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 시범 경연 대회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 총장배 대회를 중심으로

        심종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태권도 시범 경연 대회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 총장배 대회를 중심으로 심 종 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태권도 전공 본 연구는 총장배(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가 활성화 되어가고 있는 현 시점에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해 총장배(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가 질적으로 향상 되고, 총장배(기) 시범경연대회가 활성화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규정 문제점은 어떠한가? 둘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규정의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셋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운영의 문제점은 어떠한가? 넷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운영의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한국체육대학교 총장배 전국 태권도 대회, 용인대학교 총장기 전국 태권도 대회, 경희대학교 총장기 전국 남·여 고등학교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에 3회 이상 참가한 심판 및 지도자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장배(기) 시범경연대회 뿐만 아니라 현재 치러지고 있는 대부분의 시범경연대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난이도에 따른 채점규정을 정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회전기술격파의 경우 회전각도에 따른 난도를 정하고, 높이와 비행거리 등에 대한 명확한 채점규정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들은 부상의 위험, 청소년기 성장의 저해 등의 요인을 들어 특정 기술에 대한 제한에 긍정적이었으나 심판들의 경우 시범경연대회 본래의 목적인 태권도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의 제한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수, 지도자, 심판 등 태권도시범경연대회의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경기규칙 강습회 등을 개최하는 등의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연구 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한국체육대학교, 용인대학교, 경희대학교 총장배(기) 대회와 같은 대학주최의 시범경연대회에서 변별력이 떨어지는 경기운영규정에 대해 문제가 나타났다. 특히 한국체육대학교 총장기대회의 채점, 경기운영 규정에서는 예선과 결선의 지정격파가 같고, 경희대학교 총장기 대회에서는 예선의 지정기술의 난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대학 규정에 맞춰 예선 혹은 결선의 규정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격파 경기에서 보조자가 격파물을 격파자의 발에 맞추는 경우와 같은 부정행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격파의 성공여부에 따라 점수가 차이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순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서 기인한 것으로 이를 위한 경기규정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재의 시범경연대회에서는 격파위주의 대회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격파를 보조하는 ‘보조자’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범경연대회의 특성상 경기에 참여하는 보조자와 관련하여 참여인원의 제한, 격파별 보조인원의 제한 등과 같은 상세한 규정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격파에 필요한 보조인원을 지정하여 대회 주최측에서 필수인원을 제공하는 방안과 함께 격파종목에 맞는 격파대의 제작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태권도시범경연대회의 특성에 비하여 전체 대회를 소화하기에 경기 일정이 무리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선수들의 휴식과 재충전의 기회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선수들이 상위 단계(결선)로 진출하는 경우 자신의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회를 주최하는 대학은 추가적인 관련 예산 확보를 통해 전체 경기 일정을 연장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태권도, 시범경연대회, 경기규정, 경기운영.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 with the focus of the university president cup Jong-In, SIM Graduate Schoo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are occurring at present when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s being activated to find ways to improve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improve and revitalize the quality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blem with the contest rules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Second,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he contest rules for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Third, what are the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Fourth,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The even judges and leaders who participat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national taekwondo contest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long-term national taekwondo contest of Yongin University, and the long-term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s of Kyung He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verhaul the scoring ru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of technology available for most demonstration contests as well as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otational technical breaking, difficulty of each angle of rotation is determined, and clear scoring regulations for height, flight distance, etc. need to be established. Second, leaders were positive about limiting certain skills, citing factors such as the risk of injury and hindering growth in adolescence, but judges were negative about restricting the technolog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demonstration contest.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duct practical research activities to promote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s, such as holding competition rules classes where athletes, leaders and referees can participate together. Third, problems with the regulation of contest management, which is not discriminative in demonstration contests hosted by universities such a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Yongin University, and Kyung Hee University. In particular, the scoring and competition management rules of the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s President Cup contest has the same specified breaking skill for the preliminaries and finals, and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specified breaking skill in the preliminary competition at Kyung Hee University is low, so the distinction ability is necessar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 change in the rules of the preliminary or final round was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each university. Fourth, it was found that in the breaking contest, there was cheating, such as the case where an assistant fits the breaking object to the foot of breaker. These phenomenon we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cores vary depending on the success of the breaking, which greatly affects the ranking. It has been shown that this requires a change in the rules of the game. Fifth, the demonstration contest is currently focused on the breaking game, and a "assistant" to assist in breaking game is essential. Due to the nature of these demonstration contest, detailed regulations regarding assistants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such as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assistants per the breaking, appear to be insufficient. It is deemed necessary to designate the number of assistants necessary for breaking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number of people for the competition organizers, as well as to produce the breaking team suitable for the breaking event. Sixth,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the game schedule is currently too short to handle the entire competition. Therefore, the chances of rest and recharging of the athletes are reduced, and as a result, when the athletes advance to the upper level (finals), it is found that they do not fully demonstrate their skill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for the universities hosting the competition to discuss extending the entire competition schedule by securing additional relevant budgets. Key words: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competition regulations, competition management.

