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from MSW using Hybrid plasma technology and distributed based on AI system: A case study for the Kinshasa Metropolis (DRC)

        Jean Chrysostome Biong Mayoko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Electricity is a critical resource in the daily life of a population, industry, business, or any type of organization since it enables the investments, innovations, and new sectors that drive job creation, inclusive growth, and shared prosperity across entire economies (World Bank, 2022). There is no development without electricity because many sectors of life deal with it. Congo, the Democratic Republic of, is one of the large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second in Africa, and in addition, the richest country in terms of natural resources with a population estimated at around 90 to 100 million inhabitants. However, it is among of low electrification rates country in the world less than 20% of the Congolese population has access to electricity. In the same line of thought, every day, DR Congo produces a huge quantity of solid waste generated in the country without a suitable management system.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primary causes of waste generation are urbanization,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growth. Kinshasa metropolises city produces around 11900 tons of MSW per day. Taking out all kind of waste could not be used for energy production, the estimated amount of waste is around 451.21 tons from 24 of municipalities, with production average of 208.41 tons each township. This situation raises concerns about the long-term management of waste capacity. Besides this, the absence of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results in flooding, air pollution emissions from household waste burning,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osquitos, causing public health concerns. Furthermore, Solid waste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energy and that power generation from wast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impacts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on the ecosystem. In addition, various methods currently accomplish waste management including incineration, landfills, biochemical conversion, and others. However, among of these processes, some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waste reduction efficiency is low and causes health risks. Under this situation, appropriate and sustainable environment waste-to-energy conversion technologies are critical for attempting to address the massive amount of Solid waste produced and energy trustworthiness sustainable and responsible, resulting in the transformation of a habitabl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focused on a suitable electricity production source while automatically ensuring energy balance between production source and distribution throughout a smart grid on one hand and providing a new way or technique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current solid waste treatment methods to solv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ts consequences on man in another hand. Thereby, the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the implementation of hybrid plasma technology through a gasification process as a suitable or eco-friendly waste-to-energy technology in the city of Kinshasa. The physical composition analysis in Kinshasa city was conducted and findings show that the city has the diverse type of waste depending on the season.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Aspen plus software was able to produce Syngas from the simulation and the result show Mass fraction of H2, N2, H2O, CO, CO2, CH4 with a mass density of 0.37 kg/cum. Thereby, the expectation capacity to install from this pilot project is about 11.82 MW/h PE-IGCC power plant. In addition, from this capacity of energy produced using plasma gasification, Machine learning model, especially LSTM RNNs and Simple RNN for automatically learning features from sequence data which support multiple-variate data for multi-step forecasting provided a best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energy forecast between a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 based on data from Kaggle considering day and nighttime. The result of the ML model shows a best performance of learning with 96% of accuracy. Based on findings, the microwave hybrid plasma technology and AI techniques proposed in this research handle both crises efficiently, including environmental pollution, waste disposal issues, and power reliability.