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 음주실태와 음주문제 예방에 관한 연구 : 인천지역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수호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논문의 목적은 인천지역 대학생들의 음주실태를 조사하여 그동안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던 다른 지역의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공통된 문제점을 찾아보고 대학생들의 음주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A대학 2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음주와 관련된 사회 인구학적 특성, 음주배경, 음주행동, 음주문제 및 교육 홍보활동 경험 등을 조사하였다. 음주정도와 음주유형은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진단도구와 방식에 따라 분석하여 그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조사대상 A대학의 학생들은 한 달에 한 번 이상 음주를 하는 음주율이 82.5%, 최근 2주간 동안에 두 번 이상 폭음을 하는 상습폭음자의 비율은 31.9%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에 실시한 다른 대학의 음주율이 85% 내외와 상습폭음자의 비율이 1/3에 해당한다는 통계와 유사한 결과로서 A대학에도 학생들에게 심각한 음주문제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 연구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이 음주문제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별, 종교, 거주형태, 용돈의 규모, 동아리 가입여부 및 친구 수 등이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음주이유로 친구들과 친교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다른 할 일이 없거나 술값이 싸다는 이유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에도 음주가 없는 여가나 문화 활동을 확대할 것을 가장 희망하고 있다. 셋째, 강권음주에 노출된 경험 횟수가 많을수록 문제음주군 비율이 증가하고 반면에 강권음주 거절 횟수가 많을수록 정상음주군 비율이 높았다. 이는 대학사회의 음주문제가 강권음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말하고 한다. 넷째, 문제음주군이 정상음주군에 비해 음주 관련 교육 홍보활동의 경험 비율은 높았고, 음주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 차원의 정책 추진에 대한 지지도는 낮았다. 음주문제 상담기구의 설치는 70.8%가 희망하고 있다. 학생들의 음주로 인한 폐해는 학생 개인의 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성범죄, 폭력, 음주운전과 같은 각종 사회문제를 유발하는 등 광범위하게 파급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음주문제 예방과 축소를 위한 학교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 수립이 긴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의 설문조사를 통한 학생들의 솔직한 표현들을 살펴보면서 무엇보다도 대학 당국이 학생들의 음주이유와 음주행동에 대해 숙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었다. 학교 차원에서 학생 스스로 음주문제에 대한 폐해를 인식하고 이를 자치적으로 정화하여 나갈 수 있는 분위기와 여건을 조성하고, 정부와 학교 당국이 학생들의 음주문제에 대한 다양한 교육 홍보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지역사회의 음주 관련 전문기관과 연대하여 학생들의 음주폐해 예방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DEA 모형을 이용한 대학병원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신승권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에서는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활용하여 26개 국내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병원의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투입방향의 CCR모형을 이용한 효율성 측정 결과 효율적 집단은 5개 DMU로 구성되었고, BCC 모형은 11개의 효율적 집단, BFG 모형은 10개의 효율적 집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준거집단 분석을 통해서 효율성 향상을 위한 목표치를 계량적으로 제시하여 투입 및 산출 요소별 비효율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현재의 조업규모 및 투입·산출의 조합이 적절한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셋째, 각 DMU들을 서열화 하기 위해 초효율성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대학 병원들의 순위 정보를 제시하였다. 넷째, 수도권과 비수도권 병원 간의 손익 차이분석 결과 의료수익, 의료이익, 경상이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립대학과 국립대학 병원 간 손익 차이분석 결과 의료이익과 경상이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립대학과 국립대학 병원 간 수익성, 안정성 재무비율 차이분석 결과 총자산 경상이익율, 의료수익 경상이익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분석한 사립대학 병원들의 효율성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방향의 CCR모형을 이용한 효율성 측정 결과 효율적 집단은 5개 DMU로 구성되었고, BCC 모형은 9개의 효율적 집단, BFG 모형은 7개의 효율적 집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준거집단 분석을 통해서 목표치를 계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사립대학 병원들의 투입 및 산출요소별 비효율성의 정도를 파악하여, 현재 조업규모 및 투입·산출의 조합이 적절한가에 대한 정보도 제시하였다. 셋째, 각 DMU들을 서열화 하기 위해 초효율성 모형을 적용하여 21개 사립대학 병원들의 순위 정보를 제시하였다. 넷째, 진료실적 차이 분석 결과 병상가동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또한 의료이익, 자산총계, 자본총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효율적인 병원이 비효율적인 병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분석 결과를 통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에 대한 효율성 측면에서 DEA 모형을 활용하여 효율성 평가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둘째, 효율성을 분석하는 모든 모형에서 최근 병원의 대형화를 주도하고 있는 수도권 지역의 대학병원들이 비수도권지역의 대학병원들보다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비수도권 지역의 대학 병원들은 상대적으로 경영효율성 뿐만 아니라 이익 지표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병원의 구조조정 등 획기적인 경영합리화가 요구 된다. 넷째, 효율적인 병원들이 비효율적인 병원들보다 경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경영성과와 효율성과의 관계를 다시 확인해주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valuated hospital efficiency for 26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using the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when efficiency was measured using the CCR model of input direction, the efficient group was composed of 5 DMUs, the BCC model had 11 efficient groups, and the BFG model had 10 efficient groups. Second, the non-efficiency of input and output elements was measured by suggesting the target of efficiency improvement quantitatively through reference group analysis, and information was provided on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size and the combination of input and output are appropriate. Third, we presented information on the ranking of domestic university hospitals by applying the super-efficiency model for seriating the DMUs.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profit and loss between hospitals i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dical revenue, medical profit, and ordinary profi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profit and loss between private university hospitals and national on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dical profit and ordinary profit. Furthermor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financial ratios related to profitability and stabil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rdinary profit to total assets ratio and the ratio of ordinary profit for medical revenues.