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악도시 경북고령의 가야금문화 활성화 방안

        김수영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악도시 경북고령의 가야금문화 활성화 방안 김 수 영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전공 지도교수 민주식 요 약 옛 가야의 수도인 경북 고령은 많은 문화자산을 가지고 있는 도시이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현악기인 가야금이 처음 만들어 지고 연주되어졌으며, 지금도 가야금의 문화를 이어가고 있는 곳으로 악성 우륵선생의 업적을 높이고 가야금을 후대까지 전승 발전시키기 위해 꾸준한 노력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북고령이 가지고 있는 가야금의 문화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가야금의 문화가 고령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하였다. 국악도시 경북고령의 가야금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해 첫째, 고령의 가야금교육현황을 학교의 교육과 학교 외 교육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 다양한 계층에 맞는 체계적인 가야금 교육프로그램으로 유아대상의 교육프로그램, 1인1악기 프로그램의 가야금활용, 중 ․ 고등학교의 교육시스템 구축, 일반인대상 프로그램의 확대와 문화소외계층 흡수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국악공연과 고령의 국악공연의 현황조사, 가야금의 연주단체 조사와 통해 고령의 가야금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국악공연이 대도시에 편중되어 있지만 고령이 가지고 있는 가야금의 지역적 특색을 살려 가야금을 비롯한 국악의 공연문화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노력방안으로 상설공연과 전문연주단의 연계성, 국악전문공연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가야금의 문화발전을 위해 지역적 문화자원과 역사인물의 문화자원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이용하여 전문화, 체계화된 행정력을 갖추고 가야금문화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야금교육을 통한 인적자원 개발, 국악공연을 통한 예술문화 확산, 예술행정을 통한 시스템 구축을 통한 많은 노력들이 가야금의 문화가 더욱 좋은 방향성을 가지고 개선되기를 바란다. 이러한 지역문화의 진흥과 균형발전을 통해서 지역의 공동체와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고령의 가야금의 문화가 우리나라 국악발전에 중심에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M.A. Thesis The activation plans for the Gayageum culture in Goryeong in Gyeongsangbuk-do as a c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IM, Suyoung Department of Art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rts and Design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MIN, Joosik) Abstract Goryeong in Gyeongsangbuk-do has a lot of cultural heritages as a capital city of old Gaya. Gayageum was first made and played in Goryeong, which is the oldest string instrument in Korea among those cultural heritages. Goryeong has maintained the culture of Gayageum to the present and has been trying to celebrate the work of Ureuk and develop Gayageum in later gen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ultural value of Gayageum in Goryeong and research the effects of the Gayageum culture on the Goryeong region. For the research of the activation plans of the Gayageum culture in Goryeong as a c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has first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Gayageum education in Goryeong in two parts of in and out of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has been suggested; preschool education program as a systematic Gayageum education program for the diverse social stratum, Gayageum education in one instrument for one person program,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 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 expansion of the programs for the general public,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alienated culture groups. Second,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both Korea and Goryeong, the organizations of Gayageum performances, and the development plans of Gayageum in Goryeong. The connectivity of the regular performance and the profess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the necessity of special concert halls for the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been suggested to effectively activate the performance cul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cluding Gayageum though most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concentrated in the major cities. Third, the development of Gayageum culture will be achieved by utilizing the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make good use of regional culture resources and the culture resources of the historical figures for the cultural development of Gayageum.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Gayageum culture by making efforts of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through Gayageum education, the diffusion of culture and arts through the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ystem through arts administratio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dentity of regional culture will be established through the advancement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and lots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put the Gayageum culture of Goryeong in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Korea.

      • 대구광역시 생활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 생활문화예술동호회를 중심으로

        김윤호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Study on How to Vitalize Living Culture of Daegu - Focusing on the Communities of Living Culture & Arts Yun-ho Kim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s and Design Culture Department of Arts Administration Adviser by professor Hye-young Song Abstract Local culture and art is founded on cultural democracy which comes from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and the local government, so the genuine cultural democracy means every person can enjoy culture and art. Then, the best place for the activities of the culture and art is where any local residents can experience. This is the very base of the living culture. Thus, it must be the ultimate goal of the local culture and art policies. To find the ways to vitalize the living culture of Daegu,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mmunities and the support projects were analyzed. There are a few supporting ordinance and communities of the living culture that mainly focus on medium and long term policies and projects. However, most of them are enacted as one-time events and led by the local government regardless of the needs of the local citizens. Other problems are also found, including th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living culture, few experts, small network spaces, bias towards specific genres, absence of the communitie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platform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vitalize the living culture, the policy should be aimed at making the projects reproductive, unlike a one-time event, and promoting the cultural ecosystem that encourages spontaneous activities of the citizens. Actually, Daegu has little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historical and natural resources, so it would be difficult to create cultural policy only with these deficient cultural resources. As an alternative, personal and customized methods to connect the region and the art will revitalize the voluntary living culture and make it continuous. It is true that a spac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living culture activities, but the policy of Daegu is too biased towards building just infrastructure such as living-culture centers. Instead, so-called software is needed first, not just hardware. Furthermore, online and offline platforms to support various activities of the citizens are essential. Not only should the platform provide information, also it has to motivate participation, communication, cooperation, sharing between the living culture artists and the communities. Besides, the role of the professional mediator who is able to understand what citizens need is vital. To make the activities sustainable, differentiated ways like musicals and operas specializing in unique traits of Daegu c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Analyzing in depth and vitalizing the roles and the effects of the living culture community as a social capital, all local residents can be entertained by living culture activities in their routine lives, which makes them feel more delighted. With the communities, Daegu would be a better city to live in. 