보였으며, 이는 2~4m 수준의 종적 분리나 수 m 이하 고도 차만으로도 충돌 위험을 목표안전수준(TLS) 이하로 유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헬기는 상대적으로 넓은 오차 범위를 가지며, 수천 m 단위의 종적 분리 및 수십 m 이상의 고도 분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극단의 오차 특성을 반영할 경우, 고정된 단일 분리기준으로는 유인기·무인기 혼재 공역에서 효율적 운용이 곤란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CAO DOC 9689 및 DOC 9574 등 국제 기준에서 제시하는 충돌위험(Collision Risk) 모델과 목표안전수준(TLS) 개념을 적용하여, 다양한 비행 조건(속도 변경, 고도 변경 시나리오)에서 충돌 위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드론 중심의 분리기준은 매우 촘촘한 거리에서도 TLS 이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를 헬기 운용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충분한 안전 마진을 확보하기 어렵다. 반대로 헬기 기준으로 과도한 분리간격을 설정하면 무인기의 정밀 비행 능력을 활용하지 못한 채 공역 활용 효율성을 크게 저해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두 항공기 특성을 균형 있게 반영하는 ‘차등적·적응형 분리기준’ 도입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무인기 비율이 높은 구역이나 시간대에는 분리기준을 최소화하여 공역 용량을 극대화하고, 헬기가 진입하거나 오차 범위가 큰 상황에서는 더 넓은 간격을 유지하는 동적 운용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후속 연구 방향으로 다양한 기상 조건, 전파 간섭, 복잡한 지형·건축물 장애물 반영, 그리고 eVTOL 등 차세대 UAM 기체까지 확장한 다종 항공기 혼재 운용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실제 도심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정형적 이벤트와 불확실성을 반영한 보다 정교한 분리기준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UAM 공역 관리에 있어 정책·제도적 측면, 국제표준화 이슈, 관제 기술 고도화, 안전성 검증을 위한 실증 프로젝트 등 다각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본 연구 결과는 도심항공교통 공역에서 유인기-무인기 혼재 운용을 위한 실질적 분리기준 설정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UAM 시대를 대비한 공역 관리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국제 표준 개선, 정책 수립, 관제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심 상공에서 안전성과 효율성을 조화시키는 혁신적 UATM 체계 구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시대 준비를 위한 General Aviation 공동 활용방안 : ADS-B를 중심으로

        윤희석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항공 산업은 미래항공 모빌리티(AAM)의 시대를 앞두고 있다. 개발 중인 도심항공교통(UAM) 관련한 연구와 투자는 국내 4차 산업과 연계된 새로 운 항공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국가적, 산업적 관심 속에서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미래항공 모빌리티를 운용할 항행 인프라에 관한 연구는 저고도 도심항공교통 측면에서 주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저고도 공역을 운항할 다양한 비행체들의 운용 관련한 연구와 활용 시스템 구축은 일정한 분리된 고도에서 운항할지라도 종합적인 항공교통 관리와 항공 안전 측면에서 같이 연구하고 구축되어 운용해야 한다. 대한민국 항공 운송사업은 1989년 시작된 국민 해외여행 자유화에 힘입어 여객 운송과 화물 운송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2023년 기준으로 종합 세계 9위 수송량을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항공 사업의 기초 저변 분야인 General Aviation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디어 민간 항공기 제작 산업과 부품 분야를 비롯하여 항행 시설 및 장비등 많은 항공 분야가 해외 장비와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국내 산업계와 학계 그리고 연구기관들은 다가오는 미래항공 모빌리티(AAM)의 시대에 기술적 선점과 시장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도심항공교통(UAM) 분야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UAM과 General Aviation 항공기들이 비행할 저고도 공역 관리 및 감시를 위한 위성기반 항행시설들과 통합 운영체계가 아직 제대로 구축되지 못하여 ADS-B 항행 이용 과 SBAS를 활용한 공항 접근 사용은 운송용 항공기와 거점 공항 위주로만 운영되는 실정이다. General Aviation에 관한 국내 기존 연구들은 주로 운항·교육·훈련제도와 안전 및 항행 등에 관한 연구 위주가 많았고 또한 운송용 항공 분야 적용에 포커스를 둔 연구들이 많아 General Aviation 자체 활용과 시설 활용에 관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 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미래항공 모빌리티 시대를 위한 시설 및 항행체계 구축 시에 General Aviation과의 공동 활용 부분을 찾아보고 효과적으로 구축할 방안들을 찾아 시너지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Aviation에서 Air Mobility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는 항공의 흐름을 파악해 보고 General Aviation 분야에서 FAA 와 대한민국의 항공종사자와 항공기 제작 및 비행장 보유 통계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대한민국 UAM 추진 계획과 UAM 기술 수준을 항공 선진국과 비교하여 나타난 저고도 항행체계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조사를 통해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항공 인프라와 운영체계의 개선점을 찾기 위해 AAM 과 General Aviation 공동 활용 분야들에 대하여 항공 시설 및 운용, 항공 안전 및 인력 제도, 항공 사업으로 세분화하여 분석 하였다. 