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private university hospital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efficiency was measured using the CCR model of input direction, the efficient group was composed of 5 DMUs, the BCC model had 9 efficient groups, and the BFG model had 7 efficient groups. Second, the target of efficiency improvement was suggested quantitatively through reference group analysis, and the non-efficiency of input and output elements was measured, and information was provided on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size and the combination of input and output are appropriate. Third, we presented information on the ranking of 21 private university hospitals by applying the super-efficiency model for seriating the DMUs.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medical benefi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bed operation rate, and also medical profit, total asset and total capit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igher in efficient hospitals than in inefficient on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uggested an efficiency evaluation process using the DEA model in the aspect of hospital efficiency. Second, in all the efficiency analysis models, university hospitals in the capital area, which are leading the recent enlargement of hospitals, were relatively more efficient than university hospitals in non-capital areas. Third, university hospitals in non-capital areas showed relatively lower management efficiency and income-related indexes, suggesting that they need to adopt innovative managerial reforms such as hospital restructuring. Fourth, efficient hospitals showed higher business performance than inefficient hospitals, and this confirmed again the relation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and efficiency.

      • 대학 온실가스 인벤토리 분석 및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연구 : 인하대학교 사례

        김재윤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내외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사회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인식과 구체적인 대응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 시점이다. 산업체의 경우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효율향상을 꾀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노력을 마케팅 전략으로까지 활용하고 있다. 또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시민들의 인식 고취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 및 탄소 포인트제와 같은 인센티브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의 경우 교육기관으로 지역사회의 경제, 문화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대학의 구성원들이 펼치는 다양한 실천 활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특성으로 볼 때, 대학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요한 위치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대학이 자발적으로 환경오염을 저감하고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국내 대학에서도 의무감축 대상 대학(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관리업체)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노력은 비단 의무감축 대상 대학만의 노력이 아닌 국내 전체 대학에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관리업체 선정기준에 미달하여 의무적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감축 잠재량을 평가하지 않으며, 지역사회에 영향이 큰 인하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감축 잠재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수행 결과 인하대학교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0년을 기준으로 총 15,509tonCO2e로 나타났으며, 전체 배출량 중에서 간접 배출원(Scope2)인 구매전력 사용부문이 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 배출원(Scope1) 중 LNG사용 부문이 14%를 차지하며, 그 중 냉․난방 부문이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을 분석한 결과 현재 인하대학교에 적용 가능한 감축 수단에서 약 1,382tonCO2e/yr의 온실가스를 감축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계저감비용(MAC) 및 투자수익율(ROI)을 평가하였다. 총 1,382tonCO2e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하여 총 37.2억원의 투자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자회수기간은 15.9년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하대학교의 경우 배출시설의 기술적인 개선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수단 외에, 불필요하게 소요되고 있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감축수단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ISO 50001의 에너지검토를 통한 목표관리제 대응방안 : 인하대학교 사례

        백우종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2011년에 공표된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제도와 2010년 3월부터 부터 국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의 제42조 온실가스·에너지목표관리제를 비교하고 ISO 50001의 에너지검토를 통하여 목표관리제를 이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목표관리업체와 ISO 50001 도입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두 제도의 특징과 ISO 50001에서 요구하는 에너지검토 방법론을 해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목표관리제 정부 보고양식(명세서, 이행계획서) 항목과 비교·분석하고 이를 관리업체로 지정되지 않은 인하대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ISO 50001과 목표관리제 정부보고 양식을 분석한 결과 ISO 50001에서 요구하는 항목을 수행한다면 목표관리제 이행을 위한 기반 및 체계를 구축 할 수 있다. 목표관리제 정부 보고 양식은 조직 내 전사가 참여하여 작성해야 하는 양식과 단지 에너지 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배출활동/배출시설, 그 이하 단위의 설비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작성해야 하는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 저감의 목표 이행을 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내부 심사, 전사적인 프로젝트 추진 등 조직적인 운영 측면을 강조하며 설비 교체, 설비 관리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능력, 캠페인, 교육 등의 활동 추진을 강요한다. 이는 조직 내 에너지관리부서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전사 시스템적인 활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SO 50001의 에너지검토를 통하여 목표관리제의 에너지성과와 개선활동을 기획 할 수 있다. 