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랴오닝성 경찰공무원의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준군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중국 랴오닝성 경찰공무원의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5문항과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 그리고 생활만족을 묻는 5점 Likert 형 43문항 등 총 4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5년 현재 중국 랴오닝성의 심양시(沈阳), 대련시(大连), 안산시(鞍山), 진저우시(锦州), 랴오양시(辽阳) 내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근무기간이 1년 이상인 경찰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5년 5월 11일부터 2015년 07월 20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3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불성실하게 기입되거나 누락된 설문지 26부를 제외한 최종 324부의 설문지를 Windows Program SPSS/PC Version 22.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및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과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참여동기의 차이에서 성별과 연령,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결혼여부에서는 외적 동기만 기혼이 미혼 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경찰경력에 따른 차이에서 외적 동기에서 21년 이상과 1-5년, 21년 이상과 6-10년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력에 따른 차이에서 외적 동기는 대학원 이상과 전문대학 졸업, 대학원 이상과 대학교 졸업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 성별과 결혼여부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는 내재적 제약에서만 20-29세와 40-49세, 30-39세와 40-49세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경찰경력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는 내재적 제약에서만 1-5년이 6-10년, 11-15년, 16-20년, 그리고 21년 이상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21년 이상과 6-10년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력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는 대인적 제약에서만 대학원 이상과 대학교 졸업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에서 경찰경력에서 21년 이상과 6-10년에서, 학력에서는 대학원 이상과 대학교 졸업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경찰공무원의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과 생활만족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하위요인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분석에 투입된 여가참여동기의 3개의 독립변인(무동기, 외적 동기, 내적 동기)이 생활만족에 22.5%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제약의 3개의 독립변인(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이 생활만족에 19.0%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여가참여동기의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여가제약은 구조적 제약 보다는 내재적 제약과 대인적 제약이 생활만족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니, 경찰공무원의 자질과 자존감의 함양과 더불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관심과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how the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influences on leisure constrai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hat was composed with a total of 48 questions; multiple-choice questions that inquiring conventional personality traits of the research respondents, and Likert 5 Point Scale questions that inquiring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leisure constraint,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Towards this end, police officers in Liaoning province of China whose service period was more than a year as of 2015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350 police officers was conducted by means of a self-administration method from May 11 to July 20, 2015. For data proces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the final 324 questionnaires using a Windows Program SPSS/PC Version 22.0.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earch hypothese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based on conventional traits of police officers. As per marital status, married respondents showed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 than unmarried ones only in external motivation. In compliance with police work experience, between over 21 years and 1 to 5 years, and, between over 21 years and 6 to 10 ye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rnal motivation. As per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bove graduate school and junior college, and, between above graduate school and undergraduate scho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rnal motivation.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 factors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based on conventional traits of police officers. As per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by age, between 20 to 29 years old and 40 to 49 years old, and, between 30 to 39 years old and 40 to 49 years ol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internal constraint. In compliance with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by police work experience, 1 to 5 ye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 constraint, when compared with 6 to 10 years, 11 to 15 years, 16 to 20 years and over 21 year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over 21 years and 6 to 10 years. In line with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by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bove graduate school and undergraduate scho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ersonal constraints. Thirdly, between over 21 years and 6 to 19 years of police work experience, and, between above graduate school and undergraduate school by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based on conventional traits of police officers. Fourthly, the outcome of correlation analysis regarding police officers’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leisure constraint,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produced static correlation between sub factors. Hence, in order to figure out how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constraint influenced the satisfaction with life, multi s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ensued following outcomes.