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 시범 특기자 대학 입시제도 도입에 따른 변화 탐색

        김정환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emer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aekwondo pilot screening into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and to predict future pilot changes.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Taekwondo demonstrations and finally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for Taekwondo demonstr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group of 15 experts, including university professors, demonstration leaders, and demonstration judges, were selected using the Delphi Method to conduct a three-round survey.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importance of predicting Taekwondo demonstration changes, an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e changes in Taekwondo demonstrations were very diverse and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Second, participants in the study mentioned structural changes, technical changes, conscious changes, and industrial changes as changes in future Taekwondo demonstrations. Structural changes we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s, teams, athletes and leaders, and the age of athletes would be lowered. It is predicted that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future Taekwondo demonstrations will continue, and effective measures will be needed to protect athlet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mpetition. Technical changes show technique that fuses with other sports, and training methods will also develop. It was predicted that dynamic access to athletes would increase and that new technologies would also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deterioration of kicks unrelated to college entrance exams and proficiency in technique were relatively low in importance. In the past, if various technical developments were prevalent based on splendor, it was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a technical development based on skill proficiency and basics. The focus should be on developing the right technique and culture based on the essence of future Taekwondo demonstrations. Conscious changes were expec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athletes' injuries, their academic performance, poor understanding, and sports deviations, and, on the contrary, relatively low importance for win at all costs mentality, decreased Taekwondo basic spirit, and increased individualism. In the case of injury to athletes, it can develop into problems such as organization departure, so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o protect athletes and prevent sports deviations is necessary. In industrial changes, media exposure was expected to increase, Taekwondo demonstration equipment was developed, and the siz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market was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Finally,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Taekwondo academies. As Taekwondo demonstrations were activated, the number of athletes and teams increased, which led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market. As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it should eventually find ways to lead to the revitalization of Taekwondo academies. Overall, as Taekwondo demonstrations became a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many changes have been made in not only skills but also in the culture of competitions, supplies, systems and athletes, and problems have emerged. This can be seen as a temporary phenomenon that occurred during the rapi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to solve this problem, it will be necessary to return to the essence of Taekwondo demonstration of “exemplary” rather than fancy skills and think about improving quality rather than quantitative growth. One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s that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ware of and wary of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f Taekwondo demonstration. Since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Taekwondo demonstrations has been proven through this study, and industrial possibilities are also high, identifying factor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future changes and applying them to the front-line site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Taekwondo demonstrations. 본 연구는 대학 입시제도에 태권도 시범 특기자 전형이 도입되고 나타난 변화에 대해 탐색하고 향후 시범 변화에 대해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태권도 시범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최종적으로는 태권도 시범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를 이용하여 대학교수, 시범 지도자, 시범 심판 등 15명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3차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시범 변화 예측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시제도 도입 후 시범의 변화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4개의 요인으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향후 시범의 변화로써 구조적 변화, 기술적 변화, 의식적 변화, 산업적 변화를 언급하였다. 구조적 변화로는 시범 대회와 팀, 선수와 지도자가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선수의 연령이 하향화 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시범의 양적 증가가 계속 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에 대한 선수 보호, 대회 질적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적 변화에서는 타 종목과 융합되는 기술이 나타나고 훈련법 또한 발전할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에 대한 역학적 접근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신기술 또한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반해 기술의 숙련도와 비입시 발차기 퇴화의 경우 중요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과거 화려함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기술의 발전이 성행하였다면 기술의 숙련도와 기본에 바탕을 둔 기술의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시범의 본질에 입각한 올바른 기술 및 문화 발전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의식적 변화에서는 선수의 부상빈도 증가와 선수의 학업 성취도, 이해도 저하 및 스포츠 일탈이 계속 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성적 이상주의와 태권도 기본정신 저하, 선수의 개인주의 증가의 경우 비교적 낮은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 부상의 경우 조직이탈과 같은 문제로 발전 할 수 있기 때문에 선수 보호 및 스포츠 일탈을 방지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산업적 변화에서는 미디어 노출이 증가하고 시범 용품이 개발되고 발달되며 시범 시장의 규모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현상이 태권도장의 활성화에 기여 할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시범이 활성화 되면서 선수 및 팀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이는 시범 시장규모의 증가로 이어졌다. 향후 이러한 현상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최종적으로는 태권도 시범이 태권도장의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종합해봤을 때 태권도 시범이 본격적으로 입시화되면서 그동안 기술뿐만 아니라 경기문화, 용품, 제도 및 선수 등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으며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 시범이 급격하게 입시화 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나타난 일시적 현상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려한 기술보다는 ‘모범을 보이다.’