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캠퍼스 선교를 위한 대학교회의 협력적 역할에 대한 고찰 : 대구대학교 대학교회를 중심으로

        홍민혁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논문의 목적은 대구대학교 선교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대구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으로 시작했지만 오늘날 그 정신이 많이 퇴색되어 있다. 하지만 명백한 사실은 다시 복음의 대학으로 거듭나는 것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바라는 것이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대학복음화에 도움이 되고자 본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본 연구를 통해 먼저, 대학선교의 역사와 정의, 대학선교의 필요성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대구대학교와 대학교회의 초창기 역사를 돌아보며 대학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구대학교 선교의 쟁점을 살펴보며 현재에 해결되어야 할 부분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 협력적으로 대학선교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들을 조사했고 이 사례들을 교훈 삼아 앞으로 대구대학교 선교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direction for Daegu University’s mission work. Daegu University has been established with the spirit of Christianity. However its spirit has been faded away up to the recent times. It is mandatory that Daegu University needs to reconsider and recover its Christian mission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s its founding spirit intended. Therefore, I set out this study to find out ways in which Youngkwang church(on-campus church) can contribute to the evangelization of Daegu University. To this end, I observe the history and missionary work of the University as root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Also, I identify the needs for and the tasks of mission work on the campus. In the next step, I re-emphasize the Christian identity of the University by tracing the history of the early days when it was founded and developed. Mission has always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sustainment of Daegu University. In addition, I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mission work of Daegu University and attempt to proposes issues to be resolved. Finally, I investigate the mission works of other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proved effective in working cooperatively with people and churches both inside and outside campus. This study also promot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Daegu University with local churches off campus as well as organizations and people on campus. Therefore, it is expected in conclusion that Youngkwang Church would play a significant part in creating collaboration and recovering the University''s founding spirit and mission.

      • 일터 교회 사역 유형별 영성 성숙도 연구 : 일터 신학의 관점에서

        김동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71

        논문의 주제는 [일터교회 사역 유형별 영성 성숙도 연구]이며, 부주제는 [일터 신학의관점에서]이다. 이에 대한 이슈로서, 오늘의 ‘기독교 신앙’(Christian Faith)과 ‘노동의 관계’(Labor Relations)를 규명하는데 많은 관심을 쏟아왔다. 그 시기가 종교개혁 후부터 본격적이라는 것은 점차 그 진실이 그리스도인의 삶의 현장에서 규명되기 시작했다. 현대 개혁주의 신학을 대변하는 신학자나 칼빈주의와 개혁교회의 전통에서 ‘하나님의 부르심’(God‘s Calling)이라는 일-노동의 또 다른 측면을 연구하고 있다. 즉 개혁적인 시각에서 노동의 목적은 하나님을 높이고 인류를 번성케 하는 문화를 창출(創出)하는 것을 성 경에서 명하는 교훈으로 받아들인다. 철학적인 지식의 발판은 노동의 가치에 대하여 기성적이고 단번에 깨뜨릴 수 없는 판도(版圖)와 같이 일에 대한 천박함을 대변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성경의 교훈은 기독교의 일-노동‘에 대한 철학적 진리에 정반대로 다가서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일-노동‘이라는 영역이 우리의 삶과 일터 속에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가를 성경적, 신학적 그리고 영적인 잣대로 연구하여 일터 교회와 관계된 이슈를 목적대로 연구하여 실천 방안과 방향 제시를 내놓는다.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identifying today's Christian Faith and Labor Relations. That the period is in full swing after the Reformation gradually, the truth began to be clarified in the field of Christian life. It’s studying another aspect of work-labor of God's Calling in the tradition of theologians and Calvinism and the Reformed Church with Representing Modern Reformed Theology.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reformative view of labor is take it as a lesson from the Bible to create a culture that enhances God and promotes the flourishing of mankind. The foundation of philosophical knowledge is speak for the vulgarity of work as an established and unbreakable platform for the value of labor. On the contrary, the Bible says, It is approaching the opposite of the philosophical truth about Christianity's "Work-Labor”. So a dissertator how can the area of "Work-Labor" be integrated into our lives and workplaces? It has been studied by theological, biblical and the spiritual yardstick. The title of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pirituality Maturity by the Types of Workplace Church“, And Subtitles are ”From the Standpoint of Workplace Theology“, by study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workplace of the paper as a goal. To present practical measures and directions.

