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자치단체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사례 연구 : “몽골 강원도농업타운 조성 및 운영 사업” 성과 분석

        원재희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targeted the case of the project of Gangwon provincial government’s “Agricultural Town in Mongolia”. This project was conducted by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or 16 years from 2004 to 2019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vegetable productivity in Mongolia by transferring vegetable cultivation technology to Tuv Province, Mongolia, with which Gangwon-do has a friendly cooperative relationship. Mongolia is located in the Asian inland highlands and has very unfavorable climatic conditions for arable farming, with short summers and cold and long winters. In addition, nomadic livestock farming continues to be a major industry of the country, 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Mongolians in the early 2000s was short at early 60s due to the food culture centered on meat and dairy products, which required the improvement of the lifestyle such as an increased vegetable consumption. Mongolia's vegetable self-sufficiency rate was extremely low at less than 20%. To improve this, vegetable production had to be increased, but the production base was weak and cultivation technology was very poor. Therefore,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organized a demonstration complex for vegetable cultivation, including the installation of a greenhouse in Tuv Province to support independent farming of Mongolian farmers, and carried out a technology transfer project through dispatching experts and invitational training. This Gangwon-do agricultural town project was analyzed as an example of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technology promoted by a local government. The research method is to mainly analyze the result report and post-evaluation report of KOICA's 'Vegetable Greenhouse Installation and Cultivation Technology Support Project (2008~2009)', which was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of the central government promoted in Mongolia, the same recipient country, conducted at the same time as the Gangwon-do Agricultural Town, and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In addition, based on the six evaluation criteria recommended by ODEC DAC, a multifaceted post-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performance of the project. By the post evaluation of the case of Gangwon-do Agricultural Town Project, success factor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were examined.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gricultural experts in the recipient country, and the principal-agent theory was applied and reviewed as an analysis method. In previous studies, the Gangwon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arried out an analysis such as ex-post evaluation at the donor country level. However, this study was a participatory study in which the project manager of the donor country directly analysed by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agricultural experts in the recipient country who were directly or in directly related to the project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main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project cost between KOICA's ‘the Project of Establishing Greenhouse for Vegetable Cultivation, Mongolia (2008-2009)’ and the Gangwon-do Agricultural Town project. However, compared to the KOICA’s project the annual average project cost was very small considering Gawan-do project’s was carried out for long period of 16 years. The KOICA's project mainly supported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but the Gangwon-do Agricultural Town project supported mainly for technology transfer. Therefore, it was relatively easy to communicate with the donor country's project manager, the recipient country's project manager, and the final beneficiary, compared to the central government's project, as it was promoted as a direct project between the two local governments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ex-post evaluation results of the Gangwon-do Agricultural Town project based on the six evaluation criteria of the OECD DAC are as follows. The relevance of the project was consistent with the Mongolian government's vegetable cultivation expansion policy in relation to the relevance of the government policy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it achieved results efficiently in line with the Mongolian government's Green Revolution Program and Vision 2050. In addition, it focused on agricultural development, which is the main field of CPS in Mongolia, and was aligned with the government policy of the donor country.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an appropriate final beneficiary was not selected, so it took a long time to come up with an exit strategy.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was centered on technological cooperation rather tha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resulting in significant benefits compared to input costs. Project managers from both local governments had been working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ement, which was advantageous for forming a partnership. Since the initial top down decision-making process and insufficient preliminary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outputs were achieved but outcomes were somewhat insufficient. Therefore, by establishing governance and expanding the breadth of stakeholders, communication for problem solving became smooth, and the goal of technology diffusion was achieved by extending the project period. A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agricultural experts in Mongolia evaluated that the technology transfer through dispatched expert education and invitational training was effective and that it was a successful project by positively impacting Mongolia's policy for the promotion of protected cultivation of vegetables. However, as the places of project were expanded to three locations, there