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정의 상담 관점에서 취약계층 학생 공부방 지원 사업 사례 분석

        송순열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 상담의 관점에서 취약계층 학생의 공부방 지원 사업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부방 지원 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취약계층 학생 공부방 지원 사업은 어떤 배경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둘째, 취약계층 학생들은 공부방 지원 사업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 셋째, 사회정의 상담의 관점에서 취약계층 학생 공부방 만들기 지원 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가? 연구의 목적이 취약계층 학생의 공부방 지원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과 해석 및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므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부방 지원 사업 대상자인 학생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20년 4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지역사회단체 담당자 2인과 교육복지사 2인을 추가로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취약계층 학생들의 공부방 지원 사업 경험을 통해 공부방이 없는 현실, 공부방 사업의 공과, 지속 가능한 공부방 사업의 조건이라는 경험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공부방이 없는 현실에서 자신의 생활공간을 수용하면서도 불편해하는 양가적 태도를 보였다. 공부방이 만들어진 이후의 공부방에서의 긍정적인 유의미한 변화로 공부방이 가져 온 기쁨, 사적 공간 누리기, 공부방 마련으로 가족 간 불편함의 해소, 지역사회 기부 단체에 대한 고마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다른 공간과의 부조화와 공부방 자체의 한계, 참여 없이 만들어진 공부방에 대해 기대에 어긋난다는 변화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후 대응 전략으로 공부방 바꾸기와 공부방 내 가구의 선별과 재배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부방 연계 사업에 대한 바람으로 공부방에 앞서 필요한 것, 공부방 이후에 필요한 것을 들며 대응 전략과 함께 지속 가능한 공부방 사업의 조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 이루어진 교육복지 사업의 효과성 연구는 활동 지원 부분에 대한 내용이 다수였다. 학생이 학교를 떠나 머무르는 가정의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방 지원 사업이 시작되었지만 보도 자료 이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없었다. 이에 이 연구는 학생들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환경적인 문제를 변화시키려고 했던 교육복지사의 지원 활동에 의미가 있다. 하지만 대상자를 수혜자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이루어지는 대상자를 위한 사업이 아니라 대상자와 함께하는 사업이 되도록 상담과 참여의 과정이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공부방에서 더더욱 유의미한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계 사업에 대한 바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공부방 지원 사업 대상자와 사업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탐색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회정의 상담 관점에서 분석한 공부방 지원 사업 경험에 대한 결과는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기초 자료가 됨으로써 기존에 이루어지던 사업 방향에 대해 고찰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개인의 문제를 환경과의 상호 작용으로 보고 개인의 변화를 위해 환경의 변화까지 도모하려는 교육복지에 사회정의 상담을 적용시킴으로써 교육복지의 새로운 방향을 탐색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주요어: 공부방 지원 사업, 교육복지, 사회정의 상담, 취약계층 학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ject experience of supporting study room project for the vulnerable students in perspective of social justice counseling and to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study room project.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established: First, how was the project to support vulnerable students' study rooms under what background? Second, what experience did vulnerable students have in the study room project? Third, what is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roject to support the creation of study rooms for vulnerable students in perspective of social justice counseling? A case study was conducted becau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the specific experience,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the study room support project for vulnerable students. Three students who were eligible for the study room project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2020 to September 2020. In addition, two more people in charge of community service and two more education and welfare workers were interview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project. A summary of the findings is presented as follows. Through the experience of supporting study rooms for vulnerable students, we could confirm the process of experience that there is no study room, the merits of the study room project, and the conditions of the sustainable study room project. Participants showed a ambivalent attitude of accepting their living space in the absence of study rooms, while studying room. A positive significant change in the study room after the study room was created has enabled us to confirm the joy brought by the study room, enjoy private space, ease family discomfort by setting up study rooms, and appreciate community donation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we could also see that the study room itself was in dissonance with other spac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room itself, and the changes in the study room, which was created without participation, were contrary to expectations. Since then, the government has been able to check the change of study rooms and the selection and relocation of households in the study room. With the wish of the study room linkage project, we could look at the conditions of the sustainable study room project along with the response strategy, citing what we ne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room.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s as follows.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was conducted in many areas. A study room project was launched with interest in the environment of families where students leave school, but there was no specific study on it other than the press release. Therefo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supporting education and welfare workers who tried to chang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students cannot solve on their ow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consultation and participation was essential so that it would be a business with the target rather than a project for the beneficiar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wishes for the linkage project so that more meaningful learning activities could be carried out in the study room.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search material for future directions by being used as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target and business experie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ence of the study room project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unseling on social justice will be th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and the existing project direction will be considered. Through this, we believ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explore new directions for educational welfare by applying social justice counseling to educational welfare, which aims to see individual problems as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promote changes in the environment for individual change. Key words: educational welfare, social justice counseling, study room project, vulnerable students

      • 제주해녀 생애사 연구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場)' 개념을 적용하여

