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 비교

        채송화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으며 교사의 질은 교사교육의 질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 유아교사는 어떠한 유형의 유아교육기관이든지 어떠한 교육철학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든지 자신의 삶과 유아교육활동을 통해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을 나타낼 수 있는 교사가 되어야 한다. 기독교 유아교사는 기독교대학교의 유아교육관련학과를 졸업한 기독교인이거나 일반대학교의 유아교육 관련학과를 졸업하여 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기독교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기독교유아교사의 자질을 갖추는 것은 아니다. 인간교육의 기초가 되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에 효과적인 기독교 유아교육을 위해서는 기독교 유아교사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바른 인식과 자질을 갖추도록 신앙적, 인성적, 전문적인 면을 고려한 체계적인 예비 기독교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및 유아교육 관련학과가 있는 4년제 대학교들을 기독교대학교와 신학대학교, 일반 대학교로 나누어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교에서의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자질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예비 기독교 유아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인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지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교육기술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교직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 및 유아교육 관련학과를 졸업한 현직 기독교인 유아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PASW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질문지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을 알아보기 위해 전상희(2012)와 김지현(2007), 한수진(2001), 유해인(1990), 김애련(1985)의 유아교사의 자질, 김선희(2004)의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 유미(2009)의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의 자질, 이상욱(1998), 신원애(2007)의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에 관련된 내용을 기독교 세계관과 기독교유아교육철학으로 재조명하여 수정, 보완, 재구성하고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구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의 인성은 출신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의 전문지식 영역은 신학대학교 출신 유아교사의 전문지식 자질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독교대학교와 일반대학교 출신 교사들의 전문지식 자질에는 출신 학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의 교육기술은 출신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의 교직태도는 신학대학교 출신 유아교사의 전문지식 자질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독교대학교와 일반대학교 출신 교사들의 전문지식 자질에는 출신 학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출신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들의 기독교적 자질은 신학대학교 출신 유아교사가 기독교적 자질의 전문지식영역과 교직태도 영역에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독교적 자질의 전체 평가와 하위영역에서 인성과 교육기술 영역에 출신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기독교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교들은 기독교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훌륭한 기독교적 자질을 갖춘 기독교 유아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사교육과정을 마련해야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교사양성과정에서 기독교 유아교사 교육과정을 경험하지 못한 현직 기독교유아교사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기독교유아교사들을 위한 모임을 활성화하여 기독교유아교육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천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예비교사교육과정만을 변인으로 하였고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기평가를 기초로 비교분석하였으므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독교 유아교사의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연구와 다양한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기독교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방안과 기독교적 자질을 갖춘 기독교 유아교사 양성을 위

      •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육역량에 관한 연구

        신예지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권의식, 다문화수용성, 다문 화교육역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육역량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육역량에 미 치는 영향을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을 긍정적으로 세워나가고, 교육현장에서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육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권의식,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육역량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육역량은 어떤 관계가 있는 가? 셋째,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영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2023 년 11월부터 2024년 4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필리핀 노말 대학교 연구소(1987)가 제작한 것을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윤정빈(2009)이 수정·보완한 것을 영유아교사에 맞게 본 연구에서 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민무숙과 안상수, 김이선, 선보영, 이명진(2012)이 제작한 ‘국민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KMCI: Korea Multi-Cultural Inventory)’ 연구에서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안지은 (2021)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박정희(2014)가 개발한 다문화교육역량 검사를 원지은 (2019)이 영유아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권의식의 차이는 연령별로 41세 이상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근무 유형별로는 직장어린이집 교사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담 당 영유아집단에서는 영아반 담당 교사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영유아교사의 학력, 결혼 상태, 다문화 관련 교육프로그램이나 연수 경험, 다문화 영유아 지도 경험 등의 변 인에 따라서는 전체 인권의식과 인권 개념 이해, 인권적 태도 등의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 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차이 는 연령별로 41세 이상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근무 유형별로는 민간어린이집 교사집 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전문대 졸업 교사집단이 높았으며, 결혼 상태로는 기 혼 교사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영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교육프로그램이나 연수 경험, 다문화 영유아 지도 경험 등의 변인에 따라서는 전체 다문화수용성과 다양성, 관계 성, 보편성 등의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유아교사의 개 인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교육역량의 차이는 근무 유형별로 국공립어립이집 교사집단이 높았고, 다문화 관련 교육프로그램이나 연수 경험이 있는 집단이 높았으며, 다문화 영유 아 지도 경험에 따라서는 3년 이상 있는 집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영유아 교사의 연령, 학력, 결혼상태, 담당 영유아 등의 변인에 따라서는 전체 다문화교육역량과 다문화 인식, 다문화 지식, 다문화 기술 등의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 지 않았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육역량의 상호 간에는 서로 밀접한 정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 간의 각 하 위요인과 인권의식과 다문화교육역량 간의 각 하위요인에서는 모두 정적 관련성이 나타 났다.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육역량 간의 각 하위요인에서도 모두 정적 관련성을 보였 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인권의식의 하 위요인인 인권 개념 이해와 인권적 태도 모두 다문화수용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교사의 인 권의식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인권의식의 하위요인인 인권 개념 이해와 인권적 태도 모두 다문화교육역량 전체와 하위요인인 다문화 인식, 다문화 지식, 다문화 기술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육역량이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 다문화수용성, 다 문화교육역량 간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영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 성과 다문화교육역량에 모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사는 자신과 타인의 인권을 존중하며 인간으로서 존귀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권의식을 공유하고 영유아들의 기본적인 권리에 대한 가치를 높게 인식해야 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는 다문화 영유아를 인종과 배경에 따라 차별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다문화 영유아와 비다문화 영유아들이 서로 배려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영유아교사가 인권의식을 긍정적으로 세우 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킨 점과 다양한 문화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 점과 다문화교육역량을 개발하고 발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 rights awarenes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ositively establish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nd to seek directions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November 2023 to April 2024. The test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human rights awarenes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as produced by the Institute of Normal University in the Philippines (1987)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Yoon Jeong-bin (2009)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test tool to measur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the test tool produced by Ahn Sang-soo, Min Moo-sook, Kim Yi-sun, Lee Myung-jin, and Kim Geum-mi (2012) in the Korea Multi-Cultural Inventory (KMCI) study was used,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Ahn Ji-eun (2021) for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s a tool to measur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ie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est developed by Park Chung-hee (2014) for elementary schools was used by Won Ji-eun (2019). For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nd Scheffé's post-tes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human rights awarenes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as high in the group of 41 years or older by age, the group of teachers at work daycare centers was high by type of work, and the group of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 was high in the group of infants and toddlers in charg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such as overall human rights awarenes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concepts, and human rights attitudes, depending on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experience in education programs or training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nd experience in teaching multicultural infants and toddlers. The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as high in the group of 41 years or older by age, and by type of work, the group of teachers at private daycare centers was high, and the group of married teachers was high in terms of marital statu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such as overall multicultural acceptance,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depending on variables such a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raining experiences, and experience in teaching multicultural infants and toddlers of infants and toddlers. The differ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as high in the group of teachers at the national public institution by type of work,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or training was high, and the group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was relatively high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teaching multicultural infants and toddle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such as overall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skills depending on the variables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infants in char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los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of infant teachers. In particular,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each sub-factor between human rights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each sub-factor between human rights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ll of the sub-factors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lso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concepts and attitudes, which are sub-factors of human rights awareness, both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overall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human rights awareness.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uman rights and attitudes, which are sub-factors of human rights awareness, both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nd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skills in the impact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ies. This study confirmed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ies differ according to the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ies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that infant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should respect the human rights of themselves and others, share the human rights awareness necessary to live a precious life as humans, and appreciate the value of infants and toddlers' basic righ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hould play a role in accepting multicultural infants as they are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race and background, and help multicultural infants and non-multicultural infants consider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to establish positive human rights awareness, suggest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accept various cultures as they are, and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demonstr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ies.