were difficulties in management due to insufficient operating costs and the dispersion of technology transfer targets, but they were resolved through clos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takeholders such as dispatched public officials and final beneficiaries. The impact of the project was recognized by the Mongolian government as it secured its position as a representative facility vegetable complex in Mongolia and as a test-bed. Therefore, it became an example tha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could also influence the government policy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the recipient country to newly recognize 'development cooperation'. Also, by raising awareness of Korean agricultural materials, it influenced the agricultural policy of the Mongolian government. As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the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for a long time, and all three agricultural towns have been operating normally independently even after the project was completed. In addi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ocal government projects, it built up Mongolia's first practical education system by establishing governance with MOFALI and MULS, and has continued to operate the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in the vegetable sector. Now for the project coherence, in terms of internal coherence, it influenced the planning of the KOICA project (2008-2009) but mutual cooperation was lacking and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prevent fragmentation of ODA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external consistency, the Swiss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SDC) support project and joint support project between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 and Tottori Prefecture were separately carried out as mutual cooperation projects within the Gangwon-do Agricultural Town site, demonstrating synergy.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Mongolian agricultural experts, the main success factors of the Gangwon-do Agricultural Town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ong-term Points, and second, that the stability of the project was secured by carrying out this project over a long period of time based on friendly cooperation between the two local governments, Third, the selec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for technology transfer rather tha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resulting high performance with a small budget which was easy to achieve. Fourth, Gangwon-do selected technology transfer in the highland vegetable sector, in which Gangwon-do has strengths, as the project content. Fifth, the communication proceeded as sufficient human network for agricultural experts in the recipient country was secured. Sixth, sustainability was secured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correct final beneficiary of the recipient country. Seventh, governanc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as established and global partnerships were strengthened. And lastly, the capacity and the ownership of project managers in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and the final beneficiaries of recipient countries led the business to succes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 multi-layered principal-agent relationship from the citizens of the donor country to the final beneficiary of the recipient country in Gangwon-do Agricultural Town was shortened and it made it possible to secure sustainability after the project was completed. In addi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public-private governance and global partnerships with the Mongolian government (MOFALI), university (MULS), NGO (MFARD), and foreign aid agency (SDC), stakeholders with simple vertical relationship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mplex horizontal ones which solved the principal-agent problem. The fact that the farmer, the final beneficiary, actively participated in spreading the technology transferred from the donor country to the farmers in the recipient country was due to the ownership and accountability of the final beneficiary, and incentives also acted as a driving force in some way. Local governments are now in the time when their role as the main bod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Project of the Gangwon-do Agricultural Town in Mongolia’ is being evaluated as a successful cas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promoted by Gangwon province according to an evaluation agency specializ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e Project of the Gangwon-do Agricultural Town in Mongolia’ with the KOICA project and case analysis of the local governmen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gricultural experts in the recipient country. Proposals for future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need to discover and promote projects after sufficient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recipient country from the project planning stage, and systematize evaluation management like KOICA doe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projec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ndard model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Gangwon-do Agricultural Town. Thir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long-term strategy and vis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y training experts in the field of development cooperation who will plan and promot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Lastly,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with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aid effectiveness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If improved as above, it is certain that local governments will be able to establish themselves as the main driving forc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Korea. In this study, there are limitations in maintaining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because the questionnaire survey on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was not conducted on a number of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vegetable cultivation technology education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ject conducted the post-evaluation directly. Therefore,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a surve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s well as to analyze the long-term impact on the part that affects the government's agricultural policy and the economics of the income of the agricultural town. 