      • 스포츠행정가로서의 민관식의 삶

        이준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development in korea sports was rapidly made during the short period enough to be wantless in the rhetoric called 'miracle.' The person named Min, Kwan-sik was a pioneer who achieved modernization in korea sports in this intensively growth period. Min Kwan-sik made a great effort for the development in korea sports, which had been remained at the pre-modern level, while passing through diverse job positions such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Sport Council(at present, Korea Olympic Committee) and the Minister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s traces to the development phase in korea sports by analyzing many political policies and activities in the individual dimension from the category of life history that Min Kwan-sik had driven for the progress of korea sports in diverse positions including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were summarized by analyzing his traces in the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history. We experienced a gruesome failure at the Tokyo Olympics in 1964 of having been opened in Japan that had persecuted our country. Min Kwan-sik multi-laterally strives to grow korea sports with overcoming this failure. As part of his effort in this way,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and the athletic hall were built first of all. The construction of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leads to being equipped with the comprehensive training center for national representatives, resulting in coming to play a role of the best contributor to strengthening Korea's stature in the world sports arena after this. Also, the construction of the athletic hall led to what 31 member organizations under the Korea Olympic Committee came to enter one building. Thus, the efficiency of the sports administration increased enough to be unable to be compared with before. In addition, the integration of scientific element into sports by introducing the coach academy and the scientific training method led to having notified the beginning of the sports science to this land. During the days of the Education minister that he directly took office right after finishing the tenure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he enforced diverse policies including the national physical fitness test system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at had been alienated from the educational climate of focusing on the intellectual education. Also, Min Kwan-sik strived to supply and spread sports even in the individual dimension as well as when being in public office. A scholarship program targeting the nest generation for sports by establishing the Min Kwan-sik educational foundation leads to supporting student play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activities as an athlete. Also, the Sogang's cup national student tennis tournament hosted by this foundation has been continued to be transmitted every year since the opening in 1973. This tournament is playing a role of gateway in South Korea's junior tennis players even now with producing famous players such as Lee Hyeong-taek and Yu Jin-seon. In this way, Min Kwan-sik raised the status of korea sports one-step further by carrying out monumental projects in the korea sport history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and the athletic hall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Furthermore, he made an effort for the development in the culture of korea sports over his lifetime through the sports sponsoring activity as the Education Minister and in the individual dimension. There is a role of encouraging the equable development in sports by awarding through selecting administrator, player, coach, juvenile player, and journalist who have merits in korea sports after enacting the Sogang sports grand award in 2009 by honoring his intention of loving sports in this way following Min Kwan-sik's death. 한국 체육의 발전사는 ‘기적’이라는 수사가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짧은 기간 동안 비약적 성장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집약적 성장기에 민관식이란 인물은 한국 체육의 근대화를 이룩하였다. 