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에서의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지원방식에 대한 연구 : 국내대학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김다희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청년실업률이 이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문제로 인식하고 심각성을 느낀 바이며, 정부에서는 최근 5년간 청년실업의 해결책으로 10조원 이상을 투입하였지만 2018년 4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청년실업률은 9.9%로 역대 최고 수치를 보였다. 또한 높은 청년실업률에 비해서 사회는 낮은 고용률로 일자리부족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년취업률 저조에 있어 많은 복합적인 문제 중 각 대학에서의 취업관련 지원방식이 사회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을 말하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을 잘 살려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와 더불어 취업률이 가장 낮은 예술계열학과 중 한때 붐이었던 국내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 때 K-POP과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용음악전공 희망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국내 대학의 실용음악학과 개설도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용음악이 발달 된 것도 언 30년이 되어가는 지금 정작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휴학률이나 졸업 후 미취업자는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음악이나 예술산업현장에서는 전공자의 인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각 대학의 실용음악전공 교육이 이제는 음악 산업현장과 더 나아가 문화 산업까지 필요한 교육이 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각 학교 별 취·창업지원 운영방식과 학생들의 요구에 근거하여 대학과 각 학과의 역할, 그리고 대학 내의 취·창업지원센터의 운영방식과 필요성에 대한 방향 설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첫 째, 실용음악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교육체계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대학의 학교 별 취·창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사례 현황을 분석하였다. 실용음악의 선행연구에서는 근 10년 동안‘실용음악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있었고, 더불어 실용음악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조사도 함께 연구되어 있었다. 그에 따른 교육문제로는 교수는 교수의 전공불일치 또는 재즈에 편중된 교수가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 채용에 대한 문제도 제기 되어있었다. 교수의 전공 불일치로 인하여 학생들은 불만과 자신의 전공에 대해 혼란이 오는 경우도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채용에 있어서는 학과의 불명확한 음악적 특성을 가지게 되고,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었다. 그 외에도 학생의 실력차나 졸업에 대한 준비 부족, 학교의 교육시설이나 교육내용, 교재 등 여러 가지의 교육체계에 대해서 문제제기가 되어 왔었다. 한 때 대학에서는 실용음악전공을 개설하는 수가 양적으로 팽창되었으나 이제는 그 거품이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 실용음악에 대한 유행이 지나가면서 그 피해는 졸업생들한테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현재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나 취업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각 학교 별 제시하고 있는 학생들의 졸업 후 전망과 학생들이 재학 중 희망하고 있는 직종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졸업 후 전공생들의 취업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둘 째, 우리나라와 외국 대학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사 대상 대학은 실용음악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예술대학과 종합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예술대학으로는 서울예술대학교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의 일곱 개 대학이다. 국내 종합대학은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단국대학의 여섯 개의 대학으로 국내는 총 13개의 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를 제외한 총 13개의 대학교는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대학들이다. 외국대학은 미국 대학의 버클리 음악대학, 영국 대학의 리즈대학교 음악대학, 일본 대학의 도쿄음악전문학교로 이들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 째, 취·창업지원의 실제 수요자인 실용음악전공 학생들과 관련이 있는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우선 학교는 비수도권에서 취업률 1위인 백석대학교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교수진’과 학교 내에 설치되어 있는‘취·창업지원 센터’와 학교에서 실제로 교육을 받아보고 지원을 받았던 5년 이내의‘졸업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취·창업 지원방식과 관련 관계자들의 실제의 요구가 부합하는지 분석하였다. 이상 과정을 통해 대학에서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방식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은 결과로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진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적 특성에 맞는 취업·진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외 인턴십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별 특수성에 따른 통합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취·창업지원 프로그램들이 각 학과별 지원에 있어 도움이 되고 대학에서의 여러 가지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이루어짐으로 앞으로의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직업의식을 심어주며, 이제는 불확실한 미래가 아닌 자신의 전공에 대한 자신감과 음악 산업현장에 나아갔을 때는 전문인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문화 산업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귀한 인재양성이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was based on the situation of Korea that youth unemployment have been increased and the entire society has to consider this issue as a social problem. Despite of 10 trillion won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for the last 5 years, the youth unemployment rate of 2017 were raised to 9.9%,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search on 4th January 2018. Recently, furthermore, the society of South Korea has been suffered by low accession rate and it has been caused jobs crunches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reports that working support system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mong different factors, takes a significant role in the effort of the entire society to solve the issue. In order to explain the topic,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the universities and checks the system works efficiently in the basis of the student’s major. Especially, this article’s research focuses on the working support system for students that who majors in practical music as art-related majors show very low accession rate.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opened practical music major curriculum because of popularity of K-pop audition programs for a while. However, even though practical music field has been developed for 30 years in South Korea, many students that specialized in practical music leave of absence or fail to have a job after graduation. It means the lack of actual specialized human resource in practical music and art-cultural field. Because of these reasons, in order that education of practical music is able to be a necessary part of musical field and even cultural field,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actual role of a university and department and actual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 center’s management and requirements in the basis of demand of a student and management of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system. First of al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accession rates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from existing researches.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educational system of practical music’ for the recent decade, including insight of a demand of a student for practical educational system. The researches point the tendency that a professor’s major is not matched with his/her curriculum or a professor majored in jazz music usually lead practical music curriculum. They also point the issues caused from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Because of discordance of a professor’s major, the students report that they are confused to figure out their actual speciality, and they also claim that the curriculum’s musical speciality also has been unclear and the program is not able to use various human resources, because of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Additionally,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claimed different issues including lack of preparedness for capacity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heir graduation, and low quality of facilities,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opened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but now the trend was passed and the students take the burden. In order to research the issue in detail, this article researches the ideas about employment and job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checks the reports on the universities regarding prospect of employment. The researcher also surveyed the types of jobs which the students want to have after graduation and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of employment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Secondly, the researcher compares working support systems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ith overseas countries’ one. For the research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on 7 colleges and 6 universities. The colleges includes Seoul Institute of the Arts,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 Paekche Art College, Busan Arts College, Yewon Arts University, Daegu Arts University, and Baekseok Arts Univeristy. The universities include Hanyang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Except Ehwa Women’s University, all of these researched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For the research of overseas college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U.C. Berklee College of Music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versity of Leeds in United kingdom, and Tokyo College of Music in Japan. Third, the researcher ha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staffs who are in charge of working support program including the professors and the staffs of working support department of Baekseok University, and alumnae graduated in last 5 years from the university as the university’s employment rate is most highest among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in non-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Follow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 fou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surve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working support program’s support system for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First,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best environment for employment. Second,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consider the special factors of the field of art. Third, a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be able to establish different network channels. Fourth, internship program has to be encouraged. Fifth, integrated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ba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earch helps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program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nd establish organic network to give different and wide professionalism to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The researcher also hopes that the universities can encourage each student to have confidence and educate them as a professional musician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in cultural field of South Korea.

