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영숙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임상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 영 숙 초당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이 정 희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임상 간호사의 근골격계 증상 발생 영향요 인을 파악하기 위해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65명으로 자료 수집은 2023년 5월 11일부터 5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은 SPSS/WIN 2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와 X2-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이분형 로 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개발한 도구를, 안미경과 노재훈(2003)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피로는 일본 산업위생협회(1988)가 제안하여 표준 화한 자각 증상 조사표(subjective of fatigue test)를 김신정, 성명숙이 국문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근골격계 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NIOSH)의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관리 기준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한 도구 안전보건공단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인 근골격계 질환 증상표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3.42점으로 하위영역으로 업무량 과중이 3.81점으로 가장 높았고,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3.61점, 대인관계 갈등 3.39점, 역할 갈등 3.34점, 부적절한 보상 3.10점, 밤 근무 3.05점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서 근골격계 부상 예방 교육(t=-2.22, p=.028), 이직 의도(t=-2.81, p=.006), 육체적 부담(F=3.07, p=.02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평균 피로 정도는 2.92점으로 하위영역으로 신체적 피로 증상이 3.27 점으로 가장 높았고, 정신적인 피로 2.83점, 신경 감각적 피로 2.68점 순으로 나타났 다. 일반적·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피로에서 이직 의도(t=-2.85, p=.005), 직무의 육 체적 부담(F=6.9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양성자 기준 1에 근골격계 증상군으 로 98명(59.4%), 양성자 기준 2는 84명(50.9%), 양성자 기준 3은 26명(15.8%)으로 나 타났다. 6가지 신체 부위 중 양성자 기준 1에 허리 56명(57.1%), 어깨 53명(54.1%), 다리/발 41명(41.8%), 손/손목/손가락 29명(29.6%), 목 27명(27.6%), 팔/팔꿈치 7명 (7.1%)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유무를 분석한 결과 근무부서(X2=8.39, p=.038), 직무의 육체적 부담(X2=10.10, p=.018), 이직 의도 (X2=10.65,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수준은 근골격계 증상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가 있었고(r=.202, p=.005)(r=.130, p=.048), 직무스트레스는 피로 수준과도 유의한 양 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419, p=<.001). 5.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피로와 근골격계 양성자 분류에 따른 차이에서 양성자 기준 1에서 직무스트레스(t=-2.63, p=.009),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의 전문지식과 기 술 부족(t=-3.52, p=<.001), 업무량 과중(t=-2.06, p=.041), 대인관계 갈등(t=-2.35, p=.020) 순으로 근골격계 무증상 군보다 높았다. 양성자 기준 2에서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t=-2.86, p=.005)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냈다. 피로와 양성자 기준2(t=-2.45, p=.015), 양성자 기준 3(t=-2.05, p=.04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양성자 기준 1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t=-1.67, p=.097). 피로 하 위영역과 양성자기준 1, 기준 2, 기준 3에서 각각 신경 감각적 피로(t=-2.27, p=.024), (t=-3.39, p=<.001), (t=-2.84, p=.005)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을 보정한 모형에서는 근무부서에서 응급실 간호사가 2.94배(p=.042)(95% CI 1.04-8.34), 이직 의도가 있는 대상자가 2.20 배(p=.033)(95% CI 1.06-4.55), 육체적 부담이 “매우 힘들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1 2.28배(p=.035)(95% CI 1.19-126.62) 근골격계 증상 군이 될 승산비가 높았다. 반면에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 및 직무스트레스, 피로 하위영역을 보정한 모형에서는 응급실 간호사가 3.28배(p=.036)(95% CI 1.08-9.98), 이직 의도가 있는 대 상자가 2.73배(p=.018)(95% CI 1.18-6.31),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한 대상자가 2.94배(p=.007)(95% CI 1.34-6.46) 근골격계 증상군이 될 승산비가 높았다. 반면 피로의 하위영역인 정신적 피로에서 근골격계 증상군이 될 승산비가 0.42배(p=.018)(95% CI 0.20-0.86) 즉, 근골격계 증상이 있을 가능성이 58% 감소하였 고, 육체적 부담은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임상 간호사의 근무부서, 이직 의도,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피로 하위영역의 정신적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의 영향요인 임이 확인되었다. 이를 근거로 근무부서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예방과 관리가 필요 하고,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충분한 신규 교육 기간 및 의료기술의 변화, 첨단 장비나 기계 조작, 부서 이동 시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으로 인한 긴장감, 두려움, 압박감을 느끼고 이직을 선택하거나 근골격계 증상 발생 위험군이 되지 않도록 간 호사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병원 조직 및 실효성 있는 정책의 시행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임상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피로, 근골격계 증상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job stress and fatigue on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The objective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these symptoms, which are on the ri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1th to May 25th, 2023 in four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he Jeonnam region. Total of 165 nurse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responded to self-report structural questionnaires.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9.0 program. Various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X2-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instrument initially developed by Gu Mi-ok and Kim Mae-ja (1984) for measuring job stress was modified by Ahn Mi-kyung and Noh Jae-hoon (2003). Additionally, a supplementary tool was employed. To assess fatigue, the subjective symptom questionnaire (subjective of fatigue test), proposed and standardized by the Jap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1988)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Shin-jeong and Seong Myeong-sook, was utiliz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Musculoskeletal Disease Symptom Table, a guideline adapted from the 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management standards to suit domestic circumstances. The tool was employed for investigating harmful factors of musculoskeletal work burdens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level of job stress among the participants was 3.42 points, with the highest scores in the sub-areas of work overload at 3.81 point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t 3.61 points, interpersonal conflict at 3.39 points, role conflict at 3.34 points, inadequate reward at 3.10 points, and night shift at 3.05 points, appearing in descending order. The job stress significantly differed by musculoskeletal injury prevention education (t=-2.22, p=.028), intention to leave (t=-2.81, p=.006), and perception of physical workload (F=3.07, p=.029). 