대구광역시 생활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 생활문화예술동호회를 중심으로 김 윤 호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전공 지도교수 송 혜 영 요 약 오늘날 지방의 문화예술은 주민 참여와 지방자치로 만들어 가는 문화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하며, 모든 사람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음을 진정한 문화민주주의로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역주민 누구나 문화예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누릴 수 있는 곳에서 문화예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이 생활문화의 존재기반이자 지방문화예술정책의 지향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구광역시의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생활문화예술동호회 현황 및 지원사업을 분석하였는데, 현재 대구광역시에는 행정적으로 필요한 지원조례와 생활문화센터 등 지원거점(공간)도 일부 확보되어 있고, 중⋅장기적 정책 방향과 지원 정책 그리고 세부적인 지원사업도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우리 지역의 실태와 지역민의 요구에 상관없이 단순 이벤트성 행사 형태로 지원되고 있고, 지방정부 주도 방식의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전문인력의 부족, 네트워킹 공간의 부족과 특정 장르에의 편중, 대구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생활문화예술동호회 부재, 정보 플랫폼의 미흡 등이 본 논문과 관련하여 도출된 시사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을 통해 제시 할 수 있는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그 자생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며, 자발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문화생태계의 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할 것이다. 대구지역은 자연환경이나 역사⋅문화 등 문화적 자원과 콘텐츠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문화적 자원만을 가지고 문화 정책을 만들어 내기 어려운 상황에 있어서 지역적, 역사적, 문화의 매개물을 문학, 음악, 미술 등 생활문화 각 활동분야에서 개별적 및 맞춤형으로 찾아야만 자발적 생활문화의 부흥과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활문화 활동에 있어서 공간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인 것은 분명한 것이지만, 대구광역시 생활문화 정책의 무게중심은 생활문화센터와 같은 인프라 구축으로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하드웨어보다 먼저 소프트웨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 기반을 지원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도 매우 중요하다. 단순히 정보만을 제공하는 차원이 아니라 생활문화예술가와 동호회 간의 참여, 소통, 공유, 나눔, 협력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플랫폼이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생활문화를 실질적으로 확산하는데 필요한 것은 문화매개자의 양성이다. 문화와 예술은 개인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시야를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요구를 잘 파악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진 생활문화 매개자의 역할은 필수적이다. 그리고 생활문화예술동호회 활동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 타 지역과 비교해 볼 때 대구 지역에 특화된 뮤지컬과 오페라를 중심으로 하는 차별화된 방향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렇게 사회적 자본으로서 생활문화의 공동체성의 역할과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활성화함으로서 지역 시민 모두가 일상생활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생활문화 활동을 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공동체를 형성하여 대구광역시 지역이 생활문화로 살기 좋은 도시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아프리카 쇼나조각의 예술성과 시장성 제고 방안 연구

        김수현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examines the arts management perspective to raise the value of artistry and marketability of Shona sculpture, an art culture of Zimbabwe. The researchers have observed for 10 years and confirmed that the artistic value of African Shona sculpture is not worthy of fair value even though it can be recognized as equivalent to western art culture. The cause was identified as the lack of overall inform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Shona sculptors, sculpture arts and African arts and culture together with the high barriers to entry in the Western art wor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a method to raise the artistic and commercial value of Shona sculpture from the viewpoint of art management.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Zimbabwe government and Shona sculptors of Africa should initiate voluntary efforts to improve the merchandising value of Shona sculpture. Among them, effort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sculpture art by Shona sculptors should be given priority. Based on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artistic and merchandising values ​​of Shona sculptures, the third world art. In addition, the researcher proposed a plan to establish the management system of Shona sculpture in 4 realms of artistic administration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and to present the way of cultural and artistic development in Africa in the global age of the 21st century. First, Zimbabwe in Africa ha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Residence Program', a culture and arts support program, in order to raise the status of Shona Sculpture and expand its base. The researcher showed a way to become an artist of modern concepts who emphasized the freedom and creativity of art through an example of 'Workshop School' run by Frank McEwen In 1969. In addition, a measures was emphasized to support work environment and tools which are convenient for Shona sculptor artists who pursue tradition and legitimacy such as the Tengenenge Art Village. About the Shona sculpture made in modern work environment, a method was proposed to attract the public interest in and expand the base for Shona sculpture by the systematic operation and promotion of the Zimbabwe national museum and opening of the exhibition of the Shona sculpture exhibition and the art fair. These attempts and efforts have been proposed as an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to raise the artistic and merchandising value of the Shona sculpture and as a way to preserve the tradition of Shona sculpture. Second, it suggests the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focusing on separation of creative activities and distribution, revealing that the structure responsible both for producing and selling for personal profit shows room enough to deteriorate the artistry and commerciality of Shona sculpture. If a systematic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s settled in order to expand the database of Shona sculpture management after separation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the succession of artistry and legitimacy of Shona sculpture will be likely to get smooth. Third, the matter of the boundary between genuine and false works was mentioned together with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art appraisal system and author certification system. In order to prevent the decline of the value of artistry and commerciality caused by many imitation and industrial goods of Shona sculpture,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Shona sculpture copyright through the author certification system and artistic appraiser training system. This is a necessary policy for simultaneous protection of art lovers as well as the artistic activities of Shona sculptors, and the most pressing issue to preserve the artistic value of Shona sculpture. Lastly, a policy was proposed about the promotion home and abroad of the artistry and commerciality of Shona sculpture,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pointing out the passivity of the government's cultural and artistic policies of Zimbabwe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ndependent state. The example of the countries, which are trying to occupy the position of cultural occupying power, was taken as a basis for the cultural war in the global era. This researcher sought to find out what the country owning the third world arts the Shona Sculpture, which represents the African continent, is lacking the most in the present situation to complement it. It is hoped that Zimbabwe's own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policy and active support will be prioritized in order for the Shona Sculpture that is not completely out of the cognitive scope of Third World art to preserve the artistic values the first generation artists accomplished and to achieve greater development. 