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민현정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ulturation, acculturation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impact of policy suggestions for Korea's foreign students in adjusting to Korean university life, A questionnaire in Korean and Chinese was used to survey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Korea about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to university lif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PC+Win. 18.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ifference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for separation of acculturation, men scored higher than women. For marginalization, it increased according to length of stay. For separation, it was higher when the period was shorter. Second, higher age was related to more acculturation stress. A greater sense of discrimination was related to a longer period of stay. The highest levels of homesickness were related to a stay of less than two years. Feelings of discrimination increased along with length of stay. Hostility was related to a shorter length of stay. Fear and culture shock were related to longer lengths of stay. Movement of the group was higher with a stay of longer than six months. Third, social distance increased with length of stay. Fourt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higher with a longer length of stay. 2)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broad First, in the sub-areas of acculturation, while maintaining the motherland's culture, for those who accepted the new culture of the country and at the same time accepting language training, undergraduat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graduate students. Also, for assimilation, which does not maintain the culture of their home country but only accepts the new culture, undergraduate, graduate, and exchang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language training students; undergraduates scored higher than graduate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acculturation stress, the ranks of exchange students,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were higher than those of language training students. Homesickness problem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higher than language training and exchange students. Also, for the hostility of the students,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language training and exchange students. Graduate student fea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nguage training students. Cultural shock for the exchang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aduate students. The guilt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exchange students, and that of exchang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language training students. Other factor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exchange student, and those of exchang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language training students. Movement of exchange and undergraduate students was higher than of language training students. Third, the social distance for language training and graduat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change students and undergraduates. Regard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anguage training and graduat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the exchange students and undergraduates. For academic adjustment and adaptations to university life, language training students ranked higher than undergraduates. For social adaptation, the language training, exchan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the undergraduates. 3) Correlation between the acculturation, acculturation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to university life First,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were related to a lower academic adjustment; higher academic adjustment was related to higher social distance and Korean ability. Second, higher marginalization of acculturation, discrimination, fear, culture shock, and other such factors were related to social distance and movement towards decreased social adaptation. A higher social adaptation was related to increased social distance and Korean ability. Third,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distance, and higher Korean ability were related to lowered personal adaptation. Fourth, an increase in the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decrease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4)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First, the sub-areas affected by variables influenc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ulturation, acculturation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impact of policy suggestions for Korea's foreign students in adjusting to Korean university life, A questionnaire in Korean and Chinese was used to survey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Korea about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to university lif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PC+Win. 18.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ifference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for separation of acculturation, men scored higher than women. For marginalization, it increased according to length of stay. For separation, it was higher when the period was shorter. Second, higher age was related to more acculturation stress. A greater sense of discrim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감 및 한국어 능력이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외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H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및 중국어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설문지는 중국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능력수준,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SPSSPC+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평균비교분석(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곡선추정 및 매개효과분석(Sobel’s test) 등의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유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첫째, 문화적응의 분리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으며, 동화와 주변화는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았고, 분리는 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체류기간이 길수록 차별감을 더 많이 느끼고, 향수병은 체류기간 1년에서 2년 미만의 경우 가장 높았고, 차별감은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았다. 그리고 적대감은 체류기간이 짧을수록 높았고, 두려움은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문화적 충격은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그리고 이사는 6개월 이상의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거리감은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어 능력은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2) 중국 유학생의 유학과정에 따른 차이 첫째, 문화적응의 하위영역별로 보면, 모국의 문화를 유지하면서 이주한 국가의 새로운 문화를 동시에 받아들이는 통합은 어학연수와 교환학생 및 학부생이 대학원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국 문화를 유지하지 않고 새로운 문화만을 수용하는 동화는 교환학생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분리는 어학연수가 학부생보다 높고 학부생이 대학원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차별감은 교환학생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향수병은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어학연수와 교환학생보다 높았다. 그리고 적대감은 교환학생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두려움은 대학원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문화적 충격은 교환학생이 대학원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죄책감은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교환학생보다 높았으며 교환학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타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교환학생보다 높고 교환학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끝으로 이사는 교환학생과 학부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거리감은 어학연수와 대학원생이 교환학생과 학부생보다 높았으며, 한국어 능력의 경우 어학연수와 대학원생이 교환학생과 학부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의 학업적응은 어학연수가 학부생보다 높고, 사회적 적응은 어학연수와 교환학생 및 대학원생이 학부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만족도는 어학연수가 대학원생보다 높고 대학원생이 학부생보다 높았다. 3)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 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 간 상관관계 첫째,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학업적응은 낮아지고,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 능력이 높아지면 학업적응은 높아졌다. 둘째, 문화적응에서 주변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차별감, 적대감, 두려움, 문화적 충격, 기타, 사회적 거리감, 그리고 이사가 높아지면 사회적 적응은 낮아지고, 사회적 거리감과 한국어능력이 높아지면 사회적 적응은 높아졌다. 셋째,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감 그리고 한국어 능력이 높아지면 개인적응은 낮아졌다. 넷째, 문화적응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만족도는 낮아지고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 능력이 높아지면 대학만족도가 높아졌다. 4)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변인 첫째,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 능력, 그리고 문화적응의 동화, 분리, 통합, 주변화의 모든 하위영역들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 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향이 사회적 거리감이나 한국어 능력과 같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5) 중국 유학생의 체류기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변화 학업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생활 만족도는 체류기간의 증가에 따라 다소 곡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의 통합과 대학생활 적응의 개인적응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완전 매개하였고, 분리와 학업적응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 또한 완전 매개하였으며, 동화와 대학만족도와의 관계에서도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완전 매개함을 증명하였다.