2. The participants exhibited an average fatigue level of 2.92 points, with the highest scores observed in physical fatigue symptoms at 3.27 points, followed by psychological fatigue at 2.83 points, and neurological fatigue at 2.68 poi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fatigue concerning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intention to leave (t=-2.85, p=.005), and perception of physical workload (F=6.96, p=<.001). 3. Among the clinical nurses, 98 (59.4%) reported musculoskeletal symptoms defined as positive Standard 1 of the 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84 (50.9%) for Standard 2, and 26 (15.8%) for Standard 3. By the six body parts, positive standard 1 included 56 participants (57.1%) repor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lower back, 53 (54.1%) in the shoulders, 41 (41.8%) in the legs/feet, 29 (29.6%) in the hands/lower back/fingers, and 27 (27.6%) in the neck. The lowest prevalence was observed in arm/elbow symptoms (7 people, 7.1%). Analyzing the pres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based on job-related characteristic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ing units (X2=8.39, p=.038), perception of physical workload (X2=10.10, p=.018), and intention to leave (X2=10.65, p=.001). 4. Both job stress and fatigu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r=.202, p=.005) and (r=.130, p=.048), respectively,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were found (r=.419, p=<.001). 5. Regarding differences based on the participants' job stress, fatigue, and musculoskeletal system positive classification, in Positive Standard 1, job stress (t=-2.63, p=.009),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job stress sub-area (t=-3.52, p=<.001), work overload (t=-2.06, p=.041), and interpersonal conflict (t=-2.35, p=.020)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in the musculoskeletal asymptomatic group. For Positive Standard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job stress sub-area of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2.86, p=.0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fatigue and Positive Standard 2 (t=-2.45, p=.015) and Positive Standard 3 (t=-2.05, p=.042), but not in Positive Standard 1 (t=-1.67, p=.097).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urological fatigue (t=-2.27, p=.024), (t=-3.39, p=<.001), and (t=-2.84, p=.005) were observed between the fatigue sub-area and positive standards 1, 2, and 3. 6. In a model adjusting for the participants'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the odds of being in the musculoskeletal symptom group were 2.94 times higher for emergency room nurses (p=.042, 95% CI 1.04-8.34), and 2.20 times higher for those who have intention to leave (p=.033, 95% CI 1.06-4.55). Additionally, the odds ratio of being in the musculoskeletal symptom group was 12.28 times higher for subjects with a very difficult physical burden (p=.035, 95% CI 1.19-126.62). Conversely, in a model adjust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fatigue subdomains, emergency room nurses were 3.28 times more likely (p=.036, 95% CI 1.08-9.98), and subjects with an intention to change jobs were 2.73 times more likely (p=.018, 95% CI 1.18-6.31). The odds ratio of being in the musculoskeletal symptom group was 2.94 times higher for subjects lack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job stress sub-area (p=.007, 95% CI 1.34-6.46). However, in the case of mental fatigue, a sub-area of fatigue, the odds ratio was 0.42 times (p=.018, 95% CI 0.20-0.86), indicating a 58% decrease in the likelihood of having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physical burden did not appear to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In summar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working unit, intention to leav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job stress sub-area, and psychological fatigue in the fatigue sub-area were influencing factors on nurses’musculoskeletal symptoms. Consequently, proactive measures are essential to prevent and manage musculoskeletal symptoms,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department of work. To alleviate job stress,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adequate training periods for nurses adapting to new technologies, address tensions and anxieties arising from a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when operating cutting-edge equipment or machines, and facilitate smooth transitions between working units. It is suggested that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encompass not only individual efforts by nurses but also the implementation of organizational policies within hospitals to mitigate pressure, reduce the likelihood of job changes, and minimize the risk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symptoms. Key words: clinical nurse, job stress, fatigue, musculoskeletal symptoms

