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송아연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미술치료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이야기하고 재구성하는지 알아보고, 어떤 의미를 주는지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3세 여아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아동센터를 내방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에게 2017년 03월 23일부터 2017년 04월 27일까지 주 2회, 화요일과 목요일마다 진행되었고, 매 회기는 1시간 소요되었다. 본 연구는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하여, 아버지의 양육 태도에 대한 참여자의 삶을 들여다보고 작품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Clandinin &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가 미술치료를 통해 얻은 경험의 의미는 자신의 감정을 눈으로 확인하여 <짜증의 감정>, <분노의 감정>, <감정의 해소>, <아버지를 향한 첫걸음>의 네 가지 의미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이는 미술치료를 통하여 시각화된 감정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아버지에 대한 감정을 비언어적으로 표현하여 거부감 없게 재경험 할 수 있게 했다. 그리고 미술치료를 통해 감정을 표출하여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과 문제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청이에게 있어서 미술치료는 아버지에게 다가갈 수 있는 노력과 조금씩 이해해 나가는 방법을 깨달았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수용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기회는 아버지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는 노력을 할 수 있게 했으며,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먼저 노력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압적 양육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미술치료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로 접근하여 한 사례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가능하며, 북한이탈 부모-자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임상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외 청소년 미술치료 연구동향분석 : 2010-2019년 논문을 중심으로

        최지원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의 국내와 해외의 청소년 미술치료의 연구동향을 살피고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청소년(adolescent)과 미술치료(Art therapy) 등을 검색어로 학술연구정보(RISS), 누리미디어(DBpia), 학술교육원(E-article), 한국학술정보원(KISS), Science Direct, Taylor & Francis Online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등재 학술지 게재 논문을 선정해 국내논문 130편, 해외논문 42편을 최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연도별 & 연구 영역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이며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2015년에 29편(22%)으로 가장 논문의 빈도수가 증가한 후 감소하였고 해외는 2016년까지 비슷한 빈도로 연구가 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였다. 연구유형별 동향에 따르면 미술치료 과정 및 성과 연구가 국내 97편(75%), 해외 25편(60%)으로 가장 빈도수가 높았다. 둘째,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97편(75%)으로, 해외는 24편(81%)으로 연구대상이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국내외 모두 10명에서 29명 사이의 집단 크기가 각각 54편(44%), 10편(25%)으로 많게 나왔다. 연구대상의 특성에서 국내외 모두 일반 청소년 대상이 가장 많았으나 두 번째로 높은 수를 보면 국내는 문제행동 특성이 40편(30%), 해외는 외상경험 특성이 12편(28%)으로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연구를 실행한 기관은 교육기관이 국내 69편(56%), 해외 14편(33%)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혼합연구가 46편(35%), 해외에서는 경험적 연구가 9편(21%)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 총 회기에서 국내는 10에서 19회기 진행이 74편(60%)으로 해외는 1에서 9회기 진행이 14편(35%)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내외 모두 주 1회 치료를 진행한 논문이 각각 49편(46%), 15편(43%)으로 나왔으며 국내는 60분이 30편(28%)으로, 해외는 알 수 없음을 제외하면 90분이 4편(11%)으로 높게 나왔다. 국내와 해외 모두 투사검사보다 객관검사를 측정도구로써 많이 사용하였으며 심리 정서와 관련된 주제를 다룰 때 가장 측정도구가 많이 사용되었다. 국내외 모두 미술치료 단일기법을 사용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자료 내용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자료분석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였다. 넷째, 연구내용별 연구동향에서 국내는 자기 관련 변인이 45회(28%), 해외는 심리 정서 변인이 18회(39%)로 가장 빈도수가 많게 나왔으며, 연구주제에 따른 치료기법에서 국내는 자기 관련과 심리 정서 관련 주제를 다룰 때 각각 15회(34%), 해외에서는 심리 정서 관련 주제를 다룰 때 4회(67%) 치료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국내와 해외의 청소년 미술치료에는 차이를 보이는 분류항목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청소년 미술치료의 흐름을 봄으로써 앞으로의 청소년 미술치료의 발전에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둔다.