민관식은 대한체육회장, 문교부 장관 등 다양한 직책을 거치면서 전근대적 수준에 머물러 있던 한국 체육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논문에서는 민관식이 대한체육회장을 위시한 다양한 위치에서 한국 체육의 발전을 위해 추진했던 여러 정책사업들과 개인적 차원의 활동들을 생애사의 범주에서 분석하여 한국 체육의 발전상에 따른 그의 행보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의 체육행보를 생애사적 관점에서 분석해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를 36년간 핍박한 일본에서 개최된 1964년 동경올림픽에서 우리는 참담한 실패를 경험해야 했다. 민관식은 이러한 실패를 딛고 한국체육을 성장시키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그의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가장먼저 태릉선수촌과 체육회관이 건립되었다. 태릉선수촌의 건립으로 인해 국가대표 종합 훈련센터가 갖추어지게 되면서 이후 세계 스포츠무대에서의 한국의 위상 강화에 일등공신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체육회관의 건립으로 대한체육회 산하 31개 경기 가맹단체가 한 건물에 입주하게 됨으로써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체육행정의 효율이 상승하였다. 이 외에도 코치 아카데미, 과학화된 훈련 방법의 도입 등으로 과학적 요소를 스포츠에 접목시킴으로써 이 땅에 스포츠 과학의 시작을 알렸다. 체육회장의 임기를 마치고 곧바로 취임한 문교부 장관시절에는 주지교육위주의 교육풍토에서 소외되었던 체육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체력장 제도의 입시 연계를 비롯해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또한 민관식은 공직에 몸담고 있을 때 뿐만이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도 스포츠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노력하였다. 민관식 육영재단을 설립해 스포츠 꿈나무들을 대상으로한 장학지원사업을 통해 학생 선수들의 학업과 선수활동을 지원해 오고 있다. 또한 이 재단에서 주관하는 소강배 전국 학생 테니스대회는 1973년 개최된 이래 매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 대회는 이형택, 유진선등의 유명 선수를 배출하며 지금도 한국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민관식은 체육회장으로서 태릉선수촌과 체육회관의 건립 등 한국 체육사의 기념비적 사업들을 시행함으로써 한국 체육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또한 문교부 장관 및 개인적 차원에서의 스포츠 후원 활동을 통해 평생에 걸쳐 한국 체육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민관식이 타계한 후에는 그의 이러한 체육사랑의 뜻을 받들어 2009년 소강 체육대상을 제정하여 한국 체육에 공훈이 있는 행정가, 선수, 지도자, 유소년 선수, 언론인 등을 선정해 시상함으로써 한국 스포츠의 고른 발전을 독려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중국 대학의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분석

        장빈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산시성에 소재하는 7개 대학교의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문헌자료는 Bereday(1964)의 비교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의 체육교육학과는 중국에서 발표된 ‘2003년 교육과정 지도방안’을 기준으로 하여 ‘복합형(復合型)’ 인재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다. 둘째, 중국 대학의 체육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은 교양과목, 전공이론과목, 전공실기과목, 교직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내용선정 기준은 없으며, 교육과정 구성 내용은 대학마다 차이가 있다. 셋째, 체육교육학과에 공통적으로 개설된 교양과목에는 사회주의사상과 도덕, 컴퓨터, 영어가 있다. 전공이론과목은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에 대한 기준이 없어서 대학마다 개설과목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전공실기과목은 공통적으로 농구, 축구, 배구, 육상, 체조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교직과목은 선정기준이 없으며, 대학마다 개설과목에 차이가 있다.

      • 한국 군체육의 세계화를 통해 본 CISM 대회의 발달사

        김인석 한국체육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79

        본 논문은 우리나라 군체육의 역사를 통해 우리나라 군인체육의 역사를 재정립하고, CISM의 역사 및 역할을 통해 세계화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군체육이 세계화에 발돋움할 수 있도록 향후 과제를 제언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사건의 상황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명확하게 하고자 CISM관련 담당자들과의 심층면담 및 초점집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크게 세 단락으로 나누어 우리나라 군체육의 역사, CISM 태동 이후 한국의 국제군인체육의 역할, 그리고 세계군인체육대회(Military World Game) 개최 이후 CISM의 발전과 한국의 역할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도출해내었다. 첫째, 우리나라 군인체육은 문명이 생기기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본격적인 군인체육의 발달은 1945년 광복 이후이다. 근현대로 오면서 군대는 무기의 개발로 전술에 많은 변화가 생겼지만 체력적인 요소는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우리나라 국군은 초기 체력증진, 전투력 향상을 위해서 체조, 태권도, 체력장 등의 체육활동을 실시해 왔고, 1980년대 이후로는 국군체육부대를 창설하여 엘리트 체육인재 양성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과학화, 체계화된 체육 활동을 통하여 체력을 배양하도록 하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는 1957년 CISM가입 이전부터 종목별 CISM 세계군인체육대회에 참가하며 한국 군인체육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CISM 가입 이후에도 종목별 CISM 세계군인체육대회에 적극적으로 출전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었고, 우리나라에서 종목별 CISM 세계군인체육대회를 적극적으로 개최함으로써 한국 군인체육 발전과 세계화에 앞장섰다. 특히 태권도 종주국답게 태권도 종목에서는 거의 매년 종합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최강의 자리매김을 하였으며 유도, 복싱, 사격 등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셋째,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매 4년마다 열리는 세계군인체육대회(Military World Games), 즉 군인올림픽에 출전하여 한국 군인체육의 발전에 앞장섰다. 세계군인체육대회는 1995년 이탈리아에서 최초로 개최되었으며 1957년 CISM에 가입한 우리나라는 한국 군체육의 발전을 위해 제1회 대회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00여 개국이 참가하는 매 대회 때마다 20위권 내외였으나 2011년에는 종합 6위 상위권의 입상 실적을 거두며 우리나라 군인체육의 위상을 드높였다. 1995년부터 시작된 세계군인체육대회가 2011년 5회 대회를 성황리에 마쳤고, 바로 2015년 제6회 세계군인체육대회가 경상북도 문경에서 개최됨으로써 우리나라 군인체육의 세계화에 성큼 다가섰다고 단언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CISM이라는 기관의 대회들을 통해 활발한 국제 교류를 함으로써 군인체육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군인들의 스포츠 축제가 지속된다면 군인체육은 더욱 발전할 것이며 한국 군인체육의 세계화에도 한발 다가설 것이다.