      • 치과감염관리에 관한 환자의 인식도와 만족도에 따른 재이용 의사

        조주희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치과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인식도와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그에 따른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20년 10월 1일부터 20일까지 치과에 내원한 경험이 있는 의료소비자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일반적 특성 5문항, 치과 방문 경험에 관한 문항 4문항, 치과감염관리에 관한 인식도 문항 7문항, 만족도 문항 10문항, 재이용 의사 문항 6문항으로 총 3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SPSS Window Program 21.0 version IBM, United states)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과감염관리 인식도의 현황은 ‘환자를 치료할 때 치과 의료진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가 4.70±0.6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의 현황에서는 ‘진료 시 마스크를 사용하였다’가 4.27±0.6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이용 의사의 현황에서는 ‘다음에 이 병원을 다시 이용하겠다’와 ‘전반적인 서비스 질에 대체로 만족한다’가 3.58±0.9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는 성별에서는 ‘여성’이 4.06±0.53점, 연령에서는 ‘20대’가 4.10±0.56점, 거주지에서는 ‘특별시, 광역시’에서 3.99±0.63점,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졸업이상’이 4.07±0.57점, 직업에서는 ‘전문직 및 기술직’이 4.20±0.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과감염관리의 만족도는 연령에서는 ‘20대 이하’가 4.24±0.83점,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졸업이상’이 3.90±0.71점, 직업에서는 ‘학생’이 4.16±0.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는 ‘최근 1년간 치과 의료기관을 방문한 적이 없다’가 4.07±0.55점, ‘마지막으로 치과 의료기관을 방문한 이유가 비관헐적 치료일 때’가 3.97±0.5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마지막으로 내원한 치과의료기관 형태가 ‘치과병원 및 대학병원’이 4.09±0.6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 및 만족도, 재이용 의사 간의 관련성은 인식도와 만족도(r=0.542, p=0.000), 인식도와 재이용 의사(r=0.354, p=0.000), 만족도와 재이용 의사(r=0.489, p=0.000)간에 유의한 양의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감염관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에 대한 수정된 설명력은 16.2%, 치과감염관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연령, 거주지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에 대한 수정된 설명력은 11.4%,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성별, 인식도,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에 대한 수정된 설명력은 26.5%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 재이용 의사간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의료소비자의 재이용 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식도와 만족도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치과의료소비자의 입장에서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실태나 인식에 대해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며, 치과의료진은 치과의료소비자의 인식도와 만족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targeting dental health consumer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the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use it. From October 1st to 20th, 2020, a survey was conducted of 243 medical consumers with experience visiting dentis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total of 32 questions, consisting of 5 general characteristics, 4 questions about dental visitation experience, 7 questions on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10 questions on satisfaction, and 6 questions on intention to reuse. SPSS Window Program 21.0 version IBM, United states) was used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Got it. As for the status of awareness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the highest point was 4.70±0.65 points of ‘I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dental staff to wear a mask when treating patients’. In the status of satisfaction, ’I used a mask at the time of treatment' is the most common with 4.27±0.67 points. In the state of intention to reuse, 'I will use this hospital again next time' and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service' received the highest score with 3.58±0.91 poin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was 4.06±0.53 points for ‘female’ by gender, In terms of age, '20s' is 4.10±0.56 points, In residence, 3.99±0.63 points in 'Seoul Special City, Metropolitan City', In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is 4.07±0.57 points, In terms of occupation, 'professional and technical occupation' was the highest with 4.20±055 points. In terms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ntal visit experience, the last type of dental institution visited was the highest at 4.09±0.67 points for 'dent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and the intention to re-use is the releva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r=0.542, p=0.000), the perception and intention to reuse(r=0.354, p=0.000), and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r=0.489, p=0.000)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were sex, age, and final education, and the revised explanatory power for this model was 16.2%, and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were age and residence The revised explanatory power for this model was 11.4%, and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reuse were sex,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revised explanatory power for this model was 26.5%.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dental infection managem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reuse dental care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o this e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ental medical consumers is required, and dental staff need to grasp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medical consumers.