      • 프라더-윌리 증후군을 가진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진영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nd present the various mental and emotional hardships of a mother who has an adolescent son with Prader-Willi syndrome. Through the viewpoint off art therapy, this research aims to bring changes to the mother’s life by restructuring her meaning of life.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does the mother of the adolescent with Prader-Willi syndrome significantly demonstrate about her life through art therapy experience?’ and ‘How does the mother of the adolescent with Prader-Willi syndrome accept and restructure her life through art therapy experience?’ For this research, study participant attended 10 weekly 100-minutes art therapy sessions and personal interview at a Special-education school between December 28, 2018 and February 28, 2019. The art therapy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was a stage of understanding herself through exploring her inner side; the second was a stage of exploring herself from relationships; and the third was a stage of raising expectations of self-growth and development. A qualitative, narrative research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11) was applied. Through the present study, researcher found that art therapy had meaningful impact on participant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was able to symbolize her experience and emotions, and further face and express her true emotions through the art therapy. Additionally, the participant was able to see her stance on her disabled child in an integrated way. Second, the participant, while looking back on her child-oriented mind and discovering her new self through creative activity, used the art therapy time in its entirety just for herself. Third, the participant rediscovered her current social relations through the art therapy, and got to look over her life subjectively and then accept it in a positive way. As a follow-up research, comparison of various types of disability and a case study of a father and non-disabled siblings of a disabled child was propos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to aid in understanding the life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 and in supporting families with disability. 본 연구는 프라더-윌리 증후군을 가진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가 장애자녀의 양육과정에서 겪는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그로 인해 느끼는 다양한 감정들을 미술치료 안에서 탐색하고 표현하며,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여 변화시키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질문은 ‘프라더-윌리 증후군을 가진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는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삶에 대해 무엇을 이야기하며, 그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와 ‘프라더-윌리 증후군을 가진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는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삶을 어떻게 수용하고 재구성하는가?’이다.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1명을 대상으로 서울시에 있는 S특수학교에서 2018년 12월 28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 주 1-2회 100분씩 10회기에 걸쳐 미술치료와 면담을 진행하였다. 미술치료는 3단계로 나누어 초기는 내면탐색을 통한 자신에 대한 이해 단계, 중기는 관계 안에서의 자기탐색 단계, 후기는 자기성장에 대한 기대 단계로 구조화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Clandinin과 Connelly(2011)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경험과 감정들을 상징화하고 표현하며, 자신의 감정에 직면하고 솔직한 감정 표현을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장애자녀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유로운 창작활동 속에서 새로운 자기와 만나는 경험을 하였다. 잊고 지냈던 취미를 되찾았으며, 미술치료 시간을 온전히 자신만의 시간으로 활용하여 아이 중심에서 지냈던 삶에서 긍정적인 분리를 시도하였다. 셋째,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현재 자신의 사회적 관계를 재발견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삶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다양한 장애 유형의 비교, 장애자녀 아버지와 비장애형제의 사례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장애자녀 어머니의 삶을 이해하고, 나아가 장애가족에 대한 지원 및 돌봄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심예지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대학원생이 초심 미술치료사이자 연구자로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을 완료한 졸업예정자 또는, 현재로부터 3년 이내의 졸업자를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며, 최종 6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0년 1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연구참여자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을 통해 25개의 하위 주제와 8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질적 주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됨>, <연구방법과 대상을 구하는 과정에서 좌절을 느낌>, <어려움을 맞서기 위한 도움을 구함>, <고민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소진과 성장을 경험함>, <논문 완성에 대한 부담과 압박이 책임감과 자신감으로 변화함>, <미술치료의 정체성에 확신을 가짐>, <인고의 과정을 겪어 만들어 낸 결과물에 성취감을 얻음>, <미술치료라는 학문을 깊이 있게 배우며 더욱 발전하고자 함>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첫째,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논문작성의 동기는 졸업과 박사과정 진학을 위한 외적 동기 외에도, 개인적 성장과 미술치료학의 발전에 기여를 위한 내적인 동기로 논문작성을 시작한다. 