        양인실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는 해녀에 대한 유산 가치와 세대전승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해녀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단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그 동안 해녀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해녀들의 생애와 사유구조에 주목하여 보았다. 해녀의 삶은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해녀 이해에 대한 스펙트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에 의하면, 제주해녀의 수가 급속히 줄어들고 고령화도 현실화되고 있다. 이것은 해녀담론에서는 일종의 위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위기감 속에서 제주해녀 관련 양적 연구는 꾸준히 축적되어 왔지만, 해녀 개인의 삶에 집중한 생애사로서의 질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제주해녀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해녀들의 생애와 삶, 그녀들의 사유를 통해 접근할 때 가능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場)’ 개념을 적용하여 두 해녀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삶, 삶에 대한 태도, 사유구조와 가치관 등을 분석하였다. 현대 사회학계를 대표하는 부르디외는 개인과 사회와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이론과 실천은 구분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무의식의 소산인 아비투스와 장의 개념을 처음으로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회학적 이론과 개념은 인간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위치에 따라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깨닫게 하는 중요한 키워드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 개념은 사회의 구조적 요인을 간파하여 연구자들에게 사회학적 사유와 분석을 위한 실용적인 지침이 되고 있다. 아비투스란 인간 행위를 상징하는 무의식적 성향을 뜻하는 말로, 개인의 성향이 환경이나 배경, 가치관과 종교 등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용어이다. 그리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아비투스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또한 장이란 개념은 복잡한 사회에 대한 부르디외 모델의 핵심 개념으로서, 사회생활의 시·공간적 영역을 의미한다. 부르디외는 아비투스와 장의 조응이 하나의 구속이자 억압이지만, 개인의 주관적 의식과 사회적 조건을 연관의 맥락에서 상황을 바라보게 하였다. ‘생애사(life history)’는 개인의 지나온 삶을 자신의 말로 이야기한 것을 기록하는, 대표적 질적 연구 방법이다. 연구자는 두 명의 해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고 텍스트로 만들어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해녀들의 무의식적인 아비투스를 네 가지로 구조화하였다. 해녀들의 집단적 아비투스로는 첫째, “물에 놀레 가게” 라는 놀이와 학습의 아비투스이고, 둘째, “바당은 공거여”라는 감사와 무욕의 아비투스이다. 셋째, “살암시민 살아진다”라는 초월적 사고가 드러난 언어로서 순응과 경외의 사유방식, 넷째, “벗이영 둘이 해삽쥬”라는 협동의 공동체 의식이다. 또한 두 해녀의 생애를 통해 나타난 해녀들만의 ‘아비투스’와 ‘장(場)’의 축소와 확장, 그리고 다시 재생산되는 장에 대한 사례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해녀에 대한 접근방법이 많을수록 활용과 보전의 가능성도 커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해녀 공동체 영역의 확장과 변화의 모습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녀들의 삶을 대하는 태도와 아비투스가 체화되어 전승되어 왔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그녀들의 삶에 녹아 있는 아비투스와 삶의 영역인 장에 대한 고찰로 해녀연구의 장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녀 생애사에 대한 다양한 방법적 접근이 지속가능한 해녀의 전승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eople still has not understood or empathized with the life of Haenyeo while they have recognized the value and necessity of generation inheriting of Haenyeo. So,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life and structure of thought on Haenyeo,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the study of Haenyeo in general. Because how you understand the life of Haenyeo will bring different spectrum on that. According to statistics, Jeju Haenyeo are rapidly decreasing and getting old. This is a crisis in Haenyeo culture. Amid this sense of crisis, quantitative research on Jeju Haenyeo has been steadily accumulated, but qualitative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private life of Haenyeo have not been practiced much so fa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Jeju Haenyeo will be possible when approaching through the lives and their thoughts. I have analyzed life, private structure, and attitude toward the life focusing on the ‘life history’ of the two Haenyeos by applying French sociologist Bourdieu’s concepts of ‘Habitus’ and ‘Champ’. Bourdieu, who represents modern sociology, tried to comprehend the problem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s theory and practice are indistinguishable, he first argued for the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the product of unconsciousness. This concept provides an important keyword that allows humans to reflect on being influenced by their social context and position. Therefo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with giving an insight through the social structural factors could be practical guidelines for sociological thinking and analysis for researchers. ‘Life history’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records an individual's past life in his/her own words. I interviewed two Haenyeos and analyzed the data which was made from the record-written texts. Then, I have structured the unconscious Habitus of Haenyeo into four types. There are collective Habitus of Haenyeo cases. First, the Habitus of play and learning called “Let’s go play in the water.” Second, the Habitus of appreciation and freedom from avarice, “Badang is for free.” Third, as the language exposed on the transcendental thinking, “Just let it be as you live.” It is the way of thinking of obeying and awe. Fourth, the sense of community of cooperation called “Have to do with friends.” It also presented examples of the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Habitus’ and ‘Champ’ of the Haenyeo, which appeared throughout the lives of the two Haenyeo, and the reproduction of the stage. Since I believe that the more approaches to Haenyeo, the more we obtain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I haven’t limited the area but paid attention to expansion and change of the community of Haenyeo. Through the process, I was able to grasp the attitude toward their lives and Habitus that has been embodied and passed down. I intend to expand the field of Haenyeo research by considering the ‘Habitus’ and ‘Champ’ in their lives. In this process, various methodical approaches to the life history of Haenyeo will help find a sustainable transmission plan for Haenyeo.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강수선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ego-resilien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y(CSC), as well as mediating rel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23 students(5-6 grade) were selected from 2 elementary schools in Jeju.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Scale, Ego-resiliency Scale, and Social Competency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 The summary of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ego-resiliency, and CSC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Secon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ther’s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mother’s person-oriented contro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SC, especially on children’s sociability. Children’s ego-resiliency had significant effect on every sub-factors of CSC. Third, children’s ego-resilienc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and SCS. Especially, it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 with father’s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full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 with father’s person-oriented control, mother’s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mother’s person-oriented control.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유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부모를 위한 심리치료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 자아탄력성, 사회적 유능감 세 변인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을 측정하기 위해 Bernstein (1971)의 이론에 근거한 이종헌(2000), 김민옥(2012)의 질문지를 참고하여 척도를 재구성하였다.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금옥(1998)이 개발한 청소년용 사회적능력 검사를 초등학생들에게 맞도록 수정․보완한 왕정희(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Atsushi, Hitoshi, Shinji 및 Motoyuki가 제작한 탄력성척도를 민동일(2007)이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제주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323명(남학생 169명, 여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간에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부와 모가 지위지향적 및 인성지향적 언어통제 경향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유능감이 높아졌다. 또한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 및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와 모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하위요인 중 사교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 및 모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 경향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교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및 감정조절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흥미와 관심이 다양하거나 감정조절을 잘 하는 아동일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인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와 모의 지위지향적 및 인성지향적 언어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이 중요하고,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치료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제주도 문화유산 보유사찰의 분포현황 및 유산적 가치

