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프리온 분해 단백질 발견과 angiopoietin-like Proteinol 실험실 조건에서 조혈모세포 증식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샤히나아크터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emoval of misfolded prion (PrPSc) in brain and in vitro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HSCs) are the most and important challenges in biomedical sciences. During my PhD researches, I identified a serine protease that degraded specifically PrPSc, and studied in vitro HSCs expansion by angiopoietin-like proteins. Using the bipartite galactosidase-4-upstream activating sequence (GAL4-UAS) expression system, I generated transgenic Drosophila which pan-neuronally expressed wild-type (WT) mouse prion protein (mPrP) or the serine protease or co-expressed mPrP with the serine protease. Abnormal accumulation of PK-resistant PrPSc, reduced lifespan, locomotor dysfunction, and rough eyes were resulted in 40 to 60-day-old mPrP expressed Drosophila indicating a toxic dominant mechanism of PrP for the etiopathogenesis of prion diseases (PrD). By contrast, co-expression of the serine protease with PrP showed that the serine protease completely detoxified misfolded PrP-induced neurotoxicity by degrading PK-resistant misfolded PrP, thereby preserved the normal lifespan along with strong positive locomotion, and normal eye development. In vitro enzymatic assay also showed that the serine protease had proteolytic activity toward PK-resistant misfolded PrP and this proteolysis was inhibited by UCF-101, a serine protease specific inhibitor. However, transgenic flies expressing serine protease displayed no pathological or phenotypical abnormalities rather it showed increased lifespan along with strong negative geotactic response. Confocal microscopic studies showed that the serine protease clearly detoxified abnormally accumulated PrP in transgenic Drosophila and co-localizes with PrP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In vivo analyses of mutated serine protease demonstrated that mutant serine protease failed to alleviate the abnormal accumulation of α-synuclein that causes not only PD but also plays a role in regulating abnormal accumulation of misfolded PrP. I studied the functional role of mouse Angptls 1, 2, 3, 4, 6, and 7 and growth factors SCF, TPO, IGF-2, and FGF-1 on purified mouse Sca-1+ HSCs. None of the Angptls stimulated HSCs proliferation, enhanced, or inhibited HSCs colony formation, but they did support the survival of HSCs. By contrast, any of the six Angptls together with saturating levels of growth factors dramatically stimulated a 3- to 4.5-fold net expansion of HSCs compared to stimulation with a combination of those growth factors alone leading to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function of Angptls and growth factors on signaling pathways for the survival as well as expansion of HSCs. Altogether, the results I demonstrate here addressing that the identified serine protease acts to detoxify misfolded PrP to protect PrD and the beneficial effects of Angptls on HSCs survival and expansion.
흰쥐 심장 에서 허혈 및 재관류 손상에 대한 flavonoids 의 보호 효과
박성실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0 국내박사
Flavonoids are well known antioxidant in vitro. We investigated if flavonoids such as chlorogenic acid, epigallocatechin-3 gallate (EGCG), rutin, daidzein, genistein, quercetin and biochanin A had the protective effect on isolated rat hearts. Hearts were subject to 20 min of normoxia, 20 min zero-flow ischemia and then 50 min reperfusion. Flavonoids were perfused 20 min before ischemia and the whole reperfusion period. In our results, EGCG, daidzain, genistein, quercetin and biochanin A increased coronary flow significantly before the ischemia. EGCG and chlorogenic acid increased coronary flow significantly on reperfusion perio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GCG and rutin increased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 (LVDP) and positive and negative dP/dt (?dP/dt) significantly. EGCG, rutin, daidzein and biochanin A decreased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pressure (LVEDP) in isolated rat hearts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howed EGCG had most significantly protective effect on ischemia/reperfusion (I/R) injury in isolated rat hearts. We have done further study with EGCG to evaluate the preventive role of EGCG on I/R injury in isolated rat hearts and in simulated I/R H9c2 cardiomocytes. EGCG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the Bcl-2, Mn-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and decreased those of Bax and caspase-3 in isolated rat hearts. And EGCG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Bcl-2 