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직공정성이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강은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조직시민행동은 조직구성원에게 공식적으로 요구되는 역할행동은 아니지만 개인 및 조직의 안녕과 발전을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으로 정의된다. 조직시민행동은 조직효과성 및 서비스 질과 관련이 있으므로 영리조직에서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져 왔으나, 아직 사회복지조직에서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직의 공정성 정도와 사회복지사들이 수행하는 조직시민행동을 파악하고 조직공정성의 인식수준이 사회복지사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90개의 사회복지관중에서 33개의 복지관(기관당 5명)을 대상으로 165명의 사회복지사들에게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였다. 2002년 11월 25일부터 12월 13일에 걸쳐 29개의 사회복지관으로부터 총 12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120개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인식하고 있는 기관의 조직공정성은 평균 3.09(5점 기준)로 보통보다 높았으며, 분배공정성은 2.70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절차공정성은 3.21로 분배공정성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조직시민행동은 3.80으로 업무와 관련해서 조직에서 규정되지 않은 역할외적인 행동을 비교적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시민 행동의 하위차원별로 살펴보면 양심적인 행동을 가장 많이 수행하였으며, 다음으로 예의바른 행동, 이타적인 행동, 정당한 행동과 참여적인 행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공정성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 전공여부와 급여수준에 따른 분배공정성의 인식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넷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사회복지 전공여부, 급여수준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직위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차이와 재직기간에 따른 참여적 행동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다섯째, 사회복지관의 특성에 따른 조직공정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설립된지 10년 미만인 복지관이 설립된지 10년 이상인 복지관에 비해 절차공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원수가 20명 이상인 기관에서 절차공정성의 수준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그 차이도 각각 유의미하였다(p<.05) 여섯째, 사회복지관의 특성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을 살펴보면, 설립된지 10년미만인 복지관에서는 조직시민행동을 더 많이 수행하였으며, 20명 이상의 직원이 있는 기관에서 예의바른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일곱째,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절차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p<.005), 분배 공정성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의 증진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측면에서 조직내 정책이나 의사결정이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나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상사와의 부하직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원만한 대인관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관련해서 자신의 업무가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중요한 것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조직내 지지체계가 확립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업무의 전문성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업계획이나 프로그램 기획에 있어 재량권이 보장되어야 하며, 수퍼비전을 통한 적절한 지식과 정보가 교환되어 업무에서의 문제점을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새롭고 도전적이며 보람있는 업무에 대한 욕구가 큰 사회복지사일수록 조직에서 요구하지는 않지만 조직의 발전에 기여하는 업무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응답자의 성장욕구는 4.03(5점 기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회복지사들의 욕구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하며, 수행하는 업무에서도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적인 성장욕구에 부응하는 업무분장과 부서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is defined as extra-role activities which are not formally required by the job, but discretionary activities for the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OCB is considered critical in the for-profit organizations because of its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ervice quality, but it has not been reviewed in the setting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the organizational justice and OCB in social welfare centers(SWC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OCB among the social workers,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samples of 165 social workers were selected from 33 SWCs(five workers per center) out of total 90 SWC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3 in 2002 by mail and on-site visiting. A total of 127 questionnaires from 29 SWCs were collected and finally 12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degree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was 3.09 out of 5.00 point. Also distributive justice was marked 2.70 in average, while procedural justice was marked 3.21 in average. Second, social workers' citizenship behaviors were marked 3.80 out of 5.00, which shows that social workers were likely to do more than what was required by their job description. Third,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justi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workers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appeared to perceive the distributive justice higher than those who didn'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distributive justice by the level of annual salary. Fourth, regarding the OCB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academic background(social welfare majored or not)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OCB. However, OCB was appeared to directly relate to the higher position and longer employment. Fifth,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justice by the characteristics of SWCs, SWCs younger than 10 years old showed higher procedural justice level than older ones. Moreover, social workers who work with more than 20 employees have appeared to perceive the procedural justice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20. Sixth, regarding OCB by the characteristics of SWCs, SWCs younger than 10 years old and SWCs with more than 20 employees were marked higher OCB score. Seven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CB revealed that the procedural justi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CB.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OCB of social workers as follows. First, in point of welfare organizations, it is required that organizations should have fair procedures for making polices or decisions and they need to have smooth communications and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s between seniors and juniors of the organization. Second, in point of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it is required the support systems in SWCs so that social workers recognize that their job is important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organization. Also, social workers need to have more discretions in planning programs and share proper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the problem solving through supervision. Third, this study shows that the social workers who have higher needs for the new, challenging and fruitful job are doing more voluntary actions for the organization development. The social workers' growth needs were as high as 4.03 out of 5.00 point in this study. This shows that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for the workers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satisfy their needs and expectations. Also job allotment and arrangement should be met with the needs for the specific career goal of social workers.