      •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가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문화예술교육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승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가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문화예술교육 학습동기가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과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종속변수인 주관적 안녕감(인지적 정서, 정서적 요소, 심리적 번영감)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문화예술활동 행태(경험여부, 유형, 빈도), 문화예술교육 행태(경험여부, 빈도, 횟수),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내적동기, 외적동기, 무동기)로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는 문화예술교육 학습동기(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항형)로 구성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해 실증연구의 대상으로는 특정 집단이 아닌 문화예술 활동,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주체적 결정과 판단을 할 수 있는 일반 성인으로 한정하고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비와 나이 비율에 근거한 비례할당(proportional allocation)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설문지는 예비조사를 거쳐 보완·수정하여 본 조사를 위한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확정된 최종설문지는 조사시행에 앞서 온라인 설문 사이트를 개설하였으며, 응답 대상자들은 SMS 및 E-mail을 통하여 온라인 설문 사이트의 주소를 받아 PC 또는 휴대전화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 응답은 자기기입식평가방식(Self-administration)을 통해 시행되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00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s)과 상관관계를 검정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분산 분석(One way ANOVA)과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시행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multiple analysis)과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활동 행태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한 결과, 문화예술활동 경험자가 비경험자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번영감, 정서적 요소, 인지적 정서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예술활동 유형은 문화예술참여 활동이 문화예술관람 활동보다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정서, 심리적 번영감, 정서적 요소 순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활동 빈도는 헤비관객이 라이트관객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번영감, 인지적 정서 순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행태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한 결과, 문화예술교육 경험자가 비경험자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번영감, 정서적 요소, 인지적 정서 순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헤비참여자가 라이트참여자보다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번영감에서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 횟수에 따라서는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정서, 정서적 요소, 심리적 번영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인 Duncan test를 시행한 결과 인지적 정서, 심리적 번영감은 월 2~3회가 가장 높으며, 정서적 요소는 주 1회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활동 행태에 따라 참여 동기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한 결과, 문화예술참여 활동이 내적동기, 외적동기가 더 높았으며, 문화예술관람 활동은 무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예술활동 빈도는 헤비관객에서 내적동기, 외적동기가 더 높았으며, 라이트관객은 무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행태에 따라 참여 동기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한 결과, 문화예술교육 헤비참여자가 내적동기가 더 높았으며, 라이트참여자는 무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횟수에 따라서는 내적동기, 외적동기, 무동기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인 Duncan test를 시행한 결과 내적동기, 외적동기는 주 1회가 가장 높았으며, 무동기는 월 2~3회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적동기, 외적동기는 인지적 정서, 정서적 요소, 심리적 번영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는 정서적 요소, 심리적 번영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는 학습동기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적동기, 외적동기는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otivation to engage in cultural arts activities on the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dividuals in an empirical manner and to examine the effects and the mediation effects with respects to engage in cultural arts activitie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individuals. For this, culture and art activities (presence of experience, type, frequency), culture and art educations (presence of experience, frequency, number of times), and motivation to engage in culture and arts activities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motivation), have been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subjective wellbeing (cognitive emotion, emotional factor, and the psychological thriving)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s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have been selected as the parameters. In a bid to ensure the discrimination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empirical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ordinary adults who are able to make discreet decisions and judgments about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and education instead of a specific group of people with the adoption of proportional allocation based on the gender and age segments as part of the demographic statistics. The survey questionnaires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have been supplemented and revised through preliminary surveys into the final survey questionnair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he final questionnaire confirmed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was made available on an online questionnaire website. The respondents have been informed of the URL of the online questionnaire website via text message and email, and have been advis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via PC or mobile phone. Answering the survey has been arranged to be made in a self-administered manner, and 1,000 responses in total have been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respects to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cleaning with the use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2.0. Then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arget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 way ANOVA, the Duncan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for test of hypothesis. The research findings based on the hypotheses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 test to identify if the type of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make any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has found that those with experience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are ranked higher than those without in the order of the sensor of psychological prosperity, emotional factor, and cognitive emotion. When it comes to the type of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engaging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has found to be ranked higher than viewing arts and cultural artifacts in terms of cognitive emotion, psychological prosperity, and emotional factor as the subordinat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judging base on the frequency of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heavy spectators have turned out to be ranked higher than light spectators in the order of cognitive emotion, psychological prosperity, and emotional factor as the subordinat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Second, a test designed to identify if the typ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makes any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has found that those with experience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re ranked higher than those without in the order of the sensor of psychological prosperity, emotional factor, and cognitive emotion. And, heavy participant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have turned out to be ranked higher than light ones in the order of cognitive emotion, psychological prosperity, and emotional factor as the subordinat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in terms of the number of time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ome difference has been identified in cognitive emotion, emotional factor, and psychological prosperity as the subordinat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Duncan test has indicated that cognitive emotion and psychological prosperity peaked if education is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a month while emotional factor reached the top if conducted once a week. Third, a test designed to identify if the type of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make any difference in determin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motivations has found that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has shown a higher level of internal and extrinsic motivations, and,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heavy spectators have shown to have higher level of internal and extrinsic motivations while light spectato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amotivation. Fourth, a test designed to identify if the typ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makes any difference in determin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motivations has found that heavy participant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has shown a higher level of internal and extrinsic motivations while light participants a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amotivation. And, in terms of the number of time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ome difference has been identified in terms of internal and extrinsic motivations and amotivation. The Duncan test, or a post-test, has revealed that internal and extrinsic motivations peaked if education is conducted once a month while amotivation reached the top if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a week. Fifth, a test design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motivations to participate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has shown that inter

      • 해외선교에서의 문화예술 활용사례 연구