      • 임상간호사의 그릿, 공감역량, 팀워크,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순희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임상간호사의 그릿, 공감역량, 팀워크,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 순 희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이 선 희 본 연구는 종합병원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릿, 공감역량, 팀워크, 간호 근무환경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 술적 조사연구로 효율적인 간호 인력관리 방안 모색 및 직무만족 향상 프로 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3년 7월 10일부터 7월 30일까지 G광역시와 J도 소재 4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임상경력 1년 이상이고 환자간호를 직접 수행하는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 문지를 제외한 186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박효선 등(2020)이 개발한 임상간호사의 그릿 측정도구, 이영진 (2014)이 개발하고 Lee & Seomun(2016)이 수정·보완한 공감역량 측정도구, Larson & Lafasto(1989)가 개발하고 김태백(2006)이 한국어로 번역·재구성한 척도를 조미라(2012)가 수정한 팀워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근무환경 은 Lake(2002)가 개발하고 조은희 등(2011)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 였고, 직무만족은 이병숙 등(2018)이 개발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측정도구 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그릿은 4점 만점에 평균 2.98±0.37점,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3.74±0.49점, 팀워크는 5점 만점에 평균 4.06±0.57점,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평균 2.77±0.42점,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61±0.5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그릿은 연령(F=17.33, p<.001), 결혼상태(t=4.61, p<.001), 직위(F=8.98, p<.001), 근무형태(F=11.82, p<.001), 연봉(F=7.27, p<.001), 총 임상경력(F=12.53, p<.001), 현 병원경력(F=10.90, p<.001), 월 야간근무 수(F=5.3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공감역량은 연령(F=5.96, p=.003), 결혼상태 (t=3.27, p=.001), 직위(F=5.65, p=.004), 근무형태(F=6.60, p=.002), 연봉(F=3.80, p=.011) 총 임상경력(F=3.63, p=.028), 현 병원경력(F=3.41, p=.035)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팀워크는 연봉(F=2.77, p=.043), 간호근무환경은 종교(t=-2.48, p=.014)에 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만족은 연령(F=7.75, p=.001), 결혼상태(t=3.25, p=.001), 종교(t=-2.49, p=.016), 직위(F=3.73, p=.026), 근무형태(F=4.34, p=.014), 연봉 (F=5.26, p=.002), 총 임상경력(F=6.11, p=.003), 현 병원경력(F=3.43, p=.034)에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직무만족은 그릿(r=.56, p<.001), 공감역량(r=.65, p<.001), 팀워크(r=53, p<.001), 간호근무환경(r=.61, p<.001)과 양의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4.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근무환경(=0.36, p<.001), 공감역량 (=0.35, p<.001), 그릿(=0.18, p=.002), 팀워크(=0.16, p=.003), 연봉이 5,000만원 이 상(=0.15, p=.005)과 3,000만원 미만(=0.10, p=.040)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직무만 족을 65.9%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그릿, 공감역량, 팀워크, 간호근무환경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 과를 토대로 임상간호사의 그릿, 공감역량, 팀워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 램 개발과 함께 충분한 간호 인력과 물질적 지원을 통해 간호근무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주요어: 임상간호사, 직무만족, 그릿, 공감역량, 팀워크, 간호근무환경

      • 임상간호사의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하경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임상간호사의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 하 경 초당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선 춘 자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연명의 료 중단에 대한 태도, 연명의료에 대한 간호역할 인식을 파악하고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 구 대상자는 전라남도 M 지역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200명을 편의 표 집하였으며 본 연구 수행에 활용된 자료는 2023년 8월 12일부터 2023년 8월 31일까 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시행되었다. 총 18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1.0(17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증(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20대가 49.4%로 나타났고, 88.3%가 여성이었 다. 미혼이 68.3%였으며 종교는 무교가 67.2%이었고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93.9%로 직위로는 일반 간호사가 80%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은 5년 미만 50%로 근무부서는 외과계 병동이 29.4%였고, 최근 1년 이내 연명의료 경험이 없다고 답한 그룹이 82.2%였다. 사전연명의료이행서의 필요성의 질문에 필요하다고 대 답한 그룹은 96.7%이고, 연명의료 중단 의사 결정시 간호사의 참여 여부의 질문 에 필요하다고 대답한 그룹이 46.1%로 나타났으며, 연명의료의 목적에 관한 질 문에서는 수명 연장이 58.3%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좋은 죽음 인식은 평균 3.05 점이었으며 하부영역별 점수는 임상 증상 3.19점, 삶의 마감 3.00점, 통제감 유지 2.81점 순으로 나타났다. 사전연명의료의 향서 지식은 평균 8.49점, 연명의료 중단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7점으로 나 타났다. 연명의료에 대한 간호역할 인식은 평균 3.86점이었다. 연명의료 간호 스 트레스는 평균 3.76점이었으며 하부영역별 점수는 연명의료 중단과 연장의 딜레 마 3.93점, 연명의료 간호 부담 3.89점, 정신적 소진 경험 3.86점, 보호자와의 갈등 3.74점, 대상자에 대한 연민 3.52점, 연명의료 장비 조작 부담 3.19점 순 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연령(F=9.38, p=.005), 결혼(t=-2.97, p=.003), 직위(t=-2.52, p=.012), 경력(F=5.67, p=.004), 근무부서(F=3.20, p=.014), 최근 1년 이내 연명의료 경험 (F=2.22, p=.028), 연명의료 결정시 간호사 참여 여부(F=5.54, p=.005)이었다. 사후 검정한 결과 40세 이상, 10년 이상, 연명의료중단 의사 결정시 간호사가 참여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본 연구에서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는 좋은 죽음 인식(r=.342, p=.001),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r=.228, p=.002), 연명의료에 대한 간호역할 인식(r=.354, p=.001) 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내과계 병동(β =-.209, p=.044), 중환자실(β=-.208, p=.045), 연명의료에 대한 간호역할 인식(β =.177, p=.030), 좋은 죽음 인식(β=.163, p=.046)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설명력은 26.4%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명의료 중단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연명의료 결 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간호사의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좋은 죽음 인식을 증가시키고, 연명의료 결정시 간호사의 역할을 명확하게 정립할 수 있는 역할 관련 매뉴얼을 개발하여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주요 개념어 : 간호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죽음, 스트레스, 역할

      • 준·고령자 은퇴 유형에 관한 연구