      •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분석

        조영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Social workers support a local resident by providing highly motivational, value-focused specialized service. The perceived value of work created through practice of social welfare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social workers’ career choice, as well as lowering turnover intentions. However, compared to their expertise and role, social workers are being treated inadequately, and with such environment showing no promise of sufficient perceived value of work, the turnover intentions are escalating. Therefore, alternative resources which can supplement the relation of social workers’ perceived value of work and turnover intentions must be considered. This research suggests a social welfare supervision as the moderator variable, which suit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centers, can be professionally provided, and can be effectively utilized with appropriate supplements and guidance without the need of major investment of resour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ion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value of work and turnover intentions, thereby contributing to structuring a healthy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by supporting social workers to maintain their professional value and significance, discussing management plans to improve quality, ultimately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hrough suggestions regarding suitable interventions and policies. To achieve this, a survey for employee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as executed from November 14, 2017 to November 30, 2017. Survey was distributed to 415 social workers in 32 centers, and 390 resul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Means of analysis included text mining and word cloud of supervision survey using LoadUp, descriptive statistics of key variables using SPSS 25.0 Package, PROCESS macro v3.2, t-test, ANOB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conclusions deduced are as follows. First, turnover inten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social workers’ higher perceived value of work. Second, turnover inten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higher quality of supervision elements; Administrative supervision, Educational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Third, verification of research model showed that out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Educational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Administrative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reduced the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caused by perceived value of wor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environments which can enhance their perceived value of work must be constructed, and professional social welfare supervision must be provided.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proposed various means to intervene with social welfare for social workers to utilize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including establishment of better treatments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to lower turnover intention and provide sufficient perceived value of work, in addition to combined manual which illustrates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for professional service of supervision. 지역사회복지를 책임지는 사회복지사는 높은 동기적 순수성과 가치지향적 전문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중심적인 업무로 형성되는 일가치감은 사회복지사의 직업선택 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이직의도를 낮춰주는 주요 요인이다. 그러나 사회복지사는 전문성과 역할에 비해 비교적 열악한 조직의 지원으로 이직의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근로환경은 일가치감 또한, 적절하게 보유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완해 줄 수 있는 대처자원을 고민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조직 특성에 적합하고 전문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회복지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적절한 보완과 지도가 병행된다면 큰 자원투입 없이도 효과적이게 활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 슈퍼비전을 조절변인으로 제시하여 일가치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슈퍼비전의 유용성을 살펴보므로 사회복지사의 일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지속적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질적 향상이 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방안을 논의하여 궁극적으로 사회복지 현장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적절한 개입 방안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여 건강한 사회복지 전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7년 11월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2주간 32개 기관에 415명의 사회복지사에게 배포하였고, 이 중 390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프로그램 LoadUp을 활용하여 슈퍼비전 설문의 텍스트마이닝과 워드클라우드를 진행하였고, SPSS 25.0 Package, PROCESS macro v3.2를 통해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t-test, ANOBA,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둘째, 슈퍼비전의 기능인 행정적 슈퍼비전, 교육적 슈퍼비전, 지지적 슈퍼비전의 정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셋째,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슈퍼비전의 기능인 행정적 슈퍼비전, 교육적 슈퍼비전, 지지적 슈퍼비전 중 행정적 슈퍼비전과 지지적 슈퍼비전이 일가치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서 이직의도가 더 낮아질 수 있도록 부(-)적 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적절한 일가치감 보유를 강화할 수 있는 환경 구축과 전문적 사회복지 슈퍼비전이 제공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직의도를 낮추고 적절한 일가치감 보유와 질적 향상을 위한 조직지원 