        강금림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문화재란 자연적으로 혹은 인위적으로 형성된 국가 혹은 세계 유산으로 역사적ㆍ예술적ㆍ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문화유산은 조상들의 사고, 관념, 습관 등을 알 수 있는 물질적인 자료이다. 문화유산 그 자체로도 가치가 없지는 않지만, 살아있는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이 지닌 가치를 파악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의미를 창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문화재로 등록된 석탑과 불상을 보유하고 있는 제주도사찰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고, 그곳에 존재하는 문화재들의 보존상태를 점검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보존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이것들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파악하고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문헌분석, 문화재 관련기관 방문 자료수집, 문화재 보유사찰 현장을 2020년 10월부터 2021년 2월까지 3회 이상 답사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현재 제주도에 등록된 모든 불교 관련 문화재중 석탑과 불상을 보유하고, 그 문화재들을 관리하는 사찰들의 문화재와 그 분포현황이다. 제주도에 불교문화재 석탑과 불상을 보유하고 관리하고 있는 사찰은 14곳이며, 2곳은 제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종류별로는 석탑 1건, 사리탑 1건, 불상 15건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은, 국가지정 보물 1건, 제주도지정 유형문화재 9건, 문화재자료 5건, 민속문화재 2건 등이다. 재료별 불상의 종류는 목조 9건, 석조 2건, 이조 1건, 목조불감 1건, 미륵불 2건이다. 문화유산은 그 지역을 삶의 터전으로 생활했던 조상들의 사고, 관념, 습관 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다. 지역에 존재하는 문화유산을 학습자료로 이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가 유발되고, 자신이 사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애향심을 기를 수 있도록 초·중등 정규교육과정에 범교과적으로 수업에 활용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은 역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주며, 역사에 관한 관심과 애착심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제주도는 우수한 자연경관과 역사적 의미를 지닌 곳이 많다. 천혜의 자연경관과 함께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보급하여 세계적인 관광지로 개발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모두 다섯 가지이다. 첫째, 본 연구는 제주도에 문화재로 지정된 사찰에 소장된 석탑과 불상의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살펴보았으며, 기존 발표된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제주도에는 아직도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불상, 탱화 등이 사찰에 소장되어 있다. 추후 문화재 등록과 아울러 문화재의 가치가 재평가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문화유산은 교육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에도 그 교육적 의의를 간과한 채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더 전문적인 교육과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소장 자료에 대한 관리운영과 매뉴얼 및 활용방안에 대한 다각적인 비교 연구도 함께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셋째, 문화유산을 장기적으로 보존 및 교육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문화재 전용 전각 건립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단위 사찰에 소장된 문화재에 대한 단편적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향후 통합적 관리로 일원화하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동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불교문화재 소장 전용 박물관 건립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마지막으로, 향후 교육은 문화재 소유 현장을 공유한 현장성과 학교 교과 연계를 함께 추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준비·진행되어야 한다. 여러 기관이 지향하고 있는 공공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분명하며 유의미한 연구를 수행하기를 기대해본다. 주제어: 문화유산, 문화재, 유산적 가치, 불교문화재, 제주도 사찰, 분포현황. Cultural assets are the heritages that contain the high vale of history,art, academy and scenery. And they are also material data that allow usto get knowledge of ancestors' thoughts, ideas and habit.Outsides the vale of cultural heritages it is needed to elicit theinformation and create its own meanings in order to be using them asliving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situation of the heritages that distributed in Buddhist temples in Jejudoand find a sustainable conservation plan by examining them.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o utilize heritages for educationalusages as well as identify the value of them. For this study, analysis ofprevious literature studies, data collection from visiting related institutesand the sites of cultural assets have been implemented. The survey wasconducted over 3 times from October 2020 to February 2021.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cultural assets, the distributingcondition of the temples which holding stone pagodas and Buddhastatues. There are 14 temples which are owning and managing stonepagodas and Buddha statues as cultural assets. 1 stone pagoda, 1 stupa,and 15 Buddha statues are classified by type. As to designation ofcultural assets, 1 national treasure, 9 designated tangible cultural assets,5 cultural assets, and 2 folk cultural assets are included. 9 woodenstatues, 2 stone statues, 1 double statue, 1 wooden Buddhist image, and2 Maitreya statues are classified by materials. Cultural heritages areimportant asset that allows us to know the thoughts, ideas, and habits ofour ancestors who lived in the area. The students' interest andmotivation should be enhanced as well as arouse the pride and affectionfor the region in where they live by using the cultural heritages asmaterials for study.In addition, the use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doesn't onlypromote understanding but arouse interest and attachment to the history.There are many places with excellent natural scenery and historicalsignificance in Jejudo. Policy considerations are also needed so that it isavailable to develop to be a world-class tourist destination bydisseminating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long with the naturalscenery.Five suggestions are to be made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study.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value of stone pagodas and Buddhastatues stored in temples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in Jeju-do andsummarized based on previously published materials. There are Buddhiststatues and tank paintings, which are not yet designated as culturalassets still be kept in the temples in Jeju-do. I anticipate that theyshould be revaluated their value along with the registration as culturalassets. Second, although its value of educational significance they havebeen overlooked and neglected. More specified study and research areneeded together. In particular, Various comparative studies on the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ection materials, manuals, andusage methods conducted together are expected. Third, in order topreserve and increase the educational usage of the cultural heritages,specific measures for the construction of a pavilion dedicated to culturalheritage should be prepared.Fourth, a fragmentary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for cultural assetsheld in unit temples was present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 establishment of a museumdedicated to the collec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in order to unifythem through integrated management and to establish an efficient andsystematic joint system. Lastly, future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ndconducted in a direction that can pursue the connection between thefield and the school curriculum with the shared field of cultural property.It is expected that clear and meaningful research will be conducted sothat various institutions can realize the public nature that they areaiming for.

