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몰트만의 "역사적 종말론"에 나타난 천년왕국론 연구

        김왕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과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몰트만이 그의 저서 『오시는 하나님』을 통하여 시도하고 자 한 그동안 너무도 빈번히 분리되었던 소위 개인적 종말론과 우주적 종말론, 역사의 종말론과 자연의 종말론의 전망들을 통합에 있어 개인의 종말론과 우주적 종말론 사이에 놓여 있는 역사적 종말론, 특히 역사적 종말론의 핵심에 놓여 있는 하나님 나라로 대변되는 천년왕국을 개괄해 보았다.

      • 칼뱅의 『제네바시편찬송가』연구

        박희광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과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칼뱅에 관한 일부 학자의 오해를 불식시키고, 칼뱅의 목회적 애정과 신학적 통찰이 예배 음악의 현장 속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의 신학적, 목회적 성실성의 결과 생겨난『제네바시편찬송가』는 16세기 당시 종교 개혁을 꽃피운 바로 그 한 가운데에 꽃의 봉오리처럼 예쁘게 피어났었다.『제네바시편찬송가』는 그냥 찬송집이 아니라, 칼뱅의 삼위일체 하나님 신학의 총체요, 그가 길어 올린 모든 신학적 용어들(종교의 씨앗, 경건, 하나님의 형상, 섭리, 선택 등)이 녹아들어 있는 총합이요, 목회적 관심과 인문주의적 관심, 나아가 그와 논쟁을 벌인 사람들과 사건들 속에서 정금같이 다듬어진 그의 각종 신학의 결정체로 탄생한 것임을 본 논문을 통해 발견하게 될 것이다.

      • Temple and Eschatology : Focusing on the Temple Incident and the Olivet Discourse

        조요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과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thesis covers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Jesus and the theology of his followers. Who is the historical Jesus? This thesis is intended to discover him inside the Second Temple Jewish milieu. Since E. P. Sanders took a deeper look at the image of the Jewish Jesus, we were able to reach the historical Jesus one step further. He was the apocalyptic prophet who did not cross the line of orthodox Judaism. What is the most suitable passage for this quest? This thesis aimed to research his temple theology and eschatology because the prophecy of Jesus as to the destruction of the Jerusalem Temple provides abundant information about his vision and mission. He expected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and the coming Son of Man. Jesus made a scene in Jerusalem during the Passover. His action was not the cleansing of the temple as usually known but the prophetic symbolic action which intended to manifest the condemnation of God on the temple authorities. He prophesied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occurring in the near future and taught his disciples to anticipate the reign of God. I observed that the temple theology of Jesus was already budding in Second Temple Jewish documents. The authors of the Hebrew Bible, deuterocanonical documents, pseudepigrapha, and even John the Baptist anticipated the condemnation of the corrupted temple and some of them hoped for the coming of the temple builder messiah. Their historical experience, the exilic period, made them expand the notion of the temple to the cosmological dimension. The national hero, the messiah, began to be deemed as an eschatological savior who would destroy the established order and build the kingdom of God. The only advocates of the temple were the hierarchy of Israel, e.g., the author of Maccabees and Sadducees. After Jesus’s disciples experienced the resurrection, they reinterpreted the prophecy of Jesus within their situation. Mark was the starter of this work. The Gospel of Mark tried to revive the tarry hope for the Second Coming by delivering the imminent eschatology of Jesus to his church. Matthew, Luke, Thomas, and John jotted down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within their own language and context.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not to draw the entire image of Jesus but to point out the specific theme in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Jesus. Perceiving the historical Jesus and the theology of his followers would help modern believers to integrate the diverse theology of their fellow Christians in a holistic dimension in understanding the church history and the development of contextual theology.

