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한 초임교사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은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기관의 교육을 통한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는 첫째, 교사 전문성의 신장과 학문적 욕구 해소라는 내재적 가치 실현 둘째,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발령대기 상황의 대비책이라는 외재적 가치 실현을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에 미친 영향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교육적 경험을 하고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학교교육에 대한 가치 변화가 일어났고, 초등학교 초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의미관점의 발달을 겪을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에게 교육대학원은 전문적 자본 발달의 장(場)이었다. 또한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에서 동료교사와 함께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이 “함께 수업을 듣는 사람”에서 “교육에 관하여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사람”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구성원들은 현장교사들이 교육대학원에서 전문적 자본을 개발 및 확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현장교사들의 학습경험이 그저 ‘학위 취득을 위한 시간 때우기’에 머물지 않도록 교사 재교육 목적과 기능에 충실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은 단위학교나 지역교육청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교육대학원 교육프로그램의 학문성과 현장전문성을 확대 및 심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연결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수학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장교사들에게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있을 것이다.

      •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권미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각 학교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학교별로 파악하여 음악교육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내 초등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2005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석사학위논문 248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논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각 학교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분류기준은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심리, 음악교육과정, 음악교재,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교육, 음악특기적성, 국악, 다문화음악, 기타의 14개 영역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역사연구, 기술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4가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별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학교는 53편의 논문을 발표한 경인교대였으며, 모든 영역을 연구한 학교는 없었으나 11개 영역을 연구한 학교로 경인교대가 해당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경인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에서 네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나머지 학교들은 2개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영역은 음악교수?학습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이다. 대다수의 논문들이 교육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으로는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평가의 영역이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방법이 가장 적게 사용된 연구방법이었다. 따라서 초등교육음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논문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인 분류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시하는 각 교육대학교의 교육적 아량이 요구된다. This study makes pandect of master these in the field of the music education of the graduated school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s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ses in a master degree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wing useful data to th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nternal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is thesis is based on 248 theses of the graduate school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were written from August, 2005 to January, 2008. It focuses on the theses trend in each university, using the criteria of the study scope and the study method. The study scopes use 14 areas: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music psychology,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music textbooks, music teaching methods, learning methods, engineering of music education,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of music teachers, the special ability of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other areas. The study method uses 4 kinds: history study, skill study, experiment study and documentary records study. Findings on analysis reveals that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published the highest amount of these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no university which has a thesis covering the 14 areas. However,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the theses which cover 11 areas. Some these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f Kyengin, Busan and Cheungju use 4 study methods and the others use at least 2 and more study methods. The most popular study scopes are music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highest used study method is the documentary records. Most of the these use the study method using educational ideas and making a guidance plan. The least study scopes are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the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and evalu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least study method is history study. All in all, the research of the least study scopes should be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music. It is also essential to set the systematic classified criter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ses. It is, moreover, required that each university shows broad mind to allow researchers to access useful materials openly.