본 연구는 강원도가 우호 협력관계에 있는 몽골 튜브도에서 채소 재배기술을 전수하여 몽골의 채소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2004년부터 2019년까지 16년간 장기간에 걸쳐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 추진한 ‘몽골 강원도농업타운 조성 및 운영 사업’에 대한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몽골은 아시아 내륙의 고원지대에 위치하여 여름이 짧고 겨울이 춥고 길어 경종농업에 매우 불리한 기후적 조건을 갖고 있다. 또한 유목형 축산이 국가의 주요 산업으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고 육류와 유가공품을 위주로 한 음식문화로 인해 2000년대 초 몽골인 평균 기대수명이 60대 초반으로 짧아 채소 섭취량의 증가 등의 식생활 개선이 필요하였다. 몽골의 채소 자급률이 20% 미만으로 극히 낮아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채소 생산량을 높여야 했으나 생산기반이 미약하였고 재배기술도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강원도농업기술원이 주관하여 몽골 농업인의 자립 영농을 지원하고자 몽골 튜브도에 비닐하우스 설치 등 채소재배 시범단지를 조성하고 전문가 파견과 초청연수를 통한 기술 전수사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한 농업기술 분야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사례로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강원도농업타운이 진행된 같은 시기에 동일한 수원국인 몽골에서 추진된 중앙정부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이었던 KOICA의 ‘채소 온실 설치와 재배기술 지원사업(2008~2009)’의 결과보고서와 사후평가 보고서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개발협력사업 각각의 특징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ODEC DAC가 권고하는 6대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사업의 형성과정과 성과에 대한 다각적인 사후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의 사례의 사후평가를 통해 지방자치단체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성공 요인을 고찰하였다. 또한 수원국의 농업전문가에 대한 심층면담을 하여 주인-대리인 이론을 분석 방법으로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강원국제개발협력센터에서 공여국 차원의 사후평가 등의 분석이 추진되었으나 본 연구는 공여국의 사업담당자가 직접 분석하는 참여형 연구로서, 본 사업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던 수원국 농업전문가들을 심층면담 방법으로 의견을 청취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은 KOICA의 ‘채소 온실 설치와 재배기술 지원사업(2008~2009)’과 비교했을 때 총사업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KOICA 사업은 2년간의 사업이었던 반면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은 16년이라는 장기간 추진되어 연평균 사업비로는 매우 적었다. KOICA 사업이 인프라 구축을 주로 지원한 사업이었다면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은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지원한 사업이었다. 따라서 양 지자체 간의 직접사업으로 장기간 추진됨으로써 중앙정부의 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여국의 사업담당자와 수원국의 사업담당자, 그리고 최종수혜자와는 서로 소통하기 용이하였다. 또한 OECD DAC의 6대 평가기준에 입각한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에 대한 사후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업의 적절성(Relevance)은 수원국인 정부정책 연관성과 관련하여 몽골 정부의 채소재배 확대 정책과 부합하였고 몽골 정부의 녹색혁명 프로그램, 비전 2050 등과 일치하여 성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하였다. 또한 몽골 CPS 중점분야인 농업개발에 집중하여 공여국 정부정책과도 합치되었으나, 사업 초기에 적정한 최종수혜자가 선정되지 않아 출구전략을 마련하는데 장기간이 소요되었다. 사업의 효율성(Efficiency)은 인프라 구축보다 기술협력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투입 비용 대비 상당한 편익이 발생하였다. 양 지자체의 사업담당자가 교체 없이 장기간 추진되어 동반관계 형성에 유리하였다. 당초 의사결정과정이 Top-Down 방식이었고 사전 조사로 미흡하여 활동(activities), 산출물(outputs)은 달성하였으나 성과(outcomes)는 다소 미흡하였다. 따라서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이해관계자의 폭을 넓힘으로써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소통이 원활해졌고, 사업기간을 연장함으로써 기술 확산의 목표를 달성하였다. 사업의 효과성(Effectiveness)은 파견전문가 교육 및 초청연수를 통한 기술전수가 효과적이었으며, 몽골 시설채소 확대 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성공적인 사업이었다고 몽골의 농업전문가들이 평가하였다. 그러나 사업장이 3개소로 확대되어 운영비가 부족하고 기술이전 대상이 분산됨에 따라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파견공무원과 최종수혜자 등의 이해관계자 간 긴밀한 협력과 소통으로 해결하였다. 사업의 영향력(Impact)은 몽골 대표적 시설채소 단지로서 입지를 확보하여 테스트베드로서 몽골 정부의 인정을 받았다. 따라서 지자체 간 국제개발협력사업도 수원국의 정부정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례로 작용하였으며, 수원국의 지자체 공무원이 ‘개발협력’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한국산 농자재에 대한 인식 제고로 몽골 정부의 농업정책에도 영향을 끼쳤다. 사업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사업이 장기간 추진되어 사업종료 후에도 농업타운 3개소 모두 정상적으로 자립 운영되고 있다. 또한 지자체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OFALI, MULS와 거버넌스 구축하여 몽골 최초의 실습형 교육체계를 확립하고 채소분야의 농업기술보급센터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사업의 일관성(Coherence)은 내적 일관성 측면에서는 KOICA 사업(2008~2009)의 기획에 영향을 주었으나 상호 협력은 부족하였으며,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ODA의 분절화를 방지하고 효과성을 제고할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외적 일관성 측면에서는 스위스개발협력청(SDC) 지원사업과 일본국제협력기구(JICA)와 돗토리현의 공동지원사업이 별도로 강원도농업타운 부지 내에서 상호 협력사업으로 진행되어 시너지를 발휘하였다. 이상과 같이 자료 분석 및 몽골 농업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 결과,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의 주요 성공 요인으로는 우선, 사전에 교류협력을 하던 수원국의 지방자치단체에 꼭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여 장기간 추진하였던 점, 둘째, 본 사업을 양 지자체 간의 우호협력을 바탕으로 장기간에 걸쳐 추진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던 점, 셋째, 인프라 구축보다는 기술 전수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선택이 적은 예산으로 높은 성과의 달성에 용이하였던 점, 넷째, 강원도가 강점을 지닌 고랭지 채소 부문의 기술이전을 사업내용으로 선택하였던 점, 다섯째, 수원국의 농업전문가에 대한 충분한 인적 네트워크를 확보하여 소통하였던 점, 여섯째, 수원국의 올바른 최종수혜자의 선정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였던 점, 일곱째, 국제개발협력사업의 거버넌스 구축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였던 점, 마지막으로 공여국과 수원국의 사업담당자들과 수원국의 최종수혜자의 역량과 주인의식이 사업을 성공으로 이끌었다. 공여국 국민으로부터 수원국의 최종수혜자까지의 다층구조의 주인-대리인 관계를 강원도농업타운에서는 지자체 간 국제개발협력사업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좀 더 거리를 좁혀 사업종료 후 지속가능성 확보가 가능하였다. 또한 몽골 정부(MOFALI), 대학(MULS), NGO(MFARD), 타국가 원조기관(SDC) 등과의 수원국의 민관 거버넌스 구축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단순했던 수직적 관계의 이해관계자를 복잡한 수평적 관계로 만들어 주인-대리인 문제를 해결하였다. 최종수혜자인 농업인이 공여국으로부터 이전받아 습득한 기술을 수원국의 농업인들에게 확산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것은 최종수혜자의 주인의식(ownership)과 책무성(accountability)이 높았기 때문이며, 인센티브도 일정부분 동력으로 작용하였다고 본다. 