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정마인드셋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미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고정마인드셋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과정을 통합한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Shneidmand 의 정신증적 자살이론 및 Dweck 의 암묵적 자기 이론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을 독립변인으로, 고정마인드셋을 매개변인, 회복탄력성을 조절변인 및 조절된 매개변인으로,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12 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질문지 단축형, 암묵적 자기 이론 척도, 자살생각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검증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고정마인드셋의 부분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긍정성과 사회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생각을 보고하는 대학생 및 초기 성인의 상담 실제와 정서적 학대 및 방임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필요의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a fixed mindse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Suicide as Psychache, the theory of Shneidman, the Implicit Self Theory of Dweck, and related empirical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verify the effect by setting up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s independent variables, fixed mindset as a meditation variable, resilience as a moderated variable and a moderated mediation variable, and suicidal ide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512 college student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 Short Form, Implicit Self Theory Scale, Measures of 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mediation effect of a fixed mindse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regarding the counseling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and early adulthood who reported suicidal ideation and parent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Limitations to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수학능력시험 준비를 위한 읽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김종성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7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써 영어를 학습하는 자들에게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제시하여 대학 입학을 위한 수학능력시험을 효율적으로 준비하고 더불어, 국제화 시대를 맞아 영어로 된 유익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언어의 4대 기능인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중에서 읽기 능력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첫째, 일상 생활에서 말하기, 듣기 또는 쓰기를 항상 활용 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현실에서 영어를 보다 능동적이고 실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읽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대학 입학을 위한 수학능력시험에서 읽기 능력에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읽기 교육에서 읽기의 의미는 글에 나타난 글쓴이의 표면적 의도뿐만 아니라 내면에 숨겨진 의미까지 독자가 찾아내는 과정이며, 인쇄된 정보 안에서 실마리를 찾아 독자가 터득한 지적, 언어적, 경험적, 문화적 요소와 알맞게 재결합하는 과정이다. 즉, 언어적 지식인 단어 및 숙어, 구문, 문법 등을 이해, 숙지하고 경험적, 문화적 요소인 스키마를 충분히 활용하여 독자 스스로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스키마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반드시 인식해야 할 것은 정보처리과정을 설명하는 상향과정(bottom-up processing)과 하향과정(top-down processing)에 대한 이해이다. 상향과정은 단어 단위에서 시작하여 어휘나 문장의 통사구조를 예측하고 확인하며 마지막 단계인 의미를 이끌어내는 것이고, 하향과정은 독자의 선행지식과 세계관으로부터 시작해서 문자자료의 내용을 예측하고 확인하는 과정이다. 읽기 과정에서 상향과정에 치중하는 나머지 읽기의 속도나 내용 이해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하향과정에 치중하는 나머지 세부사항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향이나 하향 중 어느 하나에 치중함으로써 발생하는 읽기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Carrell(1988)이 제시했던 것처럼 상향 및 하향 두 과정을 동시에 사용하는 ‘상호작용적 읽기 방법’(Interactive Approaches To Reading)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 3장의 3항에서는 몇 몇 학자들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Rivers(1968)는 읽기 지도에 대한 6단계 방안으로 대화식으로 된 기초적인 문장의 암기, 어군(word cluster)별로 읽도록 지도하기, 구문의 줄거리를 인식하고 언어학적 요소를 구별할 수 있는 기술의 지도, 정독과 다독의 지도, 심화된 정독과 독립적 다독의 지도, 학생의 취향에 따른 잡지, 신문, 기타 책자 등을 선택한 읽기의 지도를 제시하고 있다. Harris(1962)는 독해능력 향상에 필요한 요소로써 사고단위(구, 문장, 단락) 이해하기, 지문에서의 사건의 전개 순서 파악하기, 그리고 독해 내용에 대한 평가 및 비판하기 등을 제시하고 있다. Jenkinson(1973)은 화제 문장 파악하기, 사고의 전개 순서 추적 및 예상하기, 문맥에 의한 어휘 의미 파악하기, 추론 또는 예견 능력 향상을 제시하고 있다. Mikulecky & Jeffries(1986)는 문맥에 의한 어휘 파악하기, 화제 및 주제 파악하기, 문화적 배경지식 배양하기, 그리고 모국어 독해력의 전이를 언급하고 있다. 이들의 독해 관련 요소들 중의 공통점은 어휘 습득, 통사 구조파악, 논리 전개구조 파악, 그리고 배경지식의 필요성 등으로 요약된다. Cook(1989)는 읽기 전(Before Reading), 읽는 도중(During Reading), 읽은 후(After Reading)의 행동 유형을 학습자들이 잘 숙지하여 실천하기를 제안한다. 읽기 전의 행동은 읽을 글에 대한 사전 지식과 목적을 염두에 둠으로써 읽기에 대한 흥미와 학습 동기가 유발되고, 읽는 도중의 행동은 한 문장, 한 단락을 읽는 가운데 다음은 어떤 내용이 나오는가를 예상하는 습관을 가지게 함으로써 문장 하나 하나를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내용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있는 일체로 지문을 인식하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읽고 난 후의 행동에서는 스스로 질의와 답을 할 수 있는 절차를 가짐으로써 정확한 내용의 요약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제 4장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을 대비한 읽기 지도에서 밝힌 것처럼, 수학능력시험에서 읽기의 비중이 매우 높기에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많은 단어 및 숙어, 구문, 문법, 지문의 구성단계, 적절한 끊어 읽기 등에 대한 학습은 필수적이다. 수학능력시험 문제의 분석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제한된 시간 안에 주어진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읽기 능력의 습득은 필수적이다. 즉, 주어진 문장을 글의 흐름에 맞게 재배열하는 문제, 주제를 찾아내는 문제, 알맞은 연결사를 찾는 문제, 등 다양한 형태의 문형에 맞추어서 적절한 해결 능력을 적용시키는 것이 수학능력 시험에서는 요구된다. Robinson(1970)이 SQ3R Reading Method 전략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단계인 읽기 전에 본문을 살펴라, 본문을 살펴보는 동안 질문하라, 읽기를 시작할 때 생각해둔 질문의 답을 찾아라, 한 단락을 읽고 난 뒤 상세히 말하라, 지속적인 과정으로써 학습내용을 복습하라 등을 꾸준히 실천하고 습관화한다면 수학능력시험을 대비하여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자들에게는 충분한 학습 동기 부여의 기회가 되고,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라 하겠다. 읽기 능력의 향상이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는 것을 감안할 때,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꾸준히 실천한다면 수학능력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고 더 나아가 국제화 시대에 맞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큰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는 바이다.

