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기 조종사 수급시장의 특성 및 양성방안

        김학재 한국항공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항공우주 관련 기술의 발달, 생활 소득수준의 향상, 보다 빨리 소비시장에 제품을 출시해야 하는 산업계의 변화 등으로 항공운송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비행기 제작 기술의 발전은 많은 사람을 먼 거리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우리나라의 항공운송산업도 1969년 대한항공이 탄생한 이후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적기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사세를 확장하여 왔고 특히, 1980년대 해외여행 자유화, 1988년 제2 민항인 아시아나항공의 설립 등으로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 졌다. 최근에는 지방을 근거지로 한 저가항공사가 취항을 하였거나 취항을 준비 중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항공운송산업의 외형적 성장과 함께 항공기를 조종하는 조종사에 대한 확보가 이슈화 되고 있다. 항공사의 다른 직종과 달리 양성하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교육기간이 장기간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비행교육학교나 관련기관, 양성을 위한 제도 등이 아직 선진화 되어 있지 않아 연간 항공사가 필요로 하는 인원 만큼의 조종사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조종사를 양성하는 기관으로는 군과 대학이 있는데 군은 공군과 해군에서 비행기 조종사를 양성하고 있고, 한국항공대학교와 한서대학교에서 대학교 재학생을 상대로 조종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공군과 해군은 임관 후 약 10여년 후에 전역이 가능하고 군대라는 특수 조직에서 양성하는 관계로 민간항공사의 수요를 고려하여 인원을 조절하지 않는다. 대학교에서 양성된 조종사는 공군의 학사장교로 임관하거나 항공사로 입사하여 민간항공기를 조종하고 있다. 과거에는 항공사에서 자체 교육기관을 운영하여 소요되는 조종사를 양성하였지만 최근에는 예전과 같은 양성 프로그램 운영은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항공사의 조종사 입사 기준이 변경되어 운영되고 있으므로 개인이 비행 교육을 이수하고 기본자격증명을 취득한 사실 만으로 민간 항공기 조종사가 되기 위한 충분 조건을 갖췄다고는 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현실과 항공운송산업의 미래를 고려하여 조종사를 원활히 수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종사 교육은 많은 요소가 투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반 자원의 투입 외에 더 중요한 것은 현재의 항공관련 각종 제도와 정책이 조종사양성을 위해 적극적이고 합리적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행교육여건이 좋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비행교육을 활성화하여 조종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하고 관계자들이 인지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리나라의 항공우주산업이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원인 조종사를 보다 더 많이 양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항공사에게는 원활한 수급이 가능하도록 자격과 경험을 갖춘 조종사를 공급하고, 개인에게는 일자리 창출, 적절한 비행교육 제공, 그리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개인의 경력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자는 것이 이 논문의 취지다. 우리나라에서 조종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항공관련 정부기관은 기본적인 교육과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비행교육기관을 설립하고 항공 관련 각종 체제를 정비하며 기업은 필요로 하는 수준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Air transport industry have been made a remarkable progres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aerospace-related technologies, improvement of income level, and industrial changes trying to launch new products to market more quickly. The development of aircraft manufacturing technology enables many people to move in the distance quickly and safely. Air transport industry in Korea has been expanded since Korean air inaugurated its business in 1969 and implemented a key role as national flag carrier. Especially it had made rapid development in the 1980s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and the foundation of Asiana airline which is the 2nd civil aviation company of Korea. In recent years, some LCCs (low cost carriers) based on local airports have started service and others have been preparing service; therefore the continuous growth of low cost carrier will be expected. Currently, securing pilot resources are very important issues with the physical growth of air transport industry. Unlike other occupations in the airline company, pilot training requires much costs and long term education period. Moreover flying school and its related organization, training system are not yet advanced to the needs of airline’s annual requirement. There are two institutions to secure pilot resources; militaries and universities. Both air force and navy have been training pilots, meanwhile Korea Aerospace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have been performing pilot training for their students respectively. Approximately 10 years are required to get out of the air force and navy, and the demand for pilots to the private sector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because they have been trained in the special military organization. Pilots trained in the university either join the air force after graduation as an officer or enter into the civil aviation company. In the past airline company established training organization for pilots; however the training program is not valid anymore. Furthermore becoming pilot in civil aviation company is more difficult even though he/she completed pilot training at his/her own expenses because the company adopts more difficult conditions when he/she joins as a pilot. I would like to suggest an idea to facilitate the supply and demand of pilots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our country and the future of air transport industry. Pilot training should be put more resource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view airline related system whether it is active and rational for the training of airline pilots. I would like you to know what is needed and what officials need to aware of in order to train pilots by activating flight training in our country which flight training conditions have not been good. I do not mention that all of airline’s pilots must be Korean in the globalization era. By establishing effective policies to train more pilots who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our aerospace industry, airlines could plan for a smooth supply and demand of qualified and experienced pilots, individuals could find more job opportunities such as flight training for pilots as well as manage job career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Both government and airlines are responsible for pilot training. To establish better training system and organization in order to acquire basic training and qualification are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otherwise airlines should take every necessary action to ensure the appropriate level of resources. Finally the goal is to establish policies to facilitate core resources which are needed to the development of air transport industry.