      • 5세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영역을 기독교적 나눔 교육과정으로 변환 적용 가능성 연구

        함정안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함 정 안 기독교교육전공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누리과정 시행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종교적으로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제약으로 기독교적 내용을 수업에 적용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유치원에서 누리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기독교적 나눔 교육 과정으로의 변환 적용 가능성을 찾아보는 것이다. 둘째, 유치원에서 누리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기독교적 나눔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 누리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적용 가능한 기독교적 나눔 교육과정으로 변환 적용한 연간 계획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연간 계획안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나눔의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활동 계획안을 개발하였다. 기독교적 나눔의 교육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이웃 사랑의 실천을 기뻐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하며 어린아이가 나눈 작은 도시락으로 오천명을 먹이셨던 예수님의 기적을 경험하는 성경적인 삶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 볼르노의 비연속적 교육 방법을 활용한 주일학교 교육의 가능성 모색

        노유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영문초록) Using Bollnow's Discontinuous Education Method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unday School Education Roh Yuu Ha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Chong Shin University This thesis is a study to apply Bollnow 's discontinuous education method to Sunday school education. If we look at Sunday school education at this time, we can find various problems. The education that emphasizes indoctrination in education, continuing education with past heritage, programmed education and which is overly playful and fun - oriented with emphasis on revival. I tried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the above problems through discontinuous teaching methods based on Bollnow 's existential philosophical reason. Specifically, we have presented the improvements of Sunday school education through four methods among discontinuous education methods. Four of the discontinuous teaching methods are as follows. Crisis, arousal, advice, meeting. We combined these with theology to set the direction of the thesis to be Christian education. First, I examined the forms of education in Chapter II. As Bollnow proposed, there are two forms of education. The first saw the traditional education as a continuous education. Traditional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viction that education is continuously taught, presupposing its plasticity. Secondly, discontinuous education can be learned culture by discovering the education of existential philosophy which was overlooked in education for the time being through Bollnow. In this respect, traditional continuing pedagogy can be expanded through discontinuous forms of pedagogy. In chapter Ⅲ, we dealt with the history of Sunday school education first and examined the problems of Sunday school education. Sunday School has more than 200 years of tradition and history. In order to deal with the problem of Korean Sunday school education, we must know the history of Sunday school education proactively. I began to learn about the beginning of the Sunday School,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history of Korean Sunday School.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of Sunday School education which is the subject to deal with. Three problems were presented, First, it is a problem of indoctrination in education. In other words, indoctrination in education is also called a lecture delivery system. This education is effective in communicating and injecting knowledge in a short time, but it is not suitable for long-term sanctification education for true mind change. Second, it is a problem of continuous education. If education is dependent only on physical maturity and age, it should be learned and changed by itself as age and body matures even if it is still, but human education is not so. As a result, we ignore the plans needed for long-term goals and educate them solely on the continuity of problem-solving or grade-specific education. Third, it is a problem of the programming of Sunday school education. The limitation of the program is that it may become an annual education that is repeatedly done with too much focus on the programmed framework. In chapter IV, we sought the possibility of Sunday school education using Bollnow 's discontinuous education method. First, we deal with Sunday school education through crisis in the form of discontinuous education methods. From an existenti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human beings are always in a crisis. Sunday School is a place where the teachers who meet in the crisis face the crisis and connect with God through the meeting. Therefore, when we realize that we are all sinners, or graced by sin, we will be transformed into a place of restoration, not a place of crisis, when the teacher takes on the role of connecting with the gracious Jesus Christ. Second, we addressed Sunday School education through awakening in the form of discontinuous teaching methods. Bollnow's awakening and conscience find considerable similarities. As Bollnow puts it, human beings in a state of incapacity before awakening are alike to humans as sinners who dwell in sins before their conscience is restored. At Sunday School, awakening students' thoughts and souls and making awareness through conscientious education for new change should be done. Third, we addressed Sunday School education through advice in the form of discontinuous teaching methods. Bollnow says that advice has a close connection with arousal. Advisory