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재 밀폐 포장용 고차단성 필름의 보존환경 제어 특성 연구

        정재웅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preventive conservation lies in minimizing the damage to heritages and avoiding direct touch with materials, which is in accord with the ground rule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etting up a preservation environment, which falls into a category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means minimizing unavoidable deterioration caused by air exposure. As a means to build preservation environment, installing air conditioner is encouraged. However, due to high installation and upkeep costs of an air conditioner, alternative methods are used at some museums and excavation institutions keeping cultural collections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or packing each item with barrier films. Since airtight packaging with barrier films is efficient in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it is used widely in long-term preservation of different heritages in a limited room, in temporary storage after excavation or during waiting time for reversion to state, and in short-term packaging for transportation. E film produced by Japanese company M has been used for past 10 years without comparison with similar products. Because of whole quantity import, the price range has increased. Meanwhile, the domestic market scale of barrier films has enlarged as they are widely used in the electronics industry producing goods such as semiconductors and LCD products, the agriculture industry, and the printing business. And our own technology has developed as well. Accordingly, E film, which is currently used for packing cultural heritages, is compared with L film and N film, which are generally used for packing electronic products, S film, which is similar to E film, and P film, which is used as collecting bags for cultural heritages. With those samples, we examined and compared the properties that control preservation environment along with their insulation propert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As a result of tensile strength measurement, S film was slightly stronger than E film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strength of N film and L film was half the strength of S film. concerning P film, its elongation ratio was very high, but the strength was measured to be low. As a result of UV/VIS absorbance test, E film showed the highest absorbance in the UV-A range of 200 to 280nm, but in the UV-B range of 280 to 320nm, its absorbance fell sharply compared to S film, N film and L film. P film failed to absorb UV, letting it penetrate into the inside. As a result of color measurement after artificial deterioration, increasement of B* value, which is the yellow index, was commonly observed on every sample except P film. Oxygen/vapor permeability test showed that P film has the lowest permeability. While oxygen permeability of other 4 samples was under 0.001㏄/㎡·day showing few difference among them, vapor permeability difference among them was 0.1g/㎡·day. However, when put together with corrosion status of iron specimens and relative humidity penetration shown by oxygen/vapor permeability measurement, 4 films, which are within the margin of error, seem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us, if it is used with consideration of daily relative humidity, proper maintenance of preservation environment is possible. 예방보존(Preventive conservation)은 문화재의 재료와 구조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으면서 손상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하는 문화재 보존의 기본 원칙에 부합한다. 문화재 보존의 한 범주인 보존환경 조성은 대기에 노출되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열화의 최소화를 의미한다. 보존환경을 조성하는 수단으로 온·습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를 설치를 권장하고 있으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어 일부 공·사립 박물관과 발굴기관에서는 밀폐형 항온·항습장에 보관하거나 고차단성 필름으로 각 개체마다 밀폐 포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고차단성 필름을 활용한 밀폐 포장은 다른 보존환경 제어 방법에 비해 접근성, 경제성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서 적정 환경이 다른 문화재의 장기적 보존, 출토 직후나 국가귀속 대기 기간 동안의 임시 보관, 운반 및 이동을 위한 단기간 포장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문화재 밀폐 포장에는 일본 M社의 E film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10여 년 동안 사용하면서 유사제품과의 비교 검토가 미진하였고 전량을 수입하기 때문에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고차단성 필름은 전자제품(반도체, LCD등)산업, 농업, 인쇄업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며 기술적으로도 동반 성장을 이루었다. 따라서 현재 문화재 밀폐 포장용 고차단성 필름으로 사용하고 있는 E film과 국내에서 전자제품 포장용으로 판매하고 있는 L film, N film, 및 E film과 유사한 물성을 제조한 S film, 그리고 문화재 수습봉투로 사용하고 있는 P film을 샘플로 선정하여 보존환경을 제어하는 특성인 물성과 기체 차단력을 비교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측정 결과 강도는 S film이 E film보다 근소하게 높고 N film과 L film은 S, E film에 비해 절반 정도 낮았으며 P film은 연신률은 높으나 강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자외·가시광 흡광도 측정 결과 E film은 UV-A(200∼280㎚)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이나 UV-B(280∼ 320㎚) 영역에서는 S film, N film, L film에 비해 흡광도가 급격히 낮아지며 P film은 대부분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고 내부로 투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공 열화 후 색도 측정 결과 P film을 제외한 4종의 샘플에서 Yellow index가 증가하였다. 산소 및 수증기 투과도 측정 결과 P film을 제외한 다른 4종의 film은 산소 투과도가 모두 0.001㏄/㎡·day이하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수증기 투과도에서는 최대 0.1g/㎡·day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온·습도 재현 실험의 상대습도 투과량과 샘플 내부에 봉입한 철시편의 부식 상태 및 색도 변화를 연계하여 살펴보면 오차 범위 내로 유의차는 없었으며 측정된 일별 상대습도 상승량을 고려하여 활용한다면 적절한 보존환경 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회화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가사리에 관한 연구

        손미경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Oriental paintings are composed of base layer, adhered layer and pigment layer. Silk, which is base layer, must be Janghwang, because it can't go around the world as a sheet. The paintings which have gone through Janghwang receive damages in many forms as it is viewed for a long time, and the process in which pigment is bonded with glue, floating backing paper is removed, and the paintings are papered with wheat starch glue again. As it turns to modern society, Pulgasari(glue plant; ふのり) from Japan is used as the excellent material excellent in half-adhering and being removed by water, which means it has excellent reversibility. Such Pulgasari is sometimes misunderstood as Gelidium. According to literature records, Pulgasari is antler herb, and when it touches water, it becomes a glue and sticky. Gelidium is an oyster herb, and it coagulates. The chemical natures of the two red algae depend on difference of sulphate; Pulgasari has viscosity but does not gelatinize immediately whereas Gelidium has less sulphate so that it is gelatinized and solidified in low temperature and density. Therefore, it is not adequate to be used as glue for conservation of cultural assets. Currently, Pulgasari is used as facing, maintenance glue and wheat starch additive, and it is widely used as glue for