지방자치단체는 국제개발협력사업에 대한 추진 주체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이다. ‘몽골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은 국제개발협력 전문평가기관으로부터 강원도가 추진한 지방자치단체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성공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몽골 강원도농업타운 사업’에 대하여 KOICA 사업과의 비교분석 및 수원국 농업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지자체 국제개발협력사업에 대한 사례 분석의 의의를 가진다. 향후 지자체의 국제개발협력사업 발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지자체 국제개발협력사업도 KOICA처럼 사업 기획단계에서부터 수원국에 대한 충분한 사전조사 후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며 평가관리를 체계화해야 한다. 둘째, 지자체 사업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강원도농업타운과 같은 국제개발협력사업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지자체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할 개발협력 전문가를 양성하여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장기 전략과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자체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원조효과성을 제고하려면 중앙정부 및 민간단체의 국제개발협력사업과의 협력과 조율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개선한다면 지방자치단체가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사업 추진 주체로서 자리매김이 가능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본 연구는 수원국의 채소재배기술 교육에 참여했던 다수의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교육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지 못한 점과 사업담당자가 직접 사후평가를 한 것이 되므로 평가의 객관화 유지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교육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분석의 보완과 더불어 농업타운 소득에 대한 경제성 분석과 정부의 농업정책에 영향을 끼친 부분에 대해 장기적인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개발협력과 연계한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에 관한 연구 : 홍천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미경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Korea is no exception to the global population decline, mainly in developed countries, and in rural areas, it has already experienced a chronic shortage of seasonal manpower. As the saying goes, "You can't farm without foreigners," rural areas rely on foreign manpower for a large part of the labor force. The Foreign Seasonal Worker Program was implemented in response to this demand to resolve the seasonal lavor shortage with foreign workers through legal foreign employment during the farming season, but many local governments have problems such as mass escape and illegal stay of Foreign Seasonal Workers. This study noted the peculiarity of Hongcheon-gun, Gangwon-do, introduced 747 foreigners through an MOU with an international friedndship exchange city, San Juan, Batangas, the Philippines which did not cause a single defect, and compared to the project with Fergana Region, Republic of Uzbekistan which 75 out of 92 people escaped. Therefore, through a case study on the Foreign Seasonal Worker Program in Hongcheon-gun, the process of screening and introducing foreigner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origin countr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olicy Process Theory.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Korean farm owners, related officials of both local and foreign governments, interpreters,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Particularly, Foreign Seasonal Workers were included in this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Hongcheon-gun's Foreign Seasonal Worker Program was classified as a type of short-term circular labor migration, and through existing discussions on the link between migration and development, it was categorized as development issues of remittance, human resources, human rights & gender and governance & partnership. The use of remittance by Foreign Seasonal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as analyzed, the necessity of acquiring agricultural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ization was discussed, the causes of labor exploit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were analyzed, and measures for governance and partnership were drawn thru this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ese research, it was pointed out that unlike overseas programs, the Foreign Seasonal Worker Program in Korea is meaningful that local governments are the main subject of migration policies, but as a result of focusing only on resolving the shortage of domestic manpower, the policy may change in an unequal and exploitative structure. The goal of this program was to consider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of the sending country, to prepare an appropriate operating system and system to achieve development-friendly program operation, and to propose a human development-oriented approach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Until now, local municipalities in Korea have had little experience in foreign affairs. However, with the spread of global problems, it recognize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global governance and the importance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evaluated that this Foreign Seasonal Worker Program was a demand for regional solutions to global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nged local administrative environm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need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ourism, environment, education, and care in the futur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als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As there have been no attempts to link the Foreign Seasonal Worker Program wit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major development issues such as remittance, human resources, human rights and gender, and governance. 