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와 대학생활 만족도

        김혜정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를 분석하고 스포츠 활동의 효과를 파악하며 대학생활에서의 스포츠 활동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기 위하여 대전에 소재한 대학교를 다니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대학교 내의 스포츠 관련 동아리에 참여중인 학생, 스포츠와 관련된 수업으로 참여중인 재학생 대학 내 스포츠 센터 및 운동장에서 자율적으로 운동을 하는 학생과 스포츠 활동을 참가하지 않는 학생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Regheb & Beard(1980)에 의해 개발된 Short Form을 근거로 강경빈(1998)에 의해서 번안된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처리는 SPSS/PC 12.0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검정, 요인분석,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첫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다. 즉 학년간의 사교요인에 차이가 있고, 건정 정도에 따라 휴식, 교육 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들이 여가선용, 건강유지 및 체력증진, 체중조절 및 몸매관리, 스트레스 해소, 자아실현 ,사교 및 대인관계측면에 스포츠 활동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학업측면에서는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자가 불참여자보다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대전시 경로당 실태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김지영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전체 인구 중에서 노인인구 비율이 크게 높아지면서 노인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평균수명의 연장과 조기 퇴직으로 인해 노인들은 노동과 사회참여의 기회에서 이탈하게 되며, 핵가족화로 인한 가정 내에서의 역할상실에 따른 고독과 소외는 노인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여가활동을 통해 노인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생활만족도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노인여가복지서비스에 변화가 요구 된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대표적인 기초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의 활성화를 위해 대전지역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의 욕구와 경로당 운영 책임자, 담당 공무원 및 사회복지사의 의견을 조사 분석함으로서, 대전광역시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발전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세웠다. 첫째, 대전광역시 경로당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경로당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등을 파악하여 경로당의 정책적ㆍ제도적 ㆍ행정적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조사연구의 결과와 문헌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대전광역시 경로당의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대전광역시의 지역적 특성에 부합하는 경로당 운영의 발전방향과 관련된 대전광역시 경로당의 시범적 모형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중심으로 대전광역시 5개구 경로당 698개소(2006년 12월 기준) 중 82개소를 무작위 추출하여 경로당 운영책임자 59명과 경로당 이용노인 771명을 방문 조사하였으며, 대전지역의 5개구 구청의 경로당 담당공무원 7명과 동구ㆍ서구ㆍ유성구ㆍ대덕구 4개소 노인복지관의 경로당 사업 담당자 6명을 포함 총 13명을 직접 면접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K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광역시 경로당은 설립한 후 10년 이상이 된 시설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의 ⅔정도가 연면적 50평 미만으로서 비교적 규모가 협소한 편이었다. 둘째, 운영비 대부분이 구청의 보조금과 회원의 회비였다. 셋째, 설비ㆍ비품은 아주 기본적인 것 외에는 대부분 갖추고 있지 않았으며, 구청의 지원을 받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상당수의 경로당에서는 운영비 문제로 다양한 설비ㆍ비품들을 구비하기가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된다. 넷째, 가장 많이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장기ㆍ바둑, 중식제공, 보건소 순회 진료, 야외나들이 등으로 나타났다. 활성화 사업 이후에 운동, 재활, 문화관련 프로그램이 많아졌다는 인식은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로당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노인들은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관절염과 같은 기능성 장애를 가진 노인이 많았다. 여섯째,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재를 꼽고 있었다. 일곱째, 경로당 기능에 대해서는 운영 책임자와 이용 노인은 ‘사랑방’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담당공무원 및 사회복지사는 여가 활용의 장소로써의 기능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여덟째, 경로당 명칭 변경에 대해서는 운영 책임자와 이용노인은 ‘경로당’을 그대로 사용 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으나, 경로당 담당공무원과 사회복지사의 경우 ‘노인문화복지센터’라는 명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경로당 규모와 이용 인원에 따른 운영비 차등 지원에 대해서는 과반수이상이 모두 찬성하고 있다. 열번째, 경로당 활성화사업을 실시한 이후, 노인들이 더욱 많이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으며, 보다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이 앞으로 경로당 활성화 사업이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된 자료와 문헌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사용하여 대전광역시 경로당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일부 경로당의 명칭을 ‘노인문화복지센터’ 등으로 변경하여 지역사회의 노인여가 시설의 구심점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특성화 시켜야할 것이다. 이는지역사회 노인 여가 프로그램의 전문화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경로당도 ‘평가제도’와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여 운영비를 차등 지원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경로당의 자체 역할을 강화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공식적ㆍ비공식적 자원과의 연계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경로당에 전문적인 운영과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사 등의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노인생활지원센터’를 건립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노인생활지원센터’가 노인 여가시설로써의 역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노인의 심신건강을 유지하고 가족보호 기능을 보완해 주는 노인주간보호센터(Day Care Cent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앞으로 경로당이 단순히 노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라 활동적이고 참여적인 여가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곳으로 변하기 위해서는 시설의 운영책임자와 이용노인들 스스로의 노력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지역사회가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일 때 경로당이 진정한 지역사회 여가복지시설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As the proportion of aged people in the whole population rapidly increases, the problem of the aged becomes prominent as one of serious social problems. Especially, elderly persons are alienated from the opportunities of labor and social participation due to the extension of average life span and early retirement, and the loneliness and alienation after role loosing in household due to nuclearization are factors that generate the problem of the aged. Thus, changes in welfare services for elderly people’s leisure are required so that we should allow them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leisure activities and promote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quality. For activation of halls for the aged, which are representative fundamental leisur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aged, this study tries to multilaterally explore a plan for development of halls for the aged that matches to the regional properties of Daejeon Cit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desires of elderly people who use certain halls for the aged, and opinions of administrators of halls for the aged, and officials and social workers in charge of them. For this purpose, we have surveyed 59 administrators from 82 halls for the aged in 5 districts of Daejeon city, 771 old persons using the halls, and 13 officials and social workers.