confrication of pigment layer overseas. Because facing should be removed with water again, it's desirable to extract in room temperature in which Pulgasari does not remain. The domestic Pulgasari was produced, and the experiment compar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Pulgasari and those of Hiromi, Masum, which is in the existing market by measuring pH, salinity, viscosity, and adhesion strength. Basically, the values of pH were all neutral in the domestic product and the products in the existing market. It was effective to cleanse in order to lower the salinity. About 3% of Pulgasari had almost no salinity values so it does not affect the conservation of oriental paintings. The viscosity was highest in Pulgasari, and as the higher the temperature went, the lower the viscosity gets and Pulgasari in the room temperature has the highest viscosity. Our domestic Pulgasari had viscosity values similar to the Pulgasari for sale values to ones for sales, so it can be used as conservation of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The higher temperature makes the increase the Adhesion strength, and the domestic Pulgasari was the highest. In the result of research on Pulgasari through the literature and chemical structure above, Pulgasari and Gelidium have different nature, so they should be corrected and be called Pulgasari. Also, since it was found that Pulgasari which is produced as the domestic one can be commercialized in the domestic market, homemade Pulgasari should be produced and utilized in the field of conservation of cultural assets. 회화문화재는 바탕층, 접착층, 안료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탕층인 비단은 낱장으로 돌아다닐 수 없으므로 장황을 한다. 장황된 회화는 오랜 세월 동안 여러 형태로 손상을 입게 되며 꾸준한 수리를 거쳐 오늘날까지 전해져 왔다. 일본 회회보존처리에 사용되는 후노리(ふのり)는 현대에 들어와 가역성이 우수한 재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 후노리는 우리나라에서 풀가사리라고 하는 홍조류로 문헌기록을 살펴보면 鹿角菜로 기록되어 있으며 물에 닿으면 풀처럼 끈끈하다고 한다. 이와 비슷한 홍조류로 풀가사리와 혼돈하기 쉬운 우뭇가사리가 있는데, 石花菜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응고된다고 한다. 이 두 홍조류의 화학적 성질은 황산염의 함유량 차이에 따라 다르다. 풀가사리는 황산염 함유량이 높고, 점성이 있지만 즉각적으로 교질화되지 않는 반면 우뭇가사리는 황산염 함유량이 낮고, 저온·저농도에서 교질화되어 문화재 보존 시 접착제로는 적합하지 않다. 국내에서는 보존처리 재료로 사용하는 풀가사리를 우뭇가사리로 잘못 인식하고 있으므로 이를 풀가사리로 정정하여야 한다. 현재 풀가사리는 facing(임시표면접착), 보수용 접착제, 소맥전분풀첨가제로 쓰이며, 안료층의 분말화 접착제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facing은 회화보존 후 다시 풀가사리를 제거해야하므로 회화에 잔류하지 않도록 실온추출 풀가사리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고에서는 현재 보존처리 재료인 후노리를 일본으로부터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국내 풀가사리의 사용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조 실험해보았다. 홍조식물 풀가사리류는 3종류로 풀가사리, 불등풀가사리, 애기풀가사리 3종을 구입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은 제조한 국내산 풀가사리 2종과 불등풀가사리 1종, 일본에서 시판되고 있는 Hiromi 社의 풀가사리 1종, 불등풀가사리 1종, Masumi 社의 풀가사리+불등풀가사리+애기풀가사리가 혼합되어 있는 1종을 구입하여 pH, 염도, 점도, 접착강도를 측정하여 물성을 비교해 보았다. pH는 모두 중성으로 나타났고, 염도는 세척 할수록 제거되었으나 점성도 함께 낮아지므로 적정한 염분제거와 점성유지를 고려해야 한다. 점도는 풀가사리〉불등풀가사리〉애기풀가사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풀가사리에 비해 불등풀가사리는 점도가 약하고, 애기풀가사리는 점도가 없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후노리는 풀가사리와 불등풀가사리를 구분하거나, 혼합하여 판매하고 있는 형태이다. 점도측정 결과 풀가사리〉풀가사리+불등풀가사리+애기풀가사리〉불등풀가사리 순으로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도는 점점 낮아졌다. 국내산 풀가사리류 3종 중 풀가사리가 시판용 후노리와 근사한 점도값이 나와 앞으로 문화재 보존에 활용할 수 있다. 접착강도는 풀가사리〉불등풀가사리〉풀가사리+불등풀가사리+애기풀가사리 순으로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강도가 높아졌다. 이상으로 경험적으로 조제했던 풀가사리에 관한 물성을 측정하였다. 앞으로 우뭇가사리를 풀가사리라고 정정하여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국내산으로 제조한 풀가사리가 실험을 통해 국내에서 실용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문화재 보존에 활용하여야 한다.

      • 종이에 발생한 Foxing 얼룩의 손상 특성과 보존 방법 연구

        조다영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Foxing, which manifests as small, circular spots of yellow, brown, or reddish-brown hues on paper-based materials like drawings, books, and printed matter, is an unwanted form of damage. This deterioration is prevalent across various papers, from ancient ones with profound historical and cultural importance to contemporary productions. It's not merely an aesthetic issue that diminishes their value; in severe cases, it can lead to structural damage, weakening the paper's strength. As a result, preservation efforts become necessary. This paper seeks to offer a foundational comprehension of foxing and its ongoing research trends by reviewing past studies from active overseas research. Additionally, it aims to propose conserv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tailored for addressing foxing issues in Korea. Despite extensive studies on foxing over time, its causative factors and formation processes remain unclear. In recent years, investigations have linked foxing to oxidation and discoloration phenomena. These common traits of foxing induce paper damage irrespective of its origin. Hence, this paper concentrates on elucidating the repercussions of foxing and furnishes practical directives for mitigating these effects through experimental methodologies. Experiments examining oxidation and discoloration revealed that foxing undergoes greater oxidation compared to the surrounding paper. Moreover, the discoloration observed in foxing can be influenced by the oxidation of cellulose. Using these findings as a foundation, we investigated preservation techniques aimed at alleviating oxidation and dis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 ancient writings and drawings were commonly crafted using paper or fabric as their primary materials, often involving a process known as lining, which includes affixing multiple layers of paper to the back. When these writings or drawings face damage, traditional methods and materials are employed to enhance their preservation. The experiment involved two types of samples. The first type encompassed foxing observed on each page resembling books or documents. The second type involved foxing found within pictures resembling traditionally lined paintings. To effectively address the primary issues of oxidation and discoloration caused by foxing on damaged paper, the main methods used in foxing treatment currently involve cleaning and bleaching. Therefore, in the experiments, we conducted treatment tests based on preservation methods such as wet cleaning, wet cleaning with suction, wet cleaning with bleaching, and standalone bleaching. Subsequently, degrad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and stability of these preservation techniques. In all experimental samples, both the acidity and the extent of discoloration in the foxing stains were effectively reduced. Discoloration was successfully removed using the traditional preservation method of washing treatment. Washing treatment with suction, alongside suction, proved more effective in removing discoloration from the cellulose structure. Washing treatment with bleaching and standalone bleaching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 more effective discoloration removal compared to samples treated solely with deionized water. While subsequent artificial degradation tests aiming to assess stability didn't exhibit significant alterations, both types of bleached samples showcased additional damage attributed to stains that weren't initially present. This wa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case of lining painting samples, which displayed further harm due to fresh stains on the replaced backing paper. Despite the considerable efficacy of bleaching compared to using deionized water alone, the conducted artificial degradation tests aimed to affirm result stability ended up causing additional damage due to previously non-existent stains, indicating the advisability of avoiding bleaching. Once foxing appears on paper, it becomes difficult to reverse. Hence, prioritiz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foxing before it manifests on paper surfaces is crucial. Additionally, continuous research is essential to develop methods for treating paper affected by foxing. 