선진국과 신흥개발국을 위주로 한 전 세계적인 인구감소 현상은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며, 농촌지역에서는 이미 일찍부터 고질적인 계절적 인력 부족 현상을 겪어 왔다. “외국인이 없으면 농사 못 짓는다”는 말처럼, 농촌지역은 노동력의 큰 부분을 외국인 인력에 의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실시된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는 농번기 동안 합법적인 외국인 고용으로 계절적 인력 부족 현상 해소에 도움이 되었으나, 많은 지자체에서 외국인 계절근로자들의 무단 이탈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이 국제교류 도시와의 MOU 방식을 통해 3년간 747명의 외국인을 도입하여 단 한 명의 이탈자도 발생하지 않았던 필리핀 산후안시와의 사업에 비해, 도입 인원 92명 중 82%인 75명이 이탈하였던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주와의 사업이 갖는 특이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홍천군의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뿐 아니라 송출국에서의 외국인 선발과 도입과정이 어떤 정책행위자에 의해 어떤 절차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정책과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외국인 계절근로자들은 어떤 목적으로 참여하고 이들의 이탈과 귀환을 결정 짓는 요인은 무엇인지, 이 사업을 통해 얻는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접근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이 사업의 정책 이해관계자인 고용 농가와 국내외 지자체의 관련 공무원, 통역요원, 한국어교원에 대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심층면접에 포함하여 그들의 목소리를 담아 기존의 연구들이 수용국의 입장에만 머물렀던 것과 차별화하였다. 또한, 홍천군의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을 단기순환형 노동 이주의 한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주와 개발의 연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 들을 통해 송금과 인적자원, 인권과 젠더, 거버넌스와 파트너십의 개발 이슈로 범주화하였다. 심층면접에 참여한 외국인 계절근로자들의 송금 사용을 탐색하고, 이 사업을 통한 농업기술 습득과 인적자원화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노동착취와 인권침해가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거버넌스와 파트너십에 대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계절근로자 제도는 해외의 제도와는 달리 지자체가 이주 정책의 주체가 된다는 의의가 있지만, 국내의 인력 부족 해소에만 집중한 결과 송출국의 빈곤 감소 효과는 인식하지 못하고, 불평등하고 착취적인 구조로 정책이 변동될 수 있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제도의 목표에 송출국의 빈곤 감소 효과를 고려하고, 개발친화적인 제도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적절한 운영 체계와 시스템의 마련을 제안하였으며, 상호이해를 기반으로 한 인간개발 중심의 접근을 제안하였다. 그간 우리나라의 기초 지자체는 섭외적 사무를 접할 경험이 적었다. 그러나 전 지구적인 문제의 확산에 따라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지방정부의 역할과 민관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 제도가 글로벌 문제의 지역적 해결에 대한 수요였다고 평가했다. 변화된 지방행정 환경에 따라 앞으로는 관광, 환경, 교육, 돌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협력이 필요하며 지방자치단체도 이를 위한 역량을 강화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현재까지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개발협력과 연계하려는 시도가 없었던 만큼, 이 연구에서는 송금, 인적자원, 인권과 젠더, 거버넌스 등 주요 개발 이슈에 대해 탐색적으로 함의를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 문화 교재 개선 방안 연구 : - 한국 문화 인식을 중심으로 -

        진입곽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외국어 학습자들이 실생활에서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문화교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제시를 위해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의 문화에 대한 인식과 시중 판매하는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문화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문화인식에 대한 개념 및 한국어 문화인식 분류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진행하였다.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여, 교재에서 나타난 문화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교재가 문화교육의 내용이 가장 많았고, 다양한 유형의 문화교육 내용을 담고 있었다.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문화인식 조사에서는 중국인 유학생이 한국 문화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으며, 특히 한국 문화가 신선하고 매력적인 문화라고 생각하는 비중이 제일 높았다. 양국 문화 호감도 분석에서는 ‘한국문화는 중국 문화와 비슷해서 재미없다.’ 및 ‘한국 문화는 중국의 정서와 비슷하다.’ 항목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양국의 문화가 유사성을 갖고 있는 만큼 교육 내용 선정에서 이 부분을 고려하여 지루하지 않게 구성할 수 있도록 생각해 보아야 한다. 교재분석과 요구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유사성이 있다고 보는 전통문화 및 새롭다고 인식하는 현대문화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인사말, 음식 문화뿐만 아니라, 한국인이 정서와 가치관에 등 실생활에서 필요한 문화 내용을 교재에서 많이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내용에서 학습자들에게 중국의 문화와 비슷하거나 반대되는 내용을 소개하거나 독특한 문화를 소개할 수 있도록 수업에서 참여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습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주제어 : 한국어 교육, 문화교육, 한국 문화인식, 한국어 교재, 중국인 유학생 Cultural education is essential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acquire true communication skills in real life.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Korean cultur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sold in the market in order to suggest a plan for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First of all, concepts and types were organized through previous studies on 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cultural awareness and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cultural awareness were reviewed.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appeared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xtbooks published by Ewha Womans University had the most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and contained various types of cultural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a survey on Korean cultural awareness conducted among Chinese students, Chinese students positively perceive Korean culture and are very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cultural awareness and textbook analysis, it is recognized that some coherent traditional and fresh modern cultures need to be adopted. The content of textbook is to introduce not only the food culture of Koreans but also cultural content that is helpful to live, such as their emotions and values. Furthermore, when introducing Korean culture, the data suggest that learning engagement can be enhanced by providing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lassroom performance, such as introducing some Chinese cultures that are similar to or opposite to Korean culture. Key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Awareness of Korean culture, Korean textbook,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 Integration of Gender Considerations in Adaptation-Related Policies and Other Interventions in Tanzania