      • 장애대학생 운동선수의 대학생활 경험 사례연구

        한소영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life of student-athlete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specific aspects of living university life and athletic activities same time, as well as understanding what university life experiences mean experiences for the individuals involved.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enroll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university for at least 4 semesters and registered athletes with the Korea Paralympic Committee who had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competing in domestic or international competitions. 4 student-athlete participants who voluntarily agreed to take part in the study were chosen. This study applied Stake's intrinsic case study method, grounded in a constructivist epistemological framework.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in-depth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rough categorical sets by linking the contextual meanings between the units of meaning within the case, and this proces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108 meaning units, 44 sub-units, 12 categories, and 5 main themes for research question 1. For research question 2, 44 meaning units, 18 sub-units, 6 categories, and 3 main themes were identified. The main themes for research question 1 were: "interesting and useful major," "growth through unfamiliarity," "feeling a sense of belonging through togetherness," "mentor's understanding and support," and "dual burdens to bear." For research question 2, the main themes were: "changes in peer relationships," "expanded perspectives through embodiment," and "the Paralympics as a process, not a final destination." In conclusion, the university life experiences of student-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meanings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life experiences of student-athletes with disabilities as students involved engaging in both theoretical studies and practical activities, allowing them to learn an "interesting and useful major" as an advanced academic pursuit. Through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department-specific extracurriculars, debates, and team projects, they experienced "growth through unfamiliarity," and by taking part in common activities without exclusion or restrictions, they “felt a sense of belonging through togetherness." It was observed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the experiential evaluation vari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types of disabilities, sport, and gender. Second, the university life experiences of student-athletes with disabilities as athletes were large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mentor's understanding and support," which affected their participation in and continuity of athletic activities. Despite this, the participants were carrying the "dual burdens to bear" on their own. They faced challenges and fatigue in managing their schedules and physical stamina due to the overlapping demands of training, academics, and moving situations from university to training area.