폭싱은 종이 표면에 황색, 갈색, 적갈색의 작고 동그란 반점 형태의 얼룩으로, 종이나 그림, 책, 인쇄물 등 종이 재료로 가공된 것에 나타나는 원치 않는 손상이다. 폭싱에 의한 손상은 오랜 역사적, 문화적 의미가 있는 고서화에서부터 현재 생산된 종이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폭싱에의해 그 가치가 저하되는 미적인 훼손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종이 강도저하와 같은 구조적인 훼손도 동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존 대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조사를 통해 폭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폭싱에대한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폭싱은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과 형성 과정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며, 최근에는 폭싱의 현상과 관련하여 폭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화와 변색은 종이에 손상을 유발하는 폭싱의 현상으로 다양한 폭싱의 원인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다. 그러므로 폭싱에 의해서 나타나는 종이의 손상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실험적인 접근으로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화와 변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폭싱은 주변의 종이에 비해서 더 산화되었으며 폭싱의 변색은 셀룰로오스의 산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산화와 변색을 완화하기 위한 보존 방법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의 서화는 종이나 비단의 바탕 재료를 사용하였고 이를 장황하기 위해 여러 겹의 종이를 배접지로 사용했다. 이러한 형태의 서화 샘플과 책과 같은 낱장의 종이 샘플 2가지 종류로 실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폭싱의 처리 방법인 세척과 표백을 기준으로 산화와 변색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 습식 클리닝, 석션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 표백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 표백의 방법으로 보존 방법을 적용한 뒤 이와 같은 방법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된 모든 샘플에서 폭싱의 얼룩 부분의 산성도와 변색 정도 모두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었다. 습식 클리닝은 전통적으로 변색 제거에 사용되는 보존 방법이며 석션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의 경우 셀룰로 오스 구조에서 변색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표백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과 표백은 탈이온수만 이용해 처리된 샘플에서 보이는효과 그 이상을 보여주었다.이후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인공 열화 실험에서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표백으로 처리된 2가지 종류의 샘플에서는 모두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얼룩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특히 서화 형태의 샘플의 경우 교체된 배접지에서도 새로운 얼룩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이 확인되었다.폭싱은 종이에 한번 생기면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종이에 폭싱이 나타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폭싱의 보존 방법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과학적 분석을 통한 석채안료의 특성 연구

        이지연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안료는 일반적으로 물, 기름, 알코올 또는 그 밖의 용제에 용해되지 않는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을 말하며 자체 착색력이 없으므로 전색제 를 사용하여 지지체에 고착시킨다. 천연 무기안료는 자연에서 채취되 는 암석을 분쇄, 정제하여 생산된 안료이며 이를 암채(巖彩) 혹은 석채(石彩)라 하고 일본에서는 암회구(岩絵具)라 칭한다. 석채는 작품활동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문화재 보존처리에 쓰이는 중요한 재료 중 하나이다. 석채에 대한 연구는 문화재의 안료분석이 주를 이루며 재료로써의 안료 연구는 미흡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석채는 주로 일본에서 수입된 안료이며 재료학적인 정보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안료 중 6개를 선정하여 색, 입도, 조성 등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안료는 6개 색으로 총 36점을 분석하였다. 영상현미경관찰을 통해 안료 입자의 색상을 확인하였으며, 분광색측계 측정을 통하여 안료 호수에 따른 색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SEM-EDS 분석으로는 안료의 성분과 함께 입자 크기와 균일도를 파악하였으며 XRD 분석을 통해 결정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 안료의 색도 측정 결과에서 석채는 입도가 작아질수록 즉, 호수가 커질수록 명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적색 안료인 대자의 경우 명도 증가와 함께 황색도 증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진사는 명도 변화가 거의 없이 황색도 변화만 확인되었다. 안료의 입자 크기는 같은 호수라도 색상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문헌에 제시된 자료와도 차이를 보였다. 일본안료와 중국안료의 균일 정도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보존처리에 사용될 안료 선택에 있어 안료의 입자 크기와 함께 입도의 균일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안료의 성분과 결정구조를 분석한 결과 진사⦁녹청⦁군청은 각각 cinnabar⦁malachite⦁azurite를 나타내는 결과가 확인되었으나 진사의 경우 불순물이 거의 검출되지 않으므로 인공 은주(vermilion)일 것으로 추정된다. 대자, 금다, 황금석은 주요 원소로 Si와 Fe가 검출되었으며 대자의 적색은 hematite, 금다와 황금석의 황색은 geothite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자의 경우 적철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전통 대자와 달리 Si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The pigment indicates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that do not dissolve in water, oil, alcohol or other solvents and is fixed by vehicle because the compound itself has no tinting power. Natural inorganic pigments are produced by grinding and refining natural rock. It is called amchae or seokchae, or amhoegu in Japan. Seokchae is used in art and is an important material in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Studies of seokchae primarily analyze its cultural properties, and the studies on seokchae as material are insufficient. The Seokchae that is used in Korea is mainly imported from Japan, and information on the material's characterization is imperceptible. This study researched the properties of 36 natural inorganic pigments for sale, using scientific analysis.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imaging microscopy to ascertain the color of particles and color differences were examined. SEM-EDS and XRD were used for identify elements, crystal structures, and uniformity of particle size. It is generally known that as value of lightness increases as its particle size decreases. As the result of measuring color-difference in Daeja, both the lightness and its yellowness are increased. For J insa, the yellowness is increased, while there is on great difference in the lightness. The particle size of pigments of same number is different for each color. The uniformity of particle size is also different between Japan and Chinese pigments. As the result of analysis, jinsa · nokcheong · guncheong are identified as cinnaber(vermilion) · malachite · azurite, respectively. Daeja, geumda and hwanggeumseok are composed of Si, Fe and what is identified as Quratz. Daeja includes a high proportion of Si and i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daeja, which is made from hematite.

