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지역 보건복지인력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양기훈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87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보건복지인력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4월20일부터 5월 13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지역 사회복지 관련기관 및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등 31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배부된 설문지 총 328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15부를 제외하고 313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주지역 보건복지인력의 성별,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생활스트레스에는 나이, 혼인, 직장, 총근무년수 등 다양한 원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는 직장, 월 소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스트레스의 하위요인으로는 우울과 자살생각에 인간관계스트레스와 건강스트레스가 동일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간관계스트레스와 건강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우울과 자살생각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을 매개로 했을 때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우울을 통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은 보건복지인력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수이며, 그 중 우울이 자살생각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보건복지인력의 자살생각의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 인간관계스트레스 및 건강스트레스와 우울의 수준을 낮추는 것이 우선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우울증 조기발견, 자살예방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보건복지인력의 정신건강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life stress on suicide thoughts of health and welfare workers in Jeju,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thought. For this purpose, 313 social workers, nurses working at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ions and hospitals and clinic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April 20 to May 13, 2020, and 313 questionnaires were used, except for 15 which were unfaithfully answered out of 328 questionnaires.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layout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id-multi-return analysis, and Sobel test. Studies show that gender, lifestyle and depression of health and welfare workers in Jeju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uicide thoughts, and these results mean that women are more affected by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s than men. In addition, various causes such as age, marriage, work, and total working year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ving stress, while job and monthly incom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The lower factors of life stress show that human relationship stress and health stress have equally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s, which can be explained that the higher the human relationship stress and health stres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 Also, when depression is the medium in relation to life stress and suicide thought, it is shown that life stress does not directly affect suicide thought, but it has a full effect through depression. Therefore, life stress and depress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suicide of health and welfare personnel, and among them, depression is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the idea of suici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lowering the level of human relationship stress,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is a priority in order to lower the level of suicide thoughts among health and welfare workers in Jeju, and based on this result, the mental health of health and welfare workers will be improved by implementing stress management programs, early detection of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전문직정체성과 인권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허미자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전문직정체성과 인권의식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내 생활시 설과 이용시설 20개 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2년 3월 20일부터 4월20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연구에 대한 설명과 동의를 구하고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총 450부를 배부하여 403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65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Cronbach's α 값을 구 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 기술적 통계 분석을 하였고, 주요 변수 간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전문직정체성과 인권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문직정체성과 인권의식, 직무만족 모두 보통 수준을 보였고, 직급이 높고, 근무기간이 길며, 연령대가 높은 경우 전문직정체성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 다. 인권의식은 직급이 낮으며, 근무기간이 짧고, 사회복지사외 자격증을 보유한 종사자인 경우 인권의식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분야에서 근무하는 중간관리자이상 남성 종사자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직무만족의 전체의 평균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전문직정체성을 투입한 결과 전문직정체성 하위요인 전 문조직활용, 소명의식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 하위요인 직무에서는 전문직정체성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고, 감독은 소명의식에서, 보수는 전문조직활용과 소명의식에서, 승진 은 전문조직활용과 소명의식에서, 동료관계는 윤리의식과 소명의식에서, 기관은 전문조직활용과 소명의식에서, 전․이직은 소명의식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 인권의식을 투입한 결과 인권의식 전체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 하위요인 중 직무에만 사생활보호권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복지시설종사자가 직무를 수행할 때 전문조직을 유 용하게 활용하고,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향상되며, 사생활보호권이 보장될수록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는 향상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human rights awareness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o this en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workers in 20 living facilities and facilities in Jeju-do. The research period is from March 20 to April 20, 2022, when the researcher directly visits the institution or asks for explanation and consent for the study by mail, and distributes and collects questionnaires. A total of 45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03 copies were recovered. A total of 36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the insincere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3.0,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y obtaining Cronbach's α valu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test) and one-way batch variance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mong major variable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alysi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human rights awareness 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rofessional identity, human rights awaren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all at normal levels, and the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was high when the position was high, the working period was long, and the age group was high. The level of human rights awareness was found to be high in the case of workers with low ranks, short working hours, and qualifications outside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ale workers with middle