그리고 공동 활용 분야 중에 가장 필요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 ADS-B 국내 활용방안을 찾기 위하여 ICAO 항행체계 중에 ADS-B 운용 개념 및 발전 방향을 조사하여 보고 FAA의 ADS-B 시스템 구축과 활용을 분석해 본 후에 국내 AAM 과 General Aviation 공동 ADS-B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자료 검증 방법은 2024년 6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4개월 동안 실시한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시대 준비를 위한 General Aviation 공동 활용방안(ADS-B를 중심으로)” 설문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가지고 일반적인 공동활용 방안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연구하였고 ADS-B 공동활용 방안에 대하여는 2024년 8월부터 2024년 9월까지 1개월 동안 실시한 ADS-B AHP 전문가 설문을 토대로 계층분석을 하여 국내 ADS-B 시스템의 효과적인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과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ADS-B를 중심으로 한 미래항공 모빌리티와 General Aviation 공동 활용 방안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위성을 활용한 저고도 국내 항행시스템의 체계적 구축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시하였으며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요소들은 ‘General Aviation 대학’, ‘UAM 연구 개발’, ‘ADS-B 사용 경험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반영하여 제시하였으므로 국내 저고도 항행체계 및 시설 통합시스템 구축 시에 실질적인 참고와 정책 시행 근거 마련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미래항공 모빌리티, 일반항공, 공동활용, ADS-B

      •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의 실습장 안전증진을 위한 연구

        전제헌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약칭: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으로 인해 항공업계에서도 산업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각 항공사에서는 조직개편을 하는 등 안전관리에 대한 부분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항공정비사를 양성하는 항공정비교육기관은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의 개정으로 실습과목 내용이 이전보다 세분화되었고, 이에 따라 실습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실습작업들은 훈련생들에게 크고 작은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는 잠재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의 훈련생을 대상으로 실습장 안전문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의 실습장 안전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및 해외 항공선진국의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에 대한 고찰과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의 실습장 안전과 안전문화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실습장 안전증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 훈련생을 대상으로 안전문화 영역의 4가지 요인이 안전문화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운영, 안전교육, 안전소통이 증가할수록 적극적인 안전문화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의 실습장 안전증진을 통해 안전관리에 대한 역량을 갖춘 항공정비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 할 수 있었다. Due to the recent enforcement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Disasters (abbreviated as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e interest in industrial safety is also increasing in the aviation industry. Accordingly, each airline is strengthening its safety management by reorganizing it. Aviation maintenance education institutions that train aviation mechanics have subdivided the contents of practical subjects more than before due to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Aviation Safety Act, and various practical tasks in the practice field provide trainees with a potential environment for exposure to large and small safety acci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safety culture of practical training centers for trainees of ATO. To this end, it was intended to present measures to promote safety in the practical training center that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through contemplation of ATO in domestic and overseas aviation advanced countries and prior research on safety of practical training center and safety culture for ATO. A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our factors in the field of safety culture on safety culture activities for trainees from ATO.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re active safety culture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as safety operation,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increas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contribute to fostering aviation mechanic with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through the safety promotion of practical training center of ATO.

