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조무사의 기대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김명숙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취업 전 기대 근무환경과 현재 근무환경의 일치 여부에 따른 근무환경만족도,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일개 광역시 소재 42개 의료기관의 취업 1년 이내 신규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24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취업 전 기대 근무환경 대비 현재 직장의 근무환경만족도는 평균 3.55점(5점 만점)이었으며 근무형태와 근무부서 항목은 각각 3.84점, 3.73점으로 점수가 높았고, 자유로운 휴가사용, 미사용 휴가 처리방식에 대해서는 각각 3.19점, 3.10점으로 점수가 낮았다. 직무만족도는 평균 3.61점(5점 만점)이었으며 ‘나는 앞으로 내가 할 수 있는 한 이 일을 계속 할 생각이다’가 3.97점으로 높았고 ‘나는 이직을 생각해 본적이 있다’는 3.09점으로 점수가 낮았다. 근무환경 특성의 대부분 항목에 따라 근무환경만족도와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 전 기대 근무환경과 현재 근무환경의 일치율은 근무형태 77.4%, 고용형태 75.8%, 월 급여 72.6% 순이었다. 기대 근무환경과 현재 근무환경이 일치한 대상자들의 근무환경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기대 근무환경과 불일치한 대상자들의 근무환경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직무만족도 또한 낮았다. 연구 결과 신규 간호조무사의 복지 측면의 근무환경만족도는 다소 낮았다. 기대 근무환경과 현재 근무환경의 일치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근무환경을 개선 시킬 여러 가지 방법들을 모색하여 안정적인 직업활동으로 이직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아말감 충전치아에 포함된 수은의 환경 배출량 추정 : 치과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을 이용하여

        이현정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치아에 충전된 아말감에 포함된 수은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에서 환경으로 유출된다. 즉 사망하기 전 아말감이 충전된 치아가 발치되는 경우 발치된 치아와 함께 의료 폐기물로 소각되어 대기로 유출되고, 사망 후 시신 화장하는 경우 대기로, 매장하는 경우 토양으로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수은 첨가 폐기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환경 유출량의 정확한 추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치과 치료 중에 촬영한 치과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을 이용하여 연령대별 아말감 충전 치아 수를 추정하고 연령대별 사망자 수를 이용하여 사망자들의 치아를 통해 환경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는 수은의 양을 추정 하고자 한다.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Y 치과 의원에서 201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촬영한 756명의 방사선 파노라마 영상을 수집하여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방사선 파노라마 영상이 중복되는 경우 가장 최근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방사선 영상 속에서 아말감 충전 치아 수 및 보철물 수복 치아 수를 측정하고, 성별, 연령을 함께 조사하였다. 통계청의 2016년 출생·사망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연도별 사망자 수, 연령대별 사망자 수를 조사하고, 보건복지부 2015년 화장률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매장률을 추정하였다. 연령대별 사망자 수에 따른 수은 배출량은 연령대별 사망자 수 ✕ {(연령대별 아말감 충전율 ✕ 아말감 충전 치아 수 기하평균) + (보철물 수복률 ✕ 보철물 수복 치아 수 기하평균) ✕ (1.0, 0.7, 0.5, 0.3)} ✕ 0.2 g(평균 아말감의 무게) ✕ 아말감 내 수은 함량 비 (0.5) 식에 의해 산출하여 수은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사망자의 연령대별 수은 배출량은 최대 123,630 g이고, 최소 24,260 g이다. 화장률을 고려했을 때 화장을 통해 대기로 배출될 수 있는 수은의 양은 최대 100,900 g이고, 최소 21,169 g이다. 매장을 통해 토양으로 배출될 수 있는 수은의 양은 최대 22,730 g이고, 최소 3,091 g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연령대별 사망자수와 화장률/매장률에 의해 연간 최대 123,630 g의 수은이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구강 내에서 조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가격 대비해 내구성이 우수한 아말감은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최근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아말감이 충전재로 사용되어 왔으므로 사망자들의 치아에는 적지 않은 양의 아말감이 존재할 것이다. 아말감에 포함된 수은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환경으로 배출될 것이다. 시신에 포함된 아말감이 화장이나 매장을 통해서 환경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화장 시 발생하는 수은 증기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집진 시설이 필요하며, 매장 시 충전된 아말감을 사전에 제거할 필요가 있다. In humans, amalgam in teeth filling contains mercury, which enters the natural environment via various routes. For example, if an amalgam-filled tooth is extracted before an individual dies, the mercury in the amalgam is incinerated along with the tooth and enters into the atmosphere. In case of cremation or burial of a deceased individual, the mercury will enter the atmosphere or seep into the soil, respectively. Therefore, accurate estimation of mercury containing wastes that enter in to the environmental is essential for effective manage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umber of amalgam-filled teeth based on the age groups using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taken during dental treatments and the amount of mercury that can potentially be discharged into the environment after an individual dies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deaths based on the age group. We collected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from 756 patients, which were