        강은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는 문화예술이 주도하는 시대이며 문화예술은 우리 사회에서 핵심적 국가 경쟁요소이자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정책 중 하나이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 활동에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현재 기독교는 세계적으로 변화의 전 환점을 맞아, 내적 및 외적으로 많은 개혁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곧 현 시대에 서 문화예술을 수용하고 문화예술을 통해 교회의 소통과 사회 속에서의 역할, 선 교전략 등 문화예술을 매개체로 하여 문화예술선교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해외선교영역에서 문화예술을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선교사와 문 화예술선교단체의 현황조사 및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문화예술을 통한 해외선 교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재를 진단하며 선교에 있어서 문화예술의 활 용을 모색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다음세대 선교에 있어 문화예술 활성 화의 대안 및 제안을 이끌어 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결과 문화예술을 통한 선교는 일방적인 선교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대차원의 선교 즉 쌍방향으로서 상대방의 문화에 대해 인정하는 운명공동체적 연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교지 와의 소통, 선교지의 사회와 연계 점 을 가지기 위해서는 현지와의 연합과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선교에 있어서 문화예술을 통해 선교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는 전문인선교사 와 청소년 및 젊은 세대들의 선교 적 문화예술 활동으로 인하여 기존의 선교전 략보다 우리의 컨텐츠를 보급하고 해당국에 우리의 문화예술을 가르치며 전파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분석으로 나타난 문화예술전문인선교사와 문화 예술선교단체의 활성화에 대한 대안 및 제안은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예술을 통한 해외선교는 곧 협력체계를 가진 하나의 도구로서 현지 와 협력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선교지, 문화예술전문인선교사, 문화예술선교단체 등 정보교류와 네트워 크 형성을 통해 정보교류 협력 체제시스템을 구축하여 협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체계가 되어야 한다. 셋째, 해외선교에서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분석결과 음악에서 그 활동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예술선교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선교와 관련된 문화예술전문인양성을 위한 학교, 기관이 만들어져야 함 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분석에 따라 해외선교에서의 문화예술 활용 현황과 사례들을 비 교 분석하여 앞으로 한국교회의 세계선교에 있어서 새로운 대안과 전략적인 선 교환경을 만들며 다음세대를 위한 문화예술선교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Culture and art take a leading role in 21st century, they are core competency in our society, and one of the fields that require a policy for continuous development. Christian activities are under this influence as well and are facing many reforms in and out. This is because churches are embracing culture and art and using them as a mechanism through which they actively go out for mission finding their role as a church in a society and building strategies for miss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esent of overseas mission activities using culture and art by comparing current states and cases, focuses on application of culture and art on mission, and has its purpose on drawing suggestions to invigorate culture and art for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mission requires mutual consent requiring a connection as a unit with common destiny with acknowledgement on each other’s culture, and it also needs collaboration and connection with locals to have links to societies and to communicate in mission field. In addition, professional missionaries, who are rising as a strategy for overseas mission, and culture and art mission activities of young adults are supplying our contents and teaching and spreading our culture and art more than existing mission strategies. This analysis found the following methods and suggestions to activate culture and art professional missionaries and organizations. First, overseas mission using culture and art as a tool for collaboration requires a policy to have connection with locals. Second, mission field, culture and art professional missionaries and organizations need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and to build a system to share and cooperate. Third, it turns out that music takes the biggest portion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in overseas mission. It suggests that, to diversify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 mission, school and organizations are needed to cultivate professionals for various culture and art miss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and cases in using culture and art in overseas mission and aims to provide a new method and strategic mission environment to Korean churches and to prepare a stepping stone of culture and art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 국내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은진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Since the gradual institutionalization of the 5 days of weekly work in 2004, there have been lot of changes in our society. Particularly, leisure activities like hobbies have been attracting interests as people have more time for leisure. According to L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proactive leisure activities for satisfaction of sufficient indulgence, rather than spontaneous and brief pleasure, are increasing. As level of indulgence in leisure activities increases, tendencies to increase expertise are found. Usually people enjoy leisure activities with ease unlike their job, but there are growing number of people who do not refrain from investing their time, efforts and money to achieve specialized level of ability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sports, painting,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 etc. Activities of amateur orchestra is one of such activities. In Korea, amateur orchestras were organized for the first time in late 1920s mainly in a few universities. Since then, amateur orchestras continued to be organized and operated, but that sort of orchestras, which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oday - that is, being organized for consistent leisure activities, have emerged in the late 1990s. 'Amateur' is the antonym to ‘professional’, and can be defined as the person who enjoys arts, sports, etc. as a hobby. Therefore, amateur orchestra is an orchestra which is comprised of people who intend to play music as one of their hobbies. This study has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for the 3 categories of amateur orchestras: those of undergraduate students, adolescents and adults. However, it was not easy to even find out the exact number of the organizations for any category of the orchestras, and specific details on operations of the organizations inevitably were available only for some of the orchestras. The insufficient availability of information stems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some of them have been discontinued or dismissed due to difficulties in operations and some of them were being prepared to be organized. However, number of the amateur orchestras, that is estimated on the basis of data collected, as of the date of this study is 247 in total. Among the total number of the amateur orchestras, there were 80 university orchestras, 120 adolescent orchestras and 47 adult orchestras. What is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such amateur orchestras? How much are they satisfied and what are some of the problems they find with their practices and concerts? What do they want in the future? A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conducted for 200 subjec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amateur orchestras,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answers. Most of all, members of the orchestras were energetically participating in their practices just because they enjoy their practices, and consider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orchestras as the best leisure activities. The fact that they consider 'satisfaction in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and 'pleasure of improvement in musical playing ability' as the foremost motives of participation apparently reveals the above recognitions. However, there were also aspects that were inconvenient or needs to be improved regarding group practice. They stem from origin of the amateur orchestras, and include: conspicuous dissatisfaction with the conditions of practicing rooms and inability to produce harmonized music, which is essential in the orchestra, due to the imbalance in which orchestra members are generally short of demand in the woodwind and brass instruments. However, the most worst problem is the fact that financial resources of the orchestras are not sufficient and their practices and concerts cannot be sustained only by the membership fees. In summary, members of the amateur orchestras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group practices for self-achievement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inferior conditions of practicing rooms,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for operations of orchestra, and imbalance in composition of orchestra members. This study proposes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as follows. Firstly, the problem in composition of orchestra members.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in an amateur orchestra is its members. However, most of orchestras have insufficient members and especially there tends to be many parts that are in need of additional members due to overcrowding in particular parts. To re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beef up the composition of members by providing a certain incentive for members in case of performing in a concert or volunteering for the orchestra or by providing a concert plan or consistent lesson for the purpose of satisfying the members with achievement. Secondly, the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for operations of orchestra. Some local governments sponsor concerts of amateur orchestra. However, such cases are rare in reality. In the meantime, another alternative can be considered in which an amateur orchestra is designated as an art organization with expertise so that it can be allowed to use some facilities for its practice. If an organization is designated as an art organization with expertise, it can benefit from administrative supports, such as renting of public facilities, use of facilities at no cost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 by-laws of individual municipal/provincial governments. Thirdly, improvement of environments for practicing rooms. The members are considerably dissatisfied with the conditions of practicing rooms as was revealed in the questionnaire. If this problem is not tackled, it will end up in an indesirable result for amateur orchestras from which cessation is allowed at any time. Fourthly, promotion of inter-relationship among amateur orchestras. If amateur orchestras share information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ir circumstances shall be further improved. Lastly, support for the amateur arts activities through governmental policies. There can be some assertion saying that supporting amateur arts organizations doesn't make sense in a situation in which even professional arts organizations cannot be sufficiently supported. However, voluntary participation in arts activities is prov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hil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of individual capabilities. It is our reality that systematic supporting of cultural activities in daily life of our society is still in early stag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some supports for cultural activities of amateur organizations but they are just short-term, irregular and project-oriented supports. Support for the cultural activities in daily life has the function by which relationship within a concerned community is improved through the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communities can be organized through the support. If such system can be stabilized and administered soon enough, the amateur orchestras shall rapidly grow and prosper in near future. 2004년부터 단계적으로 주 5일제 근무가 시행되면서 우리사회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노동시간의 단축과 맞물려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레저나 취미활동 등과 같은 여가활동이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의 연구 최경운, ‘한국인의 여가가 변하고 있다’, LG경제연구소 LG Business Insight, 2010, P.45 에 의하면 즉각적이고 짧은 즐거움이 아닌 충만한 몰입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능동적인 여가활동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여가활동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전문성을 키우려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여가나 취미활동은 일과 다르게 부담 없이 가볍게 즐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스포츠, 그림, 악기연주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적인 수준의 실력을 갖추기 위해서 시간과 노력, 그리고 금전적 투자를 아끼지 않는 사람들이 생기고 있다.