라는 시범의 본질로 회귀하여 양적 증가보다 질적 향상을 위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중 의미가 있는 것은 연구 참여자들이 태권도 시범이 입시화 되며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인지하고 경계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태권도 시범의 양적증가 가능성이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고, 산업적 가능성 또한 높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향후 예측되는 변화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일선 현장에 적용시킨다면 태권도 시범의 질적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 랴오닝성 경찰공무원의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준군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중국 랴오닝성 경찰공무원의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5문항과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 그리고 생활만족을 묻는 5점 Likert 형 43문항 등 총 4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5년 현재 중국 랴오닝성의 심양시(沈阳), 대련시(大连), 안산시(鞍山), 진저우시(锦州), 랴오양시(辽阳) 내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근무기간이 1년 이상인 경찰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5년 5월 11일부터 2015년 07월 20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3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불성실하게 기입되거나 누락된 설문지 26부를 제외한 최종 324부의 설문지를 Windows Program SPSS/PC Version 22.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및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과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참여동기의 차이에서 성별과 연령,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결혼여부에서는 외적 동기만 기혼이 미혼 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경찰경력에 따른 차이에서 외적 동기에서 21년 이상과 1-5년, 21년 이상과 6-10년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력에 따른 차이에서 외적 동기는 대학원 이상과 전문대학 졸업, 대학원 이상과 대학교 졸업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 성별과 결혼여부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는 내재적 제약에서만 20-29세와 40-49세, 30-39세와 40-49세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경찰경력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는 내재적 제약에서만 1-5년이 6-10년, 11-15년, 16-20년, 그리고 21년 이상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21년 이상과 6-10년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력에 따른 여가제약의 차이에서는 대인적 제약에서만 대학원 이상과 대학교 졸업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에서 경찰경력에서 21년 이상과 6-10년에서, 학력에서는 대학원 이상과 대학교 졸업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경찰공무원의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과 생활만족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하위요인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여가참여동기와 여가제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분석에 투입된 여가참여동기의 3개의 독립변인(무동기, 외적 동기, 내적 동기)이 생활만족에 22.5%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제약의 3개의 독립변인(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이 생활만족에 19.0%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여가참여동기의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여가제약은 구조적 제약 보다는 내재적 제약과 대인적 제약이 생활만족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니, 경찰공무원의 자질과 자존감의 함양과 더불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관심과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how the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influences on leisure constrai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hat was composed with a total of 48 questions; multiple-choice questions that inquiring conventional personality traits of the research respondents, and Likert 5 Point Scale questions that inquiring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leisure constraint,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Towards this end, police officers in Liaoning province of China whose service period was more than a year as of 2015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350 police officers was conducted by means of a self-administration method from May 11 to July 20, 2015. For data proces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the final 324 questionnaires using a Windows Program SPSS/PC Version 22.0.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earch hypothese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based on conventional traits of police officers. As per marital status, married respondents showed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 than unmarried ones only in external motivation. In compliance with police work experience, between over 21 years and 1 to 5 years, and, between over 21 years and 6 to 10 ye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rnal motivation. As per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bove graduate school and junior college, and, between above graduate school and undergraduate scho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rnal motivation.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 factors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based on conventional traits of police officers. As per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by age, between 20 to 29 years old and 40 to 49 years old, and, between 30 to 39 years old and 40 to 49 years ol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internal constraint. In compliance with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by police work experience, 1 to 5 ye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 constraint, when compared with 6 to 10 years, 11 to 15 years, 16 to 20 years and over 21 year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over 21 years and 6 to 10 years. In line with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by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bove graduate school and undergraduate scho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ersonal constraints. Thirdly, between over 21 years and 6 to 19 years of police work experience, and, between above graduate school and undergraduate school by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based on conventional traits of police officers. Fourthly, the outcome of correlation analysis regarding police officers’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leisure constraint,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produced static correlation between sub factors. Hence, in order to figure out how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constraint influenced the satisfaction with life, multi s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ensued following outcomes.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internal motivation) that were applied in session analysis, of motivation in leisure participation influenced 22.5%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whil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ternal constraint, personal constraint, structural constraint) of leisure constraint influencing 19.0%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From aggregate outcomes, external as well as internal motiv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internal constraint and personal constraint affect more likely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an structural constraint does, in respect of leisure constraint. In closing, as a means to nurture police officers’ qualifications and self-esteem while cultivating the ability to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s, thorough cares and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 한·중 대학 태권도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소건신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23