둘째, 미술치료학의 논문작성 경험은 인간에 대해 총체적 이해와 심리적 개념을 탐구하며 내담자를 대하는 미술치료사의 태도를 형성한다. 이 경험은 미술치료사로 자신의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 석사과정에서 논문작성 경험으로 연구를 실제에 적용하는 법을 익히고, 연구자적 태도를 형성한다. 이 태도는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원 석사학위 교육과정에서의 논문작성 경험은 보다 나은 미술치료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논문을 작성하며 연구자 또는 치료사의 두 정체성을 구분 짓기보다는 통합되어가는 과정을 겪으며 단지 논문작성 결과물에서 만의 성취감이 아닌 석사과정 전체에 대한 성취감을 느낀다. 다섯째, 논문작성의 결과물은 성취감과 더불어 자신감을 갖게 하고 지속적인 배움의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석사학위과정에서 논문작성 경험은 후속연구를 이끌어 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미술치료학의 질적인 성장과 함께 전문분야로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수행 주체로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대학원생이 배움의 주체이자 학문 후속세대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와 전문적인 미술치료사로 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체험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관한 체험연구는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며 논문 작성 지도를 위한 교수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experience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to write a master's thesis as a beginner art therapist and researcher. As the in-depth interviews are the key research metho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participants are recruited who are prospective graduates with their completed master’s thesis and the graduates in three years after their graduation in art therapy. The interview had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May 2021 until the data can saturate through the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derived twenty-five sub-themes and eight essential themes, based on the theory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essential themes from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re as follows: <Becoming motivated to write a thesis>, <Feeling frustrated in process of finding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Seeking help in confronting difficulties>, <Experiencing exhaustion and growth in the process of agonizing and exploring>, <The burden and pressure of completing the thesis transforms into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Acquir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ocess of suffering>, <Being confident in the identity of art therapy>, <Being develop further by learning the study of art therapy in depth.>.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can summarize into five subjects. First, the thesis study begins not only with external motivation for the graduation degree and to the futher doctoral studies but also with internal motivation for their personal growth an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to the theory of art therapy from their first motivation of personal experience of the heals in art therapy. Second, writing papers in art therapy explores the holistic 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concepts of human beings and forms an attitude of art therapists toward the client. This experience helps to solidify one's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Third, knowing how to apply the studies in practice from writing a thesis experience in master coursework and making the researcher’s attitude. This attitude then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earcher’s identity. Fourth, the experience also helps ones to grow into a better expert in art therapy.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integration in between as a researcher and a therapist rather than separating into two different fields. Thus it makes to feel the success not only from the result in one’s thesis but also from the master coursework itself. Lastly, the master’s thesis gives a sense of achievement as well as one’s confidence and makes motivation for constant learning. In addition, this experience helps to bring out the follow-up research, and it will attribute the field of art therapy to qualitative growth and will contribute to firm up into specialties. This study places significance on that one graduate student in art therapy has experienced the process to grow up as the next research generation and a professional art therapist. Furthermore, this research basis on the master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thesis writing helps to understand them in their perspectives and provide a reference for teaching methods to guide these writing.

