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선박 금융 및 해운·조선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최우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우리나라 해운, 조선업은 선박투자(Shipping Investments) 및 선박금융(Ship Financing)과 함께 발전되어 오지 못하고 주로 선박 운항 사업만을 중심으로 발달해 왔다. 이러한 전략은 시장 호황기에는 유효할 수 있으나 불황기에는 큰 어려움을 겪게 되고 악순환이 반복되면 결국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해운, 조선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업(業)의 본질에 대한 이해 및 선박금융 전문성에 대한 재고와 더불어 선박금융에서 해운, 조선업으로 이어지는 거시적인 동반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핵심 기술이자 디지털 금융혁신을 위한 필수 요소로 평가받고 있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선박금융(Ship Financing)에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선박금융 및 해운, 조선업 활성화를 위한 블록체인(Blockchain)의 ‘기술 모델’과 사업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을 제안하고 그 기대 효과를 분석한다. 더 나아가 현재 국내외 기술 동향 및 그 사업화 사례 그리고 선진 입법(立法) 사례로서 스위스 입법(立法)례를 면밀히 분석하여 ‘제안하는 블록체인 모델’을 우리나라에 도입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블록체인 모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선박금융, 조선, 해운업 전체를 업(業)의 경계를 넘어 하나로 통합하는 모델이다. 이러한 통합은 그동안 국책 금융기관 중심으로만 이루어지던 선박금융(Ship Financing)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일반 투자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투자의 장으로 확장시키고 이를 통해 투자 시장의 패러다임(paradigm)에 변화를 가져오고자 한다. 이 변화는 우리나라 국민의 선박금융, 해운, 조선업에 대한 인식 변화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업(業)의 통합 또한 그 이상이라고 본다.