      • COVID-19로 인한 민간항공 조종사의 장기 휴직이 안전운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차재균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대형항공사(Full Service Carrier, 이하 FSC) 위주의 국내 항공운송사업은 2006년 처음 설립된 저비용항공사(Low Cost Carrier, 이하 LCC)에 힘입어 눈부신 양적 성장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20년 2월 COVID-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항공산업의 위기는 장기간 지속되었고, 2020년 3월부터는 항공사의 운영비용을 줄이기 위한 직원들의 휴직이 시작되면서 조종사들도 회사의 경영 상황에 따라 휴직에 돌입하게 되었다. 항공사 별로 규모와 방법의 차이는 있었지만, 휴직으로 조종사들의 스트레스와 회사에 대한 불만은 높아졌으며 운항경험이 줄어든 조종사들은 개인의 역량과 기량을 유지하기 힘든 상황이 지속 되었다. 국내 FSC의 A380 조종사들은 기종 운항이 중단되고 자격 유지를 위한 시뮬레이터의 미확보로 대다수 인원의 운항자격이 정지되었으며, 일부 LCC의 B737 조종사들은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의 최근비행경험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21조(조종사의 최근의 비행경험) 제1항에 명시된 최소한의 이착륙 경험 충족을 위한 별도의 시뮬레이터에 탑승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민간항공 조종사의 장기 휴직이 안전운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안전운항,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대한 세부요인을 구성하였고, 장기간 휴직을 경험한 조종사들의 역량과 기량이 실제 운항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 안전운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장기 휴직에 대응한 항공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장기휴직을 경험한 국내 FSC, LCC 조종사 202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SPSS statistic 2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 타당성 검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회기분석을 하였다.‘장기 휴직이 안전운항에 미치는 영향’등 5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조종사의 비행경험과 COVID-19로 변화된 비행환경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휴직기간, PF 공백기간, 승무 공백기간이 많을수록 항공기 운항중 조작 Error, 절차 Error의 빈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행시간이 많은 고경력 조종사일수록 Error의 빈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휴직의 장기화로 인한 고용불안이 스트레스의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줄어든 급여에 의한 보상만족과 회사의 조직공정성 부분이 낮은 직무만족 요인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 안전운항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조종사의 Error가 증가하였고, 직무만족이 증가하면 Error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항공사와 비행 형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항공산업에 유례없는 타격을 입힌 COVID-19는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이지만 이전 수준의 정상화까지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조종사들의 장기휴직이 안전운항에 영향이 있다는 본 연구결과를 참고로 정부와 항공사는 이를 대처하기 위한 조종사 관리방안과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시행함으로써 지속적인 조종사의 운항 안전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In 2006, the first LCC (Low Cost Carr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CC) was established in Korea where only FSC (Full Service Carri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SC) exis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LCC, the Korean aviation industry has recorded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In 2011, with the activation of LCC business, domestic passenger transportation increased rapidly by 92% for domestic flights and 204% for international flights compared to 2005. COVID-19, a new respiratory virus, spread worldwide in February 2020. No one could have imagined until January 2020 that this crisis in the global aviation industry would last for a long time. From March 2020, excessive competition began on domestic routes to overcome the COVID-19 crisis, and employee leave, which began to reduce fixed expenses due to the deteriorating business situation, was prolonged without a promise. Airline pilots also took a leave of absence depending on the management situation of each company.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ize and method of leave of absence for each airline, long-lasting leave of absence reduced pilots' competence and skills, and increased stress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company. Pilots' unwanted leave of absence was prolonged, and pilots with reduced operational experience were in a difficult situation to maintain their individual abilities and skills. The majority of Korean FSC's A380 pilots were suspended from operating the aircraft because A380 operations were stopped and they were unable to maintain their currency using the simulator. B737 pilots on long-term leave of absence from Korean LCC A were trained with simulators during their leave of absence to meet only the minimum take-off and landing conditions specified in recent flight experience in the Aviation Safety Act Enforcement Regulations. In this study, detailed factors for safe fligh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o analyze the effect of long-term leave of airline pilots on saf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ilots' abilities and skills on actual flight operation after experiencing a long-term leave of absence based on data,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safe operation, and to respond to possible long-term leave due to other factors that may occur again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202 pilots from FSC and LCC who experienced long-term leave responded to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alidity verifi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4 program.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including the effect of long-term leave on safe flight, and a demographic analysis of the flight experience of pilots and the flight environment changed by COVID-19 was also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onger the leave of absence period, the PF operation period, crew operation perio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operation errors and procedural errors during flight oper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ore experienced pilots with more flying hours, the lower the frequency of aircraft operation errors. In addition, as the leave of absence was prolonged, job insecurity was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in stress, and compensation satisfaction due to reduced wage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f the company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lower job satisfaction. As for the effect of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safe flight, it was confirmed that the pilot's operation error increased when the stress increased, and the pilot's operation error decreased when job satisfaction increas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any to which the pilot belongs and the type of flight was also confirmed through analysis. COVID-19 has taken an unprecedented toll on the global aviation industry. Although the aviation industry is gradually recovering,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take a little more time to normalize the level before COVID-19.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long-term leave of pilots has an effect on the safety of aircraft operation. It is believed that pilot management plans and training programs of the government and airlines will be essential to prepare for unexpected situations in the future using the current situation as a good lesson.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provide the exact time for training and specific plans for the program, it is hoped that a good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prepared in future studies.