      • 가정폭력 미술치료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수민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rt therapy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over the last 10 years. For this purpose, we searched domestic major electronic journals for domestic violence, art therapy, etc., and collected materials from 2010 to August 2021. As a result, a total of 24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KCI were finally selected. The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ssuing institu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trends by issuing institution, arts / art-related fields (75%)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which art therapy research (58.3%) had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the trend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6 (25%) in 2017, and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research is not progressing every year. Second, as for the research trend by study subject, women (45.8%) were more numerous than men (16.7%), and in terms of age, infants and children (44.2%)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ccording to the abuse types, double abuse (88.7%) was the overwhelming proportion, with emotional abuse (49.1%) and physical abuse (37.7%) accounting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four abuse types. Third, as for the research trend by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66.7%)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 psychological test (61.8%), which is a questionnaire item test, was the most used test tool. Fourth, as for the research trends by research content, individual art therapy (54.2%) appeared at the highest rate, and the art therapy environment was the most researched at welfare facilities (37.5%). It was confirmed that all but one study was less than 30 times (95.8%) during the art therapy general meeting, and the time required per session was most often 60 minutes or less (54.2%). As for the art expression method, the mixed expression method (87.5%) occupies an overwhelmingly high proportion, and the art therapy goals are high at 23.6%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ealth recovery, and 14.3% for problem behavior and maladaptation improvement. By investigating the flow of domestic violence art therapy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 for future domestic violence art therapy research and research, and had is significance to present a developmental direction.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1년 8월까지 게재된 가정폭력 관련 국내 미술치료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전자 저널베이스에 가정폭력, 미술치료 등을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결과 KCI에 등재된 학술지 총 24편을 최종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발행기관과 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기준으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기관별 연구 동향은 예술·미술 관련 분야(75%)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중 미술치료연구(58.3%)가 가장 많았다. 연도별 동향은 2017년에 6편(25%)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게재되었으며, 매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연구 동향은 여성(45.8%)이 남성(16.7%)보다 많았고, 연령은 유·아동(44.2%)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학대유형에 따르면 중복학대(88.7%)가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으며, 4가지의 학대유형 중에서는 정서적 학대(49.1%)와 신체적 학대(37.7%)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 동향은 질적 연구(66.7%)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설문 문항검사인 심리검사(61.8%)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내용별 연구 동향은 개인미술치료(54.2%)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미술치료 환경은 복지시설(37.5%)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미술치료 총회기는 1개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30회기 이하(95.8%)임이 확인되었고, 회기당 소요시간은 60분 이하(54.2%)가 가장 많았다. 미술표현방법은 혼합표현방법(87.5%)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미술치료 목표는 정서 및 심리 건강 회복이 23.6%, 문제행동 및 부적응 개선이 14.3%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가정폭력 미술치료 연구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가정폭력 미술치료 학문과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고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 고령화된 장애인의 우울과 불안 완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점토매체 중심으로

        김은지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aging with disability can be alleviated through clay-applied group art therapy. In order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aging with disability, the research was designed with mixed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ased on the embedded design model. The research targets are 10 users of a welfare center for seniors and the disabled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and the research targets were classified into 5 targets in the control group and 5 targets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ontrol group did not join the clay-appli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hile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clay-applied group art therapy for 12 sessions, once a week with 60 minutes in each session, throughout the period of August 6, 2019 to October 29, 2019. For the research targets, 60 minutes pre-test and pre-interview (1st interview)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 Followed by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post-test and post-interview (2nd interview)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changes in depth. Accordingly, Korean Geriatric Anxiety Inventory,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1st and 2nd in-depth interviews, works, recording, observation records, and verbatim record were collected and applied as the research data. For the scale, SPSS 27.0 was used to conduct the paired sample t-test, and the observation records that were filled out during each session and the works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open coding.