      • 現代社會에 있어서 『小學』의 敬과 그 敎育的 價値

        김현선 全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대 사회 전체에 蔓延되어 있는 個人主義的 思考와, 利己心의 克復과 그리고 점차 상실되어 가는 人間性을 回復(本然之性의 回復)할 수 있는 敎育 方法을 朝鮮時代 倫理 指針書로 인식되고 특히 어린이들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道德規範을 스스로 깨닫고 實踐하게 하려는 의도로 널리 보급된 『小學』에서의 敬의 意義와 그 敎育的 價値를 연구하였다. 『小學』을 구성하고 있는 여섯 편(立敎, 明倫, 敬身, 稽古, 嘉言, 善行篇)은 크게 內篇-外篇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여섯 편의 내용들은 敎育 目標-內容-方法이란 하나의 일관된 敬의 涵養이라는 敎育課程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立敎>는 『小學』의 敎育 目標를 담고 있는데 性理學的 倫理觀, 道學的 人性論, 그리고 理想的 人間象이 제시되어 있다. 性理學的 입장에서는 인간은 누구나 육체적인 존재인 한 形氣의 사사로움에서 벗어날 수 없고, 人慾의 사사로움에 쉽게 빠지게 되어 道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파악하여 그 명령을 따르기 쉽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本性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人倫을 敬의 마음으로 躬行實踐하는 道學的인 精進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이상적인 인간인 聖人의 언행을 표준으로 삼아, 점차 聖人이나 君子 같은 사람이 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小學』의 <明倫>에서 五倫은 단순한 契約論的 規範이 아니라, 궁극적인 실재인 '天'으로부터 연역되는 존재론적 의미를 지닌 '人間關係' 규범이다. 五倫을 이러한 존재론적 의미를 지닌 人倫規範으로 인식하면서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에게는 자연히 규범에 대한 '恭敬心'과 '畏敬心'이 자리 잡게 되는 것이다. <明倫>에서 이러한 五倫에 담겨있는 근본 정신은 상대방에 대한 지극한 '섬김'과 '恭敬'의 정신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 민주 사회적 공간 관련하여 유의해서 보아야할 점은, 儒家의 五倫 관계를 一方的-主從的 관계 윤리가 아니고, 雙方의 道理와 義務를 규정하고 있는 '雙務的 關係'를 근본적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敬身>에서는 다섯 가지 人間關係 영역으로 포괄되지 않는 윤리 영역, 특히 개인의 내외면적 생활을 규율하는 윤리 영역이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敬身>篇의 의미는, 개인의 隱微한 생활 영역에서 人慾이 싹트고 자라서, 本性의 덕을 상실하는 일이 없도록 항상 愼獨하는 도덕적 진지성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는 점이라 할 수 있다. 朝鮮時代 배움에 처음 입문하는 아동들의 책인 『小學』은 敬의 涵養을 목적으로 한다. 『小學』은 灑掃應對와 같은 아이들이 하루도 빠짐없이 해야 할 일과 마음과 外面을 바르게 다스리는 일을 행하도록 가르친다. 이와 같은 일은 敬과 별개의 것이 아니다. 아이들은 倫理的 德目을 단순히 반복하여 實踐하지 않는다. 아이들은 灑掃應對와 倫理的 實踐을 통해 겸손하고 방만하지 않는 마음가짐을 배운다. 즉 윤리적 실천을 통하여 아이들은 敬의 자세와 마음가짐을 배울 수 있다. 外面을 단정하고 바르게 갖는 것은 그 자체가 배움으로서 마음을 바르게 한다. 그리고 敬의 자세와 마음가짐을 가져야 惡한 것이나 개인적 욕심으로 흐르지 않고 道理에 입각한 실천을 더욱 잘할 수 있다. 敬과 倫理的 德目의 실천은 상호 상승 작용을 가져오는 것이다. 『小學』에서 涵養한 敬은 마음에 깃들어 있는 本然之性의 실마리를 드러내고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良知와 良能이 惡한 것에 물들지 않도록 지켜주고 길어준다. 『大學』 공부는 『小學』에서 익힌 敬을 바탕으로 시작한다. 따라서 사물에 집착하지 않는 마음으로 사물의 理致를 탐구하고 그것에 따라 실천하여 『大學』공부의 성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大學』의 공부를 통하여 敬은 더욱 친절해진다. '공부란 인간으로 살아가는 길을 배우는 것이다.'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공부의 근원인 敬을 涵養하는 『小學』공부는 인간됨의 바탕을 형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小學』교육은 배움을 객관적인 사실을 배우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았다. 『小學』 교육은 실천하는 중에 발현되는 本然之性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여 그것을 확충하고 자신의 삶의 지표로 삼아 살아가도록 이끌어 주었다. 이러한 점에서 知識은 增加하지만 그것이 人格的 成熟과는 무관하고 기술은 발달하지만 마음은 疲弊해지는 현대 교육의 逆說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端緖를 『小學』의 敬에서 얻을 수 있다.

      • 초급자를 위한 첼로교재 분석과 스즈키 교육에 의거한 지도방안 연구 : 스즈키 첼로 교본 제 1권을 중심으로

        김승화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음악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나 학원에서도 음악교육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 첼로를 접하는 초급자들에게 첼로를 가르치는 효율적인 교육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스즈키의 지도 원리를 활용한 지도방안을 연구했다. 우리나라에서 초급과정의 첼로 교재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스즈키와 스트링 빌더, 베르너 첼로 교본 제 1권을 분석하고 특히 스즈키 첼로 교본 제 1권을 중심으로 각각의 교재들의 특징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즈키 첼로 교본 제1권은 토널리제이션을 강조하여 아름다운 음에 대한 지도를 필요로 하고 부단한 주의를 기울여 바른 음정과 바른 자세로 연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조성의 전개가 D장조-G장조-C장조의 순서로 되어 있어 현악기의 줄이 5도인 점에 주안하고 편곡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첼로의 줄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A선과 D선으로부터 점차 음역을 넓혀가며 연습하도록 배려한 것도 엿보였다. 둘째, 스트링 빌더 첼로 교본 제1권은 단계별 포지션 도입으로 제 1포지션에 대한 학습이 주요 내용으로 되어 있어 첼로를 처음 배우는 학생들이 느낄 수 있는 심리적 부담감을 최소화하였다. 셋째, 베르너 첼로 교본 제1권은 첼로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을 알게 해주고 음계 중심의 엄격한 연습곡을 통하여 다양한 포지션을 폭넓게 학습하도록 하였다. 스즈키의 실제 지도 방법을 토대로 놀이를 통한 지도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가르치는 학생 24명, 전주지역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첼로부가 운영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 58명, 전주 음악학원에서 첼로를 교습 받는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교습 효과를 비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놀이를 통한 지도를 받은 그룹과 놀이 지도를 받지 못한 그룹으로 나눠 지도했다. 리듬 부분에서는, 단순한 리듬에서 복잡한 리듬으로 넘어갈 때 리듬의 음절수에 맞게 이름을 붙여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교사의 박수 소리로 어떤 곡의 리듬인지 알아맞히는 놀이를 통한 리듬훈련도 병행했다. 그 결과 놀이를 통한 리듬 학습을 지도 받은 학생은 그렇지 못한 학생에 비해 수월하게 리듬을 이해했고, 간단한 곡들은 교사의 지도 없이도 연주가 가능했다. 음정 부분에서는, 얼음 놀이를 통해 잘못된 음정을 고치고 이 놀이에서 파생한 ‘중지-준비’ 테크닉을 통하여 활의 각도와 음정 등의 기본 기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부분연습의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다. 이 지도법으로 교습을 받은 학생들은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 청음 능력이 향상 되었고 음계 학습에 대한 두려움도 낮아졌다. 역할 바꾸기 놀이를 하면서 학생이 교사의 역할을 통해 스스로 잘못된 점을 깨우칠 수 있게 하였고, 책 한권이 끝나고 나면 고기잡이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복습의 기회를 만들었다. 그룹레슨은 친구들과의 앙상블을 통해 음악을 아름답게 만들어가는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고, 다른 사람의 연주를 보면서 본인의 잘못된 점을 스스로 찾아내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실제 발표회를 대비한 손뼉 치기 놀이는 연주에 대한 부담감으로 잦은 실수를 하는 학생에게 특히 효과적이어서, 이 놀이를 통해 실수를 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한 곡을 끝까지 마무리 할 수 있는 훈련이 되었다. 