      • 조종사와 항공교통관제사의 JCRM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진엽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this study, we expanded the application of JCRM conducted by airlines based on the Aviation Safety Law to air traffic controllers, and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culture, and other aspects of mutual disagreement between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regarding safe operation. Try to reach mutual understanding about the factors. .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is whether there is a misunderstanding of procedures and instructions between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which they feel through actual flights, due to differences in awareness and culture of safe operation, or other factors. became. If the two groups of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understand each other's set of procedures and the tasks they must follow, they will be more flexible when faced with a situation similar to the previous metaphorical situ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control the aircraft. Worldwide aviation accidents and quasi-accidents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since the day the airplane was invented. According to statistics published by various official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as air traffic increases, aircraft accidents and quasi-accidents increase at the same rate. Vast air transport market supply and air traffic growth are accompanied by aircraft accidents and quasi-accidents in equal proportions. Aircraft and air traffic control systems are becoming more advanced and automated, but humans are not. Looking at actual accident cases, the number of accidents due to human factors is increasing more than technical factors. It is said that human factors do not occur independently in a certain group, but are compounded by elements of multiple groups. In particular, a large portion of the total is due to complex factors between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who are the main players in flight. As the aviation industry develops and grows, management for accident prevention of individual groups is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but integrated management for safe ope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 carried ou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chieve integrated management of safety and education for safe operation between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through JCRM.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definitions and concepts of CRM and JCRM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afety and education. Derived. We then converged the expert opinions through Delphi techniques to derive the final factors for the hierarchical decision-making method (AHP). After that,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incumbent airline captain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as the final factors derived. Analysis shows that both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highly value the 'knowledge sharing' factor and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flight safety, and that a new program that meets the expectations of both groups requires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s. I understood it. .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both groups to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It turned out that there is, and that it is expected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JCRM was applied to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from this point of view, and a new method for safe operation was tri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both groups have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factors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afe operation, so in the future, methods of safe operation developed by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air traffic controllers and JCRM will be explored. I hope that. 본 연구는 항공안전법에 따라 항공사에서 수행 중인 JCRM을 항공교통관제사와 하도록 확대 적용하여 안전 운항에 관련하여 조종사와 항공교통관제사 간의 상호 불일치되는 인식, 문화 또는 다른 요인에 대하여 서로 간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실제 비행을 통해 느꼈던 조종사-항공교통관제사 간의 안전 운항에 대한 인식과 문화, 또는 다른 요인에서 오는 차이점이 절차와 지시에 대하여 서로 간의 오해가 있는가라는 의문이 연구의 시발점이 되었다. 조종사와 항공교통관제사 두 집단이 서로가 수행하는 일련의 절차와 지켜야 하는 과업들을 이해한다면 앞서 비유한 상황과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보다 유연한 운항과 관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계의 항공기 사고 및 준사고는 비행기가 발명된 날부터 현재까지 끊이지 않고 계속 발생하고 있다. 세계 여러 공식기구에서 발표하는 통계 자료에 의하면 항공교통량이 증가할수록 항공기 사고 및 준사고는 같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엄청난 항공운송시장의 공급량과 항공교통량의 증가는 같은 비율로 항공기 사고 및 준사고를 동반하고 있다. 항공기와 항공교통관제 시스템 등은 첨단화되고 자동화되어 가지만 사람은 그렇지 못하고 있다. 실제 사고사례를 보더라도 기술적 요인보다는 인적요인에 의한 사고 발생이 더 많고 증가하고 있다. 인적요인은 어느 한 집단에서만 독립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여러 집단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발생한다고 한다. 특히 비행의 주체가 되는 조종사-항공교통관제사 간의 복합 요소가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다. 