levels, decreased Bax levels and caspase-3 activity in H9c2 cardiomyocytes. In conclusion EGCG has protective effect on I/R injury by preventing apoptosis and antioxidant. Sulforaphane is another one known to be an indirect antioxidant that acts by inducing Nrf2-dependent phase 2 enzymes. In this study,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sulforaphane protects heart against I/R injury. Sprague?Dawley rats received sulforaphane (500 ?g/kg/day) or vehicle intraperitoneally for 3 days and global ischemia was performed using isolated perfused Langendorff hearts. The protocol is the same to favonoids. Treatment with sulforaphane inhibited an increase in the post-ischemic LVEDP and improved the post-ischemic LVDP, ?dP/dt, and coronary flow a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ntrol hearts. Pretreatment with 5-hydroxydecanoic acid (5-HD), a mitochondrial KATP channel blocker, for 10 min before ischemia attenuated the improvement of LVEDP, LVDP, ?dP/dt, and coronary flow induced by sulforaphane. Sulforaphane markedly decreased the infarcted size and attenuated the in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level in effluent during reperfusion. Pretreatment with 5-HD also blocked these protective effects of sulforaphane. Post-ischemia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in coronary effluent, which attenuated by sulforaphane treatment. Decreases expression on Mn-SOD, catalase, and heme oxygenase-1 protein levels by I/R were increased by sulforaphane treatment and pretreatment of 5-HD blocked the sulforaphane effects. Increase expression on Bax and caspase-3 protein levels, and decrease that on Bcl-2 by I/R were attenuated by sulforaphane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ctive effects of sulforaphane against I/R injury maybe partly mediated through mitochondrial KATP channels and antioxidant pathway.
조기 위암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PET/CT의 유용성 및 EUS와의 비교
유혜민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위암은 우리나라 암 사망률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암이며 이에 따라 40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서 위암에 대한 건강 검진이 적극적으로 권장되고 있다. 최근에는 조기 위암에 관련하여 관련하여 내시경적 점막하절개술 (이하 ESD) 만으로도 근치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경우, 내시경적 초음파 단층촬영 (이하 EUS)을 통한 진단방법이 현재까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병소 내에 점막 상태에 따라서 EUS를 통한 심달도 판정이 쉽지 않을 수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F-18 FDG (fluorodeoxyglucose)를 이용한 양전자단층촬영 (이하 PET)과 전산화 단층촬영 (이하 CT)을 결합한 PET/CT가 유용한 검진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암이 진단되었을 경우 EUS 및 PET/CT를 시행한 경우를 비교하여 조기위암을 진단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 각각의 진단 방법에 대해 얻을 수 있는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소화기 내과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와 조직검사상 조기위암으로 의심되어 EUS를 시행 받거나 PET/CT 검사를 통해 암의 침윤 정도가 파악된 환자들 가운데 수술이나 ESD를 시술 받은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각각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PET/CT 시행여부와 ESD시행 또는 수술 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PET/CT의 결과에 따른 ESD 시행 또는 수술과의 연관성도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EUS 시행 유무에 따른 ESD 시행 또는 수술 결정 여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내시경상에서 조기위암이 의심되는 경우 치료방향을 결정하는데 현재로써 가장 유용한 검사는 EUS임이 본 연구에서도 알 수 있었으며, 조기위암을 진단하고 ESD 또는 수술의 시행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PET/CT가 EUS의 미흡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진단학적 검사로써 아직은 유용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US technique is the most useful method to make a decision of treatment method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Recently PET/CT is widely used for detection of the cancer and follow-up as a major issue. We studied that usefulness of the PET/CT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cision of the EGC in the case of comparing with EU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75 patients diagnosed EGC at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5 to April, 2009. The invasion level of the EGC is measured by EUS or PET/CT and their cancers are all removed by operation or ESD. Considering whether the performance of PET/CT affect the decision of procedures, ESD or operation, there is no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sult of PET/CT, we also could not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result of PET/CT and decision of procedures. But When we performed EUS before the procedures, EUS is more helpful to decide treatment options. Although PET/CT is useful of detection of cancer, this technique reaches the limitation of choosing the treatment options for the (EGC).
