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창업 생태계와 창업보육센터의 성과 :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를 중심으로

        손윤정 한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 생태계가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창업생태계를 분석하고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사례를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창업보육센터의 총괄을 맡고 있는 역대 창업보육센터장과 실무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역대 매니저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년도 대비 매출액이 20% 이상 증가한 기업과 성공사례의 기업들의 내·외부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창업생태계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기업· 대학·정부가 상호작용을 하며 창업생태계를 정비하고 단계별 입주기업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수록 기업이 참여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유용한 정보가 증가 하며, 창업 초기 인프라가 부족한 기업의 참여율이 높아지고 이는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에 영향을 준다. 둘째, 대학의 관심은 입주기업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단순보직이 아닌 전문성을 가진 센터장을 임명하고 창업보육센터의 예산, 조직, 인사의 독립성을 보장할수록 다양한 자체 프로그램 개발하여 기업에 재투자한다. 이는 기업의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창업보육센터장의 리더십, 매니저의 전문성과 적극성은 입주기업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업무의 적극성이 높은 센터장과 매니저는 기업의 수요를 발굴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높고 성장단계별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기업의 성장이 가능하다. 또한 내·외부 네트워킹이 활발할수록 외부기관과 연계하여 더 긴밀한 기업지원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준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입주기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고 성장시키기 위해서 기업·대학·정부는 상호협력 해야 하며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 기법을 활용한 조경설계평가AHP : 한밭대학교 중앙광장을 중심으로

        조재현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71

        AHP기법을 활용한 조경설계평가 - 한밭대학교 중앙광장을 중심으로 - 논문제출자 조 재 현 지 도 교 수 이 상 호 본 연구의 목적은 AHP기법을 활용한 조경설계(안)을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밭대학교 중앙광장(혜윰광장) 환경개선에서 제시된 설계안 마스터플랜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검토를 통해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AHP 분석을 통해 각 평가항목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합리적인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계획적평가, 조경적평가, 사업적평가의 계층구조를 가진 9개의 평가기준으로 4가지 계획(안)을 평가하였다. 도시계획가와 조경계획가의 차이는 평가 기준별 가중치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선호하는 최종 계획안도 분석되었다. 도시계획가와 조경계획가는 6명씩 동수로 총12명이 전문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전문가는 4가지 계획(안) 비교 검토, 평가기준별 검토를 통하였으며, 일관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계획가와 조경계획가의 최종안과 2순위 결정의 시각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3, 4순위의 경우 차이를 보였다. 도시계획가는 경제성, 명소화, 지속가능성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고 조경계획가는 경제성, 지속가능성, 환경적가치를 중요시 여겼다. 전체점수를 살펴보면 도시계획가는 2(안) - 3(안) - 1(안) - 4(안) 순으로 나타났고, 조경계획가의 경우 2(안) - 3(안) - 4(안) - 1(안) 순으로 나타나 3등 4등의 순위가 바뀌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한밭대학교 중앙광장(혜윰광장) 계획(안)에 대한 도시계획가와 조경계획가의 견해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AHP기법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두 전문가 집단에서 당선작 선정에는 이견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중요시 여기는 주안점이 각기 전문분야의 배경지식에 의해 결정되어 짐을 유추할 수 있었다.