      • 생태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제주형 '마을만들기사업'탐구 : '저지리'를 중심으로

        김도현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ary to cultivate the awareness of ecological community in order to make village project which is currently on going in a village. Furthermore, I am suggesting it as one of the ways of the project to cultivate awareness of ecological community through the exploration. The communities in Korea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history, ideology, religion, and the state. The forming of community in village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cooperation with villagers in life of agriculture. later, through industrialization, the way of life and work have changed, and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became smaller. Since. there has been various community appears. Recently the form of community of village has been settled through making village project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economical development utilizing the resources of village. For that reason, the village-making project is a community-building activity,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type of village community should be formed. The necessary of discussion on the forming the community of village increases as the sense of crisis on the community increases. Since industrialization, humanity has developed by adapting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Due to this industrialization, humanity has gained convenienc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whil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have occurred. As a result, natural disasters and ecosystem changes have caused negative emotions such as conflict and anxiety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worldwide social problems have increased the sense of crisis in community of local society. In this situation, humanity has seen limitations in forming a community and realized the necessity a community that can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hrough this study, an ecological community perspective in the current society in which environmental problems continue to appear the village community conducting village-making projects, and it is suggested that this could be a solution. The ecological community defined in this study means the community viewed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When the villagers who are members of the village form a village community, the human and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it was called community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the village community is formed, members of the village formed a community. The village community continued to change on the various disasters and developments. Currently, villagers are a way to form a village community and increase the capacity of villagers. For the development of villages and towns, the village-making project is operated with the support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Through village-making projects, villagers searched for resources of villages themselves, and got the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sciousness of the ecological community and the village-building project.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is project centered on Jeojiri, a village that is carrying out a making project and found a positive impact. On this study, proposition and direction which various villages have in common such as population escaping, economic problems, and changes in the tourism industry were proposed. As the necessity for the village-making project grew, the residents of the village are putting effort and attention. that needs to proceed with the village project. Villagers and local communities are trying to solv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o carry out a village-building project with ecological collective awareness. So that the Jeju-type village making project that humans and nature can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will be an example as a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마을에서 진행되는 마을만들기사업을 위한 마을주민들의 생태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것에 필요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나아가 탐구한 내용을 통해 추후 진행되는 마을만들기사업에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은 역사, 사상, 종교, 국가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그 안에서 한국의 공동체의 형성은 마을에서 농업 생활을 기반으로 품앗이, 향약 등 마을공동체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전통적 공동체는 산업화를 거치면서 생활양식과 노동의 방식이 바뀌게 되었고 축소되었다. 이로 인해 대안적공동체의 모습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마을주민들이 마을의 자원을 활용한 사회적·경제적 발전을 위해 마을만들기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마을만들기사업은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마을만들기사업은 공동체를 형성하는 활동으로 어떠한 형태의 마을공동체가 형성되어야 하는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마을공동체에 형태에 따른 담론은 공동체에 대한 위기의식이 증가할수록 그 필요 성이 증대된다. 산업화 이후 인류는 급변한 사회에 적응하며 발전하였다. 이러한 산 업화로 인하여 인류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편리함을 얻었지만 반면에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등 자연재해와 같은 피해를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자연재해 및 생태계 변화 등으로 다양한 자연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변화로 공동체의 구성원 간에 갈등,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적 사회문제는 지역 사회의 공동체에 위기감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인류는 인간만을 위한 공동체 형성에 한계를 보았고, 인간과 자연이 공생적 관계로 형성할 수 있는 공동 체가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현재 사회에서 생태공동체적 관 점에서 마을만들기사업을 진행하는 마을공동체가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 사회적 문제 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생태공동체란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공동체를 의미한다. 생태공동체에 소속된 마을의 구성원인 마을주민들은 마을공동체를 형성할 때 인간과 인간 의 생활환경 모두 공생적인 관계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러한 노력을 하기 위해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생태공동체에 대한 견해를 가지는 상태를 생태공동체의식이라 한다. 마을공동체는 마을이 형성됨과 동시에 마을의 구성원들은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마을만들기사업은 마을주민들이 마을공동체를 구성하는 방 안 중 하나로 만들어진다. 본 사업은 마을주민들의 역량 증진과 마을의 발전을 위해 국가 또는 지자체의 지원을 받고 운영되고 있다. 마을만들기사업을 통해 마을주민들은 스스로 마을의 자원을 찾고 마을에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본 논문은 생태공동체의식과 마을만들기사업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현재 마 을만들기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마을인 ‘저지리’를 중심으로 본 사업에 대한 문제점 과긍정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마을들이 공통적으로 가지 고 있는 인구유출, 경제적 문제, 관광산업의 변화 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을 만들기사업이 필요성과 이에 따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마을만들기사업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마을주민들은 마을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노력과 관심을 쏟고 있다. 마을주민들과 지역사회는 다양한 환경문제 해결하기 위해 생태공동체적의식을 가지고 마을만들기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렇게 함으 로 제주에서 진행되는 마을만들기사업이 인간과 자연이 공생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제주형 마을만들기사업이 하나의 모델로서 모범이 될 것이다.