정주영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국내 위암환자의 치료 현황 추이 국문 초록 1.1. 목적 : 본 논문에서는 2005~2009년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위암 호발군의 특징 및 치료 결과 현황에 대하여 파악하고, 향후 위암 치료에 있어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대상 및 방법 :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의 <퇴원손상심층조사>(질병관리본부, 2012) 자료로서 실시기간은 조사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전국 단과병원, 요양병원, 노인병원, 보훈병원, 국군병원, 재활 병원 등을 제외한 100병상 이상의 일반병원에 입원하여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대상은 복합표본설계를 실시하여 최종 150개 병원을 선정하였고 표본병원에서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진단코드는 KCD-4판, 수술코드는 ICD-9-CM을 기반으로 조사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5.0(Chicago, USA)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1.3. 결과 : 분석 대상 위암 환자의 성별은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은 60대가 많았다. 또한 500병상 이상의 큰 규모의 병원에서 위암 환자의 빈도가 많았다. 위암 환자의 치료 결과는 연령별로 살펴보았을 때 호전됨은 50대 89.9%로 가장 높았고 호전되지 않음은 70대 이상 4.0%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치료 경과가 좋지 않았다. 진단만 시행하고 치료를 하지 않음과 사망 또는 임종을 위한 퇴원 또한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병상 규모면으로 보았을 때 호전됨은 1000병상이상이 91.0%로 가장 높았고 병상이 높을 수록 경과는 좋은 양상을 보였다. 그에 반하여 경과가 호전되지 않음은 100~299병상에서 11.8%로 가장 높았고 병상 규모가 작은 병원일수록 위암 환자들의 경과는 좋지 않았다. 진단만 하고 치료는 하지 않는 빈도나, 사망 또는 임종을 위한 퇴원 또한 병상규모가 클수록 빈도가 낮았다. 1.4. 결론 :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되어가고 있으며, 남녀 모두 60세 이상의 위암환자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향후 절대적 위암 환자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위암은 진단 시점에 따라 예후가 극명히 다르며, 조기위암의 5년 생존율이 90~95% 로 높은 점, 진행성 위암의 5년 생존율이 28%인 점을 미루어볼 때, 향후 조기위암 진단을 위한 건강검진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assess the results of medical treatment of them. Materials and methods: Data was drawn from 2005, 2006, 2007, 2008 & 2009 based on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Survey Discharge > by Korean Centers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s, acquired from Januarry 1st to December 31th in 2004 ~ 2008 of hospitals that has more than 100 beds. Recuperate hospitals, civilian hospitals, rehabilitative hospitals, veterans hospitals were excluded. Finally 150 hospitals were selected by complex sample design and surveys were underwent for patients that had discharged from those hospitals. Surveys were based upon KCD-4, ICD-9-CM.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5.0(Chicago, USA). Results: Gastric cancer patients were larger in groups of male, 60s and were treated in hospitals that have more than 500 beds. Curative value was greater in 50s by 89.9% for age. It went worse in older groups. Only making diagnosis without treatment and hopeless discharges were also more frequent in older groups. For hospital scale, curative value was greatest in hospitals that have more than 1000 beds by 91.0%, and it tended to be greater when the hospital had larger scale. On the other hand, curative value was lower when the hospital was small, only making diagnosis without treatment and hopeless discharges were more frequent. Conclusion: Korea is now becoming aging society rapidly, and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increasing population of more than 60s, the number of gastric cancer patients will get increased. Since the prognosis of gastric cancer is variable due to its detection, early diagnosis by health check-up is important.