      • 한밭수목원 식물해설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연구

        최혜림 한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 사회에서의 정보 습득은 스마트 기술의 향상에 따라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되었다. 간단하게 인터넷 서핑만으로도 더 다양한 정보를 한 번에 습득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모든 정보가 정확하고 알기 쉽게 전달되고 있지는 않다. 정보 과부하가 된 현대 사회에서 정확한 정보 습득을 위한 방법을 고민해 보아야 할 때에 이르렀다. 이러한 의문점을 통해 대전 시민에게 가장 접근성이 용이한 대전문화예술단지에 위치해있는 한밭수목원의 정보 현황에 대해 식물 해설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접근해보았다. 다양한 연령층의 대전 시민들이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도록 개방된 장소일수록 더욱더 정확한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식물 해설 안내와 정보 전달을 위한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목원의 이용객의 관심과 방문의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를 배려한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파악하여, 이를 통해 디자인 QR코드를 사용, 식물해설 안내를 하여 한밭수목원의 정보제공과 시민들의 수목원에 대한 정보 습득과 함께 상호작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한밭수목원 식재 현황과 특징을 도출하여 디자인 QR코드 도입을 연구하였다. 다음은 각 장마다 연구내용이다. 제1장은 본 논문의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다루었다. 제2장은 2차원 바코드, 디자인 QR코드, 한밭수목원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과 식재분류를 통해 디자인 QR코드 특징 도출을 다루었다. 제3장은 대전 한밭수목원의 식물해설 안내도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내용이다. 제4장은 식재분류를 통한 디자인 QR코드 디자인 개발과 한밭수목원 내의 식물 해설 안내도에 적용한 예시와 도입 시 사용 예시에 대해 다루었다. 제5장은 결론으로 식물해설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도입에 대한 장점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와 한계점을 다루었다. 디자인 QR코드 도입을 통하여 현재 비어있는 식재 위치에 증강현실로 곧 피어날 식물들을 미리 만나볼 수 있게 하며, 위치 서비스를 통해 이용객의 위치와 식물의 위치를 안내하여 더욱더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음성서비스를 통해 장애인을 배려하고, 다양한 언어 서비스 제공으로 외국인의 편의를 돕는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디자인 QR코드를 통해 현재 식물해설 안내도의 부족한 정보를 충당하고, 다양한 식물해설 안내 프로그램의 도출과 수목원의 관리자와 시민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즉각적이며 정확한 정보 전달이 될 수 있는 좋은 매개체가 되길 바란다. In the modern society,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o longer difficult thanks to the improvement of smart technologies. It is now possible to obtain a range of information with a simple Internet surfing. All information, however, is not delivered accurately and easily. In the modern society with excessive information, it is now necessary to concern about how to acquire accurate information. For this question,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nd field investigation with Daejeon citizens who were the most easily accessible to information on Hanbat Arboretum located in Daejeon Culture and Art District on if accurate information on plants was being delivered. As more open places that various ages of Daejeon citizens can freely visit should be more updated for accurate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explanation on plants and deliver the information.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in and visits to the arboretum and the necessity for careful plans considering us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citizens with information on Hanbat Arboretum by using a design QR code and through explanation on plants and facilitate interactions along with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on the arboretum.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studied introduction of a design QR code by develop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ing in Hanbat Arboretum through the survey and field investigation. The following shows the research content of each chapter: Chapter 1 show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Chapter 2 is about the theoretical details of 2-dimensional codes, design QR codes, and Hanbat Arboretum and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QR cod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planting. Chapter 3 reveal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planation guide of plants in Daejeon Hanbat Arboretum. Chapter 4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QR code design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planting and cases applied with the explanation guide of plants in Daejeon Hanbat Arboretum and cases of the implementation. Chapter 5 shows the advantages, utilization methods, expected effects, and limitations of the implement of a design QR code for explanation of plants as the conclusion. The introduction of design QR codes enables to see plants expected to grow soon in currently empty places in advance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shows users’ and plants’ locations though the location service for more comfortable use. Furthermore, it improves convenience of the disabled through voice service and provision of various language service. The design QR code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of the current explanation guide of plants and become the useful medium to deliver prompt and accurate information by developing programs guiding explanation of various plants and promoting interactions between the managers of the arboretum and citizens.

      •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가로 건축물 형태 및 외부공간 정비방향 : 대전시 대덕구 한밭대로를 중심으로