본 연구는 짐바브웨의 예술문화인 쇼나조각의 예술성과 시장성의 가치 제고를 위한 방안을 아트매니지먼트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자가 10여 년간 관찰한 결과 아프리카 쇼나조각의 예술적 가치는 서구 예술문화와 동등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당한 가치가 부여되지 않는 현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원인으로 서구 미술계의 높은 진입 장벽과 함께 쇼나조각가들과 조각 예술에 관한 아프리카 문화예술의 전반적인 정보와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의 부재 때문으로 판단했다. 이에 아트매니지먼트의 관점에서 쇼나조각의 예술성과 상품성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쇼나조각의 상품성 가치 향상을 위한 연구에서 아프리카 짐바브웨 정부와 쇼나조각 작가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그중에서도 쇼나조각가들의 조각 예술에 대한 관리시스템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이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관점에 입각해 제3세계 예술인 쇼나조각의 예술성과 상품적 가치에 대해 분석한 뒤 21세기 글로벌시대 문화 다양성 시각을 확대하고 아프리카의 문화예술 발전의 길을 제시하고자 예술행정의 4가지 영역에서 쇼나조각에 대한 체계적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아프리카 짐바브웨 자체적 측면으로 쇼나조각의 위상을 높이고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문화예술 지원 프로그램인 ‘레지던스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부각하였다. 1969년 프랭크 맥퀸이 운영하였던 ‘워크숍 스쿨’의 예를 통해 예술의 자유와 창조성을 강조한 현대적인 개념의 예술가로 나아갈 방안을 보여주었다. 또한 텡게넨게 예술촌과 같이 전통과 정통성을 추구하는 쇼나조각 예술가에게 편리한 작업 환경과 도구 등을 지원하는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현대적인 작업 환경 속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 쇼나조각에 대해 짐바브웨의 국립박물관의 체계적인 운영과 홍보, 쇼나조각 전시장과 아트페어를 열어 쇼나조각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 유도와 저변 확대의 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도와 노력이 쇼나조각의 예술성과 상품성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소통의 기회이자 쇼나조각의 전통성을 보전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둘째, 개인적 수익을 위해 제작과 판매를 동시에 담당하는 구조가 쇼나조각에 대한 예술성과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음을 드러내며 창작활동과 유통의 분리를 초점으로 한 유통시스템 개선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창작과 유통을 분리한 뒤 쇼나조각 관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확충을 위하여 체계적인 유통 관리 시스템이 정착된다면 쇼나조각의 예술성과 정통성의 계승이 원활해질 것이라 보았다. 셋째, 진품과 모작의 경계에 대한 문제를 언급하며 작가 인증제도와 함께 미술 감정사 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쇼나조각의 많은 모작과 공산품들로 인해 발생하는 예술성과 상품성의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작가 인증제도와 미술 감정 인력 양성사업 제도를 통한 쇼나조각 저작권의 확충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는 쇼나조각 작가의 예술행위만이 아니라 미술 애호가들의 동시적인 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책들이며, 쇼나조각의 예술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사안일 것이다. 넷째, 최근 독립국가가 된 짐바브웨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의 소극성을 지적하여 쇼나조각의 예술성과 상품성에 대한 대·내외적인 홍보와 문화예술 발전에 관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문화 점령국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자 노력하는 국가들을 예로 들어 글로벌시대 문화전쟁의 근거를 들었다. 본 연구자는 아프리카 대륙을 대표하는 예술, 쇼나조각이라는 제3세계 미술을 보유한 국가가 현재 상황에서 가장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를 찾고 보완하고자 하였다. 제3세계 미술의 인식적 범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쇼나조각이 1세대 작가들이 이루어 놓은 예술적 가치를 보전하고 더 큰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짐바브웨 정부의 자체적인 예술문화정책 개발과 적극적인 지원이 우선되길 바란다.

      • 계명아트센터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은진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논문은 교육적인 목적과 공공성을 동시에 지닌 대학공연장인 계명아트센터의 운영과 공연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여, 그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이화여자대학교의 삼성홀과 동서대학교의 소향씨어터의 운영형태를 참고사례로 살펴보았다. 대학이 직접 운영하는 계명아트센터와 달리 두 공연장은 민간기업 위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직접 운영방식에 비해 공연장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전문인력과 재정 확보가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기획공연과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없고 콘서트와 뮤지컬 장르가 대부분을 이루는 대관 위주의 공연 프로그램은 자칫 수익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공연장으로 인식되기 쉬우며 대학공연장이 지향해야 하는 교육적인 정체성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두 공연장의 장점을 흡수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본 논문은 계명아트센터의 운영현황과 공연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계명아트센터는 2008년 개관 이후 빠른 시기에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 브랜드로 성장하였다는 평가를 받으며 대구의 대표 공연예술 브랜드로 자리매김하였다. 시 외곽에 자리 잡은 신생 공연장이라는 지리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공연장 가동률, 객석 점유율, 인지도 면에서 기대 이상의 성적표를 받았다. 그러나 계명아트센터의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공연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못하여 공연장의 정체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기획공연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계명아트센터의 운영현황에 관한 발전방안을 세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장의 독립성 확보이다. 계명아트센터가 공연장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내부 구성원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공연장은 학교에 소속된 하나의 부서이기도 하지만 특수성과 전문성, 독립성을 가진 공간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존중할 때 대학 강당의 수준에서 벗어나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공간으로 인정받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계명아트센터는 음악공연예술대학 행정팀으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부서로 독립되어 공연장의 특수성을 인정받고 독립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공연장의 독립성이 확보되어야만 사업을 계획하고 진행함에 있어서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실무자인 공연 전문인력의 의견이 존중되어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공연장 전문인력의 확충이다. 현재 계명아트센터의 공연 전문인력은 모두 타공연장 근무경력을 가진 전문인력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분야별 각 1명이 전부이다. 이를 보조할 수 있도록 파트별 최소 1명 이상의 인력이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 내 구성원들은 계약직인 공연 전문인력들과 공연장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기보다 순환보직의 정규직 행정담당과 정보를 공유하는데, 이는 전문성에서 벗어나 불확실한 정보를 공유하는 위험성을 지닌다. 대부분 대외 업무를 담당하는 공연장의 특성을 감안할 때, 학교와 공연장의 대외적인 이미지를 고려하여 전문적이고 정확한 정보가 공유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연 전문인력들은 학교 구성원들과 원활히 소통하고 공연장의 정보를 전문가적 시각에서 전달할 수 있도록 정규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공연장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공연장의 성격과 운영형태에 적합한 현실적인 전문인력 확충이 필요하며, 10년 이상 경력의 공연 전문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시켜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현실적인 재정 확보이다. 계명아트센터의 예산은 기본적인 인건비와 공연장 관리비에 국한되어 있으며, 기획공연을 비롯한 공연 관련 예산은 전혀 책정되지 않고 있다. 적극적인 공연장 운영을 위해 공연 수익사업을 기획하려고 해도 개관 당시 교육용 시설로 승인되어 이 또한 실행하기 어렵다. 계명아트센터가 대학공연장이기 때문에 재정 확보에 한계가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영국의 워릭대학교의 워릭아트센터처럼 대학으로부터 지원금과 후원 및 보조금을 지원받거나, 이화여자대학교 삼성홀과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처럼 위탁운영으로 재정을 확보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계명아트센터의 공연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기획공연에 비해 대관공연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계명아트센터는 개관 초기 관객들에게 좋은 호응을 얻었던 기획공연 프로그램들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운영상의 여러 문제로 기획공연은 찾아볼 수 없고, 대부분의 공연이 대관으로 이루어지고 뮤지컬 장르가 다수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이 제시하는 계명아트센터의 공연 프로그램에 대한 발전방안은 아래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는, 기획공연의 활성화로 봄과 가을에 정기적인 시즌 공연을 기획하는 것과 지역 공동체와 공동기획을 추진하고 우수공연을 유치하는 것이다. 