        박종필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준·고령자 은퇴 유형에 관한 연구 朴 鍾 弼 草堂大學校 一般大學院 社會福祉學科 社會福祉學 指導敎授 朴 俊 燮 최근 우리는 IMF의 후유증과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가 겹치면서 고용시장이 불안정하게 되어 조기은퇴자의 발생이 그 어느 시기보다 증가되었다. 지금 한국사회의 조기은퇴는 충분한 노후재정자원이 뒷받침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은퇴여서 더욱 문제가 된다. 그 해결방안으로 준·고령 근로자의 은퇴를 지연시켜 이들의 노동력을 적극 활용하고, 준·고령 근로자 스스로 노후소득원을 마련하도록 하는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러한 방안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준·고령 근로자 및 예비은퇴자들이 은퇴하는 과정에서 은퇴이후의 생활을 대비할 수 있는 환경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시기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준·고령 근로자들의 은퇴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보고 그 은퇴 유형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2011)를 사용하여, 이들의 인구 사회학적·경제적·생애직업 특성을 비교하고, 이들이 어떠한 은퇴유형을 선택하는가를 파악하였다. 통계적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검증 및 카이제곱 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직업에서 은퇴 후 소득 생활에서 완전히 떠나는 은퇴경로를 택한 사람들(완전 은퇴자)은 여성의 비중이 더 높았으나, 징검다리식으로 다른 직업을 선택한 후 서서히 경제생활에서 은퇴한 집단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완전은퇴자 집단보다 징검다리식 은퇴자가 상대적으로 고연령층이 더욱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전은퇴자집단이 공적이전소득 수준은 더 높았으나, 사적이전소득 수준은 징검다리 은퇴경로 집단이 더 높았고, 완전 은퇴경로 집단의 순자산 규모가 징검다리 은퇴경로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징검다리 은퇴경로 집단이 완전 은퇴경로 집단에 비해 더욱 취약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징검다리 은퇴경로 집단은 생애직업에서 기능원·단순노무직종사자의 비중이 높았고, 완전 은퇴경로집단에 비해 생애직업에서의 평균 근속년수가 짧고, 임금수준도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나 생애직업에서의 근로환경은 징검다리 은퇴경로 집단이 완전 은퇴경로 집단에 비해 더욱 열악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준·고령근로자들이 은퇴경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여성보다 남성이, 50대보다 60대와 70대 이상이, 공적이전소득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생애직업에서의 임금수준과 생애직업 종료연령이 높을수록 징검다리 은퇴경로를 선택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낮았고, 현재 부채 총 잔액이 많을수록 징검다리 은퇴경로를 선택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징검다리 은퇴경로 집단이 완전 은퇴경로 집단에 비해 경제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 면에서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은퇴 후 경제구조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노후보장에 취약점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준·고령 근로자들이 징검다리 은퇴경로를 선택하는 데 있어 은퇴 후 부족한 노후재정마련이라는 경제적 이유가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이 생애직업 이탈 후 연결직업의 지속을 통해 징검다리로 은퇴시기를 지연시켜 근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근로환경 마련과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The Determinants of Older Worker's Retirement Pathways Park, Jong Pil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dang University A Variety of retirement types and processes are the major interest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in these day. Because the population continues to age and the early retirement trend increases, there has been a great change in retirement process. Bridge-stone retirement is the one of them, the importance of it continues to increase. As Bridge- stone retirement process makes the older workers can secure their life after the retirement on their own. This is the reason why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have to support the Bridge- stone retirement process. So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ridge- stone retirees compared to immediate retirees and the determinants of selecting Bridge- stone retirement pathways. This study compared demographic, economic and career job characteristics between immediate retirement group and Bridge- stone retirement group. From the 2011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lS), 780 immediate retirees and 265 gradual retirees were selected. A t-test, chi-squares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as completed. The findings of this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gender and age differences between immediate retirement group and Bridge- stone retirement group. The Bridge- stone retirement group has a high proportion of male workers and older workers compared to the immediate retirement group. Second, the Bridge-stone retirement group has higher level of public transfer income than the immediate retirement group, but private transfer income level is lower than the immediat

      • 혈액투석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 및 피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영희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피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M시에 소재한 400병상 이상 3개 종합병원과 1개 투석전문의원에서 말기 신질환 진단을 받고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18세 이상의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6월 3일부터 7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가족지지는 강현숙(1984)이 Cobb (1976)의 도구를 수정 보완한 도구, 자기효능감은 김주현(1995)이 개발한 구체적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피로는 Tack (1991)이 개발한 피로측정도구를 최은영(2005)이 수정 보완한 도구, 삶의 질은 The WHOQOL Group (1988)에서 개발한 WHOQOL-BREF를 민성길(2000)이 표준화한 한국형 WHOQOL -BREF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1점이었고, 자기효능감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77점이었다. 