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ommonly experienced difficulties arising from hierarchical issues in both their roles as students and athletes. Third, student-athlete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in three major areas during their university life, and each of these changes had interrelated meanings. Depending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university activities, they experienced “changes in peer relationship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ir school-age years, with implications for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social interactions. Through practice-based learning and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cognition, they developed an "expanded perspective through embodiment," which signifies a broader view of the world as they break through limited boundaries. The shift in recognition that "the Paralympics is a process, not a final destination" led them to reflect on life after retirement, considering how to use the specialized knowledge and degrees they acquired in university. This indicates cognitive growth and maturity. In conclusion, the university life experiences of student-athletes with disabilitie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an "opportunity for experiential knowledge acquisition," where they were able to make independent judgments and actions in the autonomous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In this study, student-athletes with disabilities developed intellectual and personal growth through their academic pursuits in university,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enced a sense of belonging through inclusive participation. The process was enhanced when supported by educators and mentors, but the participants had to independently bear the challenges arising from the overlap of their roles as both students and athletes. For student-athletes with disabilities, university life provides an opportunity to break free from the limitations imposed by their athletic roles and experience changes in relationships, a view of the world, and values. It is also a chance to prepare for life after retirement, in a holistic manner.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qualitative case study, given its clear boundaries and the uniqu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only two universities, all of which majored in similar academic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following research includes cases of participation from other typ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various academic fields, beyond just universitie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necessity of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sports council provides scholarship as part of a welfare project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higher education, but quantitative data on athlete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ntered higher education has not been confirmed. Accordingly,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going to higher education to promote quality improvement of welfare programs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to ensure effective support is presented. Third, according to the instability and retirement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discuss a qualitative support plan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late adolescence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In preparing for life as a whole person, this study proposes to expand human services such as the 'mentor-mentee program' that can present indirect experiences and add emotional support. 장애대학생 운동선수의 대학생활 경험 사례연구 한 소 영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 운동선수의 대학생활 경험 이야기를 통해 선수활 동과 대학생활 병행 경험에 대한 구체적 양상을 확인하고, 대학생활 경험 이 당사자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참여자는 ‘4년제 대학에서 4학기 이상 재학 중인 장애대 학생이자, 대한장애인체육회 등록 선수로서 3년 이상 국내ž외 대회 출전 경험이 있는 현역 전문 체육인’을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발적 참여 의 사를 밝힌 장애대학생 운동선수 4명을 선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인식론을 기반으로 한 Stake의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 을 적용하였으며, 문헌조사, 심층면담 및 현장 관찰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 속 의미 단위 간 맥락을 연결하여 주제를 확인하는 범 주적 집합을 통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문제 1에 대 해 의미단위 108개, 세부단위 44개, 하위범주 12개, 함축적 상위주제 5개 가 도출되었다. 연구문제 2에 대하여 의미단위 44개, 세부단위 18개, 하위 범주 6개, 함축적 상위주제 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문제 1에 대한 핵심 주 제어는 ‘재미있고 유용한 전공’, ‘낯설음을 통한 성장’, ‘함께하며 하나 됨’, ‘멘토의 이해와 지원’, ‘이중으로 져야하는 부담들’, 연구문제 2의 핵심 주 제어는 ‘또래관계의 변화’, ‘체화하며 넓어진 시야’, ‘패럴림픽은 종착지가 아닌 과정’으로 도출하였다. 장애대학생 운동선수의 대학생활 경험과 그 의미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 운동선수가 학생으로서 경험한 대학생활은 이론 및 실기·실습에 참여하며 심화 학문으로서 ‘재미있고 유용한 전공’을 학습하 였다. 