정기적인 시즌공연 기획과 지역 공동체와의 공동기획은 문화예술로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며 상생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공동기획은 예산이 충분하지 않은 대학공연장이 기획공연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된다. 두 번째는, 대관공연의 장르를 확대하는 것이다. 계명아트센터는 대관공연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 운영위원회의 엄격한 심의를 거쳐 양질의 공연을 승인하고 있다. 이에 여름에는 아이스발레와 같은 시즌 공연을, 겨울에는 대형 뮤지컬, 팝, 발라드와 같이 대학생들의 관심도가 높은 대중음악도 대관 가능한 장르로 확대한다. 이는 우수한 공연을 선별하여 관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지역민들의 문화 향수권을 보장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민을 대상으로 한 ‘렉처 콘서트’를 진행하고, 관객이 경험하기 어려운 공연장의 무대와 대기실 등 배우들의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한다. 이러한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는 대학공연장인 계명아트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는 우수한 문화 콘텐츠가 된다. 네 번째는, 지역의 인적자원을 활용하는 것이다. 발전방안으로는, 지역의 다양한 분야의 인적자원을 활용한 융복합예술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과 지역 예술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기획공연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이다. 다양한 분야의 우수한 예술가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의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기획공연을 활성화하고 독자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발전방안은 대구·경북 지역의 대학들이 상생한다는 의미가 있어 더욱 뜻깊다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계명아트센터의 운영현황과 공연 프로그램에 대한 발전방안이 실현된다면, 계명아트센터만의 고유한 브랜드 전략으로 계명대학교의 홍보와 이미지 제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발전방안은 계명아트센터가 단순한 교육시설로 머물지 않고, 민간공연장이지만 공공성을 지닌 대학공연장으로서 교육적인 운영목표와 더불어 지역의 문화예술발전에 기여하는 공공성 실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윤상식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인재양성의 중추적 책무를 가지고 있는 대학은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최근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창의와 융합이 중요해지면서 산업현장의 실무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력 및 문제해결능력 등을 갖춘 창의·융합형 실무 인재 양성이 국가적으로 지향하는 인재양성의 방향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링크플러스ㆍLINC+)등을 통해 대학과 산업체 간의 산학협력기반의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산학협력기반의 캡스톤디자인은 교육환경 변화에 적합한 방안으로 주목받으며 각 대학에서 다양하게 실행되고 있다. 캡스톤디자인은 학생이 산업현장에서 발행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인 종합설계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산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 진행과 스스로 결과물을 제작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산업현장이 요구하는 현장실무능력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설계한 교육과정이다. 특히, 디자인분야는 인간의 총체적인 생활환경과 관련되어 있고 신기술의 접목을 통한 창의적 아이디어와 학문 간의 융·복합이 매우 필요한 학문분야이므로 창의·융합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도가 매우 필요하다. 한편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교육 운영 사례를 분석한 결과, 산학연계의 중요성 및 가치에 대한 여러 긍정적인 부분이 보고되고 있지만, 산학협력에 대한 실효성과 진행 방법 등에 있어서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또한 한 전공의 학생들이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과 산업체 간의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 운영 그리고 개선방안 및 시사점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는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운영 모습은 어떠한가? 셋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운영 결과는 어떠한가? 넷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운영을 통해 도출된 개선방안 및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설계를 위한 선행연구 및 사례조사,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의 효과 분석을 위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함께 사용하였다.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은 디자인씽킹 5단계를 기반으로 공감, 정의, 발상, 프로토타입, 적용 단계로 진행하였고, 총 15차시로 구성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산업디자인공학전공과 화장품공학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21명이며, 다학제적 팀구성으로 총7팀으로 구성하였다. 교과 운영은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 15주 동안 진행하였다. 교과 운영 완료 후에는 산학협력기반 융합 교과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조사하고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을 통해 도출된 개선방안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체계, 교수자의 역할, 참여 기업과의 연계 정도 등의 요인들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팀원들 간에 공동체의식을 형성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팀 내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한 경우, 이 과정을 통해 오히려 커뮤니케이션능력이 함양된 긍정적 경험을 하였으나 해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끝까지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부정적 경험으로 남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교수자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서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관련한 강의를 담당 전공 교수들이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러나 강의의 목적이 비전공 학생의 기초지식 습득을 위함이 아니라 전공 학생에게 기초지식을 리뷰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서로의 전공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하고 있을 때 의사소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향후 동일한 과정을 운영할 때에는 비전공 학생들이 기초지식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강의의 내용과 수준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수업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기는 하나, 학기 중에 실시되는 것에 대한 시간적·심적 부담감을 토로하였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 수업의 시수를 늘리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수업 시간 외에 따로 만나기 위해 시간을 조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교수자의 입장에서도 팀별 진행상황을 보다 면밀히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결과물의 완성도를 높이고 수업의 질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는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의 설계 및 운영을 통해 효과 및 향후 운영방식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전공의 참여와 융합을 통해 교과를 운영하고, 역량에 대한 사전-사후 진단을 설계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 지하유휴공간의 문화예술적 활용방안

        김정우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87

        Abstract Each city in the world has faced City Hollowization caused by loss of growth engine of cities in the way to de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is Chronological change has paid attention that new city policy-oriented culture and creativity can be a method which can arouse vitality of city. It became a new intention point to strengthen growth and competitiveness today that developing potential ability of regional community, creating jobs and inpouring creative manpower by promoting cultural industry based on creativity and inviting many tourists and global enterpri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se growing underground underused space in compliance with the changes of city environment as a cultural-artistic space for enhancement of city competitiveness and find effective application plans for future-oriented value of city and improvement of cultural enjoyment for local residents. With regard to this research, the application plans has been concretely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 of case analysis of three places, ‘Seoul Art Space Sindang’ in Seoul, ‘Art street’ in Busan and ‘Beomeo Art Street’ in Daegu. Cultural space using underused space has to play a role of improving citizen’s life by applying cultural and economic changes of regional community over the level of city image and environmental recycle based on cities’ history and enviro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has suggested largely 3 application plans to use culturally and artistically underground underused space. Firstly, set a direction of underused space use based on understanding on community and underground underused space, secondly, develop diverse programs and suggest methods to specialize focusing on regional residents’ cultural life and finally, specifically recommend active promotions and plans to revitalize participation for regional open-complex cultural space. Positive effect of recommendations on this research would be expected by enforcing that underground underused space should be managed efficiently based on close plans to ultimately contribute to region activation by forming regional creation and functioning as a hub of culture network through culture and art. 