역할 바꾸기, 고기잡이 놀이, 손뼉 치기 놀이를 통해 그룹 레슨을 받은 학생과 그렇게 못한 학생들의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룹 레슨을 받은 학생들은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 실제 연주에 대한 두려움이 적었고, 개인 레슨만 받은 학생들보다 레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놀이를 통한 지도를 받은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복습 기회를 만들어 곡에 대한 완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입장과 그들의 눈높이를 맞춰 지도했을 때 학습 결과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은 바람직한 지도방안을 통해서 바른 인격 형성과 창의력 개발을 위해 도울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 각자의 능력과 개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As Interest in Music Education increases in schools as well as at hom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music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a variety of ways. In this study, I studied a way of instruction utilizing Suzuki's guiding principle to give effective training results to the very fist beginner learner of Cello. Suzuki, String Builder and The Werner Cello book 1 was analyzed, which have been used as cello textbooks of Introductory Course in our country.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books on Suzuki Cello book 1 were examined and then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uzuki Cello Book 1 emphasizes tonalization . It requires the guidance about beautiful tones and puts emphasis on exercising the right tones and the correct posture required through a lot of efforts. It was found out that it was arranged by one thing that line of stringed instruments is consisted of cycle of 5th, because composition of the deployment is in the order like D major-G major-C major. In addition, this book makes the learner exercise extending the range from line A and D, which are the most heavily used lines in the cello line. Second, String Builder Cello Book 1 minimizes the psychological burden to the beginner learner in cello could feel because this book's main content is about No. 1 position on step by step position introduction. Third, Werner Cello Book 1 gives the learner a broad knowledge about the cello and makes them study a variety of positions widely through strict etudes on scale. For researching a teaching program through plays on Suzuki's practice teaching methods, a comparison was conducted regarding learning effectiveness of students (24 students I teach, 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cello in Jeonju at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and 36 students taking cello classes at Jeonju music academ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re taught. One of both was taught through plays, other group was not. In the rhythm section, when the simple rhythm moves on the complex rhythm, students were given names in rhythm of the syllable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easily. In addition, rhythm training was juggled through the play so that students guess what rhythm of song was. As a result of the teaching program,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the rhythm study through plays could understand the rhythm more easily than the other students who weren't taught. Furthermore, they were able to play simple songs without the guidance of teachers. In the tone section, wrong tones could be fixed through "Ice Play". Students exactly understood basic skills like Bow angle and pitch etc through "Stop-Ready" technique derived from " Ice Play" and they also mastered the method of the section practice.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in this teaching method improved their ability to listen to sounds than the others who weren't and the fear about scale study became lower. As the students were playing "The changing roles", they were made to realize wrong points themselves by being teachers. The students were also given opportunities to review the book they finished through "Fishing play" whenever the textbook was finished. Group lesson helped the students feel pleasure of creating beautiful music through the ensemble with friends and helped them react the positive response like finding their wrong points themselves while watching other students playing. Finally, "Clapping" play for the actual presentation was very effective to the students who had been making frequent mistakes by the pressure about musical performance. Through this play, all the students could complete the songs they were given to the end without any embarrassment even if they made mistakes. I could find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taken a group lesson and the students not taken it through the play like "Changing roles", "Fishing", " Clapping". The students who were taken a group lesson had lower fear than the other student who weren't taken the group lesson and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students who were taken private lessons. Also,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through the plays made the opportunity to review naturally and enhanced the completeness of song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tudy results was effective when teachers taught students on the position of students. Therefore, teachers can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the right personality through good teaching, and moreover teachers can maximize all students' abilities and personality.