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implemented by making an interview guid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ined. A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 fir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meaningful changes based on the pre·post test results of the Korean Geriatric Anxiety Inventory and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case of the experiment group, there was meaningful alleviation from major depression and anxiety into minor depression and anxie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ost test of the Korean Geriatric Anxiety Inventory and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econ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ub-factors of the scale, there were improvements in the depressing factors like 'emotional discomfort' and 'critical thinking and unhappiness' and also anxiety factors like 'cognitive symptoms' and 'physical symptom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 first, when the aspect of changes after each session of clay-applied group art therapy was analyzed, the experiment group could explore their own emotions and express their feeling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alleviate it, and they gained refreshing feelings and stability by using the clay. Second, in case of the aspect of changes in the subjective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research targets, they faced 'loneliness,' 'depression from disability', and 'anxiety about death' in the early stage, but it was deduced that their feelings changed into 'rapport,' 'supportive experience,' 'positive self-awareness, 'self-confidence,' 'reconstruction of meaning of life,' and 'anticipation about life' in the closing stage of the program.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integrat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First, in the pre·post test results of the aging with disability where clay-applied group art therapy was applied for intervention, the result showed that it alleviated their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in the aspect of changes after each session of clay-applied group art therapy,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alleviated for the aging with disability. Third, the level of subjective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aging with disability alleviate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ed that clay-applied group art therapy alleviate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aging with disability and provided base data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aging with disability, as they are in the blind spots of treatment and service support. 본 연구는 점토 중심의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고령화된 장애인의 우울과 불안이 완화되는지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고령화된 장애인의 우울과 불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통합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설계하였고, 포함설계 모형에 따라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노인·장애인복지관 이용자 10명이며, 연구 대상자를 대조군 5명과 실험군 5명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점토 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고, 실험군은 2019년 8월 6일부터 2019년 10월 29일까지 주 1회 60분씩 12회기의 점토 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60분간 사전검사와 사전면담(1차 면담)을 시행하여 우울 및 불안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와 사후면담(2차 면담)을 시행하여 우울 및 불안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형 노인우울 척도, 한국판 노인불안 검사, 1차·2차 심층면담, 작품, 녹음, 관찰기록, 축어록을 수집하여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척도는 SPSS 27.0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test를 진행하였고, 매 회기 작성한 관찰기록과 작품을 분석하였으며, 개방 코딩 방법으로 심층면담을 분석하였다. 또한, 심층면담은 면담 가이드를 제작하여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 연구 결과는 첫째, 대조군은 한국형 노인우울 척도와 한국판 노인불안 검사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에 따르면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실험군의 경우 한국형 노인우울 척도와 한국판 노인불안 검사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중등도 우울 및 불안에서 경도 우울 및 불안으로 유의미하게 완화되었다. 둘째, 척도의 하위요인별 비교분석에서 우울요소 중 ‘정서적 불편감’, ‘비관적 사고 및 불행감’과 불안요소 중 ‘인지증상’, ‘신체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인 연구 결과는 첫째, 점토 중심 집단미술치료 회기별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을 때 실험군이 자신의 정서를 탐색하고 인식하며 우울과 불안 등의 정서를 표현하여 해소할 수 있었고, 점토를 통해 정화와 안정감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우울 및 불안의 변화 양상은 초기 단계에서 ‘고독함’, ‘장애로 인한 우울’, ‘죽음 불안’을 가지고 있었지만, 프로그램 종결단계에서 ‘유대감’, ‘지지적 경험’, ‘긍정적 자기인식’, ‘자긍심’, ‘삶의 의미 재구성’, ‘삶에 대한 기대’로 변화된 것으로 도출되었다. 양적 및 질적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 중심 집단미술치료를 개입한 고령화된 장애인의 사전·사후검사 결과, 우울 및 불안이 완화되었다. 둘째, 점토 중심 집단미술치료 회기별 변화 양상에서 고령화된 장애인의 우울과 불안이 완화되었다. 셋째, 고령화된 장애인의 주관적 우울과 불안이 완화되었다. 