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internal motivation) that were applied in session analysis, of motivation in leisure participation influenced 22.5%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whil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ternal constraint, personal constraint, structural constraint) of leisure constraint influencing 19.0%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From aggregate outcomes, external as well as internal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internal constraint and personal constraint affect more likely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an structural constraint does, in respect of leisure constraint. In closing, as a means to nurture police officers’ qualifications and self-esteem while cultivating the ability to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s, thorough cares and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 경기태권도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른 득점기술의 변화와 효과적인 훈련방법 연구

        안적용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on changes in scoring techniques and effective training methods after application of Protector and Scoring System(PSS) in Taekwondo(TKD) Kyorugi competition to provide intrin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plan with practical training methods and scoring techniques at the PSS used TKD competitions for elite athletes and coaches. TKD competition related literatures and documents released by TKD related organizations were review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the coaches, university professors and athletes who have PSS experience as a athlete or coach with the investigator developed open questionnaire and in depth interview in Korea and China.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by Microsoft Excel and SPSS 23.0 were used to analyze comparison of means, ratio, and frequency.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perceived changes found from both athletes and coaches on scoring techniques and training methods at PSS used TKD competitions. The research found that ‘back-foot roundhouse kick’ was the most effective attacking technique, and ‘front-foot hopping roundhouse kick’ and ‘front-foot ax kick’ were found to be the 2nd and 3rd in Regular Chest Protector(RCP) used competitions. ‘front-foot cu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attacking technique and followed by ‘short-distance back-foot roundhouse kick’ and ‘back-foot roundhouse kick’. The ‘back-foot counter roundhouse kick’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defensive technique, followed by ‘back kick’ and ‘front-foot ax kick’ in RCP. The ‘front-foot cu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followed by ‘front-foot roundhouse kick’ and ‘punch’ in PSS. There were three techniques, the first, ‘back-foot counter roundhouse kick’, the second, ‘front-foot hopping roundhouse kick’, and dthe third, ‘back-foot roundhouse kick’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scoring techniques’ in RCP; and ‘front-foot cut’, ‘short-distance back-foot roundhouse kick’, and ‘front-foot roundhouse kick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scoring techniques in PS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found in scoring styles and scoring factors between RCP and PSS. the ‘defensive scoring styles’, ‘foot work’, and ‘back-foot technique styles’ were found to the top three most important scoring styles in RCP; and ‘short-distance technique’ and ‘front-foot technique styles’ were found to the top three most important scoring styles in PSS. The ‘timing factor’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scoring factor in both RCP and PSS; and an interesting issue was found that the ‘accuracy factor’ wa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factor in PSS meanwhile it was not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RCP. The ‘kicking training’ and ‘foot work’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both RCP and PS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CP and PSS found was ‘agility training’, ‘endurance training’ and ‘flexibility’. The ‘agility training’ was the 3rd ranked in RCP, however, it was ranked in 9th in PSS; the ‘endurance training’ was the 8th in RCP, but, ranked in 5th in PSS; and ‘flexibility’ was gotten lowest rank in RCP, but, ranked in 7th in PS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e application of PSS caused many changes in scoring techniques, scoring styles, and scoring factors at the TKD competitions; and the changes required TKD competition training methods. The significant changes found i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degrading the importance of ‘agility training’ along with the tactics, upgrading the importance of ‘flexibility training’, ‘scoring taining’ in elite TKD competition. Therefore, the elite TKD coaches and athletes need to aware the significant changes, and adjust their training programs and scoring technique training to the changed scoring system, PSS, in elite TKD compet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겨루기경기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른 득점기술 변화를 분석하고 변화된 득점기술에 따른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탐색하여 경기태권도 지도자들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훈련계획 수립과 전자호구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득점기술 훈련방법을 제시하여 선수들의 훈련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태권도 관련 문헌연구와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경기태권도 지도자와 선수, 대학교 태권도학과 교수 등 총 56 명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귀납적 범주분석과 통계프로그램 SPSS 23.0 과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분석(Compare Means), 가중치(Recode into Same Variable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사용 경기에서 선수와 지도자 모두가 득점기술과 훈련방법에서 변화가 있다고 나타났다. 