목표관리제의 경우 정부와 협상한 배출허용량과 에너지소비허용량에 대하여 준수해야 하므로 에너지검토를 통하여 과거, 현재 에너지사용량과 관계 요인을 분석하여 미래의 예상 에너지 사용량을 도출하고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 차이의 원인과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개선활동을 기획 할 수 있다. 에너지검토 방법론을 통하여 인하대학교의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목표관리업체로 지정되지 않은 인하대학교의 에너지검토를 수행하여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사용량을 산정하고 각 건물별 운영 형태와 배출시설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배출시설과 계측기가 부착된 설비를 중심으로 건물/설비 단위로 에너지맵을 세분화하였으며 전체 설비 중 LNG 사용량의 6% 이상, 전력사용량의 5% 이상을 차지하는 건물로 선정된 에너지사용량을 종합하여 중요에너지 이용으로 파악하였다. 에너지종합관리대상은 관리 등급과 사용량을 고려하여 LNG 사용량의 1% 이상 사용하는 설비를 대상으로 중점관리대상 설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중요에너지 사용 설비 선정에 있어서 건물 면적 외 건물단위별 수업 횟수, 강의실 면적에 대한 영향 인자에 대해 정확히 상관관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수업용 외 건물, 실험 장비가 있는 공대, 이학 건물에 대해서는 실험과 에너지사용량 상관관계 분석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건물단위 이하 전기설비 또한 에너지 검토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이는 대학교 온실가스 배출량을 다룬 선행연구에서도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 내 에너지 및 온실가스 영향인자에 대하여 건물/설비단위로 분석하고 대학 내 에너지사용량을 절감하는 아이템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및 이미지 형성이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현주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areer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as affected by their own image evaluation and image form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6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Incheon. How they evaluated their own image(self-esteem and physical image) was assessed, and their image formation(self- presentation strategy and appearance care) and career self-efficacy were evaluated as well. To make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ata, SPSS 11.5 and Amos 4.0 programs were utilized, and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inventory used in this study.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by employing Varimax rotation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among the students. When one- way ANOVA indicat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Scheffe's Post Hoc Test was used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differences. Finall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into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impact of personal background including gender on image self-evaluation, image formation and career self-efficacy,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active and positive than the male students in terms of image self-evaluation and image formation. As to career self- 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in target setting only, one of the subareas of career self-efficacy, and the male students were partially ahead of the females in career self-efficacy. By academic year,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upper academic year tended to excel those who were in the lower academic year at image self-evaluation, image formation and career self-efficacy. Regarding social approval, one of self-esteem subareas of image self-evaluation, the students whose living standard was lower found themselves to be more acknowledged socially than those whose living standard was higher, but the latter surpassed the former in image formation and career self-efficacy. Second, as for the influence of image self-evaluation on image formation and career self-efficacy, the students who had a higher opinion on their own image took a more active strategy to present themselves, and those who took a dim view of their own image weren't good at presenting themselves. The former took care of their own appearance in a more active manner than the latter.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better self-evaluation of image led to more active and positive image formation. In terms of career self-efficacy, the former was ahead of the latter as well.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ose who took a better view of their own image were more active in bolstering their image and eventually improved in career self-efficacy. Third,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image formation and career self- efficacy, image formation made a difference to career self-efficacy in every regard. The students who were more excellent in presenting themselves and taking care of appearance scored highest in every subarea of career self-efficacy. Those who weren't good at presenting themselves and took care of appearance well got the second highest score, and the students who were good at presenting themselves and didn't take care of appearance well got the third highest score. Those who weren't good at either presenting themselves or taking care of appearance got the fourth highest score. So the students who weren't good at presenting them- selves and took care of appearance well were ahead in terms of career self-efficacy than those who were good at presenting themselves but didn't take care of appearance well. The findings implied that appearance care had the greater impact on career self-efficacy than self-presentation strategy. Fourth, as to the firsthand and secondhand influence of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career self-efficacy, self-esteem exercised the greatest influence on career self-efficacy. Self-esteem contributed to boosting not only career self-efficacy but image formation regardless of gender. In contrast, their self-perceived image of the body partially affected an assertive self-presentation strategy, one of the subareas of self- presentation strategies of image formation, and that had an impact on appearance care. But as to career self-efficacy, that exerted an influence on that of the male students only. The major parameter that affected career self-efficacy was a defensive self-presentation strategy, one of the self-presentation strategies of image formation. In terms of appearance care, body form and clothing management were effective at bolstering career self-efficacy. Therefore career self-efficacy could be taken to another level if there is improvement in defensive self-presentation strategy, body form and clothing management.