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민 한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을 토대로 한국 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결정성, 편안성),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학년, 학점, 전공계열)에 따라 주요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상관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결정성, 편안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학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진로결정수준은 성별에 따라,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진로준비행동은 학년에 따라, 학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결정성, 편안성), 진로준비행동은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고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사이에서 진로결정수준의 결정성과 편안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을 높여 진로준비행동의 증가를 예측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상담에서의 유용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Korean college students’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decidedness and comf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SCCT). For this purpose, data from 300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by online survey and their levels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Hayes(2013)’s Process Macro. The proces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we examined significant difference of main variabl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grade, year, major). Secondly, we investigated correlations of variables. Lastly, we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decidedness and comf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ly,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grade, career decision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 and year. Secondly, academic self-efficacy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level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stly, career decision level and it’s subscales, decidedness and comf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ademic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is predicting an increas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mediating career decision level. Therefore, the study provides useful interventions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 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 인터넷 사용과 성행동의 관계 :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을 중심으로

        차윤경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재외동포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 인터넷 사용(음란물접촉)과 성행동을 일반대학생과 비교하고 성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올바른 성적 판단과 행동을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포항과 서울지역의 3개 대학교 수업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총 284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의 내용은 일반적 특성 12문항, 성지식 49문항, 성행동 43문항, 성교육 18문항, 인터넷 10문항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어떠하며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관계경험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은 어떻게 다른가? 둘째.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지식, 성행동, 성교육, 인터넷 사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 인터넷 사용이 성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는 총 284명으로 남자 47%, 여자 52.5%이며 연령은 17-31세이고, 전공은 인문계,사회계가 가장 많았다. 학년은 4학년(38.4%)가 가장 많았고, 동성친구와 거주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71.8%), 거주형태로는 기숙사(61.6%)가 가장 많았다. 71.1%가 기독교였으며 종교활동은 비교적 열심히(34.9%)가 가장 높았다. 출신고교는 인문계(66.9%)가 가장 많았고 출신고교는 대도시(49.6%)가 가장 많았다. 현재 교제상대가 있는 학생은 33.8%였으며 외국유학경험은 43%였다.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관계 경험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일반대학생은 23.75세에 첫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4학년(42.5%)이 가장 많았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61.5%는 현재 자취,하숙의 거주형태를 가졌고 성관계 경험이 있는 일반대학생의 37.5%는 기숙사의 거주형태를 가졌다. 종교활동상황 차이를 알아보면 성관계 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26.9%는 가끔씩, 성관계 경험이 있는 일반대학생의 35%는 보통이 가장 높았다. 