      • 中部地域 原三國〜百濟 漢城期 住居地 空間活用 方式 硏究

        추가영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Lots of materials related to settlement remains of protothree kingdom age∼Baekje Hansung period have been cumulated due to explosive increase of excavation in 2000s. Accordingly, 呂·凸 type residential area have received much interest, which was characterful residential area of the central region, and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However, as the result that the data of residential area also focused only on chronicle research, according to the existing relic chronicle, there has been almost no research on the residents who have lived by building their residential area. This research conducted by focusing on the interior space analysis of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living conditions of the residential area of that time, and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method. 呂·凸 type residential area, the analysis object,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Han River basin, to the north, Pocheon, Cheolwon, to the south, Suwon, Hwaseong, to the east, Youngseo region and Namhan River. However, this research proceeded a review mainly with the settlement which confirms the residential area of that time, targeting the central region and Han River basin, where the change aspect can be analyzed, since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change of residential living conditions which appeared along with the time change from Protothree Kingdom Age to Baekje Hansung period. This research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residents of that time utilized their residential area and which acts they did according to each space by analyzing the flat shape and interior facilities through which the change of residential area can be analyzed, and comprehending change process of residential space utilization along with their combination aspect. It was confirmed that flat shape showed the aspect of changing (rec)tangule→pentagon→hexagon,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wall facilities developed more stable and firm, during the flat shape developed to hexagon. This research conducted an analysis by dividing interior facilities into the interior column, cooking·heating facility, arrangement of relic, and storage facility. The interior column was the most important facility in the role of space division. It was analyzed by being divided into cast-iron style and non cast-iron style, i.e. cast-iron style was classified into one-row-style, tow-row style, three-row style, and square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row of the column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column row increased when the residential interior space was bigger. However, square arrangement structure was a characterful combination which appeared in only some region which was influenced by Mahan, Chungcheong region, as an interior column style, installed during Hansung Baekje period. Non cast-iron style was an interior column style, which was mainly checked during Baekje Hansung period, which seems to have appeared along with technical development. Cooking·heating facility and relic arrangement structure were confirmed to change in order or No→‘ㄱ’ shape gudeul→‘ㅣ’ shape gudeul. Gudeul developed from heating function base to cooking function base, accordingly, relic arrangement structure and cooking space position changed. As cooking·heating facilities developed, relic arrangement structure became more concentrated than before, and changed to be more easy to utilize the space by efficiently arranging earthenware and tools. Storage facil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i.e. storage space, buried earthenware, and deferred earthenware. This research objectively analyzed the position of storage facilities by dividing into ①∼⑨. It was confirmed that storage facilities increased in the installation rate of deferred earthenware while moving to Baekje Hansung period. Also, regardless of the period, storage facilities were found in the fixed position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which determines that the recognition on storage space was patternized and fixed, and continued for a long time.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terior space of Protothree Kingdom Age and Baekje Hansung period residential area through flat shape, interior facilities, and relic arrangement structure. Interior space was classified into cooking space, storage space, and common·sleeping space according to the use. It was confirmed that interior space utilization was rapidly changed along with the various flat shape and change of interior facilities in Protothree Kingdom Age. Cooking space moved to the right wall from the center of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gudeul facility in No. Accordingly, storage space moved and changed to the one side of the wall from the both walls of the residential area. Along with the movement of cooking and storage space, common·sleeping space also changed its position, therefore, the residential space installed with No seemed to be utilized by dividing narrow space by positioning in the upper and lower side of cooking space. The residential area installed with gudeul was positioned in the left space of cooking space, the shape was in pentagon and hexagon, which were more widened than the flat shape, however common·sleeping space became similar or slightly wider than before, along with the increase of cooking space due to the increase of extent of gudeul facility. However, compared to the residential area installed with No, common·sleeping space became activated with its movement circulation, also, it was confirmed to have more efficient space utilization. During Baekje Hansung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ior facilities of hexagonal flat shape, non cast-iron flat shape, ‘ㅣ’ shape gudeul, and interior facility of deferred earthenware appeared to be standardized. Accordingly, it was determined to be standardized and stereotyped comparing that various interior space appeared during Protothree Kingdom Age. While cooking·h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취락 유적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폭발적인 발굴의 증가로 많은 자료가 축적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중부지역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주거지 형태인 呂·凸자형 주거지에 관심이 집중되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유물편년에 맞추어 주거지 자료 또한 편년 연구에만 집중된 결과, 주거지를 축조하고 살아온 거주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당시 주거지거주자들의 생활상을 알아보기 위해 주거지 내부 공간 분석을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활용 방식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인 呂·凸자형 주거지는 한강유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북으로는 포천, 철원, 남으로는 수원, 화성, 동으로는 영서지역, 남한강유역에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원삼국시대에서 백제 한성기로 시대가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주거 생활상의 변화를 살펴 보려고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그 변화상을 분석할 수 있는 중부지역,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이 시기 주거지가 확인되는 취락을 중심으로 검토를 진행하였다. 