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터 교회 사역 유형별 영성 성숙도 연구 : 일터 신학의 관점에서

        김동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논문의 주제는 [일터교회 사역 유형별 영성 성숙도 연구]이며, 부주제는 [일터 신학의관점에서]이다. 이에 대한 이슈로서, 오늘의 ‘기독교 신앙’(Christian Faith)과 ‘노동의 관계’(Labor Relations)를 규명하는데 많은 관심을 쏟아왔다. 그 시기가 종교개혁 후부터 본격적이라는 것은 점차 그 진실이 그리스도인의 삶의 현장에서 규명되기 시작했다. 현대 개혁주의 신학을 대변하는 신학자나 칼빈주의와 개혁교회의 전통에서 ‘하나님의 부르심’(God‘s Calling)이라는 일-노동의 또 다른 측면을 연구하고 있다. 즉 개혁적인 시각에서 노동의 목적은 하나님을 높이고 인류를 번성케 하는 문화를 창출(創出)하는 것을 성 경에서 명하는 교훈으로 받아들인다. 철학적인 지식의 발판은 노동의 가치에 대하여 기성적이고 단번에 깨뜨릴 수 없는 판도(版圖)와 같이 일에 대한 천박함을 대변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성경의 교훈은 기독교의 일-노동‘에 대한 철학적 진리에 정반대로 다가서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일-노동‘이라는 영역이 우리의 삶과 일터 속에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가를 성경적, 신학적 그리고 영적인 잣대로 연구하여 일터 교회와 관계된 이슈를 목적대로 연구하여 실천 방안과 방향 제시를 내놓는다.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identifying today's Christian Faith and Labor Relations. That the period is in full swing after the Reformation gradually, the truth began to be clarified in the field of Christian life. It’s studying another aspect of work-labor of God's Calling in the tradition of theologians and Calvinism and the Reformed Church with Representing Modern Reformed Theology.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reformative view of labor is take it as a lesson from the Bible to create a culture that enhances God and promotes the flourishing of mankind. The foundation of philosophical knowledge is speak for the vulgarity of work as an established and unbreakable platform for the value of labor. On the contrary, the Bible says, It is approaching the opposite of the philosophical truth about Christianity's "Work-Labor”. So a dissertator how can the area of "Work-Labor" be integrated into our lives and workplaces? It has been studied by theological, biblical and the spiritual yardstick. The title of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pirituality Maturity by the Types of Workplace Church“, And Subtitles are ”From the Standpoint of Workplace Theology“, by study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workplace of the paper as a goal. To present practical measures and directions.

      •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의 학문성 분석 : 종교론을 중심으로

        진성철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chleiermacher’s academic characteristic and academic methods, and to evaluate his theology through his major work, On Religion: 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 (1799).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the Enlightenment finds its roots in reason.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practical philosophy of Immanuel Kant is rooted in the praxis-moral. In On Religion, Schleiermacher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the methods, that is the reason rooted in the Enlightenment and the praxis-moral by Kant. In his opinion, on the premise that religion is to approach the Infinite, he suggests that only a single method such as reason or practice alone cannot approach the Infinite. Therefore, to discuss religion, he states that his academic characteristic is based on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not an independent method such as enlightenment according to Kant. Hence, his method is assessed as the best humanistic approach, inherited from the Enlightenment, because it not only overcame the limitation of reason or practice, but also included even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ctice. Schleiermacher’s academic methods consist of religious intuition (Anschauung) and religious feeling (Gefühl). He says that religious intuition and religious feeling are inseparable. Religious feeling does not exist alone and is dependent on religious intuition, and intuition is based on human nature and does not deny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xis-moral. Rather, because religious intuition comes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 or 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it includes methods of reason or practice. Hence, his academic methods, intuition and feeling, come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and include all of the Enlightenment methods and Kant’s method. Regarding Schleiermacher’s theology, it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enlightenment theology and its groundwork is not revelation but human nature. In On Religion, he defined the Bible not as the Word of God and special revelation, but as document reflecting the fruit of human nature and the age. Hence, he argued that the Bible is not an invaluable record for those who do not develop human nature. This is understandable that he inherited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Bible. However, a difference is the standard of biblical understanding that is not rooted in the reason of the Enlightenment, but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Regarding Christology, Schleiermacher identified Christ not as God but as a perfect human being having God-consciousness (Gottesbewußtse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od-consciousness, Christ was able to be an intercessor and was approved as God’s son. In addition, by defining Christ’s intercession as an awakening of an incomplete human nature, he excluded redemptive work from Christ’s work. Hence, his Christology is located in the flow of the historical Jesus studies and it reveals that the standard of judgment about Christ shifted from human reason to human nature. In conclusion, how can Schleiermacher’s approach of human nature contribute to Reformed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Reformed theology viewed religion as “the right manner of knowing and serving the true God” which consists of objective religion and subjective religion. In particular, given that subjective religion is a response of a man who was changed by the Holy Spirit, Schleiermacher’s concept of human nature is not appropriate. From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human nature is totally depraved, corrupt and not dependent upon God’s revelation. However, we can partly accept his suggestions of the human nature approach, including practice and reason, under the premise of human nature changed by the Holy Spirit. It is appropriate for theologians to seek for a viewpoint not only depending on practice and reason but hav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s approach to God. 본 논문은 종교론을 통해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성과 그 수단을 연구하고,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그의 신학을 진단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계몽주의의 학문성은 이성에 근거하고, 칸트의 실천철학의 학문성은 실천-도덕-에 근거한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이성과 실천의 방법의 한계를 지적한다. 종교는 무한자에게 나아가는 것인데,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만으로는 무한자에게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종교를 논의할 수 있는 것은 이성, 실천의 개별적인 수단이 아닌,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근거해야 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방법은 그의 학문성이 이성이나 실천의 한계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이성과 실천의 방법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서, 계몽주의의 방법을 계승하는 ‘인본주의적인 수단’의 최고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은 종교적 ‘직관(Anschauung)’과 종교적 ‘감정(Gefühl)’이다. 그는 먼저 종교적 ‘직관’과 종교적 ‘감정’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종교적 ‘감정’은 홀로 존재할 수 없으며, 그것은 ‘직관’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직관’은 인간 내면의 ‘인간성(Menschheit)’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계몽주의의 ‘이성’이나 칸트의 ‘도덕-실천-’의 방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종교적 ‘직관’은 이성, 실천-도덕-,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全人)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이성적 수단이나 실천적 수단을 모두 수용한다. 따라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인 직관(Anschauung)과 감정(Gefühl)은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계몽주의와 칸트의 방법론들을 모두 포괄하는 수단인 것이다. 종교론에서의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은 계몽주의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계시가 아니라 인간성(Menschheit)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성경이 특별계시인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종교에 대한 단순한 기록이면서, 인간성의 산물이고, 시대를 반영한 단순한 기록에 불과한 것이라고 정리한다. 따라서 그는 인간성을 꽃피우지 못하는 사람에게, 성경은 가치없는 ‘기록물’에 불과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는 계몽주의의 성경관을 계승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경관에 있어서 그가 계몽주의와 다른 점은, 성경이해의 잣대를 계몽주의의 인간 ‘이성’이 아니라, ‘이성’을 포함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둔다는 점이다. 종교론에서 슐라이어마허는 그리스도를 하나님(神)이 아니라, 신의식(Gottesbewußtsein)을 가진 완전한 인간으로 규정하고, 그리스도가 신의식의 능력으로 중보자(Mittler)가 될 수 있었으며,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을 불완전한 ‘인간성(Menschheit)’을 일깨우는 사역이라고 규정함으로서,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속죄를 제외시켰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기독론은 ‘역사적 예수 연구’의 흐름 속에 있는 것이면서, 그리스도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인간의 ‘이성’에서 ‘인간성’으로 옮겨놓은 특징을 잘 보여준다.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Menschheit)’의 수단이 21세기 개혁교회에 공헌할 수 있는가? 개혁신학의 통례를 따라 ‘하나님을 알고 예배하는 올바른 방법’인 ‘종교’를 분류하면,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객관적 종교’와, 계시에 대한 인간의 반응으로서의 ‘주관적 종교’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관적 종교는 성령에 의해서 변화된 사람의 ‘계시에 의존적인 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슐라이어마허의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법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의 인간성은 전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해버린 것이며, 하나님의 계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슐라이어마허가 제안한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을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식은, 성령에 의하여 변화된 인간 ‘성품’을 전제로 하는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학하는 자가 ‘이성’이나 ‘실천-행위-’적인 방법들에만 의존하기보다, 하나님의 은혜로 변화된 전인(全人)으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이 마땅한 것이기 때문이다.