        서병규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도시가로는 대부분 60, 70년대 급속한 근대화와 도시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경제적 가치추구를 목표로 획일적으로 조성되었다. 그 결과 오늘날 도시 가로환경의 질적 저하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가로망이 입지한 지역특성에 대한 파악이 미비하여 가로환경의 구성목표가 명확하게 설정되지 못하였으며, 각 필지의 변화양상에 대한 고려 없이 당시의 법제에 맞추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자체가 기성도시이거나 기존의 계획도시일지라도 개별 사유지인 대지마다 제각기 다른 시기에 이루어지는 개발양상 속에서는 건축물이나 가로공간 상호간의 연결성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지도 건물위주의 설계로 인하여 주변가로와의 관계가 적극적으로 배려되지 못한 채 이용되고 있다. 대전광역시도 예외는 아니어서 1990년대 초에 대전엑스포를 준비하기 위해 건설된 대표적 간선도로인 한밭대로의 경우 그동안 개별건축물의 입지로 전체적인 가로환경이 무질서하게 변모되었으며, 대로의 규모로 인하여 자동차 교통만을 위한 통과도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한밭대로를 대상으로 하여 가로변 건축물들의 형태 및 외부공간 구성요소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 가로경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정비방향을 제시하고, 가로경관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도입, 이론연구, 사례연구, 연구종결 등 4개 부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가로 건축물 형태 및 외부공간 정비방향을 제시하였는바,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밭대로변의 필지는 소규모로 개발이 이루어져 집약적 토지이용이 매우 미비하고 2~3층의 저층 규모로 시각적 인지성을 저하시키므로 합필을 통한 개발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1층 주 용도가 상호관련성이 없이 혼재되어 가로경관을 저해하므로 가로변 건축물이 상호 연관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건축주의 자율적인 용도규제 협약이 마련될 수 있도록 행정관청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적 건축행위로 인한 건축물간의 외형 및 색채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해 가로구역별로 건축물의 형태, 마감재료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계획을 포함하는 경관기본계획 수립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한밭대로변의 건축물 후퇴부에는 인도의 재질 및 경사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확장인도의 기능이 회복 될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옥외광고물은 건축물의 규모 및 특성에 따른 수량, 종류, 규격, 디자인에 대한 규제가 미흡한 바, 행정관청에서 건축물의 규모 및 특성에 따른 광고물 가이드라인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쾌적한 가로경관개선을 위해서는 향후 대전시내 가로환경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개선방안과 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 등을 위한 보완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Most of the street layout in Koreawas uniformly formed for the economic value seeking through the drastic modernism and urbanism in the sixties and seventies. As a result, the qualitative degradation of street layout is recently appeared in Korea, which was formed to the law then regardless of the change of respective lot, as no goal of organizing the street guideline was clearly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street network. Also, the mutual connectivity of building or street furniture in the development that is realized in the respective period in the individual private property though the city was the old one or existing planned city is not only expected, but also the site of which the relation with the environmental street is not actively considered to use due to the property-oriented design. Also the hanbat road in Daejeon,the main road built for Daejeon EXPO in the early stage of 1990, with the whole street guideline chaotically transfigured due to the location of individual building so far, which is displaying the role of pass road only for the automobile traffic due to the road scale. Therefore, this research was made by analyzing the architectural form of roadsi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space component targeting to Hanbat road in Daejeon to present the maintenance orientation for functional recovery of urban streetscap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treetscape understanding. Also, this research was organized by 4 parts of research introduction, theoretical research, case study, end point, which presented the street building form and external space maintenance orientation lastly for the streetscape improvement, with the result as following. First, the lot of Hanbat road should be developed by integration as it was developed in small scale that is poor at the intensive land use, and that lowers the visual recognition with 2~3 floors of bottom level. Second, the active effort of government office should be made to prepare the building owner’s free agreement of zoning ordinance for the mutual use of roadside building as the main use of 1floor was consolidated without mutual relationship to impede the streetscape. Third, the basic landscape formation plan should be prepared with the urban design plan that makes the integratedmanagement of building form and finishing material by horizontal section to prevent the appearance and color disharmony of buildings due to the individual construction. Fourth, the institutional plan should be prepared for the footpath extension to be recovered by disposing equally the footpath material and slant in the back of building in Hanbat road to form the comfortable pedestrian environment. Fifth, the ads guideline should be prepared by government office according to the build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as the control is poor in the quantity, type, scale and design according to the build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Sixth, the complementary research should be made for the specific improvement and design guideline setting by classifying the future street guideline in Daejeon for the comfortable streetscape.