      • 초등학생의 법적 관용성에 대한 조사 및 법교육에의 합의

        반석윤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인권침해에 대한 법적 관용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인권의식을 고찰하고 법 교육의 기초자료를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주시의 초등학교 6학년 남녀 602명을 표집하여 복지권, 보호권, 참여권 등 3개의 영역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배경 변인별로 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권에 대한 법적 관용성은 인간의 존엄성, 자유, 평등, 국민 주권주의에 대한 의식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인권 침해자라해도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73.5%), 의사표명권(69.8%)에 대하여 관용적이어야 한다는 반응을 보인 반면, 폭력·학대로부터의 자유(38.2%)에 대하여는 비관용적이어야 한다는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법을 개인의 능력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초월적 존재로 인식하는 전통적이고 유교적인 사회 특유의 법인식에서 법을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일종의 계약으로서의 수정 가능한 것으로 파악하는 서구 사회의 근대적 법인식관이 접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법을 초월적 존재 또는 징벌적, 형벌적 도구로 인식하는 한 법에 대한 자신감이나 긍정적인 태도의 형성은 어려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법인식관이 짧은 시간에 근대화되기는 어렵지만, 학교 교육은 학생들의 이러한 전근대적 법인식관의 극복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둘째, 보호권에 대한 법적 관용성은 절차적 원리에서 토론 절차의 중요성, 관용의 정신, 비판과 타협, 다수결의 원리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사생활보호(36.1%)나 사상·종교·양심의 보호(55.7%)에는 다소 관용적 태도를 보였으나, 결사·집회의 자유권 보호(25.9%)는 비관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의 보호권에 대한 법적 관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으나 인권침해자들에 대한 법적 보호에 대해 낮은 반응을 보이고 있어 학교 법교육 개선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초등학생의 보호권에 대한 관용성이 낮은 점수에 머무르고 있는 이유는 초등학교 법교육 내용이 헌법 위주로 되어 있음이다. 이는 학생들의 흥미를 잃을 수 있어, 사례 중심과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의 선정이 요구된다. 셋째, 참여권에 대한 법적 관용성은 민주적 행동양식에서 준법 정신, 공공 의식, 참여 의식, 의사 결정 능력, 책임 의식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육을 받을 권리(55.7%), 휴식 문화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71.6%) 등 참여권에 대한 법적 관용성이 높은 원인은 현재의 사회 상황 즉, 정치적·사회적 요인이 어린이들로 하여금 인권 침해자들에 대한 사회 참여의 기회제공을 관용적으로 생각하는데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실상 학교의 법교육을 대단히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서 학교 법교육이 극복해야 할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인권 침해에 대한 법적 관용성을 진단해 보면 다음과 같이 종합해 볼 수 있다. 초등학생의 인권 침해에 대한 복지권 보장은 전근대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가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의 자유를 원하는 학생들이 많아 폭력이나 학대로 인한 인권 침해에 대해 성별에 관련 없이 비관용적이어서 학교 법교육이 복지권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초등학생들의 인권 침해자들에 대한 보호권은 결사·집회의 권리 및 사생활의 자유에 대해서는 비관용적이나 사상·양심·종교의 자유에 대해서는 높은 관용성을 보이고 있어 법 태도의 행동적 영역인 법적 효능감과 법적 사용 능력의 지도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인권 침해자들에 대한 참여권은 비교적 관용적이며 특히 차별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데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어 사회참여의 평등권 보장이 우선시 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inquire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nd get basic data of law-related education by analyzing legal toler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violation of human rights. 60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6th grade have been sampled, and analyzed for 3 fields, welfare rights, protective rights and participatory righ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gal tolerance for welfare rights is highly positive for consciousness of human dignity, freedom, equality and national sovereignty. It shows that it should be tolerant of even a violator of human rights towards his right not to be discriminated(73.5%) and to declare his intention (69.8%) but shouldn't be tolerant towards his freedom from violation and abuse (38.2%). The phenomenon is quite natural in Korea because we are aware of law as a transcendental existence which an individual can't change according to the law consciousness which is from the traditional and confucian society and understand it as a kind of contract which is made by people, so changeable according to the modern western legal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orm self-confidence or positive attitude toward law as long as we are conscious of it as a transcendental existence or a tool of discipline and punishment. Therefore it will be difficult to be modernized for law-consciousness in a short time, but school education should try to overcome the premodern law-consciousness constantly. Second, the legal tolerance for protective rights is relatively high for the importance of discussion process, the spirit of tolerance, criticism and compromise, and decision by majority in the process. It is relatively tolerant towards protection of privacy(36.1%) and ideology, religion, protecion of conscience (55.7%), but not tolerant towards protection of freedom of association and assembly. This show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legal tolerance for protective righ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low tolerance for legal protection of violators of human rights, so it suggests that law-related education of school needs to be improved. The reasons of the low tolerance for the protective righ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be various. One of them can be low interest in the law-rela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ince it consists of mainly the constitutional law, so it needs to consist of examples and everyday life-related contents. Third, the legal tolerance for participatory rights is relatively high for democratic behaviors, such as the law abiding spirit, the public consciousness, participation, the ability of decision making and responsibility. There are many reasons why the legal tolerance for participatory rights, such as rights for education(55.7%) and rights for participating in cultural activity, is high. Present social state, political and social elements, make children tolerant of the violators of human rights and think they should be given a chance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and this phenomenon gives law-rela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difficulty to educate their students, so it is a big problem which law-rela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should overcome. The legal toler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Guarantee of welfare righ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is mixed with premodern and modern elements. Especially many students want physical freedom, so they are not tolerant for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such as violation or abuse, and it shows law-rela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doesn't support welfare rights positively. The protective righ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violators of human rights show intolerant for the rights of association and assembly and the freedom of privacy but highly tolerant for the freedom of ideology, religion, conscience. This suggests that the guidance of the legal efficacy and the ability of legal use should be improved a lot. The participatory rights of violators of human rights were relatively tolerant, especially for "they should not be discriminated". It shows that guarantee of equal right of social participation takes precedence.