      • 한국항공사 승무원의 커뮤니케이션과 서비스 품질이 중국인 승객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손새영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국 항공사의 한국인 항공사 승무원이 제공하는 언어․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문화적 차이가 있는 중국인 승객이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제시된 변수에 대한 집단별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항공사를 이용한 중국인 승객과 한국인 승객의 응답을 함께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중국인 61명, 한국인 44명의 설문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가설 검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한국인 승무원의 커뮤니케이션 하위 5가지 요인들(언어, 신체언어, 신체외형, 유사언어, 공간언어)은 중국인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에 모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 승무원의 커뮤니케이션 하위 요인 중, 신체언어와 언어적 요인만이 중국인 승객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인 승무원의 서비스 품질 모든 요인(신뢰성, 공손성, 신속성)은 중국인 승객의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하위 요인 중 신속성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요인들과 서비스 품질 요인에 대한 중국인 승객의 평균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신체외형이 가장 높았고 언어적 요인이 가장 낮았다. 다섯째, 중국인 승객의 개인적 속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승객이 여성보다 평균 만족도가 높았고 비언어적 요인(신체언어, 신체외형, 공간언어)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언어에 따른 차이에서는 영어 사용이 가능한 중국인 승객이 중국어만 사용하는 승객의 평균 만족도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급증하는 중국인 승객에 대한 한국인 항공사 승무원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향후 개선 방안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항공운송산업의 CSR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백상기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한국의 항공운송산업 기업들은 저조했던 수준의 ESG(Environmental, Social & Governance) 경영과 사회적 책임(CSR) 경영 활동을 점진적으로 개선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어프랑스-KLM 항공과 ANA 항공 등 세계적인 항공기업들과 한국의 항공기업들 간 사회적 책임경영의 전략과 이행 수준은 상대적으로 커 보인다. 한국의 항공기업들이 세계적 상위 수준과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개선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한국 항공기업들이 지속가능경영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CSR의 방향설정과 현재수준의 분석이 필요하다. 합리적인 CSR의 방향설정을 위해서는 항공운송산업 내 내부와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주요 관심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CSR이행의 현재 수준을 확인, 평가하여 목표 수준과 현재 수준 간의 차이를 확인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 목표의 도출과 이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내 항공운송산업 기업들이 객관적으로 CSR 경영의 현재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국제공인 기준에 부합하는 CSR 평가기준을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국내 항공운송산업에 적용가능하고 타당한 CSR 평가기준 도출을 위해서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4, 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ICAO Global Priorities, IATA Main policy, 크루즈산업 CSR 평가 지수 등을 참고하였다. 둘째, 항공기업들의 명확한 CSR 방향설정과 이행 전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내부와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공통된 주요 관심사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CSR 평가기준에 있어 국제적 기준과의 부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공인된 GRI G4 기준과 DJSI(지속가능성 평가지수)를 적용하였다. 여기에 추가로 ICAO, IATA의 주요 정책 및 크루즈산업의 CSR 평가지수를 반영하여 항공운송산업 CSR 평가기준의 ‘개념적 모형’을 정립하였다. 또한 다양한 요인들이 반영될 수 있는 균형 잡힌 TBL(Triple Bottom Line)차원의 기준 설정을 위해 CSR 평가기준의 ‘계층적 모형’을 정립하였다. 이 두 모형의 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TBL차원의 객관적이고 체계화된 CSR 평가기준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항공운송산업내 CSR의 주된 관심사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내부 및 외부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을 통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부 이해관계자는 항공사와 공항공사 재직자 등으로 구성하였고 외부 이해관계자는 항공 및 공항 협력사 직원, 정부 및 공공기관 관계자 등으로 구성하였다. 내부 및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공통의 주된 관심사를 확인하기 위해 계층적 분석 기법(AHP)을 사용하였다. 또한 시니어 집단(근무경력 10년이상)의 전문가적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주니어 집단(근무경력 10년미만)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공공부문(정부 및 공항공사 직원, 학계 관계자)과 민간부문(항공사 및 협력사 직원)간 비교분석을 통해 민간-공공 간의 시각차를 확인하였다. AHP 분석 결과, 경제적·환경적·사회적 차원 중 경제적 차원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차원에서는 기업성과와 미래경쟁력,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윤리가 주요 관심사로 나타났다. 환경적 차원에서는 환경정책 및 시스템 관리가 주요 관심사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직원복지 및 참여가 주요 관심사로 도출되었다. 대조군 연구결과, 시니어 집단과 주니어 집단 간 차이점은 경제적 차원을 제외한 나머지 차원에서 시니어 집단은 환경적 차원을, 주니어 집단은 사회적 차원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차이점은 공공부문의 경우 TBL 차원에서 중요도 인식(가중치)의 편차가 크지 않은 반면, 민간부문의 경우 경제적 가치에 중요도 인식(가중치)이 크게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CSR보고 관행의 정착을 유도하고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한편, 국내 항공운송산업 전반에 지속가능 및 ESG 경영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Korean air transport companies are gradually improving their low-level ESG(Environmental, Social & Governance) and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activities. However, the gap in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between world-class air transport companies such as Air France-KLM Airlines and ANA Airlines and Korean air transport companies seems to be relatively wide. In order for Korean air transport companies to overcome differences from the world’s top level, they must establish active improvement strategies. In order for Korean air transport companies to improve their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or sustainability) management, obvious CSR Goals and accurate current level analysis are need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the voices (major concerns) of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in the air transport industry in order to establish clear CSR Goals. Next,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easure and analyze the current level of CSR to find gaps with the Goals and establish and implement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overcome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ly intend to derive and present CSR evaluation criteria that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so that Korean air transport industry companies can objectively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CSR management. The CSR evaluation criteria of the Korean air transport industry was derived by referring to the 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 G4,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DJSI), ICAO Global Priority, IATA Main policy, and Cruise industry CSR evaluation indices. Second, we identify and present common major concerns of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to help air transport companies set obvious CSR Goals and practice strategies. The research methods appl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based on internationally recognized GRI G(Guidelines)4 and 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to ensure the conformity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CSR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a ‘conceptual model’ of the CSR evaluation criteria for the air transport industry is established, reflecting ICAO and IATA’s key policies and Cruise industry CSR evaluation indices. We also establish a ‘hierarchical model’ of CSR evaluation criteria to establish a balanced Triple Bottom Line (TBL) dimension that can reflect various factors. Through methodological approaches of these two models, we derive objective and structured CSR evaluation criteria in the TBL dimension. Next,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AHP survey of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to identify CSR major concerns in the air transport industry. Internal stakeholders were airline and airports corporation workers etc. and external stakeholders were employees of airline and airport partners,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etc.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ere used to identify common key interests of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As a result of AHP analysis, economic dimensions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dimensions. On the economic dimension, 'business performance and future competitiveness' and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ethics' were the main concerns. At the environmental dimension, 'environmental policy and system management'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concern. At the social dimension, 'employee welfare and participation' was derived as a major concern.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xpert perceptions of senior (more than 10 years in office) group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m with junior (less than 10 years in office). Meanwhil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public sector (government and airport workers, academics) and the private sector (airline and partner staff) identified the private-public differences. AHP analysis shows that economic dimensions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dimensions. At the economic level, corporate performance, future competitiveness,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ethics have emerged as major concerns. At the environmental level, environmental policy and system management have been identified as major concerns. At the social level, employee welfare and participation were drawn as major concerns. According to the study of the comparison group, except for economic dimen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enior groups and junior groups. Senior groups valued the environmental dimension and junior groups valued the social dimen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confirmed that there was not a large deviation in importance recognition (Weights) at the TBL level in the public sector, while the private sector had a large concentration of importance recognition (Weights) on economic valu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induce CSR reporting practices, increase transparency in corporate management, and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ustainability and ESG management throughout the domestic air transport industry.