      • 대학교기숙사 리모델링에 의한 시설 및 에너지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용석 한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with respect to the lifetime of buildings. To improve environment and extend the lifetime of buildings, It starts with designing. According to changes in environmental policy, the need for high efficiency in energy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changing social needs, such as the change in the use of buildings and the contribution function. So, the demand for remodeling has been increasing. In this paper, user’s tendency was observed and the optimal system was planed.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remodeling technique through lowering energy consumption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8. The resulting values that are improvements and energy savings was investigated after the direct construction of the dormitory facilities of K University in Daeje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remodeling environment in university dormitory that is installation of external insulation and individual air conditioning, the reduction in energy cost was about 26,000,000 won. Second, the thermal environment of each room was improved by applic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change of heating system to convection heating as warm air floor heating. Third, through remodeling internal and external improvement in the dormitory, the cost of construction was saved 30~60%. So, this construction is more economical. Fourth, the university renovation of aging facilities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demands made by the students, in turn, increasing the satisfactory rate.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comparison to starting construction for new buildings, remodeling can accomplish the following: less construction time, cost reduction, and the creation of a pleasant environment. Also, planning an optimal system leads to: energy saving, eco-friendly environment, convenience in maintenance and utilization of existing resources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such as economic benefits. 최근 들어 건축물에 대한 수명과 관련하여 많은 논의가 있다. 건축물의 환경개선과 건축물의 수명 연장을 위해 건물을 설계하는 단계에서부터 논의한다. 21세기의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는 기후와 관련한 심각한 변화, 환경정책의 변화에 따라 에너지 고효율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요구에 맞는 변화를 위해서 건축물의 용도변경 등 사회적 요구 및 기여기능이 무엇인지를 파악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리모델링을 요구하는 수요는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경향을 살피고 최적의 시스템을 기획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환경친화 및 환경개선을 통해서 리모델링 기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기간는 2007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전소재 K대학교기숙사의 직접 시공을 통해 시설을 개선하고 에너지 절감 사전․사후결과 값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교기숙사 환경의 리모델링 결과 외단열 시스템 적용 및 개별냉방시스템 설치 후 호실별 사용료 개별부과에 따라 연간 총 26,000천원 정도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기존에 없던 냉방시스템 적용 및 대류난방에서 바닥복사난방으로의 난방방식 변경 적용을 통한 침실 내부의 열환경이 쾌적하게 개선되었다. 셋째, 리모델링을 통한 내․외부 환경의 개선을 통해 신축공사비의 30~60%의 저비용으로 건물을 재완성 시공하여 저비용의 경제성을 갖추었다. 넷째, 대학교기숙사의 리모델링을 통해 기존의 노후된 시설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사항이 현저히 감소하여 학생들의 기숙사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학교 기숙사의 리모델링에 관한 공사는 신축공사에 비해 효과적인 계획을 통해 공사기간의 단축, 원가절감, 쾌적한 환경의 조성에 있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시스템을 기획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환경친화 및 환경개선을 통하여 유지관리의 편리성 또한 제공할수 있으며, 기존 자원의 활용에 대한 경제적인 이익을 거둘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 자기소개서의 분석

        박정주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 문 요 약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 자기소개서의 분석 논문제출자 박 정 주 지 도 교 수 임 준 묵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자기소개서의 분석을 다루고 있다. 대학입학전형에서 자기소개서는 지원자의 잠재능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데이터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자료 중의 하나인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서, 자기소개서의 특성을 찾아내어 지원자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A대학교 20XX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의 지원자 3,302명의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자기소개서를 자연어처리 등 분석이 용이한 형태의 자료로 변환한 후 기술통계, 군집분석, 토픽분석, 감정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결과를 통하여 문·이과, 성별, 합격여부 등으로 자기소개서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의 하나로 ‘교내활동’을 중심으로 기술한 자기소개서 공통문항 2번이 다른 문항에서보다 다양한 특성이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문항별로 문·이과, 성별, 합격여부에 따른 자기소개서의 공통점 및 차이점 등의 다양한 특성을 발견함으로서 지원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의 수준을 높임과 동시에 평가에 대한 시간적인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논문은 텍스트마이닝을 사용하여 분석한 다양한 논문 중 대입전형 자기소개서를 바탕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입학전형운영의 공정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산학협력관계에 따른 효과적 성과도출에 관한 연구 : 산학협력장애의 매개효과와 대학행정의 노력 및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은영 한밭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관계 강도의 수준을 통해 양자간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때, 관계로 인해 발생하는 장애를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대학행정의 노력과 신뢰에서 찾아본다. 기존 산학협력의 연구에서, 산학간의 관계는 경로의존성에 의해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지식의 흡수역량을 키움으로써, 양자간 협력에 대한 누적된 경험과 다양한 채널의 폭을 가진다. 하지만 상호간 인식의 차이와 제도적 장벽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해야만 좀 더 효과적인 성과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관계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관계와 성과사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장애의 매개효과와 산학협력관계와 장애사이의 대학행정의 노력과 신뢰의 조절효과에 집중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의 경험과 폭이 클수록 산학협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학협력의 폭이 클수록 상호인식의 차이는 낮아지며, 이는 산학협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행정의 노력수준이 높을수록 상호인식의 차이와 제도적 장벽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가 높을수록 상호인식의 차이와 제도적 장벽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협력을 통해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관계강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대학행정의 노력과 신뢰가 중요함을 밝한다.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산․학․연․관 주체의 관심과 실행,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동안, 산학간 링크(university- industry linkages)를 다루는 연구는 많이 검토되어져 왔으나, 상대적으로 이들 간에 존재하는 장애과 그 장애을 낮출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편이다.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산학협력의 장애에 대한 부족한 연구는 효과적인 정책을 설계하는데 큰 장애물이 될 것이다. 아마도, 이 연구결과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부족한 연구 분야인 산학협력의 장애요인과 극복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래의 산학협력을 자극하는 통찰력을 제공하고, 기업과 대학이 지식과 기술 발전을 추진하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분사기업과 모체기관간의 성공적인 사업연계 방안 연구