      •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분석 연구 :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와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임현민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Career competency is a concept that includes overall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job preparation. It is a concept that combines the concept of job search for finding a job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required to perform a certain task. Today's companies use the so-called specifications as the basis for recruitment, and job seekers spend most of their school days preparing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employment. The hair beauty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lso educates the basic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of the beauty job required in the field, and in addition to knowledge and skills, it is focusing on character education for attitude and adaptation required by the industry. However, many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ists still have difficulties finding employment, and school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m find employment. In particular, when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industry are heterogeneous, time and cost of re-education are incurred even after hiring. Therefore,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areer competency recognized by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competency required by beauty-related industri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areer competency required for successful employ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in career guidance for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for about one month from March 15, 2021 to April 15, 2021 by selecting students from the hair beauty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hairdressing practitioners as research subjects. The data finally collected were 303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305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which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paired sample t-test, and IPA analysis were perform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of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ttitud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and the importance of skill was analyzed as the relatively low competency. Also,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In terms of achievement, attitude was the highest and skill was perceived the lowe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gender, region, and grad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achievement, the difference in foreign language 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career capabilities of practitioners in the hair and beauty field, attitud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and knowledge was analyzed as the relatively least importa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importa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position, and type of hairdressing salon. In terms of achievement, adaptation was the highest and knowledge was perceived as the lowe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recogniz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region, and type of hairdressing sal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achieve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difference in foreign language 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difference in writing resume and self-introduction was the lowes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between cosmetology stud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y studen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ively high and showed high achievement in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hair and beauty had relatively high achievement in skill. Fourth,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ies of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ll and hairdressing practitioners ,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y students, the competencie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are self-understanding ability, ability to understand the field of employment, general knowledge, positive work attitude, challenge spirit, work ethic, field job performance ability, teamwork, problem 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ability were show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derived as a competency that showed high satisfaction compared to low importance. The items with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foreign language ability, decision-making ability, information search ability, human network usage ability, resume and self-introduction ability, global mind, and computer usage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low achievement compared to high importance were analyzed as grades and certifications, and presentation ability during interviews. In the case of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the competencies with high importance and achievement are self-understanding ability, employment field understanding ability, decision-making ability, interview ability, positive work attitude, challenging spirit, professional eth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ield job performance ability, teamwork, problem-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high achievement compared to low importance were information search ability, resume and self-introduction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low importance and achievement were credits and certificates, foreign language skills, general knowledge, human network utilization, global mind, and computer utiliz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no item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achieve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cosmetology students' career competency, and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current job, intensive employment education is conducted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strengthen the cosmetology students' career ability, and based on this, it will be needed to guide them to help them find a job in the beauty field. 구직역량은 취업 준비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총체적인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직업을 구하는 구직의 개념과 어떠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의 개념이 결합된 개념으로 직장을 구하고 그곳에서 적응하기 위해 구직자가 갖추어야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오늘날 기업체에서는 소위 스펙이라는 지원자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채용의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구직자들은 학교생활의 대부분을 취업에 필요한 역량을 준비하며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역시 현장에서 요구하는 미용 직무의 기본 실무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있으며 지식, 기술 이외에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태도 및 적응을 위한 인성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 전공자들은 취업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교는 이들의 취업지도를 돕기 위한 중대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특히 학교의 교육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이질적인 경우, 채용 후에도 재교육이라는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구직역량과 미용 관련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비교 분석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구직역량을 분석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1년 3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약 한 달간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데이터 수집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 303부,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 305부이며 이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대응표본 t-test 및 IP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인식을 분석한 결과, 태도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에 따라 지식 역량의 중요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도에 있어서도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술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 지역, 성적에 따라 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 능력에 대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 대한 차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을 분석한 결과, 태도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경력, 직급, 미용실 형태에 따라 중요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도에 있어서는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경력, 지역, 미용실 형태에 따라 차이가 인식되었다.