      •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from MSW using Hybrid plasma technology and distributed based on AI system: A case study for the Kinshasa Metropolis (DRC)

        Jean Chrysostome Biong Mayoko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Electricity is a critical resource in the daily life of a population, industry, business, or any type of organization since it enables the investments, innovations, and new sectors that drive job creation, inclusive growth, and shared prosperity across entire economies (World Bank, 2022). There is no development without electricity because many sectors of life deal with it. Congo, the Democratic Republic of, is one of the large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second in Africa, and in addition, the richest country in terms of natural resources with a population estimated at around 90 to 100 million inhabitants. However, it is among of low electrification rates country in the world less than 20% of the Congolese population has access to electricity. In the same line of thought, every day, DR Congo produces a huge quantity of solid waste generated in the country without a suitable management system.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primary causes of waste generation are urbanization,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growth. Kinshasa metropolises city produces around 11900 tons of MSW per day. Taking out all kind of waste could not be used for energy production, the estimated amount of waste is around 451.21 tons from 24 of municipalities, with production average of 208.41 tons each township. This situation raises concerns about the long-term management of waste capacity. Besides this, the absence of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results in flooding, air pollution emissions from household waste burning,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osquitos, causing public health concerns. Furthermore, Solid waste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energy and that power generation from wast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impacts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on the ecosystem. In addition, various methods currently accomplish waste management including incineration, landfills, biochemical conversion, and others. However, among of these processes, some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waste reduction efficiency is low and causes health risks. Under this situation, appropriate and sustainable environment waste-to-energy conversion technologies are critical for attempting to address the massive amount of Solid waste produced and energy trustworthiness sustainable and responsible, resulting in the transformation of a habitabl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focused on a suitable electricity production source while automatically ensuring energy balance between production source and distribution throughout a smart grid on one hand and providing a new way or technique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current solid waste treatment methods to solv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ts consequences on man in another hand. Thereby, the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the implementation of hybrid plasma technology through a gasification process as a suitable or eco-friendly waste-to-energy technology in the city of Kinshasa. The physical composition analysis in Kinshasa city was conducted and findings show that the city has the diverse type of waste depending on the season.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Aspen plus software was able to produce Syngas from the simulation and the result show Mass fraction of H2, N2, H2O, CO, CO2, CH4 with a mass density of 0.37 kg/cum. Thereby, the expectation capacity to install from this pilot project is about 11.82 MW/h PE-IGCC power plant. In addition, from this capacity of energy produced using plasma gasification, Machine learning model, especially LSTM RNNs and Simple RNN for automatically learning features from sequence data which support multiple-variate data for multi-step forecasting provided a best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energy forecast between a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 based on data from Kaggle considering day and nighttime. The result of the ML model shows a best performance of learning with 96% of accuracy. Based on findings, the microwave hybrid plasma technology and AI techniques proposed in this research handle both crises efficiently, including environmental pollution, waste disposal issues, and power reliability.