      • 네스토리아즘의 中國 傳來에 대한 神學的 考察

        신길수 웨스트민스터神學大學院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고대에 중국에 전래된 페르시아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인 景敎에 대한 신학적인 연구이다. 주지하다시피 네스토리우스는 에베소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그러나 '네스토리우스는 네스토리우스파가 아니다'라는 말이 나올 만큼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고, 지금도 그 논쟁은 끝이 난 것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1623년 중국의 장안에서 '景敎'라 불렸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의 기념비인 '大秦景敎流行中國碑'가 발굴되었는데, 거기에는 경교의 신학적 진술이 포함되어 있었다. 오늘 날까지 이단의 굴레를 벗지 못한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을 간접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 대진경교유행중국비를 중심으로 경교의 신학적 입장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먼저는 시리아의 에뎃사를 중심으로 한 原始동방교회가 어떻게 해서 네스토리우스파를 추종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면서, 동서교류사적인 측면에서 동방교회의 동방 선교를 다루었다. 연구 결과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미 중국과 많은 문물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唐代에 페르시아의 선교 지향적이었던 네스토리우스교회가 중앙아시아를 넘어 중국 선교를 시도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키릴과 네스토리우스 사이에 있었던 신학 논쟁을 통해서 과연 네스토리우스가 이단을 주장했는가를 살펴보고, 이어서 대진경교유행중국비를 중심으로 경교의 신학을 연구해 보았다. 경교는 이 비문에서 비록 中國化의 과정을 밟고는 있었지만 니케아신조나 에베소신조, 칼케돈신조에 비교해 볼 때, 이단적인 요소를 발견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된다. 무리한 정치적인 결정이 '이단 아닌 이단'을 만들었지만, 네스토리우스파는 세계교회사에서 유래를 찾기 어려울 만큼 큰 선교적 성과를 남겼다는 점에서 재조명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경교가 강한 정치체제로서의 儒敎, 전통 종교이자 황실의 종교였던 道敎, 이방 종교였으나 민중들 속에 이미 자리 잡은 佛敎의 강한 종교적·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던 중국의 唐代에 어떻게 자신들의 입지를 세우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경교는 대진경교유행중국비문에 기록을 남긴 대로, 중국인들이 고유한 개념으로 가지고 있었던 '道'라는 사상으로 자신들의 신앙을 설명하려고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道'의 개념을 사용한 결과 당 태종은 경교를 당대의 다른 종교들과 별다를 것이 없는, 받아도 좋은 종교로 인식하게 되었고, 이후 당 황실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845년 당 武宗의 회창 廢佛 사건 때까지 활발한 선교 사역을 펼치게 되었음을 여러 사료를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화로 편안한 출발은 했을지 모르나 儒敎·佛敎·道敎, 三敎와의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중국인들의 마음 깊이 뿌리 내리지 못했다는 점과 선교 역사 200년이 지나서도 여전히 외래 종교로 인식되는 한계 속에서 지나친 황실 의존주의를 펼쳤던 경교가 당의 패망으로 말미암아 중원에서 변방으로 밀려 났다는 점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가 있음을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느낀다. This treatise is to conduct a theological study on Nestorian Church, which was transmitted to China from Persia in the ancient times. As you may know, Nestorius was a figure condemned as a heretic at the Council of Ephesus in 431 A.D. However, there has been such an intense controversial dispute on his theology, still going on even today, as the saying that Nestorius is not a Nestorian has come into be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a monument of Nestorian Church called 'Ching Chiao' in China has been excavated at Ch'ang-an in 1623 A.D., it being named "Ta Ch'in Ching Chiao Lau Hang Chung-Kuo Pi" in Chinese characters. A theological statement of Nestorianism was included in the monument inscription. Accordingly, this treatise is to shed light on the theological stance of Nestorianism with the monument inscription as the main topics. In the first place, it studied how the early East Church originated at Edessa in Syria had come to follow Nestorianism and then handled the role of the Eastern missionary in the light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his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known that the East and West had already made an active exchange of commerce and culture since the ancient Roman times.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as a natural result that the missionary-oriented Nestorian Church in Persia at that time had tried to evangelize China across Central Asia. In the second place, this treatise is to examine if Nestorius was really a heretic by studying the theological dispute between Cyril and Nestoriu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Nestorian theology by studying the inscription of the monument. After studying the inscription, it is interesting that we cannot find heretical elements of Nestorianism in the light of Nicea, Ephesus or Chalcedon creed even if it went through a Chinese process. Even though the excessive political decision by the Church conference made Nestorians heretics, it should be re-lighted up that they left an unparalleled great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world missionary. In the third place, the treatise is to examine how the Nestorian church had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with a strong and antagonistic religious background. As the inscription put it, we can find that Nestorianism tried to explain themselves by using the idea of 'Tao', moral order which is a unique concept in Chinese people. As a result of such an attempt, Emperor of T'ang came to recognize Nestorianism as an acceptable religion, not particularly different from other religions at that time. We can see through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that after the recognition Nestorian church enjoyed active activities of missionary under the support of Emperor until successor Emperor excited incident of abolishing Buddhist statues. Nestorian Church may have initiated a good start by such a Chinese process.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church suffered a setback, not rooting deep in the minds of Chinese people, by the limit in that it could make no differentiation from other religion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 팀 켈러의 문화 변증적 설교 비평: 오순절 관점에서 : 오순절 관점에서

