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수술실 실습학생을 대상으로 한 참여교육의 효과

        이미진 을지의과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수술실 실습학생으로 대상으로 한 참여교육의 효과를 규명하여 효과적인 임상실습 지도를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었으며,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E대학 병원 수술실에서 실습을 경험한 학생으로, 참여교육의 실습지도를 받은 실험군 39명과 기존의 방법으로 실습지도를 받은 대조군 35명이었다. 실험처치 전 동질성 유지를 위해 같은 교육기관에서 교육받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2월 24일부터 6월 23일까지이었다. 실험처치는 참여교육의 제공으로 수술실 실습기간 동안 간호사와 일대일로 실습지도를 받는 것이다. 실험군에게는 참여교육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에게는 기존의 교육방법인 관찰교육을 적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수술실 환자간호 관련 간호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간호학 교수, 수술실 간호사, 연구자가 개발한 25문항 객관식·선다형으로 구성된 간호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가 개발하고 간호학 연구자 2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한 OSCE 모듈을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서 Sherer 등(1982)이 개발하고, 홍혜영(1995)이 번역한 것으로 총 23개 문항으로 된 자기효능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 측정을 위해서는 이숙자(1980)의 도구를 토대로 문영순(1999)이 작성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총 30개 문항으로 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동질성 검증을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학 전공 및 교양 누적성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으며, 효과검증을 위해서 수술실 환자간호 관련 간호지식, OSCE, 자기효능감 및 임상실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과 평균, 빈도로 분석하였으며, 두 집단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학 전공 및 교양 누적성적, 사전 간호지식점수, 자기효능감은 X^(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과 실습만족도 측정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α로 분석하였으며, 실험처치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사후 간호지식점수, OSCE 점수,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는 t-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학 전공 및 교양 누적성적, 사전 간호지식점수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 참여교육을 실시한 실험군과 관찰교육을 실시한 대조군의 수술실 환자간호 관련 간호지식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참여교육을 실시한 실험군과 관찰교육을 실시한 대조군의 OSCE 점수(t=3.611, p=.001)와 임상실습 만족도(t=2.609, p=.01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직접 간호활동을 포함한 참여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이 기존의 방법인 관찰교육을 받은 간호학생보다 임상수기술과 임상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학생들의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해 적극적인 참여를 강화시켜야 하겠으며, 임상실습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closely the effectiveness of hands-on education and to offer the basic data to promote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in this studying were the nursing students. 74 nursing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experimental group was 39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hands-on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35 nursing students who received conventional education. To keep up homogeneity before this study, th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in same institution. The period of data gathering was limited from 24 Feb 2006 to 23 June 2006. The questionnaire measuring the nursing knowledge was developed, and the OSCE module measuring the nursing skills was developed by nursing professors operation room nurses. To measure the self-efficacy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consisted in 23 items. To measure the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the 30 item questionnaire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2.0 program. For the verification of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rsing knowledge and skill, for operation nursing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The internal reliability abou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s α. To compare the effect of experimental treatments nursing knowledge, nursing skil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nursing knowledge, self-efficacy bu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about nursing skill(t=3.3611, p=.001),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t=2.609, p=.011). In conclusion, these finding indicate that the hands-on education c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nursing skill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태정 을지의과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유방암은 여성의 악성종양 중 1위를 차지하는 암으로 유방암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은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을 조기 발견하기 위한 검진법에는 유방자가검진(breast self-examination), 전문가에 의한 유방검진(clinical breast examination), 유방촬영술(mammography) 등이 있으며 이 방법들은 상호보완적으로 쓸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런 검진법들이 상호 보완된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효과를 확인하기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유사실험 설계 중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편의 모집하여 연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실험군과 비교군, 대조군으로 집단에 따라 할당하였고 실험군은 23명, 비교군은 24명, 대조군은 22명이었다. 실험군에게 제공한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프로그램은 유방암과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소책자를 제공하고 유방모형을 이용하여 강의하며 대상자 스스로 자가검진을 따라하게 하는 과정이었다. 교육시간은 약 40분정도 소요되었다. 비교군에게는 소책자만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시행하지 않았다. 