      • 기독교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

        김경탁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는 어떠하며 성별, 학년 그리고 신앙생활년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관련성을 나타내는 자존감의 하위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P지역 H대학생 31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하나님 이미지 측정도구는 Lawrence(1997)의 God Image Scale 4점 척도로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검사 도구를 황혜리(2003)가 번안한 72문항과 Gorsuch(1968)가 개발한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형용사 척도를 박민수(2000)가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존감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것과 Rosenberg(1965)의 Global Self-Esteem 척도를 이훈진, 원호택(1995)이 번안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 남녀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나님이미지와 자존감의 학년에 따른 차이와 신앙생활년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NOVA(일원변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하위요인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도전과 자아존중감 하위요인 중 타인관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개인변인(성별, 학년, 신앙생활년수)에 따른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에서는 성별에 따라 자존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 이미지는 하나님 형용사척도와 하나님 이미지척도 하위영역 중 영향, 임재, 섭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자아 존중감 하위영역 중 주장확신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신앙생활년수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과 그 하위요인 중 지도인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수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독대학생들의 문화자아개념이 게슈탈트 접촉경계장애에 미치는 영향

        옥보희 한동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들의 문화자아개념이 전반적으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문화자아개념의 4가지 하위유형이 게슈탈트 치료에서 심리적인 문제를 대표하는 접촉경계장애의 6가지 하위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상담현장에서 기독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치료의 접근방법 및 방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대학생들의 문화자아개념은 개인주의경향이 집단주의 경향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기독대학생들의 문화자아개념은 수직개인주의 경향과 수직집단주의 경향이 수평개인주의 경향과 수평집단주의 경향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기독대학생들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 문화자아개념에 따른 심리적인 문제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기독대학생들은 수직개인주의 경향이 높을수록 심리적인 문제를 덜 다양하게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기독대학생들은 수평집단주의 경향이 높을수록 심리적인 문제를 더 다양하게 가지고 있었다. 여섯째, 기독대학생들은 수직집단주의 경향이 높을수록 심리적인 문제를 덜 다양하게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서구에서는 게슈탈트 접촉경계장애가 정적관계를 보일 경우 병리적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동일하게 보아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둘째, 모든 게슈탈트 접촉경계장애가 역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접촉경계장애는 문화에 따라 다른 기능을 보일 수 있으므로 문화에 대한 다각적인 면에서 접촉경계장애의 상관관계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셋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한국문화에서 집단주의-개인주의적 성향과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연구에서는 수평적-수직적 성향과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와 기독대학생의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태도와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본다면 기독대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상담서비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Participant Experiences in Online Education 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In the Context of Myanmar Coup D'etat

        이유림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쿠데타 이후 미얀마에서 실시된 온라인교육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이 무 엇인지 파악하고, 국제개발협력에서 온라인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알아보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와 쿠데타로 인해 고등 교육과 장기적인 국가 발전의 위기가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 미얀마의 교육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제공된 한동대학교의 「미얀마 온라인 전공교육」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얀마 온라인 전공교육에 참여한 학습자와 교수자, 행정원을 포함한 총 28인이며, 참여자 모집은 자발적 동의를 통한 편의 표집과 목적 표집 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실시간 화상 회의로 진행하며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참여자들의 온라인교육 경험과 인식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쿠데타 이후 미얀마에서 「미얀마 온라인 전공교육」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학습자들의 온라인교육 경험에 영향을 미친 요인, 온라인교육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온라인교육의 경험과 인식에 관련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행정원 사이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미얀마 학습자들이 대체로 온라인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교수자와 행정원은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쿠데타를 겪은 미얀마 학습자들은 온라인교육이 현재 미얀마에서 유용한 학습 대안이자 미래를 위한 기회가 되었으며, 특히 미얀마 시민에 대한 국제사회의 연대라고 느끼고 있었다. 