일반호구에서 득점기술 중 가장 효과적인 ‘공격기술’은 ‘뒷발 돌려차기’로 나타났고, ‘앞발 빠른발’, ‘앞발 찍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자호구에서 득점기술 중 가장 효과적인 ‘공격기술’은 ‘앞발 컷트’로 나타났으며, ‘근거리 뒷발 돌려차기’, ‘뒷발 돌려차기’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호구에서 득점기술 중 가장 효과적인 ‘방어기술’은 ‘뒷발 돌려차기 받아차기’로 나타났고, ‘뒤차기’, ‘제자리 앞발찍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자호구에서 득점기술 중 가장 효과적인 ‘방어기술’은 ‘제자리 앞발 컷트’로 나타났으며, ‘제자리 앞발 돌려차기’, ‘주먹’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이 공격과 방어기술 구분 없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득점기술 세 가지를 우선순위별로 알아본 결과 일반호구에서 ‘뒤발돌려 받아차기’, ‘앞발 빠른발’, ‘뒷발 돌려차기 공격’ 순으로 나타났고, 전자호구에서 ‘앞발 컷트’, ‘근거리 뒷발 돌려차기’, ‘제자리 앞발 돌려차기’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호구와 전자호구의 득점유형과 득점요인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호구의 가장 주요한 득점유형은 ‘받아차기 유형’으로 나타났고, ‘발놀림’과 ‘뒷발기술 유형’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전자호구 사용시에는 ‘근거리 위주’와 ‘앞발기술 유형’이 가장 주요한 득점유형으로 나타났다. 득점요인의 변화에서는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사용 경기 모두에서 ‘타이밍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사용에 대한 가장 두드러진 득점요인 변화의 차이로는 전자호구 사용 경기에서 ‘정확도 요인’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경기가 일반호구에서 전자호구 사용 경기로 변화하면서 나타난 훈련방법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모두에서 ‘발차기 훈련’과 ‘발놀림 훈련’이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순발력 훈련’이 일반호구에서 세 번째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전자호구에서 ‘순발력 훈련’은 아홉 가지 요인 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득점 훈련’이 세 번째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일반호구에서 여덟 번째 중요하다고 나타난 ‘지구력 훈련’이 전자호구에서 다섯번째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호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 ‘유연성 훈련’이 전자호구에서는 일곱 번째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태권도 경기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라 득점기술의 하위요인인 득점유형과 득점요인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그에 따른 훈련방법의 변화도 요구됨이 나타났다. 전자호구 사용 경기에서는 ‘순발력 훈련’을 포함한 전술훈련의 중요성이 크게 낮아진 데 비해 경기 중 발차기 빈도가 늘어나 ‘지구력 훈련’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난 것과 얼굴 득점을 위한 ‘유연성 훈련’, 전자호구 특성을 고려한 ‘득점 훈련’에 대한 중요성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보아 태권도 경기에서 일반호구와 전자호구 사용에 대한 득점기술과 훈련방법은 매우 큰 변화가 나타났으므로 경기태권도지도자와 선수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여 전자호구 사용 태권도 경기에 적합한 득점기술과 훈련방법의 변화를 가져와야 할 것이다.

      • 유도선수의 주기별 훈련이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령근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periodic judo training on immunity function of male judo athletes and general students who exercise regularly more than 5 times a week.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DH, CRP, immunoglobulin IgG, IgA, and IgM were analyzed in 12 male judo athletes and 12 general students from Y University in Gyeonggi-do. All the data obtained produc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26.0,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blood components between group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actate dehydrogenase (LDH)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119.17±26.46 Unit/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163±48.44 Unit/L, indicating that the judo athlete group had a significantly (p<.05) higher difference than the general student group. 2.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reactive protein (CRP)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0.13±0.09 mg/d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0.16±0.17 mg/dl, which was 0.03 mg/dl higher in the judo athle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munoglobulin G (IgG)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951.75±144.96 mg/d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957.58±194.57 mg/dl, which was 5.83mg/dl higher in the judo athle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munoglobulin A (IgA)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183.83±79.96 mg/d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151.67±70.14 mg/dl, which was 32.16mg/dl higher in the judo athle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munoglobulin M (IgM)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73.08±20.59 mg/d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74.42±23.40 mg/dl, which was 1.34 mg/dl higher in the judo athle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given that the group of judo athletes who conducted regular judo train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DH results than ordinary students, it can be said that fatigue is accumulated due to periodic judo training, but it is considered to be moderate fatigue by judo training because LDH concentration is within the normal range. On the other hand, immunoglobulin IgG, IgA, and IgM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general student group, so it can be said that periodic judo training does not increase immunit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periodic judo training accompanies moderate fatigue accumulation and does not lower immunity. In the future, if follow-up studies on immunity of judo athletes in various environments are conducted along with exercise treatmen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further used as a reference for athletes and coaches in improving performance. 