연구의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유방암 조기검진에 관련된 내용과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방자가검진 기술은 최경옥(1996)이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은 Champion(1993)이 개발한 것을 기초로 최경옥(199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12문항의 5점 척도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12.0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규성 검정은 Kolmogorov-Smirnov test로 분석하였으며 변수의 정규성 검정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모수적 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정규성 검정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모수적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초경연령, 유방암과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지식 및 기술, 촉진시 소요되는 시간, 촉진범위, 몽우리 발견 수와 자기효능감은 ANOVA 혹은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실험처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유방암과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지식점수와 몽우리 발견 수, 자기효능감은 ANOVA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술점수와 유방모형을 이용한 촉진범위는 Kruskal Wallis 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세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전 지식점수, 유방자가검진 기술점수, 촉진 범위, 소요 시간, 몽우리 발견 수 및 자기효능감은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비교군, 대조군의 유방암 조기검진 지식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F=18.10, p<.001)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비교군, 대조군의 유방자가검진 기술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Kruskal Wallis X²=31.46, p<.001)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비교군, 대조군의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F=10.07, p<.001)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프로그램이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지식과 유방자가검진 기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소책자 제공시 지식은 향상되지만 자가검진 기술은 향상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유방암 조기검진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시행시 실습교육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며 교육 시행 후 유방자가검진의 정확성은 증가하지만 이행정도는 증가하지 않으므로 유방자가검진을 새로운 습관으로 가지기 위해서는 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내용 또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Breast cancer is the commonest cancer among women, and its incidence and death rates are on the increase every year. Screening exams for early breast cancer detection include a breast self examination, clinical breast examinations by specialist and mammography. When these methods are combined complementarily, the effectiveness could be more enhanced.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breast examination an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f quasi-experimental study. 69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ing of 23 in the experimental group, 24 in the comparative group, 22 in the control grou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was consisted of lecture using booklets and practice using breast examination model. The booklets was developed which was composed of what is breast cancer and how to conduct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about breast cancer and practiced adequale methods of breast cancer early detect. The lecture took about 40 minutes. For the comparative group, only booklets were provided, and the control group didn’t receive any treatment. As instrument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revised to measure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knowledge of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and the skills of breast self examinat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2.0 PC program. A normality test was done by conducting Kolmogorov-Smirnov test, and 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in case the normality condition of variables was satisfied and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in case not satisfied. In order to test homogeneity of the group, ANOVA or Kruskal-Wallis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age of menarche,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skills of breast self examination, time spent for the examination, the examination range, the number of lumps detected,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in experimental treatments,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scores of knowledge of breast cancer and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the number of lumps detected, and self-efficacy, and Kruskal-Wallis test was applied to analyze the scores of skills of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and the examination range by using the breast model. In the results of homogeneity test of the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pre-knowledge, skills of breast self examination, the examination range, time spent for the examination, the number of lumps detected, and self-efficacy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providing the educational program (F=18.10, p<.001), the first hypothesis was supported. 2)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chniques of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providing the educational program (Kruskal Wallis X²=31.46, p<.001), the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 3)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providing the educational program(F=10.07, p<.001), the third hypothesis was supported.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knowledge and skills and self-efficacy. Though with booklets only, the skills of self examination could not be improved even though the knowledge was increased, practice should be implemented together in further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In addition, contents to help new habit forming should be included.

      •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한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폭력과 폭력 반응