항공 산업이 발전하고 성장하는 가운데 개별 집단의 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는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두 집단 간의 안전 운항을 위한 통합적인 관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종사-항공교통관제사 간의 안전 운항을 위한 안전 및 교육의 통합적인 관리를 JCRM을 통해서 이루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안전 및 교육의 통합적 관리를 위해 CRM과 JCRM의 정의와 개념을 알아보고, 여러 사고사례 분석과 선행 연구를 통해서 조종사-항공교통관제사 간의 안전 운항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이후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을 위한 최종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된 최종 요인으로 현직 항공사 기장과 항공교통관제사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종사와 항공교통관제사 모두 안전 운항에 대하여 ‘지식공유’ 요인과 ‘타 분야의 이해’를 높게 평가하여 두 집단의 기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통합된 관리와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안전 운항에 대하여 지식공유라는 요인에서 상호 기대적이라는 점, 상황인식과 상호협력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한 점에서 미루어 볼 때 두 집단이 서로 이해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의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고 검토되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JCRM을 조종사와 항공교통관제사로도 확대 적용하여 안전 운항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두 집단이 안전 운항의 영향 관계에 여러 요소가 있음을 확인하였음으로, 향후에는 항공교통관제사와 JCRM을 확대 적용하여 발전된 안전 운항의 방법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조종사 자격증명 정립에 대한 연구

        강도현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UAM 운영이 현실화됨에 따라 이를 운영하는 조종사에게 요구되는 자격증 명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현행 항공안전법이나 운항기술기 준이 제정되지 않은 UAM의 운용자인 조종사 관련 자격증명의 기준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고찰과 사례연구에 기초하여 관련 기준을 정리하여 도출된 UAM 조종사에 대한 자격 기준에 대한 검증을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다음 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K-UAM은 수직이착륙기의 특성을 가지고, 제한지 이착륙 수행과 저고도 운항을 한다는 측면에서는 헬리콥터의 운영과 유사하나 조종사의 자격은 별개의 영역으로 접근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동향을 고려할 경우 미국의 Category를 기반으 로 하는 자격증명 제도를 준용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새로운 형태의 자격증명제도를 도입 하기 보다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승객(화물) 운송을 위해 필요한 기장(PIC)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가장 적합한 자격증명은 사업용 조종사이며, 테러를 포함한 보안위협 등을 고려할 때 자격증명은 내국인으로 한정하여 부여하는 것이 적절하 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UAM은 기존 항공기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까지 제시된 운항 기준을 고려할 경우 기존 자격증명을 제한하기보다는 특정 항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들은 UAM 조종사 자격증명 응시를 위한 야외비행에 대한 조건은 향 후 RAM의 형태로 장거리를 운항한다고 해도 1.5시간 이내의 운항시간이므로 기존 항공 안전법에서 제시한 기준보다 거리로 규정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이었으며, 기존에 비행 기나 헬리콥터의 자가용 조종사 자격에서는 계기비행에 대한 경험을 요구하지 않았던 반 면, K-UAM은 운영 특성을 고려할 때 계기비행 경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조종사 자격증명 응시를 위한 기본 응시조건으로 사업용 조종사는 21세 이상의 항공 신체검사 1종을 보유한 내국인이어야 하며 국내, 해외 비행기, 헬리콥터 사업용 조 종자격증명 보유자 중 UAM 전문교육기관의 전환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UAM 계기비행 증명을 취득한 자여야 한다. 추가로 UAM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 보유자도 응시 할 수 있는 조건으로 제시 가능한데 더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반영하여야 한다. 자가용 조 종사의 경우 연령은 기존 비행기, 헬리콥터 자가용 조종사의 기본 응시 연령인 17세보다 강화된 기준 적용이 필요하며, 항공 신체검사 2종을 보유한 내국인으로 국내, 해외 비행 기, 헬리콥터 자가용 조종자격 증명 보유자 중 UAM 전문교육기관의 전환교육 과정을 이 수한 자 이거나 비행기, 헬리콥터 자가용 조종자격 미보유자 중 UAM 전문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이수한자여야 한다. 넷째, 조종사 자격증명제도 응시를 위한 비행경험은 사업용 조종사는 최소 비행시간 150시간 이상이여야 하며, 기장시간은 UAM 기체 특성상 1인 조종사를 운용하는 점을 감 안 시 기존 비행기, 헬리콥터보다 기준을 강화한 100시간 내외의 시간을 보유해야하며, 야외비행의 경우 기존 비행기 기준의 20시간 내외로 설정하고, 계기비행 경험은 시간을 제한하기보다는 PBN 기반 계기비행 자격증명을 보유한 자 또는 이와 유사한 기준을 제 시하여야 한다. 자가용 조종사는 최소 비행시간에 대해 기존 비행기, 헬리콥터 최소 비행 시간인 40시간보다는 강화된 기준을 제시해야 하며, 기장시간은 기존 비행경험인 10시간 내외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야외비행시간의 경우 5시간 내외로 설정해야 하며, 앞서 제시한것과 같이 기존 비행기, 헬리콥터 자가용 조종사와는 달리 계기비행에 대한 경험을 요구하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K-UAM 조종사 자격증명별 업무 범위는 사업용 조종사의 경우 자가용 조 종사의 자격을 가진 사람이 가진 행위를 할 수 있고, UAM 운영자에 의해 승인된 무상으 로 운항하는 UAM을 보수를 받고 조종하는 행위를 할 수 있으며, UAM 운송사업에 사용 하는 항공기(1명의 조종사가 필요한 UAM 해당한다)를 조종하는 행위를 할 수 있다. 또 한 자가용 조종사의 경우 무상으로 운항하는 UAM을 보수를 받지 아니하고 조종하는 행 위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제시되지 않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조종사 자격 증명 부여를 위한 기준점을 마련하여 본 연구와 향후에 진행될 연구를 토대로 법적 근거 를 마련하는데 있어 참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UAM(도심항공교통), eVTOL, 조종사, 자격증명, 델파이

      • 항공정비사의 자세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태윤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항공정비사의 자세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에 보유된 항공종사자 피로관련 연구보고서 및 논문자료를 분석해보면 최근 10년간 조종사 피로 관리는 20건, 관제사는 7건인데 반하여 항공정비사는 2건에 불과하다. 