개선방안과 제도적 장치 마련을 제언하였고 슈퍼비전의 전문적 서비스를 위한 질적 평가방법을 포함한 통합매뉴얼 제안 등 사회복지실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를 위한 사회복지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교회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사회복지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3개 교회의 모범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훈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With a growing interest in social welfare, its demand has increased explosively in South Korea. Although social welfare budgets and services are rapidly expanding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they are still in short supply. The imbalance between the amount of social welfare distributed and amount of social welfare demanded is expected to become more serious in the future. Indeed,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ir social welfare budget, however, state-led public welfare is limited in order to support universal welfare that accommodates the needs and demands of diverse classes, instead of just the marginalized. In countries that have planned and implemented social welfare programs before South Korea, one solution that was seen as a replacement for subpar social welfare was the transferral of several state-led social welfare service programs into the hands of the private sector. Therefore, this study’s primary research focuses on the Protestant church as one of the many religious facilities in the terms of diversification of Korean social welfare resources and the discovery of private social welfare resources.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e Protestant church is that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ivatization of social welfar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side from this, the Korean church has one of the most active and socially participatory congregations in the world. The church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as a private social welfare resource and now has the potential to continue to evolve as a welfare distribution system. This study identifies cases that are considered to be exemplary among the social welfare programs operated by the Protestant church. It also intends to explore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se exemplary programs. I have identified and analyzed churches that have successfully operated programs with their own budget, manpower, and operating system, rather than providing services in the form of consignment with the budget and manual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social welfare’s boundaries through the church.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best practice programs were selected. The selection process was based on the programs introduced through major and Christian media outlets with more than three times the fanfare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awarded the prize "Church with the Local Community" hosted by the Christian Ethics Practice Movement Church. In the second stage, among the programs selected, they were appraised by the Seoul Welfare Award and Gyeonggi Province Excellence Program’s evaluation standards. In addition, considering their research traits, the programs were evaluated with the following criteria considering completeness, social contribution beliefs,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financial independency, and openness. The three final programs were selected by comparing the evaluations of church social welfare specialists and social welfare professors with those of the researcher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as an intra-case study and inter-case analysis. In the intra-case study, the logic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best practices in each case. In the inter-case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amined through the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process in five upper categories and sixteen sub categories. So,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ing categories lined up with their corresponding subcategories. The first of the derived results of this study is the strength of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also labeled as commitment and stability. Subcategories include non - commercial purpose, enthusiastic mind of service, ease of volunteer discovery and service provisioning based on giving back to the community. The second is the model factors of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Also known as professionalism and independence. The subcategories are the pastor, independence with space, administration, and religion, efforts for professionalism, provision of service centered on participants, and offer of church-only programs. Third i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cooperation and assistance). The subcategories are provision of life-friendly service, formation of cooperation with community, and the role of fulfilling the empty area of welfare. Fourth is the change due to the church's social welfare program The subordinate categories are change of the user's life, change of perception and relation to the municipality, and the change of the lay people within the church. The fifth result found is the difficulties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faces. The subcategories listed are limited church finances, poor quality of service, poor networking with the