요 약 세계 각 도시들은 탈산업화와 정보화 사회로의 진행과정에서 도시의 성장 동력 상실에 따른 도시공동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새로운 도시 정책의 중심에 문화와 창조성이 도시의 활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게 되었다. 문화예술을 통해 지역 사회의 잠재 능력을 발현시키고, 창조성을 바탕으로 문화산업을 육성하여 일자리 창출과 창의 인구를 유입하고, 많은 관광객과 글로벌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오늘날 도시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지향점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환경 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지하유휴공간을 도시재생과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적 공간으로 활용하고, 도시의 미래 지향적인 가치와 지역주민의 문화향유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연구함에 있어 서울의 ‘신당창작아케이드’, 부산의 ‘미술의 거리’, 대구의 ‘범어아트스트리트’ 세 곳의 사례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유휴공간을 활용한 문화공간은 도시의 역사, 환경을 바탕으로 도시의 이미지와 환경적 재생의 차원을 넘어 지역 사회의 문화적, 경제적 변화를 반영하여 시민의 삶을 향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유휴공간의 문화예술적 활용방안으로 크게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과 지하유휴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휴공간 활용의 방향을 설정하고 둘째,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특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셋째, 지역의 열린 복합 문화공간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지하유휴공간은 문화예술을 통하여 지역의 창의성 형성과 문화네트워크의 허브 역할을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면밀한 계획을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본 연구를 통한 제안들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본다.

      • 대구MBC문화센터의 발전 방안 연구

        최기철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수도권에서는 이미 1980년대부터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문화센터라는 새로운 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이 나타났으며, 특히 언론기관부설 문화센터들은 신뢰도와 지명도를 바탕으로 한 특화된 강좌 개설로 평생교육의 기능과 효과를 제고하고 있다. 대구MBC문화센터는 2000년 12월 지역에서는 최초로 개관한 방송사부설 평생교육기관으로서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평생교육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개인의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위한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해 출범했다. 방송국의 높은 신뢰성과 막강한 홍보를 바탕으로 대구MBC문화센터는 2008년에 이르러 본제휴점을 합해 많게는 6개점, 회원수 8만명을 확보했지만, 자회사 운영방식의 한계와 유통업체, 특히 매장 집객을 극대화하기 위한 마케팅의 일환으로 예산을 대거 투입해 공격적으로 운영중인 백화점 문화센터들의 경쟁력에 밀려 현재 경영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대표적인 공민영 문화센터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대구MBC문화센터와의 차이점을 비교·검토해 방송사부설 문화센터의 위상을 점검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구MBC문화센터의 발전 방안을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해 제안한다. 첫째, 방송사부설 문화센터의 정체성이 돋보이는 특화 프로그램 개발 및 강좌 개설이 필요하다. 연령별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눠 우선, 청소년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가칭 ‘대구MBC진로체험지원센터’를 통해 방송 체험과 교육 트렌드를 결합한 강좌 아이템을 개발해야 한다. 성인의 경우 심화과정 또는 프리미엄 특강 형식의 방송직업체험 강좌인 가칭 ‘대구MBC방송문화센터’와 뉴미디어 시대를 맞아 ‘미디어 크리에이터 양성’ 과정을 앞당겨 개설해 미디어시장을 선점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방송국 공간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이다. 대구MBC영화관인 시네마M을 상설공연장으로서 가칭 ‘Culture M’으로의 용도 변경을 비롯해 ‘MBC뮤직스쿨’을 활용한 음악 특성화 강좌와 ‘MBC다이어트코리아’의 운영 노하우를 문화센터 강좌에 접목한 성인 다이어트 강좌 등 대구MBC 특화사업과의 협업을 통한 맞춤형 강좌를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지자체의 예산을 확보하여 공영 방송사부설 문화센터로서의 역할, 즉 방송제작 시설과 공용 공간을 활용한 ‘실버세대’ 및 ‘다문화가정 자녀’ 지원을 위한 강좌 또한 개설을 서둘러야 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가칭 ‘대구MBC 교육공유 플랫폼’으로의 확장을 통한 전면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한다. 온·오프라인 접목의 새로운 시스템 구축은 기존의 오프라인 강좌의 한계에서 벗어나 수강생이 본인의 시간과 장소 등의 조건에 맞춰 강사를 선택할 수 있어 이는 곧 평생학습의 기회를 획기적으로 확대시켜 대구MBC문화센터의 운영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capital area,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1980s, and a new type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y has emerged as a cultural center. In particular, the cultural centers attached to media organizations have enhanced functions and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by opening special lectures based on credibility and reputation.  Daegu MBC Cultural Center was established in December 2000 for the first time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ttached to the broadcasting company in order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lifelong learning to local residents and implement lifelong learning society for active and creative life of individuals. Daegu MBC Cultural Center, based on the high reliability and strong publicity of broadcast company, has reached more than 80,000 subscribers in 2008, operating total 6 branches including the head office and affiliated facilities. However, it is now facing a management crisis being pushed out by the competitiveness of cultural centers in the department stores that are aggressively operating investing large amount of budget as a part of maximizing visit of the customers to the stor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ng status of representative public and private cultural centers in Daegu and compare them with Daegu MBC Cultural Center in order to check the status of Daegu MBC Cultural Center as a cultural center attached to a public broadcast company and find an improvement direction.   As a result, the researcher proposes the development plan of Daegu MBC Cultural Center as following three way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n specialized courses that show the identity of the cultural center attached to broadcast company. For this, above all, it needs to develop the lecture items for the youth and children, that combine broadcasting experience and education trend through 'Daegu MBC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 In the case of adults, it is suggested to create and open ‘Daegu MBC Broadcasting Cultural Center’, a provisional experience course for advanced broadcasting or a premium special lecture, and 'Media Creators Training Course’ suitable to a new media era to preoccupy the media market.   Second, it needs to develop the contents utilizing the space of broadcasting station. The researcher suggest to introduce a customized course through collaboration with Daegu MBC Specialized Projects such as an adult diet lecture which allied the operating knowhow of ‘MBC Diet Korea’ to a cultural center lecture utilizing ‘MBC Music School’ including changing the name of Cinema M to ‘Culture M’ to change the purpose to permanent theater. Further, it should secure the budget of local governments to act as a cultural center attached to public broadcaster. In other words, it needs to hurry to open lectures to support 'Silver generation'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utilizing broadcasting facilities and public space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stitution as a whole by expanding to the so-called 'Daegu MBC Education Sharing Platform'.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new system by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enables the students to select the teacher in accordance with their conditions such as time and place departing from the limit of the existing offline lectures, the opportunity of lifelong learning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operation of Daegu MBC Cultural Center.