교수자들은 녹화 강의로 이루어진 수업의 결과와 학습자들의 미온적인 참여 태도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행정원은 학습자 지원에 대한 한계를 어려운 점으로 들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가 발생한 데에는 국내 대학의 학습 환경과 다른 미얀마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들이 모두 자발적으로 온라인교육에 참여하였지만, 불안정한 외부적인 환경으로 인해 학업에 몰두하기 어려웠고, 학습자 개인의 내부적 요인은 학업 성과에서 큰 차이를 만들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성공적인 온라인 교육을 위해서는 수업이 준비되고 진행되는 모든 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특히나 교수자와 학습자의 학습 환경이 매우 상이하고, 원격으로 비동시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온라인교육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학업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국제개발협력 사업으로 진행되는 온라인교육은 학업에 대한 구속력이 부족하지만, 학업의 성과보다 학습자의 참여와 학업 지속 여부가 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학습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인식과 지속적인 학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교수자의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온라인교육의 시행기관인 대학교는 교수자가 온라인교육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교수자와 행정원의 개인적인 헌신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인력 증원과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온라인교육은 국제개발협력에 있어서 교육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분쟁과 재난으로 학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학습자들에게 온라인교육은 학업 지속을 위한 중요한 대안이 되어주었지만, 또한 어려운 시기의 학습자들에 대한 국제 사회의 연대와 지원으로써 작용하였다. 해외에서 제공되는 온라인교육은 학습자가 불안정한 현실을 버텨내고 미래에 대비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This study employ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 to explo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online education in Myanmar after the coup an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online educ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this purpose, it studied the "Free Online Course for Myanmar Students" offered by Handong Global University to overcome Myanmar's educational disconnection amid concerns over higher education and a long-term national development problem caused by COVID-19 and the coup. This study recruited a total of 28 participants, including students, professors, and an administrator who participated in "Free Online Course for Myanmar Student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purposive sampling methods, with their consent. The data collection is conducted via real-time video conferencing,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identify participants' online educati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is study evaluat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and the factor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ree Online Course for Myanmar Student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findings. Regarding the experience and impression of online education, it was discovered that students, professors, and an administrator differ. While students in Myanmar had a generally good impression of online education, teachers and an administrator were skeptical. Students in Myanmar who experienced the coup thought that online education has become a vi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schooling and a chance for the future of the country,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upport with Myanmar residents. The outcomes of the class consisting of recorded lectures and the students' lukewarm participation were problematic for the teachers, and the administrator identified the lack of student support as a challenge. This disparity in perception was due to the significant variance between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Myanmar students. Although all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 education freely, the unstable external environment made it difficult to concentrate on studies, and intern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ach individual's academic succ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online educ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be successful, student-centered learning design must be incorporated into all class preparation and delivery processes. Particularly in an online education setting when professors' and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are vastly dissimilar and remote asynchronous learning occurs, much effort is required to support students' academic pursuits. Online education provided as par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lacks academic compulsion, but participation and continuity of study should be seen as more significant than academic accomplishment. To encourage students' positive perspectiv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continual academic participation, a professor's enthusiasm and direction are required. Universities, as the implementing body of online education, must systematically support professors to spend sufficient time on online education students. They also require more manpower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so that they do not rely solely on the personal commitment of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Educ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as not the only outcome of a successful online education. Online education has been a vital option to academic continuity for students unable to complete their studies due to conflict and natural disasters, but it has also acted as a gestu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olidarity and support for students in tough times. Students' ability to bear unpredictable reality and prepare for the future has been bolstered by access to online education from abroad.