community, and a pastor-centered workplace culture discouraging exper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are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church has strengths such as commitment and stability to perform social welfare functions in the region. Second, the social welfare programs that are operating in the church have exemplary factors such as professionalism and independence. Third, the commendable operation of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changed the life of the user, the municipality and the members of the church. Fourth, churches operating social welfare programs had difficulti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social welfare utilization of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are as follow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first, that it is meaningful to select and analyze exemplary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s. Second, using the logic model as a framework to appraise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is meaningful. Thi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understand the church's social welfare program more broadly by interviewing users, practitioners, and managers in each case.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nicipality should investigate the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area and seek to support the church so that they can provide meaningful services. Seco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for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except for services that require professionals.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form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municipality and the local church. In order to utilize church social welfare as public social welfare, new policies and intervention plans for social welfare programs provided by religious institutions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further study on the church social welfa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대한민국은 복지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늘어나는 복지 수요에 따라 복지예산 및 서비스 또한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복지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현상은 향후 더욱 심각해 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정부의 사회복지예산 확대가 시급하지만 소외 계층만이 아닌 다양한 계층의 욕구와 요구를 수용하는 보편적 복지 실현을 위해서는 국가 주도 공공복지는 한계가 있다. 우리보다 먼저 복지 위기를 겪은 복지 선진 국가에서는 복지서비스 공급을 많은 부분 민간에 의존하면서 사회복지의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복지자원의 다원화와 민간 복지자원의 발굴의 측면에서 종교시설 중 개신교 교회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교회를 주목하는 이유는 교회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간 사회복지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한국교회는 세계에서 가장 활동적이고, 사회 참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봉사자 및 재정 조달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교회는 매우 중요한 민간 사회복지 자원이고, 민간 복지전달체계로서 계속해서 발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교회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중에서 모범적이라고 판단되는 사례를 발굴하여 특성을 규명하고, 모범적인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한 조직요인을 탐색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진 연구이다. 특별히 정부가 제공하는 예산과 매뉴얼을 가지고 위탁, 수탁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예산과 인력, 운영체제를 가지고 성공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교회들을 발굴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회를 이용한 사회복지 외연 확장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하여 먼저, 모범 프로그램 선정하였다. 선정과정은 주요 언론사와 기독교 언론 매체에 소개된 프로그램 중 지역사회의 관점에서 호응도가 좋은 프로그램을 내용으로 3회 이상 소개된 프로그램 과 기독교 윤리 실천 운동이 주관하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회상”을 수상한 교회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선정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서울 복지대상, 경기도 우수프로그램 평가기준을 참고하고,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여, 프로그램 완성도, 사회공헌신념, 성과 및 지속성, 재정 자립도, 개방성 의 평가 기준으로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연구자 삼각 검증을 위해 교회사회복지 전문가, 사회복지 교수의 평가와 연구자의 평가를 비교하여 최종 3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로, 분석 결과는 크게 사례 내 조사, 사례 간 분석 으로 정리하였다. 사례 내 조사에서는 로직모델을 활용하여 모범 프로그램을 각 사례 별로 분석하였다. 사례 간 분석은 연구참여자들의 심층 인터뷰 내용을 개념화, 범주화 과정을 통하여 5개의 상위범주와 16개의 하위범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첫째,‘교회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강점(헌신과 안정성)’이 나타났다, 하위범주로 ‘상업적이지 않는 목적’,‘투철한 봉사정신’,‘자원봉사자 발굴의 용이성’,‘배후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가능’이 도출되었다. 둘째, ‘교회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모범 요인(전문성과 독립성)’이 상위범주로 도출 되었고, 이에 따른 하위범주로는 ‘목회자 요인’, ‘장소·운영·종교와의 독립성’, ‘전문성을 위한 노력’,‘참여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교회만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이 도출 되었다. 셋째,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협력과 보조)’이 상위 범주로 도출 되었으며, 하위 범주로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 제공’,‘지역사회와의 협력관계 형성’,‘복지의 빈공간을 체워주는 역할’이 도출 되었다. 넷째,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으로 인한 변화’가 상위 범주로 나타났고, 하위 범주로 ‘이용자의 삶이 변화함’, ‘지자체의 인식/관계가 변화함’, ‘교회 내 성도들이 변화함’이 도출 되었다. 다섯째,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문제점’이 상위 범주로 도출되었고, 하위 범주로 ‘한정적인 교회 재정’, ‘서비스 질 저하 문제’, ‘지역과의 네트워크의 취약성’,‘전문성을 인정하지 않고 목회자 중심으로 하는 직장문화’가 도출 되었다. 