      • 도시교회 노인문제와 노인영성 증진을 위한 목회 연구

        김남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n expanded ministry for the elderly spirituality and the elderly spirituality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modern urban church, and to present a solution. Therefore, this writer attempted to solve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but also the problems for spiritual promotion in terms of pastoral research. Chapter 1, as an Introduction,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its purpose, its method, and previous researches. Chapter 2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the city, the aging of urban churches, conflicts, and healing.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ity, the definition of the city was considered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ity and the academic perspective of the city. Furthermore this chapter dealt with the theological, historic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city, and recorded a description of Korean cultural changes. Additionally, the aging problem of urban churches mentioned the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church,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changes in aging, conflicts, and healing. In the modern society, the aging problem is the core of this era, and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come an uncontrollable trend. Korea is already on the verge of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which is reflected in increased demand of welfare. Furthermore, the induction of mental illness is increasing and it is also a hotbed of crimes because of the centralization of the urban population. This situation is also affecting urban churches. Chapter 3 deals with general understanding, theological,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s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elderly. In addition, for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old age,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soci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gender issues of the elderly were dealt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re physiological changes with aging. Aging occurs not only at the changes in the physical appearance or sensory function of the elderly, but at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level. Human cognitive function is a perceptual ability, which includes intelligence, memory, thinking and learning ability, creativity and wisdom. In addition, lif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personality type and role activities. Chapter 4 studies ‘Christian spirituality and the spirituality of the elderly people in churches.’ Christian spirituality should be responsible for providing answers to the contradictory human lives. In other words, this chapter solved the problem by establishing specific responses to the practical problems of the elderly as spirituality. Christian spirituality is ‘social, relational, and communal spirituality,’ and ‘practical spirituality’ that prepares for an era of South-North unification and responds to the problems of the elderly. And ‘integrated spirituality’ encompassing various contents is the core of ‘Christian spirituality’ that heals the bad problems of an aging society. Therefore, the writer discuss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irituality, as well as the biblical spirituality and the theological spirituality. In addition, he described the goals and objectives of spirituality, and its processes. He also studied how spirituality was developed and trained from a historical view of spirituality. And the stages of spiritual development and maturity were illuminated through the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scholars. Chapter 5 first attempted to encourage life through the models of spirituality by studying two people each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e “models for the promoting spirituality of the old people” in the Bible. For spiritual training to “promote elderly spirituality,” we studied “prayer training, biblical training, and spiritual discerning training,” and studied practical life in old age in “Pastoral Research to Promote elderly spirituality,” and tried to summarize this study at the end of the thesis in relation with “an pastoral care” to promote elderly spirituality. The representative problems of an aging society are poverty (economy), disease (health), and isolation (sex), and among them, the sex problem of the elderly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old age. Therefore, the writer first presented general guidelines for sexual counseling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his thesis introduced 12 false myths on sexual counseling for the elderly widowers suggested by Block & Bacos through a survey. Thus, this thesis tried to present senile counseling method while checking the counselor’s own worldview, feminism, and patriarchism. Chapter 6 concludes the “A Study on the Problems of the Elderly and the Development of Spirituality in the Elderly in Urban Churches” by presenting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ers as conclusion and proposal. 본 논문은 현대도시교회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노인문제(老人問題)와 노인영성증진 (老人靈性增進)을 위한 확장된 목회 사역을 수립하여 이에 대응하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연 구이다. 따라서 노인의 특성(特性)뿐만 아니라 영성증진문제(靈性增進問題)를 목회 연구 측 면에서 해결하고자 했다.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서 연구의 배경과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선행연구 등을 서술 했다. 제2장에서는 도시에 대한 이해와 도시교회의 고령화 및 갈등과 치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시의 이해는 도시의 일반적 이해와 도시의 학문적 관점에서 도시의 정의를 생각해 보았 다. 나아가서 도시의 신학적 이해, 역사적 이해, 문화적인 이해를 다루었으며, 한국의 문화 변천에 관한 서술도 기록했다. 그리고 도시교회의 고령화 문제는 교회의 신학적인 의미를 비롯하여 고령화의 특징과 고령화의 변화와 갈등과 치유를 언급했다. 현대 사회에서 고령화 문제는 이 시대의 핵이며, 노인 인구의 팽창은 억제할 수 없는 대 세(大勢)가 되었다. 한국은 이미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이는 복지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신질환 유발도 증가 추세이며, 도시인구 집중화로 인한 범 죄의 온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은 도시교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제3장에서는 노인의 특성과 문제에 대한 연구로서, 노인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신학적 인 이해, 심리학적인 이해를 다루었다. 그리고 노년기의 특성과 문제점에 대해서는 신체적 인 특성과 문제, 심리적인 특성과 문제, 사회적인 특성과 문제, 노인의 성(性 Sex)문제를 다루었다. 신체적 특성과 문제는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이다. 노인의 정서와 성격변화의 특성으로 노화현상은 육체적인 외모상의 변화나 감각기능 변화뿐만 아니라 심리적이고 정 신적인 차원에서도 일어난다. 인간의 인지적 기능은 지각능력으로 지능과 기억, 사고와 학 습능력, 창의성과 지혜 등이 포함되며, 인지적 변화는 지각능력의 변화이다. 또한, 성격유형 과 역할 활동은 생활의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제4장에서는 ‘기독교 영성과 노인의 영성’을 알아보았다. 기독교 영성은 인간의 모순적 인 삶에 해답을 줄 책임이 있다. 즉 노인의 현실적 문제들에 대한 구체적인 응답을 영성으 로 자리매김하며 문제를 풀었다. 기독교 영성은 ‘사회적인, 관계적인, 공동체적인’ 영성이 며, 통일 시대를 준비하고, 노인 문제에 응답하는 ‘실천적인 영성’인 것이다. 그리고 모든 것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영성’이 바로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들을 치유하는 ‘기독교 영성’의 핵심인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기독교 영성의 정의와 특징을 말했으며, 성서에서의 영 성 이해와 신학적 관점에서의 영성 이해를 논했다. 나아가서 영성의 목표와 목적, 그리고 영성의 과정들을 서술했다. 또한, 영성의 역사적 이해를 통해서 영성이 어떻게 발전되고 훈 련되어 졌는지를 기술했다. 그리고 영성발달단계, 성숙단계를 학자들의 발달 단계를 통해서 조명해 보았다. 제5장에서는 먼저, 성서 속의 ‘노인영성증진(老人靈性增進)을 위한 모델’을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에서 각각 두 명씩을 연구함으로써 영성의 모델을 통한 삶을 격려했다. ‘노인영성 증진’을 위한 영성훈련을 위해 ‘기도훈련, 말씀훈련, 영분별훈련’에 대해 연구했고, ‘노인영 성증진을 위한 목회 연구’에서 실질적인 노년기 삶을 연구했으며, 노인영성증진을 위한 ‘목 회적인 돌봄’으로써 논문의 마지막을 장식하려고 했다. 고령사회의 대표적인 문제는 빈곤 (경제), 질병(건강), 고립(性, sex)이며, 그중에서 노인의 성(性)문제는 가장 심각한 노년기 문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먼저 노인 성(性)상담을 위한 일반적 지침을 제시 했다. 또한 무(無)배우자 노인 성(性)상담에 대한 블록과 베이코스(Block & Bacos)가 설문 조사를 통해 제시한 잘못된 신화(myth 神話) 12가지를 소개했다. 그리하여 상담자 자신의 세계관·여성차별주의·가부장 주의를 점검하면서 노인성상담을 제시하고자 했다. 제6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으로, 연구의 결과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자를 위한 제언 을 제시하며 ‘도시교회 노인문제와 노인영성증진을 위한 목회 연구’를 마쳤다.