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정소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실제 방과후학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를 알아보고 학교마다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개선점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내 모든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총 422부의 설문지를 각 학교에 보내 조사하였고 획득한 원자료를 이용하여 문항별 반응경향을 백분율을 통해 분석하고 지역별(도·농간), 학교규모, 교직경력별 유의미한 차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x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학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사교육 수요를 학교내로 흡수하기 위해 방과후학교를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방과후학교 발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앞으로 방과후학교는 특기적성교육, 수준별 보충학습, 보육프로그램 모두 확대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이를 위해 방과후학교가 정규교육활동과 상호연계되어 학교장이 운영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다만 16학급 이상에서는 외부기관위탁운영의 필요성도 제기되었고 가장 부담되는 업무로 방과후학교 관련 현황보고 및 설문조사협조(교육청, 국회요구자료 등)를 꼽았다. 둘째, 방과후학교 운영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특기·적성교육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학교내 유휴교실 또는 특별실 등 기존의 학교시설만을 이용하여 운영되고 있었으며 교육대상 또한 타교생이나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거의 발견되지 않아 기존의 특기·적성교육활동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방과후학교 담당강사는 외부강사가 교육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본교교원으로 자원봉사자나 대학생멘토링등을 활용하는 경우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였다. 방과후 학교 강사료 및 운영비의 확보는 전체적으로 국고지원금(학교운영비)이 가장 많았으나 시지역, 16학급이상의 학교의 경우 수익자 부담으로 운영되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학교에서 바우처제도를 통해 지원받는 학생이 기초생활수급자에 그치고 있었다. 셋째, 방과후학교의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관리의 전문성과 교사의 관리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방과후학교를 위탁운영하여야 한다는 응답과 보다 다양하고 수준높은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앞으로 방과후학교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참여학생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빠른 예산확정, 시설환경의 개선 순으로 조사되었고 방과후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처우도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아직 방과후학교가 도입 초기이고 학교현장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과 개선되어야할 점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우선 궁극적으로 비싼 사교육을 방과후학교 교육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보다 탄력적인 시간운영과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시지역의 경우 보육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자원봉사자나 대학생멘토링을 더욱 확대하여야 하며 바우처제도를 통해 지원받는 학생을 대폭 늘려야 한다. 방과후학교 운영면에서 대규모학교의 경우 위탁운영의 필요성이 있고 소규모의 학교에서는 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통해 소외받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빠른 예산집행과 지원금 확보로 각 학교에서 소신있게 방과후학교 업무를 해 나갈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강사 및 업무담당교원에 대한 처우가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각 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원을 담당하는 학교 및 정부(행정)당국의 입장과 교육을 제공받는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 아무런 댓가없이 일선에서 방과후학교 업무를 묵묵히 수행하고 있는 교사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였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iew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after-school studies about after-school programs and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in different schools in an effort to seek some feasible reform measur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22 teachers concerned in every elementary school in north Jeol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answer sheets were analyzed to get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to find out their opinions. And x2(Chi-square) test was utilized to see if geographic regions(rural and urban), school size and teacher career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opin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ir perception of after-school programs, the teachers investigated believed that after-school programs were necessary to let schools satisfy growing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A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was looked upon as the top priority for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programs. They thought there should be an increase in all the extracurricular courses, remedial education programs and daycare programs. To make it happen, principals should be responsible for linking after-school programs to regular education. But the teachers who worked at schools with 16 classes or more considered it necessary to entrust external institutions with after-school programs. Making a report on the state of after-school programs put the most pressure on the teachers, and they also found it burdensome to be surveyed by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or people from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as to their opinions on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extracurricular courses made up half or more of the after- school programs provided by the schools. After-school programs were conducted only within the schools by using existing school facilities such as empty classrooms or labs. After-school programs were little different from extracurricular courses, since few catered to students or teenagers from other schools or adults. The largest number of after-school programs was conducted by external lecturers, and school teachers took charge of the