managers or higher working in the disabled field had high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overall average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at a rather high level, As a result of input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professional identity,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fessional organization utilization and sense of calling. Job satisfaction sub-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Supervision is from a sense of calling, remuneration is from the utilization of a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a sense of calling, promotion is from the utilization of a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a sense of calling, peer relationships are from a sense of ethics and a sense of calling, institutions are from the utilization of a specialized organization and a sense of calling, and transfer/replacement is from a sense of calling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ciousness of calling. As a result of input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human rights awaren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human rights awarenes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only the job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ight to priva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use professional organizations usefully when performing their duties, The higher the sense of voc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more the right to privacy is guarantee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 제주특별자치도 성인 남성 흡연자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상태 및 행태가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활용

        김민정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제주특별자치도 성인 남성 흡연자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상태 및 행태가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활용 김 민 정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지도교수 송효정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 지역 성인 남성 현재 흡연자의 금연의 도율을 파악하고, 금연의도와 사회경제적 수준, 건강상태 및 행태가 관련성이 있 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제주 지역에서 수행된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 여 분석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설문 항목 중 금연의도 확인 질문에 답한 성인 남성 현재 흡연자 881명이었다. 본 연구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대상자의 금연의도율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흡연 관련 요인, 건강 관련 요인에 따른 금연의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 여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금연의도 관련요인을 파악하 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 결과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와 선행 연구에서 유의 하게 나타났던 우울감 경험 유무 변수를 투입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금연의도율은 52.9%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는 연령대(χ²=12.42, p=.029), 월 가구소득(χ²=17.70, p=.001), 교육수준(χ²=4.38, p=.036)이 금연의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흡연 관련 요인에서는 궐련형 전자담 배 현재 흡연 유무(χ²=4.02, p=.045), 과거 금연 시도 경험 유무(χ²=146.44, p=<.001)가 금연의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 관련 요인에서는 음주 유무 (χ²=4.51, p=.034), 점심 식사 후 칫솔질 유무(χ²=6.78, p=.009)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상자의 금연의도 관련 요인은 월가구소득(OR=2.46, 95% CI=1.33~4.53), 과거 금연시도 경험 유무(OR=7.00, 95% CI=1.33~4.53), 우울감 경험 유무 (OR=2.00, 95% CI=1.00~3.96)로 확인되었다. 월 가구소득이 400만원 이상인 경우 가 월 가구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보다 금연의도를 가질 가능성이 2.46배 (p=.004) 증가하였고, 과거 금연시도를 한 경우가 과거 금연시도를 하지 않은 경 우보다 금연의도를 가질 가능성이 7배(p=<.001) 증가하였다. 또한 우울감을 경험 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2배(p=.049) 금연의도를 가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는 바이다. 첫째, 제주 지역 남성 흡연자의 특성을 고려한 금연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제주 지역 여성 또는 전자 담배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의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 지역 성인 남성 현재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의도 관련 요인 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연구라는 점과 제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금연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주제어 : 금연, 의도, 남성, 흡연자, 지역사회건강조사

      •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유용한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알아보고 인권감수성과 인권감수성의 하위요인인 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직무요인, 심리적 요인인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으로 구분해 살펴보는 것이었다. 조사를 위해 제주지역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장애인거주시설,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 등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4부를 제외하고 28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수준은 5점 만점에 4.09(SD=.50)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상황지각능력은 4.19(SD=.54), 결과지각능력은 4.13(SD=.58), 책임지각능력은 3.94(SD=.55)로 나타나 상황지각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주 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가 상대적으로 인권문제가 개입되어 있는 상황을 민감하게 지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직무요인에 따라 살펴보면 학력과 서비스대상, 직종이 인권감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대졸 이상, 전문대졸, 고졸 이하 순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인권감수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대상에서는 장애인 관련 시설 종사가 노인 관련 시설 종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직종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요양보호사보다 인권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성별, 학력, 사회복지 경력과 심리적 요인으로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 하위요인과 관련해서 살펴보면 상황지각능력에는 성별과 공감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지각에는 학력, 서비스대상, 공감능력,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지각능력에서는 학력, 사회복지분야 경력, 공감능력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인권감수성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사회복지 전반에 걸친 인권감수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인권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성별, 학력, 근무경력을 고려한 인권감수성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심리적 요인 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이 역시 필요하며 사회복지 현장에 있는 종사자들이 인권문제에 적극 관심을 갖고 개입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of welfare agency workers in Jeju Island.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job, and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empathy ability and self-esteem o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its subfactors including situation, outcome,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ability.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305 practition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cluding social workers and care workers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resid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eju to collected data. A total of 28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after the exclusion of 24 containing insincere answers. Collected data was put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5.0 program.