      • 초기 경건주의의 신학에 대한 분석

        오도휘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경건주의의 본질이 무엇이며, 그 신학 사상들을 살피면서 경건주의가 끼친 영향들에 관한 연구이다. 당시의 상황과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 중심요소들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그들의 실천적 모습을 살펴보면서 비판과 긍정적 부분에 대한 오늘날의 잘못된 오해들에 대해 성경에 근거하여 재평가하고자 한다. 우리들의 이미지 속에 경건주의라 하면, 엄숙하고 거룩한 모습을 연상하면서 곧 융통성 없는 근본주의자들을 떠올리게 된다. 그런데는 나름대로 이유는 있다. 17세기 일어난 경건주의 운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너무도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그 범위가 넓어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신비주의적인 영향과 흐름이 함께 있었기에 더욱 그 본질이 흐려졌을 것이다. 따라서 너무도 다양한 성격과 종파들, 시대적 상황과 지향하는 성격의 차이로 자칫 혼란을 일으킬 수가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경건주의의 역사적 기원이 되는 17세기와 그 운동의 중심에 있는 스페너를 중심으로 그 본질을 다룰 것이다. 먼저 서론에서 논문의 의의와 목적과 그 연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오늘 한국교회의 침체의 위기를 바라보면서, 교회의 개혁과 부흥을 언급할 때 독일에서 일어난 경건주의를 논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경건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이유는 경건주의가 여러 다양한 운동으로 발전되기 전 그 본질을 정확히 알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경건의 개념은 그 성격상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경건이 없는 곳에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없다고 말한 칼빈을 기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역사적 배경을 놓쳐서도 안 될 것이다. 제3장에서는 경건주의의 설립자 스페너와 그의 저서 「경건한 열망」(Pia Desideria) 에 대해 분석하면서 경건주의 운동은 소그룹의 성경공부를 통한 평신도 운동과 성직자의 설교의 갱신과 신학교의 새로운 신학교육으로 신학적으로 정립된 종교개혁을 실천으로 완성하며, 초대교회로 돌아가려는, 즉 교회갱신을 위한 기획서로 그 성격을 평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4장에서 신학적 사상을 분석하면서 5장에서 경건주의에 대한 비판과 긍정적인 평가와 결론을 통해 당시 참된 살아있는 믿음이 없어 비참한 타락의 극치 상태의 교회에 빛을 비추었듯이 오늘 침체된 한국 교회의 원인이 신앙과 삶의 이분화에 있다는 진단에 긍정한다면 초기 경건주의에서 그 교훈을 얻고, 17세기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난 운동이지만 그것은 우연적 발생이 아니라 하나님의 특별한 섭리임을 발견하며 18세기를 거처 오늘 한국교회와 미래까지도 계속 흐르고 있는 영적 흐름임을 인식해야 할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 "What is the essence of Pietism?", "What are its theological thoughts?" and What are the influences Pietism in 17C.?" These Questions 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analyzes and evaluates of its circumstance in those time and the theological essential elements and looking into their practical state, we want to revalue the today’s misunderstanding of Pietism. And my revalue is based on Bible, According to our image on Pietism, we think of solemn and holy pictures and it occur to us unadaptable fundamentalist. Because there is reason in its own way; it is because its range became widen with evolving in a full of variety as Pietism occurred 17C passes. In addition to its essence would be even more vague because Mysticism?influence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deals with the essence based on 17C which is historical origin of Pietism and Spener who is center of its movement. Because of so many diversified characters, sectarianisms and the difference of its era’s circumstance and aiming character may throw into confusion. At first, the significance,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will be brought up at the introduction. By the crisis of today’s of Korean church, if reformation and revival church is mentioned,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necessity of discussing Pietism in Germany. At 2^(nd) chapter, the definition on Piety. The concept of Piety on this study is so characteristically important. We need keep in memory of Calvin who mentioned that there were no the knowledge of understanding God at the place without Piety. And we should not miss its historical background. At the 3^(rd) chapter, the analyzing of Spener's Life who ist founder of Pietism and "Pia Desideria"(written by Spener). We will evaluate the character as a planning paper that completes with practicing religious reformation defined theologically, and render returning to the first generation ? church with following understanding; Pietism is the lay believer movement through small group ? Bible study, renewal of minister’s preaching and new theology education of theological school. With analyzing of his theological thought at the 4th chapter. Through the criticism, affirmative evaluation and conclusion of Pietism will be written at the 5th chapter. The diagnosis of today’s church stagnation is caused by dichotomy of belief and living as if it shines on church of state of zenith of misery depravity due to no living faith in those day. We can learn a lesson from the Early Pietism, and find extraordinary economy of God even through it occurred in centering around Germany of 17C. It is sure that there is the providence of Holy Spirit in the 17C church history. And in present situation of Korea church and future it is very important too.