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활동도 이러한 경향의 하나라고 하겠다. 우리나라에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가 생성된 것은 1920년대 후반으로 일부 대학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활동하였고 그 이후에도 대학 또는 일반 동호인 중심으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활동하였지만, 오늘날과 같은 개념의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예컨대 여가활동의 하나로 오케스트라를 구성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하기 시작한 것은 90년대 후반 이후라고 하겠다. ‘아마추어’란 ‘프로페셔널’에 대비되는 말로 ‘예술이나 스포츠, 기술 따위를 취미로 삼아 즐겨 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는 취미로 음악연주를 함께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를 대학아마추어오케스트라, 청소년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그리고 순수한 동호인 중심의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한 단체 수 조차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고 더구나 세부적 운영 현황 파악은 일부 오케스트라로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오랫동안 활동을 하였으나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활동을 중단했거나 해체된 경우도 있고 새롭게 창단을 준비하는 단체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산출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의 수는 모두 247개 단체이다. 그 중 대학 오케스트라가 80개 단체, 청소년 오케스트라가 120개 단체, 동호인 중심 아마추어 오케스트라가 47개 단체였다. 이러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에 연주단원으로 참여하는 동기는 무엇일까, 그리고 참여하여 단체 연습 및 연주활동을 하면서 느낀 만족도나 문제점, 향후 바라는 점은 무엇일까. 본 연구에서는 현재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에서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2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단원들은 단체연습 자체가 즐거워서 열성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연주단원으로 활동 하는 것을 최선의 여가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참여 동기로 ‘취미 및 여가활동의 만족’, ‘음악 연주실력 숙달의 즐거움’을 최우선으로 꼽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인식을 극명하게 나타내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단체연습을 하면서 불편한 점, 개선해야 될 점도 있었다.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의 태생적 한계이기도 하지만, 연습실 환경에 대한 불만이 가장 높았고, 단원의 구성이 특정 악기, 예컨대 바이올린, 첼로 등과 같이 현악기에 편중되어있어 오케스트라 연주에 필요한 균형 잡힌 음악을 만들어 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심각한 문제는 악단 운영 재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단원들이 납부하는 회비만으로는 연습과 공연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자아성취를 위해 단체연습에 열심히 참석하고 있지만, 연습 공간 환경이 좋지 않고 운영재원이 부족하며, 파트별로 고른 악기연주자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단원확보에 관한 부분이다. 아마추어 단체에서 가장 큰 재원은 단원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단체가 충분한 단원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고, 더욱이 특정악기에 인원이 몰려 부족한 파트가 많이 생기고 있다. 이를 위해 단원들에게 연주시나 단체에 봉사 시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던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연주기획 및 지속적인 악기레슨 등을 제공해 단원확보를 위해 힘써야 한다. 둘째, 재원확보에 관한 부분이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공연에 지원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충분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전문예술 법인 단체로 지정받아 최소한의 연습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전문예술단체로 지정되면 각 시․도별 조례에 근거하여 공공시설의 대관, 시설 무상 제공 등 기타 행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셋째, 단체 연습실 등의 환경개선이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단원들은 연습실 내 환경에 불만이 적지 않았다. 이를 개선하려 노력하지 않는다면 이는 탈퇴가 자유로운 아마추어 단체에 결코 좋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없다. 넷째, 아마추어 예술단체들 끼리 교류증진에 힘써야 한다. 아마추어 단체들끼리 서로 정보도 공유하고 발전을 위해 협력한다면 아마추어 단체에 더 큰 발전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마추어 예술 활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프로페셔널 예술단체에 대한 지원도 미흡한 실정에서 아마추어 예술단체에까지 지원을 해 줘야 하느냐 하는 문제 제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자발적인 예술참여 활동은 개인에게는 자기계발의 호기가 될 수 있는 한편 지역사회와 공동체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생활 속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아마추어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지만, 단기적, 비정기적, 사업 중심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생활 속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지원은 문화 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공동체 관계를 회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 내 문화예술 공동체 형성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런 체제를 정착시키고 행정화 하는 작업이 하루 빨리 이루어진다면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의 빠른 성장과 부흥을 이뤄낼 것으로 본다.

      • 바느질을 이용한 예술표현

        김경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We live in an age when many things are called as the 'art'. In general, category of art includes music, fine art, architecture, dance and so on. However, today, the term art is frequently used in fashion, beauty, cooking and science technology as well as even other routine skill fields with practical purpose. Before the 18th century when the art is divided into pure art and craft. The concept of art was wider than that in these days: it includes all activities in daily life. Derived from ancient times, this art concept went through the middle ages and then led to the Renaissance, a transition period when the 'art' began to be categorized into 'pure art' and 'craft'. As the craft was separated from the art, a crucial change occurred, while a criterion of pure art was established due to foundation of 18th century academy and enhancement of pure artists' status. In addition, the Kantian aesthetic theory excluding daily life and finality strongly supports this change. While such a modern art system establishes independent are in 19th century society, the craft was regarded as sub-concept of the pure art, so depreciated and degraded into the non-mainstream. However, even in the modern art system, movements of artists who advocated the craft were continued.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adoring beauty of the practical craft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Pattern Painting' occurring in 1970s were the primary movements. In particular, the latter planed to overthrow the hierarchy of fine art by highlighting some features of the craft restrained in pure art. Meanwhile, feminists found a potential of female aesthetics from the craft containing labors of women. As a main household work, the needlework was viewed as a females' culture containing narratives of their lives, so actively adopted by feminists. As the modern art is diversified today, a lot of domestic and foreign artists select the needlework as a formative language. The backgrounds of this situation include reception of liberal expressions and openness. Moreover, boundaries between various medium and genres become ambiguous, and also practical skills in daily life can be naturally included in the art. This paper examines what aesthetic features the needlework and handcraft have in the modern art, which are primary formative languages in the author's works, based on the contents above. Ornaments, handcrafts, labors, simple hand skills and figurate properties, finality, daily patterns and behavioral repetitions are key words explicating the author's works. The handcrafts have been closely connected with daily lives of human beings by crossing cultural, social, spatial/temporal limitations, based on fundamental activities constituting lives of human beings. The handcraft, an activity by human's hands contains humanistic emotions because workers directly touch and dominate. Therefore, the work is multilateral each time, according to states and emotions of workers. Since it is impossible to work uniformly, a product has unique and singular value. In addition, peculiarly tactile and warm emotions are felt and it has naturally aesthetic qualities, since it is along with humans' warmth during long work process. The author involves the needlework in art works,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ly a category of general household work or a technology. The needlework, making a stitch is to permanently inscribe a lost landscape. This activity recovers time and space by filling them with the author's loves and wishes. It is also to cure some wounds of a city which has been built and demolished again and again, as the general function of needlework is recover and reproduce by patching torn and burst parts. The accumulation of stitches repeated thousands of times is that of time every single moment and also the physical inscription of temporalit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Ultimately, memories and emotions of things which disappeared into times are tied with the needlework. As needles and threads tie up and connect something, the author provides aesthetic experiences for appreciators by associating them and works through the needlework process. Thus, this study would examine artistic meanings and aesthetic qualities of the needlework by hand, a primary formative language of the author. 우리는 현재 많은 것들을 ‘예술’이라 부르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예술의 범주에는 음악과 미술, 건축, 무용 등이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패션과 미용, 요리, 과학기술 이외 실용적 목적을 지닌 일상의 기술 분야까지도 어렵지 않게 예술이란 말을 사용한다. 18세기에 예술이 순수예술과 공예로 분리되기 이전, 예술은 인간의 일상생활 속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오늘날의 예술개념보다 광범위하였다. 이것은 고대시대부터 이어온 예술개념으로, 중세를 거쳐 ‘예술’이 ‘순수예술’과 ‘공예’로 분리되기 시작한 과도기적 상황의 르네상스 시대까지 이어져왔다. 예술에서 공예의 분리는 18세기 아카데미 설립과 순수 예술가들의 지위고양으로 인해 순수예술기준이 확립되면서 결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일상생활과 목적성을 배제하는 칸트의 미학 이론은 이에 확고한 뒷받침이 되어주었다. 이러한 근대예술체계는 19세기 사회 내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고, 공예는 순수예술의 하위개념으로 여겨지면서 가치 폄하되어 비주류로 전락한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예술체계에서도 공예를 옹호하는 예술가들의 움직임이 이어져 왔다. 19세기 후반 실용적인 공예의 미를 예찬하는 ‘예술공예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과 1970년에 일어난 ‘패턴 페인팅(Pattern Painting)’이 그 주요 움직임이다. 특히 ‘패턴 페인팅’은 순수예술에서 제약이 되었던 공예의 성격을 오히려 부각시켜 미술의 위계에 전복을 꾀하려했다. 한편,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노동을 담고 있는 공예에서 여성미학의 가능성을 찾았다. 바느질은 여성의 주된 가사업무로써 여성 삶의 서사를 담고 있는 여성의 문화라고 보아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적극 채택된다. 오늘날 현대예술의 다원화로 국내외 많은 작가들은 그들의 조형언어로써 바느질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현대예술의 자유로운 표현에 대한 수용과 개방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다양한 매체와 장르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과학기술이나 일상의 실용적인 기술 또한 자연스럽게 예술 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의 작업에 주요한 조형언어인 바느질과 수공이 현대미술에서 어떤 미학적 특질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하여 밝힌다. 장식적인 것, 수공성, 노동, 단순한 손기술, 장식적, 목적성, 일상성, 신체반복 행위는 본인 작업을 설명하는 주된 키워드이다. 수공은 인간 삶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적인 활동으로 문화적, 사회적, 시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간의 일상적인 삶과 밀접하게 이어져 왔다. 인간의 손 활동인 수공은 작업자가 직접 만지고 통솔하기 때문에 인간적인 정서를 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자의 상황과 감정 상태에 따라 작업은 매번 다변적이다. 획일적인 작업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과물은 개성적이며 유일한 독자적인 가치를 갖는다. 또한 오랜 작업과정 동안 인간의 온기와 함께한 연유로 특유의 촉각적이고 따뜻한 감성이 묻어나며 자연스러운 미적 특질을 지닌다. 본인은 일반적인 가사 활동, 혹은 공예의 한 범주로만 치부되었던 손바느질을 예술작품 안으로 끌어왔다. 실을 꿰어 천위에 한땀 한땀 놓는 바느질은 사라진 풍경을 영원하게 새기는 작업이다. 이것은 본인의 애착과 염원을 담아 시간과 공간을 다시 회복하게 만드는 행위이다. 또한 바느질의 일반적인 기능이 찢겨지고 터진 곳을 이어붙여 재생과 복원의 기능을 지니듯, 쌓고 허물기를 수없이 반복한 도시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다. 수천 번 반복으로 인한 바늘땀의 집적은 매 순간의 시간의 축적이며, 신체행위를 통해 시간성을 물리적으로 새기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시간 속으로 사라진 것들의 기억과 감정을 바느질로 얽는다. 바늘과 실이 무언가를 엮고 이어주듯, 본인은 바느질 작업을 통해 작품과 감상자를 엮어 감상자에게 미적경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인의 주요한 조형언어인 손바느질이 예술로써 갖는 의미와 미적 특질을 연구하고자 한다.

