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북아 커피물류허브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차요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AHP 분석을 활용하여 동북아 3국(한국, 중국, 일본), 국내 3개 지역(부산, 인천, 경기 남부)의 동북아 커피 물류허브 입지선정 시의 경쟁력 평가 및 커피 물류허브 입지선정 요인 중요도 평가 분석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동북아 국가들의 경제성장은 기호식품인 커피 소비량의 증가를 이끌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중국 커피 시장의 잠재력이 두드러짐에 따라 커피 공급사슬에 있어 한국, 중국, 일본의 커피 물동량을 수용할 수 있는 동북아 커피물류허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피 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정리함과 더불어 커피 공급사슬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 나아가 커피 공급사슬의 특징을 반영한 커피 물류허브의 입지선정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커피 물류허브 입지선정 요소 간 중요도를 AHP 분석을 통하여 도출하고, 한국, 중국, 일본 평가 대안 간의 경쟁력 비교와 부산, 인천, 경기 남부 지방의 경쟁력 비교를 통하여 최적의 커피 물류허브의 위치를 찾아내었다. 분석 결과, 입지선정 요소 간 중요도에서는 경제 관련 요인의 값이 ‘0.527’을 보여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 되었고, 동북아 3국 입지 대안 간 평가에서는 ‘한국’이 ‘0.407’의 값으로 동북아 3국 중 가장 경쟁력 높은 입지로 평가되었다. 또한, 국내 대안 간 평가에는 ‘인천’ 지역이 ‘0.400’의 값을 보여 가장 경쟁력 높은 국내 입지로 평가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valuation competitiveness of location selection about coffee logistics hub in the Northeast Asia and importance factor. Northeast Asia country’s economic growth leads coffee consumption. Especially, China’s coffee market is growing trend, so its need to make coffee logistics hub in the Northeast Asia. Thus, this paper arranges information of coffee, analyses coffee supply chain and draws location selection importance factor. This paper uses AHP analysis and finds optimal location between alternatives.

      •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활용한 인천항의 클러스터 형성에 관한 연구

        김영복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87

        변하는 세계경제 상황과 맞물려 각국은 산업의 국가경쟁력 제고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산업 클러스터 형성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항만물류분야에서도 항만 클러스터(Port Cluster) 구축이 국가간 항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의 물류기능 아웃소싱 등으로 공급사슬관리(SCM)가 주요과제로 부상하면서 항만의 경쟁력은 저렴한 항만이용료에서 원스톱 부가물류서비스의 제공여부가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인천의 경우 우수한 지리적 여건을 지니고 있으며, 지역배후단지 및 시장과의 연계성이 높아 항만물류의 중심지로서 역할과 가능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화물처리 기능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화물처리업무 등 하역작업을 핵심 기능으로 하고, 관련서비스(예·도선, 창고 및 부가물류서비스, 내륙운송서비스 등)를 통합한 항만 클러스터를 추진해 경쟁항만들에 비해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항이 기존 항만서비스 제공방식에서 변화된 항만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중심항만으로서 항만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고부가가치 항만산업 육성을 위한 중앙, 지방정부가 해야 할 제반 인프라 제공 및 항만당국의 정책적 의사 결정 등 전략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인천항의 전반적인 클러스터 배경 등을 시스템 다이내믹스(SD) 전용 Tool인 Powersim Studio 8.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작성하고,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천항 클러스터에 대한 가치사슬모형(VCM)을 구성하였다. VCM을 통하여 인천항에서 항만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산업 기반의 업종을 중심으로, 주활동(primary activities) 부분에서는 입출항 프로세스와 내륙운송 프로세스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보조활동(support activities) 부분에서는 해운산업, 항만물류서비스, 조선 및 선박기자재 공급업체, 공공 및 민간기구 등 항만 클러스터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인천항만의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통합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항만 경쟁력 서비스 제고 방안을 분석하기 위해 핵심성과지표(KPI)를 개발하여 항만 경쟁력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요인 등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항만의 편의성, 둘째, 항만의 신속성, 셋째, 항만의 경제성, 넷째, 항만 고객만족도에 대한 4개의 KPI 항목과 총 31개의 평가/측정지표를 추출하였다. 이에 따른 평가지표와 측정지표를 도출하여 항만클러스터 시뮬레이션 모델 작성에 이용하고, 향후 인천항 경쟁력 서비스 등 성과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천항 클러스터 형성에 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작성하기 위해 정성평가 모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 중의 하나인 인과지도(CLD)를 작성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인과지도 작성은 첫째, 클러스터 형성관련 변수간 피드백 관계도, 둘째, 클러스터 구성 변수간의 피드백 순환루프도, 셋째, 항만 서비스 수준과 인천항 물동량 변화의 순환루프도(B1), 넷째, 클러스터 역량과 인천항 경쟁력과의 영향관계 순환루프도(B2), 다섯째, 클러스터 육성정책과 클러스터 규모와의 영향관계 순환루프도(B3) 순으로 작성하였다. 