      • 聖書朝鮮의 主祈禱의 硏究에 나타난 김교신의 신학연구

        김훈경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김교신에 관한 역사신학적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聖書朝鮮」중에서 성경연구 관련하여 심도 있게 정리한 ‘主祈禱의 硏究’라는 내용에 관한 개혁 신학적 분석과 정리이다. 이를 통하여 김교신의 신학과 그 배경 그리고 그 내용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다루는 것이다. 기존의 김교신 관련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그의 신학에 대한 관심보다는 일본인 스승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와의 연관성 곧 무교회주의와 조선적 적용이라든가 아니면 조선적 기독교로 대표되는 기독교의 조선토착화를 중심적으로 논하고 있거나 또는 민족주의 교육자로써의 교육에 관련 연구였으나 최근에서야 김교신의 신앙연구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김교신의 활동과 삶을 볼 때 이러한 연구들이 가능하겠지만, 본 연구는 김교신의 신학과 그 내용을 연구함으로서 그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에 한 측면을 감당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내용은 김교신이 「聖書朝鮮」에서 추구한 신학은 종교개혁 전통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밝히는데, 구체적으로 루터의 신학적 고민과 틀에 기초한 개신교(Protestantism)라는 점이다. 이는 김교신 당대 일반교회에서 그와 그의 활동에 대하여 무교회주의라고 비판할 때, 이에 대해 김교신은 변론하면서 무교회주의를 정의하고 있다. 그것은 로마 가톨릭교회를 반대한 루터의 신학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에 따라서 교회를 바르세 세워가려는 노력과 활동인데, 이를 루터 당시에는 저항(Protest)이라고 표현된 것이다. 이처럼 일제 강점기의 상황 속에서 당시 교회가 멍들고 혼란에 있을 때 사람이나 조직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성경에 따라 교회를 세워나가려는 노력으로 즉 보편교회를 강조하는 의미에서 무교회주의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는 교회가 필요 없다거나 지상의 교회가 무의미함을 강조하는 것이 아님은 그의 스승 우치무라의 신학에서도 잘 드러난다. 우치무라는 자신의 신학이 루터에게 큰 영향력을 받았다고 밝히며, 그의 교회론 역시 철저한 성경의 진리에 기초한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의 결과였음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김교신 스스로가 밝힌 「聖書朝鮮」의 주요목적은 성경의 본문연구와 주해(註解)였다. 즉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성경본문을 정확히 해석하고 이를 통해 조선인의 삶에 적용하여 조선을 살리고자 하는 노력과 열정의 산물인 것이다. 이것은 루터가 게르만민족에게 독일어 성경을 통해 민족을 깨웠던 것처럼 김교신 역시 루터의 길을 따라 조선에게 바른 번역의 성경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전체적으로 김교신은 루터처럼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의 신앙과 신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그의 신학배경을 정리하면 루터와 칼뱅, 벵겔, 고데 등으로 연결되는 개혁주의적인 복음주의 신학이 밑바탕에 깔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bout historical theology study of Kim Kyo Shin. Specifically, his「Sungsuh-Chosun」 in relation to biblical studies in depth of the “Lord''s Prayer” appeared in studies. This Kim Kyo Shin theology, background and the content will be dealt comprehensively. Most of the Kim Kyo Shin was about relationship about his teacher Uchimura Kanzō (内村鑑三) or the non-church movement. rather than his theology. In this study, the overall content is revealing what theology Kim Kyo Shin is pursuing from the「Sungsuh-Chosun」began from the Reformed tradition. In the time of Kim Kyo Shin while general church criticized Kim Kyo Shin and his activities about non-church movement, Kim Kyo Shin defence and defined the non-church movement.It is that Luther ‘s theology opposed Roman catholicism, which is efforts and activities to stand church right according to “sola scriptura” It was expressed as resistance Protest in the age of Luther.Uchimura revealed that his theology was influenced by Luther so his ecclesiology which is based on biblical truth speak his mind of essence of church through agony and self-examination.Kim Kyo Shin, by himself said that the purpose of「Sungsuh-Chosun」is interpret bible text and annot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ranslating the body of bible perfectly which is the revelation of God’s word was to apply to the live of Chosun, and it was the result of effort and passion.Kim Kyo Shin work hard to give a right bible of Choson like Luther. gave german bible to the germanic race to wake them up.Therefore, if you cleaned up his theological background, Luther and Calvin, connected to the reform such as the idealistic to evangelical theology.