새로운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C-Reactive Protein 단클론항체의 생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박보란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C-reactive protein (CRP) is an acute plasma protein in humans, mouse and a number of other mammalian species. It is produced primarily by liver and adipocytes. The CRP level in serum is elevated up to 10,000-fold during the acute-phase reaction or inflammation. Therefore, measuring CRP concentration in serum has been used in diagnosing inflammation, many pathological processes and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s. Interestingly, recent studies suggest that increasing CRP level in serum is related with many human diseases such as diabetes, colon cancer,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For successful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correlated with CRP level,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is essential. Although various analytical methods are available for determining CRP, such a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mmunoturbidimerty and rapid immunodiffusion, an automated and high sensitive diagnostic system directly using blood is needed to measure CRP. Herein, we generated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uman CRP and developed a capture ELISA to detect CRP using two anti-CRP monoclonal antibodies (mAbs) that recognize different sites on the protein. The capture ELISA efficiently detected as little as 1ng/ml of soluble CRP.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r monoclonal antibodies and quantitative capture ELISA against CRP may significantly contribute to developing an important tool for high-sensitive, accurate, automated diagnosis of CRP level related many lethal diseases CRP는 인간, 쥐, 기타 포유류에 존재하는 acute plasma protein으로 간과 지방세포에서 1차적으로 만들어진다. 혈청내의 CRP level은 acute phase 또는 염증 반응을 일으킬 때 10000배 이상의 급격한 증가를 보인다. 그러므로 혈청내의 CRP농도 측정은 염증반응 및 많은 병리학적 진행과 치료 효과를 진단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흥미롭게도 최근 연구들은 혈청내의 CRP 증가가 당뇨병, 결장암, 고혈압, 심장 혈관 질환과 같은 인간의 질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CRP level과 관련된 질병의 성공적인 치료와 진단을 위해서 빠르고 정확한 진단도구 개발은 필수적이다. 현재 CRP level을 결정하기 위해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turbidimerty, rapid immunodiffusion과 같은 분석적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더 효율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즉시 혈액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동화되고 고민감도의 진단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RP를 인식하는 두 종류의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여 CRP를 감지 할 수 있는 capture ELISA를 만들었다. 확립된 capture ELISA는 1 ng/ml의 낮은 농도까지 효율적으로 인식했다. 종합적으로 이 결과는 CRP에 대항하는 단클론항체와 capture ELISA가 치명적인 질병들과 관련 있는 CRP level의 정확하고, 자동화된 진단을 위한 도구 개발에 중요하게 기여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연미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목 적 담낭암 초기에는 전형적인 증상이 없어 조기에 발견하기 쉽지 않다. 초기에 진단된 담낭암은 담낭용종이나 담낭 결석 같은 다른 양성 질환에 대한 치료 목적으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이후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의료기술과 향상에 따라 담낭용종의 발생률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담낭용종에서 악성을 시사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담낭 용종에서 악성을 시사하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에서 복강경적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3,159명의 환자 중에서, 담낭용종으로 진단된 4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두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첫번째 군은 양성 담낭용종으로 진단된 경우이고, 두번째 군은 담낭선종과 담낭암으로 진단된 경우로 분류하였다. 연령, 성별, 수술 전 시술 여부, 담낭염이나 담관염 등의 기왕력 및 용종의 크기 및 담석의 존재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437명의 환자 중, 양성 담낭용종으로 진단된 첫번째 군의 환자들은 359명이었고, 담낭 선종과 담낭암은 각각 53명과 25명에서 발견되었다. 두번째 군의 환자들이 첫번째 군의 환자들에 비해서 유의하게 고령 (50세 이상), 10mm이상의 크기, 담낭벽의 두께 증가를 보였다. 담석 여부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50세 이상, 크기 증가, 담낭벽의 두께 증가 등은 담낭용종에서 담낭암 또는 전구 병변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 이런 인자들을 가지고 있는 담낭용종 환자에서는 담낭절제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 Early detection of gallbladder (GB) cancer seems to be difficult due to absence of typical symptom, and most of early GB cancer usually detected incidentally after cholecystectomy which was performed for the treatment of other benign disease such as GB polyp or stone. Although incidence of GB polyps is increasing with improved surveillance, study of predictive factors of malignant potential has not been sufficient.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malignant potential of GB polyps. Methods From 3,159 patients with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3, 437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GB polyps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with benign GB polyp and group II with GB adenoma and incidental GB cancer. The demographic features including age, gender, preoperative procedures, history of cholecystitis or cholangitis and laboratory findings was checked. Radiologic and pathologic finding such as polyp or tumor size and presence of stone were also evaluated. Results From 437 patients, group I with benign GB polyp was seen in 359 patients. In group II 53 patients with GB adenoma and 25 patients with GB cancer were identified. The group with GB adenoma and incidental GB canc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age older than 50 years (p=0.001), size larger than 10mm (p<0.001), and GB wall thickening (p<0.001) than those of benign GB polyps. The presence of GB stone had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0.378). Conclusions In GB polyps, old age (>50 years), larger size (>10mm) and GB wall thickening indicate the possibility of malignant or premalignant lesion. Cholecystectom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atients with GB polyp with these predictive factors of malignant potential.