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 능력에 대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에 대한 차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지식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태도에 대한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는 상대적으로 기술에 대한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의 경우, 유지강화가 필요한 역량은 자기 이해능력, 취업 분야 이해능력, 일반상식, 긍정적인 업무태도, 도전정신, 직업윤리, 현장직무 수행능력, 팀워크, 문제해결 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으로 나타났다. 낮은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역량으로는 조직몰입이 도출되었다.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항목으로는 외국어 능력, 의사결정 능력, 정보탐색능력, 인적 네트워크 활용능력,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능력, 글로벌 마인드, 컴퓨터 활용능력으로 분석되었다. 높은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가 낮게 나타난 역량으로는 학점 및 자격증, 면접 시 발표능력으로 분석되었다.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경우,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은 역량은 자기 이해 능력, 취업 분야 이해능력, 의사결정 능력, 면접 시 발표능력, 긍정적인 업무태도, 도전정신, 직업윤리, 조직몰입, 현장직무 수행능력, 팀워크, 문제해결 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으로 분석되었다. 낮은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가 높게 나타난 역량은 정보탐색능력,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능력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역량은 학점 및 자격증, 외국어 능력, 일반상식, 인적 네트워크 활용능력, 글로벌 마인드, 컴퓨터 활용능력으로 나타났다. 중요도가 높으나 성취도가 낮은 항목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현직에서 요구되는 역량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취업 교육을 실시하여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미용 분야로의 구직활동을 도울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관계에서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보상만족의 매개효과

        박헌회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Today, the aviation industry is growing and developing around the world due to the increase in trade between countries and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living standards.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e aviation industry was at its best. Due to this influence, flight attendants worked for flight hours close to the limit suggested by the Aviation Act. This caused excessive work stress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Excessive work, insufficient wages for labor, and unfair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led to conflicts with the organization, which in turn led to a decrease in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se organizations and the flight crew, continuou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However,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which started in 2019,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has gone through a period of downturn.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global COVID-19 epidemic, all countries have attempted to contain the epidemic through shutdown. Curr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VID-19 vaccines and therapeutics, the aviation industry is coming out of a recession and passing the time of WITH COVID-19. We are now preparing for the end of the pandemic and post-pandemic. However, during the time with the pandemic, the number of flights operated by airlines decreased rapidly, and the flight hours of flight attendants also decreased rapidly.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aircraft operated caused the airline's bankruptcy and survival crisis. For airline workers, it caused new stresses such as reduced wages and uncertain working conditions, and created a different kind of stress from the excessive flight work before the pandemic. In the end, the job stress of flight crews is always present for various reasons, not just due to flight working hours. Various efforts must be mad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reducing job stress by solving the root caus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problem awareness related to the flight crew's job stress, this thesis studie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flight crews using achievement desire,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s parameters. And by compa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average of each variabl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250 flight attendants of domestic private airlin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ward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However, al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ward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e correlation was low compared to other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rewar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chievement need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fairness. By compa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mean of each variable, it was fou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origin in rewar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co-pilot's compens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aptain.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Compens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for singles than for married on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origi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by job pos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origi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job title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tress by age, the average difference in job stress between those in their 40's and 50's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eople in their 40's receive more job stress than those in their 50s. In terms of job stress by company, there were differences by company. In particular, the job stress of Korean Air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Jin Ai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by university or age group. Regarding job satisfaction, there were no average differences by company or universit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y age group regarding reward satisfaction. In the difference between reward satisfaction in their 40s and 20s, it was found that those in their 40s had a greater sense of reward satisfa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by company.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reward satisfaction by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Hanseo University had higher reward satisfaction than general 4-year universiti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hievement needs by age group, company, or univers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age group or company regarding organizational fairness. The average difference was confirmed by university of origi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ose who graduated from Hanseo University had higher organizational fairness than the Air Force Academy, Korea Aerospace University, general four-year universities, and other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to 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lso, organizational fairness showed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as confirmed for reward satisfac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mediating effect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However, when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mediate in the middle,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leading to job satisfaction. Also, due to the indirect effect of rewar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show any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to job satisfaction. Next,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to job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s showed a very high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need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re as follow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However, when achievement need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were input as mediating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only achievement need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achievement need has a very strong effect as a mediating factor that lowers job stress and leads to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mmary of the major research results so far, the compensation system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f a company do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by lowering job stres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when individual achievement need increased, job stress decreased and job satisfaction increased.