피로 정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5.02점이었고, 삶의 질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89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는 결혼상태(F=19.36, p=.000), 교육정도(F=4.95, p=.001), 직업(F=2.44, p=.027), 월수입(F=17.19, p=.000), 가족동거(F=16.55, p=.000), 돌봄 제공자(F=16.75, p=.000), 치료비용 부담(F=7.99, p=.000), 입원횟수(F=3.72, p=.046), 보험(t=-3.74,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결혼상태(F=4.71, p=.010), 월수입(F=7.52, p=.000), 가족동거(F=4.38, p=.002), 돌봄 제공자(F=5.87, p=.000), 치료비용 부담 (F=3.56, p=.00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로는 연령(F=4.39, p=.001), 교육정도(F=4.51, p=.002), 직업(F=2.99, p=.008), 월수입(F=6.82, p=.000), 돌봄 제공자(F=3.38, p=.011), 치료비용 부담(F=2.65, p=.035), 입원횟수(F=5.8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결혼상태(F=6.69, p=.002), 교육정도(F=7.00, p=.000), 직업(F=4.65, p=.000), 월수입(F=12.99, p=.000), 가족 동거(F=5.80, p=.000), 돌봄 제공자(F=5.00, p=.001), 치료비용 부담(F=4.04, p=.004), 입원횟수(F=3.26, p=.023), 보험(t=-2.54, p=.01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 피로,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에서 가족지지는 자기효능감(r=.470, p=.000), 삶의 질(r=.459, p=.000)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피로(r=-.322, p=.000)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피로(r=.-482, p=.000)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삶의 질(r=.434, p=.000)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피로는 삶의 질(r=.-648, p=.000)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피로 정도는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규명된 것은 가족지지(β =.155, t=2.18, p=.031), 피로(β=-.487, t=-7.73, p=.000), 월수입(β=.147, t=2.36, p=.019) 이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F=16.606, p<.000으로 회귀 모형은 적합하였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49.6%였다. 결론적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말기 신 질환자의 삶의 질은 가족지지, 피로, 월수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지지가 높고 월수입이 많을수록 피로 정도가 낮을수록 삶의 질은 더 향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다 다각적인 차원에서 규명해야 하며,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유형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진숙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 진 숙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자녀와의 의사소통유형이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또래관계를 보다 나은 방향으로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아버지와의 대화시간은 10분 미만인데 비해, 어머니와는 10분-30분 미만의 대화를 나누고 있으며,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또한,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개방적인 의사소통도 어머니와 더 많이 하는 데 비해,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학년은 또래관계와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고, 남녀공학은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 모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녀공학인 학교에 다니는 대상자들이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동거가족형태만 또래관계와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집안분위기가 화목하거나 경제형편이 매우 잘 살거나, 어머니와 주로 대화를 나누거나, 가족과 함께 대화나누기를 휴일에 주로 하는 대상자들이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집안분위기가 매우 화목한 대상자가, 경제형편이 매우 잘 사는 편이거나 잘 사는 편인 대상자가,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누는 가족구성원이 어머니인 대상자가 부모와의 의사소통이나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또래관계와 부모요인 모두, 그리고 부모의 의사소통과 부모의 나이, 부모의 직업, 어머니의 학력과 어머니와의 하루 평균 대화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버지의 학력이 4년제 대학 졸업자이거나, 아버지와의 하루 평균 대화시간이 30분-1시간인 대상자는 아버지와 의사소통(전체)과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부모와의 의사소통, 성별, 학년, 동거가족형태, 경제형편, 가족과 휴일에 주로 하는 일, 부모의 나이,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부모와의 하루 평균 대화시간은 또래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대상자는 원만한 또래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데 비해, 부모와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대상자는 비교적 원만하지 못한 또래관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남녀공학인 학교에 다니는 대상자들이거나 집안분위기가 화목하거나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누는 가족구성원이 어머니인 대상자는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또래관계와 각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모형 1]에서는 남녀공학에 다니는 대상자들일수록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모형 2]와 [모형 3]에서는 남녀공학에 다니는 대상자나 집안분위기가 화목하거나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누는 가족구성원이 어머니인 대상자들이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형 4]에서는 남녀공학에 다니는 대상자와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누는 가족구성원이 어머니인 대상자가 그리고 어머니의 나이가 적을수록, 부모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대상자들이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연구대상 지역이 전라남도 일부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청소년들의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이나 또래관계로 일반화하는 데는 일정한 제약이 불가피하므로, 도시와 농촌을 비교하거나 대상연령층을 다양화하여 비교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부모-자녀의사소통유형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들만을 규명하였으며, 그러한 요인들이 실제 어떤 경로를 거쳐서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분석을 시도하지 못했으므로, 개인 심리 내적인 요인들까지도 포함시켜서 여러 요인들이 실제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중소기업 CEO의 리더십 유형분석을 통한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경영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오광배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중소기업 CEO의 리더십 유형분석을 통한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경영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오 광 배 초당대학교 대학원 국제경영문화학과 지도교수 김 판 진 본 연구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및 경영성과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CEO의 리더십 유형 중 거래적 리더십의 예외관리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 만족광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EO의 리더십 유형 중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 만족과 조직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EO의 리더십 유형 중 변혁적 리더십의 개별적 배려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EO의 리더십 유형 중 변혁적 리더십의 지적자극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 만족과 조직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CEO의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적 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CEO는 조직구성원들에게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고 그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해 주고, 또한 조직구성원들의 본 인의 직무에 성취감을 느끼고 전반적인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존중하고 중요한 인 격체로 