      • 한국공항공사의 R&D 사업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 AHP 분석을 통한 항행안전장비를 중심으로

        김병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공항공사의 R&D 사업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 AHP 분석을 통한 항행안전장비를 중심으로 - < 국문 요약 > 항행안전시설은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지원하는 필수시설의 하나이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등 항공규제기관에 의해 엄격히 관리되는 첨단시설로서, 전 세계적으로도 소수의 글로벌 기업만이 개발․생산하는 수준 높은 항공산업분야이다. 김포국제공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14개 공항을 건설․운영하는 한국공항공사는 지난 30여년간의 공항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항행안전시설 분야 R&D를 시작하여, 항행안전 장비를 개발한 세계 최초의 공항운영자로 기록되고 있다. 공항공사도 처음에는 공항을 운영하면서 기존 항행안전시설이 가진 고비용․하자 보수 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D를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수익증대 뿐만 아니라 공항운영자로서의 위상 제고에도 기여하는 공항공사의 신 성장 동력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도 공기업의 해외사업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특히 R&D를 통한 공기업의 해외진출은 국위선양에도 매우 긍정적인 공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항공사의 R&D 사업 확장에 따른 우선투자 대상 선정과 이에 따르는 마케팅 전략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다. 먼저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세계 항행안전시설 시장구조 및 주요 경쟁기업의 동향 파악, 그리고 최근의 기술발전 경향에 관해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어서 현재까지 추진되고 있는 공항공사의 R&D 추진 내용을 항행안전시설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향후 R&D 사업 추진 전략에 관해 분석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 시장분석 및 수요전망을 통해 장비 분야별, 업체별, 국가별 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의 공항공사의 개발 역량을 고려하여 향후 R&D 개발 아이템에 관한 개발 우선순위에 관해 연구해 보았다. 또한, 제품 판매를 위한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에 관해 분석하는 것도 본 연구의 목적이 될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여 추진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논문이나 단행본을 참고하였고, 특히 그동안 공항공사에서 몇 차례 수행하였던 R&D 및 해외사업 관련 연구용역 결과 보고서를 주로 참조하였다. 그리고 R&D 아이템에 관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서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HP 기법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항공사의 R&D 추진현황에 관해 분석해 본 결과, 공항공사는 공항의 관리 운영이라는 기본적 임무뿐만 아니라 그동안의 공항운영 경험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첨단항행안전장비 개발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항행안전시설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현재까지 ILS 등 8종을 개발 완료하였고, GBAS 등 3종을 개발 중에 있으며, 향후에도 개발 아이템을 확대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한, 개발 아이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하여 현재 공항공사에서 계획 중인 9가지 아이템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평가기준별 상대적 중요도에서는『기술성』,『경제성』,『시장성』,『관리성』순으로 나타나 예상대로『기술성』이 개발 아이템 우선순위 평가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효율적인 R&D 추진 전략 도출을 위하여 4가지 마케팅 환경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R&D 사업 추진에 관한 6가지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공항공사의 경우 자체 필요성에 의해 R&D가 시작되었으나, 결과적으로는 공항공사의 신 성장동력 사업의 하나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공항공사가 R&D 추진과 관련 많은 장점과 기회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글로벌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하고, 브랜드 인지도가 취약한 점 등 많은 약점과 위협이 존재하므로, 향후 보다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마케팅 추진 방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연구 범위와 관련 공항공사의 R&D 중 항행안전시설이 가장 핵심적인 분야이긴 하지만, 향후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특히 최근의 세계적인 추세인 통합 솔루션 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항공등화 등 기타 분야에 대한 연구 검토도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가 대부분 문헌조사 위주로 수행되어,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실증분석을 통한 구체적 방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태복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research is analysis of the impact on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on professional values, major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through empirical-positive approach.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thods in giving competitive edge to airline service students by focusing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which has rarely been covered in precedent studies, and understanding how cultural competen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fessional values, major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job-seeking, in order to present methods in giving competitive edge to airline service students.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airlines, including low-cost carriers, has led to a growing demand for airline cabin crews, follow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hoping to major in aviation services all over the country. In line with the rapid changes occurring in the aviation industry,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 are being newly established, and changes are being attempted in many ways within the existing related departments and education systems in order to make them more efficient. The role of cabin crew in the aviation industry is also increasing, and as flight attendant's field of action demands professionalism whilst providing service and safety at the same time, cabin crew are required to complete high-level safety training and service manual training regularly throughout their tenure. In response, the university's airline services related departments are trying to provide efficient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measures to foster competent human resources that meet the internal and external requirements of airlines’ cabin crew members. Development of a systemized program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school level that can increase airline service major students’ willingness to engage in foreign cultures, flexible response capability to cultural differences, and efforts made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differences, coping ability when confronted with unfamiliar culture. In particular, th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qualities of cabin crews, since, cabin crew’s duties consist of traveling around the world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people from various cultures. In order to improve global perspe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hrough various practical progra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oreign language courses, cross-cultural training, and global manner curriculum. Not only this, but also programs such as oversea foreign language learning program, airline internship programs and student exchange programs that could strengthen cultural experiences should be developed and established at the school level. In this paper, an empirical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current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draw empirical conclus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8 to August 30, 2020, and survey methods were selected by survey subjects; either manual distribution or online survey. While a total of 3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ut 388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hich did not include 2 dishonest and unfaithful surveys. The following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tatistical software programs; SPSS 21 and AMOS 21 for empir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e test