second greatest number of the programs. Just a few programs were provided by volunteers or mentors who were college students. A government subsidy provided as working funds from the government was the greatest source of finance to pay instructors and run after-school programs. But in the event of the schools located in urban regions or equipped with 16 classes or more, the benefit principle was applied. Only students who wer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were given financial aid in most of the schools that adopted the voucher system. Third, as for their perspective about future directions for after-school programs, many of the teachers considered it necessary to entrust external institutions with after-school progra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scale back teacher workload, and a lot of them placed emphasis on a necessity of a wide variety of quality programs as well. A preparation of various programs was most accentuated as what should most urgently be done to enhance after-school programs, followed by a securement of sufficient budget and an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teachers in charge of after-school programs should be given better treatmen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s concluded that there was much room to improve after-schools programs that were still in a rudimentary stage and confronted with lots of difficulties. In order for after-school education to replace expensive private education, a more flexible time management and quality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Specifically, urban schools should reinforce daycare programs and mentoring by college students, attract more volunteers and let a larger number of students benefit from the voucher system. In terms of management, large schools need to commit after-school programs to external institutions, and required infrastructure should be built to lend assistance to small schools. Every school should financially be assisted to offer after-schoo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ts own conviction, and better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to instructors and teachers in charge. Just teachers in charge of after-school program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Schools and local authorities that give support to after- school education might take a different view, and students and parents who are provided that education might look at it in a different way as well. This study is just expected to serve as a chance to listen to teachers who fulfill their responsibility for after-school education without asking anything in return.

      •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최홍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최 홍 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과정 비교 연구를 통해 상호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은 10년간의 국민기본공통 교육과정과 고2, 3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수준별 수업, 재량 활동 운영에서는 기본 기조를 유지하였고, 수업시수를 일부 조정하고, 과학역사교육을 강화하고, 단위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 등이 개정의 주요 내용이다. 둘째, 교육과정 성격 및 교육목표는 큰 차이가 없고 유사하다. 셋째, 내용 체계 및 내용 요소에 따라 두 교육과정을 비교하면, 고 등학교 1학년 과학의 전체적인 내용 체계는 거의 같지만, 물리 영역만을 고려했을 때는 전체적인 내용의 축소나 중학교 과정의 내용이 고등학교 과정으로 조정된 것 등이 변화되었고, ‘물리Ⅰ’에서는 전체적으로 세 개의 영역에서 네 개의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전체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삭제되거나 추가된 부분들이 있다. ‘물리Ⅱ’에서는전체적으로 세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고, 전체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삭제되거나 추가된 부분들이 있다. 넷째, 과학(물리)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내용을 축소․조정한 것에 관한 문제점, 학교급간에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을 적용시키는 것에 관한 문제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문제점, 고등학교 2, 3학년의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문제점 등이 있었고, 그 해결 방안을 살펴보았다.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과정을 전체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과학과의 전체적인 교육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개정이 되었고, 물리 교육과정에서는 따로 개정이 된 것은 없는 것으로 보이나, 교과서의 내용이 상당 부분 축소되거나 삭제되었다. A Comparative Study in Educ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Physic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Tentative in 2007 Choi, Hong-Jae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Jeonju University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school physics curriculum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at of the 2007-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ly, the 2007-revised Curriculum was maintained the basic principles - such as 10-year-long common curriculum, level-based selective courses for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ers, and the classes managed by teacher's own decision - , partially change the numbers of assigned lessons per semester, reinforce the history of science contents, give the expanded autonomy on managing process to each local school unit, and advance the selective curriculum of high school. Secondly, there is little difference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missions betwee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revised one. Thirdly, compared wit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s in terms of the system and elements of contents, 2007-revised one's physics - though they are nearly identical concerning the general system of the common science for highschool freshmen - shrinks the overall contents and absorbs some of the middle-school curriculum into highschool one. Physics Ⅰ adds one area to the former three ones, deleting and supplementing some contents. Physics Ⅱ seems to have almost unchanged structures, maintaining the three existing areas. Fourthly, I figure out several problems in science(physics) Curriculum, such as shrinking and adjusting curricula, applying the flexible curricula among each class, and managing the level-based classes and the selective classes for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ers. Additionally, I try to find out reasonable solutions on these matt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revised one, overall science curriculum was partially changed but physics curriculum remains relatively unchanged except for trimming and excluding some contents of textbooks.