      • 대구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의 인클루시브 디자인 적용 연구

        조은혜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For over a century, subway systems have been developed undergrou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ngestion and crowding in cities. Since their development, subway systems have proved to be one of the major forms of transportation in major cities. However, subway systems are not without their faults as disastrous accidents relating to closed underground spaces have occurred in subway systems around the globe. One example is the Daegu subway fire of 2003. Despite such accidents occurring, there is still an increase in accidents regardless of safety management measures that have been put in place to prevent them. In addition, subway syste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due expanding connections and increasing the size of stations, which causes a great of confusion for passengers. Such expansions are convenient for urban development, but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e drawbacks of subway systems operate in environmentally vulnerable conditions that increase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that helps prepare subway passengers with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act quickly and safely in dangerous situations. In addressing this matt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user-centered notification system design with the applied incline design principle that a notification system should be able to present easily comprehendible information.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inclusive design principle in the subway, which has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will be an indispensable measure in disaster not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uccession of subway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fficient and systematic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after identifying the current problems or lack of visual elements of the Daegu Metropolitan Subway System. This research study was carried out by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afety and the subway sign system, and by examining the theory of the inclusive design. In doing so, conclusions were drawn by observing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ubway systems and their safety notification procedures. Additionally, four elements of typography, pictogram, color, and layout were used as visual elements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which included the four design evaluation factors of unity, continuity, simplicity, and legibility. These four design evaluation factors were integrated and grouped, and the four evaluation items were reclassified. For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disaster notification systems, we analyzed the case of visual elements in Munich, England, Fukuoka, Nanakuma, Seoul, and Daegu.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bway history of Daegu,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reclassified inclusive design assessment factors for disaster notification systems, we drew three conclusions for improving the Daegu subway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First, since the color used as a visual element for the attention factor is recognized faster than the depiction of writings or characters, it is applied to the evacuation guidance for high visibility. Fluorescent or LED signs are also effective means of evacuation guidance in case of emergency. Second, the uniformity and simplicity of the facilities make it possible for passengers to see safety signs quickly and easily through repeated exposure. This serve as a form of pre-notification for passengers that can be used in the case of an emerg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set the minimum area ratio of the safety equipment so as to be able to be quickly seen from any distance range. This would easily draw the attention of passengers to safety equipment in the case of an emergency, without confusion. In conclusion,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of the subway is an important safety necessity for all users, to include all types of passengers (regular adults, disabled persons, foreign individuals, etc.). Therefo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continuous management and a systematic disaster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nstantly improved in order to maximize efficiency and safety in case of an emergency.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ubway safety and the prevention of subway accidents through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of the Deagu Metropolitan Subway, which is applied to the inclusive desig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safety and the inclusive design for analysis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of the Daegu Metropolitan Subway Lines 1 and 2, analyz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systematic improvements of the sign system, and established sugges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Based on this research, we will analyze the cognitive approach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evelop a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each function so that users can quickly find the location of safety facilities and equipment in emergency situations. Additionally, we seek to find an effective method for analyzing the psychology of recognition and recognition response, in addition to color, pictogram, layout, and typography. 도시 밀집화로 인한 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공간에 개발된 지하철은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도시의 공공 인프라이자 현대인의 기본 교통수단인 지하철은 많은 사용객들이 사용하며 폐쇄적인 지하공간의 특성으로 재난 사고 발생 시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이후로 안전관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고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상공간과의 연결로 지하철은 복잡해지면서 정보가 많아져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도시 발전으로 편리해지고 있지만 다른 이면에는 재난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특히, 지하철은 지하에 위치한다는 공간 특성으로 지상에 비하여 재난 시 심리적, 환경적으로 취약하므로 위험 상황에서 사용객 스스로 안전정보를 빠르게 인지하고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재난안내 사인시스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재난 안내사인은 지하공간의 특성을 고려하고 누구나 차별없이 쉽게 정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클루시브 디자인 원리가 적용된 사용객 중심의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객들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인 지하철에서 인클루시브 디자인 원리의 적용은 필수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계속되는 지하철 안전 사고에 따라 본 연구는 지하철 역사 내 사인의 시각 요소 문제점을 파악한 후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안내사인을 구축해 가는데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안전의 개념 및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에 대한 이해와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이론고찰을 한 후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재난 안내사인의 시각 요소로서 타이포그래피, 픽토그램, 컬러, 레이아웃의 4가지 항목을 통일성, 연속성, 단순성, 가독성의 4가지 사인 요소와 인클루시브 디자인 7가지 특성을 기반으로 재난 안내사인 평가요소를 위한 요소로서 ‘접근성’, ‘가독성’, ‘공평성’, ‘적용성’ 4가지를 도출한다. 