results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cultural competence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 cultur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fessional values as cabin crew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willingness to engage and cultural empathy, which are sub-variables of cultural competence, have a significant affective(+) impact on professional values, whil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and self-efficacy have no effect on professional values. Second, whether airline service majo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 values has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major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professional values have a significant affective(+) influence on both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the cognitive-satisfac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satisfaction with major. Third, analysis were made to determine whether airline services related major stud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major significantly affects self-confidence in job-seeking, Analysi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cognitive satisfaction,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in major have significantly affective(+) impact in work environment confidence, which is a sub-factor of confidence in getting a job. In addition to this, the sub-variables of satisfaction in major;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cognitive-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affective(+) influence on both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and confidence in interview ability. Fourth, the analysis results of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awareness of airline service related major student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based on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acy, and cultural empathy, which are sub-factors of cultural competence, only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with women showing higher perception. In contrast; willingness-to-engage, self-efficacy, and cultural empath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in which students are enrolled, only cultural-empathy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ur-year course university students and two-year course college students.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and self-efficacy showed no difference at a significant level.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ultural competence depending on TOEIC scores students have, and the types of airlines students wish to work in, willingness-to-engage,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iency, and cultural empathy all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frequency of overseas experiences impacts difference in cultural competency. Result showed that, only the willingness-to-engage facto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the rest; cognitive flexibility/openness, self-efficiency, and cultural empathy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y incorporating the results of analysis into the education of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s, this paper aims to promote students' department adjust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Not only cultivating cultural competence by managing the various experiences accumulated throughout university life, but also by improving students' confidence job-seeking, this research intends to prepare data to nurture globally professional services personnel that can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fter employment.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ltural competence research, that were limited to other majors prior to this, to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 student, whom require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cademic implications will be carried as a precedent researc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levation of the status of cabin crew in aviation industry by recognizing the expertise of cabin crews’ professionalism in training,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afety, and a strong service mentality.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진 적 없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문화적 역량이 전문직관,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우월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문화적 역량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저비용 항공사를 비롯한 신생 항공사의 증가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항공사 취업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전국에서 항공서비스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항공 산업의 빠른 변화에 맞추어 대학에서도 항공서비스 관련학과가 새롭게 신설되고 있으며, 기존 관련학과 교육 시스템 내에서도 여러 방면에서 효율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항공 산업 분야에 있어 객실승무원의 역할 또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객실승무직은 안전과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해야하는 전문적인 분야인 만큼 항공사 재직기간 내내 고도의 안전 훈련과 서비스 매뉴얼 교육을 정기적으로 이수하고 있다. 이에 대학의 항공서비스 관련학과에서는 항공사가 요구하는 객실승무원의 내적, 외적 요건을 충족하는 역량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효율적이고 차별화된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타문화에 대한 참여의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유연한 대응능력,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공감하고자 하는 노력, 낯선 문화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등을 높일 수 있는 학교 차원에서의 체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업무의 특성 상 세계 각국을 다니며, 다양한 문화 속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해야하는 객실승무원에게 있어 타문화에 대한 수용과 이해는 무엇보다 중요한 자질로 평가될 수 있다. 국제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국어 역량을 비롯한 이문화 이해, 글로벌 매너 등과 같은 다양한 교과 커리큘럼을 도입함은 물론이고, 문화적 경험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외어학연수, 산업체 현장실습, 교환학생 등 체험 속에서 문화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학교 차원의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들을 개발, 지원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재학 중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28일∼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접 배포 및 온라인 설문방법을 선택하였다. 총 390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38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과 AMOS 21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이 객실승무원에 대한 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의 하위 변수인 참여의지와 문화공감은 전문직관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으며,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은 전문직관과의 영향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문직관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관은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공만족이 취업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은 모두 취업자신감의 업무환경 자신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전공만족의 하위 변수인 교과만족과 인식만족은 모두 취업자신감의 면접능력 자신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유연성/개방성만이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차이를 보였다. 참여의지, 자기효능감, 문화공감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학 중인 학교의 형태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화공감은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 재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토익성적의 보유 여부와 취업희망 항공사 유형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그리고 문화공감 모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해외경험 빈도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의지만이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문화공감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교육에 접목한다면, 항공서비스 전공 학생들의 학과 적응과 만족도를 고취시키며, 적극적인 대학생활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기반으로 문화적 역량을 함양함으로써 취업의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취업 후 근무적응도나 직무만족, 서비스품질을 향상함으로써 글로벌한 전문서비스인을 양성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 학과 전공 대학생들에게 국한되었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를 타문화가 필수적 요소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에게 적용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의 업무에 대한 교육의 전문성, 안전에 대한 책임의식, 확고한 서비스 정신 등을 통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항공운송 분야에서 객실승무원의 업무의 중요도에 대한 지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핵심어 : 문화적 역량(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자기효능감, 문화공감), 전문직관, 전공만족(교과만족, 인식만족), 취업자신감(업무환경 자신감, 면접능력 자신감)

