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sign and Fabrication of Nanoscale Metal Interconnections for Transparent Deformable Electronic Devices

        김동욱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As transparent displays and touch screens begin to be introduced to the public, the technology for transparent deformable electronic devices is attracting enormous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electronic technology. Deformable optoelectronic devices, such as displays, solar cells, touch screens, and smart windows that maintain their functions under mechanical deform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approaches to transparent deformable electrodes have been studied intensively. Despite these interests, transparent deformable nano- and micro-scale integrated interconnections that are easy to be patterned and positioned are receiving somewhat less attention. Since the most successful and feasible concept leading to deformable devices is linking rigid islands of active device components (transistor, light-emitting devices, photovoltaics, etc.) with deformable interconnections, developing transparent interconnections that can retain good electrical performance under high mechanical strain is highly required. In this work, I designed and fabricated three different types of transparent deformable nanoscale metal interconnections; (i) One-dimensional (1D) metal nanolines which were deposited on the flexible substrates by simple and reliable nanofiber (NF) photolithography, (ii) 1D wavy stretchable single metal NF which were individually positioned by the electrohydrodynamic (EHD) printing and metallized through room-temperature electroless plating, and (iii) Two-dimensional (2D) foldable and stretchable gold (Au) film hybrid electrodes which were composed of the anisotropic conductive ultrathin films (ACUFs) and the ultrathin Au film electrodes. These fabricated metal interconnections were not only electrically deformable but also optically transparent due to their nanoscale dimensions, and were able to be individually positioned and patterned in desired positions, shapes, and alignments. Also, all three deformable interconnections are fabricated by low-temperature processes and can easily expanded to large-scale production. The fabricated nanoscale metal interconnections were used as the interconnecting electrodes in the transparent and deformable field-effect transistors (FETs) array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s of the deformable light-emitting devices.

      • Collision-Aware Neighbor Discovery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박홍대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sensor nodes need to discover their neighbor nodes to construct network topology before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ough there are many previous works for a neighbor discovery protocol, they do not consider a collision problem that may occur during the neighbor discover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icroslot model to describe transmit/receive operation when a sensor node is in active. On the basis of this microslot model, we propose a collision-aware neighbor discovery protocol which avoids collisions during the neighbor discovery process. We provide a probabilistic analysis of our protocol.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to effectively reduce collision probability during neighbor discovery.

      •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CE-SSCP Analysis System Using PEO-PPO-PEO Triblock Copolymer : PEO-PPO-PEO 삼중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고해상능 CE-SSCP 분석 시스템의 개발