주거지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평면형태와 내부시설을 분석하고, 이들의 결합양상에 따라 주거지 공간 활용의 변화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당시 거주자들이 주거지를 어떻게 활용하고 각 공간별로 어떤 행위를 하였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평면형태는 (장)방형→오각형→육각형로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평면형태가 육각형으로 발전하면서, 벽체시설 또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발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부 시설은 내부기둥, 취사·난방시설과 유물의 배치, 저장시설을 구분하며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부기둥은 공간 구획의 역할에 가장 중요한 시설물이다. 주공식과 무주공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주공식은 기둥 배치열에 따라 일렬, 이열, 삼열, 방형배치구조로 분류하였다. 주거 내부 면적이 넓을수록 기둥열의 배치가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방형배치구조는 한성 백제기에 들어서면서 설치된 내부기둥 형식으로 충청지역 마한의 영향을 받은 일부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조합으로 볼 수 있다. 무주공은 백제 한성기에 주로 확인되는 내부기둥 형식으로 건축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취사·난방시설과 유물배치구조는 노→‘ㄱ’자형 구들→‘ㅣ’자형 구들 순서로 변화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구들은 난방 기능의 중심에서 취사 기능의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물 배치구조와 취사공간의 위치도 달라지게된다. 취사·난방 시설이 발달하면서 유물배치구조는 이전보다 집약화되며, 효율적으로 토기와 도구들이 배치되어 공간 활용에 더 용이하게 변화하게 된다. 저장시설은 저장공, 매립토기, 거치토기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저장시설의 위치는 ①∼⑨로 분할하여 분석해 저장시설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저장시설은 백제 한성기로 이행하면서 거치토기의 설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대에 상관없이 저장시설은 주거 내 고정적인 위치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당시 저장공간에 대한 인식이 패턴화되고 고정화되어 장기간 지속되었음을 말해준다. 평면형태, 내부시설, 유물배치구조를 통해 원삼국시대, 백제 한성기 주거지 내부 공간 분석해 보았다. 내부 공간은 용도 별로 취사공간, 저장공간, 공용·취침공간으로 분류하였다. 원삼국시대에는 다양한 평면형태와 내부시설물의 변화에 따라 내부 공간 활용도 빠르게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취사공간은 노에서 구들시설의 위치 변화에 따라 주거 공간 중앙에서 우측벽으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저장공간은 주거지 양 측벽에서 단벽 쪽으로 함께 이동 변화한다. 취사, 저장공간의 이동에 따라 공용·취침공간도 위치 변화하게 되는데, 노가 설치된 주거지는 취사공간 위, 아래에 위치하며 좁은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구들이 설치된 주거지는 취사공간 좌측공간에 위치하며, 평면형태가 이전보다 더 넓어진 오각형, 육각형의 형태지만, 구들시설의 면적 증가로 인해 취사공간의 면적이 늘어나게 되면서, 공용·취침공간은 이전과 비슷하거나 약간 넓어진 정도이다. 그러나 노가 설치된 주거지에 비해 공용·취침공간은 이동 동선이 원활해 졌으며, 이전보다 공간 활용하기에 더 효율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 한성기에는 육각형 평면형태, 무주공의 평면형태, ‘ㅣ’자형 구들, 거치토기의 내부시설물이 획일화되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삼국시대에 다양한 내부공간이 나타나는 것과 비교해 획일화되고 정형화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주거지 오벽 쪽으로 취사·난방시설이 이동하면서, 자연스레 취사공간이 구획되었다. 취사 토기와 도구도 이전과 다르게 공통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유물배치구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취사공간은 연도가 짧아진 구들과 효율적인 토기, 도구 배치를 통해 이전보다 사용 공간은 좁아졌지만, 집약적이고 효과적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공간은 ⑦,⑨번

      • 화학 약품에 의한 황동 유물 부식산화물의 제거에 관한 연구

        이나리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Unlike grave goods, brass artifacts are completely exposed to air, their surfaces reacting to corrosive substances in the air and form corrosive oxide. In this study, chemical cleaning techniques for removing metallic corrosive compounds built up on cultural heritages made of copper alloy were explored, and based on the findings, examine the effect of chemicals used in removing corrosive oxide from brass artifacts and efficient cleaning methods. To conduct experiments, two types of specimens were prepared where one is standard artifact specimen and the other is artificially made to resemble the composition of the actual artifacts. When analyzed the standard specimen, CuO(Tenorite), ZnO and other oxides found in copper and zinc were identified, and when analyzed the artificial specimen, made from referring to literature, Cu2O(Cuprite) and CuO(Tenorite) were identified, corrosive compounds found in copper. When visually observed and measured weight reduction, on average, the specimens became lighter by about 0.02 to 0.03g, indicating corrosion. Forced corrosion specimen was chemically cleaned using phosphoric acid, citric acid, formic acid, oxalic acid, and EDTA solu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osive oxide on the surface was removed. After the artificial corrosive oxide was removed, the surface was observed using a microscope to determine the extent of removal, and a colorimeter was used to observe the color change over time after the solution was applied. Specimen was continuously measured to determine the quantity of artificial corrosive oxide removal.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oxide removal and the rate of reduction was determined in percentage and recorded. XRD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maining oxide layer to study the change in the oxide layer due to the chemicals used. It was confirmed that corrosive layer was more effectively removed when used phosphoric acid, citric acid, formic acid and oxalic acid than EDTA solutions; and phosphoric acid was the most effective of all. The result of XRD analysis disclosed that no new corrosive compound was built up and corrosive layer was removed from certain specimens. Based on the experiments ab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hemicals on removing corrosive oxide from brass artifacts was explored and more effective rust removing methods will be developed. However, to develop a more effective techniques to process brass artifacts, there must be continuous studies on preservation processing.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는 황동 유물은 매장 유물과는 다르게 오랜 시간 공기 중에 노출되어 대기 중의 부식인자와 반응하여 부식 산화물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합금 유물의 부식화합물 제거에 사용되는 화학적 클리닝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황동 유물에 생성된 부식화합물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화학약품의 효과와 효율적인 처리 방법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기준 유물 시편과 유사한 조성 및 부식 화합물을 가진 인공 시편을 제작하였다. 기준 시편을 분석한 결과 동과 아연의 부식물에서 검출되는 CuO(Tenorite), ZnO 등을 확인 하였으며, 문헌을 참고해 제작한 인공 시편에서는 동의 부식화합물인 Cu2O(Cuprite), CuO(Tenorite)를 확인하였다. 제작한 시편의 육안 관찰과 중량 감소율을 측정한 결과 평균 0.02∼0.03g의 중량 감소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시편이 부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제 부식 시편에 대해 인산, 구연산, 포름산, 옥살산, EDTA 용액을 가지고 화학적 클리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표면의 부식화합물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공 부식화합물 제거 후 현미경을 통한 표면 관찰을 통해 인공 부식화합물의 제거 정도를 육안 관찰 하였으며 색도계를 이용하여 용액 적용 시간별로 색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중량 감소율을 측정하여 인공 부식화합물의 제거량을 확인하였다. 도막 두께 측정계를 사용하여 부식화합물 제거 전 후의 도막 두께를 측정한 후 감소량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기록하였으며, 남아있는 부식층에 대해 XRD분석을 실시하여 클리닝 약품으로 인한 부식층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연구 실험 결과 EDTA 용액들 보다 인산, 포름산, 구연산 용액을 적용하였을 때 부식층이 더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인산 용액이 부식층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 하였다. XRD분석 결과 새로운 부식화합물은 생성되지 않았으며, 일부 시편에서 부식층이 제거된 것을 확인하였다. 위 실험을 바탕으로 황동 유물의 부식물 제거에 대한 화학 약품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녹 제거 방법을 제시하여 보았다. 그러나 보다 더 효과적인 황동 유물 처리법이 확립되기 위해서는 보존처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본다.