      •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철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3

        21세기 들어 문화의 산업화를 통한 국가발전의 새로운 핵심동력을 육성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또한 국민들의 여가생활 중시와 다면화되어 가는 사회심리가 문화예술산업에 대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으로 새로운 문화정책에 대한 기대심리가 따르게 되고 이에 부응하는 공공문화시설 경영혁신의 필요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홍보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지역문화예술축제는 그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정립하고 주민에게 자부심을 갖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축제 지역은 단발적인 집객에 그치지 않고 지역의 이미지 함양 및 지역브랜드 형성을 획득하였고, 따라서 지역 문화예술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핵심동력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지역의 문화예술축제가 보인 긍정적 시너지가 제시하듯이, 지방자치시대의 문화예술산업 인프라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기본정책의 일환이 되었다. 지방자치시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공연장운영보조금 지원액은 각 지자체별로 다르게 책정되고 있다. 또한 문화적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문화예술기관의 효율성 제고와 공공문화시설 경영혁신에 대한 성과도 미약하다. 지자체별 공공문화시설 규모에 따른 운영자금은 각각의 실정에 따라 뚜렷한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공연장 운영 방침도 서로 다른 개성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영성과에 별반 차이가 없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우선 본 연구는 문화예술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 영향요인에 관하여 문제를 수립하고 성공요인과 저해요인을 살펴보았다.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개념, 방법 등을 토대로 공공문화시설 경영혁신성공 통합모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예술의전당(대관형), 대전예술의전당(기획형), 재)명동·정동극장(제작형) 한국소리문화의전당(기획/제작형) 등 공연장운영형태별 공공문화시설을 중심으로 경영혁신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진의성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아울러 예술의전당, 대전예술의전당, (재)명동·정동극장,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등 공연장운영형태별 공연실무자와 공연관람객을 대상으로 공공공연장의 효율적 운영에 필요한 인간존중요인, 프로그램운영요인, 시스템요인, 재정요인, 임금제도라는 5가지 경영혁신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소비자만족, 공공문화시설경쟁우위확보, 공공문화시설의 종사자만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과 분석을 진행하고 결론과 시사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제시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 결과를 토대로 각 중요 요인에 대한 각각의 항목들 중 먼저 경영혁신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인간존중(15문항), 운영프로그램(15문항), 시설경쟁우위(6문항), 시스템(6문항), 재정보조금(6문항), 임금제도·후생복지(4문항)와 이러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는 종사자가 느끼는 만족도(6문항), 마지막으로 소비자인 관객이 느끼는 만족도(6문항)에 관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분석 그리고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에 영향을 주는 각 요인들의 모든 항목에 대한 빈도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인간존중요인의 문항에서, CEO가 구성원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소통수단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응답했으며(2.79), 반면 CEO와 조직구성원 간 인간존중을 위한 운영환경 조성이 지역문화예술에 기여한다고 응답한 점수가 4.1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CEO와 조직구성원 간의 인간존중에 대한 문항의 답변들이 평균 이상으로 경영혁신 성공에 필요한 요인이라고 분석되었다. 둘째, 운영프로그램 요인 항목에 대한 응답에서는 모두 평균 이상으로 답했으며, 경영혁신 성공요인으로 각종 운영프로그램이 소비자 만족도 향상 및 시설경쟁우위확보에 상당히 기여한다고 응답했다. 셋째, 편의시설과 관련된 시스템요인 항목에 대한 응답에서는 모두 평균 이상으로 답했으며, 여러 문항 중 고객서비스(편의시설, 종사자의 인적서비스, 온라인 네트워크 서비스 등)가 소비자만족도 및 경쟁우위 확보에 기여한다는 것에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넷째, 경영혁신 성공경영의 운영요소 중 재정지원금에 관한 응답에서는 재정보조금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평균 이하로 답하였고, 다른 요인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게 답해 재정보조금에 그리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후생복지요인에 대한 응답에서 본인의 임금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종사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임금과 후생복지에는 상당히 못 미쳐 앞으로 성공적인 경영혁신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소비자인 관객이 느끼는 만족도는 공연관람객만족도, 서비스인식도, 운영의사결정의 문항만이 평균을 넘었고, 기타 다른 문항은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만족도에 관해서는 모든 문항이 평 In the twenty-first century, attempts are being made to build up a new driving force of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industrializing cultural resources. Also, people’s stress on leisure life and diversifying social psychology causes a growing demand for cultural arts industry. Therefore, it gives rise to expectations of new cultural policies and a business innovation of public cultural facility is needed. The diversity of local cultural arts festivals which are utilized as each local government’s means of public relations since the mid 1990s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region’s cultural identity and making residents have pride. The local government with successful festival has improved the region’s image and developed the local brand. Accordingly, it built a new driving force to create the local cultural arts industry’s added value. As such local cultural arts festival creates a positive synergy effect, the infrastructure development of cultural arts industry in the local autonomy era can be no longer delayed as fundamental policy direction. In the local autonomy era, a theater operation subsidy has been paid with different amount by each local government. There is no effect improvement of cultural arts center providing the public cultural service, and no big achievement in the business innovation of public cultural facility. Each local government has a clear difference in operating funds by public cultural facility’s scale according to representative circumstances, and has also the different theater operation policy. Nevertheless, ironically,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operating performance i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ablish questions regarding management innovation influence factors on the public cultural facility in which the cultural arts are performed and to analyze the success factors and barrier factors. Then,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 integration model of public cultural facility’s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based on proper understanding, concept and method on the public cultural facility’s management innovation, and to improve the research’s intention through case study of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factors focused on public cultural facilities per theatre operation type; Seoul Arts Center(theatre rental type), Daejeon Culture & Arts Center(project type), Myeongdong·Jeongdong Theater(production type), Sori Arts Center of Jeollabuk-do(project/production type). In addition, five management innovation factors of human respect factor, program operation factor, system factor, financial factor, and wage system requir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theater were extracted from performance staff and audience by theater operation type from Seoul Arts Center, Daejeon Culture & Arts Center, Myeongdong·Jeongdong Theater, and Sori Arts Center of Jeollabuk-do. Also, a consumer satisfaction, public cultural facility’s competitive advantage and public cultural facility workers’ satisfaction were empirically analyzed an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and analyzed. Then, the conclusions,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indicated. In this study, based on reliability test results, the human respect(15 questions), operating program(15 questions), facility’s competitive advantage(6 questions), system(6 questions), financial aid(6 questions), wage system·welfare(4 questions), workers’ satisfaction(6 questions), and consumers(audience) satisfaction(6 questions) which affect the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among questions of each important facto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alysis and T-Test.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questions under each factor which affect the public cultural facility’s management innovation, the following results are produced. First, in the question for human respect factor, respondents answered that CEO did make the use of diverse ways to communicate with workers(2.79),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responded that the development of operating environment for human respect between CEO and workers contributed to the local cultural arts(4.15). To the question for human respect, more than hal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human respect between CEO and workers will be necessary for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Second, all respondents answered with the score above average to questions for operating program, and responded that diverse operating programs as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factor considerab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nsumer satisfaction and the facility’s competitive advantage. Third, to questions for amenities-relevant system factors, respondents answered with the score above average, and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stomer service (amenities, worker’s human service, online network service, etc) among many questions attributed to secur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competitive advantages. Fourth, with respect to financial aid among operating factors of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respondents answered below average to the question ‘is the financial aid enough?’ compared to other factors, and it was indicated that the financial aid was not satisfactory.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welfare which has a close relation with this factor,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wage and welfare were not satisfactory to the question ‘Are you satisfied with your wage?“. It is deemed that the wage and welfare factor will be obstacles to successful management innovation. Fifth, for the consumer satisfaction, respondents gave scores above average only to the audience satisfaction, service recognition, and operation-relevant decision-making, but gave scores below average to other questions. There were average scores to all questions regarding the facility