        곽준철 한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Goal of this study is case study of political implication, for successful business-linked relationship between spin-off firms and mother & supporting organization. To raise successful enterprise of spin-off firms to R&D from start-up & growth, have to organize business-linked with mother & supporting organization. Therefore, final target of this study plans for successful business-linked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in-off firms, it find a problems of internal spin-off firms and to seek ideal model of external spin-off firms. For this, The paper is arranged a concept, standard, activities and feature a stage in the development of ideal model, base on a literature related to general venture-business, and then case study a constructed matrix on the basis of that. A case of firms is Humax(Seoul University), BITComputer(Inha University), Bionia(KRIBB), Apec(ETRI) of internal case, and Google, HP, Sisco Systems of external. One side, this paper is analyzed between internal & external spin-off firms and mother(supporting) organization as a matter of supply and demand a resource. Above all things, it divides four step, a research, start-up, growth-up and stability, how to provide the resource(technology, human power, funds, networks, get knowledge etc) from mother(supporting) organization. All this time, the majority was study on difficult and confused, about "Efficiency Analysis for NTBF Support Policy"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is case study of political implication, for successful business-linked relationship between spin-off and mother & supporting organization, especially I hope a help to holding company of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research based spin-off firms. 본 연구는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개발한 신기술을 기반으로 분사 창업한 기업을 대상으로 모체기관 및 지원조직과의 사업연계 관계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국내 분사창업기업과 모체기관간의 성공적인 사업연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더불어 분사창업기업의 창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 개발 단계에서부터 창업 및 성장단계에 이르기까지 모체기관 및 지원조직과의 유기적인 사업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명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사창업기업과 모체기관 및 지원조직간의 효율적인 사업연계 방안을 위하여 국내 분사창업기업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미국 분사창업기업의 이상적인 모델을 도출하여 이들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사업연계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반적인 벤처기업의 발전단계와 관련된 지금까지의 문헌연구를 토대로 이상적인 분사창업기업의 발전단계별 정의, 기준 그리고 활동 및 특징을 정리하며, 이를 토대로 도출한 발전단계별 분석모형과 분석프레임을 기초로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사례분석 대상기업은 국내 분사창업기업인 휴맥스(서울대학교), 비트컴퓨터(인하대학교), 바이오니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에이팩(전자통신연구원)과 실리콘밸리 내 스탠포드대학을 모체로 분사한 미국 분사창업기업인 구글(Google), 휴렛패커드(HP), 시스코시스템즈(Sisco Systems)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분사창업기업들이 기업연혁기반 발전단계별 모체기관(지원조직)과의 자원조달 및 수급차원에서 어떠한 사업연계 관계를 거쳐 성장하였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한다. 특히 분사창업기업의 발전단계를 연구단계, 창업단계, 성장단계, 안정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고, 발전단계별 모체기관 및 지원조직으로부터 자원(기술, 인력, 자금, 네트워크, 지식 등)조달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중점 분석한다. 지금까지 대학, 연구소에서 분사한 기업에 많은 연구들이 신기술창업 지원정책의 효율성 분석, 대학 또는 연구소와 기업 간 연계 시스템에 관한 연구 그리고 분사창업기업의 성공요인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등 대부분 분사창업을 준비 중인 예비창업자들이 활용하기에는 어렵고 복잡한 방법들이 제시 되어 왔으며, 분사창업기업의 성공요인을 정책제도 및 시스템문제에서 기인된다고 보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본 연구의 분사창업기업과 모체기관간의 성공적인 사업연계 방안 연구는 분사창업기업, 특히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 및 연구기반 분사창업기업을 설립하였거나 준비 중인 예비창업자에게 지속성장 가능한 기업 경영 및 관리차원에서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종합병원 안내 SIGN SYSTEM 디자인에 관한연구