인정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조직구성원들은 개개인에게 주어진 직무를 - vi - 사랑하고 아끼도록 노력하고 CEO에 대한 존경심을 심어 주어 조직구성원들로부터 감정적인 존중을 받으며, 인간적 매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리더십의 자질을 갖 추도록 노력하고 조직 내에서도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둘째, CEO의 리더십 유형 중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 을 주기 때문에 조직구성원들을 하나의 인격체로 대우해주고 조직구성원들 서로 간 의 다른 욕구, 능력, 열정을 가진 인격체로 대해줌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을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즉, CEO들은 조직구성원들의 상호관계에 있어서 공평하 게 대해주고 조직구성원들의 개인적인 욕구를 파악하여 그것을 충족시켜 조직의 목 표를 달성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CEO의 리더십 유형 중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문 인력을 적절히 배치하는 리더십을 발휘하여 조직의 효율성과 성과가 상승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특히, 성과에 따른 조직구성원들에 대한 보상은 공평하고 공정한 정도와 기준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본 연구의 실증분 석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넷째, 중소기업 CEO의 리더십 유형 중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의 경영성과에 통 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직구성원들과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관계 를 유지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CEO의 리더십 유형은 조직의 경영성과 향상을 위해 리더십 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은 조직의 경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의 CEO는 조직구 성원들이 보상, 동기부여, 자존감, 가치관, 인센티브 등에 대해 만족을 통한 조직의 높은 경영성과로 목표를 달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등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인하여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중소기업 경영자의 리더십 역할은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이 인지하고 있는 최고경영자의 거래 적·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여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최고경영자의 효율적인 리더십 유형의 발 - vii - 휘를 통한 조직의 높은 목표달성의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적 한계로 전남지역에 있는 중소기업의 조직구성원들만을 대상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논문의 확장성에 대한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의 리더의 리더십 관련하여 설문을 통 한 실증 분석으로 횡단적 연구만 하였다는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viii -

      • 청소년의 검도 수련만족,자기효능감,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장성홍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31

        청소년의 검도 수련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장 성 홍 초당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지도교수 안 병 수 청소년기는 인생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로서 발달적 중요성을 갖는다.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도 성장과 기초가 이루어지는 시기에 스포츠 활동 참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건전한 인간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과외스포츠 활동으로서 검도 수련을 하는 것이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 기회를 부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되기에 검도 수련이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를 밝혀서 청소년들의 검도수련의 구체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것과 동시에 청소년 검도 수련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2017년 5월 현재 검도수련을 하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286명을 분석 처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수련만족 설문지는 Beard와 Rargeb(1980)가 개발한 스포츠활동 만족 설문지를 이종길(1992)이 번안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김재원(2014) 및 김한민(2015)이 사용한 설문지, 자기효능감 설문지는 서보영(2003), 박경애(2006), 김선미(2011), 장혜원(2016)이 사용한 설문지, 사회성 설문지는 김수진(2009), 김선미(2011), 서산성(2014), 서정일(2017)이 사용한 설문지, 학교생활적응 설문지는 김백수(2008), 배영필(2013), 황우진(2017)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각각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인 Cronbach’ α값은 .751~.689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고 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 Program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검도수련생의 수련만족, 자기효눙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으로 t-test,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별 평균차에 대해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 하였고, 각 하위 변인들 간의 관련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는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검도 수련생의 수련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의 문항들에 대한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수련만족이 자기효능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련만족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련만족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련만족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인 이외에도 검도수련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밝힌 모델이 최적모델이라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변인보다 더 구체적인 변인들을 통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검도수련을 하는 초‧중등학생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에 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여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과 스포츠 활동의 역할에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미용경영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와 삶의 질에 미치는 관계 연구