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concentrating on descriptive statistics by using SPSS 12.0K.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halls are institutions such that it has been over 10 years since its foundation, and have comparatively narrow spaces. Second, the funds for operating expenses came from district offices’ support and members’ dues. Third, a considerable number of halls were in such a situation where they had difficulty in provide various facilities and supplies due to operating expense problems. Fourth, the most frequent programs that the halls provided included Janggi, Baduk, lunch service, circuit medical examination by public health centers, picnics. There was little recognition that programs related to exercising, remedial exercises, and culture increased after the activation project. Fifth, most of the old people who were using the halls had one or more diseases, many of whom had functional diseases like arthritis. Sixth, the old people who didn’t use halls for the aged presented absence of various programs as the reason why they didn’t use the halls. Seventh, as for functions of the hall for the aged, the majority of the administrators and users reported that the hall should play the role of ‘Sarangbang,’ whereas the officials and social workers took its function as a place for leisure to be important. Eighth, as for the change of name of the hall, the administrators and using old persons preferred to use ‘Gyeongnodang’(Senior Citizen Halls) without modification, whereas the officials and social workers in charge of halls of the aged preferred the name ‘Center for Elderly People’s Culture and Welfare.’ Ninth,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agreed to differentiated operational expense supports based on the sizes and accommodations of halls. Tenth, after execution of the project of activating halls for the aged, the old people appeared to more frequently use the halls, and more positively participate in provided programs. Thus,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the project should be continued. Taking advantage of the data attained from the analyzed data and research with the literature, we have mad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halls for the aged in Daejeon City, which includ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we should change the name of some halls for the aged into ‘Center for Elderly People’s Culture and Welfare’ to specialize them as core places for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s leisure in local society. Second, we should enhance efficiency of the halls by supporting operating finances differentially through introducing an evaluation system and an incentive system. Third, in order to strengthen the halls’ own roles, we should enhance connections with various public/non public resources in local society. Fourth, we should build centers for supporting elderly people’s life, and assign specialized workers to carry out specialized administration and provide services. Fifth, centers for supporting elderly people’s life should increase their efficiency in administration to serve not only as leisure facilities for the aged but also as day care centers of the aged, which keep elderly people’s mental/physical health and supplement family protection functions. In order for halls for the aged to be changed from simple places for elderly people’s gathering to spaces for their enjoying active and participatory leisure life, administrators and users should do their best for activation, and we would expect the halls’ activation only when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local societies pay positive attention to them.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일반이용자와 수급권자의 재가방문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김동여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복지서비스의 방문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이용자와 수급권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가 어떠한지 파악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재가복지서비스의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만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7개소를 임의 선정하여 의료보장형태에 따라 일반이용자 73명, 수급권자 50명이 조사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대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의 의료보장형태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𝛘2 검증과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위해 t-test, ANOVA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대상 노인의 방문요양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보장형태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학력수준, 거주유형에 따른 방문요양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혼자 사는 노인일수록 만족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의료보장형태에 따른 특성이 선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으며 차후 의료보장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의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의료보장형태에 따른 경제적 특성의 차이는 다른 요인들에 비해 더욱 확고하게 차이가 나는 부분이며 비용을 본인이 부담했을 때 만족도 평균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인부담 지불능력의 한계가 있는 경우 본인부담금 경감방안을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장기요양 비용의 소득수준별 본인부담 차등적용방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사대상 노인의 신체적 특성에 대한 분석에서 흥미로운 점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대부분 없었지만 앓고 있는 질병 중 ‘신경통’에 대해서는 의료/생계급여 수급자가 월등히 많은 경우가 있었다. 차후 자세한 연구를 통해 경제적 제약 또는 요양보호사 외의 여타 수발보호자가 없음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질병 또는 기타 문제들에 대해 더 밝혀내고, 이에 따른 세심한 배려와 부가적인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태도에 관한 분석에서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반이용자에 비해 수급권자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수급권자가 요양보호사에 대해 좀 더 심리적으로 의지를 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양보호사에 대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보수교육과 훈련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복지서비스를 신청하는 노인들 대부분의 이유가 가족과 함께 지내며 요양서비스를 받고 싶어 하는 것이며, 본 서비스를 신청하는 사람 또한 본인보다는 가족에 의해 신청되어지고, 요양보호사가 없을 때에도 수발보호자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족적인 형태의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조사대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추가로 필요하다고 느끼는 서비스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중탕 이용도움, 이미용서비스 등의 일상생활 활동에 대해 서비스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요양급여 수급자의 경우는 추가로 수발가족에 대한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방문요양서비스의 경우는 일상생활에 대한 서비스 항목들을 좀 더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