      • 세례와윤리:초대교회 세례성례전과 세례설교를 통한 관계성 연구 : 한국교회의 적용을 위하여

        김선미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과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오늘날 목회현장에서 그리스도인을 사로잡는 물질주의와 세속주의가 교회의 사회적 공신력의 하락시켰고,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많은 사회적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들은 많지만, 기독교 가치관과 세계관으로 모범을 보이는 삶의 양태가 사라져 버린 윤리적 현실적인 문제 앞에서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과연 세례 받은 자로써의 정체성이 불명한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초대교회는 사회적인 혼란과 속박, 특권층과 가난한 자들 간의 빈부의 격차와 삶의 가치를 손상시키는 중독과 강박 현상이 난무했던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교회와 그 구성원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생생하게 살아 숨 쉬는 자유와 올바른 삶의 길을 선택했다. 초대교회가 고도의 윤리적 능력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초대교회가 세례에 두었던 신학적 무게 때문이었다. 초대교회 세례성례전은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아주 신중하게 베풀어졌다. 그만큼 세례는 중요한 결단이고 교회의 일원이 되는 중요한 예전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한 후 기독교가 조직적으로 성장하고 예전이 발달된 4세기의 암브로시우스(Ambrose), 예루살렘의 시릴(Cyril)과 요한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 몹수에시아의 테오도르(Theodore of Mopsuestia)의 세례성례전과 세례 말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종교개혁 이후 잃어버린 초대교회 세례 성례전의 상징과 세례 설교에 나타난 이미지가 그리스도인의 삶에 어떠한 윤리적 의미를 가지고 삶의 영역으로 확대 되었는지 살펴보고, 오늘날 세례 받은 그리스도인의 윤리의식에 어떻게 자리매김 할 수 있는지 실천적 방안을 찾는 것이다. Ⅱ장에서 1세기에서 3세기까지 초대교회 문헌에서 세례와 윤리의 관계성을 규명하였다. 당시 초대교회가 세례에 두었던 신학적 무게는 세례 받은 자들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켰다.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세례 받은 후, 죄에서 철저하게 떠난 정결한 삶을 지향했고, 악의 모든 모양들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법이 요구하는 것보다 앞서 가는 그리스도인들의 윤리적 생활방식은 이교도들을 끌어 들일 만큼 사회적 공신력을 가지고 있었다. 『디다케』에서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생명의 길’과 ‘23가지 악덕과 18가지 악을 다룬 죽음의 길’을 낭독한 자에게 세례를 베풀었다는 사실을 통해서, 초대교회 세례가 그리스도인들이 살아가야 하는 삶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도 전승』에서 제시한 초대교회 세례 등록 심사는 지원자의 윤리적 생활, 사회적 신분, 직업 등에 대한 평가였고, 세례 후보자와 후원자들에게 대한 질문은 교리에 대한 이해보다는 오히려 그동안 어떻게 살았느냐는 삶의 방식에 관한 질문이었다. 세례 준비 기간 동안에는 신학보다는 윤리적인 문제가, 지적인 이해보다는 행함이 더 중요했다. 세례 지원자가 3년 동안 교리교육 후 2차 심사는 결혼생활, 성생활, 직업 등의 금지된 사항들에 대한 점검과 교육 기간 동안 생활 전반에 전향적 발전이 있었는지 심사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초대교회 문헌을 통해 초대교회에 있어서 세례는 철저한 삶의 변화와 그리스도인에게 합당한 윤리적 삶의 방식을 요구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세기에서 3세기 초대교회 문헌 연구를 넘어서 Ⅲ장과 Ⅳ장에서 우리는 4세기 시릴(Cyril)과 암브로시우스(Ambrose), 크리소스톰(Chrisostom), 데오도르(Theodore)의 자료를 통해 초대교회 세례 성례전과 윤리, 세례 설교와 윤리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4세기 교회의 예전의 발달로 더욱 풍부해진 상징은 오늘날 세례 성례전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 상징은 하나님의 실존적인 존재를 경험하도록 이끌며, 수세자의 기존의 가치관과 삶의 변혁을 일으켜 새로운 하나님의 삶의 방식으로 살아가도록 이끈다. 세례는 하나의 상징으로 그 예전이 속하는 종교 질서 안으로 세례 받은 이를 들어가게 한다. 세례는 그것을 받은 사람을 그리스도인으로 인정함으로써 교회 공동체의 일원이 되게 하며, 그 공동체가 여는 실재적 차원을 만나게 하여 그 공동체의 법이 그 사람의 법이 되게 함으로써 그 사람을 삶의 실존적 변화에로 불러들인다. 예비 예식에서 나타난 십자가 상징은 세례 후보자가 그리스도의 귀속됨을 공포한다. 소금의 상징은 타락과 부패로부터 그리스도인의 보호를 의미하며, 안수의 상징적 행동은 하나님의 특별한 일을 위해 선별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염소털 베옷(Sack-cloth)의 상징은 죄를 참회해야 할 인간의 상태를 상기시키며, 죄로부터 단절하는 윤리적 결단을 보여준다. 입회 예식에서 악을 거부하는 상징적 행동은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 우리 사회와 불의한 구조로 병들게 하는 생활 조건, 전쟁과 폭력과 테러로부터 저항하는 자세를 표현한다. 옷 벗는 상징적 행동은 과거의 잘못된 행실과 타락을 벗어버리고, 수취심을 모르는 아담의 상태인 맨몸으로 하나님 앞에 나아감을 의미한다. 세례 이후 예식인 세족식의 상징적인 행동을 통해 세례를 받은 새신자는 예수님의 성품에 참여하며 닮아간다. 세족식은 그리스도를 본받아 사는 삶, 즉 본받음의 윤리를 태동시킨다. 흰옷의 상징적 의미는 이전의 본성을 완전히 상실되고, 그의 부활에 참여한 사람으로서 하나님의 의와 일치되는 새로운 삶으로 부름 받는다는 것이다. 