출신고교유형 차이를 알아보면 성관계 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55.8%은 인문계, 성관계경험이 있는 일반대학생의 90%도 인문계로 가장 높았다. 교제상태 유무를 살펴보면 성관계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53.8%, 성관계 경험이 있는 일반대학생의 50%는 현재 교재상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거주 국가를 살펴보니 북아메리카가 57.7%로 가장 많았고 외국거주유형으로는 어학연수가 30.8%로 가장 높았다. 둘째, 성지식은 일반대학생(M=72.64)이 재외동포대학생(M=71.40)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재외 M=71.94, 일반 M=73.19)이 여학생(재외 M=70.99 일반 M=72.14)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재외동포대학생은 일반대학생보다 형제자매(14.8%), 소설이나 성 전문서적(39.3%), 포르노나 성인만화(34.4%), 여성잡지나 성인잡지(42.6%)를 통해서 성지식을 더 많이 습득하였고 일반대학생은 재외동포대학생보다 인터넷(69.1%)을 통해서 성지식을 더 많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행동의 하위유형 중 성충동은 재외동포대학생(M=19.67)이 일반대학생(M=17.23)보다 높게 나타났다. 첫 자위행위 연령은 일반대학생(M=15.12)이 재외동포대학생(M=15.20)보다 더 낮았고, 일주일간 자위행위 횟수는 재외동포대학생(M=1.57)이 일반대학생(M=1.19)보다 더 높았다. 재외동포대학생의 42.6%, 일반대학생의 24.7%가 성관계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고 그 중 첫 성관계는 호텔/모텔에서 가졌다는 학생이 재외동포대학생의 50%, 일반대학생의 32.5%로 가장 많았다. 일반대학생(8.7%)은 재외동포대학생(2.2%)보다 첫 성관계 후 바보스러운 감정을 가졌고 재외동포대학생(8.8%)은 일반대학생(0.9)보다 첫 성관계 후 기쁜 감정을 가졌다. 피임은 재외동포대학생(94.2%), 일반대학생(77.5%)가 가끔 또는 거의 매번한다고 대답했고 재외동포대학생의 7.7%, 일반대학생의 5%가 임신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성관계 후 재외동포대학생의 32.7%는 만족했다고 답했으며 일반대학생의 32.5%는 후회했다고 답했다. 첫 성관계 후 재외동포대학생의 34.6%, 일반대학생의 52.5%는 상대방과 관계가 더 좋아졌다고 답했으며 재외동포대학생의 71.2%, 일반대학생의 70%가 다시 성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교육의 필요성은 재외동포대학생(M=3.23)과 일반대학생(M=3.64) 모두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성교육을 받은 시간은 재외동포대학생이 4.94로 일반대학생의 4.19보다 높게 나타났다. 재외동포대학생은 정규수업시간(40.2%)에 보건/양호교사(18.7%)로부터 일반대학생은 별도의 교육시간(33.3%)에 담임교사(22.4%)로부터 성교육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일반대학생(M=2.63)이 재외동포대학생(M=2.92)보다 조금 더 쉽게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에 인터넷 포르노 사이트 접촉 횟수는 재외동포대학생이 1.14회로 일반대학생 1.39회 보다 높았으며 한 달에 컴퓨터용 포르노 CD 접촉 횟수 역시 재외동포대학생이 1.52회로 일반대학생 0.37회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재외동포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 (효과),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인터넷(β=.318, p=.000), 성지식(β=-.303, p=.000), 성교육(β=.009, p=.870)순으로 나타나 재외동포대학생은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성행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학생은 인터넷(β=.229, p=.000), 성교육(β=-.136, p=.058), 성지식(β=.124, p=.080)순으로 나타나 인터넷만이 일반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학교에서 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강화하여야 한다. 학교에서의 성교육은 대부분의 학생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였지만 재외동포대학생에 비해 일반대학생은 학교의 성교육이 그들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재외동포대학생 역시 학교의 성교육이 성행동에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외동포대학생은 정해진 정규수업시간에 성교육이 실시되는 반면 한국은 별도의 성교육시간이 마련되어 실시된 것을 알 수 있다. 교육인적자원부(2006)에 따르면 초·중·고등학교의 성교육을 강화하고 학년별 성교육 시간을 반드시 10시간 이상 확보하여 외부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해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으나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나 전담교사보다는 담임교사에게 교육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정책이 올바르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성교육 전담교사가 양성되어야 하고 양호교사의 성상담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또한 인터넷이나 대중매체를 통한 왜곡된 성인식이 아닌 올바른 성가치관과 자기통제, 절제, 금욕 등을 교육하고 학교 성교육과 함께 가정이나 상담기관이 연계되어야 한다. 부모들에게는 자녀에게 성의 아름다움과 절제를 가르칠 수 있는 부부간/부자간 성 의사소통 등의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자녀를 유학 보내거나 외국에서 생활하게 될 때 성윤리나 자기 통제력과 같은 성교육이 필요하며 성에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르치고 모델링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건강한 성문화를 갖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모두 인터넷과 대중매체를 통한 성지식 습득이 가장 높으며, 대학생들의 성행동이 높아지고 그 연령이 낮아지면서 낙태, 임신, 임신중절수술, 성병, 성폭력 등의 문제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대학생들의 성행동인식과 양상의 변화에 맞는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재외동포대학생이 일반대학생보다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많은 것은 교육적인 차원과 건강한 성문화 차원에서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외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인터넷 음란물에 대해 더욱 많이 노출되며 이로 인한 성충동이나 성행동에 죄책감이나 부정적인 양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은 한국의 일반대학생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귀국학생의 심리적 상황, 생활 적응에 대한 프로그램이 성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병행되어 앞으로 건강한 성의식과 