본 연구는 주 5회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남자 유도선수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주기별 유도훈련이 면역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연구 하는데 있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Y대학 남자 유도선수 12명, 일반학생 12명을 대상으로 LDH, CRP, 면역글로불린 IgG, IgA, IgM을 분석하였다. 얻어진 모든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 혈액성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Lactate dehydrogenase(LDH)의 비교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119.17±26.46 Unit/L, 유도선수그룹 163±48.44 Unit/L로 유도선수그룹이 일반학생그룹보다 유의하게 (p<.05) 높은 차이가 있었다. 2.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C-reactive protein(CRP)의 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0.13±0.09 mg/dl, 유도선수그룹 0.16±0.17 mg/dl로 유도선수그룹이 0.03 mg/dl 정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3.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Immunoglobulin G(IgG)의 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951.75±144.96 mg/dl, 유도선수그룹 957.58±194.57 mg/dl로 유도선수그룹이 5.83mg/dl 정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Immunoglobulin A(IgA)의 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183.83±79.96mg/dl, 유도선수그룹 151.67±70.14 mg/dl로 일반학생그룹에서 평균적으로 32.16mg/dl 정도 높게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Immunoglobulin M(IgM)의 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73.08±20.59 mg/dl, 유도선수그룹 74.42±23.40 mg/dl으로 유도선수그룹에서 평균적으로 1.34 mg/dl 정도 높게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볼 때 주기별 유도훈련을 한 유도선수그룹이 일반학생들보다 LDH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낸 결과로 보아 주기별 유도훈련으로 인한 피로가 축적되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LDH 의 농도가 정상범위에 속하므로 유도훈련에 의한 적당한 피로축적이라고 사료된다. 한편, 면역글로불린 IgG, IgA, IgM에서는 일반학생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주기적인 유도훈련이 면역력을 높이지는 않는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유도훈련은 적당한 피로축적을 동반하며 면역력을 떨어뜨리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운동처치와 함께 다양한 환경에서 유도선수들의 면역에 관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진다면 경기력 향상에 있어 선수 및 지도자에게 참고자료로써 더욱 활용될 것이라 생각되는 바이다.

      • 태권도 시범 특기자 대학 입시제도 도입에 따른 변화 탐색

        김정환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emer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aekwondo pilot screening into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and to predict future pilot changes.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Taekwondo demonstrations and finally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for Taekwondo demonstr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group of 15 experts, including university professors, demonstration leaders, and demonstration judges, were selected using the Delphi Method to conduct a three-round survey.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importance of predicting Taekwondo demonstration changes, an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e changes in Taekwondo demonstrations were very diverse and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Second, participants in the study mentioned structural changes, technical changes, conscious changes, and industrial changes as changes in future Taekwondo demonstrations. Structural changes we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s, teams, athletes and leaders, and the age of athletes would be lowered. It is predicted that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future Taekwondo demonstrations will continue, and effective measures will be needed to protect athlet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mpetition. Technical changes show technique that fuses with other sports, and training methods will also develop. It was predicted that dynamic access to athletes would increase and that new technologies would also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deterioration of kicks unrelated to college entrance exams and proficiency in technique were relatively low in importance. In the past, if various technical developments were prevalent based on splendor, it was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a technical development based on skill proficiency and basics. The focus should be on developing the right technique and culture based on the essence of future Taekwondo demonstrations. Conscious changes were expec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athletes' injuries, their academic performance, poor understanding, and sports deviations, and, on the contrary, relatively low importance for win at all costs mentality, decreased Taekwondo basic spirit, and increased individualism. In the case of injury to athletes, it can develop into problems such as organization departure, so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o protect athletes and prevent sports deviations is necessary. In industrial changes, media exposure was expected to increase, Taekwondo demonstration equipment was developed, and the