재난 안내사인의 국외 사례로 독일 뮌헨, 영국 런던, 후쿠오카 나나쿠마선의 시각요소 사례 분석과 국내 서울 지하철 시각 요소 사례 분석하여 대구 지하철 역사의 종합분석 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재난 안내사인의 재분류한 인클루시브 디자인 평가 요소에 따른 종합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구 지하철 역사의 재난 안내사인 구축 시 개선해야 할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각 요소 중 주목성을 위한 요소로 사용되는 컬러는 문자보다 빠르게 인지되기에 사용자들에게 비상 시 신속한 대피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대구 지하철 역사 내에서도 레드 컬러를 주된 색으로 대부분 사용하지만 색각이상자, 장애, 저 시력자를 고려하여 픽토그램과 기호표시를 이용한 시각 정보가 필요하고 글자의 컬러가 변질되지 않도록 유지 · 관리를 해야한다. 또한, 대구 지하철 방화참사 시 검은 연기로 인해 시야 확보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시인성이 높은 고채도, 형광색 또는 기능적인 부분에서 LED로 피난 유도에 적용하도록 한다.둘째, 시설물들의 통일성과 단순성으로 사용자들에게 반복적 노출을 해야한다. 이를 위해 재난 안내사인의 기능에 따라 비상 대응, 대피를 위한 사인으로 나누어 제한 된 컬러와 통일된 타이포그래피로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정한 방향성과 연속성을 가진다면 사용자들에게 비상 대응을 위한 교육이 될 것이다. 셋째, 공평성을 갖춘 픽토그램의 활용이 일관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누구나 쉽게 신속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차별없는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불특정 다수를 고려해 픽토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긴급 상황 시 인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하고 자세한 사용 방법 내용보다 단순화된 시각 요소를 활용하여 가독성과 인지성을 갖추어야 한다.넷째, 화살표 위치와 기호들을 이용한 안전설비의 위치를 유도하는 안내 선의 사용은 신속한 대피를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들에게 혼돈하지 않게 하고 빠른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용성을 갖추게 된다면 각 시각 요소들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원거리에서도 빠른 인지를 할 수 있도록 안전설비들의 최소한 면적 비율을 정하여 주목성을 높여야 한다. 정해진 면적 비율에서 안내사인과 안전설비들을 한 곳에 설치하면 비상 시 시선 흐름에 혼란을 주지 않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노력은 안전 환경의 개선과 인클루시브 디자인 적용한 대구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들이 계속되는 지하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으로 대구 지하철 1호선 2호선 재난 안내사인을 대상으로 지하공간 특성과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고려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체계적인 재난 안내사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여 지하철의 안전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방안을 구축해 가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토대로 차후 정보전달의 인지적 부분까지 분석하여 긴급 상황에 사용객 스스로 안전 시설물 위치를 신속하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능에 맞춘 재난 안내사인을 개발하기 위해 컬러, 픽토그램,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에서 더 나아가 인지 심리, 반응을 고려한 효과적인 전략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 응급실 의료환경개선을 위한 정보 서비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애리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emergency rooms in which recent medical service designs were applied, focusing on information services among medical service designs in order to solve various emergency room medical problems caused by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emergency room.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design and the medical environment.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basic concepts of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service design were explored and considered, and detailed ele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ervice design for improving the medical environment of emergency rooms according to the customer journey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service industry, the medical environment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reatment services, and classified into medical information delivery, hospital environment, and service. Through the approach from the aspect of information service design, the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cal environment to improve the medical environment in the emergency room were presented. To this end,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and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which ar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belonging to superior general hospitals, and Seoul Medical Center and Boramae Hospital, which ar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belonging to general hospitals, mainly for emergency rooms applied with domestic medical service design within the last 10 years. Selected. For evalu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focusing on the target of this case, it is divided into before emergency room service, emergency room service status, and after emergency 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customer's journey.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through evaluation of nine detailed factors and interviews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results, an approach to information service design for improvement of emergency room medical space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ase target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evaluation scale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was high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service design, service elements were applied evenly, and the medical environment was sufficiently improv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several factors. Therefore, the information service approach for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requires an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 design as an approa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environment. Efficient, converged, and complex information services must be provided with sufficient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according to customer journeys for the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us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should reduce the information asymmetry of patients, guardians, and medical staff by applying information service design in ord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use and function of each space by providing accurate and prompt information It requires active efforts from stakeholders. Since the emergency room is transforming into a space that has the function of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not just the function of treatment, the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service design of the emergency room is difficult to access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Apart from subjec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and experience of the researcher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various experienced persons engaged in professional occupation. As a method, the information service design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did not follow the existing service design process, but analyzed through the elements and items derived from the research, and after conducting an interview and evaluation with the overall bluepri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journey map of the emergency room users. The result was derived and a plan was sugges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n efficient direction of information service design for continuous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in the future, and suggests guidelines in terms of information service design for improvement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From a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o be valuable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for information service design to improve the medical environment of emergency room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overall medical service design beyond information service design in cooperation with all stakeholders using emergency rooms, and research on a more holistic and detailed approach.