        황희성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학위논문은 poly(ethyleneoxide)-poly(propyleneoxide)-poly(ethyleneoxide) (이하 PEO-PPO-PEO) 삼중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분석이 가능한 모세관 전기영동 기반의 단일쇄 형태변환 다형성 (capillary electrophoresis-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이하 CE-SSCP)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에 대한 것이다. CE-SSCP는 DNA를 길이에 따라 분리하는 일반적인 전기영동기술과는 달리 단일쇄 DNA가 그 서열에 따라 형성하는 3차원적 구조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기술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서로 다른 DNA 단편의 경우에도 그 분리가 간편하게 수행 가능한 장점이 있다. CE-SSCP는 변이 분석 등 다양한 유전자 분석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기존의 CE-SSCP 분석 시스템이 갖는 낮은 분리 해상도로 인해 실제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CE 기반 분석 기술에서 분리 해상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DNA단편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polymer matrix로, 이상적인 polymer matrix는 작은 크기의 미세공과 electroosmotic flow (이하 EOF) 감소를 위한 동적 코팅 능력이 요구된다. PEO-PPO-PEO는 미셀로 구성된 입방구조를 통해 극소 미세공의 형성이 손쉽게 가능하며, PEO와 모세관 내벽의 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EOF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polymer matrix 후보이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에서는 PEO-PPO-PEO의 최적화를 통해 고해상도 CE-SSCP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PEO-PPO-PEO는 1) 다양한 분자량과 ethyleneoxide 비율을 가지며 2) 수용액상에서 미셀로 구성된 입방구조를 형성하고 3) 온도 변화를 통해 쉽게 점도가 조절 가능한 등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CE-SSCP 수행에 적합한 polymer matrix로 개발하기 위해 위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다각도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먼저 CE-SSCP 분석의 고해상도 달성을 위한 PEO-PPO-PEO의 분자량 및 ethyleneoxide 비율의 최적화가 수행되었다. 서열 유사성이 높아 기존 polymer matrix에서 분리가 어려웠던 병원균 16S rRNA 유전자 마커를 대상으로 수행된 최적화를 통해 10종 이상의 DNA 단편을 높은 해상도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높은 분자량과 ethyleneoxide 비율을 갖는 PEO-PPO-PEO 삼중블록공중합체가 고해상도 CE-SSCP 분석에 높은 유효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PEO-PPO-PEO가 갖는 내부 구조에 기반을 둔 고해상도 CE-SSCP 분석에 대한 최적화가 수행되었다. PEO-PPO-PEO는 수용액상에서 미셀로 구성된 균질한 입방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며, PEO 말단의 수산기가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해당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PEO-PPO-PEO의 혼합을 통한 내부구조의 균질성 저해와 수산기의 할로겐화를 통한 안정성 약화를 통해 이의 해상도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PEO-PPO-PEO의 균질성 유지 및 수소결합을 통한 안정성 향상이 고해상도 CE-SSCP 분석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PEO-PPO-PEO의 유동학적 특성에 기반을 둔 고해상도 CE-SSCP 분석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PEO-PPO-PEO수용액은 특정 온도 구간에서 점탄성이 극적으로 변화하여, 낮은 온도에서는 뉴턴유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반면 높은 온도에서는 겔화하게 된다. 이전 연구에서 최적화된 PEO-PPO-PEO polymer matrix의 경우 실내 온도와 분석 온도 사이에서 급격한 점탄성 변화가 관찰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온도 조절이 불가능한 모세관 양 말단부에 대한 실내 온도의 CE-SSCP 해상도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고해상도 CE-SSCP 분석을 위한 최적 외부 온도조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PEO-PPO-PEO 기반의 CE-SSCP 분석 시스템은 기존의 CE-SSCP에 비해 매우 높은 해상도를 획득 가능하였으며, 이렇게 구축된 고해상도 DNA 분석 시스템을 통해 변이 분석, 발현 분석을 비롯한 다양한 유전자 분석 기술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해상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파악되어, 앞으로의 분리 해상도 향상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thesis is about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capillary electrophoresis-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CE-SSCP) analysis system, by using poly(ethyleneoxide)-poly(propyleneoxide)-poly(ethyleneoxide) (PEO-PPO-PEO) triblock copolymer. Unlike conventional CE which separate the target DNA by the mobility difference from molecular weight, CE-SSCP is a DNA separation method based on folding structure diversity of single strand DNA (ssDNA) fragments. By this feature, CE-SSCP analysis can separate DNA fragments with identical length by simple heat denaturing and snap cooling if they have different sequences. CE-SSCP analysis has been applied for genetic variation detection. However, low resolution of conventional CE-SSCP system limited its wider application.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resolution in the CE based analysis system is polymer matrix, which interact with the DNA fragment directly. For the high resolution, ideal polymer matrix should have small pore size for sieving DNA and dynamic coating ability for reducing electroosmotic flow (EOF). PEO-PPO-PEO is an ideal candidate, by which not only small pore size but also dynamic coating ability can be obtained because it forms micellar cubic structure and strongly interacts with silica capillary inner surface. By these features, high resolution CE-SSCP analysis system was constructed by intensive optimization of PEO-PPO-PEO polymer matrix. PEO-PPO-PEO has special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i) various molecular weights and ethyleneoxide ratio, ii) micellar cubic structure formed in aqueous solution, and iii) viscosity-adjustable property by temperature adjustment. In this dissertation, optimizations based on above properties of polymer matrix for high resolution CE-SSCP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 optimization based on the PEO-PPO-PEO molecular weight and ethyleneoxide ratio for high resolution of CE-SSCP was performed. By the pathogen 16S rRNA DNA fragment which was not separable in the conventional polymer matrix because of high sequence similarity, high resolution separation condition that can analyze multiple target DNAs were optimized. With this research, high molecular weight and ethyleneoxide ratio of PEO-PPO-PEO showed major effect for the high resolution separation. Next, the effect of internal structure of PEO-PPO-PEO polymer matrix on the separation resolution was investigated. PEO-PPO-PEO forms homogeneous micellar cubic structure in aqueous solution, and has stable internal structure because of hydrogen bonding by hydroxyl end group of PEO. In this study, homogeneity was hindered by the blending of two different PEO-PPO-PEO polymers, and the stability was perturbed by the removal of hydrogen bonding from halogenation of hydroxyl end group. By these approaches, effect of micelle homogeneity and structural stability on separation resolution was revealed. Maintaining the homogeneity and stability was important for the high resolution CE-SSCP analysis. Lastly, the effect of rheological profile of PEO-PPO-PEO polymer matrix on the resolution was investigated. Because the viscoelasticity of PEO-PPO-PEO solution is dramatically changed in the certain temperature range, PEO-PPO-PEO solution shows similar behavior with Newtonian fluid in low temperature while gelated in the high temperature. In the case of PEO-PPO-PEO polymer matrix which had been optimized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dramatic change is occurr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and analysis temperature. Because the temperatures at inlet and outlet ends of capillary are not controllable by the oven, ambient temperature generates temperature gradient in both the ends. In this study, effect of the temperature gradient on resolution of CE-SSCP was investigated for both conventional polymer and PEO-PPO-PEO polymer matrix, and optimal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 was suggested. CE-SSCP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PEO-PPO-PEO polymer matrix developed in this dissertation could provide superior separation resolution compared to the CE-SSCP system using conventional polymer matrix. Moreover, by this DNA analysis system, various genetic analyses such as genetic variation analysis and expression analysis c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by the parameter studies for superior separation resolution, understanding on DNA separation based on single-strand conformations was greatly enhanced.