      • 지역의 전설과 인물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제주지역을 사례로

        이동섭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지역의 전설과 인물을 활용하여 지역의 역사에 대해 학습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재해석해보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역’이란 개념은 마을 단위부터 국가를 거쳐 대륙과 세계까지 수많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행정단위로서의 지방’의 의미로 사용한다. ‘지역사 교육’은 교육생이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야기와 지역 사람들의 삶을 살펴보기에 교육생이 지역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지역이 당면한 문제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지역사 교육의 방법은 크게 ‘분산적 접근방법’과 ‘주제적 접근방법’으로 구분되며 연구자는 이 중에 지역을 더 중점적으로 다루고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되는 ‘주제적 접근방법’을 채택하였다. 지역별로 지역사 교육의 소재를 선정할 때 필요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을 제주도에 적용하였다. 선정 기준은 다른 지역에도 적용 가능한지, 익숙한 내용으로 접근이 쉬운지, 비판적 시각으로 살펴볼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하였고 이 기준에 따라 제주도에서 지역의 전설로 ‘이어도’, 지역의 존경받는 인물로 ‘김만덕’, 지역사 속 안타까운 인물로 ‘삼별초 항몽 당시의 제주민’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소재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한국폴리텍대학 제주캠퍼스’에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교육내용으로는, 전설 이어도가 수중암초로 실재화되면서 제주가 이상향을 잃어버린 것은 아닌지, 김만덕의 양인 신분 회복과 관련해 다른 가능성은 없는지, 삼별초 항몽에 부여하는 역사적 의미만큼 제주민들의 희생과 고통도 인정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를 주요하게 다루었다. 교육프로그램은 각각의 교육내용에 따라 1개씩, 총 3개를 개발하였으며 각 프로그램은 다시 1차시, 2차시, 3차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1차시에서는 교육 소재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기존의 일반론과 새로운 시각을 대비하며 강의식으로 전달한다. 2차시에서는 기존의 일반론을 대변하는 측과 새로운 시각을 대변하는 측으로 입장을 나누어 패널토론을 진행한다. 3차시에서는 2차시의 패널 입장을 반대로 바꾼 채 특정 상황을 가정한 역할토론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3차시 끝부분에 교육자가 2차시와 3차시의 주요 토론 내용을 요약, 정리한 후 유사한 다른 사례를 간략히 소개하며 교육생이 교육내용에 대한 관심을 계속 유지하고 스스로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토록 하였다. 이 연구가 지역사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한정되고 교육 효과를 검증하지는 못하였으나 후속 연구가 이어져 더욱 정교한 학습모형과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uses regional legends and characters to learn about regional history and reinterpret it from a new perspective. Regions can be used in a number of concepts, from villages to countries and the world.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local. Education on regional history can help trainees to develop interest in the region, actively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recognize the problems facing the region, as it examines the stories that trainees can easily encounter and the lives of regional people. These methods of regional history educa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distributed approach and subjective approach, among which the researcher has adopted a subjective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region and reflects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When selecting the subject of regional history education by region, the necessary standards were prepared and the standards were applied to Jeju Island. The selection criteria considered whether it can be applied to other regions, whether it is easy to access with familiar content, and whether it can be view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Next, by applying this standard to Jeju Island, Regional Legend Ieodo, Regional Character Righteous Person Kim Man-deok and Jeju People as unfortunate figures in region history, and were selected. In addition,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selected materials was applied to the Korea Polytechnics Jeju Campus and developed.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education include whether Jeju lost its utopia as the legendary Ieodo became a rock, whether there is any other possibility regarding the Kim Man-deok's life, and whether Sambyeolcho to resist Mongolia was the suffering of Jeju people. A total of three progra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each educational subject, and each program consisted of the 1st, 2nd, and 3rd class. In the 1st class, the historical facts on educational subject matter a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general theories and regional perspectives and delivered in a lecture style. In the 2st class, a panel discussion is conducted by dividing the positions of the side representing the existing general theory and the side representing the regional perspective. In the 3rd class, a role discussion assuming a specific situation is conducted with the panel's position in the 2st class reversed. Finally, in the end of the 3rd class, the instructor summarizes and organizes the main discussions of the 2st and 3rd class, and then briefly introduces other similar cases, so that the student can maintain interest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continue learning on their own. This study was limited to designing a region history education program and did not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However, I hope that more elaborate learning models and programs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 청소년 대상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최슬기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실시 중인 동물보호교육의 문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선대안이 될 수 있는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의 교재 및 동물보호교육 강사로서의 연구자의 경험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방법, 운영방법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였다. 개선대안 프로그램으로 동물보호소에서 진행되는 청소년 대상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P시의 동물보호소에서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는 주제별로 분류하고 주요 사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방법, 운영방법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내용 측면에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교재에는 동물복지, 공감, 책임의 내용이 고르게 분배되어 있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내용이 균형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교육방법 중 동물복지가 고려되지 않고 동물보호교육의 목적에 상충하는 직접체험방식으로 교육의 일부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프로그램 운영방법에서는 교육이 초등학생과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학생들의 능동적인 로그램 참여가 어려우며 동물보호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태도와 행동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기에는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의 시간과 자원이 부족하였다. 둘째, 파악된 문제의 개선대안으로 동물보호소의 봉사활동을 활용한 청소년 대상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각 회기는 마음 열기, 일반봉사활동, 특별활동, 강의와 토론, 마무리 단계로 구성되어 4시간 동안 진행된다. 마음 열기는 한 회기의 활동 일정과 활동 목표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일반봉사활동은 견사 청소나 동물에게 밥과 물주기 등 동물보호소의 일상적 업무에 도움을 주는 활동이다. 