분석결과와 이론적 배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에 대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는 지역 내에서 사회 복지 기능을 수행하기에 헌신과 안정성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교회 내에서 모범적으로 운영 되고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은 전문성과 독립성 등의 모범적인 요인들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교회 사회복지프로그램의 모범적인운영은 이용자의 삶과 지자체, 교회 내 성도들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교회들은 사회복지 참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회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사회복지 활용에 관한 가능성 탐색을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론적 함의는 첫째, 모범적인 교회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분석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둘째, 교회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분석함에 있어서 로직 모델 분석틀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는 각 사례 별로 이용자, 실무자, 관리자를 인터뷰 하여 교회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이해를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자체가 지역 내 교회 사회복지프로그램을 조사하고, 교회가 유의미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전문성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외한 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다양한 민간이 참여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지자체와 지역 교회가 합력 관계를 형성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회 사회복지를 사회복지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종교기관에서 제공하는 사회복지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 개입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사회복지조직의 폭력 예방대책과 사회복지사의 폭력 피해경험 특성 분석

        김정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국내연구는 국외와 비교하면 다소 늦게 관심 받기 시작했으며 그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대다수의 연구들이 폭력 피해경험에 따른 스트레스, 소진, 이직 등을 다루고 있어, 폭력 피해경험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폭력 피해경험을 유형(언어적, 신체적, 성적, 기타 폭력)에 따른 피해 빈도만을 측정하고 유형별 심각성을 고려하지 않아 정확한 사회복지사들의 폭력 피해정도를 가늠하기 어려웠다. 이에 폭력 유형별 심각성을 고려하여 피해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을 예방 및 감소할 수 있는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폭력 피해경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하고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수교육 의무대상인 전국 사회복지시설 4,241개소를 모집단으로 하여 409개 시설을 선정 후 1,180명에게 설문을 배포하고 회수하여 최종 1,10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69.4%가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이 있었으며 폭력의 피해 빈도는 신체적 폭력, 기타 폭력, 언어적 폭력, 성적 폭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다시 가중치를 반영한 피해경험지수로 하여 파악하면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 언어적 폭력, 기타 폭력 순으로 확인된다. 둘째, 폭력 피해경험빈도에서는 기타 폭력의 지속적인 업무 방해가 가장 높게 응답되어 사회복지사들이 1년 평균 최소 10회 이상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폭력 피해경험지수에서는 성적 폭력의 성기 노출이 가장 피해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평균 피해경험지수가 가장 낮은 욕설·저주와 비교하면 약 2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은 안전관리시설이 평균 0.80 종류, 내부규정 및 관련절차가 0.62 종류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으며, 이를 전체 예방대책으로 살피면 평균 1.41 종류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 유무가 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두 가지 하위차원인 안전관리시설과 내부규정 및 관련절차로 폭력 피해경험을 살핀 결과, 그리고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이 유형별(언어적, 신체적, 성적, 기타) 폭력 피해경험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이 매우 높음과 사회복지조직의 예방대책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의 폭력 피해경험이 빈도와 지수에 따라 피해정도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경험을 낮추기 위해 사회복지조직의 추가적인 예방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현재 갖추고 있는 예방대책 점검이 요구된다. 한편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위한 인식 제고 및 관심을 협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정책 마련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 국가간 나눔행동 비교 연구 : -OECD 25개국을 중심으로-

        박소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50703

        민간의 자발적 나눔 참여는 복지자원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이자 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근간으로서 민주적 복지사회의 밑거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눔행동과 관련한 연구들은 연구의 양 뿐만 아니라 다양성에 있어서도 한계를 지니는 까닭에 나눔행동의 특성과 요인에 대한 논의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나눔 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사회환경적 요인들과 나눔행동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나눔행동의 국가별 특성을 살펴보고, 국가별 나눔 참여 수준과 공공복지수준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퍼지셋 이상형분석을 활용하여 각 국가의 복지자원 특성을 유형화하였으며,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통해 나눔행동에 있어서 각 국가의 제도적・사회문화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OECD 회원국 중 자료의 수집이 가능한 25개국으로, 호주, 오스트리아, 캐나다, 핀란드, 프랑스, 독일,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한국,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터키, 영국, 미국, 칠레, 이스라엘이다. 먼저, 국가별 나눔행동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World Giving Index를 활용하여 분석대상 국가들의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율을 분석하였다. 기부 참여는 영국, 아일랜드, 호주, 네덜란드,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원봉사 참여는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 아일랜드, 호주, 네덜란드 순으로 높았다.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기부 참여가 자원봉사 참여보다 활발히 일어나며, 기부 참여가 높은 국가에서 자원봉사 참여도 높은 특성을 엿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국가별 사회지출 수준과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율을 활용하여 공공과 민간자원의 두 속성으로 구성된 복지자원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공공복지수준을 나타내는 사회지출 수준은 OECD의 평균 GDP 대비 사회지출 규모로 측정하였으며, 민간복지수준인 나눔 참여는 World Giving Index의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율로 측정하였다. 공공복지수준과 민간복지수준에 따른 네 유형은 각각 자원발달형, 공공의존형, 민간의존형, 자원부족형으로 명명하였으며, 각 속성에 대한 퍼지셋 소속 점수 계측 후 25개국의 복지자원 특성을 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북유럽 국가들과 서유럽 국가들은 대체로 자원발달형과 공공의존형에 위치하는 특징을 보였다. 