taken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16 at Y Dental Clinic, Daegu Metropolitan was City. These images were used for research, and in case of duplications, the most recent image considered. Using the radiographic images, the number of amalgam-filled teeth and prosthetic teeth were counted, and the sex and age of the patients were determined. We estimated the number of deaths by year and age based on the 2016 birth and death statistical reports, respectively, obtained from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We also estimated the burial rate from the cremation rate in 2015 based on the material obtained from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amount of mercury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eath rate by age group was calculated as follows: Number of deaths in each age group ‘([rate of amalgam fillings by the age group’ geometric average of the number of amalgam-filled teeth] + [restoration rate of dental prosthesis ‘geometric average of prosthetic teeth]’ ‘[1.0, 0.7, 0.5, 0.3])’ 0.2 g [average amalgam weight] mercury content in the amalgam (0.5) In case of deceased individuals, the amount of mercury discharged by the age group ranged between 24,260 and 123,630 g.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remation rate, the amount of mercury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due to cremation was found to be 21,169–100,900 g, while the amount of mercury in soil in cases of burial was 3,091–22,730 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nnual mercury discharge based on the number of deaths and cremation/burial rates by age groups was approximately 123,630 g. Since amalgam is cheap, durable, and compatible with mouth conditions, it has been used as teeth filling in Korea. Despite decreased usage, since it has be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teeth fillings, the teeth of deceased individuals contain high amount of amalgam, and the mercury in the amalgam is discharged into the environment via various routes. Therefore, to prevent seepage of amalgam into the environment after cremation or burial, a mist collection facility is required for disposal of mercury vapor after cremation and removal of amalgam in teeth filings prior to burials.

      • 중학생의 구강건강 상태와 학교구강보건서비스 요구도

        최민지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중학생의 구강건강 상태와 학교구강보건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4월 18일부터 5월 10일까지 경상북도 경주시 소재 1개 남자중학교와 영천시 소재 1개 여자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재학 중 구강보건교육은 남학생 80.7%, 여학생 75.2%가 경험하였고, 중학교 진학 후 구강보건교육은 남학생 11.8%, 여학생 8.3%가 경험하였다. 구강보건 태도 점수는 남학생 23.04±3.02, 여학생 22.24±3.05이었고(p<0.05), 구강보건 행태 점수는 남학생 33.98±4.62, 여학생 37.41±4.37이었다(p<0.01). 구강건강상태에서 우식경험영구치율은 남학생이 12.53±12.40으로 여학생 18.62±14.31보다 낮았지만(p<0.01), 우식영구치율은 남학생이 40.59±43.27로 여학생 19.45±31.78보다 높았다(p<0.01). 초등학교 재학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여학생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태 점수는 경험이 없는 여학생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태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학교구강보건서비스 각 항목에 대하여 필요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구강보건실 운영 69.5%, 양치시설 79.7%, 치아 홈메우기 70.1%, 불소도포 75.6%, 구강보건교육 65.1%이었다. 양치시설을 희망하는 남학생의 우식경험영구치율이 11.37±11.64로 희망하지 않는 남학생 15.69±13.94보다 낮았고(p<0.05), 구강보건교육을 희망하는 여학생의 우식영구치율이 23.42±33.62로 희망하지 않는 여학생의 12.08±26.81보다 높았다(p<0.05). 중학교 진학 후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매우 낮았고, 학교구강보건서비스 각 항목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앞으로 중학교 학교구강보건서비스 제공 체계의 개선을 통하여 중학생 구강건강 유지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identify the needs for oral health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chool oral health serv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subjects of 2nd graders in one male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ju and one female middle school in Yeongcheon, Gyeongsangbuk-do from April 18th to May 10th 2013. A total of 344 students were finally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80.7 % of male students and 75.2 % of female students experienced the oral health education while they wer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8 % of male students and 8.3 % of female students experienced the oral health education after they entered the middle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23.04 ± 3.02 and 22.24 ± 3.05 in oral health attitude score (p < 0.05), respectively.