위암의 술 전 CEA, CA19-9, CA72-4의 cut-off ratio와 combination에 따른 예후 예측
이세열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배경: 수술 전 CEA, CA 19-9, CA 72-4는 위암의 진행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tumor marker(TM)이다. 그러나 TM은 민감도가 낮고 위양성이 많으며 독립적인 예후예측인자로도 논란이 많아 실제 임상적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수술 전TM의 cut-off ratio(TMR)와 combination이 위암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0년부터 2003년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고 두 가지 이상의 TM을 검사한 1142명을 조사하였다. TM의 검사는 수술 전 2주 이내에 시행되었고 각각의 참고치는 CEA; 5 ng/ml, CA19-9; 36 U/ml, CA72-4; 4 U/ml이었다. 결 과: TMR에 따른 5년 생존율의 차이는 CEA가 TMR<1.0, 1.0≤TMR<2.0, 2.0≤TMR에서 각각 82.4%, 71.8%, 40.0%, CA19-9는 TMR<1.0, 1.0≤TMR<3.0, 3.0≤TMR에서 각각 81.0%, 65.7%, 42.7%이었으며 모두 통계적인 의의가 있었다(p<0.001). CA72-4는 TMR<1.0, 1.0≤TMR에서만 5년 생존율이 85.8%과 65.0%으로 통계적인 의의가 있었다(p<0.001). 2.0≤CEA TMR과 3.0≤CA19-9 TMR을 high TMR, 1.0≤TMR<high 을 low TMR, 1.0이하는 negative로 분류하고, CA72-4는negative와 low TMR로만 분류하였다. 그리고 negative는 0점, low TMR은 1점, high TMR은 2점으로 하여 이를 점수화 하여 합을 구하였다. TMR combination scoring을 0점, 1점, 2점, 3점 이상 의 4가지로 나누었을 때 각각의 5년 생존율은 0점은 84.6%, 1점인 경우 75.4%이고, 2점인 환자에서는 49.9% 그리고 3점 이상인 경우 28.5%를 보였다(p<0.05). TMR combination scoring이 예후를 예측하는데 독립적인 변수인지 알아보기 위해 이미 잘 알려진 독립예후인자인 pT factor와 pN factor와 함께 다변량분석을 해보면 TMR combination scoring의 odds ratio가 1.17(95% CI 1.01 - 1.34)로 예후를 예측하는 독립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수술 전 CEA, CA 19-9, CA 72-4의 cut-off ratio는 위암의 예후와 관계가 있었으며 이들을 scoring하여 combination하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국소진행성 직장선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서 수술전 보조항암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및 종양내 thymidylate synthase 상태의 영향
임호영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3 국내박사
배경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thymidylate synthase (TS)의 예후에 대한 영향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표는 수술전 보조항암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TS 발현의 예후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 또한 보조항암방사선치료 후 병리적 반응의 예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수술전 보조항암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종양에서의 TS 발현 상태는 진단당시 파라핀 조직으로부터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분석하였다. 보조항암방사선치료 후 병리적반응은 수술조직의 병리 결과에 따라 완전반응 (ypT0N0), 부분반응 (ypT1-2N0), 불량반응 (ypT3-4 or N+)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의 나이 중간값은 60세 (범위, 27-82)였다. 75명 (58%)의 환자에서 하부 직장에 병이 위치했고 109명 (86%)이 치료전 제 3병기였다. 치료시 조사된 방사선량의 중간값은 45Gy (범위, 20.0-50.4)였다. 항암치료는 5-fluorouracil (FU) 지속주입이 85명(65%)이었고, 5-FU/leucovorin 점적주사가 35명(27%)이었다. 수술은 보조항암방사선치료 종결 후 중간값 44일 (범위, 32-86)에 총 126명 (97%)에서 시행되었다. 항암방사선치료 후 병리반응은 완전반응 (9%), 부분반응 (27%), 불량반응 (64%)였다. 