means the interference to the life of another in educational intent to present a new direction to the life of another. The sermon should be a sermon in the form of advice for the future that man and man are communicating through the Holy Spirit, or for the future, dreaming that the hearer will change. Fourth, we deal with Sunday school education through encounters in the form of discontinuous teaching methods. Bollnow stated that two premises are necessary for an encounter to be educational. One is that the teacher must lead the student to an educational encounter with the great people of mankind. The other is that in order to achieve these encounters, students are able to develop themselves through real encounter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esson which broadens the knowledge of scaffolding through the class and helps the scaffolding. Sunday School should be taught as a student who resembles the character and character of Jesus, and the student must try to be a person who represents "the scent of Christ" (2 Corinthians 2:15). Finally,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be supplemented by the content and methods of education needed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Sunday School in Korea, which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due to the evaluation and inspection of the Sunday School Educ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I want to make the study more active by discontinuous education of Bollnow, an existential philosophy that deals with the existential problems of man in Sunday school education. I hope that the Sunday School of the Korean Church will be mature in qualitative way, and will be an institution producing Christlike Christian that will lead to revival and sanctification.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볼르노의 비연속적 교육 방법을 주일학교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 논문이다. 현 시점의 주일학교 교육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과거의 유산으로 여전히 이어진 주입식 교육과 연속적 교육만을 강조하였고, 부흥을 강조하여 지나치게 놀이화되고 재미 위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화된 교육을 말할 수 있다. 위의 문제점들에 대하여 볼르노의 실존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한 비연속적 교육 방법을 통하여 우리에게 알려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비연속적 교육 방법 중에 4가지 방법을 통하여 주일학교 교육의 개선점들을 제시해 보았다. 비연속적 교육 방법의 4가지는 다음과 같다. 위기, 각성, 충고, 만남이다. 이것들을 신학과 결합시켜 기독교 교육이 되도록 논문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교육의 형식들을 살펴보았다. 볼르노가 제시한 바, 교육의 형식에는 2가지 형식 존재한다. 첫 번째는 전통적으로 행해지던 교육을 연속적인 교육으로 보았다. 전통적인 교육은 교육의 가소성을 전제하기에 연속적으로 교육되어진다는 확신으로 비롯된다. 두 번째로 비연속적 교육은 그동안 교육학에서 간과하였던 실존 철학의 교육학을 볼르노를 통하여 새롭게 발견하여 학문화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통적인 연속적 교육학이 비연속적인 형식의 교육학을 통하여 확장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주일학교 교육의 역사를 먼저 다루고 주일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주일학교는 약 200년이 넘는 전통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국 주일학교 교육의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선행적으로 주일학교 교육의 역사를 알아야한다. 주일학교의 시작인 영국을 비롯하여 그 다음으로 불씨가 옮겨간 미국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 주일학교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다루고자 하는 주제인 주일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3 가지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는데, 첫 째, 주입식 교육의 문제점이다. 주입식 교육은 다른 말로 강의 전달식 교육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은 지식을 짧은 시간에 전달하고 주입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진정한 마음의 변화를 위한 장기적인 성화 교육에는 적합하지 않다. 둘 째, 연속적 교육의 문제점이다. 교육이라는 것이 신체적인 성숙과 나이에만 의존된다면 가만히 있어도 나이와 신체가 성숙되어짐에 따라 스스로 체득되고 변화되어야하지만 인간의 교육은 그러하지 못하다. 결과적으로 장기적인 목적에 필요한 계획은 무시하고 눈 앞에 닥친 문제 해결이나 학년 별 교육의 연속성만을 목표로 하여 교육한다. 세 번째, 주일학교 교육의 프로그램화의 문제점이다. 프로그램이 지니는 한계성은 프로그램화된 틀에 너무도 집중된 나머지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연례적인 교육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Ⅳ장에서는 볼르노의 비연속적 교육 방법을 활용한 주일학교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첫 번째, 비연속적 교육 방법의 형식으로 위기를 통한 주일학교 교육을 다루었다. 실존철학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잠재적으로 항상 위기 가운데 있다. 주일학교는 위기 가운데에 직면한 학생들을 위기 가운데서 건짐 받은 교사가 만나서 하나님을 연결 시켜주는 장소이다. 따라서 모두가 죄인이고 또는 죄에서 막 건짐 받은 은혜 받은 존재임을 깨닫고, 교사가 은혜주시는 예수 그리스도와 학생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감당할 때, 주일학교는 위기의 장소가 아니라 회복의 장소로 변화될 것이다. 두 번째, 비연속적 교육 방법의 형식으로 각성을 통한 주일학교 교육을 다루었다. 볼르노의 각성과 양심은 상당한 유사한 점들을 발견하게 된다. 볼르노가 말했듯이 각성 전의 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상태의 인간은 흡사 양심을 되찾기 전의 죄에 거하고 있는 죄인으로써의 인간과 비슷하다. 주일학교에서 학생의 생각과 영혼을 깨우고 새로운 변화를 위해 양심 교육을 통한 각성 교육이 행해져야 한다. 세 번째, 비연속적 교육 방법의 형식으로 충고를 통한 주일학교 교육을 다루었다. 볼르노는 충고는 각성과 긴밀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충고는 다른 이의 삶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교육자적 의도에서 다른 이의 삶에 가해지는 간섭을 의미한다. 설교는 설교를 듣는 자가 변화되는 것을 꿈꾸며 인간과 인간이 성령 하나님을 통하여 전하는 미래를 지향하는, 또는 미래를 준비하는 충고의 형태로써의 설교가 되어야 한다. 네 번째, 비연속적 교육 방법의 형식으로 만남을 통한 주일학교 교육을 다루었다. 볼르노는 만남이 교육적이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하나는 교사는 학생에게 인류의 위대한 인물들과의 교육적 만남으로 인도해야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만남들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제적으로 수업을 통하여 도야 지식의 폭을 넓히고 도야를 돕는 수업이라는 틀 안에서야 학생은 진정한 만남을 이루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일학교는 하나님과의 진정한 만남을 통하여 내면 깊숙한 곳이 변화되고 예수님의 성품과 인격을 닮아가는 학생으로 가르쳐야 하고 학생은 삶에서도 “그리스도의 향기”(고후2:15)을 나타내는 존재가 되기를 힘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 향후에 주일학교 교육에 대한 새로운 모색으로 평가와 점검이 이루어져서 날이 갈수록 어려워져가는 한국의 주일학교에 교육 현장에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필요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들로 보완되기를 바란다. 또한 주일학교 교육에 있어 인간의 실존적인 문제를 다룬 실존철학이 볼르노의 비연속적 교육으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원한다. 이를 통하여 미흡하나마 한국 교회의 주일학교가 양적으로 질적으로 더욱 성숙하고 부흥과 함께 성화로 이어지는 그리스도를 닮은 성도를 양산하는 기관이 되길 바란다.