        John Adelhardus Ruteganya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Integration of gender considerations in climate adaptation-related interventions is seen, at the international level, as critical to achieving bo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of gender equality and climate action at the same time. Our study accessed reasons to the existing gender responsiveness, barriers and solutions to gender-responsive planning in the adaptation-related policies and other interventions applying to water, land, agriculture, health, environment sectors of Tanzania. We mixed methods to access the reasons for existing gender irresponsive planning in adaptation-related interventions. based on documents analysi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 conducted the methodology based on deductive content analysis and policy integration. Results show that, despite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recognized importance of integrating gender considerations in adaptation-related interventions, gender integration is lagging because of the deficient application of gender-responsive planning process and other barriers related to the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of the process. There are multiple reasons for the existing gender irresponsive in the planning for adaptation-related interventions. They are related and linked to (1) the application of gender-responsive planning in the sectoral policies and projects related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2) insufficiency of legal provisions for gender equality (3) institutional challenges and financial challenges at the national level (4) limite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5) weak stakeholder engagement in the planning process. solutions to address gender irresponsive planning have been conveyed. Our results confirmed the literature findings and also present new elements such a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gender-responsive adaptation planning in the policies and projects of the sector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Furthermore, we underline that for key informants, there are no easy solutions to remedy the difficulties on a real-time collection of sex and gender-disaggregated data. Finally, we noted no solutions were proved related to misuse of funds located for gender mainstreaming into sectoral polic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 Policy Developments of GHG Emission Reduction for Industrial Park in Colombia through Industrial Symbiosis and Circular Economy

        Siddique, Md. Abu Bakar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급격한 인구 증가와 대규모 사회경제적 발전, 소비 증가로 돌이킬 수 없는 기후변화가 초래되면서 순환경제를 채택할 수밖에 없게 됐다. 산업공생은 순환경제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적 도구 중 하나로 점진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남미 국가 중 최초로 국가순환경 제전략(ENEC 스페인어)을 발표한 콜롬비아는 산업공생발전 초기 단계에 있다. 본 연구를 위 해 4단계 산업공생망 개발 모델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자원흐름 분석을 통해 조직 내 폐기물/잔류물을 활용할 12개의 산업공생네트워크(ISN), 산업단지 내 조직 및 산업단지 외부 조직을 파악하였다. 제안된 12개 ISN을 기준으로, 팽창 폴리스티렌(EPS) 생산 1톤당 베이커리 폐열을 활용해 0.37kg CO2-eq를 줄일 수 있고, 콘크리트 제조업체 중 한 곳은 달걀껍질을 이용해 연간 18.07t CO2-eq를 줄일 수 있으며, 베이커리 음식물 폐기물로 인한 바이오가스 생산은 계획보다 지구온난화 잠재력(GWP)이 최소 300% 낮다.매립 처분. 마지막으로, ENEC에서 5개의 순환 비즈니스 모델과 6개의 우선 순위가 매겨진 행동 라인을 사용하여 제안된 ISN의 관련성이 정당화되었다. 또한 산업공생이 콜롬비아 순환경제 전략의 종합지표와 대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립했다. 제안된 모델은 제한된 자원으로 짧은 시간 내에 잠재적인 산업 공생 기회와 GHG 배출 감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Rapid population growth, massive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increased consumption, leading to irreversible climate change, have left us no choice but to adopt circular economy. Industrial symbiosis is progressively recognized as one of the key strategic tools to implement circular economy model. Colombia, the first Latin American country to publish national circular economy strategy (ENEC in Spanish), is at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 symbiosis development. A four-step industrial symbiosis network development model was prepared for this research. Through resource flow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12 industrial symbiosis networks (ISNs) to use waste/residue within the organization, organizations within the industrial park, and organization outside the industrial park. Based on the proposed 12 ISNs, each ton of expanded polystyrene (EPS) production can reduce 0.37 kg CO2-eq utilizing waste heat from bakery, one of the concrete manufacturing companies can reduce 18.07 t CO2-eq annually using eggshell, and biogas production from bakery food waste has at least 300% less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compared to landfill disposal. Finally, it was justified the relevance of proposed ISNs with five circular business models and six prioritized lines of actions in ENEC. It’s also established the influence of industrial symbiosis over aggregate indicators and targets of Colombian circular economy strategy. The proposed model can be used to identify potential industrial symbiosis opportunities and GHG emission reduction within a short time with limited resources.

      • Energy Potential of Methane Collected from Landfills of Municipal Solid Waste in Azerbaijan (Sumqayıt case study)

        Asim Samadov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amount of methane from MSW, the energy generation potential of methane, and the cost of using methane from MSW for electricity production in Sumqayıt city landfill between 2021-2040. For this purpose, the IPCC tier 2 method has been used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methane from MSW in the Sumqayıt city landfill. Primary and secondary data used for calculation which is primary data is taken from SSC and MENR of the Republic of Azerbaijan. For calculation, the electricity generation capacity and cost of using methane for energy purpose project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LFG-COST- web model. For the next 10 years between 2021-2030 amount of waste that will be deposited in the landfill is predicted by using the prediction of population and waste generation rate. For the prediction of the population for the next 10 years, the linear growth model for the city population is used. The amount of CH4 from municipal waste is raising over years after the starting years (2021) and reaches a peak in 2031 after the closing year of the landfill. After 2031 the amount of methane reduces gradually until the end of 2040.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electricity generation capacity of the methane is calculated under 7 different projects. The cost of the projects is calculated by using the LFG-Cost web model from USEPA, the main indicators for the projects such as the price of goods and equipment are considered with cost in the US.