인과지도의 구성 내용은 인천항 물동량의 증감, 클러스터 서비스 인프라 규모, 클러스터 서비스 역량, 항만 서비스 수준, 클러스터 수준, 클러스터 형성규모, 항만 경쟁력 지수에 관한 7개 변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변수들 간의 피드백을 통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진단하였다. 그리고 인과지도를 바탕으로 인천항 클러스터 형성에 관한 SD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수행을 통하여 클러스터 규모와 항만 경쟁력 변화 추이를 중장기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항의 클러스터 형성으로 인해 항만 서비스 역량 증가가 항만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 인천항에서의 물동량 증가가 인천항 클러스터 운영으로 인한 수익성 증가로 연결되는 일련의 과정을 동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항만 클러스터는 인천항만의 기존 항만서비스 제공방식에서 새로운 항만서비스 제공 및 항만배후부지에 글로벌 기업과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물류 관련기업들의 클러스터 형성을 통하여 신규 물동량과 고용창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물류기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인천항의 클러스터 개발 전략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 분석 정보를 토대로 향후 잠재력이 큰 글로벌 기업 등을 인천항 클러스터 단지로 적극 유치하여 항만 운영 물류비 절감과 배후물류단지 이용 활성화에 따라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항만 서비스 제공으로 인천항의 발전 모델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인천항의 경우 동북아 중심에 위치하여 있으며, 중국 항만과의 상대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클러스터 서비스 강화는 항만 경쟁력을 위한 필수적인 항목임을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최근 항만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핵심 아이템 위주의 클러스터 조성 및 인천항의 고부가가치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인천항 클러스터내에 필요한 제반 인프라 투자는 인천항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으로 본 연구 수행과정에서와 같이 항만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간의 연구는 부족했다. SD를 통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새로운 시도에는 분명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나, 본 연구를 위해 클러스터 형성에 관한 실증자료의 부족 한계와 항만 클러스터 내 다양한 요소에 대한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보다 현실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는데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구체적인 실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천항의 클러스터에 대한 계량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만 클러스터 개발에 대한 항만 서비스 기여도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인천항 클러스터 형성에 필요한 배후단지 육성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천항은 인천국제공항 연계 가능과 한·중·일 물류연계 비즈니스 최적지로 수도권과 가장 인접한 넓은 배후물류단지가 조속히 마련되어 핵심 아이템 위주의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인천항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시켜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유통물류센터의 구축방향과 보관설비 유형별 최적 보관면적 산출에 관한 연구

        박정현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671

        As the new technologies began to be used in the retail industry, new forms of consumption demand began to be created through the tim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st industrial revolution. And retailers are investing heavily in the logistics sector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This is because logistics is expected to become core competitivenes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distribution centers play an important function and role in supporting the actual operation and delivery of goods and are in the final contact with consumers, so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analyze the future construction direction of the distribution center, I first derive the importance of constructive factors and propose practical direction to construct distribution center.