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actition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ju scored 4.09(SD=.50) out of 5 points in human rights sensitivity. Their scores were highest in situation perception ability at 4.19(SD=.54), which was followed by outcome perception ability at 4.13(SD=.58)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ability at 3.94(SD=.55) in the ord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actition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ju had sensitive perceptions of situations in which human rights issues were relatively involved.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and job factors on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found that educational backgrounds, service targets, and types of occup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it.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the highest in thos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who were followed by those who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 and high school in the ord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the higher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As for service targets,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higher in those who worked a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an facilities for the elderly. As for types of occupation, social workers had higher human rights sensitivity than care workers. Finally,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empathy ability and self-esteem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ractition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ju along with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ocial welfare career. Of the subfactor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situation perception ability was influenced by gender and empathy ability. Educational backgrounds, service targets, empathy ability, and self-esteem had significant impacts on outcome perception. Responsibility perception was affected by educational backgrounds, career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empathy ability. These findings show that different factors had impacts on the subfactor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eded to conduct ongoing researches on human rights sensitivity across the field of social welfare in Jeju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human rights sensitivity by taking into account its influential factors including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career.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o enhance empathy ability and self-esteem as influential psychological factors and design an institutional measure for practitioners at the site of social welfare to take active interest in and make an intervention in human rights issues

      •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내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료

        유은숙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공공 및 민간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 339명을 대상으로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도청, 행정시, 읍면동 사회복지분야 공무원 및 민간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등 총 350부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배부된 설문지 350부 중에서 성의 없게 응답한 11부를 제외하고 339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임파워링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rnold 등(2020)과 일치하여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연령이 낮고 근무연수가 낮을수록 임파워링리더십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직원 개개인의 전문성과 역량발휘를 저해하는 위계적 관료문화를 탈피하고 신규직원의 주도적 참여를 유도하고,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결과 사회복지조직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데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상급자와 직원 간의 하향식 성과목표 설정 방법에서 벗어나서 능률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관리와 개방적 의사소통 분위기를 조성하여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업무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지지 형성 등 조직문화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몰입이 향상되고 조직시민행동이 강화된다는 것은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의 업무 능률향상과 업무에 대한 보람과 성취도 등을 고취시키고 궁극적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파워링리더십은 사회복지조직에서 상급자의 바람직한 리더십의 역할모델로 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주민과 사회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필요한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for social welfare workers in Jeju to focu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effect of senior's empower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investigated by targeting those in public and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1 to March 31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a total of 339 employee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City, Seogwipo City, Eup, Myeon, dong, social welfare offices and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 total of 33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excluding 11 who responded insincerely.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tudy of Arnold et al. (2020).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younger and shorter working period of the employee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re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empowering leadership.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 empowering leadership program for seniors that can break away from the hierarchical bureaucratic culture and induce new employees to take initiative, and strengthen their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organization commitment has a high influence on enhanc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increase organization commitment, top-down methods of setting performance goals between superiors and employees should be avoid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forming a positive support culture that can maximize voluntary and creative work performance by creating an atmospher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open communication to enhance efficie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employee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Ultimately, they could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to local residents.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can be presented as a role model for desirable leadership of superior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his leadership is essential to building a system that is trusted by local residents and local communities.