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are increased by developing a program to satisfy achievement ne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flight crew member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rew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stable flight operations. 오늘날 국가 간의 무역 증대와 개인 생활수준 향상으로 항공운송산업은 세계적으로 성장 및 발달하고 있다. COVID-19 팬데믹(pandemic) 이전 항공업계는 최고의 호황을 누렸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운항승무원들은 항공법에서 제시하는 한계치에 가까운 비행시간을 근무하였다. 이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였고, 과도한 업무와 노동대비 부족한 임금, 공정하지 못한 조직의 운영은 조직과의 갈등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곧 조직에 대한 충성도의 감소로 이어져, 이러한 조직과 운항승무원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이와 관련된 계속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9년부터 시작된 COVID-19의 영향으로 항공운송산업은 침체기를 겪게 되었고, 전 세계적인 COVID-19 유행의 전파를 막기 위하여 모든 국가가 셧다운(Shutdown)을 통한 전염병의 차단을 시도하였다. 현재 다양한 COVID-19 백신의 개발과 치료제의 개발로 항공운송산업은 침체기를 벗어나고 있으며 WITH COVID-19의 시간을 지나, 이제는 팬데믹 상황의 종료와 이후(Post-pandemic)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팬데믹과 함께하는 시간동안 항공사들의 운항편수가 급속히 감소하며 운항승무원들의 비행근무 시간 역시 함께 급속히 감소하였다. 항공기 운항편수의 감소는 항공사의 파산 및 존립의 위기를 초래하였고, 항공사 근로자에게는 임금의 감소 그리고 업무 여건의 불확실성 같은 새로운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팬데믹 이전의 과도한 비행근무로 겪었던 것과는 또 다른 종류의 스트레스를 생성하였다. 결국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비행 근무시간으로 인한 원인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으로 항상 존재를 하며,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 져야만 한다. 이와 같이,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련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성취욕구, 보상만족, 조직공정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각 변인에 대한 평균 비교를 통해 집단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라 국내 및 국제공항을 운항하는 국내 국적 민간 항공사의 운항승무원 250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을 수집하고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보상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존재하였다. 직무만족은 보상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유의한 정적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직무만족과 보상만족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으나 다른 변인들에 비해 상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만족은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취욕구는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각 변인에 대한 평균 비교를 통해 집단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보상만족에 대하여 출신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직급에 따라서는 보상만족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장보다는 부기장이 보상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여부에 따라 보상만족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기혼보다는 미혼일 경우 보상만족이 더 높았다. 직무스트레스는 출신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에 대해서도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혼 여부에 의해서도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직무만족 역시 출신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과 결혼 여부에 대해서도 직무만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스트레스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에서, 40대와 50대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차이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40대가 50대보다 직무스트레스를 더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별 직무스트레스에서는 항공사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한항공의 직무스트레스와 진에어의 직무스트레스가 비교하여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출신대학별, 연령대별로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만족에 대하여 항공사별, 출신대학별 평균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보상만족에 대해서는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40대와 20대의 보상만족의 차이에서 40대의 보상만족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별 보상만족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출신대학별로는 보상만족의 차이가 나타났다. 출신대학 중 한서대학교가 일반4년제 대학교보다 보상만족이 더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성취욕구에 대한 연령대별, 항공사별, 출신대학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연령대별, 항공사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출신대학별로는 평균차이가 확인되었는데, 특히 한서대학교 출신이 공군사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일반4년제 대학교, 기타 대학교보다 조직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보상만족, 조직공정성에 부적인 인과관계를 보였고, 또한 조직공정성은 직무만족에 대하여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보상만족은 직무만족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보상만족과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으로 향하는 관계의 인과관계는 확인되었으나 보상만족과 조직공정성이 중간에 매개할 경우 직무만족에 도달하는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보상만족의 간접 영향에 의해 조직공정성 역시 직무만족으로 가는 경로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다음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에 부적인 인과관계를 보였고,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성취욕구는 직무만족에 매우 높은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성취욕구와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으로 향하는 인과관계는 확인되었으나 성취욕구와 조직공정성이 매개변인으로 투입될 경우, 성취욕구만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중간 매개 역할을 하며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직무만족에 도달하게 하는 중간 매개요인으로서 성취욕구는 매우 강력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주요 연구 결과 요약내용에 따르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직무만족을 높이는 데 항공사의 보상체계 및 조직공정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개인의 성취욕구가 올라가면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성취욕구 충족 프로그램의 개발로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조직의 충성도를 높임은 물론 안정적인 항공 운항을 위한 승무원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하수슬러지의 자원화를 위한 성형연료의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안형철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내 하수슬러지는 50%이상이 2011년까지 해양투기 되었으나, 2012년부터 런던협약에 의거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소각, 탄화, 고화, 건조연료화 등 여러 감량화 기술로 처리되고 있다. 하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는 97∼99%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수슬러지의 1%를 차지하는 고형물의 대부분이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국가의 자원화 정책에 따라 탈수 후 건조시켜 발전소, 시멘트 생산시설의 보조연료로 활용이 권장되어 다수의 시설들이 설치되고 있으나, 단순 건조시설에 따른 LNG등의 과다 연료사용 등으로 자원화, 연료화의 문제점 등이 제기되고 있어 이에 따른 적절한 기술개발 및 대책 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단순한 처리보다는 연료로서의 가치에 중점을 두어 하수슬러지를 활용할 수 있는 설비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기존의 자원화 시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과 공정으로써, 탈수 공정시 화학적 전처리를 통하여 탈수능력을 극대화하여 60%내외의 함수량으로 기존의 시설용량, 연료사용량을 줄이고, 건조 공정시 기존의 LNG건조시설에 비해 연료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운동식 전기건조시설을 도입, 보다 경제적인 건조방식 채택하며, 10% 미만 수분함유 슬러지와 선별된 일반폐기물을 혼합 4,000 ㎉/㎏ 이상의 연료생산으로 하수슬러지의 자원화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본성형기의 성형소요시간은 1ton의 혼합시료를 성형하는데 31.8~115.0 min이 소요되었고, 원료 1ton 당 평균 전력소비량은 79.6㎾로 산출되었다. 성형이 완료된 고형연료의 크기는 모두 가로, 세로 22㎜ 내외의 정사각형 단면 형태이다. 생성된 고형연료는 단면이 원형이 아니므로 단면적으로 환산하여 비교할 경우 직경 14㎜ 정도로 품질기준인 직경 50㎜ 이내로서 적합하다. 본 실험을 통해서 생성된 고형연료의 제품에 대한 품질을 검토한 결과, 발열량은 슬러지와 폐기물의 혼합비율이 2:8일 때 최소 3,941㎉/㎏이며, 8:2일 때 최대 4,924㎉/㎏으로 분석 되었다. More than 50% of sewage sludge generated in Korea had been disposed of in a way of sea dumping till 2011 but since sea dumping has been prohibited by London Convention in 2012, sludge has been disposed of in a way of reduction such as incineration, carbonization, solidification or dried for fuel. Moisture content of the sewage sludg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ewage treatment is 97 ~ 99% and remaining 1% of solid waste is mostly organic waste which is recommended to dehydrate and dry to produce the auxiliary fuel for power plant and cement factory according to nation’s energy recycling policy and many facilities have been built, but excessive consumption of fuel including LNG simply for drying process causes the problem with resource recovery or fuel reuse and thus appropriate measures including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This study is intended to evaluate the system to reuse the sludge by improving such shortcomings as well as focusing on value using as fuel, instead of a simple process. As the technology and process to cope with existing facilities, it’s aimed at maximizing the dehydration capacity up to around 60% moisture content using chemical process so as to reduce the capacity of existing facility and fuel consumption and introducing kinetic electric drying system that reduces electric power consumption when comparing to existing LNG drying system, and thus, developing the technology to produce the fuel more than 4,000 ㎉/㎏ by mixing the sludge with moisture content less than 10% and selected waste. In the wake of the study, molding time required for 1ton of material is 31.8 ~ 115.0 minutes and power consumption per 1ton of material was estimated at 79.6㎾ and the shape of solid waste completed was in 22mm-long & wide square. It’s 14mm, when converting solid waste in sectional area, which was acceptable to quality standard requiring 50mm or les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quality of solid waste produced in this test, caloric value at sludge-waste mixing ration, 2 : 8 was 3,941㎉/㎏ and, 8:2 was 4,924㎉/㎏ in maximum.