      • 현용수의 가정신학 이론에 비추어 본 기독교 가정에서의 신앙교육내용 실천과제에 대한 실태조사 : 3대 이상 신앙 전수 가정을 중심으로

        심재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대인 부모들이 자녀를 교육하는 방법의 모범적 사례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독교 가정 안에서 적용하도록 연구한 현용수의 가정신학을 토대로 우리나라 기독교 신앙 가정들 특히 3대 이상의 기독교 신앙 전수 가정을 중심으로 기독교 가정에 대한 인식과 부모의 역할 인식, 기독교 신앙 전수를 위한 신앙교육의 내용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설문 결과를 토대로 기독교 신앙 전수 가정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초자료를 만드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 안에서 기독교 가정의 성경적 기원과 기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 안에서 기독교 가정의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은 어떠한가? 3.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신앙교육 실천과제의 실천 수 준은 어떠한가? 4.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 안에서 기독교 가정의 기원 과 부모에 대한 인식 과 실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밝히기 위해 현용수의 「신앙 명가 이렇게 세워라.」의 내용과 신앙교육 내용의 실천목록을 근거로 안면 타당도와 신뢰도를 구한 설문 도구를 서울 경기 지역의 중대형 교회 5곳에 3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기독교 전수 가정 (자녀를 포함하여 3대 이상 전수가정의 학부모 대상) 대상자들로부터 받은 응답 201부를 수거하여 기독교 신앙 전수 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식과 신앙교육의 내용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는 양적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기독교 가정 안에서의 가정에 대한 기능, 부모의 역할, 신앙교육내용의 실천수준 등 가정의 신앙에 대한 인식과 신앙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 주요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독교 가정 안에서의 가정에 대한 기능, 부모의 역할, 신앙교육 실천과제의 실천수준 등 가정의 신앙에 대한 인식과 신앙교육 실천과제의 실천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 test와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규명을 위해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전수 가정 안의 신앙 이루어지는 기독교 가정에 대한 기원과 기능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51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 전수가정에서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인식 부분에서 아버지가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평균 4.13 어머니가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평균 4.12로 높게 나타났으나 아버지가 어머니의 역할을 인식하는 것은 3.70으로 어머니의 인식과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현용수가 제시한 실천적 신앙교육 실천과제가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실천 수준은 3.43으로 크게 높지 않으며 세부내용 중 ‘가정에서 평일에도 가정 예배를 드리고 성경공부를 시킨다.’ 자녀들에게 쉐마 말씀 등 성경 말씀을 외우게 하고 현관문에 붙여 놓아 나가고 들어오고 할 때마다 읽게 한다.’ ‘자녀들에게 안식일이나 절기에 대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교육하고 실시한다.’등은 실천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 가정의 기정의 기원과 기능,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신앙교육 실천과제의 실천수준의 차이는 가정의 기원과 기능에 대한 인식은 평균 4.51로 높은 편이며 아버지의 역할은 4.13 어머니의 역할은 3.98로 역할 인식도 높은 편이나 실천의 수준은 평균 3.43으로 크게 높지 않았다. 배경 변인에 따른 실천의 차이를 살펴보면 아버지는 3.29, 어머니는 3.47로 어머니가 실천 세부 항목 모두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 졸업은 3.45 대학 졸업은 3.43 고등학교 졸업은 3.41로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5대 4.02, 4대 3.33, 3대 3.44로 3,4대 신앙 전수 가정보다 5대 신앙 전수가정의 실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태 신앙자 3.30, 비 모태 신앙자 3.54로 모태 신앙자의 경우가 실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기독교 전수가정 안에서 기독교 가정의 기원과 기능,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높았으나 그에 따른 신앙교육내용의 실천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과 실천의 차이는 아는 만큼 행동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녀들은 부모들의 삶을 통해 배우게 된다. 기독교 가정의 부모들은 유대인의 삶을 통한 교육, 반복적인 교육 등을 통해 자녀들에게 자자손손 말씀을 전수하며 모범을 보인 것처럼 삶을 통한 교육, 말씀을 가르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모색이 필요하다. Abstract Jaeyim Shi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know the awareness and their educational contents of Christian mothers with three generations of Christian backgrounds. A questionaire with 44 items based on Family theology of Yongsoo Hyun were distributed to over 300 mothers and collected for data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1. What is the status of awareness toward the biblical origins and functions of the Christian family with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in Korea? 2. What is the status of awareness regarding the roles of father and mother in the Christian family with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in Korea? 3. How is the status of applying the practical tasks suggested by doctor Hyun Yong-soo to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in Korea? 4.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 concerning the origin and parents of the Christian family with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in Korea? To reveal such research problems, survey tools written together with an expert based on a practice list and the contents of 「Establish a great family of faith in a way like this」by Doctor Hyun Yong-soo we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300 surveys in 5 mid-to large churche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and 201 answers were collected from subject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school parents 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for over three generations including the children to inquire into the content of their awareness and faith education, and the survey data collected was analyzed as follows using the Quantitative statistics SPSS program.