        배정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논문의 목적은 팀 켈러의 변증 설교를 오순절 관점에서 비평하는 것이다. 현대 문화를 이끌고 있는 사조는 포스트모더니즘이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포 스트모더니즘은 ‘절대성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하는 단순한 이해다. 이런 단순한 이해로 인하여 현대 기독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구체적인 문제도 파악하지 못했으며 적절한 대 책 또한 마련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 결과 교회를 이탈하는 젊은이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음은 물론이요 절대적인 모든 것 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단순하게 이해하면 안 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복잡한 논리를 가 지고 있으며 문화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은 복잡하고 다양해진 문 화가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세대이고 활발한 문화 교류를 통하여 진보하고 있으며 포스트모더니즘도 이러한 시대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오늘날 복 음 전도의 대상은 바로 이렇게 복잡하고 복합적인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이다. 이러한 현 세대를 향해서 복음이 감당해야 하는 목표는 절대적이고 유일하신 하나님을 전하는 것이 다. 모든 것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한다는 생각을 하는 세상을 향해 불변하시는 하나 님을 전해야 하고 그분의 뜻을 전해야 하는 것이 기독교의 현실이다. 이 상황에서 복음 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사고방식과 논리와 언어와 문화를 알아야 한 다. 그리고 그들과 담대히 논쟁할 수 있어야 하고 결국에는 그들보다 더 깊은 차원의 논 리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팀 켈러는 날카롭고 예리한 분석적인 통찰력으로 그들과의 논쟁에 임했다. 그리고 그들의 논리를 정면으로 비판하여 기독교의 진리를 방어했다. 이 때 팀 켈러가 사용한 방법론이 ‘변증’이다. 변증을 통한 대화는 그들과의 논쟁 시에 소통 을 가능하게 했고 그들의 잘못된 논리를 정확히 지적하는 도구가 되었다. 팀 켈러는 세 상이 변한다고 절대성이 사라진다고 한탄하는 일에 시간을 소모하지 않았다. 오히려 모 든 문화 위에 자존하시는 하나님을 앞세워 현대 문화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정 확히 드러내면서 복음의 우월성을 입증했다. 팀 켈러의 도시 선교는 말씀의 선교이다. 말 씀 변증 선교를 통해서 비신자들을 복음화 시켰다. 그의 변증 설교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성장 배경과 신학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그가 어떤 의문을 가지고 있었으 며 그가 가지고 있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어떻게 찾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이 과정은 결코 단순한 것이 아니다. 먼저 역사 신학 안에서 변증 설교의 역사성을 다루어야 한다. 그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배경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실 행하기 위한 기본적 전제는 삼위일체 신관이다. 세상을 향한 구원 사역의 주체가 누구이 고 실행자가 누구인지를 알아야 되기 때문이다. 오늘날 복음주의 개신교에서 믿는 삼위 일체 신관이 확립된 시기는 초대 교부들의 시대였다. 당시에 이단 논쟁은 성자와 성령의 존재에 대한 논쟁이었다. 이 시기에 삼위일체 신학을 확립했던 교부들의 치열한 노력은 주옥같은 신학적 결과물을 만들었다. 팀 켈러의 변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삼위일체 신학을 알아야 한다. 교부들은 삼위일체를 중심으로 설교했다. 삼위일체를 변증으로 가르 치고 선포했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흐름이다. 삼위일체 신관에 대한 교부들의 사상 과 그들의 변증을 살펴보는 연구는 팀 켈러의 설교를 연구하는 방법론이 될 것이다. 또 한 본 논문은 오순절 입장에서 팀 켈러의 설교와 사상과 선교를 비평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령론적인 접근을 할 것이다. 성령론을 변증 설교에 접목하기 위해서 먼저 교부들이 가 지고 있었던 성령론의 입장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삼위일체 안에서 변형되지 않고 왜곡되지 않은 성령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야한다. 이 논문은 성령의 역사가 현대에 실 천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시기를 웨슬리의 시대로 보았다. 웨슬리는 현대 성령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는 것은 복음주의 계열에서 누구나 동의하는 일이다. 우리의 시선을 집중 시키는 것은 웨슬리가 교부의 설교에 심취해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웨슬리의 배 경과 그가 강조했던 성령에 관한 것이 어떻게 팀 켈러에게 영향을 주었는가를 보는 것도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후에 본 논문의 중심이 되는 팀 켈러가 변증하기 위해서 세워 놓 은 설교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그의 이론은 복잡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필요 한 분석을 위해 그가 작성한 도표도 분석하며 설명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 한 변증이 도시 선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할 것이며 이후에 팀 켈러의 변증 설교에 취약점으로 보이는 현대 성령론에 대하여 다루어 보고자 한다. 그리스도 중심으 로 사람들에게 신앙을 전달한 위대한 사명을 감당했지만 그의 신학에 성령론이 강화되었 으면 더 큰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 부분에 가서 팀 켈러의 도 시 선교에 어떻게 성령론과 대화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종합적으로 어떻게 성령론을 강화할 것인가를 논의 한 후에 결론을 맺고자 한다. ABSTRACT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Cultural Apologetic Preaching of Timothy Keller: From a Pentecostal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que Tim Keller's apologetic sermons from a Pentecostal perspective. The modern cultural trend is heavily influenced by postmodernism, which is often oversimplified as merely a rejection of absolutes. Due to this superficial understanding, contemporary Christianity has struggled to grasp the specific challenges posed by postmodernism and to develop appropriate responses. Consequently, the number of young people leaving the church is increasing exponentially.