본 연구는 점토 중심 집단미술치료로 인해 고령화된 장애인의 우울과 불안이 완화되었음을 밝힘으로써 치료 및 서비스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인 고령화된 장애인의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김수인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자기이해 및 자기 치유의 욕구를 가진, 자발적으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인문계 고등학생이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청소년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있다 하더라도 달라진 사회적 요구와 역할변화, 급격한 개인적 변화와 성장에서 비롯된 혼란을 겪을 수 있으나 그 시기를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여건은 부족한 실정이다. 미술치료는 감각성ㆍ유희성을 가진 미술 매체를 활용하여 자기표현을 촉진하고, 미술 작품과의 상징적 의사소통을 통해 내면과의 대화를 이끈다. 이 과정은 자발적으로 자기를 표현하고 그 의미를 찾게 하며 자연스러운 통찰로 이어져 자기성장을 이끈다. 청소년의 정신건강은 개인적인 삶의 질뿐 아니라 사회문제의 감소와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미술치료는 청소년 개인뿐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위한 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참여자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체험과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자발적인 지원을 통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S시 소재 여자 고등학교 심리 반에 소속된 예비 고3으로 총 6명이다. 본 연구자는 2019년 12월 16일부터 2020년 4월 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사전 면담, 6회기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두 번의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연구참여자의 언어와 표현으로 구성된 생생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16개의 하위 주제와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리적 안정감>. <자기 탐색 경험>, <다양한 감정 수용>, <집단 소속감과 상호관계 함양>, <미래에 대한 용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참여자의 체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을 치유할 수 있는 체험이 되었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기를 탐색하는 체험이 되었다. 셋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의 다양한 감정을 수용하고 통합하게 되는 체험이 되었다. 넷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타인의 시각을 수용하고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을 이루는 체험이 되었다. 다섯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미래에 대한 용기를 가지게 하는 체험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발달적 독특성과 욕구를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성을 가진 청소년 미술치료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둘째, 학교 기반 집단미술치료의 시행을 제언한다. 셋째,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협력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미술치료연구에서의 대상 확장을 통해 다양한 청소년을 포용할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with the desire for self-understanding and self-healing experience in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and nature of this experience are. Even if they are in the normal course of development, adolescents may experience emotional strain caused by social demands, role changes, and rapid personal changes and growth, but there are lack of social conditions to help them stay healthy. Art therapy promotes self-expression using art media with sensory and playfulness, and leads dialogue with the inside through symbolic communication with art works. This process leads to personal growth by expressing oneself and finding its meaning, leading to natural insight.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s very important for a healthy society in that it helps not only to improve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but also to reduce and prevent social problems. In this regard, art therapy is a means for adolescents and a healthy socie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ticipants’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and the meaning and nature by apply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 total of 6 participa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are high school students belong to the psychological class in the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 City. From December 16, 2019 to April 7, 2020, the researcher collect a data consisting of the participants’ language and expressionsby conducting prior interview, six personal growth group art treatments, and two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collected data, sixteen sub-themes and five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Psychological stability>. <Self exploration experience>, <Accommodation of various emotions>, <Cultivate a sense of belonging and mutual relations with the group>, <Courage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re as follows. First, self-grown group art therapy has become an experience that can heal oneself to study participants. Second,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loration experience for participants. Third,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erience in which participants accept and integrate their various emotions. Fourth,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erience to accept the perspectives of others and to expand their perspectives on themselves. Fifth,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has become an experience that encourage participants for the future.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adolescent art therapists wh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uniqueness and needs of adolescents and have expertise to support their healthy growth. Second, it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group art therapy. Third, it suggests social interest for the healthy growth of youth and the need for support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Lastly, I propose to expand the subject in the study of adolescent art therapy that can embrace various adolescent.