이러한 현실은 항공정비 직무환경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서 항공정비사의 피로는 작업성과뿐만 아니라 항공기 및 개인 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항공정비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고찰하고 수면에 대한 조직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정비 직무환경을 비롯하여 피로의 개념, 항공정비사의 피로관리 등에 대해 고찰하고, 공군 항공정비조직을 대상으로 항공정비사의 자세(attitude)를 기반으로 피로의 수준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피로 수준 측정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들을 일상적인 피로유형과 직무자세로 분류하여 내용이 유사한 설문내용을 취합하는 과정을 거쳐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계급이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자긍심이 높아 긍정적인 자세를 통해 피로관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 복무년수가 5~10년 미만인 군인의 경우에도 승진 및 장기복무에 대한 신념이 반영되어 긍정적인 자세로 피로관리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10시에 출근하여 야간비행 지원 후 퇴근하는 시차제의 경우, 야간비행 지원 다음날 조기출근으로 인한 피로감이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시차제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할수록 항공정비사의 자세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정비사의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항공정비사의 효율적인 피로관리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항공정비사의 자세에 관한 모든 하위요인은 피로의 각 하위요인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이며 항공정비사의 긍정적 자세는 피로 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핵심어 : 항공정비사, 항공정비직무, 항공정비조직, 피로관리, 직무자세 A Study on the Effect of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s Attitude on Fatigue Kim Taeyoon Department of Aviation Maintenanc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Aeronautical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Hanseo University (Advisor : Prof. Kim Chun Yong, Ph. 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and thesis data related to fatigue of aviation workers owned b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In the past 10 years, there have been 20 cases of pilot fatigue management and 7 cases of air traffic controllers, while only 2 cases of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 fatigue management. This reality does not reflect the job environment of aviation maintenance, and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s fatigue can affect not only work performance but also aircraft and personal safety,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actors that may affect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s fatigue and manage sleep systematical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job environment of aviation maintenance, the concept of fatigue, and fatigue management of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level of fatigue based on the attitude of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 for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viation maintenance organization. To this end, through previous studies on fatigue level measurement methods, the questionnaires used in previous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daily fatigue types and job positions, and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rough a process of collecting similar content, setting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and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class, the higher the self-esteem for the job, and the higher the level of fatigue management through positive attitude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soldiers with a military service period of less than 5 to 10 years, the level of fatigue management was high with a positive attitude, reflecting their beliefs about promotion and long-term service. also, in the case of the time difference system that goes to work at 10 o'clock operated by the military and leaves work after supporting night flights, it was proved that the fatigue from early work the day after night flight support was high. The more it was recognized that the time difference system was helpful, the higher the attitude of the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 mechanic's positive mindset led to efficient fatigue management of the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 This means that all sub-factors of the attitude of the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 are closely correlated with each sub-factor of fatigue, and that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 decreases the level of fatigue. Keyword : Aviation maintenance mechanic, Aviation maintenance duties, Aviation maintenance organization, Fatigue management, Job attitude

      • 역량기반의 항공정비사 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미진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2011년 ICAO에서는 항공정비사 교육훈련 및 자격시험에 역량기반훈련(competency based training)을 도입하도록 체약국에 의무화 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21년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12] 전문교육기관 지정기준에 역량기반의 교육 및 평가를 하도록 법규에 추가 개정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항공정비사 교육에 역량기반훈련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여 역량기반의 항공정비사 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역량(competency)과 역량기반교육훈련(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raining)의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 하였으며 교육기관과 훈련생의 표본적 특성에 따른 역량요소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의 훈련생들이 성별과 교육기간에 따라 역량 수준의 차이가 있으며, 타 역량에 비해 전문적인 기술지식(technical expertise)이 낮고, 실습수업 시 항공기 및 엔진 모델에 관련된 매뉴얼과 신기술이 반영된 최신 자료의 활용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통해 우리나라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이 지식, 기술, 태도의 역량을 갖춘 항공정비사를 배출하기 위한 역량기반훈련 개선방안을 제시 할 수 있었다. In 2011, the ICAO made it mandatory for Contracting States to introduce competency-based training in aviation technicia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tests. In 2021, the Republic of Korea revised the Enforcement Rule of the Aviation Safety Act [Attachment 12] to provide competency-based training-and-assessment to the designation criteria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competency-based aviation technician education by reflecting the trend of introducing competency-based training in aviation technician education.