대학에서의 학과 특별활동, 토론, 팀 프로젝트 등 다양한 활동을 경 험하며 ‘낯설음을 통한 성장’이 나타났으며, 배제나 제한 없이 공통된 활 동에 참여함으로 ‘함께하며 하나 됨’의 소속감을 느끼고 있었다. 연구 참 여자들의 장애유형, 종목, 성별 등 개별적 특성에 따라 참여 정도와 경험 적 평가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장애대학생 운동선수가 선수로서 경험한 대학생활은 ‘멘토의 이해 와 지원’의 정도에 따라 활동 참여 및 지속이 좌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연구 참여자들은 ‘이중으로 져야하는 부담들’을 홀로 지고 있었으며, 훈련, 학업, 이동 상황 등 중첩되는 상황에서 일정과 체력을 관리하는데 어려움과 피로감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 학생 및 선수 각각의 역할 영역에서 상호적 상하 관계 문제로 인한 어려 움을 공통적으로 경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장애대학생 운동선수는 대학생활 경험을 통해 크게 세 가지 영역 에서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각각의 변화들은 상호 유기적인 의미를 지닌 다. 대학에서의 활동 참여 유무 및 정도에 따라 학령기와는 다른 ‘또래관 계 변화’를 경험하였고,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관계의 확장 혹은 축소의 의미가 있다. 배움을 통한 실천 그리고 내·외재적 인정 과정에서 ‘체화하며 넓어진 시야’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제한된 경계를 벗어나 세 계관이 확장된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 ‘패럴림픽은 종착지가 아닌 과 정’에 불과하다는 인식의 변화를 통해 대학에서 배운 전문지식과 학위를 활용한 은퇴 후 삶을 숙고하게 되었으며, 이는 인지적 측면에서의 성장과 성숙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장애대학 생 운동선수들의 대학생활 경험은 대학이라는 자율적 환경 속에서 독립적 판단과 행동을 선택함으로 ‘경험적 지식 체득의 기회’로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의 장애대학생 운동선수는 대학에서의 학업을 통해 지적 소 양을 기르고,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내재적 성장이 나타났으며, 배제 없 는 참여를 통해 집단 내 소속감을 경험하였다. 해당 과정에서 멘토 같은 교육자와 지도자의 지지가 뒷받침될 때 보다 나은 경험이 가능했으나, 대 학생과 운동선수 각각의 역할이 중첩될 때 발생하는 어려움을 홀로 감당 하고 있었다. 장애대학생 운동선수에게 대학생활은 운동선수로서 제한된 상황에서 벗어나 관계, 세계관, 가치관 측면에서 변화를 경험하며 은퇴 후 전인으로서의 삶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 한 결론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경계가 분명하고 참여자의 개별적 특성이 모두 상이하 여 질적 사례연구로서 의의가 있지만, 4년제 대학의 2개 대학에서 유사한 전공 경험이 있는 연구 참여자가 선발되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 외 다른 유형의 고등교육 기관 및 전공 학문 에 대한 참여 경험 사례를 확인하여, 장애인 운동선수의 고등교육 참여 필요성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를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체육계에서는 장애 체육인 대상 복지 사업의 일환으로 고등교육 진학자에 대한 학비 지원을 실시하고 있으나, 현재 고등교육에 진학한 장 애인 운동선수에 관한 양적 자료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장애 체육인 복 지 사업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으로의 전환이 이루어 지도록 장애인 운동선수의 고등교육 진학 현황 조사를 제시한다. 셋째, 장애인 전문체육의 불안정성에 따라 장애인 운동선수의 후기 청 소년기 특성이 고려된 질적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전인으로 서의 삶을 준비하는데 간접 경험을 제시하고 정서적 지지를 더해줄 수 있 는 ‘멘토-멘티 프로그램’과 같은 인적 서비스 확대를 제안한다. 주요어 : 장애대학생 운동선수, 대학생활 경험, 사례연구

      • 휠체어농구 활성화방안 연구

        양동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휠체어농구 활성화방안 연구 양 동 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장애인체육 전공 본 연구는 SWOT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휠체어농구 종목의 활성화 방 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 인체육 및 휠체어농구 분야에 전문성을 보유한 연구참여자 25인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휠체어농구의 내·외부 환경 요인과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휠체어농구 종목의 내·외부 환경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 환경요인 중 강점요인은 ‘가장 대중적인 장애인스포츠 종목’ 과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경기 종목’, ‘사회성 형성을 강조하는 단체종목’,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참여가능한 종목’ 그리고 ‘휠체어농 구리그 운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내부 환경요인 중 약점요인은 ‘신인선수 수급 부족으로 인한 선수 고령화’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선수 육성 과정’, ‘지도자 및 관련 인력 의 전문성 부족’, ‘고가의 장비로 인한 종목 진입장벽’ 그리고 ‘1부 팀 중 심의 지원체계’로 확인되었다. 셋째, 외부 환경요인 중 기회요인은 ‘다양한 형태의 실업팀 창단’과 ‘여 러 매체를 활용한 장애인스포츠 홍보활동’, ‘지역 단위 장애인스포츠클럽 의 증가’, ‘장애인체육 단체의 장비지원 사업 운영’ 그리고 ‘장애인 전용 체육시설의 증가’로 확인되었다. 넷째, 외부 환경요인 중 위협요인은 ‘장애인스포츠 종목 훈련 장소 확보 의 어려움’과 ‘성과주의 만연으로 인한 단체종목 소외현상’, ‘팀 운영과 대 회 개최가 어려운 부족한 지원예산’, ‘경기단체의 부족한 행정력’ 그리고 ‘장애인스포츠 인프라의 지역격차’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내·외부 환경요인은 휠체어농구의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는데 활용하였으며, 활성화 전략은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회를 극대화하는 ‘SO 전략’과 약점을 개선해 기회를 활용하는 ‘WO 전략’, 강점 을 활용하여 위협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ST 전략’ 그리고 약점을 최소화하여 위협을 관리하는 ‘WT 전략’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주요어 : 장애인스포츠, 휠체어농구, SWOT 분석, 환경분석, 활성화방안