      • 중국 명?청기 문묘(文廟)와 무묘(武廟)의 건축형식에 관한 연구

        곽항걸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31

        중국에서 성인(聖人)이라고 불리 울 수 있는 사람은 문성(文聖) 공자(孔子)와 무성(武聖) 관우(關羽)가 있다. 그리하여 공자(孔子)와 관우(關羽)를 같이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났고 중국 고대 위대한 정치가, 사상가와 교육가이다. 문묘(文廟)는 기원전 478년 노(魯)나라 왕이 묘를 건설하여 공자 제사를 제창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관우는 환제연희(桓帝延熹) 3년(160년)에 태어났고 219년에 세상을 떴다. 송(宋)시기부터 관우(關羽)는 민족영웅의 이미지로 전국적인 숭배를 받아왔다. 본 논문은 대표성 있는 문묘건축의 배치형식과 지붕의장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산시성(山西省), 허난성(河南省), 후베이성(湖北省)의 무묘건축의 배치형식 및 지붕양식과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가묘, 국묘 겸 가묘, 국묘, 학묘 이 4 개 유형의 공자묘를 비교분석하여 보면 대성전은 모두 대성문 안에 배치되고 있고 양측으로 회랑을 둘러치는 배치형식을 계획하고 있다. 배전(配殿)은 기타 건물에 부속되어 배치되고 있다. 가묘인 쟈센 문묘(郏县文廟)는 대성문 양측에 배전(配殿)을 건설하고 지역 발전에 공을 세운 자와 가족 중의 유학자들을 모시는 향현사(乡贤祠), 명환사(名宦祠) 건물을 배치하고 있다. 가묘, 국묘 겸 가묘, 국묘, 학묘 이 4 개 유형 공자묘의 격은 배치계획상 묘의 공간에서는 서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학의 공간에서 국묘의 격을 더욱 명확히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묘의 제례공간은 배전(配殿)과 정전을 포함한다. 무묘건축의 배전(配殿)건물에서 강한 지역특색을 반영하고 있다는 내용을 알 수 있다. 무묘건축에서 예배하는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정전이 배전과 대포하식구련탑(带抱厦式勾连搭) 형식으로 디자인한 경우가 나타났다. 그러나 문묘건축에서는 이러한 형식이 나타나지 않았다. 문묘 정전건물 지붕마루에서는 대부분 무늬가 없는 것으로 디자인 되었고 추녀마루 위의 동물상 수량은 가장 많아서 9 개까지 달하였다. 무묘 정전 건물의 지붕마루에서는 길상을 기원하는 무늬를 디자인 하였고 지붕마루 위에 길상을 기원하는 천신장식을 한다. 추녀마루 위의 동물상 수량은 가장 많아서 7 개이다. 문묘건축에서 황색와당으로 된 대성전(大成殿)의 지붕마루 표면은 모두 장식이 없다. 녹색와당으로 된 지붕마루 표면은 용, 화초문양으로 디자인 되었다. 이와 반대로 무묘건축에서 황색와당으로 된 정전(正殿)의 지붕마루 표면은 장식이 있고 녹색와당으로 된 정전(正殿)의 지붕마루 표면에 대부분 장식을 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문묘와 무묘의 배치형식과 지붕의장에서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文)과 무(武)의 문화적 내용의 차이를 고증하였고 향후 문묘와 무묘건축의 수축과 복원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In China, Kongzi is called God of Wen, and Guanyu is called God of Wu. Kongzhi was born in B.C. 551. He is a great politician, thinker and educationist of ancient China. Confucius Temple began with building the temple and advocating the sacrifice of Kongzi by the King of Lu dynasty in B.C. 478. Guanyu was born in 160 and died in 219. Guanyu got the national worship of a national hero from Song dynasty. This paper analyzed the Space Arrangement and the roof design of the masterpieces of Confucius Temple, then contrasted the Space Arrangement and the roof design of GuanDi Temple in Shanxi Province, Henan Province and Hubei Province. Therefore, the conclusion is drew as follows. All of Hall of Great Achievement of Confucius Temples are located behind Door of Great Achievement, and the corridors are surrounded on both sides of them. 4. Confucius Temples don’t show a big difference in the space of temple, but they express a rank in the space of study. Main Hall and Pray Hall are connected in the GuanDi Temple. However, there is no such a form used in the Confucius Temple. The roof tiles of Main Hall in Confucius Temple are mostly designed by no pattern, and the quantity of animal carving on descending ridge is 9 for the maximum. The roof tiles of Main Hall in GuanDi Temple use the decorations that pray of auspicious, and the quantity of animal carving on descending ridge is 7 for the maximum. There is no decoration on the surface of roof tile of Dacheng Palace with the yellow roof tile in Confucius Temple. And the green roof tile is designed by dragon pattern and flowering plant pattern. However, GuanDi Temple is opposite with Confucius Temple.

      • 보육교사의 무례경험이 플로리싱에 미치는 영향에서 복지수준의 매개효과 : 희망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숙경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무례경험이 플로리싱에 미치는 영향에서 복지수준의 매개효과를 희망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플로리싱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충청남도 S자치시, H군과 Y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21년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간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전체 대상자 수는 총 407명이었고, 자료분석은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3.5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평균비교 분석(t-test, One-way ANOVA)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하였다. 매개효과,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조절 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는 평균중심화하였고, 조건부 효과분석을 위한 조건은 평균값(M)과 평균값(M)±1SD로 설정하였으며, 유의성 영역은 Johnson-Neyman 조명등 분석법(floodlight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무례경험과 동료 무례경험은 모두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가장 높았으며, 희망은 직위가 주임 및 원장, 그리고 국공립어린이집 및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높았다. 복지수준은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높았고, 플로리싱은 국공립어린이집 및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가장 높았다. 둘째, 상사 및 동료 무례경험은 희망, 복지수준 및 플로리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무례경험이 증가할수록 희망, 복지수준, 플로리싱이 감소하였다. 셋째, 복지수준은 상사 및 동료 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넷째, 희망은 상사 및 동료 무례경험과 복지수준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다섯째, 희망은 상사 및 동료 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여섯째, 희망은 상사 및 동료 무례경험이 복지수준을 경유하여 플로리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매개하였다. 후속 연구를 위하여 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복지수준 외에 다른 심리 변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희망에 대한 심층연구, 성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세분화된 연구, 지역별 비교 연구, 심도있는 질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주제어 : 무례경험, 희망, 복지수준, 플로리싱,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조건부 간접효과, PROCESS mac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promotion of flourishing by identify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hope in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incivility on flourishing via welfare leve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wo-month survey from January to February 2021 for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Hongseong county and Yesan county, Chungcheongnam-do. A total of 407 subjec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C+ Win ver.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3.5.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by using PROCESS macro,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In the analysis of moderatinf effect analysis,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verage-centered, and the conditions for the conditional effect analysis were set to M and M±1SD. Johnson-Neyman floodlight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incivility of childcare teachers was higher in private daycare centers, and hopes were higher in heads of daycare centers,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home daycare centers, and childcare teachers working less than 8 hours. The welfare level was higher in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flourishing was higher in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home daycare centers, and childcare teachers working less than 8 hou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incivility, hope, welfare level, and flourishing. Third, the level of wellfar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vility experience and flourishing. Fourth, hop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vility experience and welfare level. Fifth, hop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vility experience and flourishing. Sixth, hope moderates the effect of incivility experience on flourishing via welfare level. In other words, the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of incivility affects flourishing, and in the case of incivility experience → welfare level → flourishing, the hope is to buffer the negative effect of incivility experienc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for follow-up studies, a study on the role of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other than welfare level in the relationship of incivility experience in flourishing, an in-depth study on hope, a study subdivided by gender and age group, and regional comparison research,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was proposed. Key words: incivility experience, hope, level of well-being, flourishing,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conditional direct effec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PROCESS macro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들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정체성과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