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quire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econ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inquire into awareness and the status of faith education involving the faith of the family which includes the function of family in the Christian family, the roles of father and mother, and the level of practice for the practice tasks. Third,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awareness regarding the family faith and the level of practicing faith tasks, which include the function of family in the Christian family, the roles of father and mother, and the level of practice for the practice tasks following the maj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Duncan's follow-up test was conducted to cla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wareness regarding the origin and function of the Christian family was on the high side with an average of 4.51. Second, concerning awareness for father and mother roles in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both appeared high with awareness regarding the father's role at an average of 4.13, and the mother's role at an average of 3.93. Third, the practice level of the practice tasks suggested by Doctor Hyung Yong-soo being carried out in Christian families in Korea was not very high with an average of 3.45, and particulars like 'We give family worship during weekdays in the home and tell the children to study the bible.', 'We make the children memorize scripture including the Shema and attach Scripture to the front door so that they can read when the come and go.', We make a program regarding the sabbath and the feasts for the children to educate them.' appeared to have a low level of practice. Fourth,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nd practice for the role of parents was high with an average of 4.51, while for the origin and function of the family for families transmitting Christianity, the role of the father was 4.13 and that of the mother was 3.98, but the practice level was not that high with an average of 3.43. When the difference of practice following background variables was looked into, the mother appeared to better practice all practice particulars than the father, and when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parents was higher and the period of faith transmission was longer, the practice level of the detailed practice list was also higher, while people born as a Christian had a higher level of practice than those that were not born as Christians.

      •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어머니의 선택요인 및 만족도 연구

        장옥경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및 직접적 요인에 대한 조사와 어머니의 신앙경력에 따른 기독교유아교육기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는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한 어머니의 선택요인과 신앙경력에 따른 만족도의 특성을 분석함으로 교회와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운영자들이 교육 수요자인 어머니에 대한 이해를 돕고 기독교유아교육의 질적, 양적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기독교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 어머니의 기독교유아교유기관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3. 어머니의 신앙경력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이다. 기독교유아교육기관으로는 교회부속 유치원, 신학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회부속 어린이집, 교회부속 선교원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675부를 배부하였으며 총 334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 처리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고려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신앙경력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주위의 평판’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해당 교육기관에 다녔던 부모님의 조언’이었다. 즉, 해당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정보의 출처와 내용이 주변의 평판을 통한 경험적인 자료들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에 비추어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은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우리 동네를 중심으로 한 경로당 및 복지관 등 이웃섬김 활동을 통해 기독교 유아교육을 실천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직접적 요인으로는 ‘유아기 신앙교육의 중요성’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은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통합된 수평적, 수직적 교육과정 운영으로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정체성을 세워 나가야 한다. 둘째, 어머니가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은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육과정의 연령별 적합성 및 연계성, 교육환경 영역에서 실내(교실)환경의 유아발달 적합성, 건강 및 안전 영역에서는 간식 및 급식의 식재료의 질과 양, 운영관리 영역에서 학급 당 교사 수 대 아동 수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어머니의 선택요인에서 기독교교육과정과 관련된 요인들은 영역별로 가장 낮은 빈도수를 나타내서 기독교교육과정과 관련된 요인들은 별로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독교유아교육기관은 어머니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교육과정에 대한 바른 기준과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부모교육 및 참여 활동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셋째, 어머니의 신앙경력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는 교육과정, 교육환경, 건강 및 안전, 운영관리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유아기 신앙교육의 중요성과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책임을 일깨워 주는 결과이다. 즉, 신앙경력이 높을수록 선택기준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갖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높은 만족도로 이어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은 ‘신앙경력’이 높은 어머니의 만족도를 토대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더불어서 상대적으로 ‘신앙 없음’의 변수에서 나타난 낮은 만족도 항목에 관심을 가져서, 기독교인이든 비기독교인이든 신앙경력에 관계없이 높은 만족도로 평가되는 접근성이 높은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 훈련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실태 조사