남유럽 국가들은 공공의존형 특성을 나타냈으며, 영미권의 자유주의 국가들은 대체로 민간의존형의 특성을 보였다. 한국, 멕시코, 터키, 헝가리, 폴란드 등은 자원부족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유형화 결과를 Salamon 외(1998, 2001)의 초기 비영리섹터 레짐과 비교해보면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지는 않는다. Salamon 외(1998, 2001)의 국가별 비영리섹터 레짐 분석의 경우 사회지출 수준과 비영리섹터의 규모를 양 축으로 설정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사회지출 수준과 자발적 민간참여 수준을 분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비영리섹터 규모는 민간의 자발적 참여뿐만 아니라, 정부의 지원 또한 중요한 영향요인이므로 비영리섹터 규모 자체는 민간의 자발적 복지 참여 수준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기존의 비영리섹터 유형화는 복지 공급 주체로서 정부와 비영리섹터 간 상호 관계 및 상대적 규모를 비교하는 척도로 기능할 수 있으나, 실제 공공과 민간의 복지 수준에 따른 국가별 특성을 살펴보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형화 연구에서 간과된 측면을 밝히고 새로운 유형 분류를 시도함으로써 국가별 복지자원 특성을 발견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사회문화적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공공복지수준, 나눔촉진 제도, 비영리조직 운영의 자율성, 경제발전 수준, 분권화수준, 투명성, 교육수준 등 일곱 가지 원인변수를 설정하였으며,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와 비참여에 있어서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검증하였다. 공공복지수준은 OECD의 GDP 대비 사회지출 수준을, 나눔촉진제도는 Rules to Give By Index를, 비영리조직 운영의 자율성은 The Index of Philanthropic Freedom을 활용하였으며, 경제발전수준은 OECD 평균 1인당 GDP 수준을, 분권화수준은 Government Closeness Index를, 투명성은 Corruption Perception Index를, 교육수준은 Unesco의 고등교육 졸업자 비율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부와 자원봉사 참여에 있어서 비영리조직 운영의 자율성이 필요조건으로 나타나, 나눔 참여 가 활발한 국가에서는 항상 비영리조직 운영의 자율성이 높은 특성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충분조건 검증 결과에서는 가장 간명한 분석 결과 경제발전수준 또는 교육수준이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를 이끄는 핵심 요인으로 드러나, 기부와 자원봉사의 특성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부 및 자원봉사 비참여에 있어서도 역시 경제발전수준과 교육수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지출 수준 및 분권화수준 또한 다른 요인들과 결합했을 때 나눔 참여를 구축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민간복지수준과 공공복지수준과의 관계를 통해 국가별 유형화를 시도하고, 나눔행동에 있어서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의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부와 자원봉사 참여 간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입증하고 주요 영향요인을 밝힘으로써 비영리섹터와 관련한 제도적 보완 뿐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경제적 안정과 교육기회 확대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한국의 경우,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공공복지수준 뿐만 아니라 민간의 자발적 참여 또한 저조한 편으로 드러나 나눔 참여확대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활용가능한 지표의 부족 등으로 인해 엄밀한 결과를 이끌어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분석대상 국가가 제한적이고 분석대상의 상대적 비교에 근거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론의 특성 상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국가간 비교에 활용할 수 있는 나눔행동 지표 및 관련 요인들의 지표가 지속적으로 개발된다면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엄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nvironmental factors and charitable behavior – giving and volunteering. To be specific, this study attempts to (1) examine the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 of giving and volunteering among 25 OECD countries, (2) classify the countries based upon the level of public social expenditure and private contributions, and, (3) examine the effect of institutional and sociocultural factors on the charitable behavior. In most countries, people are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giving than volunteering while these two charitable behaviors are highly correlated. Using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the 25 countri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resource-developed, public-dependent, private-dependent, and resource-limited. Scandinavian countries (e.g., Norway, Finland, Sweden) and Western European countries (e.g., the Netherlands, UK, France, Germany, Austria) are generally characterized as a resource-developed type or a public-dependent type.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e.g., Italy, Portugal, Spain) are classified as a public-dependent type, and the liberal welfare states (e.g.,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are classified as a private-dependent type. Other countries, such as Korea, Mexico, Turkey, Hungary, and Poland, are classified as resource-limited type. This result is not consistent with Salamon’s work on the multinational classification of the nonprofit sector, which implies that the voluntary sector can be differently clustered when focused on the aspect of welfare resource. Not surprisingly, the results of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the autonomy of NPO operation is found to be a necessary condition for giving and volunteering participation. It is likely that individuals are willing to donate their time and money to nonprofits that appear independent from the government.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and education are also key factors that explain giving and volunteering.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level of social spending and decentralization could negatively affect the giving or volunteering.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in eliciting rigorous results due to the lack of available indicators, this study provides a solid knowledge foundation for a multinational classification of charitable behaviors as well as contributes to finding institutional complementarities for an increase of participation in giving and volunteering.