      •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를 위한 공연예술사업 성과분석 연구 :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김영훈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oul performing arts network o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 in the context of knowledge network. Sejong Center has been building the collaboration system in performing arts between the Center and other cultural art centers under the umbrella of the Seoul autonomous districts. This system aims to build the network of performing arts and to improve performances and cultural competences of local cultural art centers. The level of performance consists of two factors: performing arts resource factor and knowledge network factor. Performing arts resource factor includes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Knowledge network factor is composed of structure factor, interaction factor, and functional factor. The study conducts case study and implements hypothesis testing. To test the model, this paper evaluates performance appraisal of each cultural art center for the period from 2012 to 2014, drawing upon the survey on employees of 17 cultural art cent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3 employees. There are fiv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n organizational capability has an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Also knowledge network leads to increases in their levels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Second, the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reveals that the quality of performance is highly evaluated. Third, the number of performances increases the network centrality of cultural art centers, which leads to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Fourth, the level of sharing and reciprocity affects the level of performances. Fifth,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functional factor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However, external factors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by making up for the weakness of internal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activating knowledge network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cultural competences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s. First, it is required to manage local resources efficiently and access to external resources using knowledge network. Second, each cultural art center needs to measure its competence and to develop a network so that it can secure perceived scarce resources. Third,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mmunity-based leading organizations other than Sejong Center to activate local knowledge networks in the longterm. Fourth, it is indispensable to strengthen linkages in order to encourage resource sharing.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knowledge network operation is needed to strengthen the cultural competence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s. Second,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is particularly present in terms of structure factor as well as sharing resources and reciprocity in terms of interaction factor. Third, the fact that external factors play certain roles has a lot of implications on the role of public arts center and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policies.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연예술 네트워크 사업을 대상으로 참여 자치구들의 사업성과를 분석하고,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세종문화회관 연계공연으로, 이 공연은 서울지역 문화예술 네트워크 구축 및 공연예술사업 유통을 통해 지역문화 예술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한 연구대상 사업의 성과분석은 공연예술에 필요한 지식자원에 대해 이해하고,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지역의 지식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여, 지역문화예술 조직역량을 강화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대상사업의 지역성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치구별 사업성과에 대한 평가가 우선시되며, 평가된 사업성과는 공연예술자원 차원과 지식네트워크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공연예술사업 성과분석에 사용된 분석기준은 공연예술 자원요소와 지식네트워크 특성요소이다. 공연예술 자원요소는 조직역량과 관객만족으로 구분하였고, 지식네트워크 특성요소는 구조적 요소, 상호작용적 요소, 기능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사례분석과 가설검정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 진행하였으며, 사례분석에 의한 정성적 연구가 중심이 되고, 가설검정으로 확인하는 구조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사업성과 분석을 위해 대상사업의 안정적 운영 시기인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3년 실적을 중심으로 자치구별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평가된 자치구별 사업성과를 집단화하여 분석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17개구 참여 자치구 담당자 17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법과 3인의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역량 분석결과 조직역량은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조직역량과 사례사업 성과의 관계에 있어 지식네트워크를 통해 역량이 보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관객만족 분석결과 공연 상품수준이 높게 평가되어 공연예술 자원요소 중 작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관객 의사결정과 공연장 편의성의 사례사업 성과와의 영향관계는 증명하지 못했다. 편의성은 사례사업 성과보다 조직역량과 관계가 있었다. 셋째, 구조적 요소 분석결과 사례사업 활동이 많을수록 지식네트워크 내 중심성이 강했고, 중심성이 강할수록 사업성과가 높았다. 그리고 지식네트워크 구조에서 관리성은 사례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조직역량과 사업성과의 영향관계에 지식네트워크 관리성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t-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넷째, 상호작용적 요소 분석결과 공유성과 호혜성은 사례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공유자원 중요도는 작품, 홍보, 무대기술, 기획, 고객관리의 순서였다. 그리고 네트워크 상호작용 프로세스 이론과 지식네트워크 성장단계 이론 중 성숙기 특징이 사례사업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기능적 요소 분석결과 기능적 요소는 사례사업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부족한 내부 기능적 요소를 외부 기능적 요소가 보완하면 사업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지식네트워크 보완 작용을 입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지역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부족한 자원을 지역 간 상호 보완하여 지역문화예술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지식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별 역량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개발하여, 지역 간에 필요한 자원의 연결을 시도해야 한다. 셋째, 지식네트워크의 장기적 성장 관점에서 세종문화회관 외에 네트워크를 주도할 수 있는 권역별 거점지역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네트워크 상호작용 프로세스 이론에 따라 문화예술 자원공유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역 간 연결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가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를 위해 지식네트워크 운영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는 데 가치가 있다. 둘째, 지식네트워크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구조적 관점에서 관리의 중요성,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자원의 공유와 호혜 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공연예술사업의 지식네트워크 운영 및 활성화에 가치가 있다. 셋째, 지식네트워크 외부 기능적요소의 역할 확인을 통해 문화예술 공공기관의 역할과 문화예술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와 지식네트워크 운영에 대한 가치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공연예술사업의 지식네트워크 운영 활성화와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에 의미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창의·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63

        문화예술교육은 체험과 같은 직접 경험을 통해 감각기능을 발달시켜 민감성을 향상시키고 감수성과 창의성을 길러준다. 기존의 국악교육프로그램들은 교육대상의 욕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반복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보다 공급자 입장에서 편성되고 실시되어 왔다. 전통적인 국악에 대한 감수성과 몰입이 가능하도록 음악적 수준을 고려한 가족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효과분석을 통 한 피드백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족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교육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가족국악교육 학습참여자의 교육효과에 대한 심증적인 분석과 고찰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실제 국악지도 현장경험을 통해 가족국악교육 프로그램 학습자들의 성격이나 자신감들이 교육효과에 작용하는 사실에 주목하고, 예술교육의 본원적인 목표인 창의·인성을 갖춘 인재육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국악프로그램과 관련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국악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요인으로서성취감과 가족유대감 향상 정도, 학습 성과, 교육 전후 국악에 대한 학습 몰입 변화를 독립변수로 하고 종속변수는 창의·인성 발달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차별화를 위해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에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문헌을 참고하여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자기효능감과 창의·인성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Baron & Kenny에 의해 제시된 3단계 매개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효과가 창의·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효과가 창의·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 효과와 자기효능감을 동시에 독립변수로 투입한 3단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R²=.931, F=96.885,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 보면 일반적 자기효능감(β=.311, p<.001), 사회적 자기효능감(β=.892,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두 가지가 다 매개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의·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성별에 따른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 사회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 창의·인성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유대감별 연구변인들간의 차이를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부모와 자녀친밀도 내의 항목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에 참여시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의·인성 발달이 촉진되며, 프로그램 참여 효과가 창의·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 다. 하위변인간 매개가설의 경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분명하며, 가족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상 성취감이나 학습몰입 효과는 다소 낮고, 부모와 자녀의 공동학습을 통해 가족유대감과 학습성과의 효과를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가족국악교육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창의·인성을 갖춘 인재 개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와 학생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가족형 국악체험활동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의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감하여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체계성을 갖춘 프로그램과 흥미와 관심을 최대한 반영하는 교육여건을 개발하고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이 학교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도 국악교육프로그램으로 자신감을 통해 창의·인성 개발을 촉진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가족국악 교육과정의 지도교사 양성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지도교사의 창의적 체험교육활동지도로 학생들의 바람직한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의지와 노력이 중요시된다. 