        임양혁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otional labor of personal care assistants that appeared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nd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ecuring specialty and improving their service quality by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personal care assistants and further developing the system. For strategies to lower the turnover of personal care assistant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dentity and job stress between the two factors were examine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personal care assistants working in 15 elderly care facilities in Seosan area. Looking at the general and job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70% of the respondents were over 55 years old, and 15.8% were under 50 years old, which means that most of the personal care assistants are bound to retire soon and become the elderly who will benefit from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t is required to assign 2.5 residents per personal care assistant in facilities, but the average number of beneficiaries per day was five or more at 56.7%, which means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udy subjects took care of 5 or more beneficiaries per day, indicating a discrepency between standard and practice. Regarding the experience of job turnover, 58.7% had experienced one or more job turnovers. The emotional labor had more internal actions (average 3.55 points) than surface actions (average 2.89 points), and their occupational identity was above average (average 3.48 points). The average job stress was 3.17 points, indicating that the stress due to conflict (average 3.13 points) and ambiguity (average 3.53 points) with given tasks were higher than the excessive amount of work (average 2.83 points). The turnover intention was below the average (average of 2.88 points), and the question of considering moving to another organization even if the working conditions were similar was 2.72 points on average, which was lower than other item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urface behavior was frequent when the average number of beneficiaries per day was large, and internal behaviors were more frequent when the working period as a personal care assistant was short, the working type was shift work, and the degree of workload was low or moderate. Also, in the case of the average number of beneficiaries per day, the more the number of beneficiaries, the more frequent the internal behavior. As for the job identity, those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had a higher job identity than thos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and the job identity was high even when the degree of workload was low or moderate. As for job stress, the higher the average number of recipients per day, the higher the job stress. In terms of turnover intention, males were higher than females. And the higher the age and the higher the average number of beneficiaries per day,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the surface behavi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identit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Moreover, the internal behavi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identit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ternal behavior had no direct effect on lowering turnover intention in the model of emotional labor, job identity, and turnover intention, but high internal behaviors lowered turnover intentions fully mediated through job identity. On the other hand, surface behavior directly had a positive effect on lowing turnover intentions, bu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dentity was not confirmed. In the model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urface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at job stress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surface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Internal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tress, not abling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refore, the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o reduce emotional labor caused by surface actions of caregiver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excessive organizational rules and establish standardized manuals. Second, education and training are required to improve the internal behavior of personal care assistants. Thir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personal care assistants, it is necessary to clarify job tasks to reduce the ambiguity of work and to resolve role conflicts through establishing work guidelin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reorganize the role of personal care assistants by conducting realistic job analyses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gram to enhance personal care assistants' job identity and conduct mandatory continuing education. Fifth,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personal care assistants,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policies such as improving social awareness about personal care assistants,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ecuring employment stability to secure human resources in their 20s to 30s who can work for a long time. Keywords : personal care assistant, turnover intention, emotional labor, job identity, job stress 이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과 함께 등장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춤으로써 전문성 확보 및 서비스질 개선으로 노인의 삶의 질 개선, 나아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한단계 더 나아간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요양보호사의 이직을 낮추기 위한 방안 마련에 관심을 두어, 감정노동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요인 사이에서 직업정체성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산지역 15개 노인요양시설에서 종사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직무적 특성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연령대가 55세 이상이 70% 이상이고, 50세 미만은 15.8%에 불가하여 점차 요양보호사의 대부분이 머지않은 시기에 은퇴하고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혜택을 받을 노인이 되어간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시설(입소)자의 2.5명당 1명의 요양보호사를 배치를 요구하고 있는데 1일 평균 수급대상자 수는 5명 이상인 경우가 56.7%로 연구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1일 5명 이상의 수급대상자를 돌보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경험에 대하여는 58.7%가 1회 이상의 이직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감정노동은 표면행위(평균 2.89점)보다는 내면행위(평균 3.55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정체성은 보통 수준 이상(평균 3.48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3.17점으로, 과도한 업무의 양(평균 2.83점)보다는 주어진 업무로 인한 갈등(평균 3.13점) 및 모호성(평균 3.53점)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보통 이하 수준(평균 2.88점)이고, 문항 중 근무조건이 비슷한 경우에도 다른 기관으로의 이직을 고려하겠다는 문항은 평균 2.72점으로 다른 항목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1일 평균 수급대상자 수가 많은 경우 표면행위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고, 내면행위는 요양보호사로서의 근무기간이 짧을 경우, 교대근무 형태인 경우, 업무에 대한 힘듬의 정도가 낮거나 보통인 경우에 내면행위가 많았다. 