      •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옥천지역 독거노인 대상으로

        성두식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옥천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독거노인의 실태를 알아보고, 이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를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관련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옥천군 주민등록에 독거노인으로 등재되어 있고 실제 홀로 살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345명의 대상자에 대한 설문조사 2007년 7월 약 한달 동안 옥천노인장애인복지관의 도움을 받아 대상자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지역주민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中嶋和夫 등(2003)에 의해 개발된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척도(SI-HRQOL-15: Satisfaction Index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가 사용 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2) 독거노인에 대한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척도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척도의 5가지 요인을 1차 요인, 건강관련 QOL 만족도를 2차 요인으로 하는 2차 요인모델을 설정하고, 데이터에 대한 적합도를 AMOS 6.0 통계 프로그램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3)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와 연관된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전체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수준에서 남성 독거노인이 여성 독거노인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정신적 요인에서 남성 독거노인이 여성 독거노인에 비해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연령층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연령층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연령이 증가하면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 학력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차이를 보면,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의 삶의 질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종교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차이를 보면,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집단이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보다 다소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5. 결혼상태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차이를 보면, 이혼을 한 독거노인 집단의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수준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하위 요인별로는 사회관계 요인, 환경편리 요인, 환경쾌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경제활동 유·무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수준을 보면,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집단이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집단보다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7. 소득충분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차이를 보면, 부족하다고 대답한 노인집단의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8. 질병 유·무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 수준을 보면, 질병이 있는 노인집단이 질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9. 독거노인의 우울정도를 살펴보면, 정상범위의 독거노인이 24.9%, 경증우울 36.9%, 중증우울 38.2%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와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와 우울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변인들은 독거노인의 연령, 교육정도, 결혼상태, 경제활동 및 소득충분도, 질병유무, 우울 등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연령이 어리고, 이혼을 하지 않고,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경제 활동하여 소득충분도가 충분하고, 질병이 없고,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atinquiring into actual stat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nvestigated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examined factors relating to the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Research objects were the elderly living alone in Okcheon. As part of measures to accomplish such purposes, 345 elderly men aged 65 and over living alone officially registered as the elderly living alone in Okcheon-gun were surveyed. Such research objects were interviewed in their own houses with the help of the Ok-cheon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Senior for about a month on July, 2007. Data collected to conduct this research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as follows. 1)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bjects. 2) The second-order factor model whose first-order factors are five factors of satisfaction index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SI-HRQOL) and second-order factor is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I-HRQOL) was set, and appropriateness of data was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6.0 statistical program to inquire into the appropriateness of satisfaction index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SI-HRQOL). 3) Correlation analysis, t-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nquire into factors relating to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based on such analyses may be summed up as following. 1.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ex, the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overall life of the male elderly living alone i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male elderly living alone i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in terms of mental factors. 2.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was not systematically significant. On the whol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ended to decrease as the age increased. 3.