      • 물류기업의 그린정보화 수준이 물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종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 물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International concerns on environmental issues have heightened, and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towards the goal of low-carbon green growth, namely the 2020 vision to cut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0% compared to 2005, as a response to climate change. As one method of green growth, the information sector has also joined greening efforts worldwide. Rapid changes of the modern information age has shed light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of the IT sector, with increasing use of IT devices/networks and energy consumption of the IT sector. To relieve this steep increase in the IT sector's energy consumption, needs for greening have expanded. Informatization has affected all areas of our society; this has led to rapid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of the IT sector and consequently its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scope of green informatization has expanded beyond environment-friendly activities of the IT sector to include structuring of low-carbon technology, IT, and the related programs of the society at lar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t acknowledges the status quo in which energy consumption of the IT sector is increasing, and to respond to such phenomenon, examines the previous literature on IT greening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IT greening in logistics companies. Secondly, based on the variables deriv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and the current conditions, it ai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logistics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IT greening- and business performance of the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To this end, empirical research was utilized by conducting surveys on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Variables derived to evaluate the level of IT greening were awareness, strategy and support, facilities, and utilization of IT greening.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duced level of IT greening, green logistic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To analyze the effect of IT greening on green logistic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of logistics companies,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on the logistics workers. Logistics companies were chosen from a list of shipping, terminal, warehouse, forwarder, and carrier companies. Surveys were conducted from May 2, 2016 to May 16, 2016, in the form of mail, e-mail, and visits. The survey used a 5-point Likert scale to evaluate the variables for the level of IT greening, green logistic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A total of 15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100 valid responses were recovered. This study used SPSS 21.0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ronbach Alpha coefficient analysis and factorial analysis was utilized next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evaluation tools. For the data that identified as reliable and feasib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ing is as follows. Firstly, for hypothesis I, which tes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T greening and the green logistics performance,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r awareness, facilities, and utilization of IT greening, the higher green logistics performance was. However, it appeared that strategy and support of IT greening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green logistics performance. Secondly, for hypothesis II, which tes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T greening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r strategy and support, and utilization of IT greening, the higher business performance was. However, it appeared that awareness and facilities of IT greening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green logistics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awareness, facilities, and utilization of IT greening has influence in increasing green logistics performance. Thus to increase the green logistics performance of logistics companies, environment -friendly IT operations are necessary in the entire process of introducing, using, and terminating IT devices. Companies must also promote the use of green hardware that consumes less energy and uses environment-friendly components, as well as system software to control the system load and application software to manage power consumpt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like sleep mode programs. Furthermore, it need strategie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IT greening and raise awareness of all employees to enhance green logistics performance. Secondly, it was found that strategy and support, and utilization of IT greening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Thus to business performance of logistics companies, the systematic policies and the determination of employees to utilize and support IT greening is important. Strategic plans to invest on infrastructure like environment-friendly IT system and decrease power consumption, through investing on IT greening and reducing energy use of the IT system, must also be crea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green logistics performance influenced the enhanc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increasing green logistics performance through cutting down on logistics cost, improving logistics services, increasing fuel efficiency, and using and reusing resources can lead to business performance by enhancing public imag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differentiation from competing fir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IT greening of logistics companies on the logistics and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it still has limitations such as a lack of diverse perspectives and advanced research on green IT, dependence on survey without quantitative instruments to measure the IT envir 국제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2020년 비젼으로 2005년 대비 2020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저감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목표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정보화 부분에서도 그린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현대에 올수록 정보화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IT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며, IT 기기 및 네트워크 사용량과 IT 부문의 에너지 소비가 증가되었다. 이러한 IT부문의 에너지 소비증대를 완화하기 위하여 그린화의 요구가 확대 되고 있다. 사회 모든 분야에 걸쳐 정보화가 진행되면서 IT 부문의 에너지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같은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그린정보화는 정보기술 분야를 친환경 활동을 넘어 사회 전반적으로 저탄소 구조화와 정보기술 및 같이 동반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IT 부문의 에너지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현황을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그린정보화의 선행연구와 물류기업의 그린정보화 현황에 대하여 알아본다. 둘째, 선행연구와 현황을 바탕으로 도출된 변수들을 기반으로 국내 물류기업의 그린정보화 수준에 따른 그린 물류성과와 기업성과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연구를 수행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설정을 하였다. 먼저 그린정보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변수로 그린정보화 인식, 그린정보화 전략 및 지원, 그린정보화 설비, 그린정보화 활용 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그린정보화 수준과 그린물류 성과 및 기업성과 간의 관계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기업의 그린 정보화 수준이 그린 물류 성과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물류기업의 종사자들을 실증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물류기업들은 선사, 터미널, 물류창고,포워딩, 운송사로 선정하여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5월 16일 까지 우편, 전자우편, 방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그린 정보화 수준과 그린 물류성과, 기업성과에 관한 변수들의 측정도구에 대하여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고자 한다.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00개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1.0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하고,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Cronbach Appha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자료들을 대상으로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정보화 수준과 그린 물류성과 간의 관계를 검정하는 가설I 에서는 그린정보화 인식수준, 그린정보화 설비수준, 그린정보화 활용수준이 높을수록 그린 물류성과도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린정보화 전략 및 지원 수준은 그린 물류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린정보화 수준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검정하는 가설II에서는 그린정보화 전략 및 지원 수준과 그린정보화 활용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린정보화 인식수준과 그린정보화 설비수준은 기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정보화 수준과 그린 물류성과에 있어서 그린정보화 인식수준과 그린정보화 설비수준, 그린정보화 활용수준은 그린 물류성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물류기업의 그린 물류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IT제품의 도입, 사용, 폐기의 전 과정에서 친환경적인 IT운영을 추진해야 하며, 기업 내 도입하는 제품들이 저 전력 소모와 친환경 부품을 사용하는 그린 IT제품으로 사용하여 그린 하드웨어를 추진해야 하며,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부하를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절전모드 프로그램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업 내 그린정보화 활용률을 극대화 하고 구성원 전체 활용의식을 고취시켜 그린 물류성과에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그린정보화 수준과 기업성과에 있어서 그린정보화 전략 및 지원 수준과 그린정보화 활용수준은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물류기업의 기업성과 높이기 위해 기업 내 그린정보화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조직차원의 제도적 방침과 조직원들의 실천의지를 고취 시켜야겠으며, 그린정보화 투자계획 및 정보시스템의 에너지 절감계획을 통해 친환경적인 정보시스템의 인프라 투자와 정보시스템의 전력 감소를 위한 전략 계획이 이루어져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그린 물류성과와 기업성과에 있어서 그린 물류성과는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물류기업