셋째, 가족국악 교육프로그램을 문화회관이나 예술교육 현장에서 경험하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에서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가족국악교육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려는 정책적 노력과 재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 Culture and arts education helps learners to develop their sensory functions, improve sensitivity, and cultivate creativity through direct experience. Previous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supplier-centered instead of understanding the needs of learners accurately and analyzing the detailed processes of repetitiv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positively. It is needed to design a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s of learners’ musical skills to improve their sensitivity and immersion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ovide proper feedback based on analysis on its effects. To analyze the social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at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onsider how the participants of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nk about its educational effects profoundly.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researcher focuses on the fact that learners’ personality or confidence does influenc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and decides to study its correlation with cultivating persons of ability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fundamental goal of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figure out the desirabl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attain the goal, regarding the factor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is author has set up the sense of achievement, family bonds, learning results, and immersion in learn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lso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dependent variables. Also, to differentiate this study from other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self-efficacy has been selected as a mediating variable. Through both Korean and overseas literature review, this author studied the theor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self-efficacy,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based on that, this study employed Baron & Kenny’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see if self-efficacy has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program particip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o analyze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program particip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his researcher conducted three-step analysis entering program participation and self-efficacy simultaneousl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found the regression equations (R²=.931, F=96.885, p<.001), which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Examin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eparately, this author has found that general self-efficacy (β=.311, p<.001) and social self-efficacy (β=.892, p<.001)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both exhibit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ing th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can improve creativity and personality wit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analysis on how the variables are different by the levels of schools wit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n how the variables are different by the sex of their parents, immersion in learning, social self-efficacy, self-efficacy, and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one-way ANOVA on how the variables are different in relation to family bonds, general self-efficacy indic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intima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ourth, program participation elevates self-efficacy, and when self-efficacy is higher,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is acceler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ogram particip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exer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hich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it. Concerning the hypotheses of mediation among the subvariable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is distinct, a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education program, the sense of achievement or immersion in learning is rather low, and as parents and children learn together, family bonds and learning results are relative greater. Fifth, th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to develop personal of ability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drawn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e and creativ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can participate together in order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design systematic programs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and establish proper conditions for education reflecting their needs and interest as much as possible. Second, for students to cultivate their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rough confidenc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not only in schools but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needed to develop courses to cultivate instructors for divers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a. Also, it is important for the instructors to have will and make efforts to cultivate creative persons

      • 21세기 한·중 예술가곡 비교연구 : : 전통성과 대중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천시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63

        Art songs are a genre of music that combines literature and music, and the lyrics are expressed through vocal melodies using poems of literary value, and piano accompaniment and vocal melodies are equally important, expressing the inner emotions of poetry and poeticism. Based on the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music, the art song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nd nationalities, which reflect the mainstream ideology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times. This paper examines the Korean and Chinese art songs since the 2000s, and selects and interprets the art songs reflecting the mood, nationality and times of each country. Korean and Chinese art songs have developed over a period of 100 years. Since the 1920s, through constant convergence and development, it has further developed and prospered in the 2000s, and various genres of art songs have been created and are loved by vocalists.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art songs, the author will study Korean and Chinese art songs in the 21st century. For this purpose, Lee Won-joo, a 21st-century Korean composer, and Cho Gye-pyeong, a Chinese composer, were selected to analyze music based on the poems and lyrics used in art so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Lee Won-joo and Cho Gye-pyeong revealed the contents of the lyrics through their own traditional scales and sounds, and detailedly depicted the scene and poetic emotions of the poem through various elements of music. Korean composer Kim Hyo-geun and Chinese composer Jang Seo, who communicate the public sentiment of the 21st century through songs, are valuable tools for social communication by expressing the heavy topic of death through their own musical expression. A close examination of the Korean and Chinese art songs in the 21st century can be a means of observing the social atmosphere and situation through poetry selection, lyrics adaptation, and musical expression. The role of art songs is to conve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 society through poetry, music, and composers.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art tunes in the 21st century, the author interprets the multi-level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art tunes in the 21st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interpretative springboard for many vocalists who study and perform the Korean and Chinese art songs in the 21st century. 예술가곡은 문학과 음악이 결합된 음악 장르로, 가사는 문학적 가치가 있는 시를 사용하고 이를 성악 선율을 통해 표현하며 피아노 반주와 성악 선율이 동등하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시에 내재된 정서와 시적화자의 내면적 감정 또한 담아낸다. 문학과 음악이 결합된 특성을 바탕으로 예술가곡은 당대의 시대성과 민족성을 가지고 있으며, 시대성은 각 시기에 창작된 예술가곡이 그 시대의 주류 사상과 문화 환경을 반영하는 것이고, 민족성은 자국의 전통 민족 문화를 가진 독특한 정신과 정서를 반영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과 중국의 예술가곡에 대한 고찰로 이 시기의 각 나라의 정서와 민족성, 시대성을 반영한 예술가곡을 선별하여 예술가곡을 분석·해석하였다. 한중 예술가곡이 탄생한 지 100년이 지났고, 1920년대 이후 끊임없는 융합과 발전을 통해 2000년대 이후 호황기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곡이 창작되어 성악가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자는 한국과 중국의 예술가곡 발전 역사를 정리하고 그 발전 과정의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예술가곡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21세기 한국의 작곡가 이원주와 중국의 작곡가 자오지핑의 작품을 선택하여 예술가곡에 사용된 시와 가사에 기반을 둔 음악 분석을 시도한다. 분석 결과, 이원주, 자오지핑 모두 자국의 전통적인 음계와 음향을 통해 가사의 내용을 구현하였으며, 시에 담겨진 정경과 시적화자의 정서를 음악의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섬세하게 묘사하였다. 21세기 사회의 대중들의 감정을 가곡을 통해 소통한 한국 작곡가 김효근과 중국 작곡가 장서는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죽음’의 이슈를 그들만의 어법을 통해 담백하게 음악적으로 표현하며 진솔한 인간의 감정을 함께 소통하며 사회적 소통의 도구의 가치를 지닌다. 21세기 한국과 중국 예술가곡에 대한 면밀한 고찰은 시를 통해 표현하고자하는 정서와 감정을 각국의 21세기 음악 기법으로 어떻게 구현해내었는지 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시의 선택, 가사의 개사, 음악 표현의 연계 분석은 그 사회의 분위기와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예술가곡은 시를 통해, 음악을 통해, 작곡가의 사회를 향한 메시지 전달소통 도구로 기능한다. 본 연구자는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예술가곡 분석 고찰을 통해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예술가곡에 내재된 다층적 의미를 해석해내었다. 본 연구가 한국과 중국의 21세기 예술가곡 작품을 연구하고 연주하는 많은 성악가들에게 해석적 발판으로 사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 문화예술회관의 내부요소가 운영핵심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관장의 리더십과 조직성향을 중심으로