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the elderly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university had the highest quality of life. On the whole, the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creased as they have higher education level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religi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group having religion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group whose members don't have religion. An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relig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marital state, the group of divorce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had the lowest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verall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relation, which is the sub-factor. 6.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whether the elderly living alone perform economic activities, the quality of life the group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performed economic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didn't perform economic activities. And it was statically significant. 7.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fficiency of income, the group of the elder living alone who answered that their incomes were insufficient had the lowest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fficiency of income was statically significant. 8.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whether the elderly living alone suffer from disease, the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suffered from disease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didn't suffer from disease. 9. As for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24.9 percent of them were normal, and 36.9 percent of them suffer from mild depression, and 38.2 percent of them suffer from major depression. The result of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that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Taken together,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clude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degree of sufficiency of income, disease and depression. At last, it was confirmed that satisfaction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 living alone increases as their age decreases, and they have lower education levels, and the degree of sufficiency of income increases due to performance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decreases, and the elder living alone don't suffer from disease.

      • 빈곤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 중심으로

        조혜숙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War of the ashes in this study, using welfare services and poverty among the elderly in the state of elderly and the depressed level of measurement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rimary one, and it has a purpose, ultimately, the future of poverty through Depression in the elderly can be prevent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develop mere effective policies for purpose of staging has become. Surveyed to gauge their level of depression verify t, ANOVA, SPSS 11.0 analysis of the cross, was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s. Therefo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indicated the overall poverty of the elderly Depression scores eoteumyeo an average 8.30 points, to 84.7% of subjects with depression is suspected of poverty of the elderly indicate that depression is a serious condition. Second, the population according to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pressed elderly poverty level for a look, depending on the gender difference in depressed about whether the result of the depressed men than women said. Third, economic factors in family income, job instantly, economic status, home ownership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whether the respondents belonging to the input variabl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ce. Fourth, the physical health factors for depression in elderly poverty impact of out of any branch to learn more about the various sub-type of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by the daily performance results and said the only significant influence. Fifth, the activities of the depressed elderly in poverty factors to determine the impact of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survey conducted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the type of results has been made, according to a recreational experience higher propensity to depression show that low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eoteumyeo higher depression showed a tendency to appear low. Sixth, poverty, social support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in the elderly for more social support, friend support,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satisfaction ashes in the number of services was seen as sub-variables, social support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pression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 child support friends, family function, appeared to support the family. Therefore, the degree of depression in elderly poverty analysis based 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nonhamyeon results follows. A high degree of poverty of the elderly pyeonyida be depressed, especially the poor health status pyeonyida. Next,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factors, are recreational activities. Degree of poverty of the elderly depressed because many factors affect the elderly's own problems, rather than recognized as a problem experienced by everyone recognizes will recommend. In this study, depressed elderly people to reduce poverty, the most interesting thing to keep your friends and neighbors, and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income support and support economic activities, food and medical services are called the support. In particular, poverty is at the elderly in the area for a healthy life of the Welfare and Health Center, dong, consists of a variety of community service organizations by providing a network of senior citizens by lowering the degree of depres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do good job will.