      • 한글 본문용 폰트의 가로짜기.세로짜기 비교 분석

        지상원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글은 창제 당시 한자와 병기하기 위하여 세로로 쓰기 시작하였으며,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가능한 문자이다. 우리나라는 시대적 상황 및 한글의 기계화와 표준화를 통해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디자인 분야에서도 가로쓰기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세로쓰기는 획일화된 가로쓰기에서 벗어나 다양한 디자인적 해석이 가능하며, 한글 타이포그래피만의 특징을 부각시켜 줄 수 있는 대표적인 요소이자 개성 있는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편집 디자이너로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본문용 폰트 분석을 통해 가로짜기와 세로짜기 조판 속 한글 사용법 차이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한글 세로쓰기 활성화를 위하여 추구해야 할 점과 전문적인 타이포그래피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관점의 폰트 사용을 함께 고민하고 더 나아가 한글 세로짜기 활성화를 모색함에 의의가 있다. 연구를 위하여 다국어 조판방법,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 문자의 방향성, 세로짜기에 대한 선행 연구 및 편집디자인에서 한글 세로짜기의 가능성을 고찰을 하였다. 선호도가 높은 한글 본문용 폰트 7종을 대상으로 글자의 방향성에 따른 폰트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본적인 조판 환경, 동일한 본문 텍스트 그대로 가로와 세로로 조판하여 폰트의 형태적인 특징과 글줄 이미지 관점으로 한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폰트별 특징과 세로짜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공통적으로 세로짜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가로짜기에 비해 글자가 붙어보이며, 글줄의 길이가 길어졌다. 그리고 로마자, 숫자, 문장부호가 90°로 회전하여 조판이 되었으며, 한글과 시각흐름선이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시각적 조정이 필요하여, 세로짜기 조판 시 유의점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한글 세로짜기는 역사적·디자인적 가치가 모두 높은 쓰기 방식이며, 지속적으로 시도되어야 한다. 이러한 세로쓰기의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디자이너들의 다양한 시도와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며, 기본 접근성도 쉬워야한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세로짜기 활성화를 위한 여건은 많이 부족하다. 세로짜기 전용 폰트가 너무 적으며, 지원해주는 프로그램과 한글 폰트 사용에도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처럼 한글 세로짜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디자인을 하는 편집 디자이너만의 몫이 아니라 편집용 프로그램과 폰트 개발 시에도 논의되어야 하며, 사용 환경 또한 분명히 개선되어야 한다. 향후 한글 세로짜기 사용이 확대되어 보다 다양하고 한글만의 특징을 살린 타이포그래피 문화가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t its creation, was supposed to be written vertically to be written together with Chinese characters, and it is available for both horizontal writing and vertical writing. According to times' situations and the mechan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Hangeul, Korea made a rapid change from vertical writing to horizontal writing, and according to such trends, horizontal writing has been generalized in the field of design as well. The vertical writing makes it possible to shed the unified horizontal writing to be open to diverse design, and it can highlight the unique typographical features of Hangeul,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unique design. This study examines the comparison of horizontal typesetting and vertical typesetting of Hangeul through the analysis of text fonts of Hangeul to allow designers to deliver information. This study thus examines things to do for activating the vertical writing of Hangeul, including how to enable not only designers but even ordinary people to easily use fonts of Hangeul. In this regard, this study further examines multi-language typesetting methods,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vertical writing of Hangeul, direction of characters, previous studies on vertical writing, and the possibility of vertical typesetting in edition design. Seven types of popular Korean text fonts were examined to analyzer their direction. In the basic typesetting environment, us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ypesetting of the same text, morphological features of fonts and the character line im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such process, features of individual fonts and their appearance in vertical typesetting were identified. Commonly, their appearance in vertical typesetting, compared to horizontal typesetting, looked like individual characters being attached, and the character lines were lengthened. And, Roman alphabet, numbers, and punctuation marks turned 90° in typesetting, and Hangeul and visual flow line did not match. Thus, visual adjustment was required, and cautions for vertical typesetting were also proposed. The vertical typesetting of Hangeul boasts high historical and design values and should continue to be attempted. To expand the base of using vertical writing, designers should make diverse attempts and studies, and vertical typesetting should basically be easy to access. However, the conditions have yet to be further secured to activate vertical typesetting in Korea. Exclusive fonts for vertical typesetting have yet to be further developed, including the supportive programs and Hangeul fonts. As such, to activate the vertical typesetting of Hangeul, not only designers should make efforts, but programs and fonts should also be developed, and the environment for using vertical typesetting should be improved.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use of vertical typesetting of Hangeul so as to activate the typographical culture of using the diverse features of Hange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