      • Long-working(0.3m) distance microscope

        조재영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포항공대 아토초 과학 연구실 내 아토초 광 시설의 경우 반경이 25 수준의 진공 챔버 안에 수십 수준의 TMDC 샘플을 활용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진공 밖에서 30~40 수준의 TMDC 샘플에 대한 레이저의 집속위치를 관측하기 위해서 긴 Working distance의 고배율 현미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Long-working(0.3m) distanace microscope을 제작을 하여 진공 챔버 안의 TMDC샘플을 측정해야 한다. Microscope를 위의 상황을 고려하며, 간단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몇 가지 조건과 제약을 두었다. (1)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 532 의 단일 파장에서 작동 (2) 10배 이상의 배율을 구현 (3) 실제 제작을 위해 첫번째 렌즈로부터 detector까지의 거리를 40 이하 제약 (4) 간단한 제작을 위해 최대한의 상용렌즈 사용 (5) 시뮬레이션을 통해 단색수차의 최소화 위의 조건과 제약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실험 결과 최대 25배의 배율과 8μm 분해능의 이미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The need for a high magnification microscope with a long-working distance has emerged in order to observe the laser focus position for TMDC sample with a 30~40 μm. To solve this problem, a long-working (0.3m) distance microscope should be manufactured to measure TMDC samples in a vacuum chamber. Some conditions and restrictions were placed for simple implementation. (1) Operates at a single wavelength of 532 to reduce chromatic aberration (2) Realize a magnification of 10 times or more (3) Limi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to the detector to 40 or less for actual production (4) Use of commercial lenses as much as possible for simple production (5) Minimization of monochromatic aberration through simulation Simula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he above conditions and constrain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based on the simulation, it succeeded in obtaining an image with a magnification of up to 25 times and a resolution of 8 μm.

      • Design and Beam Test of Prototype Beam Position Monitors for PAL-XFEL : PAL-XFEL용 전자 빔 위치 측정장치 시제품의 디자인과 빔 테스트