      • 그림자극과 문장의 종류에 따른 초기 문장 수용 및 표현 연구 : 4-6세 아동을 중심으로

        정다혜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그림자극과 문장의 종류가 초기 문장의 수용 및 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학교체육시설 실태 파악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대전지역)

        김병수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This study is aimed to improvement of future-oriented and efficient management for faciliti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in Daejeon. Schools in Daejeon were visited for this research of the facilities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the existing circumstances of the facilities were difference forms and standards each school. Therefore if schools and teachers want to change the inferior circumstances into an efficient thing for P. E class, each school must meet in conference for what they have to for advanced facilities of physical education from now on. Above all, if future-oriented high leveled teacher and specialization of facility management are needed, it must be strengthened education for facility management in the course of physical education of university as well teachers' in-service training. 본 연구는 각급 학교의 체육시설 실태와 관련한 기초자료 분석 및 현장 조사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학교체육시설로서 제반 운영 방식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현장 방문을 통한 학교체육시설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대상 학교마다 상이한 규격과 형태로 체육시설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악한 시설 여건 속에서도 담당 교사의 창의력과 열의, 그리고 학교 당국의 관심과 지원을 통해 해당 학교의 체육 수업의 장이 수혜자인 학생과 지역 거주민을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시설 본연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학교도 있었고, 모든 시설을 초현대적으로 구비한 가운데 내적 구성원들의 헌신이 부가되어 현장 경험 자체가 하나의 희열이었던 학교도 존재하였다는 점은 연구를 통해 얻어진 중요한 성과이다. 이에 따라 학교나 일선 교사들이 학교의 체육시설이 가지고 있는 열악한 환경을 효율적인 체육수업의 장으로 활용하려면 향후 선진형 학교체육시설이 지향해야 할 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단위학교에서의 협의회가 이루어져야겠다. 특히 미래지향적이고 보다 높은 수준의 체육교사 및 시설운영의 전문화를 지향한다면 현직 체육교사의 재교육 강화뿐만 아니라 대학의 체육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내에서도 시설 운영 및 경영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 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 kim, Je-Yeon

        김제연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This study‘s aim is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school, to enhance their quality by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students in Deajeon, and to produc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studying trends and ways to improve lessons. For this reason, satisfaction about classes was investigated at some of the middle schools in Daejeon. Four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class environment, the contents of lessons, the effectiveness of both the class a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bout the environment of classes: The condition of students' health made no difference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of the classes, but there was a difference related to gender. Male students had greater satisfaction in the environ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n famale students. As the result of dispersion analysi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first graders and second graders. The first grad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compare to the second graders. Second, about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lessons: Students tend to be satisfied with them for the most part. This is true, regardless of their health, sex or grades. Third, about the satisfaction with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comparison of a group of very healthy students with a group of weak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of very healthy students had higher satisfaction. Other health-based comparisons of groups did not show any distinctions. There was also a disti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The study also showed a difference among different grades. 1st and 3rd graders showed a distinction compared to 2nd graders, and 1st graders'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3rd grades. Fourth, about the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health of the teachers, there were only two dissatisfied respondents, so it would be fine to consider this as no difference. In regard to gender,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any of the grades. In conclusion, the satisfaction of male students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e satisfaction of healthy students is higher in all categories: class environment, lesson content, class effectiveness and teacher effectiveness. Physiologically healthy male students'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nd when comparing students by age, the first graders are relatively higher. This is because middle school teachers, with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gained in their major, are better qualified to teach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leads to elevating the quality of classes. 