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at postmodernism does not necessarily reject the existence of God or all absolutes; rather, it embodies a complex logic that permeates contemporary culture. In today's world, characterized by complex and diverse cultures and active cultural exchanges, postmodernism continues to evolve in various forms. The target audience for evangelism today consists of individuals with such intricate worldviews. The goal of the gospel for this generation is to present the absolute and unique nature of God. The challenge for Christianity is to communicate the unchanging nature of God and His will to a world that perceives everything as constantly changing and evolving. To effectively share the gospel in this context, one must understand the audience's way of thinking, logic, language, and culture and be capable of engaging in deep, logical discussions with them. Tim Keller approached this task with sharp and keen analytical insights, He defended the truth of Christianity by directly critiquing the logic of his opponents. His methodology, known as ‘apologetics,’ allowed him to communicate effectively during debates and accurately identify the flaws in opposing arguments. Keller did not waste time lamenting the decline of absolutes in a changing world. Instead, he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the gospel by precisely expos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modern culture, He placed God, who transcends all cultures, at the forefront. Keller's urban mission was fundamentally a mission of the Word, evangelizing non-believers through apologetic missions. To fully understand his apologetic sermons, it is essential to examine his background, the questions that shaped his theology, and how he found answers to those questions. This process is complex and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ontext of apologetic preaching within historical theolog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rist-centered nature of his preaching, which is rooted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is understanding is crucial because it identifies the giver of salvation in the worl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s believed in today's evangelical Protestantism, was solidified during the era of the early church fathers, amid debates over the existence of the Son and the Holy Spirit. The intense efforts of the early church fathers during this period produced significant theological insights. To grasp Tim Keller's approach to apologetics, one must first understand this Trinitarian theology. The early church fathers preached a Trinity-centered message, with apologetics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ir teaching and proclamation. Researching patristic thoughts on the Trinity and their apologetic methods will provide a framework for studying Tim Keller's sermons. Additionally, since this paper critiques Keller's sermons, thoughts, and mission from a Pentecostal perspective, it will adopt a pneumatological approach. To incorporate pneumatology into apologetic preaching,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early church fathers' position on pneumatolog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Holy Spirit's unaltered and undistorted role within the Trinity. This paper considers the era of John Wesley as the period when the work of the Holy Spirit became particularly active in modern times. It is widely acknowledged within evangelical circles that Wesley marked the beginning of the modern Holy Spirit movement. Notably, Wesley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sermons of the early church fa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esley's background and how his emphasis on the Holy Spirit influenced Tim Keller. Following this examination, we will analyze the sermon theory established by Tim Keller for apologetics, which forms the core of this paper. To facilitate analysis, I will explain Keller’s complex theory by dissecting the framworks he created. We will explore how Keller's apologetics influenced urban missions and address the apparent underemphasis of modern pneumatilogy in Keller’s apologetic preaching. Although Keller accomplished the significant task of conveying faith that is centered on Christ, even greater outcomes might have been achieved if his theology had more robustly incorporated pneumatology. In conclusion, we will consider how pneumatology can be integrated into Tim Keller's urban missiology and how to comprehensively strengthen pneumatology.