      • 물류 효율화를 위한 물류센터(거점) 재배치에 관한 연구 : D사 물류센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성용태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Based on the view that an efficient supply chain management can derive the customer satisfaction, developing strategies about the scale and location of distribution center(DC) is a very important decision making. In addition, the strategies can lead to a long term vision of corporate and also maximize customer satisfactions. This paper is analyzing the existing DCs' location and cost which belongs to 'D' grocery company operating in Korea. Finally, it proposes the alternative DCs location, which reduces the logistics cost and improves the logistics efficiency. What is an object in this paper is that proposing the useful way for relocating and establishing DC in company. In relocating DCs of 'D' grocery company, there are 3 ways. The first is reducing the number of DCs in an economic region by consolidating DCs; the second is reducing the number of DCs between the economic regions by consolidating DCs; the last is closing the leasing DCs and merging with owning DC. As a result with this thesis, it is possible to save a transportation cost and operation cost of 'D' company. Based on the practical way, it is estimated that the logistics cost would be reduced about 2.4 billion won monetarily in a year. Regarding the logistics cost of 'D' company about 34.6 billion won in a year, it cuts 7.0% down of total logistics cost.

      • 해양지원선 용선계약의 특성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신동엽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해양지원선은 해양석유와 가스의 탐사, 개발 그리고 생산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위해서 필요한 선박으로써, 해양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해양지원선 없이 해양플랜트와 시추선에서 필요로 하는 자재, 장비의 보급과 인원이송은 수행할 수는 없다. 해양지원선은 해상프로젝트가 수행되는 여러국가의 해상에서 자재, 장비의 보급, 근무인원이송, 비상대응과 구조 그리고 순찰업무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해양지원선은 프로젝트 수행 시 여러 요인 즉, 해양프로젝트가 발생되는 현지의 선박운항에 관한 법령과 운영환경, 용선주의 요구사항 그리고 운영상의 위험요인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사항은 선주가 용선계약에 따른 해양지원선의 운영 시 여려 상황에 직면하게 됨을 보여주며, 선주는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여 용선주와의 용선계약에 반영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선주는 직면하게 될 여러 상황을 사전에 확인하고 그에 대한 관리방안의 수립이 요구된다. 특히 해양지원선의 용선계약에 영향을 주는 각 특성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적합한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해양지원선 용선계약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해양지원선 용선계약은 일반선박의 정기용선계약과 유사하지만, 해양지원선의 운영목적과 환경 그리고 요구사항은 일반선박과는 상이하므로 기존의 정기용선계약과는 또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별도의 “BIMCO SUPPLYTIME"이라는 계약서 양식을 해양지원선 시장에서 사용하고 있다. ⅵ 본 연구를 통하여 선주가 해양지원선의 용선계약 시 고려해야 할 용선계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특성과 그에 따른 관리방안을 분석, 확인하고자 한다. 먼저 해양지원선 용선계약과 관련된 일반선박의 정기용선계약에 대한 선행연구사례를 살펴 정기용선계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알아보고, 국내에서 수행된 해양지원선과 관련된 유사연구사례에 대해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해양지원선 용선계약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여, 주요한 특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관리방안을 수립,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해양지원선 용선계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특성을 정의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 제안하는 것과 함께 선주는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해양지원선 용선계약의 특성을 기반으로 해양지원선 용선시장을 면밀히 관찰, 분석하여, 차후 용선계약 시 예상되는 각 종 이슈와 문제점들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 의류물류 입출고 개선방안에관한 연구 : H사 사례를 중심으로

        이우열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의류산업에서 물류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특정 업체의 의류물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과정에 대한 실제적 사례를 분석 함으로서 동종업계에서 물류의 개선을 위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화주기업이나 물류업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목적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주요 개선 내용으로는 Picking체계 개선,Drop재고 보관 및 반품작업 환경개선,물류센터 적정 지역 입지 선정있었으며, 개선 효과는 실제적 Data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 할 수 있었다. 비록 특정 기업의 사례분석이라는 한계점은 있으나 논문의 체계적 접근 방식을 통한 개선과정의 정리를 통해 동종업계의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길 기대하며 향후에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투자 대비 효과 분석의 과제를 시도해보고자한다.