본 연구는 대전 지역 중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학교체육의 중요성을 높임과 동시에 체육수업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고 앞으로의 학교수업 방향 및 개선 방안을 연구하여 학교체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지역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건강상태, 성별, 학년의 조건에 따른 수업환경, 수업내용, 수업효과, 체육교사의 4가지 요인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업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건강상태에 의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정되었으나, 성별에 의해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보다는 남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학년에 의한 만족도는 분산분석 검정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 1학년과 2학년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만족도는 2학년에 비해 1학년이 높았다. 둘째,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건강상태와 성별, 학년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각 항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건강상태에 의해서는 아주 건강하거나, 아주 허약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에서 차이가 있고 아주 건강한 집단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집단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의한 만족도도 차이가 있다고 검증이 되었으며,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만족도가 높았다. 학년에 의한 만족도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학년보다는 1학년과 3학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3학년보다는 1학년의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체육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건강상태에 의해서 만족도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불만족에 응답한 응답자는 2명임을 감안할 때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사려 된다. 성별에 의한 만족도는 여자에 비해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의한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요약하면 전반적으로 만족도는 건강상태에 의해서는 건강한 학생들이 수업환경이나 내용, 효과, 교사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으며, 생리학적으로 좀 더 튼튼한 남자가 여자보다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년간의 만족도 차이는 1학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초등학교보다는 중학교 교육과정이 체육교육을 전공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 환경의 변화에서 수업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왔으며 이런 환경의 변화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가 돼지양념갈비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정준우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For maintaining the hygiene, marinated pork rib steaks(MPRS) are irradiated with gamma ray and electron beam. And the changes of total microb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during storage.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For sterilization of total microbes, when the gamma ray and electron beam were irradiated to MPRS, the gamma ray was more effective than electron beam. For sterilizing the total microbes of MPRS, the gamma ray was needed about 45kGy and electron beam was needed more than 45kGy. 2. In measuring the lipid oxidation, according to increase the dose of gamma ray and electron beam and the storage time, the TBA values for lipid oxid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hen the MPRS irradiated with 45 kGy dose was stored for 30days, the TBA values of the MPRS irradiated with electron beam was 3.38 ㎍ malondialdehyde/g, those with gamma ray was 2.99 ㎍ malondialdehyde/g. As a result, the lipid oxidation could be more accelerated by electron beam than gamma ray. 3. In sensory evaluation, the acceptabilities of color, taste and texture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the irradiation dose in both ray. (p<0.05). In overall acceptance, the difference between both ray was not detected, however, when irradiation dose was over the 40 kGy, the overall acceptance was dramatically decreased. 4. In analysis using by electronic nose, the peak height of aroma pattern wa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irradiation dose. This results could be the similar with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여성의 사회화는 식품에 대한 간편성과 편리성을 강조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외식의 보편화와 단체 급식의 보급률이 증가되었다. 이는 집단 식중독 발생 빈도 및 식중독 환자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식품제조 및 가공업체의 생산품목도 장기보존이 가능하고 바로 섭취하거나 최소 조리 과정만 거치는 식품을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중적 육가공품인 돼지양념갈비의 위생화를 위해 감마선 및 전자선을 고선량으로 조사하여 저장 중 위생안전성과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확인하였다. 1. 미생물의 사멸을 위해 사용된 감마선과 전자선에 있어서 감마선의 효과가 더욱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돼지양념갈비의 멸균이 요구될 경우 감마선은 45 kGy, 전자선의 경우 그 이상의 선량으로 조사를 해야만 할 것이다. 2. 지방의 산패도를 측정하였을 때 감마선을 조사한 돼지양념갈비의 저장 기간 및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지방산패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또한 전자선을 조사한 경우에도 가속 저장 기간 및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돼지양념갈비의 TB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특히 감마선 조사된 돼지양념갈비보다는 전자선 조사된 돼지양념갈비의 TBA값이 더욱 낮게 나타났다. 저장 30일째 45 kGy로 방사선 조사 시 감마선은 2.99 ㎍ malondialdehyde/g을, 전자선은 3.38 ㎍ malondialdehyde/g으로 전자선보다 감마선 조사시 지방의 산패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관능평가 결과, 색, 맛, 조직감에 대한 기호도는 감마선 및 전자선 모두에서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조사선원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인 기호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40 kGy 조사군 부터는 급격히 기호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SAW sensor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된 돼지양념갈비의 향기패턴에도 감마선의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비조사군보다 peak가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험 결과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패턴의 변화가 뚜렷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관능검사 결과에서 이취의 강도가 조사선량의 증가와 비례적으로 증가한 결과와 같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