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효과

        이소희 인제대학교 대하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591

        국문초록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효과 이소희 ( 지도교수 : 이윤미 )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목적: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대상으로 하여 역할갈등, 회복탄력성, 직무만족의 정도를 확인하고,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재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 까지 이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소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4개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5.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Scheffé test 사후검정, Pearson Correlation ,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연구결과는 다음 내용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 성별은 모두가 여자로, 연령은 평균 33.19±8.28세 이었으며, 25세 이하 16명(13.2%), 26∼30세 45명(37.2%), 31∼35세 22(18.2%), 36세 이상 38명(31.4%)이었다. 결혼상태는 미혼 82명(67.8%), 기혼 39명(32.2%)이었다. 학력은 전문대졸 40명(33.1%), 대졸 71명(58.7%), 대학원졸 이상 10명(8.3%)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8.97±7.17년 이었고, 5년 미만은 42명(34.7%), 5∼10년 미만은 35명(28.9%), 10년 이상은 44명(36.4%)이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경력은 평균 2.92±1.45년 이었으며, 2년 미만 38명(31.4%), 2∼4년 미만 41명(33.9%), 4년 이상 42명(34.7%)이었다. 근무병동은 내과 계 병동 8명(6.6%), 외과 계 병동 113명(93.4%)이었다. 한 가지 항목이라도 일상생활수행능력 항목이 “전부도움”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은 10% 미만 82명(67.8%), 10∼25% 미만 26명(21.5%), 25% 이상 13명(10.7%)이었다. 간호사 1인당 병상 수는 평균 11.12±1.74개 이었으며, 10병상 이하 44명(36.4%), 11병상 이상 77명(63.6%)이었다. 근무형태는 고정근무 18명(14.9%), 3교대근무 103명(85.1%)이었다. 월 급여는 300만원 미만 58명(47.9%), 300만원 이상 63명(52.1%)이었다. 2. 역할갈등은 총 3점 만점에 2.06±0.32점이었고, 회복탄력성은 4점 만점에 3.21±0.50점 이었으며 직무만족은 4점 만점에 3.12±0.39점 이었다. 3. 역할갈등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연령(F=2.94, p=.036) 이었다. 연령은 31∼35세가 25세 이하 보다 역할갈등이 높았다. 회복탄력성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결혼상태(t=-2.09, p=.039)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미혼보다 회복탄력성이 높았다. 직무만족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없었다. 4. 직무만족은 역할갈등(r=-.38,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회복탄력성(r=.54,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역할갈등 및 회복탄력성 사이에서는 음의 상관관계(r=-.25, p=.007)가 있었다. 5.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없었으나,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z=-2.53, p=.012)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조절효과는 없고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상자의 역할갈등과 회복탄력성을 사정하고, 역할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와 더불어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중재가 필요하다. ────────────────────────────── 주제어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역할갈등, 회복탄력성, 직무만족 Abstract Effect of Role Conflict on job Satisfaction by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by So Hee Lee (Advisor: Prof. Yun Mi Lee,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and nursing integration service ward nurses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role conflict, resilience, and jobsatisfaction, and by identifying the control and mediated effects of resilience i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July to August 2020,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30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agreed to the survey for four hospitals that implemented integrated nursing and nursing services based in B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lso standard deviation, and t test and one-way layout ANOVA, Scheffé pos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dow 25.0 program.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gender was all female. The average age was 33.19 ± 8.28 years old, 16 people under 25, 45 people between 26 and 30, 37.2 percent, 22 people between 31 and 35 years old (18.2 percent), and 38 people over 36 (31.4 percent). There were 82 unmarried people (67.8 percent) and 39 married (32.2 percent). Forty college graduates (33.1 percent), 71 college graduates (58.7 percent), and 10 graduate graduates (8.3 percent). Total clinical experience averaged 8.97±7.17 years, 42 people under 5 years (34.7%), 35 people under 5~10 years (28.9%) and 44 people over 10 years (36.4%). The average ward experience of nursing care integration service was 2.92 ± 1.45 years, 38 people (31.4%) under two years, 41 people (33.9%) under two to four years, and 42 people (34.7%) over four years. Eight (6.6 percent) were in the internal medicine ward and 113 (93.4 percent) were in the surgical ward. For even one item,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DL items being "full help" was 82 patients (67.8%), 26 patients with less than 10-25% (21.5%) and 13 patients (10.7%) with more than 25%. The average number of beds per nurse was 11.12 1 1.74, 44 (36.4%) with 10 beds or less and 77 (63.6%) with 11 beds or more. The types of work were 18 regular workers (14.9%) and 103 three-shift workers (85.1%). 58 people (47.9 percent) paid less than 3 million won (47.9 percent) and 63 people (52.1 percent) paid more than 3 million won (52.1 percent). 2. Subjects’ Role conflict score was 2.06 ±0.32 out of three points resilience was 3.21±0.50 out of four points, and job satisfaction was 3.12±0.39 out of four points. 3. The characteristics that show a difference in role conflict are age (F=2.94, p=.036) Those aged 31 to 35 had higher role conflicts than those under 25.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is the state of marriage (t=-2.09, p=.039) Married couples were more resilient than unmarri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4.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r=-.38, p<.001)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r=.54, p<.001).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Role conflict and resilience(r=-.25, p=.007) 5.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found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z=-2.53, p=.012) but no moderating effect was found.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nurse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nurses, evaluation of their role conflicts, resilience, and interventions to alleviate role conflicts and improve resilience are necessary. ───────────────────────────── Key words: Nursing care, role, conflict, Psychological resilience,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