siz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market was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Finally,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Taekwondo academies. As Taekwondo demonstrations were activated, the number of athletes and teams increased, which led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market. As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it should eventually find ways to lead to the revitalization of Taekwondo academies. Overall, as Taekwondo demonstrations became a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many changes have been made in not only skills but also in the culture of competitions, supplies, systems and athletes, and problems have emerged. This can be seen as a temporary phenomenon that occurred during the rapi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to solve this problem, it will be necessary to return to the essence of Taekwondo demonstration of “exemplary” rather than fancy skills and think about improving quality rather than quantitative growth. One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s that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ware of and wary of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f Taekwondo demonstration. Since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Taekwondo demonstrations has been proven through this study, and industrial possibilities are also high, identifying factor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future changes and applying them to the front-line site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Taekwondo demonstrations. 본 연구는 대학 입시제도에 태권도 시범 특기자 전형이 도입되고 나타난 변화에 대해 탐색하고 향후 시범 변화에 대해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태권도 시범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최종적으로는 태권도 시범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를 이용하여 대학교수, 시범 지도자, 시범 심판 등 15명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3차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시범 변화 예측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시제도 도입 후 시범의 변화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4개의 요인으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향후 시범의 변화로써 구조적 변화, 기술적 변화, 의식적 변화, 산업적 변화를 언급하였다. 구조적 변화로는 시범 대회와 팀, 선수와 지도자가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선수의 연령이 하향화 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시범의 양적 증가가 계속 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에 대한 선수 보호, 대회 질적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적 변화에서는 타 종목과 융합되는 기술이 나타나고 훈련법 또한 발전할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에 대한 역학적 접근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신기술 또한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반해 기술의 숙련도와 비입시 발차기 퇴화의 경우 중요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과거 화려함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기술의 발전이 성행하였다면 기술의 숙련도와 기본에 바탕을 둔 기술의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시범의 본질에 입각한 올바른 기술 및 문화 발전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의식적 변화에서는 선수의 부상빈도 증가와 선수의 학업 성취도, 이해도 저하 및 스포츠 일탈이 계속 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성적 이상주의와 태권도 기본정신 저하, 선수의 개인주의 증가의 경우 비교적 낮은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 부상의 경우 조직이탈과 같은 문제로 발전 할 수 있기 때문에 선수 보호 및 스포츠 일탈을 방지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산업적 변화에서는 미디어 노출이 증가하고 시범 용품이 개발되고 발달되며 시범 시장의 규모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현상이 태권도장의 활성화에 기여 할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시범이 활성화 되면서 선수 및 팀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이는 시범 시장규모의 증가로 이어졌다. 향후 이러한 현상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최종적으로는 태권도 시범이 태권도장의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종합해봤을 때 태권도 시범이 본격적으로 입시화되면서 그동안 기술뿐만 아니라 경기문화, 용품, 제도 및 선수 등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으며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 시범이 급격하게 입시화 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나타난 일시적 현상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려한 기술보다는 ‘모범을 보이다.’라는 시범의 본질로 회귀하여 양적 증가보다 질적 향상을 위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중 의미가 있는 것은 연구 참여자들이 태권도 시범이 입시화 되며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인지하고 경계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태권도 시범의 양적증가 가능성이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고, 산업적 가능성 또한 높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향후 예측되는 변화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일선 현장에 적용시킨다면 태권도 시범의 질적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 여자 노인들의 영양상태 및 당뇨 관련요인 분석

        김용미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보건소의 영양상태 조사에 참여한 여자 노인들을 대상으로 영양상태 및 혈당대사와 관련된 여러 지표들을 살펴보고, 혈당대사 이상의 지표로서 혈중 HbA1c(glycated hemoglobin) 농도를 사용하여 경제적으로 취약 가능성이 높은 여자 노인들의 당뇨에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5세 이상의 여자노인 121명에 대해 식이조사, 신체계측, 생화학조사 및 생활습관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대상자 중 혈액의 HbA1c 수준이 진단수치인 6.4% 이상이거나 당뇨로 진단 받은 노인들을 당뇨군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여자 노인들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당뇨군에 속할 위험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상태는 열량, 비타민 A, 비타민 B2, Ca, Fe을 제외하고는 RDA의 95%이상 섭취하고 있었다. 이 중 비타민 B2, Ca이 권장량의 64%, 66%로 권장량의 75%이하로 섭취하고 있었다. 당뇨군과 대조군의 영양소 섭취상태 비교를 보면 열량과 단백질, 비타민 A, Carotene, 식물성 단백질 및 Ca의 섭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 중 당뇨군의 단백질 섭취량을 제외하고는 두 노인군에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권장량에 비해 부족하였다. 특히 비타민 B2와 Ca은 권장량의 75%미만으로 섭취되고 있었다. 