특별활동은 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동물을 돌보고 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동물보호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활동이다. 강의와 토론은 동물복지문제와 인간의 윤리적 의무, 생명존중에 대한 주제들을 배우고 의견을 나누는 과정이다. 마무리는 활동일지 작성을 통해 배운 점과 느낀점들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셋째, 개발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을 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들은 동물보호 이슈와 동물 돌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였고, 동물복지를 위한 선택을 하려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유기동물을 돌보는 활동에 참여하면서 보람과 즐거움을 느꼈고, 동물의 감정과 동물이 처한 상황에 공감하였다.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능동적인 동물보호교육 참여 기회가 되었고 참여자의 점진적인 태도와 행동의 변화를 지원하였다.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개발 및 적용된 청소년 대상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은 국내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문제점의 대안으로서 실현 가능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며, 동물보호교육의 목적을 충족하며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위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구현의 시작단계로서 차후 프로그램의 현장 실현을 위해서 동물보호교육 프로그램 교사의 양성, 프로그램 홍보, 학교나 청소년 센터 등 다양한 교육기관과의 협력 진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as an improved alternative to an ongoing animal welfare education and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 developed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through field appl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areas that need improvements among contexts of the program, education methods, and operation methods based upon teaching materials of domestic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and an experience as animal welfare education instructor. As for the improved alternative program, adolescents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which has been utilized at an animal shelter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ix adolescents in an animal shelter of P city. The outcome of the application was sorted by topic, and major cas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 teaching material of the ongoing domestic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had evenly distributed the content of animal welfare, empathy, and responsibility, the program did not value them equally on a practical educational field. Among educational methods, those ‘direct experience methods’ that solely focus on arousing interest without concerning animal welfare had to be replaced with ‘indirect experience method’ due to its discrepancy in purpose of Animal Welfare Education. Among operation methods, targets for the education was focused on capital area, students were passive through the process, and there were insufficient time and resources from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to bring practical changes on students’ attitude and behavior. Second, 8-session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hich contains a general service like cleaning animal shelter, specialized service such as taking care of animals and completing ‘loving animal project’ and lessons which adolescents can learn and share their opinions about animal welfare was developed. Third, the result analysis of the program application showed that the developed program provided adolescents an opportun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imal welfare activities, and it became an unique experience to acquire knowledge on animal welfare issue and care, cultivate ethical citizenship, and feel empathy for other creature as well as joy and satisfaction. In conclusion,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 contributed to an advance of adolescent’s understanding and attitude on animal, and had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to problems of existing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Being an initiative stage of implementing animal welfar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 it is recommended to have a follow up study incorporating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rough practices and reflections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 스토리텔링 기반 제주 해녀 이러닝 콘텐츠 프로토타입 개발

        정주영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2016년 11월 30일 제주 해녀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제주 해녀는 자연친화적인 작업 방법으로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하면서 경제 활동을 하고, 관련 지식과 기술이 공동체를 통해 세대에서 세대로 전승되며, 제주 해녀 문화가 지역의 독특한 문화 정체성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그동안 제주 해녀는 강인한 여성의 삶을 대변하는 아이콘이자 제주를 대표하는 독특한 문화 자원으로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1965년 2만 3천여 명에 달하던 제주 해녀의 수는 2016년 말 기준 4,005명으로 급감하였고, 남아있는 해녀의 연령층도 98.5% 이상이 50세 이상의 노년층이어서 해녀 문화가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사라져가는 해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는 있었다. 행정적으로는 해녀들의 물질 작업이나 잠수병 치료 등에 대한 지원이 있었고, 문화 콘텐츠의 경우 책이나 공연, 애니메이션 등 여러 분야에서 해녀를 소재로 한 콘텐츠 제작이 이루어져왔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한수풀 해녀학교나 법환마을 해녀학교 등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주 해녀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행정적인 지원은 제주 해녀 문화의 보존, 전승에 관한 지원보다는 기존 해녀의 보호 및 소득 향상에 집중되었다. 문화 콘텐츠의 경우도 제주 해녀의 역사나 문화에 집중하기 보다는 제주 해녀라는 소재만 차용하거나 제주 해녀의 표면적인 이미지를 중점적으로 다룬 경우가 많았다. 더욱이 이러한 콘텐츠도 제주 해녀의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던 2010년대에 들어와 비로소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해녀 관련 교육은 해녀 문화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대신 물질을 하는 기술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제주 해녀의 가치를 이해하고, 이를 쉽고 재미있는 교육으로 전달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이러닝 콘텐츠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제주 해녀 이러닝 콘텐츠는 제주 해녀가 가지고 있는 핵심 가치를 발굴하여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를 제작하고 그 스토리를 학습내용으로 전달하고 진행하는 중심 역할로서 활용한다. 기존의 이러닝 콘텐츠는 일정한 분량(25분 내외), 일정한 차시 수만큼 개발되어야 하는 환경 탓에 인위적으로 내용을 편집하는 과정이 발생하기도 했다. 또한 기존 이러닝 콘텐츠 내에서 스토리는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단편적인 요소로서 역할을 해왔다. 이로 인해 학습에 대한 흥미가 학습 후반까지 이어지지 못해 학습효과가 낮다. 따라서 기존 이러닝 콘텐츠의 형식을 배제하여 한 차시의 이러닝 콘텐츠를 제작하되 제주 해녀의 개괄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제주 해녀 이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절차로 우선, 기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이러닝 콘텐츠 연구 동향과 제주 해녀에 대한 콘텐츠 현황에 대해 정리하여 기존 콘텐츠가 갖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본 콘텐츠가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는지 방향성을 가늠해 보았다. 또한 제주 해녀가 갖는 여러 가지 문화적 요소 중 교육적인 가치가 있는 내용을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제주 해녀의 개괄적인 내용(역사), 제주 해녀의 공동체 문화, 그리고 제주 해녀의 자연친화적인 작업 방식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스토리의 기본적인 주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스토리 개발에서는 제주 해녀 전설 중 ‘용궁올레’를 모티프로 하여 스토리를 전개하되, 주인공을 취업 준비생으로 설정하여 학습자가 스토리에 대해 친숙하도록 하였다. 