      • 개혁신학으로 재구성한 정신분석적 인간이해모델 연구 : 정신분석전통의 본성, 자기, 대상관계개념을 중심으로

        노승수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개혁신학의 인간이해에 근거해서, 정신분석전통의 여러 이론들에 나타난 임상적 인간이해를 재구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독교상담의 실제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간이해모델을 개발하고, 임상장면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핵심감정(nuclear feeling)의 종류를 개략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성경과 신학이 말하는 인간에 대한 다양한 논점들이 있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어거스틴(Augustine)이 말하는 인간본성과 자유의 4가지 상태들 중에 우리가 현실에서 만나는 죄를 짓지 않을 수 없는(not able not to sin) 구도자의 상태와 거듭나서 죄를 짓지 않을 수도 있는(able not to sin) 중생자의 상태를 중심으로 인간이해모델을 논했다. 이는 목회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모두 상담으로 신앙과 삶을 증진하는 도구가 되도록 하는 목적을 지녔다. 또한 본 연구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3가지 주제, 곧 관계성, 본성, 주체를 중심으로 정신분석전통의 여러 이론들을 신학적으로 재구성했다. 이를 기초로 기독교상담의 현장에서 인간에 대한 실제적 이해와 기독교만의 독특한 상담모델을 구현해보려고 했다. 상담자의 치료 과정을 통해, 구도자 개인이 느끼는 핵심감정의 문제와 현실적응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복음전도의 기회와 방편을 상담을 통해 구현하려고 노력했다. 더 나아가서 중생자의 성화를 촉진하고 영적 질병의 치료과정으로 개혁신학적인 기독교상담에서 치료개입모델을 개발했다. 이동식의 상담모델을 개혁신학의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사도신경과 기독교 강요의 구조를 따라 재구성을 한 치료개입모델을 제시했다. 핵심감정은 두 축, 곧 양육자(Key figure)의 태도와 내담자의 자극-반응 기제라는 축을 중심으로 여러 종류의 핵심감정을 제시하려고 시도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치료개입에서 상담의 시종일관 핵심감정이 다뤄지기 때문이며, 특히 첫 면접 때, 핵심감정과 역동 진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실제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감정의 패턴을 연구자의 임상 경험들과 사례를 통해서 제시하려고 노력했다. 이 노력은 기독교 신앙에 관심이 있거나 기독교 신앙 안에 있으면서 고통 받는 내담자들이 영적 질병과 갈등에서 벗어나 진정한 신앙적 자유와 삶의 행복을 누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실천적 연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an clinical understanding of humanness displayed by various psychoanalytic traditions, and on the basis of that reconstruct, to try to develop and use a useful Christian counseling on based a Reformed Theology for concrete situations and to sort out the kinds of nuclear feeling which can be useful to counseling situations. There are various viewpoints on the humanness which the Scriptures and theologies might tell. I chose to discuss the human understanding model of humanness on the basis of Augustinian view on human nature and the four status, especially the seeker's status of ‘not able to sin' and the born-again status of ‘able not to sin.' It is because we usually meet these two groups of peoples in real counseling situations and we are trying to help these get out of their sickness and struggles into the situations of enjoying the true spiritual freedom and the happiness of life. Next aim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ologically the various theories of psychoanalyses focused on the three main subjects, relationships, human natures, human subjectivity, trying to reconstruct a re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humans and a unique Christian counseling model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try to make clear seeker-counselee's nuclear feelings that a seeker feels subjectively in oneself and to make ways of recovering one's resiliency to life, so as to make use of the opportunities to evangelism. Furthermore, We try to help born-again believers to advance the stages of sanctification, solve the issues of sins, guilts, and spiritual sicknesses. We try to develop a Christian healing model on the basis of a Reformed theology. We suggest a therapeutic intervention model based on Dong Sik Lee's counseling model and according to the structures of the Apostles' Creed and Calvins' Institutes. We try to typify the nuclear feelings through two axis; one is the attitudes of parents as key figures, the other the stimulation-responses. With the first interview we should diagnosis one's nuclear feelings and dynamics; if not, the benefits of the therapy can not be accomplished. So establishing the types of two axes are very important. The whole process of counseling deals with the issue of nuclear feelings. We have tried to suggest the patterns of feelings by ways of our clinical experiences and the real cases we have met. This study is a practical study for the counselees who are in the Christian faith to have and enjoy the spiritual freedom and the live happiness out of spiritual sickness and struggles.