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문종혁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이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5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1년 4월 19일부터 4월 30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연구에 대한 설명과 동의를 구하고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총 200부를 배부하여 182부가 회수되었고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Cronbach's α 값을 구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 기술적 통계 분석을 하였고 주요 변수 간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자본과 서비스 질은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3점) 이상을 보였고, 사회적 자본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고 직위가 높을수록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학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장애인복지관 종사기간이 길수록 서비스 질을 지각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서비스 질 전체의 평균은 타 사회복지 영역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독립변수인 사회적 자본을 투입한 결과, 사회적 자본 하위요인 중 공유된 규범과 가치만이 서비스 질 하위요인인 대응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종사자의 공유된 규범과 가치는 이용자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기관 내의 사업방향과 규범이 종사자에게 영향을 미쳐 이용자의 서비스에 즉각적으로 반응을 함으로써 서비스 질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직접적인 업무와 관련되지 않은 네트워크나 연대 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서 신뢰 및 소속감을 제고 시킬 수 있는 교육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 내 장애인복지관의 상호 교류 및 공식·비공식적 네트워크의 활성화로 통합적인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ocial capital and service quality of welfare center workers for the disabled and how social capital affects service quality. To this end, a self-fill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fiv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Jeju.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April 19 to April 30, 2021, when the researcher personally visited the institution to ask for explanation and consent for the study, and to distribute and collect questionnaires. A total of 2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82 copies were recovered and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1.0.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y obtaining Cronbach's alpha value.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mong major variable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OVA) was used f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service qua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social capital and service quality were generally above the average level (3 points), and soci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re was no social worker qualification and higher positions. In addition,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and age of women, the longer the period of service at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than me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verage of the overall service quality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ocial welfare domains, but as an independent variable, social capital was inpu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iveness, which is a factor. The shared norms and values of the practitioners provide prompt services to users, thereby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and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It seems to have had an impact o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is insufficient network and solidarity activitie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work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an educational policy that can enhance trust and a sense of belonging i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r workers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grated services through mutual exchange of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the region and activation of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윤성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2년 4월 11일부터 4월 22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연구에 대한 설명과 동의를 구하고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총 400부를 배부하여 391부가 회수되었고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6.0을 이용하여 분석·통계처리 하였으며 Cronbach’s α 값을 구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 분석,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주요 변수 간의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은 평균적으로 보통(3점) 이상을 보였으나, 조직문화는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동료관계, 직무자체, 업무감독, 환경관련, 보수체계, 승진기회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경력이 많고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하위요소 중 보수체계와 승진기회에서는 보통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조직문화는 사회복지분야 유형 및 사회복지시설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용시설은 합리문화, 생활시설은 위계문화가 강조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조직문화의 하위문화 집단문화, 개발문화가 직무만족 전체에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분야 유형에 따라 조직문화가 일부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복지시설 유형에 따라 조직문화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다른 조직만족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내부체계 유지와 통합에 가치를 두고 유연성을 중시하는 집단문화와 구성원 상호 간 협력이 업무동기를 유발하고 구성원의 능력을 발휘하여 외부환경에의 적응과 변화, 신축성의 특징을 가진 개발문화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는 조직의 협력을 통해 자유롭고 개별의 성장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여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the Jeju area and to examine how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For this purpose, a self-fill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Jeju.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April 11 to April 22, 2022, when the researcher personally visited the institution to ask for explanation and consent for the study, and to distribute and collect questionnaires. A total of 4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91 copies were recovered and us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IBM SPSS 26.0, Cronbach's α value was obtained to analyze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etween major variables, it was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were average (3 points), but organizational culture was in the order of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peer relations, job supervision, environment, remuneration system, and promotion opportunities. The higher the social welfare experience and age, the lower the score than usual in the remuneration system and promotion opportunitie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welfare field and social welfare facility, and rational culture for use facilities and hierarchical culture for living facilities were emphasize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bculture of organiz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had significant results for the entire job satisfac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welfare field,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general characteristics. A group culture that values flexibility and values the maintenance and integration of the organization's internal system, and a development culture with characteristics of adaptability, change and flexibil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y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o motivate each other and displaying the abilities of members. appears to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summar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Jeju is free through 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by adapt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through individual growth.