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33.98 ± 4.62 and 37.41 ± 4.37 in oral health behavior score (p < 0.01), respectively. In terms of oral health status, male students had 12.53 ± 12.40 in DMFT rate which was lower than 18.62 ± 14.31 of female students (p < 0.01). Male students had 40.59 ± 43.27 in DT rate which was higher than 19.45 ± 31.78 of female students (p < 0.01).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scores of femal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oral health education while they wer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who did not have experience. For each item of school oral health service, 69.5 %, 79.7 %, 70.1 %, 75.6 % and 65.1 %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the operation of oral health room, brushing facilities, tooth sealant, application of fluoride and oral health education, respectively. DMFT rate of male students who wished brushing facilities was 11.37 ± 11.64, which was lower than 15.69 ± 13.94 of male students who did not wish (p <0.05). DT rate of female students who wished the oral health education was 23.42 ± 33.62, which was higher than 12.08 ± 26.81 of female student who did not wish (p < 0.05).After entering the middle school, experience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was very low and the needs for each item of school oral health services was high.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the plans to maintain and manage or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improvement of system to provide middle school oral health service in the future.

      • 대구지역 노인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상태

        이준혁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대구지역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건강평가지수(GOHAI)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구강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노인들의 구강예방교육 및 구강건강관리 사업·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시행되었다. 대구지역 만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수준,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구강건강평가지수가 높았고(p<0.05), 주관적 건강상태 좋을수록, 구강건강 관심이 많을수록 구강건강평가지수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p<.0.01), 경제수준이 높을수록(p<0.05) 구강보건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질수록 지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3. 교육수준이 좋을수록(p<0.05),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질수록(p<0.01) 구강보건 실천행위도가 높았다. 4.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p<0.01) 구강보건행태와 구강건강평가지수(p<0.01), 구강보건지식과 구강건강평가지수(p<0.01)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인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 구강건강평가지수(GOHAI)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노인의 구강건강 삶의 질이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실천행위가 연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구강예방교육 및 구강건강관리 사업·프로그램 개발하는 경우에 구강보건지식을 향상시키는 교육뿐만 아니라 구강보건실천행위를 발전시키는 교육을 함께 어우르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노인들의 구강건강 향상에 이바지하여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 청소년의 ‘새·물고기 그림 검사’ 수행 경험 연구

        주연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새·물고기 그림 검사’를 통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환경은 어떠하며, 무엇을 이야기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청소년 환경을 평가하는데 ‘새·물고기 그림 검사’가 유용한 환경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의 중고등학생이다. 중학생 68명과 고등학생 64명 총 132명을 임의표집 하여 2021년 8월 13일부터 9월 6일까지 그림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중 추가면담에 참여한 5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새·물고기 그림 검사’이며, 그림 검사 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물고기 그림 검사’에서 나타난 환경내용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새·물고기 그림 검사’에서 드러낸 환경은 자신, 가정, 친구, 학교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 중 이성 친구에 대한 이야기(56%)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자신의 기질이나 성격(54.2%), 진로(42.3%), 부모, 학교생활, 또래친구, 형제에 대한 이야기 순이었다. 