      • 곤잘레스의 역사서술에 관한 분석

        고철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교회사 서술이란 신학의 한 분과로서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담고 있다. 왜냐하면 교회사 서술 방식은 인간중심의 보이는 역사만을 서술하거나 모든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역사하심과 역사의 개입을 더욱 중요하게 살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교회사는 역사신학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즉 기독교의 역사이해는 역사철학이라기보다는 역사신앙에 더 가까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학문이 가지는 객관성을 외면하지 않으면서 보이지 않는 역사와 그 흐름에 관하여서도 외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자세로 요구된다. 특히 역사이해 역시 신학적 입장이라고 할 때에 개혁주의적인 안목을 가진다고 하는 표현은 성경이 강조된다는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 안목 속에서는 단지 성경을 인용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경의 사상과 가르침을 인정하면서 교회사를 서술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교회사에 관한 많고 다양한 서술들을 보면 객관적인 자료들은 풍성하게 제시하였으나, 성경이나 성경의 가르침과는 상관없이 단순히 교회의 흐름이나 활동을 정리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이러한 역사서술을 어떻게 보고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 그 대표적으로 한국교회와 신학교에서 많이 사용되는 곤잘레스의 교회사 기록방법에 대한 분석과 그 신학적 전제 그리고 그 신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곤잘레스 자신만의 독특한 신학적 분류인 A, B, C 유형과 그 역사관을 분석함으로 그가 왜 유형 C를 현대적 대안의 신학으로 제시하게 되는가를 살피게 될 것이다. 즉 곤잘레스의 역사서술 방법은 성경에 근거한 것이라기보다는 자기 전제에 입각한 실용주의적 해석을 담고 있으며, 개혁주의적인 사고와는 차이가 난다. 그러나 그의 역사서술은 대중적인 교회사 서술이기에 신학적인 고민을 담아보았다.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contains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which is a part of theology. The method of the description is not confined to man-oriented, visible history. It is also to examine seriously the work of God in the process of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Church history is regarded as a part of theology, and called as the theology of history. In Christianity,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s closer to the faith of history than the philosophy of history. We should, however, not underestimate academic objectivity as well as invisible history and its process.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s the subject of theology. To have Reformed insight means to emphasize Biblical teaching. But it does not mean to simply quote passages from the Bible. What the Reformed insight require is to write Church history with the recognition of the Biblical ideas and teaching. Many studies on Church history have presented plenty of objective historical resources. But most of them have only explained the process of Church history and activities of Church without the recognition of the Biblical ideas and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 to how to see and estimate this kind of the description of history. Gonzalez and his historical description which is familiar to Korean Church and Seminaries, are the main thesis in this study. This study analyses the method that he took for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and estimates his theology and it's basis. Especially his historical view and his unique the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ontains type A, type B, and type C, are analys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analysis, the reason why he presented type C as an alternative theology, could be explained. In conclusion, his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depends on pragmatic interpretation, rather than biblical interpretation. In fact, his historical description is not based on Reformed theology. However,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his description, the method that he took for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has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 개혁주의 신학에 나타난 세례관 연구

        강보형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교회의 표지 가운데 하나인 세례에 관한 연구이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말씀의 보이는 표인 성례, 그 가운데 하나인 세례를 음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성례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세례에 대한 분석에는 의식에 관한 고찰과 성경적 근거의 분석 외에도 다양한 신학적인 논의가 있을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세례의 기원에 관한 논의는 신학적인 사고와 교회사적인 연구에 가장 밀접한 주제이다. 또한 20세기에 있었던 칼 바르트의 세례 논쟁으로 이 주제는 다시금 뜨거워진 부분이기에 먼저 신학적으로 분명하게 정리될 필요성을 느낀다. 기독교는 역사적인 종교이며, 이 역사는 인간들의 활동과 작업들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인도하시고 이끌어 오신 역사이다. 따라서 역사 속에 간섭하시고 남겨 놓은 역사신학적 자료를 통하여서도 세례에 관하여 정리한다면 세례에 관한 통일성과 동시에 다양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한국교회의 신학적 발전과 교회의 양육을 위하여 벨직신앙고백서를 중심으로 종교개혁자들이 역사 속에서 남긴 자료들을 살피게 된다. 개혁주의적인 세례관의 핵심은 인간들의 다양한 이론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성경에 기초한 정리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통일성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것은 성경이 강조하고, 종교개혁자들이 다시 한 번 확인시키며, 더 나아가 그 유산을 받은 교회의 스승들이 분명히 밝힌 바와 같이 하나님의 언약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상의 교회가 지속하는 동안 교회의 표지인 세례는 계속될 것이며, 교회가 확장되는 모든 곳에서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의 하나님의 이름으로 교회는 세례를 베풀 것이다. 그 세례를 의식적으로도 분명한 의미를 전하며, 본질적인 뜻을 밝히며, 동시에 복음을 선포하는 예식 곧 보이는 말씀으로 기능을 더욱 분명히 하는 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research of baptism in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We need to delineate about sacraments in order to discuss baptism, one of the sacraments, that is, the visible sign of the invisible divine word. Under the discussion of baptism, there will be an examination of cultic ceremonies, an analysis of biblical foundations, and various theological discussions. Among these, a discussion of the origin of the baptism is the subject which brings theological thought and the Church history. In addition, this subject is re-heated by the debate led by Karl Barth in the 20th century and this requires a clear theological delineation of various issues. Christianity is a historical religion and this history is not about human activities and works but God's providential history. Therefore we can see the unity and the diversity regarding the baptism at the same time if we examine historical-theological resources intervened and left by God. Particularly I will examine the historical data with a special reference to Belgic Confess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theological development and nurturing of Korean Church. The essence of the Reformed view of the baptism is not based on various human theories but on the Bible. This makes the overall unity clear. I can summarize it as God's covenant - the theme emphasized by the Bible, confirmed by the Reformers, and made clear by the leaders of the Church, who inherited the reformed tradition. The baptism will persist as long as the earthly Church lasts. The Church will do baptism in the name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wherever the Church expands. This research shows that such a baptism will clarify and proclaim the visible word and God's covenant.