      •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의 개인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경자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이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지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의 방어기제, 억압된 감정, 부정적 정서 등을 미술작품으로 시각화하여 연구 참여자의 내면을 좀 더 깊이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나아가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에 대한 이해자료를 제공하여 중독치료에 있어 미술치료를 활발히 적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만 34세 미혼남성으로 S시에 있는 N중독재활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인터넷 게임중독자로서 2019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주 1회, 총 26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미술치료를 하면서 면담, 그림, 현장노트, 글쓰기 등을 통해 현장 텍스트를 제작해 나갔다. 연구자는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근거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가 미술치료를 통해 얻은 경험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도출 되었는데,‘게임 안에서만 최고인 꼭두각시’,‘텅 빈 솥과 같은 가족’,‘게임중독의 웅덩이에서 나가기 위한 고군분투’,‘미술치료는 게임에서 해방 되는 열쇠’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개인적 정당성은 높은 방어벽을 치고, 긴 시간을 밀고 당기기를 해왔던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과 그림 안에서 만나는 것이다. 실제적 정당성은 나선형 과정 속에 전진하는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의 특성을 이해하는 미술치료사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당성은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의 회복을 위해서는 자신의 의지, 가족의 지원, 기관과 치료사라는 힘이 삼위일체가 되어야만 극복할 가능성이 있는 질환임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 참여자 개인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후속 연구에서는 중·장년층 또는 여성 중독자를 대상으로 개인 및 집단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여 미술치료의 영역을 확장하기를 제언한다. 둘째, 인터넷 게임중독 남성이 가진 부정적 정서와 억압된 감정, 스트레스가 경감될 수 있고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인터넷 게임중독자 가족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hat Internet game addicts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experience and what meaning that experience h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isualize the defense mechanisms, repressed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al behaviors of adult men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games as works of art to better understand the inner sid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experienc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art therapy experience, and furthermore, to provide understanding data for adult game addicts to help them actively apply art therapy to addiction treatment. The study participant was a 34-year-old unmarried male who was an Internet game addict living in an addiction rehabilitation facility at S city. We went on to produce on-site text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of Clandinin and Connell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at the study participants obtained through art therapy was largely derived from four categories: 'I am the best only in the game', 'A family like empty pot' ', 'Struggle to get out of the addicted puddle', and 'Art therapy is the key to unlocking the door to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dividual justification of this study is to meet in the picture with a male who has been addicted to internet game, and pushing and pulling a high barrier for a long time. The realistic justification is an art therapist who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a male internet game addict advancing in a spiral process. Finally, the social justification is to recognize that the disease can be overcome only when there are his will and the trinity of the family support, the institution and therapist for the recovery of a male addict of internet game. Based on these conclusions, I'd like to make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since this study has targeted on a male participant with internet game addiction, a follow-up study is suggested to expand the field of art therapy by applying individual and group narrative exploration to middle-aged or female addicts. Second,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 art therapy program for families with internet game addicts that can reduce the negative emotions, repressed feeling and stress of a male with internet game addiction and allow the family to participate together.