      •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진섭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ffects the social inclusion orientation,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eans the percentage of the programs carried out by professionals among all the programs in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 The social inclusion orientation implies what a social service organization makes effort to improve social inclusion for clients. It was measured with two dimensions of 'client-centered' and 'community-centered', consisting of the total 40 composite Likert-typed items.For this study,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of 'Children·youth centers', 'organizations for disabled', 'organizations for the aged', and 'community social service centers', and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on one manager of mid-level or higher.The Social Inclusion Team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of Yonsei University has performed a research on 'Dynamics of Community Social Service Providers and Social Inclusion in the Era of Localization' in 2006. The team has collected data from 809 institutions which includes centers for Children&Youth, for disabled, for the aged and community social service centers. The data collected in the first year research was used in this study for secondary data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of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2.0 was applied.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has effects on both CTSI and COSI. Second, the hierarchical culture has a mediating effect on CTSI while both the group culture and the development culture has effect on COSI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guidelines on future social policy to make the social service providers understand what they should concern for the social inclusion. Also, it presents the conseq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more effectively to the excluded people. 오늘날처럼 사회복지시설의 역할이 과거 시설보호를 통한 처우개선과 같은 협소한 수준을 넘어서 사회적으로 배제된 집단의 사회통합(sicial inclusion)이란 광범위하고 거시적인 수준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시설의 노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복지시설에서 다루어지는 인간문제들의 성격과 복잡성 때문에 과학적이고 이론적인 실천지식이 필요한 것도 이유이지만(최성재 외, 1997), 무엇보다도 사회통합이 갖는 속성 자체가 지금까지 사회복지조직에서 논의된 어떤 사회적 과제보다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은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조직의 가치관, 신조, 및 조직이 나아가야 행동패턴을 규정하는 조직문화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는 사회복지지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동시에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통합재제연구단(2006)이 「지방화시대의 사회통합화 지역복지서비스 공급체계의 역동성에관한 연구(이하 사회통합배제연구)」의 수행을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내에 구성된 연구팀이 2006년 5월부터 7월까지 수집한 1차년도 데이터(아동·청소년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종합사회복지관)에 관한 자료(총 809개소)를 2차분석(secondary data analysis)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 수준을 측정한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은 62.4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시설의 대상유형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종합사회복지관(72.5점)의 전문성 수준이 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시설과 이용시설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 수준을 살펴본 결과 생활시설(52.7점)에 비해 이용시설(74.9점)의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사회복지시설의 조직문화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조직문화 성향은 집단문화(16.1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개발문화(15.9점), 합리문화(14.8점), 위계문화(11.5점)의 순으로 조직문화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상유형과 이용형태에 따른 시설구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셋째,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지향성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CTSI 수준은 평균 79.6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COSI 수준은 평균 76.1점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시설유형 모두 75~77점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CTSI의 경우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영향관계 역시 p<.001 수준에서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사회통합지향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문화(p<.05)와 개발문화(p<.05)가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TSI의 관계에서는 위계문화(p<.05)만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2-3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TSI와의 관계에서 위계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와 가설 3-1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관계에서 집단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그리고 가설 3-2 ‘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관계에서 개발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란 가설은 지지되었다. 하지만 연구가설에서 제시했던 나머지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은 지금까지 크게 부각되지 못했던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지향성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의 성향이 강하며 사회통합지향성을 위해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회적으로 심각해지는 양극화 현상과 다양한 사회적 문제로 인한 사회적 배제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시설뿐 만 아니라 개인, 민간, 국가가 모두 사회통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서비스이용 조절효과 분석

        유지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Korea,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llows the people to receive medical services regardless of their income and ability to pay. However,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is very low that it is possible for people to pay a substantial amount of copayment. High copayments and excessive medical costs cause a heavy burden on households and can lead to an economic risk. In particular, excessive medical expenditure may cause patients to waver or abandon medical services. Although the national and private foundations are providing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to reduce the expenditure for patients' households and receive continuous treatment,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s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unmet healthcare need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social support. This study utilized 10,072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11th Wave (2016).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measured using two threshold approach. The unmet healthcare need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unmet medical experience because of economic reasons.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is examined through cost of living, medical support, and product suppor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unmet healthcare need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nmet healthcare needs. This indicates that the greater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unmet healthcare needs. This means that the greater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However, when using social welfare services, it is improbable to experience unmet healthcare nee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ocial and welfare implications of policy and practice are suggested.