      • 열린 신학(Open Theism)에 관한 연구 : 복음주의 신학에서의 평가

        김병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ABSTRACT A Critical Evaluation of Open Theism from The Evangelical Theology Perspective Kim Byung Kee Department of Theology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First of all, open theism presupposes libertarian freedom in the sense that free human choices and decisions are unknown even to God, and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In order to theologically support this negation of God's foreknowledge, open theists claim first, voluntary self-limitation of God's sovereignty. This introduces the concept of God's openness, that the future is also open to God. Second, it is explained that this self-limitation of God is for the give-and-take relationship of love between God and humans. Third, for this purpose, it is argued that love is the essence of God and the best attribute. Fourth, since God cannot know the choices and decisions of human libertarian freedom, a risk model for divine providence is introduced. God takes risks in the sense that He allows things to happen that He did not intend. As a result, God experiences failure and setbacks. Fifth, it insists on presentism for the foreknowledge of God. So God knows the past and the present perfectly, but is ignorant of the future, which requires human libertarian freedom to choose and decide. God only predicts these futures with high possibility and probability. Sixth, they modify traditional divine attributes accordingly. For example, they assert that God's omniscience knows all that can be known (the future is not known because it does not yet exist), and that omnipotence is God's ability to cope with any situation. Finally, they claim that open theism is biblical, interpreting Bible passages such as God's regret and change of mind literally. Open theism, which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21st-century American theology, is one of the most fascinating trends in modern evangelicalism. But open theism leaves believers with a God who has nothing to do with our faith and life, and a God who is thoroughly misl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oint out and correct the errors of open theism based on orthodox theology and the Bible. In this respect, research on open theism has important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rst, to prove that open theism is a theology that accepts many theories from process theology, and it deviates from historical and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because it completely denies the paradigm of traditional theology. Second, open theism argues that the Bible should be in dialogue with post-modern culture and emphasizes the need for an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at fits with modern culture, but rather maximizes human freedom and does not mention God as judge at all. It emphasizes only God the Father who experiences failure and learns through frustration through this relationship. I would like to reveal that it is a post-modern theology that fits the current trend of American society. Third, open theism limits God's sovereignty and denies God's meticulous providence. In addition, while criticizing theological determinism, it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and maximizes human freedom. This open theism claim i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Reformed viewpoint. Reformism adheres to theocentrism, but open theism advocates an anthropocentric view. Accordingly, I would like to critique the claims of open theism on God's sovereignty and providence, predestination and foreknowledge, which are the core subjects of theology, while comparing them with the reformed viewpoint. Fourth, although the debate over whether open theology can be viewed as an evangelical theology continues, by examining the debate on the theological standpoint of open theism, open theism has become the category of Arminian theology that claims to have its own theological roots, would not be considered. In conclusion, open theism is thought of as a theology whose content is full of process theology and whose packaging is Arminian theology. Through this critique of open theism,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the orthodox theology formed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after the Reformation will be further enhanced. Lastly, although open theism has many theological errors, the researcher wants to appreciate its theological motives. Because, first, it tried to connect theology with the practical aspect of faith while trying to give answers to the believers' religious life (especially the problem of prayer) and the problem of evil. And second, It g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nd third, it provided a friendly God to modern people through the dynamic model of God responding to human needs. 논문개요 열린 신학은 무엇보다 먼저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결정들은 신조차도 알 수 없다는 의미에서, 자유의지적 자유(libertarian freedom)를 전제하고 신의 완전한 예지를 부정한다. 열린 신학자들은 이러한 신의 예지의 부정을 신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첫째, 신의 주권에 대한 자발적인 자기 제한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미래가 신에게도 열려 있다는 신의 개방성의 개념을 도입한다. 둘째, 이러한 신의 자기 제한은 신과 인간의 호혜적인(give-and-take) 사랑의 관계성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셋째, 이를 위해 사랑이 하나님의 본질이며 최고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 넷째, 신도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신의 섭리에 대한 모험 모델을 도입한다. 신이 의도하지 않은 것들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한다는 의미에서 신은 위험을 감수한다. 따라서 신도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다. 다섯째, 신의 예지에 대해 현재주의(presentism)를 주장한다. 그래서 신은 과거와 현재를 완전하게 알지만,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이 필요한 미래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신은 단지 이러한 미래를 높은 가능성과 확률로만 예측한다. 여섯째, 이에 따라 전통적인 신의 속성들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신의 전지성은 알려질 수 있는 모든 것을 안다는 것이며(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알려질 것이 없다), 전능성은 신이 어떤 상황에도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후회, 마음 바꿈 같은 성경 구절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면서 자신들의 신학이 성경적이라고 주장한다. 21세기 미국 신학계의 주목을 받은 열린 신학은 현대 복음주의에 있어서 가장 매혹적인 경향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열린 신학은 우리의 신앙과 삶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하나님, 그리고 철저히 오도된 하나님을 신자들에게 남겨놓았다. 따라서 정통적인 신론과 성경에 근거하여 열린 신학의 오류를 지적하고 바로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서 열린 신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에서 많은 이론을 수용한 신학으로, 전통적인 신론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부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서 일탈했음을 입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열린 신학은 성경이 포스트모던 문화와 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현대 문화와 맞는 성경해석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지만, 오히려 인간의 자유를 극대화하고 심판자로서의 하나님은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사랑하고 관용하며 대화하는, 이런 관계를 통해 실패를 경험하고 좌절하면서 배워나가는 아버지 하나님만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열린 신학은 현대 미국 사회의 시류에 영합한 포스트모던 신론임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 열린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을 제한하고 하나님의 섬세한(meticulous) 섭리를 부정하고 있다. 또한, 신학적 결정론을 비판하면서 하나님의 완전한 예지를 부인하고 인간의 자유를 최대한 신장하고 있다. 이러한 열린 신학의 주장은 개혁주의 관점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론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 예정과 예지에 관해서 개혁신학을 비판하는 열린 신학의 주장들을 논박하면서 비평하고자 한다. 넷째, 복음주의 신학 안에서 일어난 열린 신학에 관한 논쟁을 고찰함으로써, 열린 신학을 복음주의 신학으로 볼 수 있느냐의 논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열린 신학이 자신들의 신학적 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알미니안 신학의 범주로는 간주 될 수 없음을 밝히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의 수용으로 인해 내용물은 과정 신학으로 가득 차 있고, 포장은 알미니안 신학으로 되어있는 신학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연구자는 열린 신학에 관한 이러한 비평을 통해서 종교개혁 이후 개혁주의 관점에서 형성된 정통적인 신론의 가치가 더 고양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열린 신학이 많은 신학적 오류를 가지고 있음에도, 연구자는 그 신학적 동기는 높이 사고 싶다. 왜냐하면, 첫째, 신자들의 신앙생활(특히, 기도의 문제)과 악의 문제에 답변을 주고자 하면서 신학을 신앙의 실천적인 면과 연결을 시도했으며, 둘째, 범재신론의 관점이 아닌 의미에서 보면, 관계적 신론을 통해 하나님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주었고, 셋째, 인간의 요구에 응답하는 역동적인 하나님의 모델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친근한 신관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 네스토리아즘의 中國 傳來에 대한 神學的 考察