      • 대학생 우울감소와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동기강화 관계중심 심리치료(MI-IPT)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조요한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study developed a motivational interpersonal psychotherapy program (MI-IPT) based on Miller and Rollnick’s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Intersonal Psychotherapy an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the group. Based on the four-stage development model of Kim Chang-dae et al(2011), the program develop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120 minutes in the session, totaling six session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recruited participants for the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in the P city. We interviewed college students who expressed their desire to participate and conducted the program after the placement. The program’s effectiveness verification was based on the Repeated Measuring ANOVA and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post-test. The analysis of the pre-mortem, post-mortem, post-harvest mortem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erences showed tha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post-mortem periods rather than in advance, and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post-mortem and harvest periods, but the harvest period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pre-mortem period. Interpersonal 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mortem period, and it was still maintained at the time of harvest. The analysis of the first factors of interpersonal ability: first relationships, emotional support, interpersonal conflict, rights claims, and self-exposures showed that the level of initial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conflict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ost-mortem period, but still remained at that level during harvest. The level of emotional suppor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mortem period and decreased again during the harvest period,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e-mortem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rights claim and the level of self-exposu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mortem periods and the harvest peri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testimonials showed that the help of the program was 'empathy and comfort of the group, courage and confidence, understanding of oneself, strengthening future goals, cherishing oneself, promoting interpersonal skills, feeling confident, and understanding ot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MI-IPT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shown that it reduces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improves interpersonal ability. Finally, present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Miller와 Rollnick(2002)의 동기강화상담(Motivational Interviewing, MI)과 관계중심 심리치료(Interpersonal Psychotherapy, IPT)를 토대로 한 동기강화 관계중심 심리치료(MI-IP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김창대 등(2011)의 4단계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1회기에 120분, 총 6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고를 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을 하였다. 참가 희망 의사를 밝힌 대학생들을 사전 면담하여 배치 후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과 사후소감문에 대한 빈도분석을 이용하였다. 처치집단의 사전, 사후, 추수시기의 우울, 대인관계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우울은 사전시기보다 사후시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사후시기와 추수시기 사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추수시기는 사전시기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은 사후시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추수시기에도 여전히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처음관계맺기, 정서적지지, 대인갈등 다루기, 권리 주장, 자기 노출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처음관계맺기와 대인갈등 다루기 수준은 사후시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추수시기에도 여전히 그 수준을 유지하였다. 정서적지지 수준은 사후시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추수시기에는 다시 감소하였지만 사전시기에 비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권리 주장과 자기 노출 수준은 사전시기와 사후시기, 추수시기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참여자의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도움을 얻은 것들로는 ‘집단원들의 공감과 위로, 용기와 자신감이 생김, 자신에 대한 이해, 앞으로의 목표를 공고히 함, 스스로를 소중히 여김, 대인관계기술 증진, 자신감이 생김, 타인을 공감하고 이해하게 됨,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가 늘어남, 내 대인관계가 괜찮았음을 깨달음, 솔직해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MI-IP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고은정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Test for Instagram Addiction: TIA)를 타당화하고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TIA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요인과 문항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얻어진 모형들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한국판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Korean Version of Test for Instagram Addiction: K-TIA)를 구성하였다. 이후, 척도 내의 지수들과 관련 변인들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총 22문항의 6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신체적 및 대인관계적 문제 요인과 회피(기분변화), 강박 요인은 원척도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통제능력의 상실, 철수, 과도한 사용 요인은 몇몇 문항들이 분리되어 새로운 요인(금단, 현저성)으로 결합되었다. 최종적으로 K-TIA의 요인은 (1) 통제능력의 상실, (2) 신체적 및 대인관계적 문제, (3) 기분변화, (4) 강박, (5) 금단, (6) 현저성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K-TIA의 개념 신뢰도 및 AVE 값 등을 통해 집중 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와 정적 상관을 보여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 2에서는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해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간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비교경향성과 스트레스, 인스타그램 중독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비교경향성과 인스타그램 중독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스타그램 중독을 측정 도구를 국내실정에 맞게 타당화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인스타그램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사회비교경향성은 스트레스를 높이고, 높아진 스트레스는 인스타그램 중독 수준을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목표의 매개효과