        김경옥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of beauty managers on job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Kim Kyeong-Ok Major in International Culture Business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Culture Business Administration, Chod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rected by Professor Kim, Gyeong Cho In this study, the effect of job stress of beauty managers on quality of life was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 managers was examined using resilience and job performance as parameters. In addition, differences in job stress, resilience, job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der, diet, age difference, education level, major major, workplace location, monthly income, and management period were examined. In order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is study, basic data that can solve the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stress experienced by beauty managers were presented. From July 1 to September 30, 2021, a survey was conducted on 480 beauty manager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for about three months. Before the surve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fully explained to the survey participant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contents. Of the 480 questionnaires recovered from the survey participants, 468 questionnaire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as data for empirical analysis, and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with structural equation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Two Step Approach method suggested by Anderson & Gerbing (1988) was used. In step 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entrated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were performed. In step 2,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suitability between the variables was judged.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of resilience and job perform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 managers was verified using the bootstrapping technique. Finall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job stress, resilience, job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managers.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esilience, job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Second,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Third,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Fourth, resilience and job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and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Maintaining resilience such as positive tenacity and optimism, and having a sense of purpose and sense of achievement for job performance is a way to improve quality of life while coping with job stress. Happiness for quality of life is a state in which one has the ability to independently control one's behavior, and it must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one has control and dominance over the changing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n intrinsic motivation to pursue a purpose for life. It is thought that only after such a relationship can the beauty manager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hile coping with job stress. Therefore, by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respond to job performance and improving resilience, the beauty manager can solve the stress experienced during the job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data that can help beauty manager solve job stres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and job performance. 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 managers. For this reason, various ways to cope with job stress of beauty managers should be suggested. Beauty managers must pursue optimism while having the strength and control themselves to solve stress, adapt to the social environment, and improve mental health. In addition, receiving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can be one way, and it is considered that resilience needs to be studied as a meaningful variable when coping with stress and reducing anxiety experienced by beauty managers.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performa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 managers. When beauty managers experience a stressful situation, the overall ability to adapt to their job is reduced,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As a way to cope with life 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receive various social information through consultations with others to achieve job performance, and by positively improving performance goals, in order to prepare for social isolation due to work, the necessary managemen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job performance while conditionally coping with negative job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tivation to internalize oneself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for beauty managers to achieve their own internalization, management goals should be centered on quality of life rather than performance. In this study, beauty manag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while conducting a study o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job performance were used as limiting variables. Therefore,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beauty managers by developing various variables should be conducted. Key words : beauty manager, job stress, resilience, job performance, quality of life 미용경영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와 삶의 질에 미치는 관계 연구 김 경 옥 초당대학교 대학원 국제문화경영학전공 지도교수 김 경 조 본 연구는 미용경영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와 미용경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직무성과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용경영자의 성별, 식사 여부, 연령 차이, 교육 정도, 주전공, 사업장 위치, 월 소득, 경영 기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직무성과,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미용경영자가 받게 되는 스트레스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2021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3달 동안에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소재하는 미용경영자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에 있어, 설문조사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조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 회수한 