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assist college students to have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ir own image(image self-evaluation) and make a better preparation for their career(image formation). If they get an accurate grasp of their own image and improve it, they will be able to make a better impression on others, which will, in turn, be of use for their career decision formation and employment.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aved the way for providing education(career counseling or through employment camp) tailor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ho are different in self-evaluation of image and image form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was placed just on determining how image self-evaluation and image formation affected career self-efficacy, and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setting up a variety of database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 of different college student groups that are divided by image self-evaluation and image formation. An establishment of the database will make it possible to find the influences of additional variables linked to career disposition. If the diver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ir psychological traits are taken into account, better image consulting services will be provided for them to be better ready for employment, and that will make a contribution to enhancing their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well.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이미지 평가와 이미지 형성이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천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남·여대학생 8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이미지 평가(자아존중감·신체이미지), 이미지 형성(자기제시전략·외모관리행동), 진로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양적분석을 위하여 SPSS 11.5와 Amos 4.0을 사용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일관성계수(Cronbach α계수)를 산정하고, 요인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varimax 회전방식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일반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적 통계를 산출하였고, 측정 변인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Scheffe의 사후검증(post hoc test)을 사용하여 어느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 배경에 따라 이미지 평가, 이미지 형성 및 진로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이미지 평가, 이미지 형성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이었다. 진로자기효능감에서는 하위영역 중 목표설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남학생이 부분적으로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학년별로는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이미지 평가, 이미지 형성, 진로자기효능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미지 평가 중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사회적 인정은 경제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 이미지 형성, 진로자기효능감은 경제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에 따라 이미지 형성 및 진로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이미지 평가가 높은 집단이 자기제시전략에서 적극적이었고 반대로 이미지 평가가 낮은 집단은 자기제시전략 수준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미지 평가가 낮은 대학생보다 높은 대학생이 외모관리행동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미지 평가가 높을수록 이미지 형성을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진로자기효능감 역시 이미지 평가가 높은 집단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수준이 높을수록 이미지 형성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이기 때문에 진로자기효능감도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의 이미지 형성 정도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 모두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자기효능감 모든 하위 영역에 있어서 이미지 형성 즉, 자기제시전략과 외모관리행동이 모두 높은 집단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자기제시전략이 낮고 외모관리행동이 높은 집단, 자기제시전략이 높고 외모관리행동이 낮은 집단, 자기제시전략과 외모관리행동이 모두 낮은 집단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제시전략이 높고 외모관리행동이 낮은 집단보다 자기제시전략이 낮고 외모관리 행동이 높은 집단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기제시전략과 외모관리행동 중 진로자기효능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외모관리행동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직·간접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진로자기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은 자아존중감으로 밝혀졌다. 자아존중감은 남자, 여자 대학생 모두에게 있어 진로자기효능감 뿐 아니라 이미지 형성을 높여주는 변인이기도 하였다. 반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이미지는 부분적으로 이미지 형성 중 자기제시전략의 하위 영역인 주장적 자기제시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모관리행동에도 영향력이 있었으나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학생에게만 나타났다. 그러므로 진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는 이미지 형성 중 자기제시전략의 하위 영역인 방어적 자기제시전략이 중요했으며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체형 및 의복관리행동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미지 형성의 방어적 자기제시전략과 체형 및 의복관리행동 등을 증진시켜 준다면 진로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들에게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이미지 평가) 이미지와 관련하여 진로에 도움이 되는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이미지 형성). 대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이미지 평가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한다면 진로 결정과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되는 바람직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미지 평가와 이미지 형성에 따라 대학생들을 집단적으로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하위집단들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맞춤식 교육(취업캠프, 진로상담)이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연구의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평가와 이미지 형성이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만을 살펴보았으나, 이후에는 이미지 평가와 이미지 형성의 집단별 특성 및 성향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진로 성향에 관련이 있는 다른 변인들을 찾아 그 차이를 밝힐 필요가 있다. 심리적 특성만이 아닌 다양한 행동적 특성의 차이도 검증한다면 진로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이미지 컨설팅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진로자기효능감 향상 뿐 아니라 진로준비행동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인의 가정갈등과 효도관에 관한 연구