또한 1일 평균 수급대상자가 수의 경우에는 수급대상자 수가 많을수록 내면행위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정체성은 최종학력의 경우 전문대졸 이상이 고졸이하보다 직업정체성이 높았고, 업무에 대한 힘듬의 정도가 낮거나 보통인 경우에도 직업정체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1일 평균 수급대상자 수가 많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직의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1일 평균 수급대상자 수가 많은 경우 이직의도가 높았다.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표면행위는 직업정체성과는 부(-)의 상관관계,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내면행위는 직업정체성과는 정(+)의 상관관계, 이직의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 감정노동과 직업정체성, 이직의도간의 연구모형에서는 내면행위가 이직의도에 낮추는데 있어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직업정체성을 통한 완전매개로 높은 내면행위는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표면행위가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있어서는 표면행위가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는 있으나, 직접정체성의 매개효과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간의 연구모형에서는 표면행위는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표면행위와 이직의도 간에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행위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스트레스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매개효과 검정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표면행위로 인한 감정노동을 줄이기 위하여 조직의 과도한 규칙을 정비하고 표준화된 메뉴얼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내면행위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요구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업무분장을 명확하게 하여 업무의 모호성을 줄이고, 업무 메뉴얼의 작성으로 통하여 역할갈등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의 업무환경을 고려한 현실적인 직무분석을 진행하여 요양보호사의 역할에 대한 재정비의 기회를 가질 필요가 있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구축과 의무적 보수교육의 진행이 필요하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요양보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20대〜30대의 인력확보를 위한 직무환경 개선 및 고용의 안정성 확보 등 정책의 도입이 요구된다. 주제어 : 요양보호사, 이직의도, 감정노동, 직업정체성, 직무스트레스

      • 노인대학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혜경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social network influences the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ollege student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icate how .345 seniors at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mostly more than 5 years, and 3 to 5 years, 1 to 3 years, less than 6 months, 6 months to 1 year in order. The participation cycle was mostly once a week, and twice a week, three times a week in order. Participating senior education programs other than present senior college was mostly the senior welfare center, and silver hall, another senior college in order, and the percentage of the seniors participating nowhere but the present senior college was 27.2%. The major change after participating in senior college was mostly getting healthier, and making more friends, getting worth of life, having regular life pattern, getting knowledge for social life, understanding social changes, having psychological stability, having improved learning ability, fulfilling the role as grown-up citizens, having better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in order. Second, by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 size of the social network(number of people in a close relationship) was 13.48. The quality of social network in contact frequency was mostly once or twice a week, and 1 to 3 times a month, more than 3 times a week, not at all, once or twice a year, once a 2 to 3 months in order. The quality of social network in intimacy was scored 3.72 on average. The intimacy was higher as the participants were older, and lower in education level,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 nor contact frequency of social network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the average of life satisfaction scored 3.72, which was quite high. By analyzing the life satisfaction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s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higher in the standard of living, better in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Furthermor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when considering the size of social network: the seniors who have modest number of friends scored higher in life 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have very much or very fewer friends. Finall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model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model 1, in whic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put, the education level, standard of living, and physical condition were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13.1%. In model 2, in which the senior college participation variables were added, the education level, standard of living, and physical condition were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while the participation variable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2 was 13.9%, which was 0.7% higher than the model 1. In model 3, in which the social network variables were added, sex, education level, the standard of living, physical condition, and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number of friend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as they were female, lower in education level, higher with the standard of living, better with the physical condition, and had more friend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inal model was 15.4%, which was 1.5% higher than the model 2. The result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in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the specialty in education for older adults. Also, it is necessary to help seniors participate in and enlarge social network spontaneously by expanding senior participation programs from welfare center and silver hall to diverse social activities, senior activities, and volunteer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이 노년기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당진시와 서산시에 소재한 노인대학에 재학 중인 노인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사대상의 노인대학 참여 특성을 분석한 결과, 노인대학 참여기간은 5년 이상, 3~5년, 1~3년, 6개월 미만, 6개월~1년 등의 순이었다. 참여 주기는 주 1회, 주 2회, 주 3회 이상의 순이었으며, 노인대학 외에 참여하는 다른 노인교육 프로그램으로는 노인복지관, 경로당, 다른 노인대학의 순이었고, 다른 곳에는 참여 안하는 이들은 27.2%였다. 노인대학 참여 후 변화로는 건강이 좋아짐, 친구가 많아짐, 삶의 보람이 커짐,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됨,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이 많아짐, 사회 변화를 이해하게 됨, 심리적으로 안정됨, 학습 능력이 향상됨, 어른의 역할을 하게 됨, 가족과 관계가 좋아짐 등의 순이었다. 둘째, 노인대학 참여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평균 13.48명이었고, 5~10명이 가장 많았다. 사회적 관계망의 질은 연락빈도 면에서 주 1~2회, 월 1~3회, 주 3회 이상, 전혀 안함, 연 1~2회, 2~3개월 1회 등의 순이었으며, 친밀감 면에서는 평균 3.72점이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연락빈도의 비교에서는 어떤 변인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친밀감은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친밀감이 높았다. 셋째, 조사대상의 현재 삶의 만족은 평균 3.72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 비교에서는 여성일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또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삶의 만족 비교에서는 사회적 관계망의 질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사회적 관계망의 양에 따라서만 친구 수가 아주 적거나 아주 많은 노인보다는 적당히 많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 대상자의 사회적 관계망의 양과 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델은 모두 유의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만 투입한 모델 1에서는 학력, 생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3.1%로 나타났다. 노인대학 참여 변인을 추가한 모델 2에서는 학력, 생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만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고 노인대학 참여 변인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설명력은 모델 1보다 0.7% 더 증가하여 13.9%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까지 추가한 모델 3에서는 성별, 최종 학력, 생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의 양(친구 수)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친구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이 더 높았다. 최종 모델의 설명력은 모델 2보다 1.5% 증가하여 15.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덧붙였다. 첫째, 다양한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로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꾀하고 노인교육이 전문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은 노인복지관, 경로당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곳이 한정되어 있어 많은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고 다양한 만남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상호교류를 하여 사회적 관계망을 확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활동, 노인 활동 프로그램, 자원봉사활동 등의 프로그램 증진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