열량섭취 비율은 권장비율과 비교해 두 노인군 모두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이 높은 반면에 지방섭취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신체계측결과 당뇨군이 대조군에 비해 나이, Waist hip ratio는 높았으나(P<0.05), Triceps skinfold thickness는 낮았다(P<0.05). 혈액성분 분석결과 당대사 관련 지표인 혈액의 HbA1c, 혈당, 혈청의 Insulin, C-peptide, 총 유리지방산 농도가 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청 insulin, C-peptide는 두 노인군 모두 정상수준이었으나 혈청 총 유리지방산 농도는 두 노인군에서 모두 정상범위를 벗어난 수준에 있었다. 이는 복부내장지방의 지방세포가 지방 대사율이 빨라 지방조직의 분해가 공복시 혈청 지방산을 쉽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아 두 노인군에서 복부 내장 지방량이 높아 유리지방산 농도가 두 노인군에서 상승함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질상태 지표의 경우 혈청 총 중성지방, cholesterol, HCL-C, LDL-C농도와 혈액의 Atherogenic index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두 노인군 모두 정상범위 수준에 있었다. 단백질 영양상태 지표로써 혈청의 총 단백질, albumin, Total lymphocyte count 농도는 두 노인군 모두 정상범위 수준으로 두 노인군 모두 장기적인 단백질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보였다. 혈중 HbA1c 수준을 올리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노인들을 정상군과 당뇨군으로 분기화하여 생활인자, 체격인자 및 영양소 섭취에 대한 상대적 위험도(Odds ratio)를 계산하였다. 이때, 나이, 교육정도, 독거 유무, 활동정도, 용돈정도, Triceps skinfold thickness, Waist hip ratio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들 인자 상호간의 영향을 제어하고 독립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정도, 독거 유무, 한달 소비 용돈, Triceps skinfold thickness가 최종적으로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 식이 섭취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영양소 섭취량을 이러한 독립적인 인자들에 보정을 시켜 분석한 결과 열량, 단백질과 탄수화물, 인, 철, 캐로틴,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철분 섭취량이 상대적 위험도 증감에 관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위의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의 당뇨나 HbA1c 수준이 증가한 노인들의 경우 몇 몇 영양소를 제외하고는 영양소 섭취 상태가 양호하였으며, 당뇨나 HbA1c 수준 증가에 의해 당대사 관련 지표는 차이를 보였지만 단백질 영양상태는 정상수준 내에서 다소의 차이를 보였고, 지질 대사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노인들의 당뇨는 경제적 요인, 교육 정도, 독거, 피하지방과 일부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nutritional status, glucose metabolism related variables and to find out diabetes associated factors in female participants above age of 55 of general nutritional survey performed in public health center, who are probably in low social-economic statu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Diabetes group, HbA1c > 6.4% or Diagnosed diabetes mellitus, and Control group, HbAlc < 6.4% and Non-diagnosed diabetes mellitus. After that, related factors of high HbA1c group were analysed. The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higher than 95% RDA except energy, vitamin A, vitamin B2, Ca and especially, vitamin B2 and Ca intakes is under 75% of RDA.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vitamin A, Carotene, vegetable protein and C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abetes group than those of control group (p<0.05). Most nutrient intakes of high HbA1c group were lower compared to RDA except protein intake and especially, vitamin B2 and Ca intakes is under 75% of RDA. The energy composition of macronutrients, carbohydrate : protein : fat, showed the high energy intakes from carbohydrates, in contrast lower energy intake from fat in both elderly groups High HbA1c groups had higher age and WHR (P<0.05) but lower TSF(p<0.05) than control groups. No differences were shown in other anthropometric variables between two groups. Blood concentrations of HbA1c and serum concentration of glucose, insulin, c-peptide, free fatty acid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abetes elderly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P<0.05). The concentrations of insulin and c-peptide in serum was above normal range, but the level of free-fatty acids was in normal range. The lipid profiles in serum as like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cholesterol, HDL-C, LDL-C and atherogenic inde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and all the parameter were above the normal range. Total protein and albumin contents in serum, the protein nutrition status parameter, were in normal range in both elderly group. The serum album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high HbA1c(P< 0.05). To find out the associating factors with diabetes disease, variables of life stlye, anthropometry, and of nutients intake were dichotomized and relative risks (odds ratio) were calculated. Age, education, parital status, activity level, money consumption per month, triceps skinfold, waist-hip ratio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s. Exclusion of interrelated influences among those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al analysis, showed that the education level, parital status, money consumption per month, triceps skinfold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igh HbA1c. The significant dietary variables increasing or declining odds ratio, adjusted to those anthropoemtric and life stlye factors, were intakes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 P, Fe, carotene, vegetable protein and fe. In conculusion, th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with diabetes and hyperglycated hemoglobinemia were not good. The carbohydrate metabolism related variables and variables of protein nutritional status in blood were influnced by the existence of diabetes and high HbA1c in blood, but lipid profiles in blood was not. The diabetes and high HbA1c level in blood was associated with economic status, education level, partial status, fat skinfold and nutrients intakes.