        현재 태권도는 올림픽 정식 경기종목으로서 중국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반면 발전 시간이 짧고 전문 인재가 적으며 외래문화인 점으로 인해서 중국 태권도 발전에 제약(制約)이 되어왔다. 이러한 난제(難題)를 해결하려면, 대학 태권도 교육을 기초로 하여, 태권도 전문인재의 소질과 인수(人數)를 끊임없이 늘려야 한다. 이 과정은 인재배양의 플랫폼이자 운반체로서,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내용은 교육과정의 구성, 목표, 내용, 평가 등 4개 영역에서 한·중 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에 대해 여러 방면의 비교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양국 교육과정 차이를 분석하는 기초에서 중국 태권도과정의 개혁(改革)에 대해 견해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구성부분에서, 한·중 양국 대학교 태권도교육과정에는 비교적 큰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대학 태권도 교육과정은 주요하게 교양과정과 전업과정 2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목표가 명확하면서 구조가 합리적이다. 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은 교양과정, 전업과정, 특정과정 및 사회실천과정 4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대적으로 비교적 복잡하다. 둘째, 교육과정 목표부분에서, 한·중 양국 태권도 교육과정은 수직과 수평, 형상화와 배양, 사회와 개인 등 층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은 문화의 계승, 기술의 배양, 과학의 혁신, 태권도 운동의 보급 등을 중시하고, 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은 학생이 교육, 경기, 시합조직, 재판 등 태권도 영역에서 전면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내용부분에서, 한·중 양국 태권도 교육과정은 비교적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의 내용은 중국 교육과정의 내용과 비교할 때, 태권도 전업지식이 차지하는 비례가 비교적 크고, 전업영역의 구분이 구체적이며, 개설한 상관 전공 갯수도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의 태권도 관련지식은 차지하는 비례가 한국보다 많이 적고, 전업영역의 지식도 부족하며 개설한 과정과 수량도 제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육과정 평가부분에서, 한·중 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 평가에는 종결적 테스트와 과정 평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태권도 교육과정의 평가는 교육의 과정 및 학생의 태도 등을 중시하고, 중국 태권도 과정평가는 학생이 파악한 지식의 정도 등 종결적인 평가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과정과 결론에 의하면, 한·중 양국 태권도 교육과정은 비슷한 점들도 있지만 존재하는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교육(敎育), 사회문화(社會文化) 등 객관적인 요소의 영향을 받아서이고, 각자 합리성(合理性)과 자체(自體) 부족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태권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국 태권도 교육과정의 경험(經驗)을 참고하면서, 중국 국정을 결합하여 과정에서의 개혁을 진행하고, 자체 특징에 적합한 교육과정 모형을 구축하여 인재배양의 질을 높이고, 중국 태권도 운동의 빠른 발전을 촉진해야 할 것이다. Currently, Taekwondo as an official event in Olympic Games is prevailing throughout the world and well received and favored by Chinese people. Taekwondo high-speed development in China is limited due to its short development time, few professional talents and its role of a foreign culture. To solve the tough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aekwondo professional talent cultivation the quality and quantity based on taekwondo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us taekwondo curriculum as the platform and carrier for talent cultivation seems extremely importa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is article has made multi-level comparison and analysis on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and Chinese colleges from four dimensions, the constitution, objective, cont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two countries, this article has proposed the suggestion to reform Chinese taekwondo curriculum. (1) Regard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constitution, there exist huge differences between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and Chinese colleges: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colleges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upbringing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which has clear objective and reasonable structure. But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Chinese colleges is mainly divided into four parts, upbringing course, professional course, special project course, and social practice course, which is relevantly complicated. (2) In the part of educational curriculum objective, there exist differences i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haping and cultivating, social and individual aspects.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colleges focuses on cultural inheritance, technology cultivation, scientific innovation and taekwondo promotion. But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Chinese colleges emphasizes students’ comprehensive and balanced development in teaching, competition, competitive organization, referee and other taekwondo fields. (3) Regard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content, there exist great differences. For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colleges, taekwondo professional knowledge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with specific division of expertise areas and large quantity of relevant professional major subjects. But the proportion of taekwondo relevant knowledge in Chinese college curriculum is obviously less than Korean colleges, with insufficient domain know-how and limited subjects and course number. (4) In terms of educ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part,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e final test and process evaluation.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in Korean colleges attaches importance to the education process and students’ attitude but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in Chinese colleges emphasizes the degree of students’ knowledge acquirement and final appraisal. Researches show that there exist more differences in spite of some similarities between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and Chinese colleges. These differences are influenced by the national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other objective factors but both have their own rationality and shortcomings. Chinese colleges should refer to the experience of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colleges, establish educational curriculum model suitable for ow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ina’s actual condition, so as to improve talent cultivation quality and promote the rapid development of taekwondo sports in China.