        최왕규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analyzing how much the family friction affects the "Hyo"(filial piety) of koreans. Its concrete purpose is as follows. First, it will find out what level the recognition and act of filial piety and is 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grades and demography. Second, it will study how much is the family friction for students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 and adul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school level and demography. Third, it will find out how much t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ilial piety and the lower element of family friction. Fourth, it will study how much the lower element of filial piety and the lower element of family friction correlate directly or indirectly. This research target is 215 students of junior high, 218 students of high school, 213 college students and 236 adults, total of 882. The two standards appl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used the analysis of the recognition and act of filial piety developed by Kim, Heungkyoo(2006) as a tool. This tool is consisted of 6 lower elements which are the recognition, acts and education of filial piety, effect of filial piety acts, the feeling of duty from parent and children and finally sense of value for filial piety. Second, we applied analysis scale of family friction developed by Kim, Heungkyoo(2006) to analyze frictions of teenager and adult in family. This tool is consisted of 7 lower elements which are the whole friction, the family which has negative function, parents who has negative functions, frictions between generations, fri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finally the feeling of distance between a married couple. The statistics of the material is accomplished by Scheffe verification for t verification and F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co-effects between each factors. The primary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whole after it compared the levels and difference of the value of filial piety among junior high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s, it found out that the recognition of filial piety is higher followed by , effect of filial piety acts, education of filial piety, sense of value for filial piety in the highest order. Second the research for the levels and difference of the value of filial piety based on sex among junior high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found showed that male has the higher value of filial piety than female. Third, the comparison of the levels anddifference of the value of filial piety based on grades and adult - non adult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showed that the adult has the highest value of filial piety in the recognition of filial piety, education of filial piety and in the effects of act of filial piety except acts of filial piety, feeling of duty from parent and children and value of filial piety. High school student was the lowest group in the area of education of filial piety, the effects of act of filial piety and value of filial piety. Fourth, the comparison of thelevels and difference of the value of filial piety based on residence type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showed that apartment had the highest one whereas the others' typeof residence and poor family had the lowest one. Fifth, the comparison of thelevels and difference of family friction among junior high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showed thatfriction was serious in the highest order of the family which has negative function, the feeling of distance between a married couple, the whole friction, problems of friction, frictions between generations, parents who has problems and finally the fri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ixth, the comparison of thelevels and difference of family friction based on sex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showed that female has the higher friction than male. Seventh, the comparison of thelevels and difference of family friction based on grade and adult non adult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showed that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st one wherea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ad lowest one. Eighth, the comparison of thelevels and difference of family friction based on residence type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showed that families from the others' type of residence had the highest friction whereas apartment resident family had the lowest one. Ninth, the research into the co-effect between the lower elements of family friction and the lower elements of the value of filial piety showed that as a whole they had the relationship(+) which has existence of meaning within the range of meaningful level(p<.01) except the feeling of duty of parents and children and that the effect of filial piety acts and friction(p<.01) had the highest relationship followed by the effect of filial piety acts and parents who had problem(p<.01) and the effect of filial piety acts and the frictions between generations(p<.01). The relationship among the act of filial piety,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the lower elements of family friction is less than 0.2 which is the general standard point for the existence of co-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 of duty of parent for their children and family friction is so little that we can conclud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 of duty for parent and children and family friction is so weak. Tenth, the co-effect of the lower elements from family friction and value of filial piety is as follows. 