      •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도상학적 연구

        정송이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조성 배경을 도상적인 측면에서 고찰한다.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719년에 신라 6두품 귀족인 김지성이 석조아미타불입상과 함께 감산사에 조성하였다. 이 미륵보살상은 보관에 화불이 표현되어 도상적인 면에서 주목된다. 일반적으로 보살상 보관의 화불은 관음보살의 도상적인 특징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보관의 화불은 특이한 사례이다. 하지만 미륵보살상에 화불이 나타날 수 있는 도상적인 배경은 ??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에서 찾을 수 있다.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석조아미타불입상은 각각 광배 뒷면에 381자와 389자의 명문을 동반하고 있다. 감산사 두 상의 명문은 기본적으로 조상시기, 발원자, 발원대상, 그리고 상의 존칭을 기록하고 있다. 발원자 김지성의 생애에 관한 서술은 감산사와 두 상을 조성하게 된 그의 불교사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인식된다. 감산사 두 조상기에서는 김지성이 ??瑜伽師地論??에 심취했음을 보여준다. 조상기에 기록된 ‘十七地之法門’은 현장법사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가져온 유식사상의 중심경전인 ??유가사지론??을 가리킨다. 이 경전은 無着( Asa?ga)이 도솔천을 왕래하면서 미륵보살에게 전수받은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유식사상의 중심인물인 무착은 미륵신앙을 가졌음을 알 수 있는데, 무착의 지극한 미륵신앙은 미륵보살을 친견하고 도솔천에 왕래하면서 대승교법을 전수받았다는 무착의 전기가 생겨나게 된 기반이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한편 현장의 생애를 기록한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에서도 현장이 미륵신앙을 가졌음을 알 수 있는 이야기들이 다수 확인된다. 이러한 현장의 미륵신앙은 유식사상에 심취되었던 김지성에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김지성의 유식사상에 대한 이해도는 감산사 조상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 조상기에 언급되는 ‘?塔’을 ??三國遺事??의 기록을 참고하여 ‘기러기처럼 줄지어선 탑’으로 해석하였다. 필자는 ??삼국유사??의 ‘雁行’과 조상기의 ‘?塔’은 문맥의 흐름상 그 성격이 다른 것으로 생각한다. 석조아미타불입상 조상기의 ‘?塔’은 연이어 나오는 ‘舍衛之境’이 인도의 ‘사위성’으로 해석되는 것처럼 중국 대자은사의 ‘안탑’으로 해석된다. 자은사는 인도에서 경전을 가지고 온 현장법사가 번역작업을 하였던 장소이다. 탑 내부의 벽화는 남아있지 않지만, 이국적인 화풍의 벽화가 그려졌음을 문헌기록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즉 김지성이 미륵보살상을 조성하게 된 배경은 그가 유식사상뿐만 아니라 사상과 관련된 중심인물과 장소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전제가 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유식경전에서는 미륵보살을 묘사하는 내용이 없기에, 미륵보살상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의 내용이 참고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은 감산사 두 상의 조상기를 다른 각도로 접근하면서, 기존 연구자들의 시각에서 한 발 나아가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도상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주제어 :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김지성, 미륵보살, 무착, 현장, 『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 『유가사지론』, 자은사, 대안탑 This study aims to do icono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amsansa Temple in Gyeongju(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 This statue, paired with Amitabha Buddha, was originally built at Gamsansa Temple by Kim Ji-Sung(金志誠), who is sixth ranking aristocrat of the Silla Dynasty(新羅), in C.E. 719. Maitreya statue from Gamsansa Temple wears a crown with nirm?na-buddha(化佛:Buddha in human form). Because this kind of crown is usually understood as iconic featur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菩薩), Maitreya statue from Gamsansa Temple is considered as unique example. But in a follow-up study, they discover the iconographic background of this icon from ??Kwanmirukposal Sangsaengtosolch'onkyong sutra??(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 The Sutra of Maitreya`s Ascension). There are engraved inscriptions on rear mandorla of the statue of both Maitreya Bodhisattva and Amitabha Buddha from Gamsansa Temple(381 and 389 letters each). The inscriptions state the icon of each statue, the date that they were built, the patron of this project and for whom they were made. Besides that, the life of Kim Ji-sung(the patron of those statues), and his buddhist ideology is included in the context. So these inscriptions are considered as a valuable documents. With these inscriptions, we can find Kim Ji-sung was infatuated with Yugasa-jiron. Among those engraving “十七地之法門”(seventeen states to buddhist priesthood) is stand for ??Yugasa-jiron??(瑜伽師地論; Yog?c?rabh?mi-??stra; Discourse on the Stages of Concentration Practice) which is principal sutra for Yusik-sasang(唯識思想; Thought of Consciousness) brought from India by Hyeon-jang(玄?). This sutra is explaining how Muchak(無着; Asa?ga), whom is leading figure of Yusik-sasang, inherited buddhist manual from Maitreya bodhisattva. The fact that Hyeon-jang, who brought the ??Yugasa-jiron??, also had a Mireuk-Sinang(彌勒信仰; Maitreya faith) can be found in ??Dae?dang dae-Jaeunsa Samjang-beopsa jeon??(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which depict his life. As a result of those facts, it is considered Kim Ji-sung embraced Hyeon-jang’s Mireuk-Sinang through Yusik-sasang. Hi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Yusik-sasang is also verified in other sentence of the inscription. In earlier studies, “?塔”(Ann-tap), appeared in the inscription of Amitabha Buddha from Gamsansa Temple, was interpreted as “pagoda stand in a row as geese” based on the similarity with “雁行”(Ann-hang; The flying-geese) in ??Samguk yusa??(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ut in this study, “?塔”(Ann-tap) is considered as pagoda at Dae-jaeunsa(大慈恩寺) in Dang(唐), in the same manner of “舍衛之境(Sawuijikyung)” in inscription, which appears right after “?塔” is interpreted as “舍衛城”(Sawui-sung; ?r?vast?; a city of ancient India; one of the six largest cities in India during Gautama Buddha's lifetime). This argument is reinforced, because Jaeunsa Temple is where Hyeon-jang translate the sutra brought from India. To sum up, Kim ji-sung constructing Maitreya statue based on unequivocal understanding of Yusik-sasang and background of the ideology. Meanwhile, he refer to ??Kwanmirukposal Sangsaengtosolch'onkyong??Sutra for iconological source, because there is no contents of describing the image of Maitreya bodhisattva in 『Yugasa-jiron』. Keyword: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amsansa Temple, Kim Ji-Sung(金志誠), Maitreya Bodhisattva, Muchak(無着; Asa?ga), Hyeon-jang(玄?), 『Kwanmirukposal Sangsaengtosolch'onkyong sutra』 (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 『Yugasa-jiron』(瑜伽師地論), Dae-jaeunsa(大慈恩寺), Big Wild Goose Pagoda (大雁塔).