또한 스토리, 학습 동기 설계, 상호작용, 화면 설계, 핵심 학습활동 전략 등을 바탕으로 스토리를 개발하였다. 스토리 전개에서는 앞서 추출한 교육적인 요소를 중점적으로 제주 해녀의 문화와 가치를 학습자기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캐릭터 및 주요 화면 등을 이미지화하여 스토리보드를 제작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콘텐츠는 단편적이지만 이후 제주 해녀가 갖는 문화적 요소를 소재로 하여 여러 차시의 이러닝 콘텐츠가 개발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시도가 제주 해녀 문화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을 높이고 더불어 제주 해녀 문화가 갖고 있는 소중한 가치를 보존하고 알리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Jeju Haenyeo (Women Divers) were lis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on November 30th, 2016. Jeju Haenyeo received special recognition for taking part in sustainable economic activities in eco-friendly ways, passing down their knowledge and skills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through their community, and symbolizing the region’s unique cultural identity. Jeju Haenye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the lives of strong women as a unique culture resource of Jeju Island. However, the culture of Jeju Haenyeo has gradually been disappearing as the number of Jeju Haenyeo, which numbered approximately 23,000 in 1965, has dropped sharply to 4,005 as of the end of 2016. Of the existing Haenyo, more than 98.5% are over 50 years old.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preserve the disappearing Haenyeo culture. On the administrative side, there has been support for their diving work or treatments for the effects of decompression sickness. In regards to culture, content focusing on Haenyeo has been produced in various fields such as books, performances, and anim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activities, ‘Hansupul Haenyeo School’ or ‘Beophwan-Maeul Haenyeo School’ where people meet offline has provided education regarding Jeju Haenyeo. However, the administrative support was focused on protecting the existing Haenyeo and increasing their income rather than supporting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culture of Jeju Haenyeo. As for cultural content,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history or the culture of Jeju Haenyeo, there have been numerous cases in which the phrase Jeju Haenyeo was only borrowed or the content only focused on superficial images of Jeju Haenyeo. Furthermore, the amount of this content increased suddenly at the beginning in 2010 when efforts were underway to apply for the UNESCO listing of Jeju Haenyeo. Moreover, the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regarding Haenyeo tend to provide only fragmentary knowledge on a temporary basis rather than systematic instruction on the culture of Haenyeo. Additionally, the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are focused primarily on the technical side of the diving work rather than the culture of Jeju Haenyeo.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Learning content using storytelling to give an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Jeju Haenyeo,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a systematic and integrated manner. e-Learning content is the least costly method of delivering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an unlimited number of people, and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by correcting errors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biggest advantage is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e-Learning content since there are no time‐space constraint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e-Learning to motivate learners to learn by themselves because of its uniform structure. In order to address this disadvantage, the study presents e-Learning content by making use of storytelling. However, there are some requirements the existing e-Learning content has to meet. It must be created within a fixed amount of time (about 25 minutes) and be presented a fixed number of times. In this regard, a process of artificially editing longer content into shorter segments can occur. The e-Learning content of Jeju Haenyeo has the story based on the core values of Jeju Haenyeo. The story plays a central role in conveying the learning content. The e-Learning content provide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outline of Jeju Haenyeo by producing one unit as a separate part rather than breaking it up into several shorter ones, which is in a different formant from the existing e-Learning content.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the e-Learning content of Jeju Haenyeo using storytelling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the existing e-Learning content that is using storytelling, the status of the content on Jeju Haenyeo, and then identifies the issues the existing content has experienced. Last, how this content should be developed is propos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is paper singles out and presents the content that has educational value among the many different cultural elements of Jeju Haenyeo. The content is composed of a summary of the history of Jeju Haenyeo, the community culture of Jeju Haenyeo, and their eco-friendly working methods. By extracting the educational elements, the study has developed the main topic and the content of the story. In the story development process, ‘Yong-gung Olle,’ a legend of Jeju Haenyeo, is selected as the motif of the main story. Meanwhile, as the main character, a job seeker is chosen in order to help the learners become familiar with the story. Furthermore, the content consists of the story, learning motivation design, interaction, screen design, the strategy of the core learning activity, etc. In the storyline, this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elements mentioned above to assist learners in recognizing the culture and value of Jeju Haenyeo. It also produces the storyboard by imagining the characters, the main scenes, etc. In the conclusion, a method that could be used as OSMU (One Source Multi Use) is proposed. The method can be beyond the educational content through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Although the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is fragmentary, it is expected that e-Learning content can be developed into a number of units based on the cultural elements of Jeju Haenyeo. Ultimately, this study may be able to contribute to boosting people’s interest in the culture of Jeju Haenyeo. It may assist in preserving and spreading the value of Jeju Haenyeo culture.