중간 추적관찰 기간은 48.9개월 (범위, 1.9-124.9)이었고, 치료 후 병리적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무진행생존기간 (P<0.001) 및 전체생존기간 (P=0.002)과 연관되었다. TS 발현여부는 총 90명 (69%)에서 평가가능하였고, 세포질내 염색의 강도에 따라 2+이상으로 염색된 38명의 환자가 양성으로 분류되었다. TS 발현 상태에 따라 TS-음성 환자의 무진행생존기간이 TS-양성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우월하였으나 (P=0.008). 또, TS 발현 상태에 따른 재발을 보면 국소재발시까지의 시간에서는 TS 발현 상태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P=0.914), 전신재발시까지의 시간에서는 TS-음성 환자가 TS-양성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P=0.003). 무진행생존기간에 대한 다변량분석 결과, TS 발현상태, 항암방사선치료 후 병리적반응, 치료전 혈중 암배아항원 수치,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여부가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 결론 TS 발현상태는 수술전 보조항암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무진행생존기간에 대한 조기 예측인자이며, 치료후 병리적반응 또한 무진행생존기간 및 전체생존기간에 대한 독립적 예후인자였다. 이러한 사실은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개별화된 치료적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양영훈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목적 : 국소화된 속눈썹 찌름증에서 앞층판 절제술의 효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전향적 중재 증례 모음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한 삼차 의료기관에서 국소화된 속눈썹 찌름증 진단 하에 앞층판 절제술을 시행받은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4개의 수술이 상안검 3안 및 하안검 11안에 시행되었으며, 평균 경과관찰 기간은 9.61±4.56개월이었다. 결과 : 4안(28.57%)에서 속눈썹 찌름증의 재발을 보여 이차 치료를 시행하였다. 1안의 경우 추가적인 앞층판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3안은 전기분해술로 치료되었다. 이차 치료 후 속눈썹 찌름증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경우에서 수술 직후 안구 자극 증상은 사라졌다(100%). 수술 당시 봉합 없이 개봉된 안검 창상은 육아조직으로 자연 치유되었으며 유의한 미용적 문제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다수의 국소화된 속눈썹 찌름증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앞층판 절제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주요어 : 국소화된 속눈썹 찌름증, 앞층판 절제술 Background: To describe the outcomes of anterior lamellar resection in localized trichiasis. Methods: In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case series, 13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localized trichiasis in a tertiary referral center from January 2009 to October 2010 underwent anterior lamellar resection. 14 procedures were performed (3 upper and 11 lower lids). Mean follow-up was 9.61±4.56 months. Results: 4 eyelids (28.57%) of the group had recurrence of trichiasis. 1 patient needed further anterior lamellar resection and the other 3 cases were treated with electrolysis. None of the patients showed recurrence of trichiasis after the secondary treatment. The ocular irritating symptoms mitigated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in all cases (100%). The lid wounds healed spontaneously by granulation without suturing and showed no significant cosmetic complications. Conclusions: In treating trichiasis involving a localized multiple segments of the eyelid, anterior lamellar resection should be considered preferenti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