      • 초등교원의 평생학습 참여실태와 요구 조사

        김소진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전라북도 초등학교 교원 350명을 대상으로 초등교원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과 참여 실태와 요구방안을 배경변인별로 분석하여 앞으로 초등교원의 평생학습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으로는 크게 세 가지인 성인학습자로서 초등교원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과 평생학습 참여 실태, 평생학습에 대한 요구를 설정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인식과 참여 실태, 요구방안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지의 내용은 ①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②평생교육 참여실태, ③평생교육에 대한 요구 와 같이 크게 3가지로 구성되며, 각 영역들은 총 23개의 개별문항을 통해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를 하위 영역별로 개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자기계발·자아실현, 급속한 사회변화에 적응하는 능력, 여가시간 활용 등이 평생학습의 이유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면 평생교육 참여율은 67%정도이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지역이 도시일수록 참여율이 높았으며 평생교육의 목적으로 개인적 관심이나 직무능력향상 등이 나타났다. 여가관련교육, 기초 · 교양 관련교육 프로그램에 주로 참여하였으며 주로 강의 위주의 수업을 받았고, 평생교육으로 인해 대다수의 응답자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 참여 요구: 향후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 의향은 높은 편이며, 평생학습 참여여부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는 교육내용과 종류, 시간적 여유, 거리 등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 참여 실태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보다 여성의 평생교육참여도, 향후 참여 의사도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이 선호하는 교육방법과 교육받고자 하는 희망기관, 희망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 따라서 참여하는 프로그램의 종류, 향후 받고자 하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평생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고, 연령이 높을수록 저렴한 비용과 비영리 단체, 자기계발, 여가관련교육, 노년교육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근무지역이 도시일수록 평생교육에 참여도가 더 높았으며 소요비용에서 무료로 이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연수관련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인터넷 뿐 아니라 지역광고, 신문을 통해서도 얻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평생교육의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평생학습을 해야 하는 이유로 자아실현을 꼽았으며 주로 사설학원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초등교원의 평생교육에 대한 수요와 요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연령별, 지역별, 참여횟수별로 선호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달랐으며 요구하는 프로그램과 현재 개설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참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및 개설을 통해 참여기회를 확대시켜야 한다. 특히 초등교원의 경우 절반 이상이 여성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초등교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설시 남성이 원하는 프로그램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70% 이상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여성에 비해 남성의 평생교육 참여도는 절반 정도에 그치고 있으므로 평생학습에 대한 매력도를 높여 남성교원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수명이 점점 늘어가는 사회 초등교원 역시 자기계발과 여가시간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 둘째, 현재까지 학교, 대학, 사설학원, 평생교육센터와 같이 교육을 받는 곳으로 정형화된 곳을 선택해왔으나, 앞으로는 인터넷, 비영리단체, 미술관, 도서관,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이용 희망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물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방법을 선호는 평생교육 확대에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하고자 하는 평생교육기관의 종류가 다양해져야 하며, 각각의 구체적인 수요와 요구에 따라 최적의 기관과 최소의 비용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평생교육에 관한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교육기관 홈페이지,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정보제공의 편리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하지만 연령층이 높은 경우에는 지역신문, 신문광고, 주위사람의 권유 등을 통해서 정보를 많이 얻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정보제공 방법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초등교원의 평생교육 참여의향은 높지만 평생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 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음 이었다. 이는 초등교원이 자기계발, 교육관련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적 여건이 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교원들이 평생교육에 더 많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현행 과도한 업무를 줄여 자기계발 및 수업연구에 필요한 시간적 여유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평생교육 기간이 대부분 짧은 편이라 적절한 교육기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비용, 교육장소와의 거리, 프로그램의 종류와 질 등을 고려하여 평생교육을 받고자하는 의욕을 높여 단기간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동안 교육에 관심을 갖고 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tandpoint on the lifelong study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analyzing a countermeasure to the requirement, the status of a participation and a cognition toward the lifelong study for 3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staying in Cheonlabukdo. This study is concentrated on the cognition toward the lifelong study, the statu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study and the demand of the lifelong study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cognition, the status of the participation and analyzing the countermeasure to the demand. the contents of a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① the cognition toward the lifelong education, ② the statu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③ the demand of the lifelong education. Each scope of which is analyzed with total 23 questions. A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a large number of teachers, overall, recognize an importance of the lifelong education. The reason for taking lifelong education is self-development, self-realization, capability of adaptation to the rapid social change and a use of free time. Second, in the statu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rate of the participation was estimated to be 67%, the teachers with low age and in the city highly participated and the purpose of taking lifelong education is the private concern and improvement in job performance.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leasure related education and fundamental culture related program, they, in general, took lecture based lesson. Most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lifelong education is helpful. Third, in the demand of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an inten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subsequent lifelong education is highly positive. An important factors in deciding the participation are composed of the contents and sort of education, free time and distance.