기름을 바르는 상징적 행위는 인간이 세례를 통해 변화된 새 삶에 상응하는 결단은 자기 자신의 이성과 능력으로부터 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행동하시는 성령의 능력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불 켜진 초는 세례 받은 자가 빛이신 그리스도를 따라 어두운 세상에 빛을 비추는 역할을 감당하도록 이끌어 준다. 젖과 꿀은 약속의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특권인 동시에 하나님의 언약에 속한 백성으로서 그의 법에 순종하며 살아가야 하는 윤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우리는 4세기 초대교회 세례 성례전의 상징들이 삶과의 연결점에서 충분히 윤리적인 영역에서 해석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새신자의 새로운 삶과 연결되는 감명 깊은 상징의 이용은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4세기 초대교회 설교에는 윤리적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이미지들이 발견된다. 이미지는 인간의 기억 기능을 통하여 세례에 임재하시는 하나님의 계시가 과거와 미래로부터 인간 삶에 현재화되어 살아 있게 하는 매개체로서 역할하게 된다. 우리는 이미지를 통해 하나님은 어떤 분이시며, 우리는 그 분 앞에 어떤 존재이고,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는다. 이러한 이미지의 특성은 삶의 변화와 함께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윤리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온전한 삶을 살 수 있는 토대는, 우리가 그리스도의 공동체에 속해 있다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다. 4세기 시릴(Cyril)과 암브로시우스(Ambrose), 크리소스톰(Chrisostom), 테오도르(Theodore) 세례 설교에서 발견한 하나님의 아들, 왕과 제사장, 의인, 영적 전투 시합에 출전하는 선수, 법적 채무자, 하늘의 시민, 그리스도의 옷은 세례 받은 새신자에게 정체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이끄는 이미지이다. 하나님의 아들로서, 왕과 제사장으로서, 의인으로서, 영적 전투 시합에 출전하는 선수로서, 법적 채무자로서, 하늘의 시민으로서, 그리스도의 옷 입은 자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갈 때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정의와 의를 실천하는 윤리적 삶을 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세기 세례 설교에는 악의 존재를 인식하고 철저하게 거부하는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난다. 그리스도인으로서 거부해야 할 악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할 때, 윤리적 기준이 상실되어 무엇이 선이고 악인지 불분명해지게 된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악을 거부하고 그리스도께로 향하는 충성의 변화는 삶의 변화를 동반한다. 기름 부으심의 이미지는 세례로 새롭게 태어난 그리스도인의 삶은 인간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인도하심 가운데서 새로운 윤리적 안내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선물에 대한 이미지는 윤리적 삶은 하나님의 선물인 구원의 은혜에 대한 반응으로써 새 삶을 가리킨다. 이 반응은 그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통치와 의를 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격 없는 자에게 세례를 통해 값없이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인 구원의 은혜는 본성을 바꾸고, 기독교적 삶을 형성해서 사람들의 행위가 그들이 받은 은혜에 부합하게 되고, 또 특수한 도덕적인 덕목들과 행위들이 이 은혜에 의해 규제되고 그 방향이 정해지게 되도록 이끈다. 그리스도와 연합의 이미지는 세례 받은 자가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그분의 가치관과 이상에 따라 살며, 내적인 성품에서나 외적인 행동에서 주님의 형상을 닮아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들과 연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례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하나가 되는 것은 우리로 하여금 사회의 불평등한 요소들을 제거하도록 유도하며 여기서 세례는 정의를 위한 윤리적 삶의 기초가 된다. 따라서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 몸으로 연합된 그리스도인들은 이웃과 세상을 향한 섬김의 공동체가 된다. Ⅴ장에서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한국기독교 장로회, 대한감리교 장로회의 교단별 세례 성례전과 구세군의 임대식을 분석해보고, 상징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포스트모던 시대의 수세자들이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의 임재를 능동적인 위치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세례 성례전 모델을 기획해 보았다. 이 논문의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윤리가 삶을 위해 긍정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 하는 것이라면, 세례는 우리에게 그리스도 안에서 살아 숨 쉬는 자유와 올바른 삶을 선택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교회는 초대교회가 보여주었던 세례 신학의 무게와 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는 고도의 윤리성을 본받아 윤리적 탈선으로 이탈되어진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삶의 변혁을 일으킬 수 있는 세례 성례전에 대한 계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