        김수연 을지의과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한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폭력과 폭력 반응을 파악하여 응급실에서의 폭력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6년 10월 2일부터 10월 11일까지 C도, D시, J도, U시 소재의 2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대한 내용 8문항, 폭력 유형 및 폭력 관련 사항 6문항, 폭력 반응 43문항을 합하여 총 57문항으로 구성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총 2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한 후 190부를 수거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72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3.0을 사용하였으며,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폭력 유형과 폭력 관련 사항은 실수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폭력 반응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 반응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다. 폭력 경험 시기와 폭력 반응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로 산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로 나타내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급실 간호사 172명 중 97.1%가 최근 1개월 동안에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가 복수 응답한 폭력 유형은 총 1,094건으로 그 중 언어적 폭력은 48.6%, 신체적 위협은 44.9%, 신체적 폭력 6.5% 순으로 나타났다. 폭력 가해자가 환자인 경우 31.4%, 보호자 33.1%이였고,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가해자인 경우는 34.9%로 나타났다. 폭력 유발 동기는 검사 및 처치의 지연 59.9%, 불친절 2.3%, 처치의 미숙 3.5%로 나타났다. 폭력에 대한 대처 행동으로는 묵인이 40.1%, 동료와의 대화가 27.3%, 폭력 가해자의 격리가 7.6%, 경찰의 도움 7.0%, 결박이 3.5%로 나타났다. 폭력 가해자의 상태는 음주 상태가 68.6%, 정신질환자 4.1%, 약물중독자와 중증의 질병을 가진 자가 각각 2.3%였다.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 반응은 총 2.39점이었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정서적 반응 3.02점, 신체적 반응 2.22점, 사회적 반응 1.93점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 반응은 성별, 연령, 종교, 학력, 임상경력, 응급실경력, 직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경험 시기와 정서적 반응(r=-.156, p=.042)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폭력 경험이 최근일수록 부정적 정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폭력 경험으로 부정적인 정서·신체 및 사회적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안전한 근무환경을 위한 폭력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iolence episodes and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by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 convenient sample of 172 emergency nurses were selected from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200 beds, located in D city, J city, C-Do, J-Do.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 to October 11, 2006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a total 57 questions : 8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6 questions on violence on violence pattern and violence-related matters and 43 questions regarding response to viol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percentage, Mean, S.D.,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Chronbach's α using SPSS PC 1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majority of subjects(97.1%) have experienced violence by patients or their guardians for latest one month. Frequency of violence pattern was totally 1,094 cases. Verbal abuse was 48.6%, followed by 44.9% of physical threat and 6.5% of physical violence. In regards to the violence offenders, patients accounted for 31.4%, guardians 33.1% and both 34.9%. Violence offenders were characterized by drunken(68.6%), mental illness(4.1%), drug addict(2.3%0 and critical patient's condition(2.3%). The causes of violence were delayed checkup and treatment(59.9%), unskilled treatment(3.5%) and unkindness(2.3%). The coping behaviors with violence episode were ignoring(40.1%), talking with colleagues(27.3%), isolating of offenders(7.6%), asking for help from the police(7.0%) and binding(3.5%). Response to violence experienced by emergency nurses was totally 2.39 on the scale of 1 to 5. The sub-dimensions of violence response were emotional response(3.02), physical response(2.22) and social response(1.93). Response to violence in according to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ost recent violence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sponse(r=-.156, p<.05), otherwise the most recent violence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social response. Response to violence in according to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while the frequency of violence episodes of emergency nurses is fairly high, the hospitals surveyed have no program for preventing violence and management. The more lately nurses experience violence, the stronger negative emotional response they showed.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negative responses caused by violence episode and improve the nursing care quality in safe workplace, it needs to develop a support system after an episode of violence and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 여성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병식 및 음주관련 특성

        김은하 을지의과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여성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병식 및 음주관련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여성 알코올 사용 장애자를 보다 잘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이 조사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개 정신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알코올 남용이나 알코올 의존으로 진단을 받고 입원 치료중인 여성 43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5년 11월부터 2006년 7월까지이었다. 알코올 병식의 측정은 김종성 등(1998)의 알코올 병식 척도(HAIS; Hanil Alcohol Insight Scale)를 사용하였고, 음주관련 특성은 연구자가 개발한 51문항의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PC 프로그램을 이용한 서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병식 수준은 부분형성 병식이 51.2%로 가장 많았다. 하위 영역별로는 입원/치료 지향 병식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단주 지향 병식이 가장 낮았다. 음주관련 특성 중 음주를 시작해서 자신의 음주를 문제라고 인식하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1.1년이었다. ‘혼자서’ 술을 마시는 경우는 53.5%이었고, ‘집에서’ 마시는 경우는 58.1%이었으며, 음주를 계속하기 위해서 술병을 숨긴 경험이 있는 경우는 83.7%이었다. 