        김원태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For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general hospitals established medical syste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Consequently hospital facilities became more complicated, large sized, and departmentalized, and the medical level is heightened with the medical facilities up-to-dated. The sign system that takes charge of guidance, however, is not systematical and can not be much help to hospital users. Sign system for all the visitors to hospital should consider readability, size, place to attach and height so that anybody, seeing it, can find the destination easily in any condition. Case analysis of sign system in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area was carried out through spot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to analyze the sign system in visual aspect and to find out any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Overview survey was carried out for leading and guiding sign out of hospital sign system in 9 items including the way of arrangement, color, kind of handwriting, plate unified or not, multi language written or not, in-between lines and letters, pictogram, illumination used or not and way of construction.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00 patients and gurdians who us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The term of research was from October 7 to 31. The sign system design of university general hospital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profit-organizations. The elements of information in hospital should be simplified so that they can be easy to understand and to access by all the hospital users. Therefore the hospital should make efforts and research for better function of it. It is desirable that this study might be a necessary source to systemize and develop hospitals into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hospital sign system. 종합병원에서의 보다 종합적이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위해 종래의 병원과는 다른 의료 시스템이 구축 되었다. 이에 따라 병원 시설은 점점 복잡해지고 대형화, 세분화되었으며 의료시설의 첨단화로 의료수준은 높아지고 있는데 비해, 안내기능을 담당하는 사인시스템이 체계적이지 못해 병원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지 못하다. 병원을 찾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사인시스템은 가독성, 크기, 부착장소, 높이 모든 것을 고려하여 어떠한 조건에서도 혼동되지 않고 쉽게 목적지까지 찾아갈 수 있어야 한다. 시각적 측면에서 사인시스템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기 위해서 현장조사 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전지역 대학병원 사인시스템의 사례분석을 하였다. 현황조사에서는 병원 사인시스템 중, 유도·안내사인에 대해 ①정렬방식 ②색상 ③서체의 종류 ④플레이트통일여부 ⑤다중언어표기여부 ⑥행간/자간 ⑦픽토그램 ⑧조명사용여부 ⑨시공방법 등의 9개 항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대전에 위치한 대학병원을 이용하는 환자, 보호자 100분에게 설문조사 하였고 조사기간은 10월 7일 부터 10월 31일 까지 걸쳐 조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안내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병원 사인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병원의 통합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으로 체계화하고 계속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자료로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AHP 기법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최적 난방방식 선정 : 대전 소재 H 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임소연 한밭대학교 산업대학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Selection of Optimal Heating Method for Apartment Housing Using AHP Method : Focusing on the dormitory of H University in Daejeon So-Youn Lim ․ Eun-Hyeon Jo ․ Dong-Hyung Lee † Dept. of Industrial &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AHP 기법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최적 난방방식 선정 : 대전 소재 H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임소연 ․ 조은현 ․ 이동형 ⍏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공동주택 난방방식은 크게 개별난방, 지역난방, 중앙난방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난방방식은 신도시 건설이나 공동주택 신축 시 건축물의 규모 및 용도, 지리적 조건 및 주변 환경, 사용 시 안전성과 편리성, 경제성 등의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전례나 주민들의 의견에 따라 결정하다 보니 관리비 부담, 안전성,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난방방식 선정을 시 고려해야 할 선정요인을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델파이 기법으로 도출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이용하는 최적의 선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대전 소재 H대학교 기숙사에서 실제 채택하고 있는 개별난방, 지역난방, 중앙난방의 일종인 케스케이드(cascade) 시스템 방식의 운영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공동주택의 최적 난방방식 결정 및 새로운 난방방식 발굴에 매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 공동주택 난방방식, 최적의 난방방식 선정, AHP 기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