      • 양극성정동장애 중년 남성에 대한 미술치료 내러티브 탐구

        김형란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과거 군에서의 외상적 기억이 있는 양극성정동장애 중년남성이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경험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나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미술치료를 통해 얻은 경험이 본 연구 참여자에게 어떤 의미인지 작품에 표현된 심리적 갈등과 의미를 이해하고 탐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미술치료의 경험을 통해 이끌어낸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과거와 관련된 현재 삶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미술치료과정에서, 신체적 증상으로 작업진행이 어려워 미술치료를 중단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심리적 불안으로 작업이 중단될 때는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방법으로 2017년 1월부터 3월까지 매회기 90분씩 총 13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그는 과거의 외상적 기억으로 인한 힘든 삶을 살아왔으며 양극성정동장애가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현장을 녹취한 녹취록, 미술작품, 연구 참여자의 일기, 내러티브 노트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내러티브탐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극성정동장애 중년남성이 미술치료를 통해‘억압되었던 감정과 외상적 기억’, ‘자신의 부재로 살아온 무형적 상실의 삶’, ‘삶에 대한 새로운 욕구’, ‘사회와의 동행으로 변화된 삶을 위한 노력의지’로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주제들을 통해 미술치료가 양극성정동장애 환자에게 주는 의미로는 과거 군에서의 외상적 기억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긍정적 변화양상, 오랜 투병생활로 인한 삶의 상실감과 보상받고자 하는 내면적 욕구, 삶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사회적 관계 증진을 시도하는 과정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하여 과거 군에서의 외상적 기억에 의한 부정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고통을 긍정적 관점으로 대처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한 자신과의 내적 직면으로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과 자신의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찾는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는 미술치료경험이 양극성정동장애 중년남성에게 중요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미술치료사들이 양극성장애 환자를 미술치료 현장에서 접하게 된다면, 미술치료 경험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임상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부(父)의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인식 및 표현에 관한 미술치료적 내러티브 탐구 : 단일사례 질적 연구방법의 활용

        박수진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부의 상실을 경험한 청소년이 정서 인식과 표현, 그리고 회복의 과정을 미술치료와 내러티브 방법으로 알아보고자 했다. 상실은 삶의 과정에서 언제나 누구나 경험하는 주요한 스트레스이다. 상실은 다양한 이유로 경험된다. 그중에 가족의 사별, 특히 부의 상실은 심리적 충격뿐 만 아니라 경제적 수입의 상실, 사회적 지위의 상실등과 관련된다. 가족과의 사별은 남아있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슬픔이나 분노, 무기력감과 같은 심리적 고통을 준다. 특히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인 정서적 혼란, 충동성, 불안정 등의 상태에서 더욱더 심각한 우울, 죄책감이나 무기력감을 유발함으로써 더 심각한 고통으로 경험 될 수 있다. 부모 상실과 같은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정서 인식과 표현능력의 회복에서 미술치료가 갖는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참여자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 참여자는 부의 상실을 경험하고 있는 12세의 여자 아이인 이수아(가명)를 대상으로 했다. 연구 참여자 이수아는 모, 남동생(10세)과 경기도 00시에 살고 있다. 이수아는 6개월 전 아버지와의 사별을 경험 했다. 부와의 사별 후 이수아는 평소 다니던 학교에서 다른 시에 있는 학교로 전학을 하였고, 현재 모,남동생과 고모집에 살고 있다. 부의 사별 후 남동생과 다툼이 많아지고,말수가 줄어들었으며 감정 표현을 하지 않는다고 하여 미술치료 연구에참여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은 미술치료와 내러티브로 구성되었으며, 미술치료의 주제는 KHTP. PITR, 내가 알고 있는 나, 내 마음속 공장, 예술작품, 만다라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내러티브는 Clandinin과 Connelly의 탐색방법을 활용하였다. 미술치료 회기는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월까지 4개월에 걸쳐진행되었고 주 1회, 60분 정도 소요 되었다. 연구 참여자의 모와 월 1회 90분, 4번의 부모 상담을 병행하였다. 장소는 경기도 S시에 있는 S센터에서 제공해준 미술치료실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미술치료가 정서인식 및 표현에 효과적인 매체임이 제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초기 단계에는 슬픔과 혼동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이후 미술치료가 이어지면서 억압된 정서가 표현되었다. 미술치료중기이후 연구 참여자의 정서인식과 표현이 이루어지면서 부분적인 회복 동기가 표현되었다. 회기가 종료 단계가 됨에 따라서 아버지의 상실에 대한 더욱 분명한 우울의 정서 인식을 보여주었고, 마지막 회기의 만다라 색칠하기에서 성장 욕구가 상징적으로 표현되었다. 연구 참여자와의 미술치료를 통한 면접 내러티브 중심 텍스트 분석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는 부와의 사별과 생활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초기 회기에서 고립감, 정서적 억압, 자기 내부의 혼란을 주요 텍스트로 표현했으나 회기 진행에 따라서 좀 더 현실적 정서인식이 가능해지고 있는 것으로보인다. 5회기를 중심으로 정서 인식과 표현의 객관화가 실현되고 있음을 내러티브가 보여졌으며, 이후 지속적인 주요 텍스트는 정서 인식과 표현의 질에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요 대상의 상실로 인한 정서인식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차후 연구에서 청소년의 정서적 어려움에서 확장하여 유아기와 성인의 정서적 어려움을 중재하는 수단으로써 미술치료의 가치와 내러티브 접근의 가치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