1. The regression model of effects of family friction elements and recognition of filial piety against the whole sample, proves to be existence of meaning. It shows that the elements of family friction have the explanation power of 12.3 %. According to that result, such elements as the generation friction, economical problem, children education problem, friction of religion and ideology, the collective idea, individualismof children and the fri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ren which was caused by the enforcement of thrifty from parent is estimated to devaluate the importance and value of filial piety. 2. The research of family friction element's effects on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showed the regression model of it in the whole model proved to be existence of meaning and to have the explanation power of 8.1 % for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According to that, we can see that such elements as the generation friction, economical problem, children education problem, friction of religion and ideology are causing the difficulty of filial piety and it is implied that the solving of those problems will help the activation of education of filial piety. 3. The research of family friction element's effects on the filial piety act showed the regression model of it proved to be existence of meaning and that the elements of family friction has the explanation power of 4.1 % for filial piety act. The result makes us to conclude that such elements as the generation friction, economical problem, children education problem, friction of religion and ideology are destroying the expectation for the harmony in family,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mage and finally the improvement of people's life quality. 4. The research of family friction element's effects on the feeling of duty from parent and children showed that the regression model of it proved to be existence of meaning and that the elements of family friction has the explanation power of 1.9 % for the feeling of duty from parent and children. We can conclude from it that such a whole friction elements as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family members, the ignorance of individuality for family members is deteriorating the feeling of duty from parent and children. 본 연구는 가정갈등의 여부에 따라 중·고·대학생과 성인의 효도관에 어느 정도 관계가 있으며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대학생과 성인의 가정갈등의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학교급별 및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지를 밝힌다. 둘째, 중·고·대학생과 성인의 효도관의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학교 급별 및 인구학적 특성은 어떠한지를 밝힌다. 셋째, 가정갈등의 하위요인과 효도관의 하위요인 간에 어느 정도의 관계가 있는지를 밝힌다. 넷째, 가정갈등의 하위요인이 효도관의 하위요인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힌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생 215명, 고등학생 218명, 대학생 213명, 성인 236명으로 총 인원 882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성인의 가정에서의 갈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김흥규(2006)가 개발한 가정갈등의 진단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의 하위요인은 전반적 갈등, 역기능 문제의 가정, 문제의 부모, 갈등문제 유형, 세대간 갈등배경, 부모-자녀간 갈등, 부부(부모)간 거리감의 7개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학생과 성인의 효도관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흥규(2006)가 개발한 ‘청소 년의 효 인식 및 효 행동 진단검사’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이 도구의 하위요인은 효의 인지적 인식, 효의 행동, 효의 교육, 효 행동의 영향, 부모와 자녀의 의무감, 효 가치관등의 6개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대학생과 성인의 가정갈등 실태는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① 가정갈등의 하위요인들이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전반적 갈등, 역기능 문제가정, 문제의 부모, 갈등문제 유형, 세대간 갈등배경, 부모-자녀간 갈등, 부부(부모)간의 거리감등 7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가정갈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녀 성별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② 가정갈등에 대한 학생의 학교 급별 차이와 성인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고등학생이 가정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고등학생이 되면 부모로 부터의 독립적인 의지와 친구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등의 심리적인 요소, 비판적인 안목 등의 발달로 인하여 가정환경에 대해서 비판 및 갈등하게 되고 부모의 기대치, 대학입시와 취업등의 진로고민, 친구문제, 이성문제 등의 고민이 겹쳐져서 가정갈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중·고·대학생과 성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가정갈등의 집단별 차이비교는 7개 영역에서 기타주거에 사는 가정이 가장 갈등이 높았고, 아파트에 사는 가정이 가장 갈등이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같은 가정의 경제와 편리한 주거환경의 지원 등이 대상자에게 정신적·심리적인 안정과 문화나 교육적인 혜택등을 공급해줌으로 경제적인 마찰로 인한 갈등이 해소되는 이유라고 판단된다. 