구체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Elo와 Kyngas(2008)의 귀납적 접근방식에 따라 개방 코딩, 그룹화, 추상화 순서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7개의 상위범주와 23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상위범주는 ‘새·물고기 그림 검사와 첫 만남’, ‘자신의 성격과 욕구’, ‘친구와의 우정과 사랑’, ‘가족이라는 울타리’, ‘나의 목표와 학업’, ‘소망하는 시간’, ‘그림 검사가 안겨준 선물’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새·물고기 그림 검사’를 통하여 자신에게 의미가 있는 환경을 선택하여 심리적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냄으로써 ‘새·물고기 그림 검사’가 청소년의 환경평가 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새·물고기 그림 검사’의 초기 탐색적 연구로 추후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새·물고기 그림 검사, 청소년, 환경평가, 질적 내용분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dolescents' environments as perceived by them and what they narrate through their drawings by using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as a valuable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 and to provide research data that can be utilized as empirical data in clinical practice. The participants wer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chool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132 students including 68 middle school students and 64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nd the drawing test was conducted among the participants from August 13 to September 6, 2021. Out of the 132 students, 59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ost-test interviews were finally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ir data was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e assessment tool was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After conducting the drawing test, environmental contents shown in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s of interviews,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specific contents in detai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nvironments revealed by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included contents about oneself, the family, friends, and the school. Among them, stories about friends of the opposite sex took up the highest proportion (56%), followed by narratives about one's temperament or personality (54.2%), future careers (42.3%), parents, school life, peers, and siblings in descending order. In other to examine specific content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nd it involved the three main stage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abstraction following the inductive approach suggested by Elo and Kyngas (2008). The content analysis yielded 7 main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The seven main categories were generated as follows: 'The first encounter with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One's personality traits and needs', 'Friendship and love with friends', 'The family as a protective fence', 'My goals and school work', 'The time that I desire to have', and 'The gift given by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One of the meaningfu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the participants selected meaningful environments for themselves and represented their psychological situations through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thereby showing the applicability of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as an assessment tool for the environments of adolescents. In addition, as an early exploratory study on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this study provided data that may prove useful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bird and fish drawing test, adolescents, environmental assessmen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대구지역 소규모 사업장의 특수건강검진 요관찰자 관리실태

        정윤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대구지역 소규모 사업장 특수건강검진 요관찰자 관리실태 파악을 위해 소규모 사업장 특수검진결과에 따른 사후관리 권고 사항에 대한 이행실태를 조사하고 추후 소규모 사업장의 직업성질환 발생 예방에 활용하기 위하여 대구지역 소규모 사업장 53개소의 경력 6개월 이상 안전보건담당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시행하였다. 직업병 요관찰자(C1)가 일반질병 요관찰자(C2) 보다 사후관리 권고수가 더 많았으며, 직업병 요관찰자(C1)의 경우 안전보건담당자 근무기간이 5-9년과 사업장 규모가 19명 이하에서 사후관리 권고수가 의미있게 많았으며, 일반질병 요관찰자(C2)의 경우 사업장 규모가 19명 이하에서 사후관리 권고수가 의미있게 많았다. 직업병 요관찰자(C1)와 일반질병 요관찰자(C2)가 권고수행률이 낮았으며 직업병 요관찰자(C1)의 경우 추적검사에서 80%이상의 높은 이행률을 보였다. 소규모 사업장은 영세하고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관리자 선임 의무가 없으며 비용과 인식 등의 부족으로 취약한 근무환경에서 근로자 건강증진을 위하여 검진결과에 대한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직업병과 업무 관련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보건담당자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본 업무에 집중과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사업장에서는 안전보건담당자에 대한 업무환경조성이 필요하다. 국가에서는 안전보건담당자를 위한 보건교육 의무적 시행과 특히 특수검진결과 사후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서 중요시되고, 검진기관에서는 안전보건담당자가 유소견자 관리를 잘 할 수 있도록 지도·조언이 필요하다. 