주로 마시는 술은 소주가 83.7%이었고, 1주 평균 4.2일을 마시며, 한번 마시면 평균 8.1일간 마셨고, 한번 마시는 양은 41.9%가 2-3병이었다. 음주 동기는 ‘외로워서’가 44.2%로 가장 높았고, ‘슬프고 절망스러워서’ 41.9%이었으며, ‘화가 나서’ 39.5%이었으며, ‘죽기 위해서’가 20.9%,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가 16.3% 등이었다. 가족의 문제 음주력을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55.8%에서 부모에게 음주문제가 있었다. 음주관련 문제로는 우울이나 자포자기, 자살시도 등의 정신적인 건강문제와 상해나 소화기 장애, 기억력 장애 등의 신체적인 건강문제가 각각 67.4%이었고, 음주 시 증상으로는 수치심과 죄책감으로 괴로워한다가 88.4%로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다. 단주경험을 보면 1년 이상의 단주 경험이 32.6%, 1년 미만이 37.3%, 그리고 단주경험이 없는 경우가 30.2%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성 알코올 사용 장애자들은 외로워서, 슬프고 절망스러워서, 화가 나서, 그리고 죽기 위해서 술을 마시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음주 후에도 2/3 이상에서 우울이나 자포자기, 자살시도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보이고, 대부분이 수치심이나 죄책감으로 괴로워하였다. 따라서 여성 알코올 사용 장애자에게는 정신심리적 간호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특히 대상자의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자살을 예방하는 간호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대상자들의 약 1/3이 1년 이상의 단주경험이 있다는 것은 높은 재발률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지속적인 단주를 가능하게 하는 치료 프로그램, 단주 병식 증진에 초점을 둔 중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퇴원 후 추후 관리 프로그램도 보다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rinking related insight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alcohol use disorder to obtain useful data to develop a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for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3 wome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lcohol use disorder at 6 psychiatric hospitals located in two metropolitan cities and 3 province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005 to July 2006 and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bout a half of the subjects (51.2%) seemed to have the drinking related insights. It revealed that they had the highest insight in terms of seeking for hospitalization/treatment whereas the lowest insight for quit-drinking. It took an average of 11. 1 years to realize these women had drinking problems. Of the 43 women, 53. 5% had drinks 'alone,' and 58.1% 'at home.' To continue drinking, 83.7% had experience of hiding liquor bottles. Soju was the most favored liquor, 83.7%. They had drinks for an average of 4.2 days a week. The amount of drink each time was 2-3 bottles (41.9%) and continued for an average of 8.1 days once started drinking. 'Loneliness'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drinking (44.2%), then followed 'sadness and frustration' (41.9%), 'anger' (39.5%), 'suicidal attempt' (20.9%), and 'relation improvement try' (16.3%). Their family drinking history was traced and 55.8% had parents' drinking problems. As for the drinking related characteristics, 67.4% had psychiatric problems such as depression, despair, suicidal attempt, and physical problems of indigestion and temporary memory loss. The majority of them (88.4%) felt shame and guilt while drinking. One third of these women (32.6%) tried 'quit-drinking' over a year, 37.3%, less than a year, and 30.2% had no experience of 'quit-drinking.' To conclude from the above results, women with alcohol use disorder drink out of loneliness, sadness and frustration, anger, and suicidal attempt. Two thirds of them seemed to have psychiatric problems such as depression, despair, and suicidal attempt. Most of them agonized feeling shame and guilt. Accordingly, psychiatric nurs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se women with alcohol use disorder particularly to prevent suicide among them. A program to help them continuously quit drinking is in great demand as alcohol dependency is a highly recurrent phenomenon shown from the fact that one third of these women had experience of quit drinking over a year. The study showed that alcohol insight was relatively low and therefore, a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focused on the drinking related insight, after the discharge from the hospital should also be activated.

      • 직장암수술 후 변실금 환자에서 바이오피드백 치료 효과

        이영주 을지의과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직장암으로 저위전방절제술 후 변실금으로 인해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항문괄약근의 기능회복을 위한 바이오피드백 치료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실험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2002년 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외과에서 직장암으로 저위전방절제술(항문괄약근보존술)을 받은 환자 중 변실금으로 2005년 6월 1일부터 2006년 5월 30일까지 바이오피드백 치료를 받은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직장항문 내외괄약근 및 직장근에 의한 압력의 객관적인 결과뿐만 아니라 직장 항문 억제반사, 괄약근 길이, 대칭지수, 직장의 유순도 등 항문 직장생리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직장항문내압을 측정하였으며, 변실금 환자에게 실금의 빈도, 양상, 횟수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Jorge & Wexner(1993)가 고안한 변실금 지수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Version 12.0)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바이오피드백 치료 전·후 항문내압의 변화와 변실금 지수, 배변 빈도의 비교분석은 Wilcoxon signed-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항문내압은 최대 휴지기압이 치료 전 98.6mmHg에서 치료 후 123.2 mmHg(p=0.003), 평균 휴지기압이 치료 전 43.1mmHg에서 치료 후 53.1 mmHg(p=0.006), 최대 수축기압이 265.4mmHg에서 330.9mmHg (p=0.006)로 모두 증가하는 소견을 보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수축기압은 134.5mmHg에서 158.9mmHg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72). 2. 변실금 지수는 바이오피드백 치료 전(18.65점)보다 치료 후(8.00점)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3. 