      • 문화차이에 따른 객실승무원의 직무가치관 및 고객지향성 차이에 대한 실증 연구

        장지승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초국적 자본주의에 바탕을 둔 글로벌화 현상은 항공업계도 예외가 아닐 수 없다. 국내인력이 외국 항공사에 취업하기도 하고 국적항공사에서 운항, 객실승무원 등의 외국인력을 채용하여 운영하는 이유가 바로 초국적 자본의 힘 때문이다. 국내 항공사는 물론이고 외국 항공사 역시 객실승무원을 자국민만을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노선별 승객의 다수 탑승 국적에 따라 해당 국가의 객실승무원을 고용하고 있다. 이는 항공사간에 다른 국적의 탑승객을 자신의 항공사를 이용케 하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확보하여 수익을 증대하려는 전략방안 중 하나이다. 또한 외국인력을 채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로 인하여 비용 생산성 측면에서도 부가적 효과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문화에 따른 각 국가별 객실승무원의 직무가치관, 고객지향성의 차이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외국인력 활용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문헌들을 고찰하여 고객지향성 및 직무가치관 요인들을 직업선택 시 고려사항, 직업유지 시 고려사항, 직무관여도 및 조직헌신도 등 4개 항목으로 도출하고 항목별 설문문항들을 구성하였다. 설문 대상은 K 항공사 근무 경력 5년 미만의 객실승무원으로 정하여 한국인, 중국인, 태국인 265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을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객실승무원들은 ‘직업선택 시 고려사항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그러나, 국적 간 직업선택 시 고려사항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국-중국, 한국-태국 국적의 객실승무원의 직업선택 시 고려사항에 대한 응답평균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객실승무원들은 ‘직업유지 시 고려사항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국적 간 직업유지 시 고려사항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국-중국 그리고 한국-태국 국적의 객실승무원의 직업유지 시 고려사항에 대한 응답평균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객실승무원들의 직무관여도는 고객지향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국적 간 직무관여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국-중국 그리고 중국-태국 국적의 객실승무원의 직무관여도에 대한 응답평균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객실승무원들은 ‘조직헌신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국적 간 조직헌신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한국-중국, 그리고 중국-태국 국적의 객실승무원의 조직헌신에 대한 응답평균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적 간 고객지향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중국인 객실승무원이 가장 높은 고객지향성을 보여 주었다. 항공 서비스 산업은 인적서비스 그 자체가 하나의 상품가치로서 중요한 영업 요체가 됨으로써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직업의식이 투철한 종사원의 확보와 훈련이 무엇보다도 중요시 된다. 이에 문화적 차이에 따른 객실승무원의 직무가치관을 잘 이해하고 국적별 객실승무원의 특성에 맞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점에서 문화의 차이에 따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인력운용 방안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항공사는 객실승무원 운용에서 문화차이에 따른 직무가치관 및 고객지향성의 차이를 이해하여 외국인 객실승무원의 채용부터 단계적으로 효율적인 인력관리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Globalization based on capitalism is not an exception in aviation industry. When airlines hire cabin crews, they hire not only their own nationals but also ones from other countries depend on the major nationality of passengers in the route. This is one of the strategies to draw other nationality passengers and to improve service quality for raising competitiveness to increase profit. Moreover, hiring foreign manpower gives additional effects on cost productivity because of its low cost of labor.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utilize foreign manpower more efficiently by analyzing their work related values and customer orientation differences based on the cultural background. In order for this, while referring early studies, factors for customer orientation and work related values are drawn into four parts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based on these factors; the consideration on career choice, the consideration on career continuity, Job Involvement and commitment on work. The questioned are 265 cabin crews whose nationality is Korean, Chinese and Thai and working in K airline for less than 5 yea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following results. Firstly, cabin crews are proved that they aware the considerations on career choice positively a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However, it was also proved that considerations on career choice by their nationality have negative correlation. Especially, the responses from Korean-Chinese and Korean-Thai on consideration on career choice can be concluded as different. Secondly, cabin crews are proved that they aware the considerations on career continuity positively a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However, it is also proved that the considerations on career continuity by their nationality have negative correlation. Especially, the answers from Korean-Chinese and Korean-Thai on consideration on career continuity can be concluded as different. Thirdly, it is proved that cabin crew’s Job Involvement has negative effects o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Involvement depend on the nationality has negative correlation. Especially, the responses from Korean-Chinese and Korean-Thai on Job Involvement can be concluded as different. Fourthly, cabin crews are proved that they aware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 between commitment on work and customer orientation’. However, it is also proved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on the commitment on work by their nationality, and the responses from Korean-Chinese and Chinese-Thai on this matter can be concluded as different. Lastly, customer orientation depend on the nationality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highest customer orientation result on Chinese crews. In aviation industry, procuring and training employees who is expertise and professional is the most important than anything because human service itself is the product which is the significant sales key factor in aviation industry. Therefore, developing proper training program which understands the job value of crews by their cultural background and their characteristics is demanded. Throughout this analysi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related valued and customer orientation differences based on the cultural background of cabin crews, the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 for foreign cabin crew in every step from their recruitment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 무인동력비행장치 사고사례 SHELL MODEL 분석 및 항공안전의식 개선방안 연구