안전보건담당자는 사업장의 유해인자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질환을 파악하고 사업장 특수검진결과 사후관리 및 권고 사항에 충실히 이행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오세원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코로나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 등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된다.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고 사망으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무증상 감염 사례의 빈도도 높게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전염성과 위험성으로 인해 많은 국가와 도시들이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고 감염률을 통제하기 위한 조치로 전면 폐쇄 조치를 시행하기도 하였으며 시민들에게 집에서 머무르며 사회적 거리두기 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런 폐쇄 조치로 민간 경제와 생활패턴 외에도 변화한 것이 있다. 바로 환경이다. 몇몇 국가에서는 폐쇄 조치로 산업과 교통활동이 위축되면서 대기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이 눈에 띄게 낮아지게 되었다. 그리고 대기질이 개선되었다는 연구 보도가 속속 잇따르고 있다. 이는 인류가 친환경적으로 나아갔을 때 대기환경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PM10) due to the outbreak of Corona 19, and was conducted for major cities in Gyeongsangbuk-d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nnual fine dust (PM10) concentration decreased by about 21% in 2020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compared to before the outbreak of Corona 19. Although this Corona 19 incident has caused social and economic damage worldwide, it can be considered as a good opportunity to check how the environment can be improved when mankind lives in an eco-friendly way. While various global economic indicators are falling due to the lockdown measures around the world, it is also confirmed why the environment must be actively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taking measures for economic recovery after the COVID-19 crisis. In addition, the cause of the generation of fine dust was identifi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month and season, and it was found that the monthly and seasonal changes in fine dust were very similar in Gyeongbuk, located in the east, and Taean, located in the west. In particular, it can be inferred that fine dust from China is affected by fine dust from China in all parts of Korea, as fine dust from the east and west of Korea rises at the same time when the west wind blows. However, if the influence of China is absolute, the analysis result did not show that even though Taean, which is close to China, should have a higher effect of improving fine dust when China lowered the factory operation rate and entered lockdown measures due to Corona 19. I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Gyeongbuk showed a 21% decrease in fine dust after the outbreak of Corona 19, while Taean-gun only decreased about 12%. This means that the impact of fine dust not only abroad but also domestically is not small. Therefore, for the steady managemen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n the future, simultaneous efforts are require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ternally,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ir environment can be sufficiently improved if the pollutant sources are reduc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economic recovery policy after the corona crisis, we will actively promote and implement eco-friendly policies, and all the people will actively participate. And external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air pollution from China, it seems that steady efforts such as sophisticated cause analysis,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joint research with China and environmental agreements will be required. For example, Japan, which generates relatively little fine dust, has made a lot of effort from early on to reduce air pollutants in its country. Since 1985, power plants and large-scale factories have been replaced with LNG fuel,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such as electric dust collectors have been used, and regulations prohibiting diesel vehicles from entering the city were also implemented early in Japan. Like Japan, it was able to see a significant effect just by reducing air pollutants generated in its own country,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get good results if its own efforts to reduce fine dust are made. In addition, Korea's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has started to expan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As more monitoring stations are created and data are accumulated,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trends of domestic air pollution. Based on this, more diverse and consistent It is hoped that research will be possible.