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competency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raining were considere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factors according to the sampl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rainee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rainees at domestic aviation technicia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differ in competency level according to gender and training period, have lower technical expertise than other competencies, and lack the use of the latest data reflecting aircraft and engine models and new technologies data.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Korea's aviation technician specialize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ble to suggest ways to improve competency-based training to produce aviation technicians with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 비행전문교육기관 항공종사자 간의 관계가 운항성과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병훈 한서대학교 항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기존 항공인적요인 관련 선행연구들이 항공운송사업을 영위하고 대형 항공기룰 운영하는 항공사들에 초점을 맞춰 항공정비사와 조종사들의 갈등과 협업 또는 그 협력 정도가 안전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비행전문교육기관을 포함한 일반항공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전문교육기관에서 항공정비사와 조종사의 공유가치, 신뢰, 의사소통, 갈등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수들이 운항성과와 업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항공정비사와 조종사의 관계와 협업에 관한 변수들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할 수 있도록 연구 문제와 설문을 만들었다. 우리나라 비행전문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항공정비사와 조종사에게 설문을 시행하여 공유가치, 신뢰, 의사소통, 갈등, 운항성과, 업무만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항공정비사와 조종사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항공정비사와 조종사 간의 신뢰, 의사소통, 갈등, 운항성과, 업무만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유가치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항공정비사와 조종사 간의 공유가치, 신뢰, 의사소통, 갈등이 운항성과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항공정비사와 조종사 간의 신뢰, 의사소통, 갈등은 운항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유가치는 운항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정비사와 조종사 간의 신뢰, 의사소통, 갈등은 업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유가치는 업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항공사 중심의 선행연구들과 배치되는 결과로 비행전문교육기관만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항공정비사와 조종사 간의 신뢰가 높을수록 업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결과는 항공정비사와 조종사들의 운항성과를 높이고, 업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호신뢰와 의사소통을 높이고 상호갈등을 낮출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비행전문교육기관에서의 운항성과와 업무만족을 높이는 방안과 항공정비사와 조종사 간의 관계 연구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revious studies on aviation human factors have focused on airlines that operate large aircraft,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uch as the conflict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and the impact of their cooperation on safety. However, not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flight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hared value, trust, communication, and conflict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and to investigate how these variables affect on flight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and variables related to collaboration, and research questions and surveys were crea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o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working at a total of four flight education institutions to investigate shared value, trust, communication, conflict, flight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was compar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rust, communication, conflict, flight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 but there was difference in shared value. In addition, the effects of shared value, trust, communication, and conflict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on flight performance and work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rust, communication, and conflict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light performance, but shared valu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flight performance. Trust, communication, and conflict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shared valu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higher the trust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suggesting that institutional mechanisms to enhance mutual trust and communication and reduce mutual conflict are needed to improve the flight performance of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on how to improve flight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t flight education institutions an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craft mechanics and pil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