      • 엘리트 복싱선수의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경쟁불안과 스트레스 미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남은진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help elite boxers train by identifying how mood control caused by elite boxers' listening to music affects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in two ways in this study. First, after conducting a quantitative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provide a com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results, and a mixed method of deriving the results was used. In order to carry out the explanatory design of the mixed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procedure conducted the first stage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second stag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s quantitative study, high school, university, and general departments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mong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Boxing Association as of 2023. The survey tool used a questionnai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was mood control, competitive anxiety, stress, atten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gender, type, career, representative career, winning or not), and mood control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is (recovery, attention change, mental activity). The dependent variables are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concentration, and specifically, competitive anxiety (physical anxiety, cognitive anxiety), stress (leader coaching stress, exercise performance stres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concentration, exercise confidence, immersion) are a total of 66 question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38 days, 28 days from February 1 to 28, 2023, and 10 days from March 11 to 20, over two occasions, including Google Forms and the 2023 National Boxing Competition for the President of the Korea BoxingAssociation. Google Forms, an online survey, explained in detail how to write, and during the competition, three assistant researchers trained by this researcher and a researcher became data collectors. They asked the study subjects to fully explain the purpose, purpose, research ethics, and writing method, and then to cooperate and approve the survey, and to faithfully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through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data processing method was computeri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and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mood control,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al concentration of music listen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reliability by Cronbach's alpha(⍺) value. Third, t-test and one-way random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mood control,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al concentration of music listening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ourth,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control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ood control on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al concentration by elite boxers.In the second-stage qualitative study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 rich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recommended by 10 players who could faithfully answer and listen to music from researchers and leaders who formed lapo, and the final 6 people were selected for those who wanted to participate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bout two weeks from April 10 to April 25, 2023. The in-depth interviews took about an hour per person to visit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person with this researcher and an assistant researcher with a doctorate degree and extensive experience in qualitative research. The interview's main questions were "self-introduction," "your career and experience," "why you listen to music," "music listening time," "music genre,"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competitive anxiety," and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stres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through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cell phone after obtaining consen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corder was subjected to classification analysis after transcription on the computer. Classification analysis is to find similarities based on the same semantic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is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 classified by marking the mood control function and competitive anxiety area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as ⓑ, the mood control function and stress area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as ⓒ. Next, the classified document data was made into data on a computer and described as a citation in the form of complementing each other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first analyzed data was confirmed by e-mail and phone calls to the study participants, and exaggerated, omitted, and misstated contents were repeatedly added and deleted through the mutual confirmation process. In order to secure the integrity of the data, member review and triangular verification methods were used. Using this research method, the result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n the difference in mood control of music listening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attention change. Second, in the difference in competition anxie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hysical anxiety.