        정영진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blic arts center is a public cultural and arts institution which is maintained with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Since the 1990s, the establishment of these public arts center has increased rapidly and has currently reached a number of about 220 in the year 2014. The public arts center which is founded and run for the purpose of local culture promotion is facing the problem of having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ocals based on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Research on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arts centers had been consistently conducted. Recently, researches are mainly being conducted on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operational performanc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search in intern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that can affect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public arts center. Firstly, standards for oper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arts centers were not considered as a detailed index or quantitative result and performance of public arts centers were dealt by implementing the concept of core operational valu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ceding researches, core value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of public arts centers were determined to be publicity, artistry and management efficiency. Also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organizational culture formed internally by staff of the public arts center which can be considered the internal factor of an organization was chosen as the factor which affects the core operational value of public arts center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type of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Sub-variable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re chose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cedent researches. Leadership of the director was classified into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was classified into clan culture, hierarchy culture, adhocracy culture and market culture using organizational culture approach using the competing value model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mediation effect when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affects core operational values. As the dependent variable, core operational valu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as the mediation variable, organizational culture were each selected to build a research model and select a hypothesis. It was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Firstly, leadership of the director will have a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ly, leadership of the director will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ore operational values. Thirdly, organizational culture will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ore operational values. Fourthly, organizational culture will mediate the effect that leadership has on core operational values. A survey was compos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abov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directors and staff of public arts centers nationwide. Also,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and to deduct realistic implications, an in-depth interview was given to directors and staff of public arts centers. Although there were rejections per sub-variables in the results of hypotheses verifi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generally, there were results with meaningful effects amo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and core operational val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re operational values. I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most showed partial mediation but there were three complete mediation effects relating to transactional leadership.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hypotheses verification,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hypothesis, adhocracy culture had a meaningful effect on all leadership type so we were able to predict that when the advantages of each type of leadership of directors are demonstrated, there is a high chance that a adhocracy culture may form within in the organization of the public arts center.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cond hypothesis, transformational, servant, and emotional leadership each affect the core operational value whereas transactional leadership only affects management efficiency. So it had a relatively low influence in terms of realizing a core operational value that the public arts center aims for.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third hypothesis, whereas clan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had a meaningful effect on all core operational values, hierarchy culture and market culture had a partial effect. So for the organization of public arts centers, we can see that clan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which emphasizes flexibility and change is more effective compared to hierarchy culture and market culture which emphasizes control and order. I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fourth hypothesis, it was shown that most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 and sub-variables of the core operational values. It is a result in which we can say that although there is not a complete mediation effect, there is a relevance. A complete mediation effect was displayed as a result in three cases and they all had to do with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relativel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e operational values but had positive effects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adhocracy culture and clan culture. Through hypotheses verification and interview investigation, we were able to find implications on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organizational culture as an internal factor to realize the core operational value of public arts 문화예술회관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재원을 지원받아 운영되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이다. 1990년대 이후 급속하게 건립되어 2014년 현재 220여개에 달하고 있다. 지역문화진흥을 목적으로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회관은 신공공관리론에 근거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민들의 문화예술 욕구를 충족시켜야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는데, 최근에는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문예회관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조직의 내부요소에 대한 연구에 주목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다루었던 운영성과 에 대한 지표와 영향 요소와는 차별화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예회관의 운영성과에 대한 기준을 세부적인 지표나 정량적인 결과로만 보지 않고, 운영핵심가치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문예회관의 성과를 다루었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문예회관의 운영 목적에 부합하는 핵심가치를 공공성, 예술성, 경영성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문예회관의 운영핵심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조직의 내부요소라고 할 수 있는 관장의 리더십과 문예회관 종사자들이 내부적으로 형성한 조직성향을 선정하였다. 리더십과 조직성향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문예회관 관장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향 유형을 각각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목적에 맞는 하위 변수들을 선정하였는데, 관장의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감성적 리더십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조직성향은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적용한 조직성향 접근법을 활용하여 관계지향, 위계지향, 혁신지향, 과업지향으로 분류하여 관장의 리더십이 운영핵심가치에 영향을 미칠 때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종속변수로 운영핵심가치를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 관장의 리더십을, 매개변수로는 조직성향을 각각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관장의 리더십은 조직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번째, 관장의 리더십은 운영핵심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 번째, 조직성향은 운영핵심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네 번째, 조직성향은 관장의 리더십이 운영핵심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전국의 문화예술회관 관장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예회관 관장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통한 가설검정 결과는 하위 변수별로는 기각이 있었지만 대체로 리더십과 조직성향, 리더십과 운영핵심가치, 조직성향과 운영핵심가치 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들이 나타났다. 매개효과분석에서는 대부분 부분매개를 나타냈지만 거래적 리더십과 관련해서 세 가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가설검정 결과를 하위변수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 가설 분석결과, 혁신지향 조직성향은 모든 리더십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관장의 리더십 유형별 장점이 잘 발휘되면 문예회관 조직 내에 혁신지향의 조직성향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두 번째 가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변혁적, 서번트, 감성적 리더십은 각각 운영핵심가치에 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거래적 리더십은 경영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문예회관이 추구하는 운영핵심가치를 구현하기에는 다른 유형의 리더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가설 분석결과, 관계지향과 혁신지향 조직성향은 운영핵심가치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위계지향과 과업지향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문예회관 조직에는 통제와 질서를 강조하는 위계지향, 과업지향 조직성향보다는 신축성와 변화를 중요시하는 관계지향, 혁신지향 조직성향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네 번째 가설인 조직성향의 매개효과 분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조직성향 하위변수들이 리더십 유형과 운영핵심가치 하위변수들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개효과를 완벽하게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결과이다. 완전매개효과는 세 가지 경우가 결과로 나타났는데 모두 거래적 리더십과 관련이 있었다. 거래적 리더십은 상대적으로 운영핵심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혁신지향과 관계지향 조직성향의 매개효과를 통해서는 운영핵심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정과 인터뷰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문예회관 운영핵심가치를 구현하기 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