      •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이소희 한국체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이 소 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생활체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와 오프라인대학 체육계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사이버대학의 체육계열학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한다. 둘째, 오프라인대학 체육계열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한다. 셋째, 오프라인대학 체육계열학과와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의 교육과정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관련된 참고서적과 선행연구물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 된 자료를 각 대학별 교육과정 내용 중 과목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추출하여,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는 전공과목을 강조한 교과목을 편성하며 실기과목을 전공에 배치하여 원격교육에서 부족한 실기 부분을 채우고 있으며, 실기시간은 과목수업 시간의 20%이내에서 이루어진다. 체육학분야에서 소외 될 수 있는 장애인, 학령 적령기를 넘긴 사람, 재교육을 원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오프라인대학 체육계열학과는 각 대학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과목을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 이수 학점을 줄여 필수과목이수에 대한 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교과 선택의 폭을 넓혔다. 전공과목에 선택 또는 기초 과목으로 개설하여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셋째, 교육과정 편성에서 전공필수 과목 이수 학점이 오프라인대학 체육계열학과에 비해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가 많으며,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의 실기 수업 율이 오프라인대학 체육계열학과에 비해 낮은 것은 원격대학운영지침에 따른 실기과목의 수업 중 실기비율이 20%이하여야 하는 제한적인 규정 때문이다.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는 현재 다른 분야와의 연계와 산학협력이 부족하다. 원격교육의 특성을 살려 관련 분야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다양한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는 기존의 교육방식에 온라인을 더한 교육방법을 보이고 있다. 체육학 분야의 교육이 여러 매체를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과목을 개발하여 체육학의 사이버대학의 특성에 맞는 기존 체육과정과는 차별화 된 교육과정을 구축해야한다. 체육학 분야의 필수적인 항목인 실기수업 시간이 적은 사이버대학 체육계열학과는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체육 지도자 양성의 원격체육교육과정 운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페미니즘의 역사적 맥락에서 본 한국 여성 스포츠

        최영금 한국체육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한국 여성 스포츠가 페미니즘 이론과 시대적인 특징에 따라 역사적으로 변해온 과정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근대 이후 한국 체육사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여성체육이 어떻게 한국 체육을 이끄는 선두적인 위치에 서게 되었는가를 페미니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채택하여 근대 초기부터 여성 체육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페미니즘 이론서와 푸코의 저서를 참고하고 여성 체육 현상을 해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여성들이 스포츠에 참가하기 시작한 시대는 여성 신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이 퍼져나갔다. 근대 초기부터 1960년대는 학교체육과 신여성들의 주도로 체조, 육상, 구기 종목에서 부분적으로 여성들의 참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언론사 주최의 경기대회가 개최되고 여성체육 담론이 확산되었고 페미니즘 1물결의 계몽주의 사상과 자유주의 이념이 스포츠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1960년 이후 여성 스포츠는 전국체전을 기반으로 한 여성 체육의 성장을 바탕으로 실업팀이 창단되었고 농구, 탁구, 구기 종목이 세계무대에서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여성 스포츠는 남성보다, 다른 사회분야보다 더 주목받으며 대중적 관심을 받았으며 페미니즘 2물결과 함께 여성 스포츠인들은 국위선양을 바탕으로 페미니즘을 상징적으로 실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1990년 이후 여성 스포츠는 페미니즘 3물결의 영향을 받으며 다변화 되었다. 여성들은 올림픽에서 계속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투기 종목이 여성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며 여성의 스포츠 참가 영역이 확장되었다. 그러나 여성 체육이 세계 정상에 오르는 성과를 보이는 반면 여전히 여성 지도자는 양적으로 수가 적었으며 상위 권력기관에서 참여도는 낮았다. 한편 푸코의 이론으로 재해석한 결과 한국에서 여성 스포츠 구조는 여성의 역할이나 억압이 일반 페미니즘으로 이해되기보다는 다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 체육의 권력은 남성이나 여성의 일방적인 소유나 행사하는 권력이 아닌 다양한 관계망 속에서 이루어지며 역담론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스포츠는 더 이상 남성의 영역이 아니다. 이제 여성 스포츠는 남성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스포츠 자체에 대한 도전을 시작해야 한다. 여성성을 확대하면서도 스포츠의 본질인 경쟁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다른 형태의 미의 도전 방법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앞으로 여성 스포츠는 권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가부장적 구조 아래에서 해방을 요구하는 것을 넘어서서 전복적이고 개방적인 구조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 한국과 중국 우슈 지도자의 코칭전문성이 선수의 지도자 신뢰 및 자기실현에 미치는 영향