        노현빈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Recently,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era, unmanned aerial vehicles, which were mainly used in limited areas such as the military area, have expanded to the civilian area. That is,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unmanned aerial vehicles were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but recently, their utilization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maging, agriculture, and leisure is rapid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idents of factors that threaten safety in the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aviation safety awarenes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ccidents by applying SHELL MODEL to a total of 10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s reported to the Accident Investigation Committee. It was analyzed that errors caused by human factors such as insufficient confirmation, errors in judgment due to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 situation by the pilot, non-compliance and lack of compliance with the pilot's complianc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ilot and visual monitor, and insufficient safety supervision by government agenc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HELL MODEL analysis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aviation safety awareness targeting workers and non-workers. The input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using SPSS/WIN 28.0, and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viation safety awareness of workers and non-workers. (1)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ers,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viation safety awareness according to flight time and flight experience. Drone flight time was 5.00 over 500 hours and less than 700 hours. In terms of flight experience, 2 years or more and less than 4 years accounted for the highest share of 5.00.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on-worker's perception of aviation safety awareness improvement according to age and flight experience. Aviation safety awareness was the highest at 5.00 from 40s to 60s, and drone flight experience was the highest at 5.00 for more than 6 months and less than 2 years. (3) Aviation safety awareness has a positive (+) effect on improving aviation safety awareness. In other words, if the aviation safety awareness of workers and non-workers is high, the improvement of aviation safety awareness also increases. Nex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detailed questionnaire analysis (type of accident, unauthorized flight, unqualified flight) of workers and non-workers' aviation safety awareness. Among the two groups in the questionnaire on accident type, workers answered that it was an unauthorized, unapproved flight by an unqualified person, and non-workers answered inexperienced piloting as the highest type of accident. During the questionnaire on ineligible flight, both groups responded with some level of ineligible flight experience. Non-employees had at least one unqualified flight experience, and employees had a lower level of unqualified flight experience.Among the surveys on unauthorized flights, 62% of workers experienced unauthorized flights at least once, and 71% of non-workers experienced unauthorized flights at least once. 최근 제4차 산업시대의 도래와 함께 군사영역 등 제한적인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던 무인항공기가 민간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즉, 개발 초기 무인항공기는 군사용으로 주로 활용되었지만 최근 영상촬영, 농업, 레저 등 다양한 목적으로 그 활용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인항공기 운용에 있어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의 사고를 분석하고 무인항공기 조종자 항공안전의식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고조사위원회에 보고된 총 10건의 사고조사보고서를 SHELL MODEL의 적용하여 사고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공통적인 사고원인은 규정을 따르지 않은 부적절한 조종행위, 안전문화 의식부족, 관계자와의 확인 미흡, 조종자의 상황인지 미흡에 따른 판단 오류, 조종자 준수사항 미준수와 부족, 조종자와 육안감시자 간의 의사소통의 부재, 정부기관의 안전감독 미흡 등 인적요인으로 인한 오류가 원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SHELL MODEL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종사자 및 비종사자를 대상으로 항공안전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 WIN 28.0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분석하였으며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이 활용되었다. 종사자 및 비종사자 항공안전의식 통계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항공안전의식은 비행시간, 비행경력에 따라 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드론비행시간으로는 500시간이상 700시간 미만 5.00 비행경력에서는 2년이상 4년미만 5.0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 비종사자의 항공안전의식개선에 대한 인식은 나이, 비행경험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항공안전의식은 40대에서 60대까지 5.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드론 비행경험은 6개월이상 2년미만에서 5.00으로 가장 높았다. (3) 항공안전의식이 항공안전의식개선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즉, 종사자 및 비종사자의 항공안전의식이 높으면 항공안전의식 개선도 증가한다. 다음은 종사자 및 비종사자 항공안전의식 세부 설문분석(사고유형, 무허가비행, 무자격비행)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사고유형에 대한 설문 중 두 그룹 중 종사자는 무자격자에 의한 무허가, 미승인 비행이라고 응답했고 비종사자는 조종미숙을 가장 높은 사고유형으로 응답했다. 무자격 비행에 대한 설문 중 두 그룹 모두 일정 수준의 무자격비행 경험을 응답했다. 비종사자는 1회이상 무자격비행경험 하였고 종사자로 더 낮은 수준의 무자격비행경험을 가졌다. 무허가 비행에 대한 설문 중 종사자는 무허가 비행을 1회이상 경험했다는 비율이 62%로 나타났고 비종사자는 무허가 비행을 1회이상 경험했다는 비율이 71%로 나타났다.

      • 한반도 주변국가의 항공법 비교연구

        오성규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contracted in 1944 adopte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SARPs) as Annexes to Convention for safety and order of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nd each contracting State shall establish and amend the law on the basis of the SAPRs. However, Any State which find it impracticable to comply in all respects with any such SARPs, or which deems it necessary to adopt regulations or practices differing in any particular respect from those established by SARPs shall give immediate notification to the ICAO fo the differences between its own practice and that established by the SARPs and ICAO publish these difference notices as a supplement to annexes.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contracting States with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are accomplishing standardization of regulation on the basis of SARPs in each State. However, Air Law of each State need to study on the trait and differences for safety of frequent air transport servic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have differences of Air Law by reason of cultural differences and circumstance of each State.