      • 개혁신학으로 재구성한 정신분석적 인간이해모델 연구 : 정신분석전통의 본성, 자기, 대상관계개념을 중심으로

        노승수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개혁신학의 인간이해에 근거해서, 정신분석전통의 여러 이론들에 나타난 임상적 인간이해를 재구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독교상담의 실제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간이해모델을 개발하고, 임상장면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핵심감정(nuclear feeling)의 종류를 개략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성경과 신학이 말하는 인간에 대한 다양한 논점들이 있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어거스틴(Augustine)이 말하는 인간본성과 자유의 4가지 상태들 중에 우리가 현실에서 만나는 죄를 짓지 않을 수 없는(not able not to sin) 구도자의 상태와 거듭나서 죄를 짓지 않을 수도 있는(able not to sin) 중생자의 상태를 중심으로 인간이해모델을 논했다. 이는 목회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모두 상담으로 신앙과 삶을 증진하는 도구가 되도록 하는 목적을 지녔다. 또한 본 연구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3가지 주제, 곧 관계성, 본성, 주체를 중심으로 정신분석전통의 여러 이론들을 신학적으로 재구성했다. 이를 기초로 기독교상담의 현장에서 인간에 대한 실제적 이해와 기독교만의 독특한 상담모델을 구현해보려고 했다. 상담자의 치료 과정을 통해, 구도자 개인이 느끼는 핵심감정의 문제와 현실적응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복음전도의 기회와 방편을 상담을 통해 구현하려고 노력했다. 더 나아가서 중생자의 성화를 촉진하고 영적 질병의 치료과정으로 개혁신학적인 기독교상담에서 치료개입모델을 개발했다. 이동식의 상담모델을 개혁신학의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사도신경과 기독교 강요의 구조를 따라 재구성을 한 치료개입모델을 제시했다. 핵심감정은 두 축, 곧 양육자(Key figure)의 태도와 내담자의 자극-반응 기제라는 축을 중심으로 여러 종류의 핵심감정을 제시하려고 시도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치료개입에서 상담의 시종일관 핵심감정이 다뤄지기 때문이며, 특히 첫 면접 때, 핵심감정과 역동 진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실제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감정의 패턴을 연구자의 임상 경험들과 사례를 통해서 제시하려고 노력했다. 이 노력은 기독교 신앙에 관심이 있거나 기독교 신앙 안에 있으면서 고통 받는 내담자들이 영적 질병과 갈등에서 벗어나 진정한 신앙적 자유와 삶의 행복을 누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실천적 연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an clinical understanding of humanness displayed by various psychoanalytic traditions, and on the basis of that reconstruct, to try to develop and use a useful Christian counseling on based a Reformed Theology for concrete situations and to sort out the kinds of nuclear feeling which can be useful to counseling situations. There are various viewpoints on the humanness which the Scriptures and theologies might tell. I chose to discuss the human understanding model of humanness on the basis of Augustinian view on human nature and the four status, especially the seeker's status of ‘not able to sin' and the born-again status of ‘able not to sin.' It is because we usually meet these two groups of peoples in real counseling situations and we are trying to help these get out of their sickness and struggles into the situations of enjoying the true spiritual freedom and the happiness of life. Next aim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ologically the various theories of psychoanalyses focused on the three main subjects, relationships, human natures, human subjectivity, trying to reconstruct a re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humans and a unique Christian counseling model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try to make clear seeker-counselee's nuclear feelings that a seeker feels subjectively in oneself and to make ways of recovering one's resiliency to life, so as to make use of the opportunities to evangelism. Furthermore, We try to help born-again believers to advance the stages of sanctification, solve the issues of sins, guilts, and spiritual sicknesses. We try to develop a Christian healing model on the basis of a Reformed theology. We suggest a therapeutic intervention model based on Dong Sik Lee's counseling model and according to the structures of the Apostles' Creed and Calvins' Institutes. We try to typify the nuclear feelings through two axis; one is the attitudes of parents as key figures, the other the stimulation-responses. With the first interview we should diagnosis one's nuclear feelings and dynamics; if not, the benefits of the therapy can not be accomplished. So establishing the types of two axes are very important. The whole process of counseling deals with the issue of nuclear feelings. We have tried to suggest the patterns of feelings by ways of our clinical experiences and the real cases we have met. This study is a practical study for the counselees who are in the Christian faith to have and enjoy the spiritual freedom and the live happiness out of spiritual sickness and struggles.

      • 개혁주의 성만찬에 대한 재고찰

        이재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장로교회의 성만찬 신학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을 통하여 먼저 성만찬이란 무엇이고, 어떤 근거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지를 밝히며, 또한 칼빈의 성만찬 신학이 로마 카톨릭, 다른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어떤 점에서 다른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칼빈의 성만찬 신학에 근거할 때, 과연 한국 장로교회의 성만찬 예전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성만찬의 기원과 의미를 구약과 신약의 배경 하에 살펴보았는데, 그럼으로써 성만찬이 임의적으로 또는 주관적으로 행해져서는 안 되는 것이며, 성경에 근거한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임을 살펴봄으로 반드시 순종하고 따라야 됨을 살펴보았다. 또한 성만찬 논쟁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성만찬 신학이 어떻게 흘러왔으며, 또한 어떤 문제점을 우리에게 안겨다 주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가운데 특별히 로마 카톨릭 교회의 화체설에 대한 개혁주의 입장을 루터, 쯔빙글리, 칼빈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취해야 할 개혁주의 성만찬 신학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 현재적으로 한국 장로교회의 성만찬 예전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성만찬 신학의 부재, 예전에서의 문제점, 성만찬 논쟁으로 인한 교회분열의 문제점 등을 살펴보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회의 표지로써 성만찬 집행의 중요성과 필요성 강조, 성만찬 예전의 빈번한 집행, 에큐메니칼 운동의 산물인 리마문서의 정신계승과 현실적인 적용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 논문 이전에 이미 성만찬 회복에 대한 수많은 논문과 의견들이 있음에 새삼 놀라게 되었다. 그러나 성만찬에 대하여 그 출발점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 역사적 흐름을 짚어보고, 오늘날 한국 장로교회 성만찬의 문제점에 대하여 개혁주의 입장에서 그 해결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이 본 논문의 의의라고 할 것이다. 바라기는 본 논문을 통하여 목회현장에서 성만찬 회복을 통한 예배갱신운동을 감당하고 있는 목회자들에게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ver the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For so doing this, first, I'd like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to make clear on what basis it was come up with and to examine how Calvin's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other Reformed theologians. Further, based on Calvin's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I'd like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liturgy of the Lord's Supper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suggest its solution. In this thesis,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Lord's Supper have been examined under the background of the Old and New Testament. Then, it is claimed that the Lord's Supper should be performed not of someone's own accord or subjectively but in the obedience of the order of Jesus Christ based on the Bible. Further, from the historical study on the arguments about the Lord's Supper, it is examined how the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has been formed and what problems have been brought about with regard to it. Especially, the focus has been on the Reformed position with regard to the transubstantiation of the Catholic Church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among the Reformers like Luther, Zwingli and Calvin, and it has been made clear what position we should take. Based upon such a study, the problem of the liturgy of the Lord's Supper in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has been looked into. More concretely, while examining the absence of the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the problem of its liturgy and the disjunction of churches due to the dispute about the Lord's Supper, the followings have been suggested as a way of solving such problem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Lord's Supper as the sign of the church should be emphasized, the frequenc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Lord's Supper should be increased and the spirit of the Lima Document or BEM(Baptism Eucharist Ministry), which is the outcome of the ecumenical movement, should be succeeded to and put into practice.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it is surprising to me to find that there have been already lots of papers and viewpoints about the recovery of the Lord's Supper preceding this thesi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stream of the Lord's Supper from its beginning up to now and to suggest a solution for the nowaday problem of the liturgy of the Lord's Supper from the view point of Calvinism. It is my expectation that this thesis may be helpful to the movement of the worship service renewal through the recovery of the Lord's Supper at the field of the ministry in Korea.