      •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이 있는 CPSQ 관심군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명숙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에 어 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참여아동은 CPSQ에서 관심군으로 선별된 초등학교 4학년 여아 1명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인은 미술치료, 종속변인은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이었다. 참여아동에게 2015년 10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주 2회 회기 당 50분, 총30회기 의 미술치료를 중재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미술치료 활동내용과 작품을 기록하였다. 미술치료의 효과가 미술치료중재 장면에서와 함께 아동의 주 요생활 장면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 아동의 모, 상담교사, 지역 아동센터 사회복지사 4명의 관찰자가 정서·행동관찰 평가지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유지기간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KHTP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로서 정서·행동관찰 평가는 그래프로 나타내 분석하여 각 기간별 평균과 변화율을 산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KHTP의 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분석 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활동내용과 작품을 질적 분석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 다. 회기별 활동모습과 작품내용에서 초기에는 원하는 대로 되지 않거나 힘들게 느껴지면 바로 그만두고 싶어 하였고 연구자에게 의존하였으나 후기에는 자신의 의도대로 되지 않았을 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방법을 찾아 해결하려는 등 타 인을 배려하는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 KHTP검사에서 도 사회적 미성숙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질적 분석과 함께 객관적 검사로서 정서·행동관찰 평가에서도 기초선에 비 해 유지기간이 82%낮게 변화되어 사회적 미성숙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주요생활 장면에서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에 대한 관찰자 별 변화 양상은 4명의 관찰자와 기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기초선에 비해 유지기간의 변화가 연구자는 93.2%, 아동의 모는 76%, 사회복지 사는 84%, 상담교사는 76%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4명의 관찰자마다 사회적 미성숙의 변화양상은 다르지만 76%이상의 변화를 기록하여 아동의 주요생활 장 면에서도 미술치료의 효과로 인해 사회적 미성숙이 감소되고 그 효과가 안정적 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위축/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회기별 활동모습과 작품내용에서 초기에는 자신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부담스 러워하는 위축되고 회피적인 모습에서 후기에는 적극적이며 자신있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KHTP검사에서도 위축/우울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긍 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정서·행동관찰 평가에서도 기초선에 비해 유지기간 이 78%낮게 변화되어 위축/우울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넷째, 주요생활 장면에서 CPSQ 관심군 아동의 위축/우울에 대한 관찰자별 변 화 양상은 4명의 관찰자와 기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기초선 에 비해 유지기간의 변화가 연구자는 79%, 아동의 모는 81%, 사회복지사는 69%, 상담교사는 84%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4명의 관찰자마다 위축/우울의 변화양상은 다르지만 69%이상의 변화를 기록하여 아동의 주요생활 장면에서도 미술치료의 효과로 인해 위축/우울이 감소되고 그 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 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정서·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으며, 그에 따른 후속연구가 요구 된다. 우선 이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 다. 또한 아동의 주요생활 장면에서의 4명의 관찰자가 실시한 정서·행동 관찰은 미술치료 장면과 동일한 환경이 아니므로 관찰자 신뢰도를 구할 수 없으며 다양 한 변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치 료의 효과를 다양한 장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연구 설계가 필요하 다. This research’s propos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hy on emotion and behavior of the childeren identified as demanding attention on their emotion, behavior problem by CPSQ. Participating child is a 4th grade girl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used ABA design of single subject research,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rt therapy, the dependent variable was emtion and behavior ;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Researcher had conducted art therapy to participating child 30times, twice a week for 50minute from 2015. 10. to 2016. 2. To testify its effect, researcher had recorded activity contents from therapy and work,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main living scene of subject, researcher not just conducted a KHTP preliminary post inspection, but also gathered data from the period of baseline, treatment, maintaining using emotion and behavior observation checklist which had done by a researcher, a mother of subject, a school counselor, and a social worker from local children center. The test of emotion and behavior observation as collected data was represent as graph and analyzed, effectively verifying its effect by calculating average and improvem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KHTP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Furthermore, researcher verified its effect by quality analysis of contents and works from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by CPSQ. In early art therapy session, The subject child had wanted to give up and relied to researcher when she feel tired or things aren’t turned out as her wanting. But by the advanced stage in art therapy her active, positive social behaviors were increased like trying for solution and not relying anymore when her intention was not realized. She showed positive change at post-KHTP inspection than a preliminary one in social immaturity sector. Not only in qualitative analysis, but also in emotion and behavior test as objective inspection, social immaturity in maintenance period marked 82% drop than base line, showing considerable decrease. Second, each observer’s aspects of transition on social immaturity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s by CPSQ were showing subtle difference by observer and period. Researcher recorded 93.2% change on maintenance period comparing with base line, her mother recorded 76%, social worker recoded 84%, and school counselor recoded 76% change. Aspects of transition in social immaturity are showing a little difference by each 4 observers, but all 4 recorded not fewer than 76% changes in commo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due to art therapy and maintaining its effect stably in main livelihood scene. Third, art therapy was effective on decrease in withdrawal/depression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she has changed from intimidated, evasive attitude like feeling uncomfortable on being exposed herself to confident, active attitude in Art therapy session. Also in emotion and behavior test, withdrawal/depression in maintenance period marked 78% drop than base line, showing considerable decrease. Therefore, consider for above research result, art therapy influence positive effect on emotion and behavior of child who identified as demanding attention on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by CPSQ showing effect o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However,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so following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irst place, this research has limitation to generalize as single subjective research. Also, this research can’t find observer confidence degree because it can’t exclude effects from various variables which may be able to influence emotion and behavior as 4 observers had observed emotion and behavior of the child in respectively different scene. Therefore, more detailed research design which can observe the effect of treatment in various sc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