      • 치과위생사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구혜영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요 약 이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영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인력관리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울산 지역 소재 60개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241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sion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 점수는 100점 만점에 60.26±16.57점이었으며, 35∼40세, 대학원 이상, 총 근무 경력 15년 이상, 월 평균 급여 300만원 이상, 실장인 경우 점수가 높았다(p<0.05). 이직의도 점수는 52.78±21.55점이었으며, 30∼34세, 총 근무 경력 5∼9년의 점수가 높았다(p<0.01). 직무만족은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의 성희롱, 폭력위협을 제외한 모든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5), 이직의도는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의 영향력, 성희롱, 폭력위협, 왕따를 제외한 모든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의 의미(β=0.355), 조직몰입(β=0.252), 스트레스(β=-0.204), 월 급여 300만원 이상일 때(β=0.184)이었으며, 설명력은 49.2%이었다(p<0.001).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몰입(β=-0.400), 직무만족(β=-0.332), 일-가족 갈등(β=0.170)이었으며, 설명력은 53.5%이었다(p<0.001). 이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관련이 있는 모든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요인들까지 고려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업무를 제대로 인정하고 평가를 해주는 조직의 공정한 대우 및 지지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치과위생사 직업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자긍심을 높임으로써 조직에 대하여 애착심과 충성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전원주택의 입지유형과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연구 : 대구 주변지역 전원주택을 중심으로

        김순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M.S. Thesis A Research on Feng-shui Theory Regarding Location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uburban Houses -Focusing on Suburban Houses in the Vicinity of Daegu- Kim Soon-Jin Major in Feng-shu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Jae-Rak and Park Chan-Yong) Abstract In the past and modern housing culture, the primary purpose is to use residential life styles.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income level and the five-day-workweek, modern people began to prefer well-being and healing perspective of their lives, which brought lots of attention to housing culture of suburban houses. Going along with the trends, suburban housing complex started to be developed and sold in the locations not far from the downtown area, gaining attention of the public.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development of suburban houses is driven by profitability of individual developers or construction companies without thought for the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these problems from happening, not only legal regulations but also environment-friendly location of suburban houses is very important so that the nature and human beings live in harmony by human beings adapting to the nature. Therefore, we could seek for wisdom of our ancestors by adopting Feng-shui theory to modern architecture, which will lead to coexistence of the human beings and nature, without destroying the Mother Nature. Also, considering the benefits provided by the nature, the nature should never be destroyed and when developing suburban houses, the convenience and profitability should not be given the highest priorities but one must find the ways to let the nature and human beings live in harmony. If we recognize the value of the natur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future of nature is the future of human kind thus we must pass on the valuable nature soundly to our descendants. According to the Feng-shui theory, not only suburban houses but also general architectures are ideal to be located in areas with Sands of Four Spirits(四神砂) where the spirits of mountains are well inherited. In Feng-shui theory, these locations are deemed as ideal spots that contain the wind and obtain the water(藏風得水). The present research studies suburban houses located within one-hour distance from northern and eastern directions of Daegu city, and five complexes are selected including ① Hwasung Greenville Suburban Houses ② Palgong Jeonwon Village ③ Yuchang Jeonwon Village ④ Yangji Meogu Village ⑤ Biseul Oak Valley, in order to apply important theories of Feng-shui theory such as Yongse(龍勢), Jise(地勢), Suse(水勢), Jwahyangron(坐向論) and Bibo Feng-shui(裨補風水). Also,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3 Principles of Yangtaeg(陽宅三大看法) including Baesanimsu(背山臨水), Jeonjeohugo(前低後高), and Jeonchakhugwan(前窄後寬). Among the theories of Yangtaeg Feng-shui(陽宅風水) that can be applied to suburban houses, Dong·Seo Sataegron is selected among the contents of Yangtaeg Samyo(陽宅三要). However, among the theories of Feng-shui, Hyeolron(穴論) is argued by many scholars from academic perspectives thus it