설문지 480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468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Anderson & Gerbing(1988)이 제시한 Two Step Approach 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1단계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최대우도법을 이용해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변수 간의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또한, 미용경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간접효과를 분석하고, Baron & Kenny(1986)의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미용경영자의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직무성과,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탄력성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성과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회복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는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성과는 회복탄력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경영자가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면서 삶의 질을 높이려면, 개인이 긍정적 강인함과 낙관성 등의 회복탄력성을 유지하고, 직무성과에 대한 목표의식과 성취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삶의 질에 대한 행복은 독립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능력이 있는 상태이며, 변화하는 주위 환경에 대하여 통제력 및 지배력을 가지고, 삶에 대한 목적을 추구하고자 하는 내적 동기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야 미용경영자가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면서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미용경영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를 해결하여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직무성과에 대한 대응력이 요구되고,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방안이 요구된다. 미용경영자가 직무스트레스를 해결하고 회복탄력성과 직무성과의 중요성을 이해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로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에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경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미용경영자의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스트레스를 해결하며 사회 환경에 적응하고 정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스스로 강인함과 통제력을 가지면서, 낙관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족, 친구들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미용경영자가 겪고 있는 스트레스를 대처하고 불안 심리를 낮추고자 할 때 회복탄력성은 의미 있는 변수로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미용경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성과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경영자들이 스트레스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직무에 대해 전반적으로 적응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삶의 질이 감소한다고 사료된다. 생활스트레스를 대처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직무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주변과의 상담을 통하여 다양하게 사회적 정보를 제공받아야 하며, 성과목표를 긍정적으로 개선하여 직무로 인한 사회적 고립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경영정보를 제공받아야 할 것이다. 또한 일상적으로 관심이 적게 요구되는 부정적 직무성과에는 조건적으로 대처하면서 직무성과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자신의 내면화에 동기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미용경영자는 경영목표를 성과 중심보다는 삶의 질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하여 자신의 내면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용경영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회복탄력성과 직무성과로 제한된 변수를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다양한 변수를 사용하면서 미용경영자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성지능, 건강증진행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곽영기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성지능, 건강증진행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곽 영 기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주 애 란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성지능, 건강증진행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의 감소와 감성지능 고취 및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이직의도를 감소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8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 J도에 소재한 10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524명을 편의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하였다. 연구도구는 감정노동은 Morris와 Feldman (1996)이 개발한 도구를 김민주(1998)가 번역한 도구를, 감성지능은 Wong과 Law (2002)가 개발한 도구를 윤영란(2012)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등(1995)이 개발한 도구를 서현미(2000)가 번안한 도구를, 이직의도는 Lawler (1983)가 사용한 도구를 김영란(200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정노동, 감성지능, 건강증진행위 및 이직의도의 정도에서 감정노동은 평균 3.27점, 감성지능은 평균 3.43점, 건강증진행위실천은 평균 2.15점, 이직의도는 평균 3.25점으로 각각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성지능, 건강증진행위 및 이직의도의 차이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은 연령(F=2.42, p=.035), 직위(F=5.77, p=.001), 급여(F=3.64, p=.006)에서, 건강증진행위는 연령(F=2.59, p=.025), 종교(F=5.41, p=.001), 직위(F=2.94, p=.033)에서, 이직의도는 연령(F=8.91, p=.001), 결혼상태(t=50.03,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근무 관련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은 근무형태(t=4.17, p=.042)에서, 감성지능은 이직경험(t=4.13, p=.043), 총 임상경력(F=3.94, p=.008), 현 병원 경력(F=3.05, p=.028)에서, 건강증진행위는 근무형태(t=9.11, p=.003), 현 근무병동(F=3.63, p=.003)에서, 이직의도는 근무형태(t=40.40, p=.001), 현 근무병동(F=4.49, p=.001), 이직경험(t=13.44, p=.001), 부서이동경험(t=12.16, p=.001), 총 임상경력(F=9.88, p=.001), 현 병원경력(F=3.65, p=.01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감정노동, 감성지능, 건강증진행위 및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r=.341, p=.001)으로,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건강행위실천 건강증진행위는 낮아지는 것(r=-.102, p=.019)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실천이 높아지는 것(r=.385, p=.001)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이 높으면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r=-.127, p=.003)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높이며, 건강증진행위를 높게 실천할 때 감성지능도 높아지고 이직의도도 낮아지는 바 감정노동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 개발과 함께 병원을 포함한 각 산업장 단위의 정책과 지원이 요구된다고 본다. 주요어 : 감정노동, 감성지능, 건강증진행위, 이직의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