둘째, 중·고·대학생과 성인의 효도관 실태는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① 중·고·대학생과 성인의 효도관 수준 및 차이를 비교한 결과, 효에 대한 인지적 인식요인과 효행동의 가정적·사회적 영향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부모와 자녀의 의무감과 효의 행동요인이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를 통해서 본바와 같이 부모와 어른의 의견을 존중하고 항상 편안하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자식으로서의 도리를 다하는 ‘효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 남자가 여자보다 효도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부모들이 지나친 자식사랑과 빗나간 과잉보호 때문에 아들, 딸 구별하지 않고 헌신적으로 자식들의 뒷바라지를 했으나, 남자에게는 남아선호 사상이라는 우리나라 특유의 문화와 호주제에 따른 책임감의 발로로 해석된다. ③ 중·고·대학생 보다는 성인이 효의 중요성과 필요성, 가정과 학교에서의 효 교육, 효 행동이 가족관계와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효과에 대해 높은 반응이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들은 효에 대한 인지적 중요성과 필요성은 이해하지만 실제적 상황으로 직면하고 있지는 않으며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는 대학입시라는 긴박한 과제 때문에 효의 교육이나 효 행동이 가정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효 가치관등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도 없고 신경을 쓸 입장도 아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성인들은 ‘성인자녀와 노부모 관계 상황’에서 동거하거나 부양의식을 갖고 살고 있으며 부모부양 문제가 부모와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잘 알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④ 중·고·대학생과 성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효도관의 수준과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정이 효도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고, 경제적 여건이 부유한 가정에서의 효도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이 아파트에 거주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건이 안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적으로 부유한 가정이라는 것은 부양의식과 부모봉양에서 경제적 지원을 할 수 가 있기 때문에 노부모의 생활안정과 만족감, 심리적 복지감과 행복감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셋째, 가정갈등의 하위요인과 효도관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① 가정갈등의 하위요인과 효도관의 하위요인간에 상호관계는 ‘부모와 자녀의 의무감 요인’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것(p<.01)으로 밝혀졌다. ② 효 행동의 영향과 갈등문제는 가장 높은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며, 효 행동의 영향과 문제부모, 효 행동의 영향과 세대간 갈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효 행동, 효 가치관과 가정갈등의 하위요인과의 상관관계는 관련성을 부여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일반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③ 부모와 자녀의 의무감은 전반적으로 가정갈등과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갈등이 부모와 자녀의 의무감과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가정갈등 하위요인이 효도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정갈등의 6개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효도관 하위요인들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Enter 방식으로 투입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① 전체적으로 가정갈등 요인이 효의 인지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의 갈등요인이 효의 인지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12.3%의 낮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갈등 문제유형, 부모-자녀간 갈등, 부부(부모)간 거리감이 효의 인지적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갈등문제 유형과 부모-자녀간 갈등은 효의 인지적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에 부부(부모)간 거리감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에 중·고· 대학생과 성인은 가정의 세대갈등, 경제적인 문제, 자녀교육 문제, 종교 및 이념갈등 등의 갈등문제, 부모의 강한 집단주의 의식과 자녀의 개인주의 성향, 부모의 지나친 근검 절약 강조등의 부모-자녀간의 갈등문제 등으로 인해 효의 중요성과 가치를 평가절하하는 성향이 생기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② 가정갈등 요인이 효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중학생을 제외하고는 고등학생·대학생·성인에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갈등문제가 효 교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가정내 세대갈등, 경제적인 어려움 그리고 자녀 교육에 대한 갈등, 종교 및 이념갈등 등이 가정내 효 교육의 어려움이 되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으며 이런 갈등문제 해결이 효 교육을 활성화 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③ 가정갈등 요인이 효 행동의 영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갈등문제가 효 가치관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 갈등, 문제부모, 갈등문제, 부모-자녀간 갈등은 효의 가치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에 역기능 문제가정, 세대간 갈등, 부부간 거리감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같은 결과는 경제적, 세대간, 자녀교육, 종교 및 이념갈등의 문제가 가정의 화목, 국가 경쟁력과 이미지 상승,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감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④ 가정갈등 요인이 부모와 자녀의 의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역기능 문제가정, 갈등문제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부모, 갈등문제 유형, 세대간 갈등, 부모-자녀간 갈등, 부부(부모)간 거리감은 효의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에 전반적 갈등, 역기능 문제가정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가족들의 불안과 우울, 가족원들에 대한 개성무시 등의 전반적인 갈등요소는 응답자들의 부모와 자녀의 의무감을 저하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대학생의 근로에 대한 가치관과 기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격, 긍정적 성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장주환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직무에 대한 가치관과 기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써 특히 성격, 긍정적 성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기업 특성에 따른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Stereotype Content Model(SCM: 고정관념내용모델)을 활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대학 재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SCM의 두 가지 차원인 능력(competence)과 따뜻함(warmth)에 해당하는 기업의 프로필을 노출한 후, 어떤 기업을 일하기 좋다고 생각하는지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따뜻하다고 인지된 기업(WC)이 능력이 있다고 인지된 기업(CC)보다 더 일하기 좋다고 평가했다. 두 번째 연구는 기업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심리적•관계적•사회적 변인들(i.e., 긍정적 성향, 사회적 지원, 성격, 자기효능감, 근로 가치관)과 기업 선호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학 재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로는 긍정적 성향(Caprara et al., 2012), 부모•친구•교수의 사회적 지원(Bandura, 1995; Kim & Park, 1999), 성격(NEO-FFI, Costa & McCrae, 1992), 자기효능감(Bandura, 1995; Kim & Park, 1999), 근로 가치관(Helmreich and Merritt, 1998)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두 가지 다른 형태의 결과가 밝혀졌다. 기업 특성 중 따뜻함에는 근로 가치관 중 직업적 성공과 가족과의 생활이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끼쳤고, 근로 가치관은 어려움극복효능감, 관계효능감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자기효능감에는 성실성의 성격, 교수의 사회적 지원이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끼쳤다. 기업 특성 중 능력에는 근로 가치관 중 직업적 성공과 개인성취가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끼쳤고, 근로 가치관은 자기주장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자기효능감에는 외향성의 성격, 부모와 친구의 사회적 지원이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끼쳤다.