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prioriti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gistics experts who have more than 18 years experience in the related fields to suggest a more realistic distribution center. Finally, the evaluation factors were composed of four detailed factors (subfactors) for each of the four main factors (Infra, Equip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n order to evaluate these factors,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they were conducted on experts who have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domestic logistics industry. As the methodology to analyze factors, CFPR(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s) is used which is effectively extract expert’s knowledge. As a result, “Service” was the first factor to be considered as 0.271, followed by “Infra” with 0.254, “Information System” with 0.247 and “Equipment” with 0.228 as main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detailed factors, “Reli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ith 0.091, and followed “Visibility” in Information System as 0.076, “Space Advancement” as 0.075, “Location” as 0.074 and “Satisfaction” of service as 0.073.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in that it has suggested a construction direction for the future distribution center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analysis and construction directions of the distribution center,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optimal storage area of the distribution center has developed. The efficient design of the distribution center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particular, designing the optimal storage area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distribution centers have inventories. In order to calculate the optimal storage area, the “standard pallet rack module” for each type of storage facility and the “standard work path” for each equipment type were defined, and the “standard column rule in storage space” where the rack module can be placed optimally in the storage space was also established. In other word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center, which wants to operate by introducing rack facilities as a way to use the pallet unit load and improve storage efficiency, can be calculated under optimal conditions in the storage space design. To this end, standard pallet rack modules for the T-11 type pallet, which is widely used in domestic, and the T-12 type pallet, which is added for increasing the distribution efficiency, has been defined. And through analysis of various pallet transportation equipment, the storage was optimized by redefining the actual passage of movement and suggesting measures to minimize the amount of unused space that may arise when deploying rack modules in the storage space. Finally, based on the above, a formula that can easily calculate the optimal storage area was developed and proposed. It also included floor space requirement per pallet according to the type of pallet, type of transport equipment, and the number of rack leve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se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calculate the storage area at the distribution center without complicated calculation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optimized storage space design method and area estimation methodology 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be a useful guideline in the field. The pallet type, the type of transport equipment, and the floor space required per pall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orage racks are arranged at the same time. 1차 산업혁명에서 4차 산업혁명을 거치는 동안 유통업계에도 신기술이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소비수요가 창출되기 시작했고 유통업체들은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물류부문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유통산업에서는 물류가 본질적인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그 중 유통물류센터는 상품의 실질적 운영과 전달을 지원하는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며, 소비자와 최종 접점에 있기에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통물류센터의 향후 구축 방향 분석을 위해 구축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도출해 실질적 구축 방향을 연구해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과 사례 연구를 우선적으로 진행하였고, 보다 현실적인 유통물류센터의 구축방향 제안을 위해 관련 분야에서 평균 18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한 물류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해 