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mean Republic of Kore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and The Domes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study on Air Law of each state in this study. One of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y and organization of each state and then to review how establishing own air law affect air law of each state. Another purpose is to make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own regulation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SARPs and then to review how the difference notices of each state affect air law of each state. Joining in Paris Convention 1919 of Japan became basis of air law. In 1921, Japan established air law on basis of Paris Convention but it was not enforced because of imperfect of facilities then it was enforced in 1927. At that time, because Korea was colonized by Japan, it was apply to Japanese air law. By this historical reason, Republic of Korea air law established similarly with organization and trait of Japanese air law and the Domestic People's Republic Korea that was affected by China(same socialist state) established similarly with Chinese air law 1995. Meanwhile, examining the difference notices betwee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own regulations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each country notified difference notices of only specific annexes and whenever each country amended air law, these differences are not immediately notified. In case contracting State do not notify differences, ICAO do not directly punish or control these States. To solve this problem, ICAO introduced Universal Safety Oversight Audit Programme(USOAP) as an instrument to promote global aviation safety and to evaluate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and procedures in contracting States. Because of introduction of USOAP, contracting States can establish revision guideline of own air law and take developmental role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air law and ICAO can systematically control difference notices and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as a result of USOAP indirectly. Also, contracting States get an opportunity that can evaluate aviation safety of other contracting states because evaluated results by USOAP are released to the public. ICAO is pointing out that the States shall notify differences to the ICAO as follow-up of USOAP but most States do not actually notify differences to the ICAO because ICAO do not punish failure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and procedures. Therefore, ICAO must prepare a general plan that can punish and control the failure including evaluation criteria about difference notice. 1944년 체결된 국제민간항공협약에서는 국제항공운송의 안전과 질서를 위하여 항공규칙의 통일화를 위해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을 부속서의 형태로 채택하였고, 각 체약국은 이를 기준으로 하여 자국의 법률을 제정 및 개정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체약국의 사정상 국제표준과 권고관행을 이행할 수 없을 경우 혹은 차이점이 있을 경우 이를 국제민간항공기구에 통보하여 타 체약국에서 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부속서의 부록으로 게제하고 있다. 한반도 주변국가의 경우 모두 국제민간항공협약의 체약국이며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동 부속서의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을 자국의 법률로 제·개정하여 항공법의 통일화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 주변 국가는 자국의 문화와 국내 사정의 이유로 각 항공법의 차이점도 존재하고 있어 최근 한반도 주변의 빈번한 항공운항의 안전을 위해 이를 분석하여 각 국가의 항공법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한반도 주변국가라 함은 한국·중국·일본·북한을 말하며, 한반도 주변의 항공운송정책에 맞추어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중국·일본·북한의 항공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각 국가의 항공법에 대한 연혁과 구성 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한반도 주변국가가 서로의 자국 항공법의 제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연구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동 협약의 부속서에서 정한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과 국제민간항공기구에 통보한 자국 항공법규상의 차이점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한반도 주변 국가의 항공법과 비교 연구하여 각 국가 간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의 이행 여부와 차이점 통보가 각 국의 항공법 개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중국과 일본은 1919년 파리협약에 가입하며 한반도 주변국가중에서 가장 먼저 항공법의 근간을 마련하게 된다. 일본은 파리협약을 근거로 하여 1921년 항공법을 제정하지만 민간항공의 제반시설이 미비하여 시행되지 않고 있다가 1927년 본 항공법을 시행하게 된다. 한국과 북한은 일본의 식민통치하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의 항공법이 동일하게 시행되게 된다. 이러한 역사적 이유로 한국과 일본은 유사한 구성과 특성으로 항공법이 제정되게 되었으며, 북한은 같은 사회주의체제 국가인 중국의 영향을 받아 1995년 제정된 중국의 민용항공법과 유사한 특성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체약국은 협약에 의하여 설정되는 규칙을 일치하도록하고 상이점이 있으면 동 기구에 통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한반도 주변국가의 경우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체약국인 한국, 중국, 일본, 북한도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동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한 국제표준과 권고관행을 이행하여야 할 의무가 있으며, 항공안전과 관련된 내용의 법률은 서로 비슷하지만 각 국가가 법률로서 채택할 수 없거나, 차이점이 있을 경우 그 차이점을 국제민간항공기구에 통보한 규정은 각 국가의 사정에 따라 다르다. 한반도 주변국가 간의 국제표준과의 차이점 통보를 살펴보면 각 국가는 특정 부속서의 차이점에 대한 통보만을 하고 있고, 차이점의 통보가 부속서 혹은 자국의 항공법 개정에 따라 즉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체약국이 차이점의 통보를 하지 않을 경우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이를 직접적으로 제제하거나 통제할 근거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간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체약국의 항공안전에 대하여 감독하고 평가할 수 있는 항공안전감독 프로그램(USOAP, Universal Safety Oversight Audit Program)을 도입하여 체약국의 국제표준과 권고관행에 대한 이행율을 평가하였다. 동 평가를 계기로 각 국은 자국 법률의 개정방안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었고 국제표준과 자국의 법률의 통일화를 이루는 발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항공안전평가 프로그램은 각 체약국의 차이점 통보에 대한 불이행에 대하여 지적하여 후속조치로서 국제표준과 권고관행의 이행과 차이점 통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평가의 결과를 대중에게 공개하도록 하고 있어 각 체약국은 다른 체약국의 항공안전에 관한 정보를 열람하고 타 체약국의 항공안전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항공안전평가에 의하여 각 체약국의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의 이행률을 평가하고 또한 후속조치로서 차이점의 통보를 하도록 지적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차이점의 통보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적다. 차이점의 통보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더라도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특별한 조치를 취할 수가 없기 때문인데 이에 대하여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항공안전평가 시 차이점의 통보에 관한 내용을 평가기준으로 포함하는 등의 더욱더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항공서비스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이광옥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항공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항공서비스 관련 교육기관의 양적인 성장에 있어 관련 논문의 질적 연구 발전 정도와 항공서비스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국내에서 1965년부터 2014년까지 발행된 석사학위 논문 625편이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 수집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항공서비스”를 검색어로 검색한 논문 1600편 중 항공서비스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논문을 제외한 논문 625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 시기별, 대학별로 각각 분류하여 연구 주제에 해당하는 키워드 빈도, 백분율, 증가율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관련 연구는 1965년부터 시작되어 연구의 편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2007년 이후 발표된 논문의 빈도 증가율은 눈에 띄는 성장을 하였다. 이중 승무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로 연구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의 내용의 분석했을 때 핵심키워드는 해당 시기에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고 하였다. 대표적인 예인 저가항공사에 관한 연구는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항공사 최초취항일과 함께 발전하였다. 이렇듯 학문은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는 좋은 예로 볼 수 있다. 둘째, 시기별 항공서비스 관련 연구의 기초가 되는 범주는 총 8개 영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발전기에 접어들면서 마케팅, 서비스, 인적자원관리, 서비스인력, 생산의 영역 비율이 태동기에 비해 고르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교육훈련, 서비스마케팅, 재무의 비율은 태동기와 비슷한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항공서비스 연구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범주의 다양화와 고른 분포가 필요하다. 셋째, 대학별 논문 발표 빈도를 살펴보면, 전국 64개의 대학에서 항공서비스 관련 논문은 625편 발표되었다. 이중 상위 4개 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경기대학교, 경희대학교, 세종대학교) 논문이 56.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상위 4개 대학교에 편중되어 있는 연구 현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몇몇 대학에서 논문의 빈도 보다 낮은 수의 키워드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연구 논문의 중복이 있을 수 있는 우려를 나타내는 분석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항공서비스 연구 분야의 발전방향을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에 관한 연구 주제는 아직 몇몇 주제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자 들은 연구의 영역을 세분화시켜 보다 실증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항공서비스 관련 연구를 국내연구에 제한 하지안고 국외연구 분석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8가지로 나눠져 있는 범주를 세분화하여 새로운 방향성을 찾아야한다. 또한 항공서비스 관련 연구가 몇몇 대학에 편중되어 있어 다양한 연구 활동의 제한을 초래하고 있다. 전국에 있는 항공서비스 관련 대학의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대학별 연구 영역이 제한적이거나 중복적인 우려가 있었다. 발표되는 논문의 빈도 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연구되고 있는 주제의 다양화이고 이는 곳 건전한 연구의 시작이다. 후속 연구자들은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연구하여 연구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계획 한 후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 국내 조종사 양성 전문교육기관 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연구