      • 대학 캠퍼스 주변지역 가로 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 인하대학교 주변공간에 대한 공공영역 구축을 중심으로

        김순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University Campus in the city, especially in Seoul, maintains ambivalent tendency in its situ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context. The university campuses in Seoul are usually fenced up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outside while at the same time, they are defined as public realm of which huge void resides in the urban space. As the function and programs of today's university has become complex enough for the area of the campus to be far extended, it also becomes useless to have a clear distinction of the private and the public between the urban structure and the campus space. In addition, the university campus today is to be considered as non-confirming sphere that intermediates between the urban space and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ly, today's many universities do not verify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campus, but instead, they open the camps toward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ity to accommodate new roles and functions as a part of the city. Such endeavors are proved in the recent public projects such as the Improvement of streets around the campus area and an establishment of fine urban sight. Accordingly, a so called campus town area is to be reconsidered to an extension of the campus space with its urban function. But, while the peculiarity of university campus space and the functions are disregarded, the most of the projects named with 'campus town' tend to place too much emphasis o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treet; that is, an improvement of street image with signs, pavement, and lighting. Those projects usually result in vulgar decoration in the facade of the streets with heavy commercialization. The study, while avoiding any superficial and administrative approaches to an improvement of streets around the campus area and an establishment of fine urban sight, attempts to grasp the fundamental attribute in the moment when the extension of the campus meets the urban space, and to explore any possible methods by which both the campus and the surroundings act as an urban public sphere. The main focus is placed on how to secure urban public sphere with respect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study will main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patial structure of the streets around the campu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s of the university both in space and in programs. 대학 캠퍼스, 특히 서울과 같은 도심형 캠퍼스는 경계에 의해 외부 도시공간과 구분되는 사적영역이면서 동시에 도시에 위치한 거대한 보이드로서 공공적 성격을 띤 영역으로 정의되는 양가적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오늘날 대학의 기능과 프로그램이 복합화 됨에 따라 캠퍼스 공간이 확장되고, 도시구조와의 관계가 과거와 같이 사적, 공적 영역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더욱이 오늘날 행정적으로나 자발적으로 대학 캠퍼스 공간은 도시 공간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중개 영역으로서 간주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시와의 경계를 확정하기 보다는 도시의 한 부분으로서의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지역사회로 개방된 대학으로서 그 역할과 기능을 수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국내의 대학주변 가로 정비 및 경관조성계획 등은 이러한 변화를 실증해 주는 것으로 이제 대학 주변지역도 캠퍼스 공간의 연장선으로서 그 도시적 기능이 재조명돼야하는 입장에 처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최근 주요 도심형 캠퍼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소위 ‘캠퍼스타운’조성계획은 대학 캠퍼스 공간 및 기능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대학로’라는 추상적인 공간 이미지를 외관적으로 치장하는 ‘가로경관조성’이라는 행정적 조치로 마무리되는 실정이다. 즉, 역사ㆍ문화ㆍ심리적 측면을 간과한 채, 상업화된 거리 공간을 미화하는 정도의 작업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실상 거리 공간, 또는‘캠퍼스타운’이라는 도시 구조적 속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획일적인 도시계획 프로세스에 의거한 대학주변 가로경관 조성이라는 피상적 접근을 회피하고, 캠퍼스 공간의 확장이 도시공간과 접목하는 근본적인 속성을 파악하며, 이를 기저로 하여 캠퍼스와 주변공간이 도시의 공공영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방법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주안점으로서 대학 캠퍼스와 주변지역의 공간구조를 관련지어 물리적 경계확장에 의한 도시 공공영영의 확보 방안을 탐구하고, 경관으로서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거리 공간 구축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사건이나 경험을 적층하는 도시ㆍ건축의 혼성적 공간을 제안하고, 단순한 보이드의 삽입을 통한 공공 공간 확보가 아니라 캠퍼스의 경험을 증폭하여 도시경험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공간을 생산하는 미시적 관점의 도시디자인을 제안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