      • 병원 보건관리자의 직무수행도,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미숙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보건관리자들의 일반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수행도,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 의도 수준을 알아보고, 직무 수행도,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 17일부터 2월 17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전국 병원(30병상 이상)에 근무하는 보건관리자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주요 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병원 보건관리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수행도는 최종학력, 의료기관 종류, 상시 근로자수, 보건관리자의 총경력, 현 직장 경력, 소속부서, 승진 기회의 유무, 노동조합의 유무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승진 기회의 유무, 직무소진은 의료기관의 종류와 승진 기회 유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직 의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연구대상자의 직무수행도와 이직 의도 간의 인과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3. 연구대상자의 이직 의도와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이직 의도는 직무스트레스(r=0.508, p=0.000), 직무소진(r=0.493, p=0.001)과 유의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다중회귀분석 결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이(β=-.201, p=0.025), 최종학력(전문대 졸업을 기준으로 더미변수화) 대학원 졸업(β=.358, p=0.010)과 대학 졸업(β=.204, p=.030), 소속부서(안전보건부서를 기준으로 더미변수화) 기타부서(β=-.016, p=.044), 직무스트레스(β=0.398 p=.000), 직무소진(β=0241, p=.019) 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5.0%(F=5.316, p=.000)였다. 조사 결과는 병원에 종사하는 보건관리자의 이직 의도는 나이와 최종학력, 소속부서,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과 유의한 인과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이직 의도 있다고 유의하게 나온 결과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이직 의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병원 보건관리자가 보다 더 나은 직장을 구하거나 또 다른 체험을 경험하기 위해, 또는 승진과 보상이 따르지 않은 점에서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승진 기회가 없고 보상이 부적절함으로 오는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인 소진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필요할 것이다. 나이가 어릴수록 이직 의도가 높다는 것은 보건관리자 직무에 대한 형식상 교육이 아닌 실제 현장에서의 실무에 대한 교육, 전문성 제고를 위한 경력개발제도와 경력 인정 기준과 범위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상시 근로자 수와 상관없이 혼자 업무 추진 과정에 발생하는 부담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병원 보건관리자들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보다 안정적인 소속부서,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체계적인 제도와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긴장을 완화하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정부 차원 및 조직 차원에서 도입하여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health managers working in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performance, job stress, and job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health managers working in hospitals (30 beds or more) across the country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7 to February 17, 2022, a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hospital health manag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final education,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number of regular workers, general career of health managers, current work experience, department of affiliation, opportunity for promotion, and existence of labor unions.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ence of promotion opportunity, and job burno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and the presence of promotion opportun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2.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subjects'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3.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the study subjects, turnover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0.508, p=0.000), job burnout (r=0.493, p=0.0010). 4.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β=-.201, p=0.025) is a factor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final academic background (dummy variable based on junior college graduation) graduate school graduation (β=.358, p=0.010) and college graduation(β=.204, p=.030), other departments among affiliated departments(dummy variables based on health and safety departments) (β=-.016, p=.044), job stress(β=0.398 p=.000), Job burnout (β=0241, p=.019). This significant variable was selected,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5.0% (F=5.316, p=0.000).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intention to turnover of health managers engaged in hospitals h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age, last educational background, work department, job stress, and job burnout. In particular,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significant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and the higher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to experience another experience, or to consider changing jobs. Measures will also be needed to solv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that do not have a promotion opportunity and compensation is inappropriate.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turnover, not the formal education for the health manager's job, but the criteria for the scope of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recogni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practical skills in the fiel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the burde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work alone leads to job stress and exhaustion.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health managers, it is believed that a solution should be prepared by introducing a systematic system to reduce job stress and programs to alleviate physical, mental, and psychological tensions and increase resilience