평가 요인 도출에 반영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평가요인은 4개의 대요인(인프라(창고), 장비(설비), 정보시스템, 서비스)에 각각 4개의 세부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요인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국내 물류업계에서 근속연수 10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론으로는 최근 전문가 집단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나 설문조사 분석에 많이 쓰이는 Fuzzy 방법론 중 하나인 CFPR(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s)을 적용해 실증분석 위한 요인별 평가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대요인(Principle Factors)에서는 “서비스”가 “0.271”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분석되고, 다음 순으로는 “인프라”가 “0.254”, “정보시스템”이 “0.247” 그리고 “장비”가 “0.228”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한편 세부요인(Detail Factors)에서는 “신뢰성”이 “0.091”로 가장 높은 중요도로 평가되었고 다음 순으로 “정보시스템의 가시성”이 “0.076”, “인프라의 공간고도화”가 “0.075”, “인프라의 입지”는 “0.074” 그리고 “서비스의 만족도”가 “0.073”으로 중요도가 각각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타 요인들은 0.068 ∼ 0.041 사이의 중요도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과 유통물류센터 구축방향을 기반으로 최적 보관 면적 산출 방안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물류센터의 효율적 설계는 무엇보다 중요한데, 특히 유통물류센터는 재고를 보유하고 있기에 효율적인 보관면적을 가질 수 있는 최적 보관에 관한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최적 보관 면적 산출을 위해선 유통물류센터 내 보관 설비 유형별 ‘표준 파렛트 랙 모듈’과 파렛트 운반에 필요한 ‘장비 유형별 표준 작업통로’등을 정의하였고, 랙 모듈이 보관 공간 내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유통물류센터 보관 공간 내 ‘표준 기둥간격 규칙’도 정립하였다. 즉, 파렛트 유닛 로드를 사용하고 보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랙 설비를 도입해 운영하고자 하는 유통물류센터가 보관 공간 설계시 최적 조건으로 설계 할 수 있는 방안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유통물류센터에서 많이 사용하는 T-11형 파렛트와 물류 유통 효율성 증대를 위해 추가된 T-12형 일관 수송용 파렛트에 관한 표준 파렛트 랙 모듈이 정의되었다. 그리고 유통물류센터에서 운영 중인 다양한 파렛트 운반 장비를 조사 및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실질적 이동(작업) 통로를 재정립해 보관 공간 내에서 랙 모듈 배치시 발생할 수 있는 비활용 공간(Dead Space)에 대한 최소화 방안을 같이 제시함으로서 보관 공간의 고도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유통물류센터의 최적 보관면적을 손쉽게 산출 할 수 있는 수식을 제안하였고, 파렛트, 운반장비 유형, 보관 랙 적재 단수 등에 따른 파렛트당 바닥 소요면적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향후 유통물류센터에서 보관면적 산출시 별도의 복잡한 계산 없이 이를 적용해 용이하게 최적 보관면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조견표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최적화된 유통물류센터의 보관 공간 설계 방법과 면적 산출 방법론은 현업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 ArcGIS를 활용한 배송경로 분석 및 최적 입지선정 관한 연구

        정민철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최근 국내의 의료산업 발전과 규모가 확대되고 있고, 그에 따른 의료기관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 의료법상 상급종합병원은 비영리법인으로 분류되며 의료행위를 통한 영리행위를 할 수 없도록 법률로써 제한하고 있다. 부대사업으로 주자장, 장례식장 등을 통해 일부 수익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의료기관 본 업무인 의료행위를 수행하는데 있어 투입되는 비용인 의료인력의 인건비, 고가의 의료장비 및 일상적으로 환자에게 처치하고 소모되는 의료기기와 의료소모품 등의 구매비용과 물품을 조달하는 비용이 병원에 투입되는 전체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급종합병원에서는 이러한 비용들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으며, 비용절감의 대안 중 하나로써 구매 및 물류업무 환경의 변화와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의료 구매대행사(GPO)가 2000년 이후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구매와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 대상이 되는 기업인 ‘A’사의 경우, 초기에는 구매대행 서비스에 집중되었으나, 최근 수년간 상급종합병원의 물류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A’사의 물류사업의 규모는 필연적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고, 수요지 증가와 수요량 증대는 기존 의 물류센터의 입지를 재선정해야 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물류센터의 입지를 선정에 따른 의사결정 시 기존에 고려한 변수들에서 추가하여 트럭의 이동하는 거리와 시간을 반영하여 구체적인 입지선정에 의견을 보태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수요지와 신규 수요지에 대한 배송경로를 재탐색하며 새로운 입지의 선정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의 도구로써 ArcGIS와 C-Plex를 활용하였고, 이를 통해 추출된 실제 지리정보와 도로교통 환경을 반영하여 배송경로 분석과 예상 후보지 중 최적의 입지를 선택하기 위해 P-median 방법론을 적용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A’사의 기업 실무분야에 학술적 이론을 근거로 하여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합의점을 도출하고 기존의 센터입지 선정 방식보다 합리적인 입지분석 결과를 산출하여 향후 물류센터 이동 및 배송경로 분석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