        이소정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31

        0.1 ∼ 0.06 nm영역의 결맞는 엑스선를 방사광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포항가속기연구소의 4세대 방사광 가속기는 2011년 건설을 시작하였다. 4세대 방사광 가속기는10 GeV의 선형 가속기와 언듈레이터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엑스선 방사광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가속기 전 구간에 걸쳐 정밀한전자 빔 위치의 측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4세대 방사광 가속기는 각각의 구간에서 요구되는 분해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전자 빔 위치 측정장치를 제작, 설치할 예정이다. 선형가속기 구간에서는 스트립라인 전자 빔 위치 측정장치를, 언듈레이터 구간에서는 공동형 전자빔 위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빔의 궤적을 측정할 예정이다. 두 전자빔 위치 측정장치는 본제품을 만들기 전, 시제품을 제작하여 되어 성능 측정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시제품 설계부터 전자 빔 테스트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시제품의 설계는 전자기장 전산 모사 프로그램인 CST STUDIO SUITE를 사용하여, 각각의 전자 빔 측정장치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스트립라인 전자 빔 위치 측정 장치의 경우, 요구되는 분해능은 < 5 μm인 반면, 언듈레이터 구간에 설치될 공동형 전자 빔 위치 측정장치의 경우 μm 미만의 분해능이 요구된다. 공동형 전자 빔 위치측정장치는 설치공간의 협소함을 고려하여 동작 주파수가 X-band가 되도록 설계되었다. 각각의 시제품은 전산 모사 프로그램의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을 진행하였으며, 전자 빔 측정장치의 RF 특성을 측정하였다. 스트립라인 전자 빔 위치 측정 장치는 포항가속기연구소의 입사기 시험시설의 빔 라인에 설치되었으며, 전자 빔을 이용한 분해능 측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분해능 측정 시험에서는 두 가지의 전자 빔 위치 측정 신호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신호 처리 장치의 성능에 따른 전자 빔 위치 장치 시스템의 분해능 변화를 측정 하였다. 공동형 전자 빔 위치 측정 장치 또한 입사기 실험시설에 설치되어 전자 빔 위치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미국 LCLS의 언듈레이터 구간에 설치되어 시제품의 신호 처리 장치와 함께 분해능을 측정하였다. 전자 빔을 이용한 두 시제품 분해능 측정 결과, 스트립라인 전자빔 위치 측정장치는 ∼ 2 μm, 공동형 전자빔 위치 측정장치는 ∼ 0.8 μm로 측정이 되었다. 이 측정 결과를 통해, 두 전자 빔 위치 측정 장치의 시제품 모두 PAL-XFEL의 요구조건을 충족, 사용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PAL-XFEL is hard X-ray FEL facility at Pohang Accelerator Laboratory (PAL). By using the self-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SASE) schematic, PAL-XFEL will provide X-rays in ranges of 0.1 to 0.06 nm. PAL-XFEL consists of 10 GeV linac and an undulator section. To maintain SASE process along the undulator section, the electron beam position monitoring with high resolution is required for both linac and undulator section. PAL-XFEL will use two different types of beam position monitors (BPMs), stripline and cavity BPMs, to monitor beam trajectories. Before fabricating PAL-XFEL BPMs, prototype BPMs have been designed and tested. In this thesis, results of prototypes of PAL-XFEL BPMs are introduced from design to beam test. Prototypes of PAL-XFEL BPMs are designed to meet physical requirements of the linac and the undulator section by using CST STUDIO SUITE, EM field simulation program. The stripline BPM is designed to meet < 5 μm resolution. The cavity BPM is designed as X-band cavity to meet sub micro-meter resolution due to tight space. These prototype BPMs are fabricated and tested to measured RF characteristics. The prototype stripline BPMs are installed at Injector Test Facility (ITF) of PAL and the resolution is measured with two different electronics. The prototype cavity BPM is installed at ITF to measure the response of changing beam positions. Also, the resolution of prototype cavity BPM system was measured at LCLS undulator beam line in SLAC, USA. These BPMs will be used for PAL-XFEL.