      • 原三國後期~百濟初期 漢江 中·下流域의 墓制와 地域集團 硏究

        차윤환 龍仁大學校 文化材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Studies on Han River Area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has been, by majority, focused on the course of state development of Baekje Kingdoms or analysis of historical texts. But recent increase of excavations around the middle and downstream areas of Han River enabled accumulation of archaeological information as a basis to start off studies on tomb sites and relics, along with the material culture of the local groups which was previously studied through excavation of their residential sites. This study aims to clarify changes and aspects of late Proto-Three Kingdoms to early Baekje period tomb styles by dividing burial sites found and studied so far along the water system of and mountainous features around Han River, and further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groups who occupied the area. In terms of chronological changes in burial forms, use of rectangular wooden coffin was considered as an epoch of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to early Baekje period tomb construction around the Han River. These wood-coffin tombs, after thorough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 were then categorized into three or four different types: plain wood-coffin tombs, ditched wood-coffin tombs, and wood-coffin mounded tombs (earthen or earth-and-stone mounds). In terms of their regional distribution, the plain wood-coffin tombs were widespread in all periods along the bank of the Han River’s middle-lower reaches and western part of the inland areas of southern Gyeonggi Province. The ditched tombs were centered around T’ancheon and Osancheon area in the eastern area of Gyeonggi Province’s southern inland. While wood-coffin tombs with earthen mounds were found along the riverside and coastline at the lower reaches of Han River, those with earth-and-stone mounds were constructed near the riverside in the mid-stream area. The wood-coffin burial mounded tombs in two regions also revealed different burial forms, such as multiple burials per mound around the mid-stream, and single burial per mound in the downstream area. The form of such multiple burials is also found in the stone mounds of the upper-stream area, and their origins can be traced in the northern burial system found in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Especially multiple burials of the mid-stream area using large wood-coffins were found out to belong to similar categories as those i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 site in Linjia Village尹家村, Lianoning Province, Laoheshen老河深 site in Yushu楡樹 County and wanmobazi万犮拔子 site in Tonghua通化 County, Jilin Province. As for types of excavated goods from the large wood-coffin burials, short-necked earthenware jars with round bottoms were commonly found accompanying by iron blades. Burial of ironware was especially common in the wood-coffin mounds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Han River, and these tombs in general revealed twice as large quantity of weaponry as other areas, of such variety as guardless, single-body ringed-pommel swords, upright iron spear with swallowtail sockets, and triangular arrowheads. Ornaments from the ditched and mounded wood-coffin tombs generally featured gold earrings and beads. While the graves around the downstream revealed spiral-cut gold earrings, long iron swords with bronze guard and faceted jade beads, the ditched wood-coffin graves in the southern inland of Gyeonggi Province revealed earthen spindle-whorls and agate beads, signifying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al groups. The result of analysis on burial goods showed complex mixture of various cultures around the downstream area of Han River, namely the Han韓, the northern nomadic and Luolang cultures. Such inconsistency had to do with the unstable circumstances of the region, for instance the Giriyeong崎離營 battle taking place as mentioned in the Book of Wei, Records of Three Kingdoms. The battle began in 246 C.E. (7th year of the Zhengshi reign), and it is interpreted as an incident which led to a series of consequences: the fall of Sinbungo State臣濆沽國 in the third century C.E., formation of Baekje as an ancient state, return of the Biryu沸流 tribe to Wiryeseong at the south of the river, supply of Yeongnam style iron weapons to the downstream area of Han River, and influx of northern-style objects to the western part of the Gyeonggi Province’s southern inland area including today’s Gunpo and Hwaseong. The wood-coffin burial mounded tombs distributed around the middle and downstream areas of Han River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types of graves in overall features such as their location, coffin placement and overall scale of the graves as well as types of the burial goods. Furthermore, the result of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se archaeological evidences with historical analysis of textual sources led to an interpretation of the downstream culture of Han River as a merge of the Han韓 culture of Sinbungo State臣濆沽國 with the Buyeo-Goguryeo culture of the Biryu沸流 tribe, and that of the midstream area as a merge of Han韓 culture of Baekje State伯濟國 with Buyeo-Goguryeo culture of Onjo溫祚 tribe. On the other hand, the inland area at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was occupied by the Han韓 tribal groups. Statelets of Mahan馬韓 confederacy are identified to exist in this intermediate area between two groups residing in the middle and downstream areas of Han River. 원삼국시대 한강유역의 역사․문화상에 대한 硏究는 百濟의 國家形成過程과 관련된 文獻史 검토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 한강 중․하류역에서 발굴조사의 증가로 고고학자료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기존의 취락유적을 중심으로 연구된 물질문화상과 더불어 분묘유적의 분석을 통한 地域集團의 성격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원삼국후기~백제초기의 한강유역에서 조사된 분묘유적을 漢江水系와 山脈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묘제의 변화 및 양상을 확인하고, 각 묘제를 사용한 地域集團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원삼국후기~백제초기 한강유역 묘제변화에 있어서 箱子形木棺의 사용․정착을 가장 큰 획기로 삼았다. 그리고 이 지역 木棺墓가 지니는 여러 가지 특징에 따라 木棺墓의 墓形을 單純木棺墓, 周溝附木棺墓, 墳丘木棺墓(盛土․葺石)로 분류하였다. 각 묘제별 분포는 單純木棺墓가 이른 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 한강 중․하류역의 강안과 경기남부내륙 서부의 한강지류역에 넓게 조성되었고, 周溝附木棺墓는 탄천․오산천을 중심으로 한 경기남부내륙 동부에, 盛土墳丘木棺墓는 하류역 강안․해안에, 葺石墳丘木棺墓는 한강 중류역 강안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墳丘木棺墓는 매장시설의 수에 따라 중류역은 一墳丘多葬墓로, 하류역은 一墳丘單葬墓로 구분되었다. 