      • 글로벌 포워더와 국내 포워더의 경쟁력 제고 전략 비교연구

        김진주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우리나라 국제물류주선업(Freight Forwarder) 기업들은 30년 이상 지속되어온업계 규모 확장에도 불구하고 영세하고 소규모인 업체가 대다수인 상황이며 선진국의 동일 업계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그 기능과 역할 및 규모와 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국제물류주선업자(이하 포워더)를 자본형태 및 국적, 사업구조 기준으로 크게 외국계 글로벌 포워더와 국내 로컬 포워더로 구분할 수 있다. 상반된 두 포워더는 구체적으로 어느 부문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동시에 서로 상반된 강점과 약점요인이 있다고 실무종사자들에게 알려진 바를 실증분석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상반된 두 포워더의 경쟁력 요인을 비교분석하고 그에 따른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문가 델파이(Delphi) 인터뷰 방식으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비정형 자료를 토대로 SWOT 전략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반된 두 포워더 형태의 SWOT 분석을 통해 구분 된 요인 중 위협요인에 지목된 요인으로 인해 업계 전반적인 침체와 수익률 저하의 연관성을 찾고, 시장 상황에서 문제를 직면한 해당 업체들의 구체적인 전략과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한 점을 시사하였다. 관련협회 및 관계부처에 요구되는 포워딩 업계의 구조적 문제와 구체적인 진단 및 컨설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정책적인 지원과 전략적 제휴 및 인수합병 추진, 그리고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확충 등의 실질인 지원방향을 피력한다.

      • 선박금융의 리스크 프리미엄에 관한 연구 : 선박의 담보가치를 중심으로

        안병철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2008년 9월 금융위기 발생 이후 선박금융 시장은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다. 해운산업이 장기침체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선박의 현금흐름 창출능력이 저하되어 선박의 담보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선박금융은 항공기금융과 더불어 대표적인 자산담보부금융의 하나로 인식되어왔다. 선박금융의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선박이 안정적 담보가치를 가진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금융기관은 선박을 인플레 방어수단으로 여겨 선박금융을 자산담보부금융으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2008년 이후 운임시장의 장기 불황은 선박의 담보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 시켰다. 본 연구는 선박금융의 리스크 프리미엄에 선박의 담보가치이외에 어떠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비재무적 요소들인 선가, 대출규모, 대출시기, 선종, 대출연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가, 대출규모, 대출시기, 선종은 리스크 프리미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대출시기(2008년 이후 대출분)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선박금융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던 요소들이 시장변화에 따라 바뀌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 선박의 담보가치, 리스크 프리미엄, 시장상황