성문화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으로 귀국하는 재외동포대학생/귀국학생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들의 해외유학이 그들의 성지식, 성교육, 인터넷 사용과 성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심층적인 후속연구를 통해서 한국에 있는 일반대학생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치게 되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수학능력시험 준비를 위한 읽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김종성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7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써 영어를 학습하는 자들에게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제시하여 대학 입학을 위한 수학능력시험을 효율적으로 준비하고 더불어, 국제화 시대를 맞아 영어로 된 유익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언어의 4대 기능인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중에서 읽기 능력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첫째, 일상 생활에서 말하기, 듣기 또는 쓰기를 항상 활용 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현실에서 영어를 보다 능동적이고 실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읽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대학 입학을 위한 수학능력시험에서 읽기 능력에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읽기 교육에서 읽기의 의미는 글에 나타난 글쓴이의 표면적 의도뿐만 아니라 내면에 숨겨진 의미까지 독자가 찾아내는 과정이며, 인쇄된 정보 안에서 실마리를 찾아 독자가 터득한 지적, 언어적, 경험적, 문화적 요소와 알맞게 재결합하는 과정이다. 즉, 언어적 지식인 단어 및 숙어, 구문, 문법 등을 이해, 숙지하고 경험적, 문화적 요소인 스키마를 충분히 활용하여 독자 스스로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스키마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반드시 인식해야 할 것은 정보처리과정을 설명하는 상향과정(bottom-up processing)과 하향과정(top-down processing)에 대한 이해이다. 상향과정은 단어 단위에서 시작하여 어휘나 문장의 통사구조를 예측하고 확인하며 마지막 단계인 의미를 이끌어내는 것이고, 하향과정은 독자의 선행지식과 세계관으로부터 시작해서 문자자료의 내용을 예측하고 확인하는 과정이다. 읽기 과정에서 상향과정에 치중하는 나머지 읽기의 속도나 내용 이해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하향과정에 치중하는 나머지 세부사항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향이나 하향 중 어느 하나에 치중함으로써 발생하는 읽기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Carrell(1988)이 제시했던 것처럼 상향 및 하향 두 과정을 동시에 사용하는 ‘상호작용적 읽기 방법’(Interactive Approaches To Reading)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 3장의 3항에서는 몇 몇 학자들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Rivers(1968)는 읽기 지도에 대한 6단계 방안으로 대화식으로 된 기초적인 문장의 암기, 어군(word cluster)별로 읽도록 지도하기, 구문의 줄거리를 인식하고 언어학적 요소를 구별할 수 있는 기술의 지도, 정독과 다독의 지도, 심화된 정독과 독립적 다독의 지도, 학생의 취향에 따른 잡지, 신문, 기타 책자 등을 선택한 읽기의 지도를 제시하고 있다. Harris(1962)는 독해능력 향상에 필요한 요소로써 사고단위(구, 문장, 단락) 이해하기, 지문에서의 사건의 전개 순서 파악하기, 그리고 독해 내용에 대한 평가 및 비판하기 등을 제시하고 있다. Jenkinson(1973)은 화제 문장 파악하기, 사고의 전개 순서 추적 및 예상하기, 문맥에 의한 어휘 의미 파악하기, 추론 또는 예견 능력 향상을 제시하고 있다. Mikulecky & Jeffries(1986)는 문맥에 의한 어휘 파악하기, 화제 및 주제 파악하기, 문화적 배경지식 배양하기, 그리고 모국어 독해력의 전이를 언급하고 있다. 이들의 독해 관련 요소들 중의 공통점은 어휘 습득, 통사 구조파악, 논리 전개구조 파악, 그리고 배경지식의 필요성 등으로 요약된다. Cook(1989)는 읽기 전(Before Reading), 읽는 도중(During Reading), 읽은 후(After Reading)의 행동 유형을 학습자들이 잘 숙지하여 실천하기를 제안한다. 읽기 전의 행동은 읽을 글에 대한 사전 지식과 목적을 염두에 둠으로써 읽기에 대한 흥미와 학습 동기가 유발되고, 읽는 도중의 행동은 한 문장, 한 단락을 읽는 가운데 다음은 어떤 내용이 나오는가를 예상하는 습관을 가지게 함으로써 문장 하나 하나를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내용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있는 일체로 지문을 인식하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읽고 난 후의 행동에서는 스스로 질의와 답을 할 수 있는 절차를 가짐으로써 정확한 내용의 요약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제 4장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을 대비한 읽기 지도에서 밝힌 것처럼, 수학능력시험에서 읽기의 비중이 매우 높기에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많은 단어 및 숙어, 구문, 문법, 지문의 구성단계, 적절한 끊어 읽기 등에 대한 학습은 필수적이다. 수학능력시험 문제의 분석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제한된 시간 안에 주어진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읽기 능력의 습득은 필수적이다. 즉, 주어진 문장을 글의 흐름에 맞게 재배열하는 문제, 주제를 찾아내는 문제, 알맞은 연결사를 찾는 문제, 등 다양한 형태의 문형에 맞추어서 적절한 해결 능력을 적용시키는 것이 수학능력 시험에서는 요구된다. Robinson(1970)이 SQ3R Reading Method 전략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단계인 읽기 전에 본문을 살펴라, 본문을 살펴보는 동안 질문하라, 읽기를 시작할 때 생각해둔 질문의 답을 찾아라, 한 단락을 읽고 난 뒤 상세히 말하라, 지속적인 과정으로써 학습내용을 복습하라 등을 꾸준히 실천하고 습관화한다면 수학능력시험을 대비하여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자들에게는 충분한 학습 동기 부여의 기회가 되고,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라 하겠다. 읽기 능력의 향상이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는 것을 감안할 때,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꾸준히 실천한다면 수학능력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고 더 나아가 국제화 시대에 맞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큰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는 바이다.