        가오링 한국체육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우슈 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전문성이 선수의 지도자 신뢰 및 자기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지도자의 코칭전문성과 선수 자기실현 간의 관계에서 선수의 지도자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우슈 체육관과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 및 실업팀에 소속되어 있는 현역 선수를 선정하였다. 총 279명(한국 132명, 중국 147명)의 우슈 선수가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23.0 통계 프로그램과 AMOS WIN Ver.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목적과 가설에 따라 기술통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우슈 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전문성이 선수의 지도자에 대한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에, 한국 우슈 지도자의 코칭전문성이 선수의 지도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서 설명력은 73.4%로 나타났다. 중국 우슈 지도자의 코칭전문성이 선수의 지도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서 설명력은 81.9%로 나타났다. 둘째, 한·중 우슈 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전문성이 선수의 자기실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중 우슈 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자기실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우슈 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자기실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설명력은 44.4%로 나타났으며 중국 우슈 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자기실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설명력은 71.5%로 나타났다. 넷째, 한·중 우슈 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전문성과 선수 자기실현 간의 관계에서 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즉, 한·중 우슈 지도자의 코칭전문성이 선수의 자기실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선수의 지도자 신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과 중국의 우슈 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전문성은 선수의 자기실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보다는 선수의 지도자 신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슈 선수의 전반적 발전을 위하여 우슈 지도자로서 선수와 지도자 사이의 신뢰관계를 중요시해야 하고 향후 선수의 지도자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선수의 자기실현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ach’s expertise perceived by Wushu athletes on athlete’s trust for coach and athletic self-realization. It was also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for coa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s expertise and athletic self-re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thletes in Wushu gymnasium and university in Korea and China and athletes in the business team were selected. A total of 279 Wushu athletes (132 Koreans and 147 Chine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Ver. 23.0 statistics program and the AMOS WIN Ver. 23.0 statistic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ere conducted. 1st, coach’s expertise perceived by Korean and Chinese Wushu athlet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 towards the coach. Among them, the explanatory power in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ushu coach’s expertise on the athletes’s trust in coach was 73.4%.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hinese Wushu coach’s expertise on the athlets' trust for coach was 81.9%. 2nd, Korean and Chinese Wushu athletes' trust for coa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ic self-realization. In other words, the explanatory power in the influence of Korean Wushu athletes’ trust for coach on self-realization was 44.4%. The explanatory power in the influence of Chinese Wushu athletes’ trust for coach on athletic self-realization was 71.5%. 3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coach expertise by Korean and Chinese Wushu athletes had no direct effect on their self-realization. 4th, the trust for coac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ise perceived by the athletes and athletic self-realization by Korea-China Wushu played a full mediated role. In other words, the Wushu coach’s expertise did not directly affect the player's self-realization but it could be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player's coach trust. In conclusion, the coach’s expertise perceived by Korean and Chinese Wushu athletes can be influenced indirectly through the trust for coach,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the athletic self-realization. Therefore, for the overall development of Wushu athle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hletes and the coach should be valued,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athletes’ trust for coach, so that they will promote athletic self-re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