      • 존 스토트 신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1966년 전국복음주의자대회(NAE)를 중심으로

        정천화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인간 역사는 하나님이 주관하시며 하나님의 뜻이 관철되는 것으로 고백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인간의 역사는 타락한 인간들이 벌이는 투쟁의 역사라는 것을 인정한다. 물론 세속사는 전반적으로 타락한 인간의 욕망과 싸움으로 점철된 투쟁의 역사, 전쟁의 역사이지만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하나님의 백성을 세우시고 하나님의 나라, 또는 교회의 역사를 배제하고는 정당하게 논의될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의 역사는 하나님의 나라와 교회의 역사라는 조망 속에서 온전하게 파악할 수 있고 조명될 수 있다. 교회의 역사가 인간의 역사 가운데 나타나고 인간의 역사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듯이 세속사도 교회의 역사에 상당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것은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지만 현실적으로 죄인이면서 의인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신자들의 모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 역사는 한편으로는 인간 역사에서 드러나는 죄악과 잘못들과 오류들과 싸우는 역사로 드러났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별히 종교개혁의 정신과 함께 태동한 복음주의(개신교) 역사는 이러한 교회의 역사를 풍부하게 보여주었다, 20세기 초반 미국의 기독교를 주도하였던 근본주의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신복음주의는 빌리 그래함이라는 전도자를 통하여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빌리 그래함의 전도집회는 세속주의와 자유주의의 이어지는 공격으로 무너지고 있던 영국 성공회에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영국 복음주의를 이끈 인물이 존 스토트였다. 1967년 ‘키엘대회’를 계기로 당시 청교도적인 복음주의 운동을 주도하던 로이드 존스와 비국교도 복음주의 운동과 존 스토토가 지도한 성공회 복음주의 운동은 결정적으로 결별하게 되었다. 이후 존 스토트는 WCC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고 제삼 세계 마르크스주의자들과 급진적인 복음주의자들과 교류하면서 급진주의로 급격하게 경도되었다고 여겨진다. 1974년 로잔대회를 주도한 존 스토트는 마르크스주의 사상이 드러나는 신학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존 스토트가 기획하고 지도했던 복음주의의 본질을 신학적인 개념과 영국과 영국 국교회와 복음주의의 역사 속에서 파악하고 현대 20세기에 드러난 복음주의의 분열 모습, 특히 1960년대 존 스토트와 로이드 존스의 분열로 드러난 신학의 차이를 역사적 사실과 신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존 스토트의 복음주의가 당시의 주요한 도전이었던 에큐메니칼 운동과 관련하여 복음주의가 나아갈 길을 모색하였지만 로이드 존스의 경고대로 복음주의의 본질을 훼손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로이드 존스와 존 스토트 논쟁의 핵심 이슈인 교회론과 관련하여 여러 텍스트를 통하여 비교되고 분석되는데 이러한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로이드 존스와 존 스토트의 역사적 분열에 관한 진실들과 신학적 차이점이 부각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것들과 관련하여 로이드 존스와 존 스토트가 분열한 1966년 대회의 사실적인 재구성을 통하여 당시 복음주의의 핵심쟁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진정한 교회 연합의 기초가 무엇인지 밝히는 더욱 풍성한 논의들이 생산되는 것이 세계 복음주의 미래를 위한 반성적인 토대가 될 것이라 여겨진다.