      • 단백질 다중 패널을 이용한 췌장암 진단 성능의 향상

        최용환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31

        높은 사망률과 무증상 성질로 인해 췌장선암(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의 조기 발견율은 매우 낮다. 대부분의 췌장선암 환자는 초기 진단 후 1 년 이내에 사망하고, 5년 생존율은 약 7 % 수준이다. 환자의 대부분이(약 80%) 초기 단계에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예후가 좋지 않으며, 사실상 유일한 치료법은 외과적 수술을 통한 절제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췌장선암 바이오마커인 CA19-9의 성능을 보완하여, 수술 가능한 환자군(췌장선암 1/2기)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패널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이에, 우리는 국내 5개 대형 병원(국립 암센터, 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아산병원, 연세 세브란스 병원) 및 1개의 건강검진 센터(서울대학교병원 강남 건강검진 센터)에서 모은 1,000여개의 플라즈마 샘플을 수집하여 췌장선암 조기 진단용 바이오마커의 발굴 / 확인 / 검증 과정을 거쳤다. 우선, 문헌 파악 및 데이터베이스 검토를 통한 생물정보학적 방법(질병 네트워크 구축/분석, 가중치 부여, 우선순위 설정 등)을 이용하여 약 500개의 바이오마커 후보를, 세포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을 통해 약 500여개의 바이오마커 후보를 선정하여, 1,000여개의 바이오마커 후보군을 수립하였다. 이후 이 후보군에 대해 다중 반응 모니터링 질량 분석법(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ass Spectrometry)을 이용하여, 실제 혈액에서의 검출 가능성 / 기기에서의 검출 안정성 / 병원에 따른 검출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18개의 바이오마커 마커 패널에 포함될 후보 단백질군을 선별하였다. 이 단백질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마커 패널의 진단 성능은, 클러스터 서버를 이용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법 중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이용하여 계산되었으며, 패널의 진단 성능과 실제 진단 제품으로 제작했을 경우의 경제성을 모두 고려할 때 3개 단백질로 이루어진 3-단백질 마커 패널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중 반응 모니터링 질량 분석법을 통한 각 혈중 단백질 계측 값으로 3-단백질 마커 패널의 진단 성능을 분석해 본 바, 다양한 3-단백질 마커 패널을 구축할 수 있었는데, 이 중 상용 항체로 구성이 가능한 CA19-9, LRG1, TTR로 이루어진 3-단백질 마커 패널의 경우, 기존의 췌장선암 진단 마커인 CA19-9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진단 정확성(AUROC)과 진단 특이도가 90%일 때의 진단 민감도가 모두 10% 이상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단 정확성은 DeLong의 방법을, 진단 민감도는 McNemar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 모두 p-value < 0.05 수준) 이 성능은 다중 반응 모니터링 질량 분석법을 통한 혈중 단백질 계측만이 아닌, Roche社의 대형 진단 기기를 이용한 경우 계측 값을 사용했을 때와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한 계측 값을 사용했을 때에도 진단의 성능은 재현되었으며, 그 통계적 유 의미성 또한 유지되었다. 또한, 해당 패널은 정상군과 췌장선암군의 구별 외에, 정상군과 조기 췌장선암군(1/2기), 다른 암종군(유방암, 대장암, 갑상선암)과 췌장선암군, 췌장 양성질환군과 췌장선암군, 기존의 췌장선암 바이오마커인 CA19-9가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상황(CA19-9 < 37 U/ml)에서의 췌장선암 진단 성능 모두에서 기존의 췌장선암 바이오마커인 CA19-9 대비 유의미하게 향상된 진단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우리가 대규모 혈액 샘플에서 발굴하고 검증한 다중 단백질 마커 패널은 췌장선암의 조기 발견에 임상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arly detection rate of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 is very low due to its high mortality and asymptomatic nature. Most PDAC patients die within 1 year after initial diagnosis, and only 7% survives over 5 years. Most of PDAC patients (about 80%) have almost no symptoms at the early stages and this leads to poor prognoses. The only actual treatment is surgical res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iomarker panel which can detect early stages of PDAC by complementing the existing PDAC biomarker, CA19-9. We had collected over 1000 plasma samples from 5 big hospitals in Korea (National Cancer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amsung Medical Center, Asan Medical Center, Yonsei Severance Hospital) and 1 health examination center (Seoul University Hospital Healthcare System Gangnam Center) to discover / verify / validate biomarkers for early diagnosis of PDAC First, we established 1000 biomarker candidates. About 500 biomarker candidates were screened by bioinformatic methods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disease networks, weighting, priority setting, etc.)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atabase searching and about 500 more marker candidates were selected by cell microarray experiments. Using the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ass spectrometry (MRM-MS), we filtered the biomarker candidate proteins to have potential diagnostic power and stability in detection.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marker panel made by combining these proteins was calculated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 on cluster servers. Considering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panel, we concluded that triple marker panel is the most appropriate. Analyzing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triple marker panel by measuring the amount of each protein in blood using MRM-MS, we constructed various triple marker panels. In the case of the triple marker panel consisting of CA19-9, LRG1 and TTR, which can be composed of commercial antibodies, the diagnostic accuracy and diagnostic sensitivity (when specificity = 90%) were both increased by more than 10% of those of CA19-9 (DeLong's method for diagnosis accuracy and McNemar's method for diagnostic sensitivity, p-value < 0.05). This performance was confirmed not only by MRM-MS but also by Roche's machine and by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is confirms that the triple-marker panel we have identified and verified in large-scale sample set has clinical applicability in the early detection of PDA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