        유지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wareness and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en,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carrying out quality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o concentrate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different i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working a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four weeks from November 27th to December 27th, 2018 and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results. Regarding the tool used in this study, the tool is based on the tool used in the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performed by Ku Mi-Ran(2005) and Kim Young-Mi(2010) and the tool used in the study of investigating difficulties in the teachers who perform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chieved by Song Seon-hwa(2012).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ccording to determined study issues. Firs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MANOVA and Scheffé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awareness. Second,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chi-square test(x2)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difficulty.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goal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goal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en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s or higher a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ir educational goal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Thir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role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role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en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a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 role of teacher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Fourth,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teach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environment of institutions lacking to provide music education,” “lack of confidence in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Fifth, according to a survey of children's most difficult activitie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ody expression and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were "handling instruments," "listening to music," "singing" and "o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looking a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cher's background. Sixth,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most difficult s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activity type"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eaching musical concept," "managing music classes"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Seventh,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teaching musical concept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ck of teaching or basic skills"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Eighth,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e teacher's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environment lacking in music education,"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professors," and "other."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the infant 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Ni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the operation of classe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by teachers," "environment insufficient to provide music education,"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followed.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nges of the teac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e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asons why find it difficult to utilize the physical environment in music education, “because of the lack of budget by the institution, it was most difficult to purchase teaching materials, dioceses and instruments,” “because they are not in a position or place where they can be used easily,” and "other" were found in order.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changes of the teac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s very high. While there is a high awarenes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t has various difficulties in providing music education for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solutions are available to solve the difficul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higher quality infant music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infant music program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만 3-5세 담당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7일부터 2018년 12월 27일까지 총 4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구미란(2005)의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환경과 교육의 실제에 사용된 설문지와 김영미(2010)의 음악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활동의 실태에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였고,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설문지는 송선화(2012)의 유아음악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변량분석(MANOVA)과 사후검증 Scheffé를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어려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x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년제 대학교 졸업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음악교육 지도 시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을 조사한 결과, ‘신체표현 및 창의적 표현활동’이 가장 많았고,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 ‘노래 부르기’,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을 조사한 결과, ‘활동유형에 따른 교수방법’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 개념지도’, ‘음악수업 운영’, ‘기타’ 순으로 나타 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음악적 개념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교수방법 실시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홉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수업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열째, 유아음악교육에서 물리적 환경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기관의 예산부족으로 교재, 교구 및 악기 구입이 어려워서’가 가장 많았고, ‘활용하는 것이 번거롭고 귀찮아서’, ‘활용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교재, 교구 및 악기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위치나 장소에 있지 않아서’,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반면 유아음악교육을 실시하는데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유아음악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부딪히므로 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해결방안이 있는지 모색하고,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에 기초한 5세 누리과정의 재구성 -우리동네를 중심으로-

        전주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과 5세 누리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일반적 주제를 기독교적으로 다루고 있는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의 ‘창조’부분을 5세 누리과정과 비교분석하여 5세 누리과정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과 5세 누리과정의 철학적 배경과 목적,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는 어떠한가? 2.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과 5세 누리과정의 철학적 배경과 목적,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에 있어서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3.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의 ‘창조’부분이 5세 누리과정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으로의 재구성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4.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에 기초한 5세 누리과정의 재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내용은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 5세 누리과정의 철학적 배경과 목적,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를 알아보고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또한,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의 ‘창조’ 부분과 5세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의 개념 비교를 통해 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으로의 통합여부를 알아보고, 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으로의 재구성과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은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으로 바라보며, 하나님이 진리이심을 믿기에 5세 누리과정과 큰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창조세계의 주인을 하나님이라고 믿는 신본주의 사상을 갖는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은 인본주의 입장에 있는 5세 누리과정과 사상면에서는 큰 차이점을 보인다. 둘째,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의 창조 부분과 5세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의 통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기독교 세계관을 갖고 기독교 유아교육을 하고자 하는 준비된 교사가 교육을 시도할 때 더 많은 유아에게 영향력을 끼칠 것이며, 하나님의 창조세계와 5세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는 공통점이 많이 발견되어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실행할 때 유아들의 발달과 영적 성장을 위해 탁월한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에서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시도할 때 기독교인 교사가 묵상을 통해 성경이야기 수업을 준비해야 되기 때문에 영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유아들의 발달 뿐만 아니라 영적 성장도 기대할 수 있어 유아들이 하나님을 알고 제자화 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은 일반유아교육기관에서 인성교육프로그램으로 시간을 할애하여 기독교세계관에 입각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으로 시행이 가능하기에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책임을 담당하는 교사와 교사들의 헌신과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노력과 교사의 재교육이 정기적으로 필요하기에 교사 재교육을 위한 제도적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열방대학교 유아교육과정을 시행하기 위한 환경적인 노력과 준비된 교사의 모집이 필요하기에 준비된 기독교사를 위해 교회와 학교가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 소형 교회의 교육 현실에 관한 질적 연구