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public medical expense subsidy to reduc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Second, there is a need to offer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of Experts for those with the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ird, there is a need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o help those with socioeconomic conditions wh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s spent thus the social welfare service decreases the unmet healthcare needs. 우리나라는 건강보험제도를 통해 전 국민이 소득과 지불능력과 관계없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OECD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건강보험을 통한 보장성이 낮고 실제로 지불해야 되는 본인부담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본인부담금은 가구에 과중한 부담을 주며, 과도한 의료비용으로 인해 경제적 위험을 겪을 수 있다. 특히 과도한 의료비지출은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의료서비스이용을 망설이거나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 국가 및 민간재단 등의 기관에서 환자 가구의 과부담의료비지출을 감소시키고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효과성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복지패널 11차 자료 가구원 10,07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과부담의료비지출은 역치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과부담의료비지출을 측정하였다. 미충족의료경험은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경험 여부를 확인하였다. 사회복지서비스의 경우 생계비 지원, 의료비 지원, 물품 지원 여부를 확인하였다. 과부담의료비지출과 미충족의료경험의 관계 및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과부담의료비지출이 클수록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부담의료비지출과 미충족의료경험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영역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과도한 의료비지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부에서 시행되는 의료비지원사업의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과부담의료비지출로 인해 미충족의료를 경험하는 대상에게 전문가의 보건·의료·복지의 통합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이 과부담의료비지출을 완화시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을 낮춤에 따라 사회경제적 상황에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지원환경 특성이 주관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소재 복지관 중간관리자의 학습전이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보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Seoul on subj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among middle manager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social servic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among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2023, which was funded by the 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at Yonsei University. For data collection, an online survey tool, Survey Monkey, was used to conduct an online survey of middle manag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social welfare experience a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ocial Welfare Centers, Disabled Welfare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and the final analysis data is 327 cas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Baron & Kenny (1986)'s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proces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main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the higher the age, the lower the position, the higher the total experience, and the longer the middle manager experience in the current organiz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he average of the overall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as 3.61 points, 3.66 points for supervisor support, 3.76 points for job support, and 3.41 points for organizational support.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ubj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s, demographic and growth needs, and education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as control variables showed that supervisor support and job suppor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ubj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learning suppor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arning transfer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job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bjectiv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middle manager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o analyze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learning transfer to ultimately discuss social welfare implications and prepare fundamental data.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지원환경특성이 주관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간관리자들의 학습전이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승인을 받은 후 실시하였다(IRB No: 7001988-202303-HR-1742-04). 본 연구의 데이터 사용지침서(최재성, 2023)에 따르면 분석데이터는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서울 소재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사회복지 경력 5년 이상의 중간관리자(직위: 팀장, 과장, 사무국장, 부장)를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총 32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SPSS 25.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 과정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하였다. 위 연구 내용을 토대로 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지원환경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직급이 낮을수록, 총 경력이 많을수록, 현 조직에서의 중간관리자 경력이 길수록 학습지원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복지조직 유형 중에서는 노인복지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지원환경 수준을 알아본 결과 5점 만점 기준 전체 학습지원환경특성의 평균은 3.61점이었고, 하위차원의 평균으로는 상사지원이 3.66점, 직무지원이 3.76점, 조직지원이 3.41점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지원과 직무지원도 중간값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중간관리자들이 인식하는 조직의 학습지원환경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모호한 수준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중간관리자들이 인식하는 학습지원환경 수준이 기대치보다는 다소 낮으며, 특히 조직차원에서의 지원이 더 낮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주관적 조직성과를 종속변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성장욕구, 교육훈련특성(교육훈련설계, 교육훈련환경)을 통제변수로 두고 학습지원환경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독립변수인 학습지원환경 특성 중 상사지원과 직무지원이 주관적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서는 조직규모, 교육훈련 설계, 교육훈련 환경, 복지관 유형이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습지원환경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지원환경특성의 하위변인인 상사지원, 직무지원, 조직지원과 주관적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학습전이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중간관리자에 주목하여 학습지원환경과 학습전이, 조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복지조직 중간관리자 대상 학습지원환경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