      • 제주권역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소아치과에 내원한 소아청소년 장애인의 의무기록 분석 및 구강보건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양지은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내 소아청소년 장애인의 치과진료 관련 의무기록 및 구강보건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소아청소년 장애인의 구강보건에 대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8년 3월 1일부터 2020년 2월 29일까지 제주대학교병원 내 제주권역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소아치과에 내원한 모든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장 애 환자 189명이다. 자료의 수집은 연구 대상자의 의무기록 열람을 통해 이루어 졌다. 통계 분석은 장애 관련 일반 자료, 문진 및 진료 자료 등에 대해서는 빈도 산출로 시행되었고, 행동유도법과 연관성 있는 요인, 전신마취 치과치료 침습도 와 연관성 있는 요인 등에 대해서는 교차 분석 및 위험도 분석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연구 대상자의 성별, 연령, 의료보장형태, 거주유형, 거주 지, 장애유형, 장애정도, 중복장애, 과거 치과치료 경험 여부, 치료받은 의료시설 및 단체, 치료 협조도, 구강위생관리, 식이, 높은 우식 위험이 있는 식이, 구강습 관, 전신질환 및 의과력, 경련성질환, 주소(chief complaint), 주된 행동유도법, 전 신마취 치료내용, 후속 내원 등에 관한 통계 빈도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통계 빈 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원인 분석, 문헌 비교 등의 고찰을 하였고, 이것은 추후 구강보건 관련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만 6세 이상 13세 미만의 연령군은 행동유도 방법 중 전신마취보다는 진 정, 전신마취보다는 ‘비약물, 진정’을 시행하게 하는 경향이 있고, 만 13세 이상 19세 미만의 연령군은 진정보다 ‘전신마취, 진정’보다 비약물, ‘비약물, 진정’보다 전신마취를 시행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자폐성장애, 과거 치료시 낮은 협조도, 높은 우식 위험이 있는 식이, 충치 주소 등의 요인은 행동유도법에서 약물의 침 습도를 높이는 경향이 있다. 셋째, 만 6세 미만 연령군, 과거 치과치료 미경험, 높은 우식 위험이 있는 식이, 충치 주소 등의 요인이 전신마취 치과치료의 침습도를 높이는 경향이 있다. 거주 유형, 경련성 질환 여부 등을 포함한 의미 해석이 어렵거나 일관성이 결여된 요 인들에 대해서는 더 많은 대상에 대해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둘째와 셋째의 행동유도법과 연관성 있는 요인, 전신마취 치과치료의 침 습도와 연관성 있는 요인 등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구강보건 활동 및 정책에 대한 계획 수립 시 적절한 대상자 선정 및 구강보건 활동 방법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는 제주도 내 장애인 치과진료 관련 최초의 연구로서, 본 연구 를 토대로 추후 제주도 내 장애인 치과진료 관련 후속 연구를 계획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medical records and oral health-related facto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in Jeju province in order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future researches. All 189 pediatric patients with disabilities who visited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Jeju regional oral healthcare center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between March 1, 2018 and February 29, 2020 were included in the study. Collection of data was done through medical records review. Statistical analysis of demographic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treatments were done through frequency analysis, while factors related to behavior guidance method and invasiveness of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analyzed with cross analysis and risk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frequency analysis of the subjects’ gender, age, health insurance status, housing type, address, type of disability, level of disability, overlapping disabilities, previous experience in dental treatment, facility of previous dental treatment, level of cooperation, oral hygiene maintenance, diet, caries-prone diet, oral habits, medical history, presence of epileptic disorders, chief complaint, main method of behavior guidance, treatm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follow-up visits. Based on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causality study and literature review were done. This, in turn,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future public oral health researches. Second, for patients ages 6 to 13, sedation rather than general anesthesia, ‘non-pharmacologic guidance and sedation’ rather than general anesthesia were used for behavior guidance. For patients ages 13 to 19, general anesthesia rather than sedation, non-pharmacologic methods rather than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rather than ‘non-pharmacologic methods and sedation’ were used. Autism, history of poor dental treatment cooperation, caries-prone diet, and chief complaint of caries were noted to increase pharmacologic invasiveness in behavior guidance. Third, age under 6, non claimed previous dental experience, caries-prone diet, and chief complaint of caries were noted to increase invasiveness of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Further study with larger number of subjects is needed regarding factors with incoherent and difficult-to-analyze results such as housing type, history of previous dental treatment, and presence of epileptic disorders. Fourth, above-mentioned factors related to behavior guidance method and invasiveness of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may be applied to public oral health services and policy-making, especially for subject selection and selection of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ifth, this is the first study regarding dental treatment on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eju province. Future studies can be plan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세대 간 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대학생과 중장년을 중심으로