        신길수 웨스트민스터神學大學院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고대에 중국에 전래된 페르시아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인 景敎에 대한 신학적인 연구이다. 주지하다시피 네스토리우스는 에베소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그러나 '네스토리우스는 네스토리우스파가 아니다'라는 말이 나올 만큼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고, 지금도 그 논쟁은 끝이 난 것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1623년 중국의 장안에서 '景敎'라 불렸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의 기념비인 '大秦景敎流行中國碑'가 발굴되었는데, 거기에는 경교의 신학적 진술이 포함되어 있었다. 오늘 날까지 이단의 굴레를 벗지 못한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을 간접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 대진경교유행중국비를 중심으로 경교의 신학적 입장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먼저는 시리아의 에뎃사를 중심으로 한 原始동방교회가 어떻게 해서 네스토리우스파를 추종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면서, 동서교류사적인 측면에서 동방교회의 동방 선교를 다루었다. 연구 결과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미 중국과 많은 문물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唐代에 페르시아의 선교 지향적이었던 네스토리우스교회가 중앙아시아를 넘어 중국 선교를 시도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키릴과 네스토리우스 사이에 있었던 신학 논쟁을 통해서 과연 네스토리우스가 이단을 주장했는가를 살펴보고, 이어서 대진경교유행중국비를 중심으로 경교의 신학을 연구해 보았다. 경교는 이 비문에서 비록 中國化의 과정을 밟고는 있었지만 니케아신조나 에베소신조, 칼케돈신조에 비교해 볼 때, 이단적인 요소를 발견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된다. 무리한 정치적인 결정이 '이단 아닌 이단'을 만들었지만, 네스토리우스파는 세계교회사에서 유래를 찾기 어려울 만큼 큰 선교적 성과를 남겼다는 점에서 재조명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경교가 강한 정치체제로서의 儒敎, 전통 종교이자 황실의 종교였던 道敎, 이방 종교였으나 민중들 속에 이미 자리 잡은 佛敎의 강한 종교적·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던 중국의 唐代에 어떻게 자신들의 입지를 세우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경교는 대진경교유행중국비문에 기록을 남긴 대로, 중국인들이 고유한 개념으로 가지고 있었던 '道'라는 사상으로 자신들의 신앙을 설명하려고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道'의 개념을 사용한 결과 당 태종은 경교를 당대의 다른 종교들과 별다를 것이 없는, 받아도 좋은 종교로 인식하게 되었고, 이후 당 황실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845년 당 武宗의 회창 廢佛 사건 때까지 활발한 선교 사역을 펼치게 되었음을 여러 사료를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화로 편안한 출발은 했을지 모르나 儒敎·佛敎·道敎, 三敎와의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중국인들의 마음 깊이 뿌리 내리지 못했다는 점과 선교 역사 200년이 지나서도 여전히 외래 종교로 인식되는 한계 속에서 지나친 황실 의존주의를 펼쳤던 경교가 당의 패망으로 말미암아 중원에서 변방으로 밀려 났다는 점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가 있음을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느낀다. This treatise is to conduct a theological study on Nestorian Church, which was transmitted to China from Persia in the ancient times. As you may know, Nestorius was a figure condemned as a heretic at the Council of Ephesus in 431 A.D. However, there has been such an intense controversial dispute on his theology, still going on even today, as the saying that Nestorius is not a Nestorian has come into be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a monument of Nestorian Church called 'Ching Chiao' in China has been excavated at Ch'ang-an in 1623 A.D., it being named "Ta Ch'in Ching Chiao Lau Hang Chung-Kuo Pi" in Chinese characters. A theological statement of Nestorianism was included in the monument inscription. Accordingly, this treatise is to shed light on the theological stance of Nestorianism with the monument inscription as the main topics. In the first place, it studied how the early East Church originated at Edessa in Syria had come to follow Nestorianism and then handled the role of the Eastern missionary in the light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his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known that the East and West had already made an active exchange of commerce and culture since the ancient Roman times.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as a natural result that the missionary-oriented Nestorian Church in Persia at that time had tried to evangelize China across Central Asia. In the second place, this treatise is to examine if Nestorius was really a heretic by studying the theological dispute between Cyril and Nestoriu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Nestorian theology by studying the inscription of the monument. After studying the inscription, it is interesting that we cannot find heretical elements of Nestorianism in the light of Nicea, Ephesus or Chalcedon creed even if it went through a Chinese process. Even though the excessive political decision by the Church conference made Nestorians heretics, it should be re-lighted up that they left an unparalleled great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world missionary. In the third place, the treatise is to examine how the Nestorian church had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with a strong and antagonistic religious background. As the inscription put it, we can find that Nestorianism tried to explain themselves by using the idea of 'Tao', moral order which is a unique concept in Chinese people. As a result of such an attempt, Emperor of T'ang came to recognize Nestorianism as an acceptable religion, not particularly different from other religions at that time. We can see through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that after the recognition Nestorian church enjoyed active activities of missionary under the support of Emperor until successor Emperor excited incident of abolishing Buddhist statues. Nestorian Church may have initiated a good start by such a Chinese process.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church suffered a setback, not rooting deep in the minds of Chinese people, by the limit in that it could make no differentiation from other religion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