        이요섭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goals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happiness.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happines s? Second, does the life goals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 set and happines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9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208 quest 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ept for 11 questionnaires in which the responses were unfaithful.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Nam Yoon jung(2017) revised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Lyubomirsky and Lepper(1999), Park Jun su(2017) revised the scale developed by Dweck(2006)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 scale developed by Kasser and Ryan(2004) was translated by Choi Young mi and Song In seop(2013) to find out the life goals level of college students' lives. For data analysis, SPSS 26.0 i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key variables, and after using Process Macro developed by Hayes, verified the mediated effectiveness using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happiness, and life goals all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life goals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happiness. Second, the growth mindset of colle ge students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both happiness and life goals, and life goal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happi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tudents growth mind set and happiness, the life goal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while the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directly affects happiness, it also indirectly affects life goals as a medium.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ducted a study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ith the lowest happiness index in Korea. College students in Korea are stressed out by various factors and complaining of low happiness. Due to the subjectivity and undefined definitio n of happiness, there are not many objec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more diverse variabl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to happiness based on psychosocial variables.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 ul because it looked at the impact of the growth mindset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is a part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is a factor that does not change well because it is intertwined with self respect, self concept, and identity, but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a specific mindset through education.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improve happiness by influencing the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Third, th 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found out that the growth mindset has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by mediating life goals. It found that intrinsic goals, a subfactor of life goals, were partially mediat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improve happi ness by engaging in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s at the counseling site. Fourth,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at the research target was selected as a college student and the research on the growth mind set was condu cted. Mindset has stable characteristics, so many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But in this study, growth mindset studies wer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 t o help through the involvement of not onl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college students in the field of counsel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복 지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시정에서 행복을 성장 마인드셋과 연관 지어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목표가 매개한느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의 관계에서 삶의 목표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21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208 부의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로 대학생의 행복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Lyubomirsky와 Lepper(1999)가 개발한 주관적 행복 척도(Subjective Happiness Scale)를 남윤정(2017)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Dweck(2006)이 개발한 척도를 박준수(201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삶의 목표 수준을 알기 위해 Kasser 와 Ryan(2004)이 개발한 척도를 최영미, 송인섭(201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여 주요변인의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한 후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행복, 삶의 목표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삶의 목표는 행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은 행복과 삶의 목표 모두에게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목표는 행복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 셋과 행복의 관계에서 삶의 목표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삶의 목표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에서 행복지수가 가장 낮은 대학생의 행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한민국의 대학생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낮은 행복갑을 호소하고 있으며, 또한 행복이 갖고 있는 주관성과 정립되지 않은 정의로 인해 객관적인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사화적 변인들을 토대로 행복에 미치는 관계성을 탐구함으로 추후 보다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 기대된다. 둘째, 대학생의 행복에 성장 마인드셋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장 마인드셋은 개인의 성격의 한 부분이며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정체성 등과 얽혀 있어 잘 변화하지 않는 요인이지만 교육 등을 통해 특정 마인드셋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항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영향을 주어 행봉갑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이 삶의 목표를 매개하여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삶의 목표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목표가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상담 현장에서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의 비주을 높이도록 관여하고, 내재적 목표에 해당되는 개인적 성장, 대인관계, 지역사회 등과 같은 목표를 향상시킴으로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넷째, 연구 대상을 대학생으로 선정하여 성장 마인드셋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인드셋은 안정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많은 선행연구들은 발달단계 초기에 해당되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장 마인드셋 연구르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상담현장에서 초, 중, 고등학생뿐만아니라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대한 관여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기독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과의 관계

        류수정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과의 관계는 어떠하며 성별,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관련성을 나타내는 우울의 하위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P지역 H대학생 286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하나님 이미지 측정도구 Lawrenc(1997)의 하나님 이미지 척도(God Image Scale) 4점 척도로 평가하는 자기 보고형 검사도구를 황혜리(2003)가 번안한 72문항과 Gorsuch(1968)가 개발한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형용사 척도를 박민수(2000)가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우울의 측정 도구는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eck,1967)를 이용호와 송종용(1991)이 번안한 것을 기초로 보완, 수정한 노은여(1997)의 것을 사용하였다. BDI는 원래 우울증의 진단용으로 고안된 것이나 정상인의 우울상태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밝혀져 본 연구에서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s Package Social Science)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사용한 주요 통계 방법은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검증)을 사용하였고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이 학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의 상관을 알아 보기 위하여 Correlation(상관계수 분석)에서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님을 많이 체험하고 긍정적으로 바라볼수록 소속감, 선함, 통제감의 하나님 이미지가 높고 우울의 정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개인변인(성별,학년)에 따라 하나님 이미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우울의 관계에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하나님 이미지와 우울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나님 이미지의 하부요인 자비는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