      • 곤잘레스의 역사서술에 관한 분석

        고철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교회사 서술이란 신학의 한 분과로서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담고 있다. 왜냐하면 교회사 서술 방식은 인간중심의 보이는 역사만을 서술하거나 모든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역사하심과 역사의 개입을 더욱 중요하게 살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교회사는 역사신학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즉 기독교의 역사이해는 역사철학이라기보다는 역사신앙에 더 가까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학문이 가지는 객관성을 외면하지 않으면서 보이지 않는 역사와 그 흐름에 관하여서도 외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자세로 요구된다. 특히 역사이해 역시 신학적 입장이라고 할 때에 개혁주의적인 안목을 가진다고 하는 표현은 성경이 강조된다는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 안목 속에서는 단지 성경을 인용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경의 사상과 가르침을 인정하면서 교회사를 서술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교회사에 관한 많고 다양한 서술들을 보면 객관적인 자료들은 풍성하게 제시하였으나, 성경이나 성경의 가르침과는 상관없이 단순히 교회의 흐름이나 활동을 정리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이러한 역사서술을 어떻게 보고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 그 대표적으로 한국교회와 신학교에서 많이 사용되는 곤잘레스의 교회사 기록방법에 대한 분석과 그 신학적 전제 그리고 그 신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곤잘레스 자신만의 독특한 신학적 분류인 A, B, C 유형과 그 역사관을 분석함으로 그가 왜 유형 C를 현대적 대안의 신학으로 제시하게 되는가를 살피게 될 것이다. 즉 곤잘레스의 역사서술 방법은 성경에 근거한 것이라기보다는 자기 전제에 입각한 실용주의적 해석을 담고 있으며, 개혁주의적인 사고와는 차이가 난다. 그러나 그의 역사서술은 대중적인 교회사 서술이기에 신학적인 고민을 담아보았다.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contains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which is a part of theology. The method of the description is not confined to man-oriented, visible history. It is also to examine seriously the work of God in the process of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Church history is regarded as a part of theology, and called as the theology of history. In Christianity,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s closer to the faith of history than the philosophy of history. We should, however, not underestimate academic objectivity as well as invisible history and its process.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s the subject of theology. To have Reformed insight means to emphasize Biblical teaching. But it does not mean to simply quote passages from the Bible. What the Reformed insight require is to write Church history with the recognition of the Biblical ideas and teaching. Many studies on Church history have presented plenty of objective historical resources. But most of them have only explained the process of Church history and activities of Church without the recognition of the Biblical ideas and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 to how to see and estimate this kind of the description of history. Gonzalez and his historical description which is familiar to Korean Church and Seminaries, are the main thesis in this study. This study analyses the method that he took for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and estimates his theology and it's basis. Especially his historical view and his unique the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ontains type A, type B, and type C, are analys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analysis, the reason why he presented type C as an alternative theology, could be explained. In conclusion, his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depends on pragmatic interpretation, rather than biblical interpretation. In fact, his historical description is not based on Reformed theology. However,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his description, the method that he took for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has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 열린 신학(Open Theism)에 관한 연구 : 복음주의 신학에서의 평가