      •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자기비난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와 자살사고의 이중매개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예훈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Recently, the suicide rate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in South Korea has remained at a high level. The issue of suicide among college students is considered a serious social problem as it causes significant losses on both individual and societal levels, including the loss of talent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the incurrence of social costs.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vent and appropriately intervene in the issue of suicide. Understanding the pathways of suicide among college students is crucial for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hways of suicide presented by the theory based on the Reactive Avoidance Model, which highlights the functional aspects of suicidal behavior and suggests emotional regulation interventions and phased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86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ho had experienced suicidal thoughts at least once within the past six months, with a final analysis conducted on 355 valid responses.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the Depression Experience Questionnaire (DEQ),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MEAQ),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 the Suicidal Behaviors Questionnaire (SBQ-R),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variables, except for experiential avoidanc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Experiential avoida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only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daptive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cond, in the pathway from perceived stress to self-criticism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and suicidal ideati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significan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the dual mediation pathways throug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significant in a positive direction when the level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1SD above the mean and significant in a negative direction when 1SD below the mea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significant in a negative direction when 1SD below the mean or at the mea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mechanisms explaining the occurrence of 107 suicidal ideation described in the Reactive Avoidance model, facilitating appropriate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suicidal ideation. Additionally, the findings can contribute to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enhancing stress management and appropriate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They can als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creening tools for assessing suicide risk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different moderating effects of adaptive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uggesting appropriate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s for college students exhibiting experiential avoidance.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최근 국내 20대 대학생의 자살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학생의 자살 문제는 개인과 사회적 차원에서 큰 손실을 야기할 뿐 아니라 국개의 미래를 책임질 인재들의 상실과 사회적 비용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자살문제에 대한 예방과 적절한 개입이 시급하다. 자살의 효과적인 예방과 개입을 위해선 대학생들의 자살적 행동의 경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살적 행동의 의미를 기능적 측면에서 조명하고 이에 대한 정서조절 개입과 단계적 개입을 제안할 수 있는 반응적 회피 모델을 바탕으로 이론에서 제시하는 변인 간의 자살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이며 6개월 이내에 자살사고를 한 번 이상 해본 적이 있는 대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55명의 자료를 SPSS 25.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우울경향질문지(DEQ),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MEAQ), 자살사고 척도(SIQ), 자살행동 척도(SBQ-R),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경험회피를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것을 나타났으며, 반응회피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적응적·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만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반응회피와 자살사고를 거쳐 자기비난으로 향하는 경로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따른 이중매개경로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평균보다 1SD 높을 때 양의 방향으로 유의하였으며, 1SD보다 낮을 때에는 음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따른 조건부 간접효과는 평균보다 1SD보다 낮거나 평균 수준일 때 모두 음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응적 회피 모델에서 설명하는 자살사고가 발생하는 기전을 지지함으로써 자살사고의 문제를 겪고 있는 대학생의 단계에 알맞은 자살 예방과 개입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트레스 관리와 적절한 정서조절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개입 프로그램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추후 대학생의 자살 위험을 스크리닝하는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적응적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상이한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경험회피를 보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절한 정서조절 개입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국내 대학생의 우울 영향요인에 대한 혼합연구 : 거부민감성, 자기침묵, 자기개념 명확성을 중심으로

        김희수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내 대학생들의 우울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면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우울요인을 탐색하고 각 요인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거부민감성, 자기침묵, 자기개념 명확성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 변인들의 성차를 확인한 후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변인들이 대학생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우울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확인한 후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에 대한 개입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장훈장학회로부터 후원을 받아 인바이트(www.invight.co.kr)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 300 부 중 이상치를 제외한 총 291 개의 자료가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거부민감성, 자기침묵, 나이는 우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자기개념 명확성은 우울에 유의한 부적 영향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침묵에서 남성과 여성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거부민감성, 자기개념 명확성, 우울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침묵의 경우 하위요인인 자기 희생을 통한 돌봄, 자기침묵 행동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우울 요인들에 대한 혼합연구를 통해 보다 더 깊은 이해를 도출하였다. 둘째,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특징적 양상인 거부민감성, 자기침묵에 대한 성차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우울에 대한 개입방안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 Development of group program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 여자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예방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