      • Estimation of Methane Emissions from Mpasa Landfill in Kinshasa, DR Congo

        Kabwe, Joel Beya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도시 폐기물 관리는 쉬운 일이 아니며 킨샤사와 같은 개발도상국의 도시에서는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GHG) 배출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의 목적은 Mpasa 매립지에서 발생 및 매립되는 폐기물의 양과 2050년에 발생할 메탄 배출을 모두 파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IPCC 2006의 Tier 1 FOD와 보간은 각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론적 접근 법입니다. 따라서 현재 인구증가에 따른 1인당 평균 폐기물 발생량은 0.59톤/1인당/년으로 10년 마다 원래 인구의 50% 수준입니다. 2050년까지, 그 수치는 연간 1.9톤이 될 것이고, 검토 중인 전 체 기간 동안, 평균은 연간 0.89톤이 될 것입니다. 21054143.35톤의 폐기물이 CET-Mpasa 매립지에서 처리되었으며, 평균 1,759217톤이었습니다. ii그것은 매립지에서 배출되는 메탄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는 40년의 예측 기간 동안 582760.31 톤의 메탄이 생산되었으며, 35433.36톤이 다음 해(2035년)에 최고치에 도달했다고 추정합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의 연구 지역을 형성한 킨샤사의 9개 코뮌에서 2050년까지 메탄 배출과 폐기물 발생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폐메탄 배출량은 일반 대중의 구매력과는 반대로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인구 증가와 함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The management of municipal waste is not an easy task, and to do it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where the result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will have no adverse effect on the environment is even more difficult in the context of a city that is developing like Kinshasa. For this reason,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determine both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and buried in the CET-Mpasa landfill and the methane emissions that will result in 2050. Therefore, Tier 1 FOD of the IPCC 2006 and interpolation is the best methodological approach to achieve our respective objectives. Thus, the following facts emerged: the average waste generation per capita is currently 0.59 tons/person/year as a result of an increasing population, that is, 50% of the original population each decade. By 2050, that figure will be 1.9 tons/person/year, and for the entire period under review, the average will be 0.89 tons/person/year. 21054143.35 tons of waste were disposed of at the Mpasa landfill, with an average of 1759217 tons. Regarding the methane emissions generated by the landfill. We estimate that 582760.31 tons of methane were produced over 40 years of projection, with 35433.36 tons peaking in the year following the closure of the operations (2035).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a growth in methane emissions as well as waste generation by 2050 in the nine communes of Kinshasa that comprised our study region. Waste-methane emissions have tended to increase with population growth over time, despite economic growth, because economic growth has evolved in opposition to the purchasing power of the general public.

      • Assessment of Household Water Supply Security as Climate Change Adaptive Capacity: : a case study of Guimaras Island, Philippines

        Fara-On, Neil Paul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primarily manifested through water, brought about by changes i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weather events.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highlighted the adve rs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security as a result of extreme variations in climate parameters. The Philippines has been experiencing various climate hazards induced by increasing temperatures, rainfall variability, stronger typhoons, and sea leve l rise. Climate change and natural hazards remain challenging in ensuring a safe water supply. Securing the water sector is imperative for any adaptive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adopted the structure of the water security assessment framework developed by M.S. Babel in 2020. This study focused on household water supply security (HWSS) as the foundation of water security. It is essential to eradicate poverty, which is the fundamental responsibility of a government entity. The researcher selected and categorized indicators and variables based on the normative criteria of the human rights to safe water and the Philippine policies on water supply. The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five municipalities and the island province of Guimaras, Philippines. The study found that out of the 50,906 households, almost all have available when-needed and improved source water supply services. Nearly half have inside their premises water supply services. However, only one-third have free from Escherichia coli water supply services. The DILG-administered water supply projects have supplied safe water to almost half of the households. The island province of Guimaras has a “good” level of Household Water Supply Security. Only the municipality of Buenavista has reached the “very good” level of household water supply security. In contrast, the rest of the municipalities have only a “good” level. The developed framework is based on the United Nations' working definition to enhance the operationalization of household water supply security at the local rural, or provincial level. The approach and findings of the study can effectively monitor the household water security situation and design policy measures accordingly to improve water management in the local government units. 기후 변화의 영향은 주로 극단적인 기후 사건의 빈도와 강도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물을 통해 나타난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은 기후 변수의 극단적인 변화의 결과로 인한 기후 변화가 물 안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했다. 필리핀은 기온 상승, 강우량 변동성, 태풍 강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다양한 기후 위험을 경험하고 있다. 기후 변화와 자연 재해는 안전한 물 공급을 보장하는 데 있어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물 부문의 확보는 기후 변화에 대한 모든 적응적 대응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2020년 M.S. Babel이 개발한 물안보 평가 프레임워크의 구조를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물안보의 기초로서 가정용 급수 보장(HWSS)에 초점을 맞추었다. 정부 기관의 근본적인 책임인 빈곤을 근절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연구자는 안전한 물에 대한 인권의 규범적 기준과 필리핀의 물 공급 정책에 대한 지표와 변수의 선정과 분류를 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5개 지방 자치체와 필리핀 기마라스 섬주에 적용되었다. 이 연구는 50,906가구 중 거의 모든 가구가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고 개선된 수원 급수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거의 절반이 그들의 구내에 상수도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장균 급수 서비스가 무료인 곳은 3분의 1에 불과하다. DILG가 관리하는 상수도 사업은 거의 절반의 가정에 안전한 물을 공급했다. 기마라스 섬 지역은 "좋은" 수준의 가정용수 공급 보안을 갖추고 있다. 부에나비스타 시만이 가정용수 공급이 "매우 양호한" 수준에 도달했고, 나머지 시는 "좋은" 수준에 불과하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지역 농촌 수준 또는 지방 규모에서 가정용 급수 보안의 운영화 강화를 촉진하기 위한 유엔의 작업 정의에 기초한다. 본 연구의 접근방법과 결과는 효과적으로 가정의 물안보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른 정책방안을 설계하여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물관리를 개선할 수 있다.