        김병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71

        ABSTRACT A Critical Evaluation of Open Theism from The Evangelical Theology Perspective Kim Byung Kee Department of Theology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First of all, open theism presupposes libertarian freedom in the sense that free human choices and decisions are unknown even to God, and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In order to theologically support this negation of God's foreknowledge, open theists claim first, voluntary self-limitation of God's sovereignty. This introduces the concept of God's openness, that the future is also open to God. Second, it is explained that this self-limitation of God is for the give-and-take relationship of love between God and humans. Third, for this purpose, it is argued that love is the essence of God and the best attribute. Fourth, since God cannot know the choices and decisions of human libertarian freedom, a risk model for divine providence is introduced. God takes risks in the sense that He allows things to happen that He did not intend. As a result, God experiences failure and setbacks. Fifth, it insists on presentism for the foreknowledge of God. So God knows the past and the present perfectly, but is ignorant of the future, which requires human libertarian freedom to choose and decide. God only predicts these futures with high possibility and probability. Sixth, they modify traditional divine attributes accordingly. For example, they assert that God's omniscience knows all that can be known (the future is not known because it does not yet exist), and that omnipotence is God's ability to cope with any situation. Finally, they claim that open theism is biblical, interpreting Bible passages such as God's regret and change of mind literally. Open theism, which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21st-century American theology, is one of the most fascinating trends in modern evangelicalism. But open theism leaves believers with a God who has nothing to do with our faith and life, and a God who is thoroughly misl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oint out and correct the errors of open theism based on orthodox theology and the Bible. In this respect, research on open theism has important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rst, to prove that open theism is a theology that accepts many theories from process theology, and it deviates from historical and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because it completely denies the paradigm of traditional theology. Second, open theism argues that the Bible should be in dialogue with post-modern culture and emphasizes the need for an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at fits with modern culture, but rather maximizes human freedom and does not mention God as judge at all. It emphasizes only God the Father who experiences failure and learns through frustration through this relationship. I would like to reveal that it is a post-modern theology that fits the current trend of American society. Third, open theism limits God's sovereignty and denies God's meticulous providence. In addition, while criticizing theological determinism, it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and maximizes human freedom. This open theism claim i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Reformed viewpoint. Reformism adheres to theocentrism, but open theism advocates an anthropocentric view. Accordingly, I would like to critique the claims of open theism on God's sovereignty and providence, predestination and foreknowledge, which are the core subjects of theology, while comparing them with the reformed viewpoint. Fourth, although the debate over whether open theology can be viewed as an evangelical theology continues, by examining the debate on the theological standpoint of open theism, open theism has become the category of Arminian theology that claims to have its own theological roots, would not be considered. In conclusion, open theism is thought of as a theology whose content is full of process theology and whose packaging is Arminian theology. Through this critique of open theism,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the orthodox theology formed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after the Reformation will be further enhanced. Lastly, although open theism has many theological errors, the researcher wants to appreciate its theological motives. Because, first, it tried to connect theology with the practical aspect of faith while trying to give answers to the believers' religious life (especially the problem of prayer) and the problem of evil. And second, It g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nd third, it provided a friendly God to modern people through the dynamic model of God responding to human needs. 논문개요 열린 신학은 무엇보다 먼저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결정들은 신조차도 알 수 없다는 의미에서, 자유의지적 자유(libertarian freedom)를 전제하고 신의 완전한 예지를 부정한다. 열린 신학자들은 이러한 신의 예지의 부정을 신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첫째, 신의 주권에 대한 자발적인 자기 제한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미래가 신에게도 열려 있다는 신의 개방성의 개념을 도입한다. 둘째, 이러한 신의 자기 제한은 신과 인간의 호혜적인(give-and-take) 사랑의 관계성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셋째, 이를 위해 사랑이 하나님의 본질이며 최고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 넷째, 신도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신의 섭리에 대한 모험 모델을 도입한다. 신이 의도하지 않은 것들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한다는 의미에서 신은 위험을 감수한다. 따라서 신도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다. 다섯째, 신의 예지에 대해 현재주의(presentism)를 주장한다. 그래서 신은 과거와 현재를 완전하게 알지만,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이 필요한 미래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신은 단지 이러한 미래를 높은 가능성과 확률로만 예측한다. 여섯째, 이에 따라 전통적인 신의 속성들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신의 전지성은 알려질 수 있는 모든 것을 안다는 것이며(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알려질 것이 없다), 전능성은 신이 어떤 상황에도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후회, 마음 바꿈 같은 성경 구절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면서 자신들의 신학이 성경적이라고 주장한다. 21세기 미국 신학계의 주목을 받은 열린 신학은 현대 복음주의에 있어서 가장 매혹적인 경향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열린 신학은 우리의 신앙과 삶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하나님, 그리고 철저히 오도된 하나님을 신자들에게 남겨놓았다. 따라서 정통적인 신론과 성경에 근거하여 열린 신학의 오류를 지적하고 바로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서 열린 신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에서 많은 이론을 수용한 신학으로, 전통적인 신론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부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서 일탈했음을 입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열린 신학은 성경이 포스트모던 문화와 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현대 문화와 맞는 성경해석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지만, 오히려 인간의 자유를 극대화하고 심판자로서의 하나님은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사랑하고 관용하며 대화하는, 이런 관계를 통해 실패를 경험하고 좌절하면서 배워나가는 아버지 하나님만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열린 신학은 현대 미국 사회의 시류에 영합한 포스트모던 신론임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 열린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을 제한하고 하나님의 섬세한(meticulous) 섭리를 부정하고 있다. 또한, 신학적 결정론을 비판하면서 하나님의 완전한 예지를 부인하고 인간의 자유를 최대한 신장하고 있다. 이러한 열린 신학의 주장은 개혁주의 관점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론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 예정과 예지에 관해서 개혁신학을 비판하는 열린 신학의 주장들을 논박하면서 비평하고자 한다. 넷째, 복음주의 신학 안에서 일어난 열린 신학에 관한 논쟁을 고찰함으로써, 열린 신학을 복음주의 신학으로 볼 수 있느냐의 논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열린 신학이 자신들의 신학적 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알미니안 신학의 범주로는 간주 될 수 없음을 밝히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의 수용으로 인해 내용물은 과정 신학으로 가득 차 있고, 포장은 알미니안 신학으로 되어있는 신학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연구자는 열린 신학에 관한 이러한 비평을 통해서 종교개혁 이후 개혁주의 관점에서 형성된 정통적인 신론의 가치가 더 고양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열린 신학이 많은 신학적 오류를 가지고 있음에도, 연구자는 그 신학적 동기는 높이 사고 싶다. 왜냐하면, 첫째, 신자들의 신앙생활(특히, 기도의 문제)과 악의 문제에 답변을 주고자 하면서 신학을 신앙의 실천적인 면과 연결을 시도했으며, 둘째, 범재신론의 관점이 아닌 의미에서 보면, 관계적 신론을 통해 하나님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주었고, 셋째, 인간의 요구에 응답하는 역동적인 하나님의 모델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친근한 신관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