        최수연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국내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트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김창대 등(20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절차를 따라 1회기에 75분, 총 6회기의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양적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P시의 여자 대학생 10명으로, 실험집단에는 5명, 통제집단에는 5명이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데이트 성폭력 예방 집단 프로그램을 회기 당 75분씩, 주 2회, 총 6회기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성적 자기주장을 사전 및 사후시기에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데이트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통계방법 중 Man-Whitney U 분석과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트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여자 대학생들은 성적자기주장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성적자기주장의 하위요인인 원치 않는 성 행동 거부와 성행동 인식 그리고 성욕구 인정·표현도 마찬가지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회기별 경험 보고서 및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은 것으로는‘스스로를 지키지 못했던 모습을 발견, 고통의 보편성과 동질감을 깨달아 얻은 위로와 평안,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관념의 반성, 성폭력의 실상을 깨달음에 따라 건강한 연애를 분별할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 피해자를 배려해주지 못하는 사회적 구조와 분위기에 대한 변화 고취, 데이트 성폭력 예방 교육의 필요성 절감’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데이트 성폭력 예방 집단프로그램은 여자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데이트 성폭력 예방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에 대한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program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targeti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ocedure of Kim Chang-dae et al. (2011), a group counseling program of 75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6 sessions was develop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subjective experience analysis was conducted. Thus, we tried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P city, 5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5 to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ing sexual violence prevention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or 75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a total of 6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treatment. The self-assertion and decision-making of grad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Man-Whitney U analysi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amo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ating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dating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xual self-asser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fusal of unwanted sexual behavior, recognition of sexual behavior, and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xual desire, which are sub-factors of sexual self-assertion, were similar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the contro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help through the program were'discovered the way they could not protect themselves, inspiring changes to the social structure and atmosphere that did not care for the victims, and the universality and homogeneity of pain. Consolation and peace gained by realizing the awareness, reflection of false notions about sexual assault, confidence that a healthy relationship can be discerned by realizing the reality of sexual assault, and reduction in the need for education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program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in dating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positive effect in promoting sexual self-asser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group program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on dating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의 관계 : 대인존재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의빈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의 관계에 대인존재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5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 Marsh, Wen과 Hau(2004)가 제안한 비제약 방법(nonstrained approach)에 따라 SPSS 22.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 구조모형의 모형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항에서 종속변수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유의하게 나타나 대인존재감이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이 입증되었다. 구체적으로,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자기 낙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대인존재감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자기 낙인이 상대적으로 더 낮으며 특히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높을 때 대인존재감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자기 낙인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인존재감이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자기 낙인으로 내재화 되는 정도를 완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대인존재감이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자기 낙인으로 내재화 되는 정도를 낮춰 개인이 낙인을 내재화 하는 것을 조절하는 것을 밝혀 낙인의 내재화에 대한 보호요인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에 대한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정마인드셋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미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고정마인드셋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과정을 통합한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Shneidmand 의 정신증적 자살이론 및 Dweck 의 암묵적 자기 이론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을 독립변인으로, 고정마인드셋을 매개변인, 회복탄력성을 조절변인 및 조절된 매개변인으로,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12 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질문지 단축형, 암묵적 자기 이론 척도, 자살생각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검증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고정마인드셋의 부분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긍정성과 사회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생각을 보고하는 대학생 및 초기 성인의 상담 실제와 정서적 학대 및 방임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필요의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a fixed mindse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Suicide as Psychache, the theory of Shneidman, the Implicit Self Theory of Dweck, and related empirical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verify the effect by setting up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s independent variables, fixed mindset as a meditation variable, resilience as a moderated variable and a moderated mediation variable, and suicidal ide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512 college student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 Short Form, Implicit Self Theory Scale, Measures of 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mediation effect of a fixed mindse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regarding the counseling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and early adulthood who reported suicidal ideation and parent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Limitations to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목표의 매개효과