      • 대학무도 관련 선수들의 운동 상해 유형과 처치에 관한 조사연구

        최효열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 무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운동 상해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동 상해 처치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경기도 지역의 대학교에서 활동하고 있는 무도관련 선수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무도관련 선수의 상해유형과 처치에 관한 연구를 위해 신성득, 2002; 공정원, 2008; 김성훈, 2010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일선현장에서 활동 중인 지도자와 전문가의 지도조언을 받아 수정ㆍ보완하여 재구성 하여 최근 2년간 경험했던 운동 상해를 기록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연구의 속성들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대학 무도선수들의 운동 상해 유형 및 처치에 관한 조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무도선수들의 운동 상해 유형에는 성별, 운동 경력, 무도 종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대학 무도선수들의 신체 부위별 상해 및 근과 건의 상해의 경우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관절 상해 및 상해시기에서는 운동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상해 원인에서는 운동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대학 무도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대한 처치 방안에서는 성별, 운동 경력, 무도 종목에 따라 응급 처치 사항에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무도선수들의 상해 당시 응급처치의 경우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해 후 치료 장소에서는 운동 경력, 무도 종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this study on analyzing the sport injury types of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for a study on sports injury aid, martial arts athletes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As for the research tool, the tool used in studies by Shin Sung-deuk (2002), Kong Jung-won (2008) and Kim Sung-hoon (2010) on the injury types and aid of martial arts athletes was recompos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based on the instructions and suggestion of current field instructors and experts. Accordingly, it recorded sports injuries experienced in the last two years. Using SPSS WIN Ver. 18.0 program, it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attributes, and (chi-square) test to exa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with the collected data. Through such study method and proced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on the types and aid of sports injuries of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Firs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types of sports injuries of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according to gender, sports career and martial arts type. In the case of injuries per bodily part and injuries of muscle and tendon of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gender, and in the joint injuries & injury perio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ports career. As for the cause of injury,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ports career. Second, in the plan of sport injury aid of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first aid item according to gender, sports career and martial arts type. In the case of first aid at the time of injury of martial arts athlete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gender, and in the location of treatment after injury,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ports career and martial arts type.

      • Effects of kinetic chain exercise with lumbopelvic neutralization on postural symmetry, balance and gait for stroke patients

        리폴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CE with lumbopelvic neutralization on postural symmetry, balance, and gait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9 to May 2019. The 36-subject were randomly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criteria of the study. All study protocols were approved and review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committee of Yong-In University (2-1040966-AB-N-01-20-1903-HSR-134) an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the participants. After the 6 weeks KCE with 10 mm block under the less affected lower limb with a lumbopelvic neutralization exercise program. Study group LLD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0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elvic symmetry on static standing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p = 0.000) and the pelvic symmetry during 10 m walk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p = 0.045). The muscle stiffness on both affected side and less affected side of erector spinae musc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p = 0.009). The balance parame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y and control groups(p = 0.000; p = 0.000). Finally, temporal gait parameters and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p = 0.032; p = 0.000). The KCE with 10 mm block under the less affected lower limb had an immediate or prolonged effect on postural symmetry, balance, and gait for stroke patients. Thus, we may need to carefu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sequent non-neural changes on chronic-stage functional abilities in patients with stroke.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요추골반 중립화를 통한 운동사슬 운동이 자세 대칭성,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19 년 3 월부터 2019 년 5 월 까지 뇌졸중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공고를 통한 무작위 선정방식으로 총 36 명의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연구에 참여는 자발적이며 사전동의를 받았으며, 연구의 모든 진행 과정은 용인대학교 윤리위원회 규정을 준수하였다(2-1040966-AB-N-01-20-1903-HSR-134). 본 연구는 6 주간 요추골반 중립화를 통한 운동사슬 운동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신체 각 분절의 최적 기능을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되는 몸통 안정성 촉진하기 위함이였다. 연구군에게는 10 mm 블록을 비마비측 하지에 위치하여 운동사슬 운동을 진행하였다. 양측 하지 길이 차이에서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 = 0.002). 정적 골반 대칭성과 동적 골반 대칭성 모두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 = 0.000; p = 0.045). 두 그룹 간 대상자의 양측 척추 기립근의 동적 경도(stiffness) 측정 결과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p = 0.009). 연구군과 대조군 균형능력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 p = 0.000; p = 0.000), 보행능력의 시간적 및 시공간적 결과값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 = 0.032; p = 0.000). 10 mm 블록을 사용한 요추골반 중립화를 통한 운동사슬 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자세 대칭성, 균형, 및 보행 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며, 뇌졸중 환자의 치료계획은 일차적 신경성 변화 뿐만 아니라 이차적 비신경성 변화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