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the intention of the subsequent participation are shown higher in women than in m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in the preferable method of an education, the institution where the teacher are educated and a program that the teachers want to take. The sort of the programs being participated and the programs that are subsequently wanted show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eachers's age. The teachers with low age spend more time on the internet for acquir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lifelong education. In contrast, the teachers with high age prefers to inexpensive education, education provided from a non profit organization, self-development, leasure related education and the senescent education. The teachers in the city highly participate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use information at free of charge. They use Internet, local advertising and newspaper for the method of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education. The teachers with high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choose the self-development in a reason for taking lifelong education. They normally use the private institutions. The standpoint on th demand and supply of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as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age, gender, location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 preferabl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s different and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program and a program that teacher want to take. Accordingly, an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should be raised through an investigation and establishing program that the teachers want to take. In particular, as more than a half of teachers are occupied by the woman at elementary school, if the programs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established, the programs that the man teachers want to take will be reduced, thus, it needs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the balanced education. Besides, over 70% women participate in the lifelong education, in contrast, approximately 50% men participated, as a result, it needs support to enable that more men participate in the lifelong education after raising attraction about the lifelong education. a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newly created in support of self-development and enjoying at free of time because the length of human life is longer. Second, the teachers choose the school, university, private institute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the lifelong education so far, however, the Internet, non-profit organization, art museum, library and resident self-governing center will be used subsequently. The preference of educational method that the education is conducted at physically limited location tends to obstruct an expans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and the countermeasure to participation in the best institute with minimum cost is necessary in step with explicit demand and supply. Third, as browsing website of the educational institute and accessing Internet are highly used for the method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lifelong education, an convenience in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will be implicitly foreseen. However, a variety of methods in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should be prepared because the high aged people rely on local newspaper, newspaper adversing and other people to acquire a variety of informations. Fourth, the particip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lifelong education is comparatively high, however, they do not participate often because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to participate. it implies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 is not well prepared for conducting the self-development, and education related study. To enable that more teachers participate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exceeding load of works should be reduced and more necessary times to conduct self-development and education related study should be provided. Fifth, the dur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is ,in general, short, thus, the appropriate educational duration is not reserve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demand of taking the lifelong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 cost, distance from education location and quality and sort of programs so that the teachers will have more concern regarding the education within long term process rather than termination in short term.

      • 위기 청소년들을 위한 TIE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연구

        박혜원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 문 요 약 이 연구는 위탁형 대안학교의 중, 고등학교 위기 청소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방관 행동을 주제로 교육연극 TIE(theatre in education)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해서 위기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폭력 TIE(theatre in education)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위기 청소년들의 관계 회복이다.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또래 집단과 가정 등의 각자 속해 있는 크고 작은 사회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교육연극 수업을 통해서 들여다보면서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위기 청소년들에게 부족한 인내심과 무기력함을 벗어던지고 회복탄력성을 높여서 배움에 대한 동기부여와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공감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연극의 한 방법인 TIE(theatre in education)를 활용하여 학교폭력의 방관 행동에 관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위기 청소년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적용하여 ‘의미 구성’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교육연극의 TIE(theatre in education) 개념과 구성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위기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위기 청소년 대상으로 하는 대안학교의 교육정책에 대해 알아본다. Ⅲ장에서는 TIE 프로그램 <침묵의 그림자>를 설계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등을 설명하고 TIE 공연과 프로그램 주제로 학교폭력의 방관 행동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기존의 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하고 TIE 원리에 따라 프로그램의 활동을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학교폭력 의식에 관한 검사 도구와 질적 분석 도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도상의 유의점을 생각하며 TIE 프로그램을 수업 현장에 적용하였다. Ⅳ장에서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도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교폭력 TIE 프로그램으로 인한 회복탄력성과 공감 능력에 대한 의식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청소년들에게 의미 구성을 하기 위한 학교폭력 TIE 프로그램 활동을 어떻게 구안할 것인가? 둘째, TIE 프로그램을 활용한 활동은 위기 청소년의 공감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연극 수업을 통해서 회복탄력성을 기르고 자기 효능감을 높이며 TIE 프로그램과 학교폭력 방관에 대한 문제 행동 인식이 생겼다. 둘째, TIE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활동이 위기 청소년의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는 TIE를 활용하여 학교폭력 예방 수업을 구안하고 위기 청소년들의 공감 능력을 향상하게 하는 시도로서 직, 간접적인 학교폭력 방관 행동에 대해 인식하고 타인을 배려하고 도울 수 있는 마음을 불러일으키고 나와 타인의 관계성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 주제어 : TIE, 교육연극, 학교폭력, 방관 행동, 회복탄력성, 자기 효능감, 공감 능력, 위기 청소년, 위탁형 대안학교 ※ 본 논문은 2022년 7월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연극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