그 중 多葬은 상류역의 積石塚에서도 확인되는 요소로서 遼寧省․吉林省 등지의 北方系墓制에서 起因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중류역에서 확인된 大形土壙 內 多葬木棺墓는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遼寧省 尹家村유적과 吉林省 楡樹老河深․通化 万犮拔子유적에서 그 계통을 찾을 수 있었다. 부장유물에서는 상기 木棺墓에서 공통적으로 圓底短頸壺와 鐵刀子의 공반관계가 확인되었다. 특히 하류역의 墳丘木棺墓에서는 鐵器類의 부장빈도가 높았는데, 그 중에서도 無關一體形環頭大刀, 關部突出直基形鐵鉾, 燕尾形鐵鉾, 三角形灣入鐵鏃 등 武器類의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裝身具類는 墳丘木棺墓와 周溝附木棺墓에서 金製耳飾과 구슬류 등이 부장되었다. 그리고 한강하류 강안의 墳丘木棺墓에서는 北方系유물로 보이는 螺旋形金製耳飾, 靑銅製鐔附鐵長劍, 水晶切子玉 등이 부장된 반면, 경기남부내륙의 周溝附木棺墓에서는 土製紡錘車, 瑪瑙製구슬 등이 부장되어 집단에 따른 유물부장양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장유물양상을 분석한 결과, 하류역에서는 韓系․北方系․樂浪系유물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이는 당시 이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三國志』魏書 東夷傳에서 확인되는 崎離營전투 등 당시 이 지역의 사회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이 崎離營전투는 正始 7년(246년)에 발발하여 3세기대 臣濆沽國의 멸망과 百濟의 古代國家形成, 沸流系集團의 河南慰禮城 回歸, 한강 하류역으로의 영남지역 鐵製武器類 공급 그리고 경기남부내륙 서부에 위치한 군포․화성 등지의 北方系유물 유입 등과 연계되는 사건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한강 중․하류역에 조성된 墳丘木棺墓의 경우 墓制의 입지적인 차이에서부터 분묘의 규모, 부장유물 등에서 다른 木棺墓와 확연히 구별되었다. 그리고 상기 考古學的 資料와 文獻史料를 대비 검토한 결과, 한강 하류역에서는 韓系의 臣濆沽國과 夫餘․高句麗系의 沸流系集團의 융합으로, 중류역은 韓系의 伯濟國과 夫餘․高句麗系의 溫祚系集團의 융합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한편, 경기남부내륙은 韓系集團이 정착했던 지역으로 한강 중․하류역 집단과의 점이지대에 위치했던 馬韓의 小國들이 존재하면서 중․하류역 집단과 접촉․교류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 2˜4世紀中西部地域 周溝土壙墓와 馬韓中心勢力의 變化推移

        신기철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2~4세기 중서부지역의 분묘는 주구토광묘가 사용되고 원저단경호와 심발형토기를 세트로 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이를 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차이점이 드러난다. 이러한 차이가 있음에도 지금까지의 연구는 개괄적이거나, 부장품의 형식변화 또는 신기종의 등장에만 주목하였으며, 지역적 분묘의 특징 및 변화과정은 배제되었다. 연구의 지역적 범위도 대부분 천안 및 청주 지역에 한정되었으며, 동시기 지역 간의 분묘형태나 부장양상의 비교를 통한 지역권 설정과 중심 세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묘제를 편년하여 그 특징과 분포양상을 단계별로 비교·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세부지역권을 설정하고 중서부지역 중심세력권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서부지역의 분묘는 주구 유무와 목관, 목곽의 형태에 따라ⅠA,ⅠB,ⅠC,ⅡA,ⅡB,ⅡC 6가지로 구분된다. 그리고 세부형식을 조합하면 25가지로 세분된다. 여기에 부장품의 공반관계, 주구토광묘의 출현과 소멸, 목곽의 사용, 합장묘의 등장 등을 종합해보면 세 단계로 그 시기를 설정 가능하 다. Ⅰ단계는 단순토광묘만 채용되었다. Ⅱ단계에 이르면 주구토광묘가 주로 사용되고, Ⅲ단계가 되면 주구토광묘의 사용이 중단되거나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지역권 설정은 분묘형태, 하천과 산맥 등의 자연지형,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부장품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 중서부지역은 곡교천유역권, 산방천유역권, 미호천상류권, 미호천중류권, 미호천하류권, 남한강유역권, 정안천유역권, 갑천유역권으로 구분된다. 유적의 규모, 부장품의 양, 지역적인 부장품의 중심지역, 위계 등을 살펴보았을 때 곡교천유역권과 미호천중류권을 원삼국시대 중서부지역의 중심세력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Ⅱ-3단계 이후가 되면 중서부지역에서는 주구토광묘의 축조가 중단 혹은 감소되는데, 그 원인에는 백제의 성장과 더불어, 3세기 후반을 기점으로 더 이상 중국 사료에 마한이라는 명칭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곡교천유역권에서는 Ⅲ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주구토광묘가 축조되는데 이를 보아 곡교천유역권은 외부의 압박에도 자신들의 세력을 다른 지역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미호천중류권은 곡교천유역권과 달리 Ⅲ단계부터 단순토광 묘가 집중적으로 축조되고, 유견호 등의 새로운 토기가 부장된다. 이는 당시 미호천중류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외부의 문물을 받아들인 결과이다. Tombs at midwest regions in 2nd~4th centu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in that Jugu-Togwangmyo was used and also a rounded based jar with a short neck and deep bowl pottery were buried together as a set. However, classification by region shows difference. Despite such a distinction, research so far has been too general or paid attention only to a formal change of burial accessories or appearance of new kinds of goods, excluding a regional characteristic or transition of a tomb. Research range has been mainly limited to Cheonan and Cheongju regions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entral power along with setting of a regional zon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a regional tomb type or burial aspect during the same period. Hence, this paper conducted chronology of a tomb system at the midwest regions, comparing and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al aspects by step. Through such a process, it set a detailed regional zone and considered the central power at midwest regions. Tombs at the midwest regions are divided into 6 including ⅠA,ⅠB,ⅠC,ⅡA,ⅡB,ⅡC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Jugu or not in addition to a type of a wooden coffin and a wooden-frame. Besides, according to combined detailed forms, they may be segmented to 2. Futhermore, considering association of burial accessarie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Jugu-Togwangmyo, use of a wooden-frame and appearance of a tomb buried together, their period may be set as three phases. Ar the phase Ⅰ, only a simple Togwangmyo was excavated. At the phase Ⅱ, Jugu-Togwangmyo was mainly used, and it was stopped or decreased rapidly at the phase Ⅲ. Regional zone was set based on a tomb type, natural topography including river and mountain and accessories showing difference by region. As a result, midwest regions are divided into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basin zone of Sanbang River, upstream zone of Miho River,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downstream zone of Miho River, basin zone of South Han River, basin zone of Jeongan River and basin zone of Gap River. Considering a scale of ruins, amount of burial accessories, central region and hierarchy of buried goods, it is possible to regard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and a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as the central power of the midwest region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On the other hand, at the midwest regions, construction of Jugu-Togwangmyo was ceased or decreased after the phase Ⅱ-3 and it is assumed to be connected to a fact that a name Mahan did not appear on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ny mo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long with growth of Baekje. On the contrary, Jugu-Togwangmyo was constructed continually to the phase Ⅲ at the basin zone of Gokkyo River so it is regarded to maintain its power longer than other regions though there were external pressures. However, at the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unlike the basin zone of Gokkyo, a simple Togwangmyo was constructed intensively and new potteries were buried including a shoulder shaped jar from the phase Ⅲ. It resulted from active acceptance of an external culture by those days'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