        김경범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부양의무세대인 중장년과 미래의 부양의무세대인 대학생의 복지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은 복지태도의 하위 요인인 복지책임의 주체, 복지기능의 정당성, 복지비용부담의 수용성, 정부의 복지재정 확충과 노인부양의식의 하위 요인인 경제적 부양의식, 정서적 부양의식, 신체적 부양의식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제주도내 대학생 153명, 중장년 151명, 총 304명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세대와 중장년 세대 모두 복지태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복지에 민감한 중장년 세대가 대학생 세대에 비해 복지태도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 세대는 부모와 동거할 때, 복지에 대한 선호 및 정부의 재정 확충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중장년 세대에서 40대가 50대에 비하여 복지 친화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세대와 중장년 세대의 노인부양의식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세대 간 비교에서는 현재 부양의무를 지고 있는 중장년 세대가 대학생 세대에 비해 경제적·정서적·신체적 부양의식 모두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 세대는 주관적 가정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중장년 세대는 부 부모와 동거일 때 노인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봉사활동경험이 있을 때 경제적 부양의식이 높았고, 성별에서는 남자의 경제적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 세대와 중장년 세대의 복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경제적 부양의식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세대가 정부의 복지재정 확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때 정서적 부양의식과 신체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종합할 때 세대 간의 복지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의 차이가 있으며,복지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하여 미비한 점을 보완한다면 제주지역에 적합한 공적부양체계를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between the middle-aged generation with the current duty to support the elderly and college students with the future duty to support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ir welfare attitudes on their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comprised the subfactors of welfare attitudes and the subfactors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e subfactors of welfare attitudes included the main agent responsible for welfare, legitimacy of welfare functions, acceptability of bearing welfare costs, and the government’s expansion of welfare budgets. The subfactors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cluded the awareness of economic support, awareness of emotional support, and awareness of physical support. The study involved 304 subjects comprised of 153 college students and 151 middle-aged adults and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oth college students and middle-aged adults showed relatively high-level welfare attitudes, but the middle-aged adults, who were typically sensitive to social welfare, exhibited higher-level welfare attitudes than college students in all subfactors. The college students who lived together with their parents exhibited preferences for welfare and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government’s budget expansion. In the middle-aged generation, those in their 40s showed more welfare-friendly attitudes than those in their 50s. Second, college students and middle-aged adults had relatively high levels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A generational comparison showed that middle-aged people with the current duty to support the elderly exhibited an overall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an college students in all subfactors of economic,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for the elderly. The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subjective household incomes showed corresponding higher levels of awareness of emotional support for the elderly. For the middle-aged adults, those who lived together with their parents showed an overall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hose with a volunteer experience exhibited an overall high level of awareness of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In terms of gender, men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welfare attitudes on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The positiv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middle-aged adults on welfare influenced their formation of awareness of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When college students had positive awareness of the government’s expansion of welfare budgets, it affected their awareness of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for the elderly. The incorporation of these findings indicates the presence of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elfare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as well as the influence of welfare attitudes on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is study will become valuable data to establish an appropriate public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Jeju region when combined with the follow-up research that will compensate for the current inadequate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