      • Study of Flood Early Warning System and Policy Implementation as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 : The Case of Jakarta, Indonesia

        Cempaka, Azhari Putri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매년 자카르타의 홍수로 인해 수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고 수십만 명의 주민이 집을 잃었으며 수백 명의 목숨을 잃었습니다. 홍수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적응 조치 중 하나는 효과적인 조기 경보 시스템(EWS)입니다. 이 연구는 레이더의 열 최대값및 표면 강우 강도 제품을 사용하여 2020 년 자카르타 홍수 이벤트 동안 대류 개시 및 진화의 특성을 식별했습니다. 히마와리-8 위성의 적외선 채널에서 모니터링한 운정 온도의 시간적 변화. 결과는 레이더의 대류 시작이 dBZ 값 > 35 로 표시됨을 보여줍니다. 2020 년 1 월 1 일 홍수 사례 연구에서 기상 레이더는 물이 여러 지역에서 고이기 시작하기 15 시간 45 분 전에 대류 시작을 감지했으며 여러 수문이 경보에 도달했습니다. 상태 4. 또한 홍수조기경보시스템의 발전에 대한 국민의 수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카르타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응답자의 42%가 홍수조기경보를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결론적으로 기상레이더 자료는 비상대응을 위한 충분한 리드타임을 가진 높은 공간적,81 시간적 해상도의 자료를 제공하고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홍수로 인한 잠재적인 손실과 피해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마지막으로 다중 입력 데이터를 활용한 홍수조기경보 이행 분석을 권고한다. Every year, flooding in Jakarta resulted in economic losses of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hundreds of thousands of residents were displaced, and hundreds of lives were lost. One of the adaptation measures to reduce the impact of flooding is an effective early warning system (EWS). This study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convective initiation and evolution during the 2020 flood event in Jakarta using the Column Maximum and Surface Rainfall Intensity products on the radar. Temporal changes of cloud-peak temperature monitored by Infrared channel of Himawari-8 satellite. The result shows convective initiation on the radar is indicated by the dBZ value > 35. In the January 1, 2020 flood case study, weather radar detected convective initiation 15 hours 45 minutes before water began to pool in several areas, and several floodgates reached alert status 4. Additionally, to gauge how well the public will accept the development of a flood early warning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Jakarta citizens, where 42%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had never received a flood early warning. In conclusion, weather radar data is beneficial to avoid potential loss and damage due to flooding events since it provides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data with enough lead time for the emergency response and improves the adaptive capacity. Finally, analyzing the implementation of flood early warning using multiple input data is recommended.

      • A Comparative Analysis of CO2 Emissions Among Transportation Vehicles in Iloilo City, Philippines

        Gianzon, Ma. Chris Velmida Perfas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transportation sector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largest emitters of greenhouse gases (GHG), accounting for roughly one-quarter of global GHG emissions, which have continued to rise. However, transport efficiency is critical for improving the country's investment climate and economic growth. In archipelagic countries like the Philippines, the transport sector is the primary link between the population and economic center across the archipelago. Improving the transport sector in the country is critical in strengthening the economy to sustain economic growth and investment in climate mitigation and adaptation. To mitigate the alarming increase of GHG emissions in the transport sector in the Philippines, specifically in Iloilo City, a growing highly urbanized city in the country, a shift to electric vehicles is one of the policy recommendations. The study calculated the CO2 emiss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and compared different scenarios using the IPCC 2006 National Guidelines on Green House Gases. The calculations have resulted to the electric vehicle has the lowest CO2 emission with 40-50% less tha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gasoline has the highest emission per liter of fuel consumed. Finally, with the same number of vehicles on the road, replac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with electric vehicles results in a 10-15% reduction in CO2 emissions in road transport, which is 84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expected. The national mindset needs to change to recognize the perils of conventional fuels and chart out a vision for a cleaner, greener energy. This also requires changing customer behavior, and educating more about climate change can influence consumer buying preferences. 운송 부문은 온실가스(GHG)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부문 중 하나로 확인되었으며,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4을 차지하며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운송 효율성은 국가의 투자 환경과 경제 성장을 개선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필리핀과 같은 군도 국가에서 운송 부문은 군도 전역의 인구와 경제 중심지 사이의 주요 연결 고리입니다. 국가의 운송 부문을 개선하는 것은 기후 완화 및 적응에 대한 경제 성장과 투자를 지속하기 위해 경제를 강화하는 데 중요합니다. 필리핀, 특히 필리핀에서 고도로 도시화되고 있는 도시인 일로일로 시에서 운송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놀라운 증가를 완화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로의 전환이 정책 권장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 연구는 내연 기관 차량과 전기 자동차의 CO2 배출량을 계산하고 온실 가스에 관한 IPCC 2006 국가 지침을 사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비교했습니다. 계산 결과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보다 40-50% 적은 CO2 배출량이 가장 낮고 휘발유는 소비된 연료 1리터당 배출량이 가장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도로에 같은 수의 차량이 있는 경우 내연기관 자동차를 전기 자동차로 교체하면 도로 운송 시 CO2 배출량이 10~15% 감소하며 이는 예상보다 크게 높지 않습니다. 재래식 연료의 위험을 인식하고 보다 깨끗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국가적 사고 방식이 바뀌어야 합니다. 이것은 또한 변화하는 고객 행동을 요구하며 기후 변화에 대해 더 많이 교육하면 소비자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