        김욱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부속서 1(항공종사자 면허) 국제표준 및 권고사항과 1983년 제정된 ‘Manual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viation Training Centres(ICAO Doc 9401-AN/921) 그리고 Manual on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ICAO Doc 9841.)를 근거로 운영되는 항공종사자 양성 교육제도로서 항공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는 항공종사자를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우수한 인력을 항공산업 분야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이다. 우리나라는 1986년에 최초로 한국항공대학교가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을 지정받았고 그 이후 항공운항학과가 설치된 일부 대학교들이 지정받아 전문교육기관 제도를 통해 조종사를 양성해왔다. 2017년 10월에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관은 전문교육기관 제도에서만 비행훈련이 가능하도록 항공안전법 48조(전문교육기관의 지정 등)가 개정되어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받지 않은 대학교 소속 비행교육원과 사설 비행교육원 전체가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이 일원화된 전문교육기관 제도로 운영됨에 따라 교육 체계 및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교육 및 실기교육에 관련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을 제시할 수 있도록 비교적 전문교육기관 제도가 잘 정착된 국가인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와 인접 국가인 일본과 중국과 동남아 국가를 연구 대상에 포함하여 전문교육기관 현황과 국가별 법·규정, 전문교육기관에서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수료 및 취득 조건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전문교육기관 제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해당 분야 종사자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전문교육기관 법·규정 및 운영과 관련된 개선사항으로 조종사 양성 훈련제도를 전문교육기관에서만 가능하도록 법·규정이 개정됨에 따라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과 교육생은 전문교육기관 제도에 따른 훈련을 진행할 수 없어 훈련에 따른 제한사항이 대두되고 있어 이를 해소할 방안이 필요하다. 두 번째, 전문교육기관 운영과 관련된 규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와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과 상호 의사소통을 강화하여 전문교육기관의 운영과 관련된 불필요한 규제를 확인하고 해소할 수 있도록 상호 노력해야 한다. 세 번째, 과도한 학과교육 시간에 관련된 개선사항으로 우리나라 전문교육기관은 자가용 및 사업용 조종사 학과교육 시간이 다른 국가에 비해 많은 교육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에 따른 필요한 학과교육 시간을 분석하여 현행 학과교육 시간을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실기교육 과목의 비행경험과 관련된 사항으로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실기교육 과목마다 동승비행시간, 기장 또는 단독비행시간으로 구분되어 실기교육의 융통성을 저해하고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표준 및 권고 사항에서 요구하는 특정 비행경험을 충족하는 경우 전문교육기관에서 조종사 자격증명을 취득할 수 있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9개 국가의 전문교육기관 제도 및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 및 실기교육 등을 비교‧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최초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is an pilo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of ICAO Annex 1 and Manual on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ICAO. Doc 9841). The purpose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ATO) is to supply excellent Airmen to the aviation industry through a relatively systematic training system for airmen who are expected to be insuffici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In Korea, Korea Aerospace University was designated as the firs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to pilots Training in 1986, and universities with Flight operation(Aeronautical Science) departments have been designated by the state since then to pilots training under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system. In October 2017, Article 48 of the Aviation Safety Act (designated as a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was revised to allow flight training only in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system, and the entire university flight Training center and private flight Training center were designated as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In this study, as the pilot training center is operated as a unified Approved Training system, it is relatively specialized in order to deriv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related to the Training system and Aviation Knowledge class and practical Training for obtaining pilot certificates. Including countries with well-established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Canada, and Australia, as well as neighboring countries Japan and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current statu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nd pilots i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with the pilot training system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in Korea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for completion and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Airmen in the Aviation industry field to derive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As the laws and regulation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have been revised to allow the pilot training system only a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pilot training center and trainees cannot conduct training under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system, and there is a need to resolve thi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Mutual efforts shall be made to identify and resolve unnecessary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by strengthening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pilot training centers. Third, as an improvement related to excessive knowledge class hours, Korea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require more knowledge class hours for private and commercial pilot courses than in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knowledge class hours by analyzing the knowledge hours required for aviation knowledge of trainees according to pilot certificates. Fourth, it is related to the flight experience of the practical training subject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and it is divided into dual flight time, captain, or solo flight time for each practical Training subject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hindering the flexibility of practical training. Amendments are needed to ensure that pilot certificates are obtained from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ions when specific flight experiences are met as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If the flight experience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is satisfied, improvements are needed to obtain pilot certificates from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improvements and suggested solutions for the first tim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in nine countries and knowledge class and practical training to obtain pilot certific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