is excluded in this research when analyzing suburban houses. If suburban houses are located in areas with favorable natural locations and space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recommended by Feng-shui theory, it would be like a highly valuable home where people can enjoy their healthy and happy lives. The present research intends to study the impact of suburban houses on residential lives from the standpoint of Feng-shui theory, which is a traditional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Improvement in income level and standard of living has brought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and recognition towards housing cultures such as expansion of leisure time and increased attention to health, driving many people to leave overcrowded houses in the city and go to suburban houses. Those people desire to escape from the environmental, noise, smoke and water pollution in the downtown and prefer to enjoy healthy and high-quality lives in suburban areas.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intends to propose methodological directions to be applied to location selection and house building while protecting the nature, which could be used for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suburban hou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uburban houses and apply Feng-shui theory in terms of location, landscaping, site plan, street structures within the complex to study location selection and space composition, in order to propos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uburban hous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city. 국문초록 전원주택의 입지류형과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연구 -대구 주변지역 전원주택을 중심으로- 김 순 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설계학과 풍수지리전공 지도교수 박재락·박찬용 요 약 과거의 주거문화와 현대의 주거문화에서 첫 번째 목적은 주거생활의 활용이다. 하지만 소득수준의 향상과 주 5일 근무제로 웰빙과 힐링을 선호하면서 현대인들이 전원주택 주거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도심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은 위치에 자리한 전원주택 단지가 활발하게 개발 분양되면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문제점은 도시외곽 지역의 전원주택 개발은 개인업자 또는 건설업체에서 수익만 앞세워 여러 형태의 종류로 개발되면서 온 산천이 무분별한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법적인 규제도 필요하지만,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기위해서는 인간이 자연에 순응하면서 조화로운 삶의 공간에 전원주택이 친환경적으로 입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개발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현들의 지혜를 살펴서 전통 자연과학인 풍수지리를 현대건축에 접목시켜 전원주택을 개발한다면, 아름다운 대자연을 훼손 없이 함께 조화를 이루면서 인간과 자연이 공존 공생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이로움을 생각한다면 자연을 함부로 훼손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며, 전원주택 택지개발에 있어서도 편리성과 수익성만을 앞세워 개발 할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한다면 자연의 미래가 우리의 미래이듯 소중한 국토를 잘 활용하여 온전하게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것이다. 풍수지리에서 전원주택은 물론이고 일반 건축물도 산(山)의 좋은 정기를 받아 사신사(四神砂)가 잘 갖추어진 곳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건물이 배치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입지조건이라 할 수 있다. 풍수지리에서 이런 곳이 곧 장풍득수(藏風得水)가 잘 된 곳이라 하여 명당이라 칭한다. 본 연구 논문은 대구시를 중심으로 북, 동쪽에 위치한 1시간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전원주택을 선정하였으며, 대상지로는 ① 화성그린빌 전원주택 ② 팔공전원마을 ③ 유창전원마을 ④ 양지머구마을 ⑤ 비슬오크밸리 이상 전원주택 5곳을 선정하여 풍수지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론적 체계를 합리적으로 적용하여 주거지의 입지선정에 필요한 용세(龍勢), 지세(地勢), 수세(水勢), 좌향론(坐向論)인 건물의 배치와 구조, 비보풍수(裨補風水) 이론을 대입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택3대간법(陽宅三大看法)인 배산임수(背山臨水), 전저후고(前低後高), 전착후관(前窄後寬)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양택풍수(陽宅風水)에서 전원주택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 가운데 양택삼요( 陽宅三要) 내용중 동·서사택론을 적용하여 자세하게 연구하였다. 그러나 풍수지리 이론 중 혈론(穴論)은 학술적으로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으므로, 본 연구 논문 주제인 전원주택 분석에서는 혈론(穴論)은 배제 하였다. 풍수지리 요건을 갖춘 전원주택이 자연환경 입지조건과 공간구성이 잘 갖추어진 곳에 위치한다면 건강과 행복을 누리고 살 수 있는 보물 같은 보금자리가 될 것이다. 전통 자연과학 학문인 풍수지리학이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주거양식 형태중 하나인 전원주택이 주거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현대생활에서 소득수준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여가시간 활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사회구조와 주거문화의 인식변화를 가져옴으로써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짐에 따라 도심지 내의 과밀화된 주택보다는 전원주택을 선호하는 탈도시화 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도심지 내의 환경오염과 소음공해 차량의 매연 및 수질오염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건강하고 질 좋고 여유로운 생활을 영위하고자 한다. 또한 전원주택 개발과 건축공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어 자연을 보호하면서 터 잡기와 집짓기에 실용적(實用的)으로 활용 될 수 있는 방법론(方法論)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으며, 전원주택 단지의 특징을 현대 부동산 풍수를 적용하여 공간구조로 주택의 배치, 주택의 가상, 주택의 조경, 대지의 평면, 단지 내 도로의 구조를 전통풍수지리를 적용하여 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을 연구함으로써 합리적인 전원주택 단지 개발과 도시의 주거환경에 연구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