        이요섭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goals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happiness.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happines s? Second, does the life goals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 set and happines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9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208 quest 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ept for 11 questionnaires in which the responses were unfaithful.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Nam Yoon jung(2017) revised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Lyubomirsky and Lepper(1999), Park Jun su(2017) revised the scale developed by Dweck(2006)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 scale developed by Kasser and Ryan(2004) was translated by Choi Young mi and Song In seop(2013) to find out the life goals level of college students' lives. For data analysis, SPSS 26.0 i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key variables, and after using Process Macro developed by Hayes, verified the mediated effectiveness using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happiness, and life goals all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life goals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happiness. Second, the growth mindset of colle ge students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both happiness and life goals, and life goal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happi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 set and happiness, the life goal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while the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directly affects happiness, it also indirectly affects life goals as a medium.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ducted a study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ith the lowest happiness index in Korea. College students in Korea are stressed out by various factors and complaining of low happiness. Due to the subjectivity and undefined definitio n of happiness, there are not many objec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more diverse variabl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to happiness based on psychosocial variables.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 ul because it looked at the impact of the growth mindset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is a part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is a factor that does not change well because it is intertwined with self respect, self concept, and identity, but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a specific mindset through education.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improve happiness by influencing the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Third, th 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found out that the growth mindset has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by mediating life goals. It found that intrinsic goals, a subfactor of life goals, were partially mediat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improve happi ness by engaging in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s at the counseling site. Fourth,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at the research target was selected as a college student and the research on the growth mind set was condu cted. Mindset has stable characteristics, so many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But in this study, growth mindset studies wer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 t o help through the involvement of not onl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college students in the field of counsel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복 지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시정에서 행복을 성장 마인드셋과 연관 지어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목표가 매개한느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의 관계에서 삶의 목표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21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208 부의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로 대학생의 행복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Lyubomirsky와 Lepper(1999)가 개발한 주관적 행복 척도(Subjective Happiness Scale)를 남윤정(2017)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Dweck(2006)이 개발한 척도를 박준수(201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삶의 목표 수준을 알기 위해 Kasser 와 Ryan(2004)이 개발한 척도를 최영미, 송인섭(201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여 주요변인의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한 후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 삶의 목표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삶의 목표는 행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은 행복과 삶의 목표 모두에게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목표는 행복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 셋과 행복의 관계에서 삶의 목표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삶의 목표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에서 행복지수가 가장 낮은 대학생의 행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한민국의 대학생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낮은 행복갑을 호소하고 있으며, 또한 행복이 갖고 있는 주관성과 정립되지 않은 정의로 인해 객관적인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사화적 변인들을 토대로 행복에 미치는 관계성을 탐구함으로 추후 보다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 기대된다. 둘째, 대학생의 행복에 성장 마인드셋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장 마인드셋은 개인의 성격의 한 부분이며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정체성 등과 얽혀 있어 잘 변화하지 않는 요인이지만 교육 등을 통해 특정 마인드셋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항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영향을 주어 행봉갑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이 삶의 목표를 매개하여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삶의 목표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목표가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상담 현장에서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의 비주을 높이도록 관여하고, 내재적 목표에 해당되는 개인적 성장, 대인관계, 지역사회 등과 같은 목표를 향상시킴으로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넷째, 연구 대상을 대학생으로 선정하여 성장 마인드셋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인드셋은 안정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많은 선행연구들은 발달단계 초기에 해당되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장 마인드셋 연구르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상담현장에서 초, 중, 고등학생뿐만아니라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대한 관여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