      • DEA模形에 의한 國內物流企業의 經營效率成指標가 收益性에 미치는 影向分析

        주우권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대한민국은 GDP(국내총생산)를 기준으로 세계 11위의 경제력을 확보한 국가로 성장하였다. 또한 수출입 교역을 통한 세계적인 수준의 해상 및 항공부문의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고, 객관적인 물류지표로 사용되는 세계은행의 2016년 국가별 물류성과지수를 보면 국은 8위를 기록하여 국가차원의 물류경쟁력에서 그 동안 많은 개선이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국내물류 기업의 수준의 세계 시장에서 선진 해외 기업들과 비교할 때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물류산업은 경제성장과 그 궤를 같이하며, 전국 교통망 확충과 1990년대 세계무역기구의 출범과 냉전체제 종식으로 세계를 상대로 하는 컨테이너를 통한 무역활동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대기업 물류자회사의 출현이 시작되었다. 2000년대 초반 화물운송업 등록제로 인하여 폭발적으로 늘어난 화물자동차 신규 등록과 중형/소형규모 물류업체 난립 등 국내 물류시장이 공급과잉이 발생되기 시작하였고,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는 국내 물류시장 구조조정의 계기가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자금력과 계열사의 전속물량을 확보한 2자 물류기업은 지금도 국내물류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행태는 이변이 없는 한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의 3자물류 확대에 대한 강한 의지로 2자 물류기업의 행태 변화가 시작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그렇지 않아도 공급과잉 상태인 시장에 2자 물류기업의 본격 가세로 전문 3자 물류기업의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난제에 직면한 국내 3자 물류기업의 재무데이터를 근간하여 수익성과 환경의 변화를 확인하고, 다양한 내외부의 요소들이 기업의 수익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파악하여, 이를 통해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한국 건화물 선사의 재무비율 분석

        조인성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역사는 반복된다’는 속담이 있다. 마키아벨리가 언급하였고 버나드 쇼가 “역사는 되풀이 되는데 이를 항상 예측하지 못한다면 인간은 얼마나 경험에서 배울 줄 모르는 존재인가?” 라고 말했듯이 이 속담은 우리에게 많은 교훈과 경험을 성찰하게 하는 것 같다. 2008년 9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에 의한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가 세계 건화물해운시장에도 영향을 끼쳐 건화물 물동량 감소와 선박의 공급과잉으로 세계 건화물해운산업과 조선산업에 심각한 불황을 유발하였다. 해운시장의 대표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는 벌크화물 운임지수인 Baltic Dry Index (이후 BDI)가 1985년 1월4일 1,000포인트를 기준으로 시작해서 2008년 5월 20일에 11,793포인트라는 역사적인 고점을 찍은 뒤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후 불과 몇 달 후인 2008년 12월에 무려 650포인트까지 급락하면서 그야말로 활황장세에서 3개월 만에 거품이 붕괴하면서 공황장세로 급강하 한 뒤로 무려 약 8년간 횡보를 거듭하며 2016년 5월 현재 450포인트를 기록하며 더 이상 지수로서의 의미가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 경제의 영향에 민감한 한국경제의 구조 여건상 한국의 건화물선해운기업(또는 건화물선사)도 2008년 이후 2016년 5월 현재까지 계속해서 이어지며 그 끝이 보이지 않는 기나긴 불황의 수렁 속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위와 같은 심각한 불황과 그 여파로 건화물선사의 수익이 급감 할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열악한 재무구조로 인해 경영이 부실해지고 급기야 도산과 파산하는 해운기업이 속출하게 되었다. 총체적으로 건화물선사들이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해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건화물해운기업은 단지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외부요인으로만 이 위기를 치부하고 스스로 위기관리나 대응방안이 없었을까 하는 의문이다. 전통적으로 해운산업은 기간산업이고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리스크가 큰 산업 중 하나이다. 선박에 투입되는 자금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또한 거기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 손실도 커서 그로 인한 파급영향이 기업의 생존까지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해운산업은 지난 30년 동안 눈부신 발전을 하면서 2000년대 들어 규모와 역량에서 선진 해운강국으로 성장하였다. 여기까지 이룩하는 데는 1980년대 초반 해운산업 합리화 과정과 1990년대 IMF 등 국제해운시장 불황 극복이라는 뼈아픈 과정이 있었다. 그러나 위 두 차례의 경험을 활용하지 못하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또 다시 건화물해운산업이 고사 직전에 처해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와 그 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현재 한국의 외항 건화물해운기업의 재무추이를 건실기업과 부실기업으로 구분하여 중요한 대표적 재무비율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과거의 교훈과 경험을 활용하지 못하고 다시 위기에 처한 원인과 이유가 무엇이 있겠는가를 도출하는데 그 실증적 요소를 분석 및 연구 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한때 세계 해운시장에서 상위 반열에 올랐던 우리나라 건화물 해운기업의 저력과 위상을 회복하는데 어떤 요소가 필요한지에도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