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stress of athlet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th,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entration and immersion only in the difference in the player's attenti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fth, the effect of mood control on competitive anxiety due to music listening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physical anxiety, an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were supplemented using a total of six quotes as research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Sixth, the effect of mood control on stress caused by music listening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leader stress, an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were supplemented using a total of 12 citations as research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복싱선수들의 음악청취로 인한 기분조절이 경쟁 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경기 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양적연구를 실시한 후 결과에 대한 상호보완적 설명을 할 수 있는 심층면담을 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절차 는 혼합연구방법의 설명적 설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1단계 양적연구와 2 단계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1단계 양적연구에서는 2023년 현재 대한복싱협회에 선수등 록이 되어있는 운동선수 가운데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설문지의 구성은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 인구통계학적특성 요인 등이다. 인구통계학적특성은(성별, 종별, 경력, 대표경력, 입상유무)이고 독립변인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은(회복, 주의전환, 정신활동)이다. 종속변인은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이고 구체적으로 경쟁불안은 (신체적불안, 인지적불안), 스트레스는(지도자코칭 스트레스, 운동수행 스 트레스), 주의집중력은(집중도, 운동자신감, 몰입) 등으로 구성되었고 총 66문항이다.자료수집은 Google Forms와 「2023 국가대표 최종선발전 및 2023 대 한복싱협회장배 전국종별복싱대회」기간 등 2회에 걸쳐 2023년 2월 1일 부터 28일까지 28일간, 3월 11일부터 20일까지 10일간 총 38일 동안 진행되었다. 온라인 설문인 Google Forms는 작성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고 대회기간 중 설문조사는 본 연구자에게 교육을 받은 보조조사 원 3인과 연구자가 자료수집원이 되었다. 이들은 연구대상자에게 취지와 목적, 연구윤리, 작성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후, 설문에 대한 협조 와 허락을 얻은 뒤 진행되었고 설문에 성실하게 임해 달라고 당부하였다. 설문 방식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고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음악청취의 기분조절,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하여 Cronbach’s ⍺값으로 신뢰성을 판단하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음악청취의 기분 조절,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독립변인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 과 종속변인인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 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다섯째, 엘리트 복싱선수의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본 연구의 2단계 질적연구에서는 양적연구 결과에 대한 풍부한 해석을 위하여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자와 라포가 형성되어 있는 지도자로부터 성실하게 답변을 해줄 수 있고 음악청취를 하는 선수 10명을 추천받아 대학부, 일반부 선수 가운데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참여를 희망하는 자를 대상으로 최종 6인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및 절차는 2023년 4월 10일부터 4월 25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 심층면담을 하였다.심층면담은 본 연구자와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질적연구에 대한 수행경험이 풍부한 보조연구원 1명과 함께 연구참여자에게 직접 방문하여 연구 의 목적과 내용, 면담 실시방법, 자발적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받았 고 1인당 1시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면담의 주요 질문은 ‘본인 소개’, ‘본인의 경력 및 경험’, ‘음악청취 이유’, ‘음악청취 시간’, ‘음악 장르’,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전환’, ‘음악청취의 기분전환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음악청취의 기분전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음악청취의 기분전환이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구조화된 질문을 했으며, 상황에 따라 참여자의 답변에 추가 질문을 하는 비구조화 면담도 하였 다. 모든 면담은 동의를 구한 후 핸드폰의 녹음기능을 통하여 녹음하였다. 녹음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컴퓨터에 전사 작업을 거친 후 분류분 석을 하였다. 분류분석은 같은 의미론적 관계를 근거로 유사성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기능과 경쟁불안 영역은 ⓑ,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기능 과 스트레스 영역은 ⓒ,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기능과 주의집중력은 ⓓ로 표시하여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분류된 문서자료를 컴퓨터에 자료 로 만들고, 양적연구 결과에 상호 보완하는 형태의 인용문으로 기술하였 다. 1차 분석된 자료는 연구참여자에게 e-mail, 전화통화를 하여 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과장, 누락 및 오 기입 된 내용은 상호 확인과정을 통해 추가 및 삭제를 반복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원 검토, 삼각검증법 등을 이용하였다.이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음악청취의 기분조절 차이에서는 주의전환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경쟁불안 차이에서는 신체적불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선수의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선수의 주의집중력 차이에서는 집중도, 몰입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적불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결과로 총 6개의 인용문을 활용하여 양적연구의 결과를 보완 설명하였다. 여섯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지도자코칭 스트레스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결과로 총 12개의 인용문을 활용하여 양적연구의 결과를 보완 설명하였다. 일곱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집중도, 운동자신감, 몰입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결과로 총 10개의 인용문을 활용하여 양적연구의 결과를 보완 설명하였다.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음악청취의 회복, 주의전환, 정신활동 등 기분조절기능은 엘리트 복싱선수들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 였다. 즉, 음악은 선수들로 하여금 경쟁불안을 낮추고 스트레스를 해결해 주며, 주의집중력을 높여주는 매개체로써 신체적, 생리적,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