배변빈도는 바이오피드백 치료 전(14.3회/일)보다 치료 후(5.5회/일)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결론적으로 직장암 수술 후 변실금 환자에서 바이오피드백 치료는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위험요소가 거의 없이 변실금의 증상을 호전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 아로마테라피가 간호사의 생리통 및 월경 중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유진 을지의과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아로마테라피가 간호사의 생리통 및 월경 중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실생활에서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였으며, 연구대상자는 편의 모집하여 연구기준에 부합하고 연구에 동의한 자, 실험군 2군, 위약군 1군, 대조군 1군의 총 4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아로마 오일군 25명, 아로마 크림군 27명이었으며, 위약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각 군별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집단별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도구로 생리통 및 월경 중 불안정도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각적 상사척도(VAS; 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실험 처치에 사용한 아로마테라피 에센셜 오일은 로즈엡솔루트, 로즈오또, 클라리세이지, 로즈제라늄, 진저를 블렌딩하여 캐리어 오일에 3%로 희석하여 아로마 오일과 크림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였고, 위약군은 캐리어 오일인 아몬드 오일만을 사용하였다. 아로마테라피는 복부 마사지법으로 적용하고, 연구자가 나눠준 유인물을 참고하여 월경 1일과 월경 2일에 자가 복부 마사지를 하였다. 아로마 오일군은 오일형태로 마사지를 적용하였고, 아로마 크림군은 크림형태로 마사지를 적용하였다. 위약군은 캐리어오일 만으로 마사지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네 집단 모두에게 실험처치 전, 실험처치 후 5분, 실험처치 후 60분, 실험처치 후 24시간의 생리통과 월경 중 불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월경관련 특성, 실험처치 전 생리통, 실험처치 전 월경 중 불안은 ANOVA로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처치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생리통, 월경 중 불안은 ANOVA로 분석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후 집단 분석은 등분산 가정 시 Dunnett test, 이분산 가정 시 Tamhane test로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월경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네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실험처치 전 생리통 및 월경 중 불안정도에서도 네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 아로마테라피를 실시한 아로마 오일군, 아로마 크림군, 위약군, 대조군의 생리통은 실험처치 후 5분(p<.001), 60분(p<.001) 및 24시간( 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 중 아로마 오일군과 아로마 크림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함으로써 생리통 완화에 효과적이었다(p<.01). 아로마테라피를 실시한 아로마 오일군, 아로마 크림군, 위약군, 대조군의 월경 중 불안은 실험처치 후 60분(p=.009), 24시간(p=.006)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 중 아로마 크림군은 실험처치 후 60분에서, 아로마 오일군은 실험처치 후 60분과 실험처치 후 24시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함으로써 월경 중 불안 완화에 효과적이었다(p<.01). 결론적으로 아로마테라피는 간호사의 생리통 완화에 매우 효과적이었고, 월경 중 불안 완화에는 부분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생리통 완화에 아로마 오일과 크림군은 비슷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크림을 이용한 생리통 완화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o control the menstrual pain is a chief concern to caregiver and nurses. Many medical and/or alternative treatment have been applied for relieving the menstrual pain. One of the treatment is aromatherap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the menstrual pain and anxiety of menstrual period for nurse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urses complaining menstrual pain were recruited by E-hospital in Daejeon. The subjects were nurses who were over 5 in menstrual pain by VAS, having no medical, gynecological or psychiatric problem, and agreeing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purposes, procedure, benefits and risks involved in the study were explained to these subjects. 82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ing of 25 in the aroma -oil group, 27 in the aroma-cream group, 15 in the placebo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the aromatherapy, which applied aroma-oil or aroma-cream on the abdomen by herself in first and second menstrual day. The placebo treatment was the application of carrier oil on the abdomen as a same method with experimental group. The self massage took 10 minutes. In this study, the essential oils were blending with Rose absolute, Rose otto, Clarysage, Rose geranium and Ginger. The blending oil was diluted by carrier oil, mixed almond oil, jojoba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Also the same blending oil was diluted by cream base. The placebo used almond oil. To test the homogeneity, age, height, weight, first menstrual age, menstrual duration, menstrual period, menstrual pain and anxiety were measured before starting the experimental, placebo treatment. To evaluate the effect of aromatherapy, the menstrual pain score was measured by VAS(visual analog scale) and the anxiety was measured by VAS(visual analog scale). The subjects in four group checked the menstrual pain and the anxiety before treatment, post 5 minute, 60 minute, 24 hour after treatment. To evaluate the effect of aromatherapy, the menstrual pain score was measured by VAS(visual analog scale) sore and the anxiety was measured by VAS(visual analog scale) so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 ANOVA, Dunnett-test, Tamhane-test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were homogeneous in height, weight, menarche, menstrual characteristics, menstrual pain and anxiety during menstruation. The menstrual pain by VA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roma-oil, aroma-cream group than placebo, control group in 5minute (F=9.20, p<.001), 60 minute (F=24.73, p<.001), and 24 hour (F=10.26, p<.001) after treatment. The anxiety by VA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roma-oil, aroma-cream group than placebo, control group. in 60 minute (F=4.12, p=.009) and 24 houre (F=4.46, p=.006) after treatmen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romatherapy using Rose absolute, Rose otto, Clary sage, Rose geranium, Ginger could be effective in lowering the menstrual pain for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