        이나영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소형 교회의 교육 담당자인 담임 목회자와 사역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소형 교회의 교육 현실을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소형 교회의 교육 담당자들이 소형 교회의 교육 현실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생생한 현장 속에 있는 그들의 관점에서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각 소형 교회들이 지금껏 어떻게 교회를 교육하기 위해 교회의 딜레마를 어떻게 극복 하려고 하는지, 교회의 개별적인 특징을 어떻게 살려내어 교육을 진행하는지를 밝히면서 소형 교회의 교육담당자는 현장에서 실제 어떠한 교육적인 부분을 원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더 나아가 기독교교육현장에서 어떤 교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수많은 소형 교회에게 유의미한 교육 자료일지 까지 고민해 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출석 교인이 100명 이하인 ‘소형 교회’의 교회 교육의 현장으로 범위를 결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선정된 소형 교회를 본인이 개척하여 담임목회를 하고 있거나, 교회에 청빙된 경우, 면담의 시점까지 교회에 3년 이상의 목회 기한이 지난 자로 대상을 선정하였고, 교육담당사역자라면 현재 담당 사역중인 교회에 3년 이상의 교육 사역을 지속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여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질문은‘소형 교회의 교회 내 교육의 현실은 어떠한가?’으로, 연구 질문을 탐구하기 위하여 심층 면담을 택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 범주와 이야기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슈퍼맨 목사가 있어야만 하는 교회’, ‘맨손으로 우물 파고 있는 교회’, ‘동상이몽을 가진 교회’, ‘교회생애주기 속 교회의 대응’, ‘그래도 이곳은 희망’로 다섯 개 영역으로 분류되었고, 그 아래 17개의 중심 주제, 59개의 의미 있는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면담 자료 속에는 이 외에도 많은 개념들이 있었으나 소형 교회의 교회 교육에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개념이나 연구 참여자의 사례 요약에 들어갈 내용은 제외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소형 교회에게 필요한 목회자’, ‘소형 교회에게 필요한 교회 교육’, ‘생태계적 관점에서 바라본 소형 교회에 필요한 도움’에 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소형 교회의 교육 현실은 소형 교회 목회자들이 겪는 딜레마와 희망으로 가득 차 있었다. 아이러니하지만 그들이 겪는 딜레마가 그들이 가지는 희망의 씨앗이기도 하였고, 그들이 희망을 걸었던 것이 소형 교회에게 문제점이 되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첫째, 소형 교회 목회자들은 그들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사역자를 필요로 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교육을 받아보는 것이 그들의 목회를 풍성하게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이론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와 실제 현장 속에서의 경험을 통해 다음 세대의 소형 교회 목회자들의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학교적인 차원에서도 앞으로의 사역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다. 둘째, 소형 교회는 평신도 사역자를 키워낼 수 있는 교회 교육을 필요로 한다. 평신도 사역자를 양성하는 것은 소형 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안정되기 위하여 실질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셋째, 소형 교회는 교회생애주기를 따르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것이 성도들의 생애발달주기와도 맞물려 돌아가고 있다고 보기도 했다. 주로 이 현상은 목회의 연한이 오래된 경우에 나타났는데, 이것은 목회의 연한이 짧은 경우 교회생애주기를 경험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교회생애주기를 경험하고 있는 소형 교회의 모습은 소형 교회도 규모에 관계없이 교회가 일반적으로 겪는 문제들을 겪게 됨을 시사하기도 하고, 소형 교회의 교육 현장에서 계속적으로 어떤 주기를 겪고 있는지 평가해야 함을 의미한다. 넷째, 소형 교회는 혼자서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교회 생태계적 관점에서 소형 교회의 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소형 교회의 문제는 그들이 담당하고 있지만, 소형 교회는 하나의 유기체로써 주변의 수많은 소형 교회들과, 중대형 교회들, 그리고 사회적인 분위기와 환경, 제도화 된 법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소형 교회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된 교회들이 힘을 합쳐야 됨이 절실하다.

      • 우리나라의 유보통합을 위한 개선 방안 모색

        김현정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integration of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two-way system, and compared them with foreign cases to study the operational measures that fit the current state of Korea's reservation integration. The nation consists of a kindergarten educatio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a two-way system divided by nursery care, which provides care for infants on behalf of parents. However, international trends, including OECD countries, are shifting to a monolithic system that allows the integration of infant education and childcare to provide services. Accordingly, Korea has implemented standard child care courses for ages 0-2 and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as part of the conservation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e reservation integration is to ensure the equality of starting points by providing quality education and care for all infants. Therefore, mitigating the qualitative gap between institutions and teachers through the integration of nursery education will ultimately create an optimal environment for infants, which will affect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heir well-being. Recognizing the benefit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esent suggestions and alternatives to the system and implementation process that are emerging in the process through a review of overseas cases.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carried out in a more efficient direction. In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conservation integration for the purpose of ensuring the equality of starting points by providing quality education and care for all infants, mitigating the qualitative gap of institutions and teachers through the integration of nursery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creating an optimal environment for infants. First, the integration should be promoted by promoting a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organization that can encompass and accommodate important tasks through social consensus. Although the center of the reserved integration is infants, the integration that has been pursued has been focused on social tasks and interests.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inistries should be organized through a prior social consensus to encompass the functions of infant education and the unique functions of childcare needed in the development of infants should be improved in administrative and fiscal efficiency Second, it is required to upgrade the system of gender, which can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teachers, and prepare an integrated teacher plan. Until now, the two ministries' Lee Won-hwa have shown that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service can cause a difference in teachers' education qualifications and career 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upward revision of the teachers' system and an integrated teacher plan through the readjustment and integration of the leg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to achieve qualitative improvement. In addition, the quality level should be raised 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treatment of teachers who directly guide and care for infants and infants. Third, we could see that the efficiency of financial use should be increased by preparing measures for consolidation of resources and stable resource assurance. The two ministries' dual waste of budget, conflict betwee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nd confusion among parents were evident. Therefore, through the preparation and redistribution of stable resources, the gap between the two agencies should be resolved, the burden of parents should be reduced, and the ease of use sh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public should be strengthened by preparing an accounting operating system, support and management system that can enhanc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Fourth, it was found that a consistent protection and regulation system and efficient policies were needed by readjusting and revising dualized laws. Lee Won-hwa, which is applying the two laws, has caused conflicts and competition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dding to unnecessary confusion among infants and parents. It is also a factor that fails to drive consistent and effective policies. To this end, policies for the well-being of infants, which are beneficiaries, should be implemented by unifying the two laws for infants and establishing consistent, medium and long-term vision and development goals. In promoting baby-sitting integration, the government is only trying to push for external integr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terests and positions of suppliers such as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administration departments. The results showed a variety of problems and conflicts. From now on, we hope that further integration measures will be taken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that can guarantee children's rights through social consensus that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are equally considered.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이원화 체계였던 유아교육과 보육시설의 통합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장․단점을 살펴보고 외국사례와 비교 고찰하여 우리나라 유보통합의 현황에 맞는 운영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리나라는 유아의 발달을 위한 교육에 중점을 둔 유치원교육과 부모를 대신하여 유아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어린이집 보육으로 구분한 이원화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OECD 국가들을 비롯한 국제적인 추세는 유아교육과 보육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일원화 체계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유보통합을 위한 일환으로 0-2세를 위한 표준보육과정과 3-5세를 위한 누리과정을 실시하고 있으며 재정적 통합에 대한 노력을 해왔으나 현재는 유보상태에 놓여있으며 유보통합에 대한 논의가 잠정 중단 된 상태이지만 앞으로 반드시 이루어져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유보통합의 목적은 모든 영유아에게 양질의 교육과 돌봄을 제공하여 출발점의 평등성을 보장하는데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통해 기관, 교사의 질적 격차를 완화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영유아를 위하여 최적의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영유아발달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점을 깊게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보통합 현황을 해외사례 고찰을 통해 추진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제도와 시행과정의 문제점과 방향성을 찾아 시사점과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 유보통합이 보다 효율적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영유아에게 양질의 교육과 돌봄을 제공하여 출발점의 평등성을 보장하는데 목표를 두고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통해 기관, 교사의 질적 격차를 완화하고 영유아를 위하여 최적의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유보통합의 대안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합의를 통한 중요업무를 포괄하고 수용할 수 있는 행정, 재정조직을 추진하여 통합을 추진하여야 한다. 유보통합의 중심은 영유아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추진하여온 통합은 사회적 과제와 이해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의 발달에서 필요한 유아교육의 기능, 보육 고유의 기능을 포괄할 수 있는 사전적 사회적 합의를 통한 행정, 재정 부처를 조직하여 행정, 재정의 효율성을 높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을 기를 수 있는 양성체계를 상향 조정하고 통합교사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동안 관련법과 두 부처의 이원화로 교사의 학력 자격요건 경력 처우 등의 차이가 커서 서비스 질에도 차이점이 유발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질적 제고를 이루기 위한 법률, 행정, 재정 지원체계의 재정비와 일원화를 통하여 교사양성체계의 상향정비와 통합교사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영·유아를 직접지도하고 돌보는 교사의 처우와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질적 수준을 제고 하여야 한다. 셋째, 재원의 통합 방안과 안정적 재원확보의 방안을 마련하여 재정사용의 효율성을 높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부처의 이원화로 재정의 이중적 낭비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갈등, 학부모의 혼란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안정적 재원의 마련과 재분배를 통하여 양 기관의 격차를 해소하고 부모의 부담을 줄이고, 이용의 편의성을 높여야 함을 볼 수 있다. 또한 투명성과 책무성을 높일 수 있는 회계운영체계와 지원, 관리체계를 마련하여 공공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이원화되어 있는 법령을 정비하고 개정하여 일관성 있는 보호와 규제의 제도를 마련하고 효율성 있는 정책의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법령을 적용하고 있는 이원화로 인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갈등과 경쟁을 초래하였고 유아와 학부모들에게 불필요한 혼란을 가중 시키고 있다. 또한 일관성 있고 효율성 있는 정책을 추진 못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영유아를 위한 두 법령을 일원화하고 일관성 있고 중, 장기적인 비젼과 발전 목표를 설정하여 수혜자인 영유아의 행복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유보통합을 추진함에 있어서 중심을 영유아에게 두지 못하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행정 부처등과 같은 공급자들의 이익과 입장을 고려한 외형적인 통합만을 추진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문제점과 갈등이 나타났다. 앞으로는 영유아와 부모 등 수요자의 입장도 동등하게 고려한 사회적 합의를 통하여(이정욱, 2017) 아동의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는 교육, 보육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통합 방안이 더 마련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